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102B1 - 힙업 보조의류 - Google Patents

힙업 보조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102B1
KR101212102B1 KR1020100095222A KR20100095222A KR101212102B1 KR 101212102 B1 KR101212102 B1 KR 101212102B1 KR 1020100095222 A KR1020100095222 A KR 1020100095222A KR 20100095222 A KR20100095222 A KR 20100095222A KR 101212102 B1 KR101212102 B1 KR 101212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
hip
connecting means
muscles
abdo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3614A (ko
Inventor
박정수
Original Assignee
박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수 filed Critical 박정수
Priority to KR1020100095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10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8Abdomin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12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걷기 운동을 할 경우에만 둔부근육 자극부재를 필요에 따라 착용하고 평상시에 의자에 앉은 자세로 일을 할 경우에는 둔분 근육 자극부재를 분리하여 편안하게 4부 팬츠만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둔부근육 자극부재를 착용하여 걷기 운동을 통해 힙모양을 결정 짖는 둔부근육을 자극함에 따라 둔부근육을 생성하고 근육량을 늘려 보조 의류에 포함된 4부 팬츠를 벗은 후에도 힙라인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힙업 보조의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힙업 보조의류는, 상부가 허리와 복부 및 골반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하부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허벅지를 감싸는 양 허벅지부를 포함하는 4부 팬츠와; 상기 몸체부의 전방의 상부에 구비된 제1 암 연결수단과; 상기 허벅지부의 하부 외측 둘레에 측부와 측부의 전,후방으로 위치되게 구비된 제2 암 연결수단과; 상기 제1 암 연결수단에 상부에 구비된 제1 수 연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복부의 전방에 위치됨에 따라 복근 근육을 눌러주는 신축 복부 커버부와, 신축 복부 커버부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둔부근육을 감싸며 하단에 구비된 제2 수 연결수단이 상기 제2 암 연결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걷기를 할 경우에 상기 둔부근육을 자극하여 둔부근육의 근육량을 증가시켜 힙업 효과를 얻는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가 일체로 구성된 둔부근육 자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힙업 보조의류{Hipup supplemental cloth}
본 발명은 힙업 보조의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걷기 운동을 할 경우에만 둔부근육 자극부재를 필요에 따라 착용하고 평상시에 의자에 앉은 자세로 일을 할 경우에는 둔분 근육 자극부재를 분리하여 편안하게 4부 팬츠만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둔부근육 자극부재를 착용하여 걷기 운동을 통해 힙모양을 결정 짖는 둔부근육을 자극함에 따라 둔부근육을 생성하고 근육량을 늘려 보조 의류에 포함된 4부 팬츠를 벗은 후에도 힙라인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힙업 보조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힙업 의류라 함은, 힙의 양측을 들어올려 힙라인을 살려 힙의 볼륨감을 주기 위한 의류를 말하는 것으로, 여러 종류가 알려져 사용중에 있다.
이에 종래에 알려진 힙업 의류들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55652호의 "체형관리용 속옷"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 일예의 체형관리형 속옷은, 엉덩이 하부에 부착된 압박밴드에 의해 엉덩이를 받쳐주게 되므로 몸매를 보다 아름답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일예의 체형관리용 속옷은, 상기 압박밴드가 속옷에 일체로 제봉되어 있음에 따라, 속옷을 입고, 의자에 앉아서 일을 할 경우에는 압박밴드가 엉덩이의 피부를 눌러주게 됨으로써, 착용자에 고통을 주게 되는 불편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일예의 체형관리용 속옷은, 엉덩이를 받혀주어 엉덩이의 모양만을 잡아주는 것으로, 체형 관리용 속옷을 벗고, 일반 속옷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엉덩이를 받쳐주는 기능이 없어 힙업 효과는 전혀 기대할 수가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른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84946호의 "여성용 팬티"가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 다른예의 여성용 팬티는, 팬티에 일체로 제봉된 밴드형 신축섬유를 통해, 전면에서는 복부를 압박할 수 있게 하고 후면에는 둔부 아래 전체를 감싸줄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신축섬유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팬티의 앞뒤를 돌아 봉제되어 상기 신축섬유의 탄력으로 복부는 압박하고 둔부는 상측으로 끌어 당겨 올려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다른예의 여성용 팬티도, 상술한 일예의 체령관리용 속옷과 마찬가지로, 밴드형 신축섬유가 팬티에 일체로 제봉되어 있음에 따라, 팬티를 입고 의장에 앉아서 일을 할 경우에는 신축섬유가 둔부의 피부를 눌러주게 됨으로써, 착용자에게 고통을 주게 되는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다른예의 여성용 팬티도, 둔부를 받혀주어 엉덩이의 모양만을 잡아주는 것으로, 체형 관리용 속옷을 벗고, 일반 속옷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엉덩이를 받쳐주는 기능이 없어 힙업 효과는 전혀 기대할 수가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55652호의 "체형관리용 