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580B1 -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580B1
KR101214580B1 KR1020120098088A KR20120098088A KR101214580B1 KR 101214580 B1 KR101214580 B1 KR 101214580B1 KR 1020120098088 A KR1020120098088 A KR 1020120098088A KR 20120098088 A KR20120098088 A KR 20120098088A KR 101214580 B1 KR101214580 B1 KR 101214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ground
socket
fire hydrant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영
Original Assignee
박은선
(주)도우기술협력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선, (주)도우기술협력회 filed Critical 박은선
Priority to KR1020120098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지면 상으로 노출되는 소화전의 길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도시의 미관을 좋게 하고, 지면 상으로 노출되는 소화전의 모양을 동물 형상으로 디자인하여 주민에게 친화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하부몸체가 제1 및 제2 연결관으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관은 제2 연결관 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연결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몸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관의 연결상태를 1차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고정구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관의 연결상태를 2차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고정소켓조립체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관 사이에 설치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1 패킹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Height Adjustment Apparatus of Fireplug}
본 발명은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 상으로 노출되는 소화전과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급수관 사이의 높이에 맞추어 길이를 조절하여 지면 상으로 노출되는 소화전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식 소화전은 지하에 매설된 급수관과 연결되어 지면(보도) 상으로 노출 설치된 것으로, 소화전과 인접한 주택, 건물 및 공장 등에서 화재가 발생할 때, 화재 진압용 물을 신속하게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상식 소화전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된 급수관(P)과 연결되는 소화전밸브몸체(1)와, 소화전밸브몸체(1)에 연결되고 지하에 매설되는 하부몸체(2)와, 하부몸체(2)에 연결되고 지상으로 노출되는 상부몸체(3)와, 상부몸체(3)에 연결된 캡(4)으로 분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상식 소화전은, 상기 하부몸체(2)와 상부몸체(3) 내부에 소화전밸브몸체(1) 내부의 밸브(도시 안됨)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개폐조절봉(5)이 설치되어 그 끝단이 캡(4)의 상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부몸체(3)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방수구(6)가 구비되어 평소에는 마개(7)로 밀폐되어 있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방수구(6)의 마개(7)를 제거하고 소방호스를 방수구(6)에 연결한 후, 캡(4)의 상부로 노출된 개폐조절봉(5)을 회전시켜 소화전밸브몸체(1) 내의 밸브를 개방하게 되면, 물을 급수관으로부터 하부몸체(2)와 상부몸체(3)로 유입시켜 방수구(6)를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지상식 소화전은, 도 1에 도시된 제1 지면(a) 위치와 같이 상부몸체(3)는 지면 상으로 노출되고, 하부몸체(2)는 지하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소화전을 시공하는 장소마다 지하에 매립된 급수관(P)으로부터 지면까지의 높이가 다르다. 따라서, 제2 지면(b)과 같이 급수관(P)으로부터 지면까지의 높이가 높게 되면, 그만큼 소화전의 상부몸체(3)의 일부가 지하에 매립되는 문제가 있고, 제3 지면(c)과 같이 지면이 낮게 되면, 소화전의 상부몸체(3)가 지면 상으로 너무 길게 노출되어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가 되는 등, 소화전의 노출 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없는 것에 의해 보기 싫게 노출되어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저해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소화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지면 상으로 노출되는 소화전의 길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도시의 미관을 좋게 하고, 지면 상으로 노출되는 소화전의 모양을 동물 형상으로 디자인하여 주민에게 친화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몸체, 복수개의 방수구가 구비된 상부몸체 및 캡으로 이루어지고 지면 상으로 상부몸체 및 캡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제1 및 제2 연결관으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관은 제2 연결관 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연결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몸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관의 