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493B1 - Folding toilet seat of attached to wall - Google Patents

Folding toilet seat of attached to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493B1
KR101214493B1 KR1020100032764A KR20100032764A KR101214493B1 KR 101214493 B1 KR101214493 B1 KR 101214493B1 KR 1020100032764 A KR1020100032764 A KR 1020100032764A KR 20100032764 A KR20100032764 A KR 20100032764A KR 101214493 B1 KR101214493 B1 KR 101214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main body
water
uni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7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3395A (en
Inventor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이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정 filed Critical 이현정
Priority to KR1020100032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493B1/en
Publication of KR20110113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3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4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2Swivel-mounted bowls, e.g. for use in restricted spaces slidably or movably mounted bowls; combinations with flushing and disinfecting devices actuated by the swiveling or sliding movemen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4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wall, e.g. to a wall outlet
    • E03D11/143Mounting frames for toilets and urinals
    • E03D11/146Mounting frames for toilets and urinals with incorporated cister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2Automatic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벽면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변기부와, 상기 변기부 상부를 커버하며,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시트부 및 상기 변기부 및 시트부가 접혀서 상기 본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부 및 상기 시트부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고, 건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세척부를 포함함으로써, 상시 변기의 청결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물 사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mounted foldable toilet seat, the main body portion is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the toilet unit is formed foldable o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seat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unit, the foldable seat and the toilet bowl By maintaining the cleanliness of the toilet at all times by including a washing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toilet unit and the sheet portion is fold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portion by spraying water to the toilet and the seat portion to wash and d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vention that can be used to maximize water utilization and save water.

Description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 {FOLDING TOILET SEAT OF ATTACHED TO WALL}Wall Mounted Folding Toilet Seat {FOLDING TOILET SEAT OF ATTACHED TO WALL}

본 발명은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에 부착 또는 매몰형으로 형성하되, 폴더형의 접이식 좌변기를 일체화하여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 하고, 접힘 상태인 폴딩 시 변기부가 세척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청결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mounted foldable toilet seat, and more specifically, it is formed on the wall attached or buried,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by integrating a folding foldable toilet seat, the toilet seat to be washed when folded in the folded state It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ensures that cleanliness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좌변기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가 시공된 욕실내의 바닥면에 외부 노출형의 배수관을 시공한 상태에서, 상기의 외부 노출형 배수관에 좌변기를 올리고, 다음으로 바닥면과 밀착된 좌변기의 주변을 실리콘 등으로 마무리 하는 방식으로 그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In the toilet, the externally exposed drainage pipe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bathroom in which the flooring such as tiles is installed, and the toilet is placed on the externally exposed drainage pipe. The construction is done in a finishing manner.

이와 같은 좌변기는 사용이 용이한 점은 있으나, 항상 사용자의 둔부(Hip)과 접촉이 되고 있어서, 청결성의 문제가 항상 중요시 되고 있다.Such a toilet seat is easy to use, but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hip of the user (Hip), the problem of cleanliness has always been important.

특히, 공중 화장실의 경우 수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으므로, 간접적인 신체 접촉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질병에 감염되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이물질이 묻어서 불결한 상태로 오염될 위험이 높다.
In particular, since public toilets are use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indirect physical contact can be made, thereby increasing the risk of infection or contamination of the user's body with dirty objects.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회용 시트커버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는 있으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일회용 시트 커버 또한 청결성이 의문시 되고 있으며, 사용이 불편하여 그 활용성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ethod of using a disposable seat cover has been proposed, but when the management is not properly performed, the disposable seat cover is also questioned for its cleanliness, and its use is inconvenient and its utility is inferior. .

