KR101214873B1 - 헤드 교체형 라켓 - Google Patents

헤드 교체형 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873B1
KR101214873B1 KR1020100074545A KR20100074545A KR101214873B1 KR 101214873 B1 KR101214873 B1 KR 101214873B1 KR 1020100074545 A KR1020100074545 A KR 1020100074545A KR 20100074545 A KR20100074545 A KR 20100074545A KR 101214873 B1 KR101214873 B1 KR 101214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et
head
frame
racket hea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539A (ko
Inventor
조진영
Original Assignee
조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영 filed Critical 조진영
Priority to KR1020100074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8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35Frames with easily dismountable parts, e.g. heads, shafts or gri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38Frames with head subframes for replacing st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 교체형 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은, 라켓 본체와, 상기 라켓 본체에 고정되며, 타원 형태의 프레임의 측면이 상하 방향으로 벌려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프레임의 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수단들이 위 아래로 형성된 지지용 라켓 헤드와, 다수의 스트링이 직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용 라켓 헤드의 상기 프레임 안쪽의 빈 공간의 타원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타격용 라켓 헤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용 라켓 헤드의 상기 프레임의 측면을 상하 방향으로 벌린 다음에 상기 타격용 라켓 헤드를 상기 라켓 본체 방향으로 삽입하여 결합하고, 반대 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라켓 헤드를 라켓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라켓 헤드 자체를 소모품이자 기호품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라켓 줄이 끊어지더라도 해당 라켓을 분리하고 즉시 다른 라켓 헤드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 교체형 라켓{RARKET WITH REPALCEABLE HEAD}
본 발명은 배드민턴, 테니스 또는 스쿼시에 사용되는 라켓에 관한 것이다.
배드민턴, 테니스 또는 스쿼시는 라켓을 이용하는 스포츠이다. 라켓에 의해 공 또는 셔틀콕을 순간적인 타격으로 돌려 보내기 때문에, 타격 순간에는 라켓 헤드의 스트링잉(이른바 라켓 거트)에 강한 힘이 가해진다. 라켓 헤드의 스트링잉에 전해지는 힘에 대응하는 강한 반발력의 구현과, 그 힘에 의해 라켓 헤드가 손상될 때의 조치 등은 이 기술분야에서는 매우 핵심적인 관심사가 되어 왔다.
도 8은 일반적인 배드민턴 라켓(1)의 구성을 나타낸다. 라켓(1)은 프레임(50)과, 이 프레임 내에 다수의 스트링의 메쉬 구조로 매듭 지어져 구성되는 스트링잉(10)으로 이루어지는 헤드와, 프레임(50)과 연결되는 샤프트(30) 및 샤프트(50)의 단부에 형성되는 핸들(40)로 구성된다. 형태와 규격과 스트링의 소재적인 특성을 제외하고, 이러한 라켓의 기본적인 구성은 테니스 및 스쿼시 라켓의 경우에도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하다.
그런데 셔틀콕이나 공을 라켓으로 강하게 내려치기 때문에, 라켓의 스트링에 가해지는 셔틀콕이나 공이 일정한 속도로 전해지는 힘과 이를 쳐내면서 발생하는 반발력으로 인하여 라켓의 스트링이 자주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 라켓의 스트링이 끊어지는 경우에는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새롭게 스트링을 일일이 매듭지어서 수선해야 하기 때문에 적지 않은 비용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매우 불편하였다. 더욱이 일반인이 직접 수선하는 경우에는 매우 많은 힘과 노력을 기울여야 하고, 잘 되지도 않았다. 그래서 대부분의 일반 사용자들의 경우에는, 수선 대신에 스트링이 끊어진 라켓을 버리고 새로운 라켓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말미암아 자원의 낭비도 심했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켓 사용자가 라켓의 스트링이 끊어지는 등의 심한 문제가 생겼을 때에도 즉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신규한 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켓 사용자의 다양한 라켓 사용욕구를 만족시키는 신규한 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여기서 라켓 사용욕구라 함은 디자인에 관련한 사용자 개인의 기호와, 라켓 스트링의 텐션과 규격에 따른 다양한 기능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욕구로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제품과 구별시키는 라켓 특유의 가시적인 디자인은 주로 라켓 헤드에 구현된다. 예컨대 라켓 헤드, 즉 스트리잉 표면에 별의 문양을 넣는다든지, 색상을 입힌다든지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이한 디자인의 라켓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라켓 완제품을 구매해야만 했다. 그러나 그것은 결국 비용을 2배 이상 지불해야 하는 불이익이 생긴다. 본 발명은 비용을 낮추면서도 다수의 디자인을 사용할 수 있는 신규한 기술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라켓 헤드에는 다양한 규격이 존재한다. 라켓 스트링의 굵기와 종류, 스트링을 프레임에 고정할 때 정해지는 스트링의 텐션에 따라 전문가용이나 일반사용자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강한 타격을 위주로 할 것인지,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것에 주안점을 둘 것인지, 회전력이 강점을 갖는 라켓을 사용할 것인지에 따라 라켓이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여러 종류의 라켓을 보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역시 상기한 바와 같이 2배 이상의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라켓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신규한 제품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목적을 관통하는 근본적인 접근 방식은 라켓 헤드와 라켓 본체를 일체로 생각하던 종래의 관점에서 벗어나 라켓 헤드를 소모품으로 이해하여 누구나 쉽게 교체 가능하도록 한다는 데 있다. 라켓 헤드의 스트링이 자주 끊어지기 때문에 본디 라켓 헤드는 소모품의 성격을 갖고, 그 성격에 맞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원의 낭비를 막고자 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헤드 교체형 라켓은, 라켓 본체;
