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095B1 - Nozzle module of sand blasting apparatus without stencil - Google Patents

Nozzle module of sand blasting apparatus without stenc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095B1
KR101214095B1 KR1020100067827A KR20100067827A KR101214095B1 KR 101214095 B1 KR101214095 B1 KR 101214095B1 KR 1020100067827 A KR1020100067827 A KR 1020100067827A KR 20100067827 A KR20100067827 A KR 20100067827A KR 101214095 B1 KR101214095 B1 KR 101214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nozzle
abrasive
stencil
injec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7201A (en
Inventor
이영남
Original Assignee
이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남 filed Critical 이영남
Priority to KR102010006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095B1/en
Publication of KR20120007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0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B24C5/04Nozzl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스텐실 대용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노즐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연마재 공급관의 끝단에 장착되는 분사노즐 모듈에 있어서, 통 모양의 분사노즐 하우징과,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분사노즐 홀더에 의해 상기 연마재 공급관의 끝단의 내부에 연결되는 연마재 분사노즐; 및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수직의 가공선이 맞닿는 중앙에 분사홀을 가지며, 가공재료에 밀착하는 가공재료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사노즐 모듈은 스테실이 없이 연마재 가공 공정을 할 수 있으므로, 가공 시마다 매번 스텐실을 도입해야 하는 비용상, 공정상, 인력수급상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et nozzle module of a stencil substitute sandblasting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jection nozzle module mounted at an end of an abrasive supply pipe of a sand blasting apparatus, the cylindrical nozzle nozzle being located in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and being disposed in the end of the abrasive supply pipe by an injection nozzle holder. Abrasive abrasive nozzles connected; And a processing material contact portion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and having a spray hole at the center where the vertical processing line abuts from the injection nozzl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cessing material.
Since the injection nozzl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ed to an abrasive processing process without stesyl, it completely solves the problem of cost, process and manpower supply and demand that a stencil should be introduced every time.

Description

스텐실 대용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 노즐 모듈{NOZZLE MODULE OF SAND BLASTING APPARATUS WITHOUT STENCIL}Spray nozzle module of stencil substitute sandblasting device {NOZZLE MODULE OF SAND BLASTING APPARATUS WITHOUT STENCIL}

본 발명은 샌드블래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샌드블래스팅 장치에 관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dblas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ndblasting apparatus controlled by a computer.

문자나 패턴 등을 대상 물체에 가공, 조각하기 위한 종래의 샌드블래스팅(Sand Blasting) 장치는 부가적인 스텐실 작업을 필수 전제로 하고 있었다. 스텐실 작업 방법으로는 주로 커팅용 플로터를 이용하여 고무판이나 점착 시트 등을 커팅하는 스텐실 커팅방법과, 감광성 유제(Emulsion)나 포토레지스트 필름 등을 이용한 스텐실 방법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이러한 스텐실 작업은 샌드블래스팅 공법의 총 가공/조각 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시간소모를 피할 수 없었고, 소모품 사용에 의한 경제적 부담을 가중하여 왔다. Conventional sand blasting apparatuses for processing and engraving letters, patterns, etc. on an object have required additional stencil work. As a stencil working method, a stencil cutting method for cutting a rubber plate or an adhesive sheet using a cutting plotter, and a stencil method using a photosensitive emulsion or a photoresist film have been generally used. In addition, this stencil operation takes up most of the total machining / sculpting time of the sandblasting method, which is inevitable, and has increased the economic burden of using consumables.

즉, 종래의 샌드블래스팅 기술에서는 스텐실 재료의 도입비용과 스텐실 처리장비, 예컨대 커팅용 플로터를 마련하거나, 포토레지스트의 노광, 현상, 건조 등의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시설을 마련하는 등의 부가 비용이 소요되었다. 또한, 샌드블래스팅 가공/조각에서 스텐실 작업시간이 전 공정 중에서 대부분의 작업시간을 차지하였기 때문에, 이로 말미암아 샌드블래스팅 작업단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었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sand blasting technology, the cost of introducing a stencil material and the provision of a stencil processing equipment such as a cutting plotter or a process facility for performing a series of processing such as exposure, development, and drying of a photoresist are provided. Additional costs were required. In addition, since the stencil working time in the sandblasting processing / engraving took most of the working time of the entire process, the sandblasting operation cost was forced to increase.

뿐만 아니라, 샌드블래스팅 가공/조각의 품질에 있어서도, 현재의 샌드블래스팅 기술에 있어서는, 스텐실 작업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또한 숙련된 인력이 공정에 배치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인력 수급 문제가 언제나 이 분야의 골칫거리였다.In addition, in the quality of sandblasting / engraving, in the current sandblasting technique, the supply and demand problem is always due to sufficient training on stencil operations and skilled personnel to be placed in the process. It was a headache in the field.