아울러, 좌변식 변기가 설치되어있는 가정내의 화장실이나 공중화장실의 경우, 변기의 점유공간이 화장실 전체의 넓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어 화장실의 공간활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oilet or a public toilet in the home where the toilet is installed, the occupied space of the toilet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total size of the toilet,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toilet is not efficien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시 변기의 시트면이 자동 세척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공간활용성이 극대화 될 수 있는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eat in which the seat surface of the toilet seat can be automatically washed while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변기의 본체부가 벽면에 부착되거나 내장될 수 있도록 하되, 시트부 및 변기부가 필요에 따라서 폴더형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부가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세척 및 건조가 이루어져서 항상 철결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toilet bowl can be attached to or embedded in the wall surface, the sheet portion and the toilet bowl can be folded in a fold as necessary, so that the washing and drying in the folded state of the sheet is always ir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ll-mounted foldable toilet seat in which a state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는 벽면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변기부와, 상기 변기부 상부를 커버하며,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시트부 및 상기 변기부 및 시트부가 접혀서 상기 본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부 및 상기 시트부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고, 건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all-mounted foldabl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is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the toilet unit is formed foldable o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bowl, the seat portion and the toilet bowl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shing uni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seat portion is fold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portion by spraying water and washing the toilet and the seat portion.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변기부 및 시트부의 자동 접힘 또는 펼침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main body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ive motor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folding or unfolding of the toilet and the seat portion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drive motor.

또한, 상기 변기부 및 상기 시트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변기부는 용변 또는 물을 수용할 수 있고 배수관과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물받이 및 상기 물받이를 보호하고, 상기 변기부의 외관 형태를 이루는 외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물받이는 접힘 및 펼침시에 상기 배수관과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oilet bowl and the seat por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the toilet bowl may accommodate the toilet or water, and the drip tray and the outer cover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rain pipe and the outer cover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toilet bow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n this case, the drip tray is preferabl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drain pipe can be maintained during folding and unfolding.

또한, 상기 세척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물 분사 노즐과 온풍구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물 분사 및 건조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lean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injection nozzle and a hot air outle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control uni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to control the water injection and drying.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는 내측에 상기 변기부 및 상기 세척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저수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저수조는 물 저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수위 센서 및 물 공급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the main body portion further comprises a water storage tank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toilet and the washing unit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automatically performs a water level sensor and water supply to automatically perform water storag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ectronic valve to enable.

그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태를 표시하는 계기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좌변기는 상기 변기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비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ubsequently, the main body unit further includes an instrument pane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unit and displaying a state, and the left toilet unit further includes a bidet unit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ilet unit.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는,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시트부가 접혀서 본체부에 구비되는 세척부를 통하여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변기부 또한 같이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변기부의 청결성 및 공간활용성 또한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Wall-mounted foldabl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ilet seat is not in use so that the seat can be folded through the clean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is folded, the toilet seat can also be folded together, cleanliness and Space utilization also provides the effect of maximizing.

아울러, 좌변기를 벽면에 부착하거나 내장시킴으로써, 화장실 내의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attaching or embedding the toilet seat on the wall,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interior effect in the bathroom.

또한, 용변을 본 후에 물 내림 과정 없이 바로 변기부를 접어서 세척과 동시에 물 내림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좌변기 보다 물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 또한 기존 대비 20 ~ 40%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by watching the toilet and fold down the toilet immediately without water flushing process so that the water can be washed down at the same time, the water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than the conventional toilet, the amount of use also save 20 to 40% compared to the existing It can be effectiv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의 측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에 포함되는 저수조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정 단면도들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wall-mounted folding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the wall-mounted folding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front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embodiments of the water tank included in the wall-mounted fold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wall-mounted fold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 및 도면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detail below.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is intended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limited only by the terms of the appended claims.

특히, 본 발명에서 '벽면 부착형'으로 표현하는 부분은 상시 '벽면 내장형'의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설명한 것이다. 또한, '접이식'이라는 용어도 핸드폰 등에서 빈번하게 사용 중인 '폴더형'이라는 용어와 동일 시 함으로써, 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ion expressed as 'wall-mounted' will be described as a concept including the meaning of 'wall-mounted' at all times. In addition, the term 'foldable' was also identified with the term 'folder type', which is frequently used in mobile phones, and so 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들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wall-mounted folding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가 접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좌변기의 시트부(110) 및 변기부(140)가 펼쳐지면서, 일반적인 형태의 좌변기 모습을 나타냄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도들이다.First, Figure 1 is a wall-mounted folding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lded state, Figure 2 shows the seat portion 110 and the toilet seat 140 of the toilet seat unfolded,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mmon toilet seat. Schematic diagrams shown to illustrate.