연결상태를 1차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고정구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관의 연결상태를 2차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고정소켓조립체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관 사이에 설치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1 패킹을 구비한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구는, 제2 연결관에 나사맞춤하여 관통하고 그 끝단이 제1 연결관의 바깥둘레면에 접촉하는 고정나사와, 상기 고정나사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나사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된 회전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소켓조립체는, 상기 제2 연결관의 연결 끝단에 나사결합되고 제1 연결관의 바깥둘레면과 대향하는 내부 안둘레면에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경사지지면을 형성한 제1 고정소켓과, 상기 제1 고정소켓에 내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지지면에 대향하여 접촉하는 경사가압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연결관의 바깥둘레면에 접촉하는 톱니형상부를 형성하며 복수개로 분리형성되어 제1 연결관의 바깥둘레면에 배치된 밀착부재와, 상기 제1 고정소켓에 나사맞춤되고 나사맞춤에 의한 조임 동작에 의해 상기 밀착부재의 경사가압면을 상기 제1 고정소켓의 경사지지면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돌출부가 형성된 제2 고정소켓과, 상기 제1 연결관과 제2 고정소켓 사이에 구비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2 패킹과, 상기 제1 고정소켓과 제2 고정소켓 사이에 구비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3 패킹과, 상기 밀착부재,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4 패킹으로 구성된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고정소켓의 경사지지면에 연이어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밀착부재의 경사가압면에 연이어 형성된 후크형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후크형상부는 제1 및 제2 고정소켓의 나사맞춤에 의한 조임 동작에 의해 상기 걸림턱에 걸림 유지되도록 구성한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의하면, 소화전의 하부몸체를 제1 및 제2 연결관으로 분리형성하여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지하에 매립되어 있는 급수관과 지면 사이의 높이에 맞추어 하부몸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지면 상으로 노출되는 소화전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전이 항상 일정한 높이로 노출되어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는 일 없이 도시 미관을 깨끗하고 보기 좋게 유지할 수 있으며, 지면 상으로 노출된 소화전의 형상을 동물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에 의해 소화전을 하나의 거리 장식물로 이용함으로써 주민들에게 친화적인 거리환경을 꾸밀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지상식 소화전을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상식 소화전을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나타낸 하부몸체의 길이 조절 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에서 고정구와 고정소켓조립체에 의한 고정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에서 고정소켓조립체의 밀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소화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전(10)은, 지하에 매설된 급수관(P)과 연결되는 소화전밸브몸체(11)와, 소화전밸브몸체(11)에 연결되고 지하에 매설되는 하부몸체(12)와, 하부몸체(12)에 연결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는 상부몸체(13)와, 상부몸체(13)에 연결된 캡(1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소화전(10)은, 상기 하부몸체(12)와 상부몸체(13) 내부에 소화전밸브몸체(11) 내부의 밸브(도시 안됨)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개폐조절봉(15)이 설치되어 그 끝단이 캡(14)의 상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부몸체(13)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방수구(13a)가 구비되어 평소에는 마개(13b)로 밀폐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소화전(10)은, 하부몸체(12)의 길이를 조절하여 지면 상으로 노출되는 소화전(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장치(20)가 구비되어 있으며, 높낮이 조절장치(20)는 하부몸체(12)에 설치된다.