본 발명의 발명가들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극복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 노력한 결과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mpleted the invention as a result of long research efforts to fundamentally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과제는 스텐실이 필요 없는 샌드블래스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basic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ndblasting apparatus that does not require a stencil.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설정한 까닭은, 매번 스텐실을 도입해야 하고 스탠실 작업 공정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종래기술의 비용상의 문제점과 공정상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for sett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to completely solve the cost and process problems of the prior art, which should introduce a stencil every time and install a stencil work process facil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가공/조각작업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스텐실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없앰과 동시에, 기존 스텐실 작업에서 요구되는 각 공정에 투입되어 왔던 인력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machining / engraving of the sandblasting apparatus. In order to improve productivity, it eliminates the time required for stencil work and at the same time, drastically reduces the manpower that has been put into each process required in the existing stencil work.

즉, 스텐실이 필요없는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제공을 통하여, 스텐실 비용의 절감, 스텐실 공정장비의 절감, 스텐실 작업시간의 절감 및 스텐실 작업인력 절감 등의 결과로 샌드블래시팅 가공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rough the provision of sandblasting devices that do not require stencils, the productivity of sandblasting processing is greatly improved as a result of reducing stencil costs, stencil processing equipment, stencil working time, and stencil workforce. Done.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other unspecified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considered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asily deduced from the effects thereof.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연마재 공급관의 끝단에 장착되는 분사노즐 모듈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jection nozzle module mounted to the end of the abrasive supply pipe of the sandblasting apparatus,

통 모양의 분사노즐 하우징;Cylindrical nozzle nozzle housing;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분사노즐 홀더에 의해 상기 연마재 공급관의 끝단의 내부에 연결되는 연마재 분사노즐; 및An abrasive injection nozzle located in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and connected to an inside of an end of the abrasive supply pipe by an injection nozzle holder; And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수직의 가공선이 맞닿는 중앙에 분사홀을 가지며, 가공재료에 밀착하는 가공재료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 대용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노즐 모듈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rocessing material contact portion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pray nozzle housing and having a spray hole in the center where the vertical processing line abuts from the spray nozzl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cessing material. It features a nozzle module.

본 발명의 스텐실 대용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노즐 모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의 하부에 복수의 통공부가 형성되어, 이 통공부를 통해 가공 시 발생하는 연마재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In one embodiment of the spray nozzle module of the stencil substitute sandbla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pray nozzle housing, so that the abrasive generated during proce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is discharged. good.

또한, 본 발명의 스텐실 대용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노즐 모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의 하단부가 요철(凹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볼록(凸) 부분에서 상기 가공재료접촉부와 결합하며, 오목(凹) 부분을 통해 가공 시 발생하는 연마재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injection nozzle module of the stencil substitute sandbla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is formed in an uneven shape, it is combined with the processing material contact portion in the convex portion. And, it is good to allow the abrasive generated during processing through the recessed portion is discharged.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스텐실 대용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노즐 모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가공 시 발생하는 연마재에 의해 상기 가공재료에 흠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연마재를 분산시키는 복수의 에어분사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jet nozzle module of the stencil substitute sandbla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articles which disperse the abrasive so as not to cause scratches or damage to the processed material by the abrasive generated during processing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ir injection port.

또한, 본 발명의 스텐실 대용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노즐 모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의 내주면의, 상기 분사노즐의 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안쪽으로 돌출한 스프링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지지대 위에 장착되는 지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jet nozzle module of the stencil substitute sandbla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ring support protruding inward at a position higher than an end of the jet nozzl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jet nozzle housing is forme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upport spring mounted on the spring support.

또한, 본 발명의 스텐실 대용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노즐 모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공재료접촉부는 상기 분사홀을 갖는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내면부재와,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의 끝단에 체결되며 상기 내면부재의 바깥 둘레에 위치하는 외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면부재를 상기 외면부재와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spray nozzle module of the stencil substitute sandbla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piece contact portion is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member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having the injection hole and the end of the spray nozzle housing It is made of an outer surface member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surface member,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separate the inner surface member from the outer surface member.

또한, 상기 내면부재는 분사홀이 상이한 2종 이상으로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membe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two or more different injection holes to be selectively available.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스텐실이 필요 없이 연속 가공이 가능한 샌드블래스팅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서 매번 스텐실을 도입해야 하고 스탠실 작업 공정시설을 설치하여야 했으며, 이 때문에 발생하는 비용상 공정상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는 뛰어난 효과를 거둘 수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sandblas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 processing without the need for a stencil. This required the introduction of a stencil each time and the establishment of a stencil work process facility, which is an effective solution to completely solve the costly process problems that arise.

또한, 종래의 스텐실 작업에 요구되는 각 공정에 투입되는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인력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In addition, it brings the effect of reducing the work time and manpower to be put into each process required for the conventional stencil operation.

