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212B1 -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212B1
KR101213212B1 KR1020110010289A KR20110010289A KR101213212B1 KR 101213212 B1 KR101213212 B1 KR 101213212B1 KR 1020110010289 A KR1020110010289 A KR 1020110010289A KR 20110010289 A KR20110010289 A KR 20110010289A KR 101213212 B1 KR101213212 B1 KR 101213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titude
user
discovery
feedback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9114A (ko
Inventor
장승희
Original Assignee
장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승희 filed Critical 장승희
Priority to KR1020110010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2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89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적성 발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2)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초기 적성을 판단하는 단계; (3)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단계 (2)에서 판단한 초기 적성에 따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4)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계 (3)에서 제공하는 적성 발견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는 단계; (5) 상기 단계 (4)에서 입력받은 피드백의 분석을 통해 최종 적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6) 상기 단계 (5)에서 판단한 최종 적성을 포함하는 적성 검사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 있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초기 적성에 따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적성 검사에 임할 수 있도록 하고, 지루함을 느끼지 않아 적성 검사의 정확도가 향상되며, 사용자로부터 적성 발견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음으로써, 풍부하고 다양한 자료를 이용할 수 있어서 보다 정확한 적성 검사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판단된 사용자의 최종 적성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적성 발견에 따른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적성 발견 프로그램 및 교육 프로그램 간 연계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 및 지도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A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APTITUDE DETECTION USING FEEDBACK OF USER}
본 발명은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능 검사를 비롯하여 감성지수 검사, 진로적성 검사 등 사람의 적성을 다각도로 분석하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적성검사들은 오프라인상에서 종이 문제지로 적성을 평가하는 하는 방법 및 온라인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적성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나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나 후자의 경우 모두 결국 글자 체계로 문서화된 문제유형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문제의 개수 또한 상당하다. 적성 검사의 대상에 유아, 초중생이 포함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글자 체계로 문서화된 문제가 제공되는 적성 검사를 하면서, 사용자들이 지루해 하거나 집중력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는 적성검사 대상자가 검사 도중 참여를 그만두거나, 자신에 맞지 않는 답을 적어내는 경우로 이어져 적성검사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 관계없이 동일한 적성 검사 문제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 특성에 적합한 적성 검사가 이루어질 수 없고, 적성 검사 시간도 지나치게 오래 걸리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의 적성 검사 방법에 의하면 적성 검사 후에 그 결과에 따른 교육 등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없어서 적성 검사가 단지 적성을 알아보는 검사에 그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초기 적성에 따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적성 검사에 임할 수 있도록 하고, 지루함을 느끼지 않아 적성 검사의 정확도가 향상되며, 사용자로부터 적성 발견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음으로써, 풍부하고 다양한 자료를 이용할 수 있어서 보다 정확한 적성 검사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단된 사용자의 최종 적성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적성 발견에 따른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적성 발견 프로그램 및 교육 프로그램 간 연계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 및 지도를 할 수 있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적성 발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2)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초기 적성을 판단하는 단계;
(3)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단계 (2)에서 판단한 초기 적성에 따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4)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계 (3)에서 제공하는 적성 발견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는 단계;
(5) 상기 단계 (4)에서 입력받은 피드백의 분석을 통해 최종 적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6) 상기 단계 (5)에서 판단한 최종 적성을 포함하는 적성 검사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성 발견 프로그램은,
게임 형태의 적성 발견 게임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성 발견 게임은 사용자의 판단 또는 특정한 자극에 대한 반응을 포함하는 피드백을 입력받으며,
판단에 걸린 시간, 판단 결과, 특정한 자극에 대한 반응 결과, 반응 시간 분석을 포함하는 피드백의 분석을 통해 최종 적성을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 제공된 적성 발견 프로그램 및 상기 단계 (4)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피드백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동일 사용자의 적성 발견 서비스 이용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성 발견 프로그램 및 상기 피드백을 상기 단계 (5)의 최종 적성 판단에 반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연령, 성별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 및 검사 유형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초기 적성 판단을 위한 설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설문지에 대한 응답을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에서 입력받은 피드백의 분석을 통해 다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단계 (5)의 최종 적성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 있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초기 적성에 따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적성 검사에 임할 수 있도록 하고, 지루함을 느끼지 않아 적성 검사의 정확도가 향상되며, 사용자로부터 적성 발견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음으로써, 풍부하고 다양한 자료를 이용할 수 있어서 더욱 정확한 적성 검사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판단된 사용자의 최종 적성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적성 발견에 따른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적성 발견 프로그램 및 교육 프로그램 간 연계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 및 지도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1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적성 발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해 적성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폰 등일 수 있으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면,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2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송수신부(110), 프로그램 저장부(120), 피드백 분석부(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11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송수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적성 검사가 완료되면 적성 검사 결과를 송수신부(1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2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사용자의 적성 발견을 위해 제공하는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20)는 그밖에 사용자의 적성에 따른 교육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적성 발견 프로그램과 교육 프로그램은 다양한 적성과 분야에 따라 카테고리가 나뉘어 프로그램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각 분야의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제작될 수 있다.
