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402B1 -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Structure - Google Patents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402B1
KR101213402B1 KR1020090061500A KR20090061500A KR101213402B1 KR 101213402 B1 KR101213402 B1 KR 101213402B1 KR 1020090061500 A KR1020090061500 A KR 1020090061500A KR 20090061500 A KR20090061500 A KR 20090061500A KR 101213402 B1 KR101213402 B1 KR 101213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space
exposed
reinforcing bar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3962A (en
Inventor
신명섭
Original Assignee
신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섭 filed Critical 신명섭
Priority to KR1020090061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402B1/en
Publication of KR20110003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9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4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크로스빔의 폭이 감소하고 시공이 용이한 구조를 갖도록, 교각과 교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구조물과,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하부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며 양쪽 끝면에는 공간홈이 형성되고 공간홈과 상응하는 위치에서 노출이 이루어지는 연결부가 구비된 연결철근이 설치되는 피씨빔과,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피씨빔이 교량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폭방향으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피씨빔 끝부분 사이에 설치되고 연결철근의 연결부가 내부에 위치하는 크로스빔과, 피씨빔 및 크로스빔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피씨빔 교량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reduce the width of the cross beam and to have an easy construction, the substructure consisting of bridge piers and alternations, and reinforced concrete, are supported by the substructure, and space grooves are formed at both ends and correspond to the space grooves. The PC beam is provided using a connecting beam provided with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is exposed at the position, and the reinforced concrete, and the plurality of PC beams are located adjacent to the width direction in a stat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of the bridge Provided is a PC beam bridge structure comprising a cross beam provided between the ends of the PC beam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and a top plate provided on the top of the PC beam and the cross beam.

교량, 피씨빔, 교각, 교대, 신축공간, 크로스빔, 철근, 연결 Bridge, PC Beam, Pier, Shift, New Construction Space, Cross Beam,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scription

피씨빔 교량구조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Structure}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Structure}

본 발명은 피씨빔 교량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씨빔 사이에 설치되는 크로스빔의 폭이 감소되므로 콘크리트 타설량이 절감되도도록 구성한 피씨빔 교량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C beam bridg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C beam bridge structure configured to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placing because the width of the cross beam is installed between the PC beam is reduced.

일반적으로 교량은 통행하는 차량 등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부분인 상판와 상기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빔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구조와, 상기 상부구조를 바닥으로부터 받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교각과 교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구조로 구성되며, 교량에 따라서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분리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In general, a bridge includes an upper structure consisting of an upper plate that is a portion directly supporting a load of a vehicle, such as a passing vehicle, a beam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a lower portion formed of a pier and an alternating portion that is installed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from a floor.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and may not be separated into a superstructure and a substructure depending on the bridge.

상기 교량에 있어서 상부구조의 형식에 따른 한 분류로서 빔(또는 "거더"라고도 함) 교량이 있으며, 이 빔 교량으로는 강연선(鋼撚線)을 이용하여 빔에 미리 압축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시공 후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이 소거되도록 하는 피씨(prestressed concrete)빔 교량이 많이 사용된다.In the bridge, there is a beam (or "girder") bridge as a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uperstructu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the compressive stress is applied to the beam in advance by using a stranded wire. Many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s are used to eliminate the tensile stresses that occur.

상기 피씨빔 교량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교대(2a)와 교각(2b)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구조물(2)과, 상기 하부구조 물(2)에 얹혀져 지지되는 복수의 피씨빔(4)과, 상기 복수의 피씨빔(4)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크로스빔(6)과, 피씨빔(4) 및 크로스빔(6)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8)으로 구성된다.1 and 2, the PC beam bridge i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mounted on the substructure 2 and the substructure 2, which are composed of alternating portions 2a and pier 2b and the like. A plurality of PC beams 4 supported, a plurality of cross beams 6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PC beams 4, and an upper plate provided on the PC beams 4 and the cross beams 6 8).

상기 하부구조물(2), 피씨빔(4), 크로스빔(6)은 주로 철근을 뼈대로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각각 이루어진다.The lower structure (2), the PC beam (4), the cross beam (6) is composed of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hich is mainly composed by curing the concrete after pouring the reinforcing bar as a skeleton.