또한, 에어분사구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로 가공재료 표면의 연마재나 분진을 제거하여 분사노즐 모듈이 재료표면 위를 이동할 때 생길 수 있는 재료표면의 흠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타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장점을 발휘한다.In addition, by removing the abrasive or dust on the surface of the processing material with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injection port, it is possible to prevent scratches or damage to the material surface that may occur when the injection nozzle module moves on the material surface. It also has several advantages.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Even if effects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porated, the provisional effects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노즐 모듈(100)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노즐 모듈(10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노즐 모듈(1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재료접촉부(16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가공재료접촉부(160)의 평면도이다(단, 내면부재와 외면부재의 구별은 나타내지 않았다).
도 6은 분사노즐 하우징(140)의 일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분사노즐 모듈 110: 연마재 공급관
115: 연마재 분사노즐 119: 분사노즐 홀더 고정부
120: 분사노즐 홀더 125: 홀더스프링
130: 분사노즐 고정부 140: 분사노즐 하우징
145: 스프링 지지대 149: 하우징 체결구
150: 연마재 배출구 160: 가공재료접촉부
161: 가공재료 접촉부 외면부재 163: 가공재료접촉부 내면부재
161A: 단턱부 163B: 절결부
163: 가공재료 접촉부 개구부 165: 분사홀
170: 에어분사구 200: 가공재료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jection nozzle module 100 of the sand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jection nozzle module 100 of the sand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jection nozzle module 100 of the sand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workpiece material contact portion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workpiece material contact portion 160 of FIG. 4 (however,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member and the outer surface member is not shown).
6 is a plan view of an example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6. Fig.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injection nozzle module 110: abrasive supply pipe
115: abrasive jet nozzle 119: jet nozzle holder fixing portion
120: injection nozzle holder 125: holder spring
130: injection nozzle fixing portion 140: injection nozzle housing
145: spring support 149: housing fastener
150: abrasive discharge port 160: processing material contact portion
161: processing material contact portion outer surface member 163: processing material contact portion inner surface member
161A: step 163B: cutout
163: processing material contact opening 165: injection hole
170: air injection port 200: processing material
*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예컨대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기능, 일반적인 구성 등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스텐실을 사용하지 않기 위하여 스텐실 대용의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 노즐 부분에 그 기술사상의 요체가 있기 때문에, 적어도 본 발명의 관점에서는 이와 관련되지 않은 연마재 공급관(110)의 분사 노즐 반대쪽에 위치하는 다른 부분들 예컨대 집진장치, 연마재 공급장치, 이송장치, 컴퓨팅 장치, 모터 등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용기술의 적용, 변형된 기술의 적용, 새로운 개선 기술의 적용 등 적의적절하게 선택 적용할 수 있을 뿐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as it is obvious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such as a known function related to the function, for example, the function of a sandblasting apparat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an element of the technical idea in the injection nozzle portion of the sand blasting apparatus substituted for the stencil in order not to use the stencil, at least in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posite side to the injection nozzle of the abrasive supply pipe 110 is not relevant. Other parts located at, for example, dust collector, abrasive feeder, transfer device, computing device, motor, etc., can onl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applied, such as application of various conventional technologies, application of modified technology, application of new improvement technology, etc. Therefore, it is not considered important in this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스텐실 대용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노즐 모듈(100)의 개략적이고 개념적인 단면구성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편의상 각 부분이 서로 맞닿아 연결되는 위치에 있어서의 정밀한 묘사는 생략하였다. 분사노즐 모듈(100)의 분사노즐 하우징(140)은 기하학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Figure 1 shows an embodiment of a schematic conceptual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injection nozzle module 100 of the stencil substitute sandbla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precise descrip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par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omitted.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of the injection nozzle module 100 may have a geometric shape, and preferably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분사노즐 모듈(100)의 내부에는 연마재 분사노즐(115)이 위치하고, 이 분사노즐(115)은 연마재 공급관(110)을 통해 연마재 공급장치(미도시)에 연결된다. 분사노즐 모듈(100)의 가공재료쪽 단부는 가공재료와 밀착하여 접촉하며 이동하게 되는 가공재료접촉부(160)가 분사노즐 하우징(14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An abrasive spray nozzle 115 is positioned inside the spray nozzle module 100, and the spray nozzle 115 is connected to an abrasive feed device (not shown) through an abrasive feed pipe 110. The processing material side end of the injection nozzle module 100 is in contact with the processing material and the material contact portion 160 which is moved in contact with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연마재 공급관(110)의 끝단에 연마재 분사노즐(115)이 연결된다. 연마재 분사노즐(115)은 분사노즐 모듈(100) 내부에서 분사노즐 홀더(120)에 의해 지지되며, 이 분사노즐 홀더(120)가 연마재 공급관(110)의 끝단 내부를 통해 밀착하여 들어가며, 분사노즐 홀더(120)가 연마재 공급관(110)에서 빠져 나오지 않도록 연마재 공급관(110)의 끝단 부근에서 공급관 체결구(130)가 연마재 공급관(110)의 외주면 상으로 압박하여 부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분사노즐 홀더(120)와 상기 연마재 공급관(110)의 끝단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 연결은 장착과 분리가 가능한 착탈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n abrasive spray nozzle 115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abrasive supply pipe 110 of the sandblasting apparatus. The abrasive injection nozzle 115 is supported by the injection nozzle holder 120 in the injection nozzle module 100, and the injection nozzle holder 1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end of the abrasive supply pipe 110. In order to prevent the holder 120 from exiting the abrasive supply pipe 110, the supply pipe fastener 130 is pressed o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rasive supply pipe 110 and attached to the vicinity of the end of the abrasive supply pipe 110. The injection nozzle holder 120 and the end of the abrasive supply pipe 11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In a preferred embodiment this connection can be made removable and detachable.