피드백 분석부(130)는, 송수신부(110)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은 피드백을 전달받아, 이로부터 사용자의 적성을 파악하기 위해 피드백을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피드백 분석부(130)는 적성 발견 프로그램에 따른 판단 알고리즘에 따라 피드백을 분석할 수 있으며, 각 피드백에서 도출된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적성을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사용자가 제공받은 적성 발견 프로그램 및 이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동일한 사용자가 다시 적성 발견 서비스를 이용할 때,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정보를 불러옴으로써, 풍부한 자료를 이용해 정확한 적성의 판단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0),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초기 적성을 판단하는 단계(S200), 사용자에게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S300), 사용자로부터 적성 발견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는 단계(S400), 피드백의 분석을 통해 최종 적성을 판단하는 단계(S700), 및 적성 검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8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적성 발견 프로그램 및 피드백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는 단계(S500), 피드백의 분석을 통해 다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S600), 및 사용자에게 최종 적성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S9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정보에는 성명, 연령, 성별, 학력, 희망직종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적성 검사 유형을 더 입력받을 수 있다. 적성 검사 유형에는, 진로 적성 검사, 인성 검사, 지능 지수 검사, 감성 지수 검사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적성 검사 유형을 입력받음으로써 추후 단계 S300에서 이에 적합한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희망직종을 더 입력받음으로써 추후 단계 S200에서의 초기 적성 판단에 참고할 수 있다. 단계 S100의 세부적인 흐름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1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100은, 사용자로부터 개인 정보 및 검사 유형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S110), 사용자의 초기 적성 판단을 위한 설문지를 전송하는 단계(S120), 및 사용자로부터 설문지에 대한 응답을 전송받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로부터 연령, 성별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 및 검사 유형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개인 정보에는 연령, 성별뿐 아니라 성명, 학력, 희망직종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부모의 직업이나 학력 수준 등을 더 입력받아 고려할 수도 있다. 검사 유형에는 진로 적성 검사, 인성 검사, 지능 지수 검사, 감성 지수 검사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각 검사 유형에 따라 추후 단계 S300에서 서로 다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의 초기 적성 판단을 위한 설문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단계 S110에서 사용자가 연령, 성별 등의 기본적인 정보만을 입력한 경우 설문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초기 적성 판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설문지에는, 간단한 질문에 대한 응답을 선택하는 방식, 그림 또는 사진을 제공하여 응답을 선택하는 방식,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여 응답을 선택하는 방식 등으로 구성된 설문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설문지의 문제가 많을수록 사용자의 집중력이 흐려지고 지루함을 느낄 수 있으며, 단계 S100은 최종 적성을 판단하기 위한 적성 발견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기초 단계에 해당하므로, 설문지의 내용은 간략한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13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로부터 설문지에 대한 응답을 전송받을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전송한 설문지에 대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응답을 입력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그 응답을 전송받아 분석함으로써, 추후 단계 S200에서 사용자의 초기 적성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초기 적성을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초기 적성은 희망 직종 등을 광범위한 카테고리로 분류하기 위한 것으로서, 먼저 사용자의 초기 적성을 판단하여 추후 단계 S300에서 초기 적성에 따라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초기 적성은 단계 S100에서 입력받은 기본적인 사용자 개인의 정보, 부모에 대한 정보, 희망 직종 등을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설문지를 분석하여 초기 적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모가 모두 법조계에 근무하는 자로서, 희망 직종이 판사이고, 설문지 응답에 의하면 공평, 판단, 정의 등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난다면, 해당 사용자의 초기 적성은 법조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에게 단계 S200에서 판단한 초기 적성에 따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적성 발견 프로그램은 초기 적성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사 유형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각 검사 특성 및 초기 적성에 적합하도록 각 분야 전문가에 의해 제작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적성 발견 프로그램은, 게임 형태의 적성 발견 게임일 수 있다. 적성 발견 게임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재미를 느끼고 능동적으로 적성 검사에 임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게임은 단순하고 짧은 시간 내에 종료할 수 있는 플래시 게임일 수 있으나, 아케이드 게임, 육성 시뮬레이션 등 비교적 장시간이 소요되는 게임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비교적 장시간이 소요되는 적성 발견 게임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신뢰성 높은 적성 검사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로부터 단계 S300에서 제공되는 적성 발견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제공되는 적성 발견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피드백을 입력받아야 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특히 적성 발견 게임일 수 있다. 추후 단계 S700에서는 이러한 피드백을 분석하여 최종 적성을 판단하게 된다. 피드백은 적성 발견 프로그램 내에서의 사용자 판단일 수 있으나,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난 소감을 피드백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단계 S300에서 사용자에게 적성 발견 게임이 제공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의 판단 또는 특정한 자극에 대한 반응을 포함하는 피드백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판단에 걸린 시간, 판단 결과, 특정한 자극에 대한 반응 결과, 반응 시간 분석을 포함하는 피드백의 분석을 통해 최종 적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성 발견 게임이 특정 맵을 이동하면서 주어진 미션을 수행하는 아케이드 게임의 형태인 경우, 사용자의 초기 적성에 따라 서로 다른 맵과 미션이 주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맵을 이동하면서 이동 경로의 선택, 미션 수행을 위한 각종 판단 등을 하게 된다. 