상기 피씨빔(4)에 있어서는 제조과정에서 미리 압축응력을 부여하기 위한 강연선이 내부에 설치되고 양쪽 끝면에는 상기 강연선의 끝부분을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구 및 강연선을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수단 등이 위치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공간홈(5)이 형성되며, 이러한 피씨빔(4)은 상기 하부구조물(2)이 완성되면 바로 설치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미리 제작한 후 교량의 규모에 따라 교량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를 설치한다.In the PC beam 4, a space in which a strand for imparting compressive stress is install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vance, and a fixture for fixing the end of the strand and a tension means for tensioning the strand are located at both ends. A space groove 5 is formed to secure a space, and the PC beam 4 is installed in advance as soon as the substructure 2 is completed, so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beforehand and the width of the bridg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ridge. Multiple pieces are provided in a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위치하는 피씨빔(40)끼리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결하거나 신축이음공간(10)을 구비하기 위해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PC beams 40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placed with concrete or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ovide the expansion joint space 10.

예를 들면, 상기 피씨빔의 한쪽 끝부분에는 신축이음공간(10)이 위치하고 다른쪽 끝부분에는 이웃하여 위치하는 피씨빔(4)과 연결하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위치하게 된다.For example, at one end of the PC beam, the expansion joint space 10 is located and the other end is placed concrete to be connected to the PC beam (4) located adjacent to.

상기와 같이 피씨빔(4)의 설치가 완료되면 교량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피씨빔(4)의 양쪽 끝부분끼리 연결하도록 상기 크로스빔(6)이 설치 되며, 이 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빔(6)에 배근 설치되는 철근(6a)을 상기 피씨빔(4)에 배근 설치되는 철근(4a)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4b)과 연결시킨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PC beam 4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cross beams 6 are installed to connect both ends of the PC beams 4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As shown in FIG. 6, the reinforcing bar 6a installed in the cross beam 6 is connected to the part 4b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bar 4a installed in the PC beam 4.

한편, 상기 크로스빔(6)에 있어서는 피씨빔(4)의 끝부분마다 각각 설치하게 되면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하므로 상기 신축이음공간(10)이 없는 경우 넓은 폭으로 1개의 크로스빔(7)을 설치하여 2개의 크로스빔(6) 역활을 하도록 시공을 행하게 되며, 이 경우 크로스빔(7)의 폭이 필요 이상으로 넓어지면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ross beam 6, if each installation of the end of the PC beam (4) is a cumbersome and complicated work, if there is no expansion joint space 10, one cross beam 7 is installed in a wide width In this case, the construction is performed to serve as two cross beams 6, and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cross beams 7 becomes wider than necessary, and various problems are exposed.

즉 크로스빔(7)에 배근 설치되는 철근(7a)과 연결하기 위해 피씨빔(4)에 설치되는 철근(4a)의 노출된 부분(4b)이 상기 공간홈(5) 때문에 피씨빔(4)의 끝면으로부터 중앙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게 되는 것에 의하여 이러한 철근(4a)의 위치에 맞추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2개의 크로스빔(6)을 설치한 것 보다 대략 1.5~5배 정도에 가깝게 광폭 크로스빔(7)의 폭이 증가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exposed portion 4b of the reinforcing bar 4a installed in the PC beam 4 to connect with the reinforcing bar 7a installed in the cross beam 7 is installed in the PC beam 4 because of the space groove 5. Since the concrete is plac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s 4a by being located a distance away from the end surface of the center, the wide cross beam is approximately 1.5 to 5 times closer to the installation of the two cross beams 6. The width of (7) is increased.

그러므로 콘크리트 타설량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원재료가 낭비되고 시공비의 절감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refore, since the amount of concrete pouring is rapidly increased, raw materials are wasted and construction cost is difficult to reduce.

또한, 불필요한 콘크리트의 타설에 따라 교량 상부의 하중이 증가하게 되므로 사하중(dead load)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 loa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increases according to unnecessary casting of concrete, there is a problem that a dead load loss occurs.

한편, 크로스빔 중에서 교대쪽 및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교각 쪽에 설치되는 크로스빔의 경우 상판의 모서리 끝부분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판의 강도가 쉽게 취약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ross beam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ross beams on the side of the alternating side and the expansion joint is not properly supported the corner end of the top plate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strength of the top plate is easily vulnerable.

따라서 특허등록 제653623호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피씨빔 교량이 기재되어 있다.Therefore, Patent Registration No. 663623 describes a PC beam bridge to solve this problem.

그런데 상기 특허등록 제653623호 피씨빔 교량구조는 크로스빔의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설치가 어렵고 복잡하며 콘크리트 타설량의 감소가 더 이상 어려운 실정이다.However, the Patent No. 653623 PC beam bridge structure is difficult and complicated to install the formwork for forming the protrusion of the crossbeam, the situation is difficult to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plac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폭이 보다 협소하고 시공이 간편한 구조로 크로스빔을 설치하므로 콘크리트 타설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므로 원재료 및 시공비 등의 절감을 보다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한 피씨빔 교량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oint, since the installation of the cross beam with a narrower structure and easy construction, it reduces the amount of concrete placement more effectively, so that the PC beam that can maximize the reduction of raw materials and construction costs, etc. Its purpose is to provide a bridge structure.