바람직하게는 연마재 분사노즐(115)는 미세한 연마재 식각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또는 Z축 제어를 통해 입체 식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충분히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분사노즐 홀더(120)의, 연마재 공급관(110) 끝단 근방 부근에서, 분사노즐 홀더 고정부(119)가 상기 분사노즐 홀더(120)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분사노즐 홀더 고정부(119)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마재 식각 테이블(미도시)의 소정의 이송장치에 연결됨으로써 분사노즐 모듈(100)을 소망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사노즐 홀더 고정부(119)에 장착되는 이송장치가 Z축으로 분사노즐 모듈(100)을 이동시킴으로써 가공재료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공재료의 입체적 식각이 가능해진다. Preferably, the abrasive spray nozzle 115 is preferably fixed enough to perform a fine abrasive etching operation, or to perform a three-dimensional etching operation through the Z-axis control. To this end, in the vicinity of the end of the abrasive supply pipe 110 of the injection nozzle holder 120, the injection nozzle holder fixing part 119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jection nozzle holder 120 in close contact. The spray nozzle holder fixing part 119 may be made of plastic or metal alloy, and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conveying device of an abrasive etching table (not shown) so that the spray nozzle module 100 may be conveyed in a desired direction. do. More preferably, the conveying apparatus mounted on the spray nozzle holder fixing part 119 can adjust the distance to the processing material by moving the spray nozzle module 100 on the Z axis. This enables three-dimensional etching of processed materials.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공급관 체결구(130)과 상기 분사노즐 홀더 고정부(119)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분사노즐 모듈(100)이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upply pipe fastener 130 and the injection nozzle holder fixing part 119 may be integrally formed. An embodiment thereof is the injection nozzle module 100 shown in FIG. 3.

이제 분사노즐 하우징(140)을 살펴보자. 분사노즐 하우징(140)은 상기 분사노즐 홀더(120)의 아래쪽 단부의 소정 위치에서 다수의 하우징 체결구(149)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체결구(149)는 4방향에서 체결되는 4개의 조임볼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149)를 이용하여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140)을 분사노즐 홀더(120)에 체결함에 있어서, 체결하는 상기 소정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공재료(200)과 분사노즐(115)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Now look at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may be coupled by a plurality of housing fasteners 149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nozzle holder 120. Preferably this fastener 149 may be four tightening bolts fastened in four directions. In addition, when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is fastened to the injection nozzle holder 120 using the fastener 149, the predetermined position to be fastened may be selectively displaced, and thus, the processing material 2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jection nozzle 115 may be adjusted.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분사노즐 홀더(120)의 아래쪽 단부의 소정 위치의 외주면과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140)의 내주면이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져 나사결합하여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상기 체결구(149)를 부가할 수도 있다.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nozzle holder 12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may be screwed to each other made of a threa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t is also possible to add the fastener 149 to this embodiment.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140)의 기하학적 형태는 원통형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사노즐 홀더(120)의 기하학적 형태에 대응된다.The geometry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is preferably cylindrical, and corresponds to the geometry of the injection nozzle holder 120.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지지 스프링(125)를 내장할 수 있다. 이 지 스프링(140)이 분사노즐 하우징(140) 안에서 밑으로 떨어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 하우징(140)의 내주면에 분사노즐의 아래쪽 끝단보다 높은 위치에, 단턱 형상으로 안쪽으로 돌출한 스프링 지지대(145)가 내주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스프링 지지대(15) 위에,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 스프링(125)을 장착함으로써, 이 지지 스프링(125)의 탄성력에 의하여 분사노즐 하우징(140)이 가공재료(200) 방향으로 약간 밀어내는 탄성을 갖게 하고, 이를 통해 분사노즐 하우징(140)의 단부에 위치하는 가공재료접촉부(160)가 가공재료(200)에 더 원활히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공재료(200)의 세팅이 수평에서 약간 벗어나거나 완만한 곡면일지라도 분사노즐 하우징(140)이 가공재료(200)에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A support spring 125 may be built in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0. A spring protruding inwardly in a stepped shap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nozzl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so that the easy spring 140 can be fixed without falling down in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Support 145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mounting the support spring 125 on the spring support 15 as illustrated in FIG. 1,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is pushed slightly toward the workpiece 20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spring 125. It has elasticity, thereby allowing the processing material contact portion 160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to more closely adhere to the processing material 200, and at the same time, the setting of the processing material 200 is horizontal. Even if the surface slightly off or smooth,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cessing material 200.