상기 라켓 본체에 고정되며, 타원 형태의 프레임의 측면이 상하 방향으로 벌려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프레임의 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수단들이 형성된 지지용 라켓 헤드; 및
다수의 스트링이 직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용 라켓 헤드의 상기 프레임 안쪽의 빈 공간의 타원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타격용 라켓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용 라켓 헤드의 상기 프레임의 측면을 상하 방향으로 벌린 다음에 상기 타격용 라켓 헤드를 상기 라켓 본체 방향으로 삽입하여 결합하고, 반대 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라켓 헤드는,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이 상하로 대향한 구조이며,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이 상기 라켓 본체에 의해 연결되며,
또한, 상기 고정수단들은,
상기 상측 프레임에 하방으로 연속하여 설치되는 둥근 형태의 상측 탄성 돌기편과,
상기 하측 프레임에 상방으로 연속하여 설치되며, 상기 상측 탄성 돌기편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편차를 이루는 하측 탄성 돌기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 탄성 돌기편과 상기 하측 탄성 돌기편의 치차결합에 의해 상기 타격용 라켓 헤드의 측면을 물어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라켓 해드는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을 견고하게 닫거나 개방하는 다수의 제 2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라켓은 배드민턴 라켓일 수 있으며, 테니스 또는 스쿼시의 라켓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켓 스트링잉과 라켓 본체가 언제나 일체로 되는 것이 아니라, 라켓 스트링잉을 라켓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결합할 수 있는 교체품으로 기능하게 하므로, 라켓 스트링잉, 즉 라켓 헤드 자체를 소모품이자 기호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라켓 스트링잉의 어느 스트링이 사용 중에 끊어지더라도, 종전처럼 전문가에게 의뢰해서 기다려야 한다거나 많은 시간과 수고를 들여 새로운 스트링으로 일일이 매듭지을 필요가 없다. 줄이 끊어진 라켓 헤드는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A/S를 맡기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즉시 새로운 라켓 헤드를 라켓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사용하는 라켓 줄이 끊어지더라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바로 새로운 라켓 헤드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과 수고로움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드시 라켓 스트링에 어떤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니더라도, 사용자는 구입 시에 서로 다른 디자인 또는 특성의 2종 이상의 라켓 헤드를 구입하여 기호나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게 중심이 서로 상이한 2종 이상의 라켓 헤드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매자의 입장에서도 새로운 산업을 진흥한다는 효과를 불러온다. 종전에는 라켓 완제품 시장만이 존재하였고, 라켓 스트링은 일부 전문가를 상대로만 판매하는 정도의 미미한 시장이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라켓을 소모품이자 기호품으로 교체사용 가능해져서 독립적인 제품으로 제조, 판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라켓 헤드에 대한 시장이 개척되고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켓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켓 본체에 착탈되는 타격용 라켓 헤드(100)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용 라켓 헤드(200)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로서, (a)는 제 2 고정수단(230)을 개방한 상태, (b)는 제 2 고정수단(230)을 닫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지용 라켓 헤드(200)와 타격용 라켓 헤드(100)을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일반적인 배드민턴 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일반적인 테니스 라켓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타격용 라켓 헤드
120: 스트링
200: 지지용 라켓 헤드
213, 217: 고정수단(돌출편)
211: 지지용 라켓 헤드의 상측 프레임
219: 지지용 라켓 헤드의 하측 프레임
230: 제2 고정수단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라켓의 제 1 구성을, 도 2는 본 발명의 라켓의 제 2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켓의 제 1 구성은 지지용 라켓 헤드(200)와 샤프트와 손잡이로 구성되는 라켓 본체(150)로 이루어져 있으며(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라켓 본체(150)와 지지용 라켓 헤드(200)의 구성을 분리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라켓 헤드(200)는 2층의 프레임(210)만 있고, 내부 영역(220)은 스트링잉이 없는 빈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2의 타격용 라켓 헤드(100)가 상기 지지용 라켓 헤드(200)와 결합하여, 상기 빈 공간의 내부 영역(220)에 위치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용 라켓 헤드(100)에는 다수의 스트링(120)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교차하여 직조되어 있다.