본 발명이 제안하는 피씨빔 교량구조는 교각과 교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구조물과,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며 양쪽 끝면에는 공간홈이 형성되는 피씨빔과,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피씨빔이 교량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폭방향으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피씨빔 끝부분 사이에 설치되는 크로스빔과, 상기 피씨빔 및 크로스빔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C beam bridge structur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structure consisting of a piers and shifts, reinforced concrete, supported by the lower structure, and beam beams having space grooves formed at both ends, and reinforced concrete. And a cross beam provided between the ends of the PC beam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PC beams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of the bridge, and installed on the PC beams and the cross beams. Including the top plate.

상기 피씨빔의 끝부분에는 상기 공간홈의 측면 쪽에서 일정 길이 만큼 노출이 이루어지는 연결철근이 설치된다.At the end of the PC beam is provided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exposed from the side of the space groove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크로스빔은 상기 연결철근의 노출된 부분에 대응하여 연결 설치된다.The cross beams are connected to correspond to the exposed portions of the connecting bars.

상기에서 크로스빔 내부에 위치하는 철근은 상기 연결철근의 노출된 부분에 연결 설치한다.The reinforcing bar located inside the crossbeam is connected to the exposed portion of the connecting bar.

상기 연결철근은 상기 피씨빔의 끝부분 내부에 사선방향으로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공간홈의 측면쪽에 위치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한쪽 끝부분에서 상기 공간홈 반대쪽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피씨빔의 길이직각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피씨빔으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노출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is installed inside the tip of the PC beam in an oblique direction and one end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pace groove, and formed by bending the opposite side of the space groove at one end of the support and the PC It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and comprises a connection portion exposed from the PC beam by a certain length.

그리고 상기 연결철근은 상기 피씨빔의 끝부분 내부에 상기 공간홈을 사이에 두고 사선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공간홈의 측면쪽에 위치하는 한쌍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한쪽 끝부분에서 상기 공간홈 반대쪽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피씨빔의 길이직각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피씨빔으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노출되는 한쌍의 연결부와, 한쌍의 상기 지지부 다른쪽 끝부분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And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is installed in the diagonal direction with each of the space groove between the inside of the end of the PC beam and a pair of support portions, one end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pace groove, and at one end of the support It is formed to be bent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pace groove and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C beam and comprises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expos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PC beam, and a pair of connecting support for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It is also possible.

또한, 상기 연결철근은 복수의 피씨빔 중 교량의 폭방향 양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피씨빔에 설치되고 상기 공간홈의 일측면 쪽에서 상기 크로스빔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과 연결되도록 노출이 이루어지는 단방향 연결철근과, 복수의 피씨빔 중 폭방향 양쪽 끝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피씨빔에 설치되고 상기 공간홈의 양측면 쪽에서 상기 크로스빔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과 각각 연결되도록 노출이 이루어지는 양방향 연결철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is installed in the PC beam located at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among the plurality of PC beams and unidirectional connecting rebar is expos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 installed inside the cross beam at one side of the space groove And two-way connecting rebars, which are installed on the remaining PC beams except for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PC beams, and exposed to b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s installed inside the cross beams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pace groove. Do.

상기 단방향 연결철근은 상기 피씨빔의 끝부분 내부에 사선방향으로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공간홈의 측면쪽에 위치하는 단방향 지지부와, 상기 단방향 지지부의 한쪽 끝부분에서 상기 공간홈 반대쪽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피씨빔의 길이직각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피씨빔으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노출되는 단방향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unidirectional connecting rebar is installed in an oblique direction inside the tip of the PC beam and formed at one end of the unidirectional support port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space groove, and bent toward the space groove at one end of the unidirectional support portion. And a unidirectional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long the length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PC beam and expos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PC beam.

상기 양방향 연결철근은 상기 피씨빔의 끝부분 내부에 상기 공간홈을 사이에 두고 사선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공간홈의 측면쪽에 위치하는 한쌍의 양방향 지지부와, 상기 양방향 지지부의 한쪽 끝부분에서 상기 공간홈 반대쪽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피씨빔의 길이직각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피씨빔으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각각 노출되는 한쌍의 양방향 연결부와, 한쌍의 상기 양방향 지지부 다른쪽 끝부분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bidirectional connection reinforcement is a pair of bidirectional support portions each installed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the space grooves interposed inside the ends of the PC beam, one end portion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pace grooves, and one end of the bidirectional support portion A pair of bidirectional connecting portions formed at a portion opposite to the space groove and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C beam and respectively expos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PC beam, and a connection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the bidirectional supporting portions It comprises a support.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빔 교량구조에 의하면, 크로스빔과 연결하기 위해 피씨빔에 설치되는 철근의 노출된 부분이 종래 보다 피씨빔 끝면에 가깝게 위치하므로 크로스빔의 폭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C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idth of the cross beam because the expose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installed in the PC beam to connect with the cross beam is located closer to the end of the PC beam than conventional.