분사노즐 하우징(140)의 하부에, 가공재료접촉부(160)에 인접한 부근에 그 표면이 천공되어 있는 연마재 배출구(1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화살표 방향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마재 배출구(150)는 연마재 분사노즐(115)을 통해 분출되는 연마재가 가공재료(200)를 타격한 후에 튀는 연마재가 분사노즐 하우징(14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형성된 것이다.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pray nozzle housing 140, an abrasive discharge hole 150 having a perforated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workpiece material contact portion 160. As indicated by the arrow direction of FIG. 1, the abrasive discharge port 150 discharges the abrasive which is splashed after the abrasive jetted through the abrasive jet nozzle 115 strikes the processing material 200 to the outside of the jet nozzle housing 140. It is formed for.

연마재 배출구(150)에 대한 일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 하우징(140)의 하부가 4방향으로 천공되어 복수의 통공부를 형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 하우징(140)의 가공재료접촉부(160)와 결합하는 단부는 원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가공재료접촉부(160)와의 결합이 더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분사노즐 하우징(140)의 끝단과 천공된 통공부 사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이 높이로 인하여 연마재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분사노즐 하우징(140) 안에 갇힐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참고로 도 3은 편의상 분사노즐 홀더 고정부(119)를 생략한 실시예를 나타내므로 도 1 및 도 2에 정확히 대응하지는 않음을 첨언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abrasive outlet 150, as shown in Figure 3, the lower portion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may be perforated in four directions to form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e end portion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that is coupled to the workpiece contact portion 160 may maintain its original shape and may be more easily coupled to the workpiece contact portion 160. However, since a predetermined height is provided between the end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and the perforated hole, the abrasive may not be discharged out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and may be trapped in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For reference, FIG. 3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jection nozzle holder fixing part 119 is omitted for convenience, and thus does not correspond exactly to FIGS. 1 and 2.

연마재 배출구(150)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 하우징(140)의 단부의 일부를 4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소정의 요철을 형성하고 볼록(凸)부(141)를 가공재료접촉부(160)와 결합시킨다, 오목(凹)부는 분사노즐 하우징(140)과 가공재료접촉부(160가 결합된 경우에 자연스럽게 통공이 형성되어 소정의 통공부를 이룬다. 이 통공부를 통해 연마재가 분사노즐 하우징(14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연마재의 용이한 배출에 있어 장점을 갖지만, 가공재료접촉부(160)의 체결구조를 분사노즐 하우징(140) 단부의 요철 구조에 대응하도록 변형하여야 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abrasive outlet 150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end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in four directions as shown in Figures 6 and 7 to form a predetermined convex and convex portion 141 ) Is coupled to the workpiece contact portion 160, the concave portion is naturally formed when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and the workpiece contact portion 160 is combined to form a predetermined through hole. The abrasive may be discharged out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Although it has an advantage in easy discharge of the abrasive,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workpiece material contact portion 160 may be formed in the uneven structure of the end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It should be modified to correspond.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재 배출구(150)를 통해 배출되는 연마재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연마재 배출구(150) 근방에 복수의 에어분사구(170)를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방향으로 에어를 분산할 수 있도록 4개의 에어분사구(170)가 분사노즐 하우징(140) 외면을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어분사구(170)가 분사호스의 원활한 관리를 위해 분사노즐 고정부(130)를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통합호스(175)에 접속시키며, 이 통합호스(175)가 에어분사장치(미도시)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에어분사구(170)를 분사노즐 고정부(130)의 밖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in order to disperse the abrasive discharged through the abrasive discharge port 150,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port 170 may b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abrasive discharge port 150. Preferably, four air injection holes 170 may be formed across the outer surface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to disperse air in four directions.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ure 3, the air injection port 170 is to be fixe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fixing part 130 for smooth management of the injection hose, and connected to the integrated hose 175, this integrated hose ( 175 may be connected to an air spray device (not shown). In another embodiment, the air injection port 170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jet nozzle fixing part 130.