속옷"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84946호의 "여성용 팬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걷기 운동을 할 경우에만 둔부근육 자극부재를 필요에 따라 착용하고, 평상시에 의자에 앉은 자세로 일을 할 경우에는 둔분 근육 자극부재를 분리하여 편안하게 4부 팬츠만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힙업 보조의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를 통해 힙라인을 형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둔부근육을 자극함으로써, 둔부근육을 생성하고 근육량을 늘이기 때문에 보조 의류에 포함된 4부 팬츠를 벗은 후에도 힙라인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힙업 보조의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또 다른 목적은, 벨크로테이프의 부착을 통해 복근과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의 상부를 밀착되게 함으로써, 걸을 때 복근의 팽창력이 둔부근육 자극부재의 양측 근육 자극띠부에 저항으로 전달되어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를 반복적으로 당겨줄 수 있도록 하는 힙업 보조의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둔부근육 자극부재를 구성하는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의 하부와 4부 팬츠의 허벅지부의 하부 외측 둘레를 부착 고정함으로써, 걸을 때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가 둔부근육을 감싸면서 밀착되게 함에 따라, 둔부근육의 자극 효과를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힙업 보조의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허벅지 고정띠를 더 구비하여 상기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에서 근육을 자극할 경우에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근육 자극을 가능하게 하는 힙업 보조의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축성을 가진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를, 다수의 암,수 고리들을 통해 4부 팬측의 몸체부의 상부와 허벅지의 하부 양측 둘레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힙업 보조의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근 커버띠를 더 구비하여 복근과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걸을 때 복근의 팽창력으로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를 당겨주는 힘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걷기 운동중 4부 팬츠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힙업 보조의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복근 커버띠를 더 구비하여 복근과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걷기 운동시, 즉 보행시 상기 복근 커버띠의 밀착력으로 인하여 다리가 뒤로 갈 때 둔부근육 자극부재에 저항이 발생됨에 따라, 그 영향으로 둔부근육은 물론 허리 근육이 함께 자극될 수 있도록 하는 힙업 보조의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축 근육 자극띠부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정함에 따라,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합당하게 신축 근육 자극띠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힙업 보조의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힙업 보조의류는, 상부가 허리와 복부 및 골반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하부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허벅지를 감싸는 양 허벅지부를 포함하는 4부 팬츠와; 상기 몸체부의 전방의 상부에 구비된 제1 암 연결수단과; 상기 허벅지부의 하부 외측 둘레에 측부와 측부의 전,후방으로 위치되게 구비된 제2 암 연결수단과; 상기 제1 암 연결수단에 상부에 구비된 제1 수 연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복부의 전방에 위치됨에 따라 복근 근육을 눌러주는 신축 복부 커버부와, 신축 복부 커버부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둔부근육을 감싸며 하단에 구비된 제2 수 연결수단이 상기 제2 암 연결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걷기를 할 경우에 상기 둔부근육을 자극하여 둔부근육의 근육량을 증가시켜 힙업 효과를 얻는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가 일체로 구성된 둔부근육 자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4부 팬츠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 전방인 복근을 감싸는 부분의 전방에 구비된 복근 암 벨크로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는, 상기 신축 복부 커버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근 암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어 걷기를 할 경우에 복근 근육의 팽창력이 상기 양측의 신축 근육 자극띠부로 전달되어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를 당기는 복근 수 벨크로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4부 팬츠는, 상기 양 허벅지부의 하부 외측 둘레에 구비된 하부 암 벨크로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는, 상기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의 하부 내측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하부 암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어 걷기 운동을 할 경우에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가 둔부근육을 감싸면서 밀착되게 하는 하부 수 벨크로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암 벨크로테이프의 길이는 상기 하부 