따라서 콘크리트의 타설면적이 감소하고 그로 인한 콘크리트 타설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원재료비의 낭비를 막고 교량 시공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ur area of concrete and thereby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pouring, thereby preventing waste of raw materials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of bridge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빔 교량구조에 의하면, 콘크리트의 타설량이 감소되는 것에 의하여 교량의 상부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되므로 교각이나 교대 등 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구조물의 부담을 감소시키고 사하중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C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ad acting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is reduced by reducing the amount of placing of concret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f the lower structure consisting of bridge piers, shifts, etc. and minimize dead weight loss Do.

따라서 하부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나 인력, 장비 등을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manpower, equipment, etc. required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sub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빔 교량구조에 의하면, 크로스빔에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거푸집 및 철근 설치작업이 간편해지는 등 시공이 보다 용이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C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protrusion on the cross beam, the construction is easier, such as the formwork and reinforcing bar installation work becomes easier.

따라서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 등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s.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빔 교량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C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빔 교량구조의 일실시예는 도 4~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구조물(20)과, 상기 하부구조물(20)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피씨빔(40)과, 연결철근(50)과, 복수의 피씨빔(40)이 교량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폭방향으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피씨빔(40) 양쪽 끝부분 사이를 연결하도록 각각 형성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크로스빔(60)과, 상기 피씨빔(40) 및 크로스빔(6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the embodiment of the PC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4 to 7, the lower structure 20, a plurality of the PC beam 40 supported by the lower structure 20,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50 and the plurality of PC beams 40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respectively formed so as to connect between the ends of the PC beams 40 located adjacent to the width direction It comprises a plurality of cross beams 60 and the top plate 80 is installed on the PC beam 40 and the cross beam 60.

상기 하부구조물(20)은 일반적으로 널리 설치되는 피씨빔 교량의 하부구조물과 마찬가지로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교대(20a)와 교각(20b)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substructure 20 is generally made of reinforced concrete, like the substructure of the PC beam bridge is widely installed and consists of a plurality of shifts (20a) and pier (20b).

상기 피씨빔(40)은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강연선(미 도시)이 설치되며 상기 교대(20a)와 교각(20b) 및 교각(20b)과 교각(20b)에 양쪽 끝부분이 걸쳐져 지지되는 상태로 교량의 길이 및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The PC beam 40 i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and a strand wire (not shown) is installed therein, and both ends of the alternating portion 20a and the pier 20b and the pier 20b and the pier 20b are spread over the beams. A plurality is arranged along the length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in a supported state.

상기 상판(80)은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윗면에는 아스콘(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 등이 포장되어 구성된다.The upper plate 80 i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the upper surface is composed of ascon (not shown in the figure) is packaged.

상기 피씨빔(40)의 양쪽 끝면에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피씨빔과 마찬가지로 상기 강연선의 끝부분을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구 및 강연선을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수단(미도시) 등이 위치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공간홈(42)이 형성된다.Both ends of the PC beam 40 have a space to secure a space in which anchorages for fixing the ends of the strands and tension means (not shown) for tensioning the strands are placed, similarly to widely used PC beams. Grooves 42 are formed.

상기 공간홈(42)은 주로 개구쪽 끝부분(피씨빔(40) 끝면)으로 갈수록 단면이 점차 확장되도록 형성된다.The space groove 42 is formed such that its cross section gradually expands toward the opening end portion (the end face of the PC beam 40).

상기 피씨빔(40)의 양쪽 끝부분 내부에는 상기 공간홈(42)의 측면쪽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부(52)가 구비된 상기 연결철근(50)이 설치된다.Both ends of the PC beam 40 are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50 provided with connecting parts 52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side of the space groove 42.

상기 크로스빔(60)은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철근(50)의 연결부(52)에 대응하여 연결 설치된다.The cross beam 60 i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52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50.

즉 상기 연결철근(50)의 연결부(52)에 철근(62)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크로스빔(60)을 형성하여 설치한다.That is, the cross beam 60 is formed and installed so that the reinforcing bar 62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52 of the connecting bar 50.