단계 S400에서는, 이러한 판단 결과, 선택 사항, 판단 또는 선택에 걸린 시간 등을 피드백으로 입력받게 된다. 이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함께 적성 발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협동성, 리더십, 설득 능력 등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적성 발견 시 필요한 피드백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단계 S5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단계 S300에서 제공된 적성 발견 프로그램 및 단계 S400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피드백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적성 발견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피드백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함으로써, 동일 사용자의 적성 발견 서비스 이용 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적성 발견 프로그램 및 피드백을 추후 상세히 설명할 단계 S700의 최종 적성 판단에 반영할 수 있다.
한편, 비교적 장시간이 소요되는 적성 발견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게임 도중 중간에 저장을 하고 나중에 이어서 적성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단계 S500에서 적성 발견 게임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피드백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과 같이 장시간이 소요되는 게임을 이용하여 적성 발견이 가능하며, 다양한 검사 유형에 대한 피드백을 저장함으로써 종합적인 적성 검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단계 S6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단계 S400에서 입력받은 피드백의 분석을 통해 다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600에서 다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이 제공되면, 단계 S40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다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즉, 피드백의 분석을 통해 다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에 의한 분석이 더 필요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또는 피드백의 분석 결과 단계 S200에서의 초기 적성이 잘못 판단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풍부한 피드백을 입력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적성 발견을 할 수 있다.
단계 S7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단계 S400에서 입력받은 피드백의 분석을 통해 최종 적성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는, 제공된 적성 발견 프로그램에 따른 각종 판단 결과, 선택 사항, 판단 또는 선택에 걸린 시간 등을 피드백으로 입력받게 된다. 이러한 피드백을 이용하여, 어떠한 상황에서 어떠한 선택을 했는지, 신속하게 판단하는지 신중하게 판단하는지 여부 등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을 파악하고, 특성을 도출하며, 이러한 성향 또는 특성에 적합한 적성을 최종 적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8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단계 S700에서 판단한 최종 적성을 포함하는 적성 검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적성 검사 결과에는 단계 S700에서 판단한 최종 적성뿐 아니라 피드백 분석 결과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다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이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9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에게 단계 S700의 최종 적성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최종 적성을 판단하여 제공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적성 개발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교육 프로그램을 꾸준히 이용한 다음 다시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적성 검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고, 적성 발견 프로그램 및 교육 프로그램 간 연계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 및 진로 지도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서비스 제공 서버 110: 송수신부
120: 프로그램 저장부 130: 피드백 분석부
140: 데이터베이스
S100: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S200: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초기 적성을 판단하는 단계
S300: 사용자에게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S400: 사용자로부터 적성 발견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는 단계
S500: 적성 발견 프로그램 및 피드백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S600: 피드백의 분석을 통해 다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S700: 피드백의 분석을 통해 최종 적성을 판단하는 단계
S800: 적성 검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S900: 사용자에게 최종 적성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Claims (8)

  1.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적성 발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1)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2)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초기 적성을 판단하는 단계;
    (3)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단계 (2)에서 판단한 초기 적성에 따라 서로 상이한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4)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계 (3)에서 제공하는 적성 발견 프로그램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을 입력받는 단계;
    (5)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계 (4)에서 입력받은 피드백의 분석을 통해 최종 적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6)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계 (5)에서 판단한 최종 적성을 포함하는 적성 검사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피드백의 분석을 통해 다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 (4)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다른 적성 발견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하는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성 발견 프로그램은,
    게임 형태의 적성 발견 게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적성 발견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판단 또는 특정한 자극에 대한 반응을 포함하는 피드백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으며,