이와 같이 복수의 에어분사구(170)를 통해 연마재 배출구(150)를 통해 배출되는 연마재를 분산시키는 이유는, 노즐 모듈(100)이 샌드블래스팅 작업을 하면서 상하좌우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 중에 쌓인 연마재에 의해 가공재료(200)에 흠이나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for dispersing the abrasive discharged through the abrasive discharge port 150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holes 170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nozzle module 100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while sandblasting. This is to prevent scratches or damage to the processing material 200.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분사노즐 하우징(140)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가공재료접촉부(160)가 가공재료(200)에 밀착하여 접촉하게 되는데, 가공재료접촉부(160)의 중앙에는 분사홀(165)이 형성된다. 분사홀(165)에서 시작된 수직의 가공선은 연마재 분사노즐(115)의 배출구와 일치하도록 분사홀(165)을 구성할 수 있다. 가공재료접촉부(160)와 상기 연마재 분사노즐(115)는 분사노즐 하우징(140) 내부에서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 이격거리가 연마재를 가공재료에 타격하는 타격거리가 된다.Returning to FIG. 1 again, the processing material contact portion 160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rocessing material 200, and the injection hole 165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rocessing material contact portion 160. Is formed. The vertical cutting line starting from the injection hole 165 may configure the injection hole 165 to coincide with the outlet of the abrasive injection nozzle 115. The processing material contact unit 160 and the abrasive injection nozzle 11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and the separation distance is a blow distance that strikes the abrasive material.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노즐 모듈(100)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모터 및 테이블 장비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 부분은 공지된 기술이다. 분사노즐 모듈(100)이 이동하면 분사노즐 하우징(140)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는 가공재료접촉부(160)도 가공재료(200)에 밀착하여 이동하게 되고,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연마재 분사노즐(115)에서 분사된 연마재가 지속적으로 분사홀(165)을 타격함으로써, 스텐실이 없어도 일정한 문자나 패턴 등을 가공할 수 있다. The nozzle module 100 of the sandblasting apparatus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by a computer program, and for this purpose, it is moved through a motor and a table equipment. This part is a known technique. When the injection nozzle module 100 moves, the processing material contact portion 160 coupled to the end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also move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cessing material 200, and continuously moves to the abrasive injection nozzle 115. Since the abrasive injected from the hitting the injection hole 165 continuously, it is possible to process a certain letter or pattern without the stencil.

필요한 경우에는 연마재 분사노즐(115)과 분사홀(165)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것은 노즐 모듈(100) 자체의 내부 구성에 의해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샌드 블래스팅 장비에 의해 노즐 모듈(100)의 Z축 제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방법의 일 실시예가 상기한 바와 같이, 분사노즐 홀더 고정부(119)의 구성 위치, 결합되는 이송 장치의 Z축 방향으로의 이동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노즐 모듈(100)의 연마재 분사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distance between the abrasive spray nozzle 115 and the spray hole 165 may be adjusted. This may not be controlled by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nozzle module 100 itself, but may be achieved by Z-axis control of the nozzle module 100 by sand blasting equipment. One embodiment of such a method can be achieved by the configuration position of the jet nozzle holder fixing part 119, the movement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conveying device to be coupled,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abrasive injection pressure of the nozzle module 100 may be adjusted.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분사홀(165)의 직경(L)의 크기에 따라 문자나 패턴 등의 가공 폭이 결정될 수 있다. 분사홀(165)의 직경(L)이 크면 가공 폭이 커지고, 분사홀(165)의 직경(L)이 작으면 가공 폭도 좁아진다. 따라서 소망하는 가공방법에 따라 분사홀(165)의 직경(L) 크기가 다른 복수의 가공재료접촉부(16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processing width of the letter or patter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ameter L of the injection hole 165. If the diameter L of the injection hole 165 is large, the processing width will be large, and if the diameter L of the injection hole 165 is small, the processing width will be narrowed. Therefore, according to a desired processing method, the plurality of workpiece material contact portions 160 having different diameters (L) sizes of the injection holes 165 may be replaced and used.

도 4를 보자. 도 4는 가공재료접촉부(160)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가공재료접촉부(160)는 2종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사노즐(115)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마재가 타격되는 영역(중앙부분)에 위치하는 내면부재(163)와, 그렇지 않은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140)의 끝단에 체결되는 외면부재(161)가 그것이다. See Figure 4. 4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workpiece material contact portion 160. Preferably, the workpiece material contact portion 160 may be formed of two kinds of members. An inner surface member 163 positioned in an area (center portion) in which the abrasive is hit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injection nozzle 115, and an outer surface member 161 positioned in the other area and fastened to the end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 Is that.

외면부재(161)의 둘레방향 단부는 분사노즐 하우징(140)의 단부와 체결되며, 외면부재(161)의 안쪽에는 소정 지름(상측직경)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개구(開口)부(162)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162) 쪽 외면부재(161)의 안쪽 단부는, 형태적으로 1층의 계단을 구성한 것처럼, 아래쪽이 돌출하고 위쪽이 돌출하지 않는 단턱부(161A)가 원둘레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circumferential end of the outer surface member 161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140, and an opening 162 is formed inside the outer surface member 161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upper diameter). do. The inner end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member 161 toward the opening 162 may be continuously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a stepped portion 161A having a lower side protruding and an upper side not protruding, as constituting a stairway of one floor. have.