수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된 후 일부가 노출되게 상기 신축 근육 자극띠부의 양측 폭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4부 팬츠는, 상기 양 허벅지부의 각각의 후방에서 돌출되어 허벅지를 감싸는 허벅지 고정띠와, 상기 각각의 허벅지부의 단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암 벨크로테이프의 나머지 노출부분에 부착되는 고정 수 벨크로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암 연결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전방 외측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상부 암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 연결수단은 상기 신축 복부 커버부의 내측 상부에 제봉을 통해 구비되어 걷기를 할 경우에 신축성을 가진 둔부근육 자극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암 연결수단의 상부 암 고리들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상부삽입 상부 수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암 연결수단은 상기 각각의 허벅지부의 하부 외측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하부 암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 연결수단은 상기 신축 근육 자극띠부의 내측 하부에 제봉을 통해 구비되어 걷기를 할 경우에 신축성을 가진 둔부근육 자극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암 연결수단의 하부 암 고리들에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하부삽입 하부 수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4부 팬츠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으로 돌출 구비되어 복근을 감싸는 양측 복근 커버띠와, 양측 복근 커버띠 중 하나의 단부 외측에 구비된 상부 암 벨크로테이프와, 상기 양측 복근 커버띠 중 다른 하나의 단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부 상기 암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어 걷기를 할 경우에 4부팬츠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상부 수 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 근육 자극띠부는, 중간이 나누어져 구성된 상부측 단부 및 하부측 단부와, 상기 상부측 단부와 하부측 단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길이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 조정수단은; 상기 하부측 단부에 제봉을 통해 구비된 연결된 중간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측 단부를 상부 개방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끼운 다음 하부 개방부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우는 과정을 통해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 사각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힙업 보조의류는, 둔부근육 자극부재를 걷기 운동을 할 경우에만 필요에 따라 착용하고, 평상시에 의자에 앉은 자세로 일을 할 경우에는 둔분 근육 자극부재를 분리하여 편안하게 4부 팬츠만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앉은 자세에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둔부근육 자극부재를 착용하여 걷기 운동을 통해 힙모양을 결정 짖는 둔부근육을 자극함에 따라, 둔부근육을 생성하고 근육량을 늘려 4부 팬츠를 벗은 후에도 힙라인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장기적인 힙업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걷기 운동중 둔부근육을 자극하여 일반적인 보행시 칼로리 소비보다 높은 칼로리를 소모시킬 수 있도록 하여 체중 감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벨크로테이프의 부착을 통해 복근과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의 상부를 밀착되게 함으로써, 걸을 때 복근의 팽창력이 둔부근육 자극부재의 양측 근육 자극띠부에 저항으로 전달되어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를 반복적으로 당겨줌에 따라, 둔부근육의 자극 효과를 좀더 향상시켜 근육량을 빠르게 증가 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둔부근육 자극부재를 구성하는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의 하부와 4부 팬츠의 허벅지부의 하부 외측 둘레를 부착 고정하여 걸을 때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가 둔부근육을 감싸면서 밀착되게 함에 따라, 둔부근육의 자극 효과를 좀더 향상시킴으로써, 힙업 효과를 좀더 빠르게 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허벅지 고정띠를 더 구비하여 상기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에서 근육을 자극할 경우에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근육 자극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양 쪽의 힙이 균일하게 힙업이 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신축성을 가진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를 다수의 암,수 고리들을 통해 4부 팬측의 몸체부의 상부와 허벅지의 하부 양측 둘레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둔부근육 자극부재를 착용한 상태에서 걷기 운동을 할 경우에 둔부근육 자극부재가 신축되어 이탈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힙업 보조의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복근 커버띠를 더 구비하여 복근과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걸을 때 복근의 팽창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를 당겨주는 힘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걷기 운동중 4부 팬츠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걷기 