도 1을 참조하면, 욕실의 벽멱(1000)에 부착된 형태의 좌변기 본체부(100)를 볼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0) 외관에는 변기부(100)의 동작 조절을 위한 스위치(180), 변기 사용시 수동 물 내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동 물 내림 버튼(185) 및 본체부(100)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태를 표시하는 계기판부(19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ure 1, it can be seen the toilet seat body portion 100 is attached to the wall 1000 of the bathroom. At this time,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100, the switch 18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oilet unit 100, the manual water lowering button 185 and the main body 100 provided to perform a manual water lowering function when using the toilet. An instrument panel 190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unit formed therein and to display a state.

여기서, 변기부의 커버(120)가 본체부(100)에 완전히 밀착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욕실 내의 인테리어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0) 및 커버(120)는 기존의 도자기형 좌변기에 국한되지 않고, 강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인테리어 도구로서의 활용효과를 더 극대화 시킬 수 있다.Here, the toilet seat cover 120 is provided in a form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0, it can be utilized as an interior tool in the bathroom. At this time,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120 is not limited to the existing porcelain-type toilet seat, and can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reinforced plastic or metal material, it can further maximize the utilization effect as an interior tool.

또한, 벽면에 완전히 밀착된 구조를 보임으로써, 공간활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showing a structure that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다음으로 도 2는 변기부(140) 및 시트부(110)가 펼쳐져서 사용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변기부(140) 및 시트부(110)의 접힘 및 펼침은 스위치(180)에 의해서 제어되고, 변기부(140)와 본체부(100) 사이에 연결되는 힌지 및 구동 모터 등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나, 이는 보편적 폴더형 장치의 구성을 따르므로 여기서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Next, FIG.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toilet unit 140 and the seat unit 110 are spread out and used. At this time, th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toilet bowl 140 and the seat 110 is controlled by the switch 180, and may be operated by a hinge and a driving motor connected between the toilet bowl 140 and the main body 100. However, since this follows the configuration of the universal foldable device, it will be omitted here.

아울러, 이때 변기부(140)가 사용자의 무게에 의해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강제로 하단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변기부 걸쇄(1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toilet seat 140 may not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by the weight of the user, the auxiliary toilet seat latch 150 to prevent the force unfolded to the lower end may be further formed.

그리고, 본체부(100)에는 시트부(110) 및 물받이(130) 부분의 세정을 수행할 수 있는 물 분사 노즐(160) 및 온풍구(170)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물 분사 노즐(160) 및 온풍구(170)는 서로 혼합 배열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물 분사 노즐(160)만 일렬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중심부에 온풍구(170)가 구상을 이루는 배열 등 다양한 형태의 배열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water injection nozzle 160 and a hot air outlet 170 capable of cleaning the sheet 110 and the drip tray 130. In this case, although the water injection nozzle 160 and the hot air outlet 170 is shown to be arranged to be mixed with each other, only the water injection nozzle 160 may be arranged in a line, if necessary, the hot air outlet 170 is envisioned in the center It can have a variety of forms, such as the array forming.

다음으로, 변기부(140)에는 커버(120) 내측에 용변이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물받이(130)와 배수구(135)가 구비된다. 이때, 배수구(135)는 배수관의 입구가 되며, 배수관은 본체 내에 일부 내장되고, 일부는 벽면(1000)에 내장된 형태를 갖게 된다. Next, the toilet bowl 140 is provided with a drip tray 130 and a drain hole 135 to accommodate a toilet or water inside the cover 120. At this time, the drain 135 is an inlet of the drain pipe, the drain pipe is partly embedded in the body, a part has a form embedded in the wall surface (1000).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배수구(135) 및 배수관 등의 구조는 기존의 변기 구조를 따르고 있으나,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drain port 135 and the drain pipe as described above follows the existing toilet structure,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의 측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the wall-mounted folding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변기가 펼쳐졌을 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좌변기가 접혀졌을 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단면은 상기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본체부(100)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경우 정확히 가운데 부분을 절단하였을 때 측면에서 보이는 부분이 된다. 아울러, 상기 도시된 사항 이외에 변기의 구조적으로 더 복잡한 부속들이 더 도시되어야 하나, 여기서는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사항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나머지 도시되지 않은 부품들은 일반적인 변기 구조를 따르는 것으로 한다.Figure 3 shows a cross section when the foldable toilet seat is unfold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cross section when the toilet seat is folded. Such a cross section becomes a part seen from the side when the center portion is cut exactly when the main body portion 100 shown in FIG. 1 or 2 is viewed from the front. In addition, structurally more complex parts of the toilet in addition to those shown above should be further shown, but only those necessary fo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hown here, the rest of the parts not shown are to follow the general toilet structure.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배수관(138)이 벽면(1000)과 본체부(100)에 걸쳐서 구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배수구(135)는 물받이(130)에 의해서 정의가 됨을 알 수 있다. 즉, 배수구(135)는 물받이(130) 하부의 곡면에 의해서 정의가 되므로, 물받이(130)의 하부 중심부는 'U'자형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drain pipe 138 described in FIG. 2 is provided over the wall surface 1000 and the main body 100. 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drain 135 is defined by the drip tray 130. That is, since the drain hole 135 is defined by the curved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drip tray 130, the lower center of the drip tray 130 is preferably formed of a 'U' curved surface.