상기와 같이 연결철근(50) 및 크로스빔(60)을 설치하면, 상기 연결철근(50) 의 연결부(52)가 상기 크로스빔(60)에 용이하게 매립되면서 크로스빔(60)의 폭을 필요 이상으로 증가시키지 않는 것에 의하여 종래 크로스빔보다 폭이 감소하므로 콘크리트 타설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50 and the cross beam 60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portion 52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50 is easily buried in the cross beam 60, so that the width of the cross beam 60 is required. By not increasing the width, the width of the conventional crossbeam is reduced,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pouring.

상기 연결철근(50)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피씨빔(40)의 양쪽 끝부분 내부에 사선방향으로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공간홈(42)의 측면쪽에 위치하는 지지부(51)와, 상기 지지부(51)의 한쪽 끝부분에서 상기 공간홈(42) 반대쪽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피씨빔(40)의 길이직각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피씨빔(40)으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노출되는 상기 연결부(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50 is installed in an oblique direction inside both ends of the PC beam 40 and one end thereof is located at the side of the space groove 42. (51) and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51) opposite the space groove (42) and installed along the length right angle direction of the PC beam (40)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PC beam (40) It comprises the connection portion 52 is exposed.

상기에서 연결철근(50)은 상기 지지부(51)의 다른쪽 끝부분에서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52)에 직각방향으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연장부(5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50 may be further formed to be bent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51 and extended to form an extension portion 53 is formed to be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connecting portion 52.

상기 연결철근(50)의 연장부(53)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52)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0, the extension part 53 of the connecting rebar 50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ng part 52.

상기와 같은 연결철근(50)은 복수의 피씨빔(40) 중 교량의 폭방향 양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피씨빔(40)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공간홈(42)의 일측면 쪽에 상기 연결부(52)가 위치하도록 배치하고,(도 7 및 도 8 참조), 교량의 폭방향 양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피씨빔(40)을 제외한 나머지 피씨빔(40)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공간홈(42)의 양측면 쪽에 상기 연결부(52)가 각각 위치하도록 대칭형으로 배치한다.(도 9 참조)When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50 is installed in the PC beam 40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brid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C beams 40, the connection part 52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pace groove 42. ) Is positioned so as to be positioned (see FIGS. 7 and 8), and when installed in the remaining beams 40 except for the beams 40 position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It is arranged symmetrically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52 is located on each side (see Fig. 9).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씨빔 교량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피씨빔 교량과 마찬가지로 기후, 온도변화 등에 의한 신축을 고려하여 교대(20a)와 피씨빔(40) 사이에 신축이음장치 등을 설치하기 위한 신축공간부(70)를 두게 되고, 경우에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위치하는 피씨빔(40) 사이에도 상기 신축공간부(70)를 두게 된다.In the PC beam brid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like the widely used PC beam bridge is stretched between the shift (20a) and the PC beam 40 in consideration of the new construction by the climate, temperature change, etc.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pace portion 70 for installing a joint device, etc. are provided,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pace portion 70 is also placed between the PC beams 40 which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위치하는 피씨빔(40) 사이에 신축공간부(70)가 필요없는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피씨빔(40)을 일체화시키게 된다.When the expansion space 70 is not required between the PC beams 40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C beams 40 are integrated by pouring concrete.

상기 크로스빔(60)은 상기 신축공간부(70) 반대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신축공간부(70) 쪽에 위치하는 크로스빔(60)보다 대략 2~2.5배 정도 넓은 폭으로 1개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cross beam 60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pace 70, one cross beam 60 is about 2 to 2.5 times wider than the cross beam 60 located on the expansion and expansion space 70 side. It is possibl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빔 교량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철근(55)이 상기 피씨빔(40)의 끝부분 내부에 상기 공간홈(42)을 사이에 두고 사선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공간홈(42)의 측면쪽에 위치하는 한쌍의 지지부(56)와, 상기 지지부(56)의 한쪽 끝부분에서 상기 공간홈(42) 반대쪽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피씨빔(40)의 길이직각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피씨빔(40)으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노출되는 한쌍의 연결부(57)와, 한쌍의 상기 지지부(56) 다른쪽 끝부분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부(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C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55 interposes the space groove 42 inside the end of the PC beam 40. A pair of support portions 56 each installed in an oblique direction and having one end portion positioned at a side of the space groove 42 and bent from one end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56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pace groove 42 are formed. And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57 installed along the length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PC beam 40 and exposed from the PC beam 4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air of supporting portions 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supporting portions 56 to each other.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58).

상기에서 연결철근(55)이 복수의 피씨빔(40) 중 교량의 폭방향 양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피씨빔(40)에 설치되는 경우 한쌍의 연결부(57) 중 안쪽에 위치하는 하나의 연결부(57)가 상기 크로스빔(60)의 철근(62)과 연결된다.When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55 is installed on the PC beam 40 located at both ends of the brid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C beams 40, one connection part located inside the pair of connection parts 57 ( 57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 62 of the crossbeam 60.