운동시 상기 복근 커버띠의 밀착력으로 인하여 다리가 뒤로 갈 때 둔부근육 자극부재에 저항이 발생됨에 따라 그 영향으로 둔부근육은 물론 허리 근육이 함께 자극되게 함으로써, 힙업 효과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신축 근육 자극띠부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정함에 따라 신체조건과 관계없이 누구나 호환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아울러 신축 근육 자극띠부의 길이 조정을 통해 사용자에 맞추어 둔부근육의 자극 정도를 단계별로 조정함으로써, 무리한 과사용으로 인하여 둔부근육이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힙업 보조의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4부 팬츠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커버띠와 허벅지 커버띠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힙업 보조의류를 착용한 상태의 후방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힙업 보조의류를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힙업 보조의류를 착용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둔부 근윤 자극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힙업 보조의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4부 팬츠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커버띠와 허벅지 커버띠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힙업 보조의류를 착용한 상태의 후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한 힙업 보조의류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몸체부(11)와 양측 허벅지부(13)를 포함하는 4부 팬츠(1)를 포함하며, 상기 4부 팬츠(1)를 구성하는 몸체부(11)의 상부에 구비된 제1 암 연결수단(2)과, 상기 각 허벅지부(13)의 하부 외측 둘레에 구비된 제2 암 연결수단(3)과, 상기 제1,2 암 연결수단(2)(3)에 분리 가능하게 제1,2 수 연결수단(5)(6)으로 고정되어 걷기 운동을 할 경우에 양측의 둔부근육을 자극하여 둔부근육의 근육량을 증가시켜 힙업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둔부근육 자극부재(4)를 포함한다.
상기 4부 팬츠는, 상부에 허리와 복부 및 골반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된 상기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하부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허벅지를 감싸는 양 허벅지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암 연결수단(2)은, 상기 몸체부(11)의 전방의 상부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몸체부(11)의 전방 외측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상부 암 고리(21)를 포함한다. 즉 상기 상부 암 고리(21)는 긴 띠가 제봉을 통해 상기 몸체부(11)에 제봉되어 있음에 따라, 제봉부의 사이마다 간격으로 두고 다수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암 연결수단(3)은, 상기 허벅지부(13)의 하부 외측 둘레에 측부와 측부의 전,후방으로 위치되게 구비된 것으로, 상기 각각의 허벅지부(13)의 하부 외측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하부 암 고리(31)를 포함한다. 즉 상기 하부 암 고리(31)는 긴 띠가 제봉을 통해 상기 허벅지부(13)에 제봉되어 있음에 따라, 제봉부의 사이마다 간격으로 두고 다수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4)는, 상기 제1 암 연결수단(2)에 상부에 구비된 제1 수 연결수단(5)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복부의 전방에 위치됨에 따라 복근 근육을 눌러주는 신축 복부 커버부(41)와, 신축 복부 커버부(41)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둔부근육을 감싸며 하단에 구비된 제2 수 연결수단(6)이 상기 제2 암 연결수단(3)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걷기를 할 경우에 상기 둔부근육을 자극하는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신축 근육 자극띠부(42)는, 상기 둔부근육의 자극을 통해 근육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힙업 보조의류를 벗더라도 힙라인을 계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 연결수단(5)은 상기 신축 복부 커버부(41)의 내측 상부에 제봉을 통해 구비되어 걷기를 할 경우에 신축성을 가진 둔부근육 자극부재(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암 연결수단(2)의 상부 암 고리(21)들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상부 수 고리(5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수 연결수단(6)은 상기 신축 근육 자극띠부(42)의 내측 하부에 제봉을 통해 구비되어 걷기를 할 경우에 신축성을 가진 둔부근육 자극부재(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암 연결수단(3)의 하부 암 고리(31)들에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하부 수 고리(6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4)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걷기 운동을 할 경우에만 필요에 따라 둔부근육 자극부재(4)를 착용함으로써, 둔부근육을 자극시켜 힙업 효과를 얻수 있는 한편, 평상시에 의자에 앉은 자세로 일을 할 경우에는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4)를 분리시키고 4부 팬츠(1)만 착용한 상태에서 의자에 앉을 수 있게 함으로써, 불편함이 없이 편안한 자세로 의자에 앉아 일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힙업 보조의류를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힙업 보조의류를 착용한 상태의 측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둔부근육 자극부재(4)를 4부 팬츠(1)에 착용한 상태에서 걷기 운동을 진행함으로써, 힙모양을 결정 짖는 둔부근육을 자극한다.