아울러, 이와 연결되는 배수관(138) 부분은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 형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수관(138)의 배수구(135) 부분은 물받이(130)와 일체형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rtion of the drain pipe 138 connected thereto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 shape in order to prevent the backflow of the odor, and the drain hole 135 portion of the drain pipe 138 is formed to be integral with the drip tray 130. It is desirable to.

또한 여기서, 시트부(110)는 변기부(140)와 독립적인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커버(1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eat part 110 is illustrated as an independent structure from the toilet part 140, 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120.

다음으로, 본체부(100)의 중심부에는 시트부(110) 및 변기부(140) 세정을 위한 물 분사 및 건조 과정을 조절 할 수 있는 컨트롤부(200)가 형성된다.
Next, a control unit 20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00 to control the water injection and drying process for cleaning the seat 110 and the toilet 140.

그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변기부(140)가 접혀서 본체부(100)에 밀착되었을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 컨트롤부(200)에서 시트부(100) 및 변기부(140)에 대한 세정을 수행하게 된다.Next, referring to FIG. 4, it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toilet part 140 is folded and closely adhered to the main body part 100. In this case, the control part 200 of the seat part 100 and the toilet part 140 are illustrated. Cleaning will be performed.

이 과정에서 분사된 물은 모두 물받이(130)의 하부로 모아진 후에 배수구(13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물받이(130)는 굽힘 특성이 좋은 플렉서블한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물받이(130)가 플렉서블한 소재로만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와 같은 소재가 사용되더라도 배수구(135) 부분에서 굽힘 특성이 나타날 수 있도록 처리된 형태가 된다면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130)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All water sprayed in this process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135 after coll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rip tray (130). Therefore, the drip tray 130 is preferably formed using a flexible material having good bending characteristics. However, the drip tray 130 is not necessarily used as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even if a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is used, it may be able to perform a function as the drip tray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in a form that is treated to exhibit bending characteristics in the drain hole 13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는 벽면에 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시트부 및 변기부가 폴더형으로 접혀서 항상 청결 상태가 유지되고, 공간 활용성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left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the seat portion and the toilet bowl is folded in a fold for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n state is always maintained, space utilization can be maximized It is done.

아울러, 이러한 기본 특성 외에 부가적인 특성들이 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변기의 성능이 더 향상될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는 저수조를 들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additi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se basic characteristics can further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fold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presentative example is a water tank.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저수조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Therefore,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reservoir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에 포함되는 저수조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정 단면도들이다. 5 and 6 are front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embodiments of the water tank included in the wall-mounted fold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상기 도 1의 본체부(100)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경우 그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 3 에서의 컨트롤부(200) 위치에 대한 단면으로 볼 수 있다.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ain body 100 of FIG. 1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may be viewed as cross-sections of positions of the control unit 200 in FIG. 3.

여기서 먼저 도 5를 살펴보면, 컨트롤부(400)를 제외한 나머지 본체부(300) 영역에 모두 저수조(310)가 채워질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서는, 컨트롤부(400)의 좌,우 및 상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도시 되었으나, 항상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 referring first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reservoir 310 may be filled in all the areas of the main body 300 except for the control unit 400. Here, although shown in a form surrounding the left, right and top surfaces of the control unit 400, it is not always limited thereto.

그리고, 컨트롤부(400)와 저수조(310) 사이에는 세정에 사용할 물 공급을 위해서 복수개의 연결관(390)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390 are provided between the control unit 400 and the reservoir 310 to supply water for cleaning.