즉, 하부몸체(12)는 제1 및 제2 연결관(12A,12B)으로 분리형성된다. 제1 연결관(12A)은 제2 연결관(12B)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제2 연결관(12B)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연결관(12A)의 일부를 제2 연결관(12B) 내에 삽입하는 길이에 따라 하부몸체(12)의 길이(H)가 조절된다. 이때 제1 연결관(12A)의 바깥둘레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눈금(21)을 형성하여 길이 조절 작업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부몸체(12)에는 제1 및 제2 연결관(12A,12B)의 연결상태를 1차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고정구(22)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관(12A,12B)의 연결상태를 2차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고정소켓조립체(3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관(12A,12B) 사이에는 제1 패킹(23)이 설치되어 수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1 패킹(23)은 제1 연결관(12A)의 연결 끝단부 바깥둘레면에 형성한 홈에 끼워 장착함으로써 제1 연결관(12A)을 제2 연결관(12B) 내에 삽입할 때 이들 사이에서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연결관(12A,12B)의 연결상태를 1차적으로 유지하는 고정구(2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관(12B)에 나사맞춤하여 관통하고 그 끝단이 제1 연결관(12A)의 바깥둘레면에 접촉하는 고정나사(22a)와, 상기 고정나사(22a)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나사(22a)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된 회전손잡이(22b)로 구성된다. 고정구(22)는 적어도 180도 간격으로 2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0도 간격으로 3개 도는 90도 간격으로 4개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제1 및 제2 연결관(12A,12B)의 연결상태를 2차적으로 유지하는 고정소켓조립체(30)는, 제1 및 제2 연결관(12A,12B)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관(12B)의 연결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제1 고정소켓(31)과, 상기 제1 고정소켓(31)의 내부에 위치되어 제1 연결관(12A)의 바깥둘레면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밀착부재(32)와, 제1 고정소켓(31)에 나사맞춤되어 나사맞춤에 의한 조임 동작에 의해 밀착부재(32)가 제1 연결관(12A)과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제2 고정소켓(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고정소켓(31)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쪽이 제2 연결관(12B)의 연결 끝단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고, 다른 쪽은 제2 연결관(12B)의 연결 끝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고정소켓(31)의 돌출된 내부에는 제1 연결관(12A)의 바깥둘레면과 대향하는 안둘레면에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경사지지면(31a)과 걸림턱(3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고정소켓(31)의 내부에 설치되는 밀착부재(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분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2개 또는 3개로 분리형성하여도 좋다. 밀착부재(32)는 제1 고정소켓(31)의 경사지지면(31a)에 대향하여 접촉하는 경사가압면(32a)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 고정소켓(31)에 나사맞춤되는 제2 고정소켓(33)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나사맞춤에 의한 조임 동작에 의해 상기 밀착부재(32)의 경사가압면(32a)을 상기 제1 고정소켓(31)의 경사지지면(31a)쪽(도 5의 화살표 a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돌출부(33a)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1 고정소켓(31)과 제2 고정소켓(33)을 나사맞춤하여 조이는 동작에 의해 제2 고정소켓(33)의 가압돌출부(33a)가 밀착부재(32)를 가압하고, 밀착부재(32)의 경사가압면(32a)이 제1 고정소켓(31)의 경사지지면(31a)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밀착부재(32)가 제1 연결관(12A)의 바깥둘레면 쪽(도 5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연결관(12A)을 밀착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때, 밀착부재(32)의 안둘레면에는 톱니형상부(23b)를 형성하여 밀착부재(32)의 안둘레면이 제1 연결관(12A)의 바깥둘레면에 밀착할 때, 도 6에서와 같이 톱니형상부(32b)가 제1 연결관(12A)의 바깥둘레면 내부로 파고들어 고정력을 강화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고정소켓(33)의 바깥둘레면은 회전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요철부를 형성하거나 보울트의 머리와 같이 육각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고정소켓(31)에는 경사지지면(31a)에 연이어 형성된 걸림턱(31b)을 구비하고, 상기 밀착부재(32)에는 경사가압면(32a)에 연이어 형성된 후크형상부(32c)를 구비한다. 상기 후크형상부(32c)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고정소켓(31,33)의 나사맞춤에 의한 조임 동작에 의해 이동하여 걸림턱(31b)에 걸림 유지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때 후크형상부(32c)의 안둘레면은 경사지게 형성하여 제1 연결관(12A)과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후크형상부(32c)가 걸림턱(31b)에 밀착하여 이동할 때 제1 연결관(12A) 쪽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소켓조립체(30)에는, 제1 및 제2 연결관(12A,12B)의 연결부위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내지 제4 패킹(34,35,36)을 구비한다.
제2 패킹은 제1 연결관(12A)과 제2 고정소켓(33) 사이에 구비되고, 제1 고정소켓(31)과 제2 고정소켓(33)의 나사맞춤에 의한 조임 동작시 가압되어 제1 연결관(12A)과 제2 고정소켓(33) 사이를 밀폐하도록 되어 있다.
제3 패킹은 제1 고정소켓(31)과 제2 고정소켓(33) 사이에 구비되고, 제1 고정소켓(31)과 제2 고정소켓(33)의 나사맞춤 동작에 의한 조임 동작시 가압되어 제1 고정소켓(31)과 제2 고정소켓(33) 사이를 밀폐하도록 되어 있다.