상기 내면부재(163)는 상기 개구부(162)에 대응하는 크기와 모양을 갖는다. 내면부재(163)는 내면부재 상측 직경은 상기 개구부(162)의 상측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며, 내면부재(163)의 하측에는 외면부재(161)의 단턱부(161A)에 대응하는 형태의 절결부(163B)가 원둘레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턱부(161A)의 높이와 상기 절결부(163B)의 높이가 동일한 것이 좋다. The inner surface member 163 has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162. The inner surface member 163 has an upper diameter of the inner surface member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upper diameter of the opening 162,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urface member 163 of the form corresponding to the stepped portion (161A) of the outer surface member 161 The notch 163B is formed continuou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Preferably, the height of the stepped portion 161A and the height of the cutout portion 163B may be the same.

따라서 내면부재(163)를 상기 개구부(162)에 올려 놓으면 상기 단턱부(161A)에 상기 내면부재(163)가 걸리게 되어 상기 내면부재(163)가 상기 외면부재(161) 밑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이를 통해서 상기 내면부재(163)를 소모품과 같이 사용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내면부재(163)의 중앙 개구부, 즉 분사홀(165)이 서로 다른 내면부재(163)를 식각상황에 따라 바꿔가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마재 식각의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즉, 상이한 직경을 갖는 연마재 분사노즐을 여러 개 사용할 수 있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간단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inner surface member 163 is placed on the opening 162, the inner surface member 163 is caught by the stepped portion 161A so that the inner surface member 163 does not fall below the outer surface member 161. Through this, the inner member 163 can be easily replaced by using the consumable together. In addition, since the central opening of the inner surface member 163, that is, the injection hole 165, can be used while changing the inner surface members 163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etching situation, the efficiency of the abrasive etching can be greatly improved. That is, the same effect as that of using a plurality of abrasive spray nozzl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can be realized by a simple method.

상기 중앙 부분의 영역에 위치하는 내면부재(163)는 연마재의 타격을 견디기 위하여 높은 내열성과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 소재가 바람직하다. 내면부재(163)의 소재로는 보론카바이드(Boroncarbide), 실리콘카바이드(Silicon carbide)와 같은 특수세라믹이나 금속이 좋다. 또한 가공재료(200)의 표면에 밀착하는 외면부재(161)는 가공재료의 표면에 손상을 초래하지 않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섬유강화플라스틱도 좋다. 그러나 위와 같은 소재에 의해 본 발명의 특허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ner surface member 163 located in the region of the central portion is preferably a material having high heat resistance and high wear resistance to withstand the impact of the abrasive. The material of the inner surface member 163 may be a special ceramic or metal such as boron carbide or silicon carbide.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member 161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rocessing material 200 is preferably a material that does not cause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processing material. Preferably, engineering plastics may be used, and fiber reinforced plastics may also be used.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materials.

한편, XY테이블에서 이동하는 연마재 분사노즐(115)의 단속은 통상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 (전자밸브)를 통한 연마재의 분사단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공명령의 경우 연마재가 분사되며, 가공이 끝나거나 가공을 하지 않고 이동하는 경우 연마재가 분사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또한 분사노즐 홀더의 이동도 솔레노이드밸브나 모터(Z축)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공재료(200)의 표면에서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는 분사노즐 하우징(140)은 가공명령이 내리면 가공재료(200)의 표면에 밀착하게 되며, 가공완료나 이동을 하는 경우는 재료표면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terruption of the abrasive injection nozzle 115 moving in the XY table is premised that the injection interruption of the abrasive through the solenoid valve (electromagnetic valve) is usually made, and in the case of the processing instruction, the abrasive is injected, and processing When finished or moved without processing, the abrasive is controlled so that it is not sprayed. In addition, the injection nozzle holder is moved through a solenoid valve or a motor (Z axis). Therefore, the spray nozzle housing 140 position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processing material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rocessing material 200 when a processing command is given. It can be controlled to maintain.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의 형상과 수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어서 그 형상과 수치에 의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거나 그것으로만 본 발명의 구성을 한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첨언한다.On the other h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shape and numerical values of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and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shape and numerical values should not be limited o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due to obvious changes or substitution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laims (7)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연마재 공급관의 끝단에 장착되는 분사노즐 모듈에 있어서,
통 모양의 분사노즐 하우징;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분사노즐 홀더에 의해 상기 연마재 공급관의 끝단의 내부에 연결되는 연마재 분사노즐; 및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수직의 가공선이 맞닿는 중앙에 분사홀을 가지며, 가공재료에 밀착하는 가공재료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의 하단부가 요철(凹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볼록(凸) 부분에서 상기 가공재료접촉부와 결합하며, 오목(凹) 부분을 통해 가공 시 발생하는 연마재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 대용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노즐 모듈.
In the injection nozzle module mounted to the end of the abrasive supply pipe of the sandblasting apparatus,
Cylindrical nozzle nozzle housing;
An abrasive injection nozzle located in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and connected to an inside of an end of the abrasive supply pipe by an injection nozzle holder; And
I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and has a spray hole in the center of the vertical processing line abuts from the injection nozzle, the material contact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cessing material;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is formed in a concave-convex shape, is coupled to the processing material contact in the convex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brasive generated during processing through the concave portion is discharged Injection nozzle module for stencil sandblast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가공 시 발생하는 연마재에 의해 상기 가공재료에 흠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연마재를 분산시키는 복수의 에어분사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 대용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노즐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spray nozzle module of the stencil substitute sandblas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holes for dispersing the abrasive so that the workpiece is not damaged or damaged by the abrasive generated during proces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의 내주면의, 상기 분사노즐의 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안쪽으로 돌출한 스프링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지지대 위에 장착되는 지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 대용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노즐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A spring support protruding inward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an end of the injection nozzl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jection nozzle housing,
The injection nozzle module of the sandblasting device of the stenci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spring mounted on the spring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재료접촉부는 상기 분사홀을 갖는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내면부재와,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의 끝단에 체결되며 상기 내면부재의 바깥 둘레에 위치하는 외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면부재를 상기 외면부재와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 대용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노즐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ing material contact portion is formed of an inner surface member positioned at a central portion having the spray hole, and an outer surface member fastened to an end of the spray nozzle housing and position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member. The nozzle assembly of the sandblasting apparatus for stencil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면부재는 분사홀이 상이한 2종 이상으로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스텐실 대용 샌드블래스팅 장치의 분사노즐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nner surface member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different injection holes are selectively available, the injection nozzle module of the sandblasting apparatus for stencils.
KR1020100067827A 2010-07-14 2010-07-14 Nozzle module of sand blasting apparatus without stencil KR1012140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827A KR101214095B1 (en) 2010-07-14 2010-07-14 Nozzle module of sand blasting apparatus without stenc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827A KR101214095B1 (en) 2010-07-14 2010-07-14 Nozzle module of sand blasting apparatus without stenc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01A KR20120007201A (en) 2012-01-20
KR101214095B1 true KR101214095B1 (en) 2012-12-20