다음으로, 저수조(310)의 일측에는 물 공급 장치(325)가 구비되며, 물 공급 장치(325)의 상부에는 물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부표(338) 및 수위 조절 밸브(335)가 구비된다. 따라서, 항상 세정이나 용변 후 물 내림을 위한 물의 양이 조절 될 수 있다.Next, a water supply device 325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servoir 310, and a buoy 338 and a water level control valve 335 for adjusting the water level are provided at the top of the water supply device 325. Thus, the amount of water for flushing or flushing after stool can always be adjusted.

이와 같이 저수조(310)에 물이 차 있는 상태에서 수동 물 내림 버튼(385)을 누르면, 배수 유도 체인(345)에 의해서 배수 조절 밸브(350)가 열리면서 물 내림 유도관(360)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한다. When the manual water down button 385 is pressed in the state where the water in the reservoir 310 is filled in this way, the water inflow pipe 360 opens while the drain control valve 350 is opened by the drain induction chain 345. Be sure to

여기서, 물 내림 유도관(360)은 변기부(340)의 커버(320)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물 내림 분사구(370)를 포함하여, 물받이(330)의 전면에 걸처서 세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water down the induction pipe 360 may be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cover 320 of the toilet 340, including a plurality of water down the injection port 370, the front of the drip tray 330 Allow washing to take place.

상기와 같은 형태의 저수조 및 물 내림 구성은 수동 방식의 설비들로, 물 상용량 측면에서는 기존의 바닥 부착형 좌변기들과 크게 차이가 없다.Reservoir and flushing configuration of the above type is a manual type of equipment, in terms of water capacity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floor-mounted toilet seat.

그러나, 이 경우에도 수동 물 내림 버튼(385)을 사용하지 않고 바로 변기부(340)를 접어서 세정과 동시에 물 내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면 기존 대비 20 ~ 40%의 물을 절약 할 수 있었다.However, even in this case, if you fold the toilet 340 immediately without using the manual water down button (385) to be flushed with water at the same time was able to save 20 to 40% of wate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아울러,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변기부 세정을 위한 컨트롤부와 같은 전자식 시스템을 사용하므로, 저수조에도 하기 도 6과 같은 전자식 시스템을 도입하여 물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uses an electronic system such as a control unit for cleaning the toilet, the water system can be reduced by introducing an electronic system as shown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본체부(500)의 중심부에 컨트롤부(600)가 위치하고, 컨트롤부(600)의 하부에 접힘이 가능한 변기부(54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컨트롤부(600)의 좌,우 및 상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저수조(510)가 형성되며, 저수조(510) 및 컨트롤부(600) 사이에는 연결관(590)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unit 60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unit 500, and a toilet unit 540 that can be fol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rol unit 600 is formed. Here, the reservoir 510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left, right, and top surfaces of the control unit 600, and a connection pipe 590 is formed between the reservoir 510 and the control unit 600.

다음으로, 수동 물 내림 버튼(585)을 기준으로 타 측 상부에 수위 조절 센서(535)가 형성되고, 저수조의 바닥 부분에는 물 공급 장치(525) 및 배수 조절 밸브(550)가 각각 형성된다.Next, the water level control sensor 535 is formed on the other side based on the manual water lowering button 585, and the water supply device 525 and the drain control valve 550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servoir.

그 다음으로, 물 내림 유도관(560) 및 물 내림 분사구(570)는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기부(540)의 커버(520)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물받이(530)의 세정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 5, the water lowering induction pipe 560 and the water lowering injection hole 57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cover 520 of the toilet bowl 540, and the drip tray 530. ) Is preferably provided in a form that can be well cleaned.

여기서, 수위 조절 센서(535)는 전자식으로 물 공급 장치(525)를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수동 물 내림 버튼(585)은 배수 조절 밸브(550)와 전자식으로 연결된다. 이때, 컨트롤부(600)에서 물 배출량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계기판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물 내림 양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에 따라서 컨트롤부(600)가 물 내림 양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사용예들이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에 적용될 수 있다.
Here, the water level control sensor 535 is connected to control the water supply device 525 electronically, the manual water down button 585 is electron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control valve 550.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ater discharge from the control unit 600, to allow the user to input the amount of water down through the instrument panel shown in Figure 1, according to the control unit 600 the water down Various ways of use may be applied to the left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to adjust the amount.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부와 연결되는 비데용 분사 노즐을 변기부에 설치한 다면, 기존의 바닥 부착형 좌변기에서는 별도의 설비로 장착하던 비데 장치를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부품의 추가만으로 비데 기능의 설치가 가능해 진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f the bidet injection nozzl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toilet bowl, in the present invention, a bidet device that was installed as a separate equipment in the existing floor-mounted toilet seat of the simple parts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bidet function simply by adding.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전자식 설비에 따라서 시트부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음성 안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부가 기능들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lectronic equipment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eat unit or performing a voice guidance function may be variously applied.