제4 패킹은 밀착부재(32), 제1 연결관(12A) 및 제2 연결관(12B) 사이에 구비되고, 역시 제1 고정소켓(31)과 제2 고정소켓(33)의 나사맞춤에 의한 조임 동작시 후크형상부(32c)에 의해 가압되어 밀착부재(32), 제1 연결관(12A) 및 제2 연결관(12B) 사이를 밀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화전 시공장소마다 지하에 매립된 급수관(P)에서 지면까지의 높이는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지면(b)과 지면(c)와 같이 정상의 지면(a)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 하부몸체(12)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장치(20)를 이용하여 하부몸체(1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정상의 지면(a)과 같이 지면 상으로 노출되는 소화전(10)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부몸체(12)의 길이(H) 조절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성된 제1 연결관(12A)의 일부를 제2 연결관(12B) 내에 삽입하여 삽입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제1 연결관(12A)의 눈금(21)을 이용하여 더욱 정확하게 길이(H)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고정구(22)와 고정소켓조립체(30)는 제1 연결관(12A)을 제2 연결관(12B)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고정해제 상태에 있는 것으로,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22)의 고정나사(22a)는 제1 연결관(12A)의 바깥면을 가압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고, 고정소켓조립체(30)는 제2 고정소켓(33)의 가압돌출부(33a)가 밀착부재(32)를 가압하고 있지 않아 밀착부재(32)의 톱니형상부(32b)가 제1 연결관(12A)의 바깥둘레면을 가압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몸체(12)의 길이를 조절한 후, 고정구(22)의 회전손잡이(22b)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2 연결관(12B)에 나사맞춤된 고정나사(22a)가 제1 연결관(12A)쪽으로 이동하여 끝단이 제1 연결관(12A)의 바깥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제2 연결관(12B)에 대하여 제1 연결관(12A)을 고정할 수 있고, 이로써 제1 연결관(12A)과 제2 연결관(12B)의 길이조절 상태를 1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고정소켓조립체(30)의 제1 고정소켓(31)과 제2 고정소켓(33)을 나사맞춤하여 조이게 되면, 제2 고정소켓(33)의 가압돌출부(33a)가 밀착부재(32)를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밀착부재(32)의 경사가압면(32a)은 제1 고정소켓(31)의 경사지지면(31a)과 밀착하면서 고정측인 제1 고정소켓(31)의 경사지지면(31a)에 대하여 이동측인 밀착부재(32)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써 밀착부재(32)의 톱니형상부(32b)가 제1 연결관(12A)의 바깥둘레면을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제1 연결관(12A)과 제2 연결관(12B)의 길이조절 상태를 2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톱니형상부(32b)의 뾰족한 끝단이 제1 연결관(12A)의 표면을 파고들어 더욱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높낮이 조절장치(20)는 제1 연결관(12A)과 제2 연결관(12B)의 삽입 길이를 조절하여 하부몸체(12)의 길이를 조절한 후, 고정구(22)와 고정소켓조립체(30)를 이용하여 2중으로 고정함으로써 하부몸체(12)의 길이조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관(12A)과 제2 연결관(12B)의 연결부위는 제1 내지 제4 패킹에 의해 2중으로 누수가 방지된다. 제1 패킹(23)은 제1 연결관(12A)을 제2 연결관(12B)에 삽입할 때 이들 사이에 밀착되어 1차적으로 수밀을 유지하고, 제2 내지 제4 패킹은 고정소켓조립체(30)의 제1 고정소켓(31)과 제2 고정소켓(33)을 나사맞춤하여 조이는 과정에서 2차적으로 수밀을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화전(10)의 하부몸체(1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지면 상으로 노출되는 소화전(10)의 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하여 도시 미관을 좋게 하고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a) 상으로 노출되는 상부몸체(13)의 형상을 동물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소화전(10)을 주민에게 친화적인 거리 장식물로 이용하여 거리환경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소화전 12 : 하부몸체
12A,12B : 제1 및 제2 연결관 13 : 상부몸체
14 : 캡 20 : 높낮이 조절장치
22 : 고정구 23,34,35,36 : 패킹
30 : 고정소켓조립체 31,33 : 제1 및 제2 고정소켓
32 : 밀착부재

Claims (1)