    상기 단계 (5)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판단에 걸린 시간, 판단 결과, 특정한 자극에 대한 반응 결과, 반응 시간 분석을 포함하는 피드백의 분석을 통해 최종 적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계 (3)에서 제공된 적성 발견 프로그램 및 상기 단계 (4)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피드백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성 발견 프로그램 및 상기 피드백을 반영하여 최종 적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연령, 성별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 및 검사 유형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초기 적성 판단을 위한 설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설문지에 대한 응답을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하는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7)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단계 (5)의 최종 적성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하는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010289A 2011-02-01 2011-02-01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13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289A KR101213212B1 (ko) 2011-02-01 2011-02-01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289A KR101213212B1 (ko) 2011-02-01 2011-02-01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114A KR20120089114A (ko) 2012-08-09
KR101213212B1 true KR101213212B1 (ko) 2012-12-24

Family

ID=4687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289A KR101213212B1 (ko) 2011-02-01 2011-02-01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359B1 (ko) * 2012-12-13 2018-07-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기술을 이용한 다중지능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877144B1 (ko) * 2016-12-29 2018-08-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육 진로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109942B1 (ko) * 2018-05-17 2020-06-11 주식회사 패러렐월드 가상현실을 이용한 공존 직업 체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723B1 (ko) * 2006-10-16 2007-06-27 경기공업대학 산학협력단 미취업 여성의 교육/취업설계 및 취업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723B1 (ko) * 2006-10-16 2007-06-27 경기공업대학 산학협력단 미취업 여성의 교육/취업설계 및 취업관리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큐머드 인기뉴스. 게임나라닷컴 적성검사게임 SOM4KODS 오픈. [online], 2003.11.07., [2012.01.11. 검색], 인터넷:www.qmud.com/v3.5/game_news_view.htm?no=8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114A (ko)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ökçearslan et al. Modelling smartphone addiction: The role of smartphone usage, self-regulation, general self-efficacy and cyberloafing in university students
Hashim et al. Adult learners' intention to adopt mobile learning: A motivational perspective
KR101656830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진로 탐색 방법 및 장치
Lauria et al. Planning experience and planners’ ethics
Harries et al. Creating your theory of change
Sebastian et al.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a survey based measure of math creativity with math achievement: Cross-national evidence from PISA 2012
KR100816406B1 (ko)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Engelmann et al. Preventing undesirable effects of mutual trust and the development of skepticism in virtual groups by applying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wareness approach
Costa et al. Context and intention-awareness in pois recommender systems
Kim et al. Predicting the drivers of the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in South Korea.
KR101213212B1 (ko)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한 적성 발견 서비스 제공 방법
Wilkins et al. Students’ class perceptions and ratings of instruction: Variability across undergraduate mathematics courses
Mead et al. Scientific aptitude better explains poor responses to teaching of evolution than psychological conflicts
Prabowo et al. Does gamification motivate gig workers? A critical issue in ride-sharing industries
Cutts et al. Early developmental activities and computing proficiency
Ooge et al. Steering recommendations and visualising its impact: effects on adolescents’ trust in e-learning platforms
Crane et al. Out of Industry Into the Classroom: UX as Proactive Academic Practice
Gökçearslan et al. Emotion regulation, e‐learning readiness, technology usage status, in‐class smartphone cyberloafing, and smartphone addiction in the time of COVID‐19 pandemic
KR102306841B1 (ko) 유아동의 방과 후 교육 매칭 방법 및 시스템
Schöbel et al. More than the sum of its parts–Towards identifying preferred game design element combinations in learning management systems
Camargo et al. Studying the implications and impact of smartphones on self-directed learning under a Living Lab approach
Niranjan et al. IMPLICATIONS OF STUDENT INTERVENTION AND ANTECEDENTS ON ACADEMIC MOTIVATION AND SUCCESS.
Heacock At the Beginning of the STEM Pipeline: A Case Study Exploring Preadolescent Female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Perceptions of Scientists, and Developing Career Aspirations
Davis et al. Character development in business education: A comparison of coeducational and single-sex environments
Ma et al. Understanding the pathways of students with normative attitudes in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