그리고 상기에서 연결철근(55) 복수의 피씨빔(40) 중 교량의 폭방향 양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피씨빔(40)을 제외한 나머지 피씨빔(40)에 설치되는 경우 한쌍의 연결부(57)가 각각 크로스빔(60)의 철근(62)과 연결된다.In the above-described case, whe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beams 55 are installed on the other PC beams 40 except for the PC beams 40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brid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C beams 40, a pair of connection portions 57 may be provided. Each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 62 of the crossbeam 60.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other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employed,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빔 교량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피씨빔(40) 중 교량의 폭방향 양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피씨빔(40)에 설치되고 상기 공간홈(42)의 일측면 쪽에서 상기 크로스빔(60)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62)과 연결되도록 노출이 이루어지는 단방향 연결철근(90)과, 복수의 피씨빔(40) 중 폭방향 양쪽 끝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피씨빔(40)에 설치되고 상기 공간홈(42)의 양측면 쪽에서 상기 크로스빔(60)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62)과 각각 연결되도록 노출이 이루어지는 양방향 연결철근(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C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C beam 40 located at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of the plurality of PC beams 40, as shown in FIG. On one side of the groove 42, the unidirectional connecting reinforcing bar 90 is expos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 62 installed inside the crossbeam 60, and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PC beams 40 Excluding the remaining two beams 40 and the bi-directional connecting reinforcement 100 is made to be exposed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reinforcing bars 62 installed in the cross beam 60 in both side surfaces of the space groove 42 .

상기 단방향 연결철근(90)은 상기 피씨빔(40)의 끝부분 내부에 사선방향으로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공간홈(42)의 측면쪽에 위치하는 단방향 지지부(91)와, 상기 단방향 지지부(91)의 한쪽 끝부분에서 상기 공간홈(42) 반대쪽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피씨빔(40)의 길이직각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피씨빔(40)으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노출되는 단방향 연결부(9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unidirectional connecting reinforcing bar 90 is installed in an oblique direction inside the tip of the PC beam 40, one end of the one-way support portion 91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pace groove 42 and the unidirectional support ( At one end of the 91 is formed to be bent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pace groove 42 and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right direction of the PC beam 40 and the unidirectional connecting portion 92 exposed by a certain length from the PC beam 40 It is made to include.

상기 단방향 연결부(92)에는 상기 크로스빔(60)에 설치되는 철근(62)이 연결된다.Reinforcing bar 62 installed in the crossbeam 60 is connected to the unidirectional connecting part 92.

상기에서 단방향 연결철근(90)은 상기 단방향 지지부(91)의 다른쪽 끝부분에서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92)에 직각방향으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연장부(9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one-way connecting reinforcing bar 90 may be further formed to be bent at the other end of the unidirectional support (91) extends and extends 93 is formed to be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connecting portion (92) Do.

상기 연장부(93)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연결부(92)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xtension 93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on 92.

상기 양방향 연결철근(100)은 상기 피씨빔(40)의 끝부분 내부에 상기 공간홈(42)을 사이에 두고 사선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공간홈(42)의 측면쪽에 위치하는 한쌍의 양방향 지지부(101)와, 상기 양방향 지지부(101)의 한쪽 끝부분에서 상기 공간홈(42) 반대쪽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피씨빔(40)의 길이직각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피씨빔(40)으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각각 노출되는 한쌍의 양방향 연결부(102)와, 한쌍의 상기 양방향 지지부(101) 다른쪽 끝부분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부(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bidirectional connection reinforcement 100 is installed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the space grooves 42 interposed therebetween inside the ends of the PC beam 40, and one end thereof is located at the side of the space grooves 42. A pair of bidirectional supports 101 and one end of the bidirectional support 101 is formed to be bent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pace groove 42 and ar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C beam 40, PC beam 40 It comprises a pair of bi-directional connecting portion 102 each expos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d a connecting support 103 for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the bi-directional support 101.