  1. 하부몸체, 복수개의 방수구가 구비된 상부몸체 및 캡으로 이루어지고 지면 상으로 상부몸체 및 캡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제1 및 제2 연결관으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관은 제2 연결관 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연결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몸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관의 연결상태를 1차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고정구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관의 연결상태를 2차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고정소켓조립체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관 사이에 설치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1 패킹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2 연결관에 나사맞춤하여 관통하고 그 끝단이 제1 연결관의 바깥둘레면에 접촉하는 고정나사와, 상기 고정나사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나사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된 회전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소켓조립체는, 상기 제2 연결관의 연결 끝단에 나사결합되고 제1 연결관의 바깥둘레면과 대향하는 내부 안둘레면에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경사지지면을 형성한 제1 고정소켓과, 상기 제1 고정소켓에 내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지지면에 대향하여 접촉하는 경사가압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연결관의 바깥둘레면에 접촉하는 톱니형상부를 형성하며 복수개로 분리형성되어 제1 연결관의 바깥둘레면에 배치된 밀착부재와, 상기 제1 고정소켓에 나사맞춤되고 나사맞춤에 의한 조임 동작에 의해 상기 밀착부재의 경사가압면을 상기 제1 고정소켓의 경사지지면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돌출부가 형성된 제2 고정소켓과, 상기 제1 연결관과 제2 고정소켓 사이에 구비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2 패킹과, 상기 제1 고정소켓과 제2 고정소켓 사이에 구비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3 패킹과, 상기 밀착부재,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4 패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고정소켓의 경사지지면에 연이어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밀착부재의 경사가압면에 연이어 형성된 후크형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후크형상부는 제1 및 제2 고정소켓의 나사맞춤에 의한 조임 동작에 의해 상기 걸림턱에 걸림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120098088A 2012-09-05 2012-09-05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214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088A KR101214580B1 (ko) 2012-09-05 2012-09-05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088A KR101214580B1 (ko) 2012-09-05 2012-09-05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580B1 true KR101214580B1 (ko) 2012-12-24

Family

ID=4790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088A KR101214580B1 (ko) 2012-09-05 2012-09-05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297A (ko) * 2014-06-27 2016-01-06 장원 소화전 앵글밸브 슬리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297A (ko) * 2014-06-27 2016-01-06 장원 소화전 앵글밸브 슬리브
KR101583555B1 (ko) * 2014-06-27 2016-01-08 장원 소화전 앵글밸브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6239B2 (en) Slow close valve
US11788266B2 (en) Sink drain pipe with and without overflow ports
US9663934B2 (en) Floating nipple assemblies for wax free installation of new and existing toilets
KR101214580B1 (ko) 지상식 소화전의 높낮이 조절장치
US20130258681A1 (en) Waterproof outdoor lighting fixture
JP2009180258A (ja) 継手及びそれに装着される検査用プラグ
KR200390674Y1 (ko) 출구방향 가변형 새들붙이 분수전
KR20110002990A (ko) 중공관 형상의 패킹을 이용한 이음관
CN202790774U (zh) 一种入墙式水龙头出水嘴装置
KR20160001364U (ko) 배관 보호용 슬리브
CN205012416U (zh) 嵌入式淋浴喷头
KR101160091B1 (ko) 수전 연결구
KR101880402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용 일체형 소켓 조립체
KR101797894B1 (ko)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 조립체
KR101796386B1 (ko)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JP2007247170A (ja) 消火設備の配管接続装置
KR100629478B1 (ko) 접속관의 방향조절장치를 갖는 맨홀
KR200325927Y1 (ko)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US10081958B2 (en) Apparatus for repairing a pool fitting
KR200377942Y1 (ko)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101521746B1 (ko) 습기 유입 차단이 가능한 지중등
CN215568029U (zh) 一种新型直埋喷塑软密封闸阀
KR100831546B1 (ko) 역류방지 및 신축조절 기능을 가진 엘보우
KR200182942Y1 (ko) 배관 파이프용 플러그
JP6982848B2 (ja) 防水継手カバーと接続管に使用する防臭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