또한, 상기 도 1 또는 도 2에 설명되는 변기부 구동 스위치(180)에 변기부의 접힘 및 펼침 기능 이외에 변기부의 높이 조절 기능을 더 부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변기부의 접힘 및 펼침 기능을 수행하는 구동 모터 부에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어장치나 피스톤 장치를 추가 한다면, 변기부의 높이 조절 기능 또한 용이하게 구현 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folding and unfolding function of the toilet part, the height adjusting function of the toilet part may be further added to the toilet part driving switch 180 described in FIG. 1 or FIG. 2, and in this case, the driving to perform the folding and unfolding function of the toilet part. If a gear device or a piston device is added to the motor to enable vertical movement, the height adjustment function of the toilet part may also be easily implement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는 기존의 좌변기에 비하여 상시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성 또한 극대화 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wall-mounted folding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ways maintain the cleanlines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oilet seat, it can als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이와 같은 기본 기능 이외에 기존 대비 20 ~ 40%의 물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비데 설비, 높이 조절 설비 등 다양한 부가 시설을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음으로써, 좌변기의 활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such basic functions, wat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20-40% compared to the existing functions, and various additional facilities such as bidet facilities and height adjustment facilities can be easily applied, thereby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the toilet seat.

또한, 벽면에 일체화된 형태의 시설을 제공함으로써, 뛰어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인테리어 도구로서의 응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facility integrated in the wall surf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cellent interior effect, and can be applied as a variety of interior tool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300, 500 : 본체부 110 : 시트부
120, 320, 520 : 커버 130, 330, 530 : 물받이
135 : 배수구 138 : 배수관
140, 340, 540 : 변기부 150 : 변기부 걸쇄
160 : 물 분사 노즐 170 : 온풍구
180 : 변기부 구동 스위치 185, 385, 585 : 수동 물 내림 버튼
190 : 계기판부 200, 400, 600 : 컨트롤부
310, 510 : 저수조 325, 525 : 물 공급 장치
335 : 수위 조절 밸브 338 : 부표
345 : 배수 유도 체인 350, 550 : 배수 조절 밸브
360, 560 : 물내림 유도관 370, 570 : 물 내림 분사구
380, 580 : 물 390, 590 : 저수조 및 컨트롤부 연결관
535 : 수위 조절 센서 1000 : 벽면
100, 300, 500: main body 110: seat
120, 320, 520: Cover 130, 330, 530: Drip tray
135: drain port 138: drain pipe
140, 340, 540: toilet bowl 150: toilet bowl latch
160: water injection nozzle 170: hot air balloon
180: toilet part drive switch 185, 385, 585: manual water down button
190: instrument panel 200, 400, 600: control
310, 510: reservoir 325, 525: water supply device
335: level control valve 338: buoy
345: drainage induction chain 350, 550: drainage control valve
360, 560: water flush guide pipe 370, 570: water flush nozzle
380, 580: water 390, 590: reservoir and control part connector
535: level control sensor 1000: wall

Claims (10)