상기 양방향 연결부(102)에는 상기 크로스빔(60)에 설치되는 철근(62)이 연결된다.The reinforcing bar 62 installed in the crossbeam 60 is connected to the bidirectional connection unit 102.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so in the above-described other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r other embodiments, except for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빔 교량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C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피씨빔 교량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평면도이다.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C beam bridge structure.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3은 종래 피씨빔 교량구조에 있어서 피씨빔과 크로스빔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of a PC beam and a cross beam in a conventional PC beam bridge structur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빔 교량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C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빔 교량구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신축공간부가 위치하는 쪽에 설치되는 피씨빔과 크로스빔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FIG. 7 is a planar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C beam and a cross beam provided at a side wher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pace part is located in an embodiment of the PC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빔 교량구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신축공간부가 위치하지 않는 쪽에 설치되는 피씨빔과 크로스빔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illustrating a PC beam and a cross beam provided at a side wher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pace part is not disposed in an embodiment of the PC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빔 교량구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연결철근을 대칭형으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9 is a plan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necting bars are arranged symmetric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C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빔 교량구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연결철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10 is a plan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bar in one embodiment of the PC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빔 교량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피씨빔과 크로스빔, 연결철근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illustrating a PC beam, a cross beam, and connecting bar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C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빔 교량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피씨빔 과 크로스빔, 연결철근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illustrating a PC beam, a cross beam, and connecting bar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C beam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교각과 교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구조물과,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며 양쪽 끝면에는 공간홈이 각각 형성되는 피씨빔과,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피씨빔이 교량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폭방향으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피씨빔 끝부분 사이에 설치되는 크로스빔과, 상기 피씨빔 및 크로스빔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고,Bridges and alternating substructure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and supported by the substructures, both ends of the PC beam is formed by the space grooves, respectively, and the reinforced concrete and the plurality of PC beams bridge And a cross beam provided between the ends of the PC beams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oss beam; 상기 피씨빔의 끝부분에는 상기 공간홈의 측면 쪽에서 일정 길이 만큼 노출이 이루어지는 연결철근을 설치하고,At the end of the PC beam is provided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exposed at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side of the space groove, 상기 크로스빔은 상기 연결철근의 노출된 부분에 대응하여 연결 설치하고,The cross beams are connected and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exposed portions of the connecting bars, 상기 연결철근은 상기 피씨빔의 끝부분 내부에 사선방향으로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공간홈의 측면쪽에 위치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한쪽 끝부분에서 상기 공간홈 반대쪽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피씨빔의 길이직각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피씨빔으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노출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is installed inside the tip of the PC beam in an oblique direction and one end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pace groove, and formed by bending the opposite side of the space groove at one end of the support and the PC It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and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exposed from the PC beam by a certain length, 상기 크로스빔 내부에 위치하는 철근은 상기 연결철근의 연결부에 연결 설치하는 피씨빔 교량구조.Reinforcing bar located inside the crossbeam is connected to the PC beam bridge structure install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연결철근은 상기 지지부의 다른쪽 끝부분에서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에 평행한 방향 또는 직각 방향으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피씨빔 교량구조.And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art which is bent and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part and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or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ng part. 교각과 교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구조물과,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며 양쪽 끝면에는 공간홈이 각각 형성되는 피씨빔과,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피씨빔이 교량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폭방향으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피씨빔 끝부분 사이에 설치되는 크로스빔과, 상기 피씨빔 및 크로스빔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고,Bridges and alternating substructure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and supported by the substructures, both ends of the PC beam is formed by the space grooves, respectively, and the reinforced concrete and the plurality of PC beams bridge And a cross beam provided between the ends of the PC beams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oss beam; 상기 피씨빔의 끝부분에는 상기 공간홈의 측면 쪽에서 일정 길이 만큼 노출이 이루어지는 연결철근을 설치하고,At the end of the PC beam is provided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exposed at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side of the space groove, 상기 크로스빔은 상기 연결철근의 노출된 부분에 대응하여 연결 설치하고,The cross beams are connected and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exposed portions of the connecting bars, 상기 연결철근은 상기 피씨빔의 끝부분 내부에 상기 공간홈을 사이에 두고 사선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공간홈의 측면쪽에 위치하는 한쌍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한쪽 끝부분에서 상기 공간홈 반대쪽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피씨빔의 길이직각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피씨빔으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노출되는 한쌍의 연결부와, 한쌍의 상기 지지부 다른쪽 끝부분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는 피씨빔 교량구조.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is provided in the diagonal direction with the space grooves interposed inside the ends of the PC beam, one end of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pace grooves, and at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The PC beam is formed to be bent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pace groove and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C beam, and includes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expos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PC beam, and a pair of supporting portions 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support portions. Bridge structure. 교각과 교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구조물과,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며 양쪽 끝면에는 공간홈이 각각 형성되는 피씨빔과,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피씨빔이 교량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폭방향으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피씨빔 끝부분 사이에 설치되는 크로스빔과, 상기 피씨빔 및 크로스빔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고,Bridges and alternating substructure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and supported by the substructures, both ends of the PC beam is formed by the space grooves, respectively, and the reinforced concrete and the plurality of PC beams bridge And a cross beam provided between the ends of the PC beams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oss beam; 상기 피씨빔의 끝부분에는 상기 공간홈의 측면 쪽에서 일정 길이 만큼 노출이 이루어지는 연결철근을 설치하고,At the end of the PC beam is provided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exposed at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side of the space groove, 상기 크로스빔은 상기 연결철근의 노출된 부분에 대응하여 연결 설치하고,The cross beams are connected and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exposed portions of the connecting bars, 상기 연결철근은 복수의 피씨빔 중 교량의 폭방향 양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피씨빔에 설치되고 상기 공간홈의 일측면 쪽에서 상기 크로스빔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과 연결되도록 노출이 이루어지는 단방향 연결철근과, 복수의 피씨빔 중 폭방향 양쪽 끝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피씨빔에 설치되고 상기 공간홈의 양측면 쪽에서 상기 크로스빔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과 각각 연결되도록 노출이 이루어지는 양방향 연결철근을 포함하는 피씨빔 교량구조.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is a one-way connecting reinforcement is exposed to b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 is installed in the PC beam located at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of the plurality of PC beams and installed in the cross beam at one side of the space groove, PC beam bridge structure including a bi-directional connecting reinforcement is provided on the remaining beams other than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C beams and exposed to each of the reinforcing bars installed inside the cross beams on both sides of the space groove.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단방향 연결철근은 상기 피씨빔의 끝부분 내부에 사선방향으로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공간홈의 측면쪽에 위치하는 단방향 지지부와, 상기 단방향 지지부의 한쪽 끝부분에서 상기 공간홈 반대쪽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피씨빔의 길이직각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피씨빔으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노출되는 단방향 연결부를 포함하고,The unidirectional connecting rebar is installed in an oblique direction inside the tip of the PC beam and formed at one end of the unidirectional support port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space groove, and bent toward the space groove at one end of the unidirectional support portion. And a unidirectional connection part installed along a length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PC beam and expos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PC beam, 상기 양방향 연결철근은 상기 피씨빔의 끝부분 내부에 상기 공간홈을 사이에 두고 사선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공간홈의 측면쪽에 위치하는 한쌍의 양방향 지지부와, 상기 양방향 지지부의 한쪽 끝부분에서 상기 공간홈 반대쪽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피씨빔의 길이직각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피씨빔으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 각각 노출되는 한쌍의 양방향 연결부와, 한쌍의 상기 양방향 지지부 다른쪽 끝부분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는 피씨빔 교량구조.The bidirectional connection reinforcement is a pair of bidirectional support portions each installed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the space grooves interposed inside the ends of the PC beam, one end portion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pace grooves, and one end of the bidirectional support portion A pair of bidirectional connecting portions formed at a portion opposite to the space groove and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C beam and respectively expos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PC beam, and a connection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the bidirectional supporting portions A PC beam bridge structure including a support.
KR1020090061500A 2009-07-07 2009-07-07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Structure KR1012134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500A KR101213402B1 (en) 2009-07-07 2009-07-07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500A KR101213402B1 (en) 2009-07-07 2009-07-07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962A KR20110003962A (en) 2011-01-13
KR101213402B1 true KR101213402B1 (en) 2012-12-18