통상의 방법에 의해 스트링(120)을 직조한 다음에 프레임(110)의 측면에서 매듭을 지어 스트링(12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신규한 방법으로, 단일 또는 복수의 합성수지재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수평 스트링과 수직 스트링을 상호 교차하면서 직조한 다음에, 이를 합성수지부재로 압착하여 상기 수평 스트링과 상기 수직 스트링을 동시에 피복 코팅하고, 피복 코팅된 라켓 스티링의 끝단들을 라켓 프레임에 고정함으로써 하나의 구조물로 대량 생산할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 지지용 라켓 헤드(200)를 측면에서 사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용 라켓 헤드(200)는 상측 프레임(211)과 하측 프레임(219)로 구분되며, 이 2개의 프레임(211, 219)가 상하로 대향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상측 프레임(211)과 하측 프레임(219)은 라켓 본체(150)에 함께 연결되어, 라켓 본체(150)의 단부를 통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라켓 본체(150)의 단부와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측 프레임(211)을 위로 벌리고, 하측 프레임(219)을 아래로 벌려서 지지용 라켓 헤드(200)의 측면을 이격하여 벌릴 수 있는 구조이다.
상측 프레임(211)과 하측 프레임(219)에는 각각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수단들이 위 아래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 프레임(211)의 하면에 하방으로 연속하여 돌출 설치된 고정수단(213)과 하측 프레임(219)의 상면에 상방으로 연속하여 돌출 설치된 고정수단(217)들이 톱니처럼 대향할 수 있다. 도 4는 이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나타낸다.
도 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213)은 상기 상측 프레임(211)의 하면에 설치되며 그 일부는 연속하여 상측 프레임 안에 매설되어 있고, 다른 일부는 하방으로 연속하여 설치되는 둥근 형태의 얇은 탄성 돌기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돌기편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혹은 티타늄 또는 리퀴드메탈 돌기편이다. 상기 고정수단(217)는 상기 하측 프레임((219)의 상면에 설치되며 그 일부는 연속하여 하측 프레임(219) 안에 매설되어 있고, 다른 일부는 상방으로 연속하여 설치되는 둥근 형태의 얇은 탄성 돌기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돌기편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혹은 티타늄 또는 리퀴드메탈 돌기편이다.
상기 고정수단(213)과 상기 고정수단(217)은 프레임(211, 219)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편차를 이루어 상호 대향하여 치차결합함으로써, 소정의 여유공간(21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기편들이 상호 접하여 상하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는 부분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부분이 타격용 라켓 헤드(100)의 프레임(110)을 물어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측 프레임(211)의 다수의 개소에는 제 2 고정수단(230)이 설치되며, 이 제 2 고정수단의 단부(231)가 하측 프레임(219)의 체결구(23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측 프레임(211)과 하측 프레임(219)을 상호 결합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이 고정수단(230)들은 지지용 라켓 헤드(200)와 타격용 라켓 헤드(100)가 정 위치에서 끼워진 다음에, 타격용 라켓 헤드(100)가 지지용 라켓 헤드(2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강하게 규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이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다.
즉,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 고정수단(230)의 단부(231)를 체결구(233)에서 빼낸 다음에, 지지용 라켓 헤드(200)의 측면을 상하로 벌려서 타격용 라켓 헤드(100)를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 고정수단(230)의 단부(231)를 다시 체결구(233) 안으로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 2 고정수단(230)은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5개가 지지용 라켓 헤드(20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그 개수와 형태적 변경에 의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화살표 방향으로 타격용 라켓 헤드(100)를 지지용 라켓 헤드(200) 쪽으로 측면에서 슬라이딩 삽입하여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타격용 라켓 헤드(100)의 프레임(110) 상하 표면은 상기 지지용 라켓 헤드(200)의 측면에서 둘레방향으로 따라 연속하여 설치되는 고정수단들(213, 217)의 설치 구조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격용 라켓 헤드(100)의 프레임(110) 상하 표면은 상기 돌출편(213, 217)의 폭과 거의 같은 폭을 갖는 중앙부분과, 이 중앙부분의 내외 단부는 약간의 높이를 갖는 단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고정수단들인 상기 돌출편(213, 217)과의 접촉 면적을 넓힘과 동시에, 타격용 라켓 헤드(100)가 지지용 라켓 헤드(200)의 측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더욱 규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의 형상과 수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어서 그 형상과 수치에 의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거나 그것으로만 본 발명의 구성을 한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첨언한다.