Family

ID=45612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827A KR101214095B1 (en) 2010-07-14 2010-07-14 Nozzle module of sand blasting apparatus without stenc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0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387B1 (en) * 2014-09-04 2016-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Blasting Apparatus
KR102350648B1 (en) * 2021-08-11 2022-01-17 주식회사 첨단세라믹 Slurry supply nozzle for desulfurization equipment with different materia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3156U (en) 1984-05-14 1985-12-05 株式会社荏原製作所 underwater sandblaster
JP2006263547A (en) * 2005-03-23 2006-10-05 Sugino Mach Ltd Water jet nozzle device
JP2007000983A (en) * 2005-06-24 2007-01-11 Egawa Seisakusho Kk Mask device for sandblast
JP2007136628A (en) 2005-11-21 2007-06-07 Egawa Seisakusho Kk Attachment for sand blas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3156U (en) 1984-05-14 1985-12-05 株式会社荏原製作所 underwater sandblaster
JP2006263547A (en) * 2005-03-23 2006-10-05 Sugino Mach Ltd Water jet nozzle device
JP2007000983A (en) * 2005-06-24 2007-01-11 Egawa Seisakusho Kk Mask device for sandblast
JP2007136628A (en) 2005-11-21 2007-06-07 Egawa Seisakusho Kk Attachment for sand blas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01A (en)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095B1 (en) Nozzle module of sand blasting apparatus without stencil
US10343259B2 (en) Water-jet operating head for cutting materials with a hydro-abrasive high pressure jet
KR20130037140A (en) Blasting apparatus
KR101191653B1 (en) Cutting machine
CN203791249U (en) High pressure washer
JP4178815B2 (en) Grind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0274481A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tire vulcanizing mold
KR20060028225A (en) Cutting chip collecting apparatus system for oversize machine tool
CN107900861B (en) A kind of polishing wire-drawing equipment for integrating water circulation system
KR101332700B1 (en) Cleaner unit of wash equipment for micro drill bit
JP4317502B2 (en) Machine parts cleaning equipment
CN106029279A (en) Solder supply device and solder supply method
KR101794089B1 (en) Processing device for mold and processing method for mold using the same
CN103978784A (en) Printing screen cleaning device
CN210741027U (en) Automatic water trap after disc aluminum casting processing
JP2002059361A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794090B1 (en) Processing device for mold and processing method for mold using the same
KR100558431B1 (en) Printer for a portable telephone pront- cover
CN208068051U (en) Nuclear facilities high -pressure water cutting system
CN210938816U (en) High-stability movable sand blasting device
CN220447550U (en) Stone material surface decorative pattern sculpture equipment
CN215588880U (en) Auxiliary tool for workpiece surface treatment
CN210098357U (en) Washing mechanism of engine cylinder body cleaning system
KR20160068607A (en) A Ring Type of an Air Knife Capable of Extending an Area of Dust Collection
JP7218731B2 (en) Cleaning equipment for lapp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