Family

ID=4361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500A KR101213402B1 (en) 2009-07-07 2009-07-07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40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962A (en)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273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rhamen bridge
KR100885663B1 (en)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using cross-beam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0988074B1 (en) Girder bridge connected to abutmen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936944B1 (en) Continuity Girder, Continuity Structure of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0407182Y1 (en) Precasted concrete plate
KR100398021B1 (en) Prestressed concrete slab reinforced by various section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simple and continuous supported slab bridge using the same
KR100704055B1 (en) continuous steel bridge having precast concrete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Z2019435A3 (en) Bridge constructions for road bridges
CN108951418B (en) Hinge joint structure of prefabricated hollow slab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554408B1 (en) Composite Girder fo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067717B1 (en) Process for p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concrete girder structure
KR100897060B1 (en) The continuous bridge structure including a prestressing plate and it's building method
KR101213402B1 (en)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Structure
KR100554026B1 (en) Open-type steel wire holding device of bridge
KR101397131B1 (en) Prestress concrete bridge and building method thereof
KR101169003B1 (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rigid frame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447537B1 (en) Precast slab connection method using connection module
KR101989007B1 (en) End Cut Type Girder with Unbonded Dual Tendon
KR100734172B1 (en) PC Beam
JP4493245B2 (en) Suspended floor slab bridge and method for reinforcing suspended floor slab
KR101342894B1 (en) Trust typ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constructing method of continuation bridge using the same
KR20100137749A (en) Precast concrete girder unified with slab
KR200394381Y1 (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structure with projected section above the top flange
KR102232907B1 (en) A bridge structure with prestressed concrete beam integrated slab
KR100703133B1 (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structure with projected section above the top fl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