Claims (4)

  1. 라켓 본체를 이루는 구성에 있어서 지지용 라켓 헤드는 타원 형태의 프레임의 측면이 상하 방향으로 벌려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프레임의 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수단들이 형성되는 지지용 라켓 헤드와,
    다수의 스트링이 직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용 라켓 헤드의 상기 프레임 안쪽의 빈 공간의 타원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타격용 라켓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용 라켓 헤드의 상기 프레임의 측면을 상하 방향으로 벌린 다음에 상기 타격용 라켓 헤드를 상기 라켓 본체 방향으로 삽입하여 결합하고, 반대 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교체형 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라켓 헤드는,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이 상하로 대향한 구조이며,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이 상기 라켓 본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고정수단들은,
    상기 상측 프레임에 하방으로 연속하여 설치되는 둥근 형태의 상측 탄성 돌기편과,
    상기 하측 프레임에 상방으로 연속하여 설치되며, 상기 상측 탄성 돌기편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편차를 이루는 하측 탄성 돌기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 탄성 돌기편과 상기 하측 탄성 돌기편의 치차결합에 의해 상기 타격용 라켓 헤드의 측면을 물어 고정하는 것인, 헤드 교체형 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라켓 헤드는 상기 고정수단들에 의하여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을 견고하게 닫거나 개방하는 것인, 헤드 교체형 라켓.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켓은 배드민턴, 테니스 또는 스쿼시의 라켓인 것인 헤드 교체형 라켓.
KR1020100074545A 2010-08-02 2010-08-02 헤드 교체형 라켓 KR101214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545A KR101214873B1 (ko) 2010-08-02 2010-08-02 헤드 교체형 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545A KR101214873B1 (ko) 2010-08-02 2010-08-02 헤드 교체형 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539A KR20120012539A (ko) 2012-02-10
KR101214873B1 true KR101214873B1 (ko) 2012-12-24

Family

ID=4583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545A KR101214873B1 (ko) 2010-08-02 2010-08-02 헤드 교체형 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151B1 (ko) * 2017-11-29 2019-04-30 김성동 라켓용 거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1211A (en) 1974-06-13 1975-06-24 Peter C Diefenbach Tennis racket with interchangeable string frame
US4124209A (en) 1975-10-28 1978-11-07 Dileo Philip F Tennis racquet with insert
US4274634A (en) 1979-09-21 1981-06-23 Nando Berluti Tennis rackets
JPS59174855U (ja) 1983-05-09 1984-11-22 松下電工株式会社 ラケツ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1211A (en) 1974-06-13 1975-06-24 Peter C Diefenbach Tennis racket with interchangeable string frame
US4124209A (en) 1975-10-28 1978-11-07 Dileo Philip F Tennis racquet with insert
US4274634A (en) 1979-09-21 1981-06-23 Nando Berluti Tennis rackets
JPS59174855U (ja) 1983-05-09 1984-11-22 松下電工株式会社 ラケツ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151B1 (ko) * 2017-11-29 2019-04-30 김성동 라켓용 거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539A (ko) 201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5147B1 (en) Swing training device
WO2005070068A3 (en) Extended-use ball striking training device
KR20100012845U (ko) 손목운동기구
US10881931B2 (en) Three section golf towel
JP2019513531A (ja) ポータブルゴルフマット
KR101214873B1 (ko) 헤드 교체형 라켓
CA2359153A1 (en) Stringless sports racquet
CA2994538A1 (en) Athletic equipment weight apparatus
US5702313A (en) Game racket with primary and secondary yokes
US8814731B2 (en) Flexible racquet handle
US9132322B1 (en) Tennis racket
US20090239689A1 (en) Lacrosse stick shaft having a plurality of cavities therein
US763059A (en) Tennis-racket.
US20060293127A1 (en) Racket and method of stringing the racket
KR101312191B1 (ko) 배드민턴용 셔틀콕
US20070270256A1 (en) Sports racquet
US20130274038A1 (en) Stringing device for sports racket
KR20130014793A (ko) 부분 교체가 가능한 배드민턴 라켓줄 고정구
TWM569238U (zh) Badminton racket
US20180028875A1 (en) Tennis Racket Side Frame Stings or Diamond Shape Frame, for More Ball Spins and for Reduce Errors.
CN205379622U (zh) 一种可伸长变短的双面网球拍
CN208990159U (zh) 一种便于拆装的羽毛球球拍
JP3239886U (ja) パドルやラケット等のハンドル用の交換可能なループを有する締結要素、およびこれを含むパドルやラケット等
CN202892823U (zh) 球拍
CN207980330U (zh) 一种高强度碳纤维羽毛球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