벽면에 부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변기부;
상기 변기부 상부를 커버하며,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시트부; 및
상기 변기부 및 시트부가 접혀서 상기 본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부 및 상기 시트부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고, 건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기부는 상기 본체부에 밀착하기 위한 보조 변기부 걸쇄가 더 형성되며,
상기 변기부는 용변 또는 물을 수용할 수 있고 배수관과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물받이 및 상기 물받이를 보호하고,
상기 변기부의 외관 형태를 이루는 외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는 접힘 및 펼침시에 상기 배수관과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물 분사 노즐과 온풍구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물 분사 및 건조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변기부 및 시트부의 자동 접힘 또는 펼침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기부 및 상기 시트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내측에 상기 변기부 및 상기 세척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저수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수조는 물 저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수위 센서 및 물 공급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태를 표시하는 계기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기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비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
Body portion attached to the wall;
A toilet part formed to be fold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part;
A seat part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part and formed to be foldable; And
And a washing uni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unit so that the toilet unit and the sheet unit can be fol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unit by spraying water on the toilet unit and the sheet unit to wash and dry.
The toilet bowl further has an auxiliary toilet bowl latch for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The toilet unit may receive a stool or water and protects the drip tray and the drip tray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rain pipe,
It includes an outer cover to form the toilet bowl appearance, the drip tray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drain pipe can be maintained when folded and unfolded,
The washing unit includes a water spray nozzle and a hot air outle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control water spraying and drying.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drive motor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folding or unfolding of the toilet and the seat portion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drive motor,
The toilet part and the seat part are formed integrally,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water tank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toilet and the washing unit inward,
The reservoir further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water storage and an electronic valve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a water supply,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n instrument pane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unit and displaying a state,
Wall mounted foldable toilet seat further comprises a bidet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ile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32764A 2010-04-09 2010-04-09 Folding toilet seat of attached to wall KR1012144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764A KR101214493B1 (en) 2010-04-09 2010-04-09 Folding toilet seat of attached to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764A KR101214493B1 (en) 2010-04-09 2010-04-09 Folding toilet seat of attached to w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395A KR20110113395A (en) 2011-10-17
KR101214493B1 true KR101214493B1 (en) 2013-01-09

Family

ID=4502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764A KR101214493B1 (en) 2010-04-09 2010-04-09 Folding toilet seat of attached to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4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4681B (en) * 2015-12-14 2020-04-10 陆可 Foldable toilet capable of sterilizing
CN109171540A (en) * 2018-11-21 2019-01-11 衢州市江氏电子科技有限公司 The support device that goes to the toilet adjusted with tempera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4930A (en) * 1989-04-14 1990-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tractable toilet bowl unit
KR19980701982A (en) * 1995-12-07 1998-06-25 스테판 헤렌쉬미트, 이보 기스레르 Flush toilet with rotating bowl
KR20040008810A (en) * 2002-07-19 2004-01-31 최승국 Structure of space-extensible folding toilet stool
KR100925487B1 (en) * 2007-10-19 2009-11-09 박흥복 Device for recycling a domestic sew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4930A (en) * 1989-04-14 1990-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tractable toilet bowl unit
KR19980701982A (en) * 1995-12-07 1998-06-25 스테판 헤렌쉬미트, 이보 기스레르 Flush toilet with rotating bowl
KR20040008810A (en) * 2002-07-19 2004-01-31 최승국 Structure of space-extensible folding toilet stool
KR100925487B1 (en) * 2007-10-19 2009-11-09 박흥복 Device for recycling a domestic sew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395A (en)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7452B1 (en) Drainage channel
CN103958793B (en) A kind of sanitary equipment
WO2007043872A1 (en) Sanitary device
KR101214493B1 (en) Folding toilet seat of attached to wall
JP4131440B2 (en) Fluid cleaning urinal
CN206486952U (en) A kind of closestool of convenient use
CN102912828A (en) Integrated sanitary ware
JP2007111521A (en) Sink unit for ostomate
CN106522324A (en) Closestool convenient to use
JP2019088393A (en) Shower room unit
CN202466694U (en) Integrated whole sanitary appliance
CN209172145U (en) Embedded bathroom combination sideboard
CN206448313U (en) A kind of hand washing device easy to use
CN206155345U (en) Car as a house and excrement collecting system thereof
RU80863U1 (en) WC WITH TURNING CUP
CN104314156A (en) Pedestal pan capable of facilitating excretion
KR20120041492A (en) Composited sonitary unit for toilet
KR101666675B1 (en) Bathroom have multipurpose scouring kier
CN206554190U (en) A kind of crouching civilian dress of convenient use is put
CN207568242U (en) A kind of folding multifunctional sanitary equipment
CN210104898U (en) Combined mini toilet of lavatory basin and toilet
CN208917957U (en) Intelligent closestool
JP2005029952A (en) Cleaning equipment of drain pipe and cleaning machine used for this equipment
CN106703149A (en) High-pressure flushing equipment of squatting pan
CN202767201U (en) Integrated whole sanitary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