즉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4)를 구성하는 신축 근육 자극띠부(42)를 통해 둔부근육을 생성하여 근육량을 늘릴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둔부근육의 근육량을 늘림에 따라 힙라인을 만듦으로써, 보조 의류에 포함된 4부 팬츠를 벗은 후에도 힙라인이 그래도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둔부근육을 자극함에 따라, 장기적인 힙업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더불어 걷기 운동 중 둔부근육을 자극하여 일반적인 보행시 칼로리 소비보다 높은 칼로리를 소모시킴으로써 체중 감량에 도움을 주는 장점도 있다.
한편, 신축성을 가진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4)를 다수의 암,수 고리들을 통해 4부 팬츠(1)의 몸체부(11)의 상부와 허벅지부(13)의 하부 양측 둘레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둔부근육 자극부재(4)를 착용한 상태에서 걷기 운동을 할 경우에 둔부근육 자극부재(4)가 신축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힙업 보조의류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4부 팬츠(1)는, 상기 몸체부(11)의 상부 전방인 복근을 감싸는 부분의 전방에 구비된 복근 암 벨크로테이프(111)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4)는, 상기 신축 복부 커버부(4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근 암 벨크로테이프(111)에 부착되어 걷기 운동을 할 경우에 복근 근육의 팽창력이 상기 양측의 신축 근육 자극띠부(42)에 저항으로 전달되어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를 반복적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하는 복근 수 벨크로테이프(411)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복근 암 벨크로테이프(111)와 복근 수 벨크로테이프(411)의 부착을 통해 사용자의 복근과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4)의 신축 복부 커버부(41)를 밀착되게 함으로써, 걸을 때 복근의 팽창력을 둔부근육 자극부재의 양측 근육 자극띠부로 저항으로 전달되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저항으로 작용되는 복근력으로 인하여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가 반복적으로 당겨짐에 따라, 둔부근육의 자극 효과를 좀더 향상시켜 근육량을 빠르게 증가시킴으로써, 힙업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4부 팬츠(1)는, 상기 양 허벅지부(13)의 하부 외측 둘레에 구비된 하부 암 벨크로테이프(131)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4)는, 상기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암 벨크로테이프(131)에 부착되어 걷기를 할 경우에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가 둔부근육을 감싸면서 밀착되게 하는 하부 수 벨크로테이프(421)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4)를 구성하는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의 하부와 4부 팬츠(1)의 허벅지부(13)의 하부 외측 둘레를 견고하게 부착 고정함으로써, 걸을 때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가 둔부근육을 감싸면서 밀착되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가 둔부근육을 감싸면서 밀착됨으로써, 둔부근육의 자극 효과를 좀더 향상시켜 힙업 효과를 좀더 빠르게 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암 벨크로테이프(131)의 길이는 상기 하부 수 벨크로테이프(421)가 부착된 후 일부가 노출되게 상기 신축 근육 자극띠부(42)의 양측 폭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4부 팬츠(1)는, 상기 양 허벅지부(13)의 각각의 후방에서 돌출되어 허벅지를 감싸는 허벅지 고정띠(14)와, 상기 각각의 허벅지부(13)의 단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암 벨크로테이프(131)의 나머지 노출부분에 부착되는 고정 수 벨크로테이프(141)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허벅지 고정띠(14)를 더 구비함에 따라, 상기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에서 근육을 자극할 경우에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근육 자극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양 쪽의 힙이 균일하게 힙업이 될 수 있게 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4부 팬츠(1)는, 상기 몸체부(11)의 양측으로 돌출 구비되어 복근을 감싸는 양측 복근 커버띠(12)와, 양측 복근 커버띠 중 하나의 단부 외측에 구비된 상부 암 벨크로테이프(121)와, 상기 양측 복근 커버띠(12) 중 다른 하나의 단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암 벨크로테이프(121)에 부착되는 상부 수 벨크로테이프(12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복근 커버띠(12)를 더 구비하여 복근과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4)의 밀착력을 좀더 향상시킴으로써, 걸을 때 복근의 팽창력으로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를 당겨주는 힘인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걷기 운동중 4부 팬츠(1)가 복부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힙업 효과가 저감되는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복근 커버띠(12)를 더 구비하여 복근과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4)의 밀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걷기 운동시, 즉 보행시 상기 복근 커버띠의 고정력으로 인하여 다리가 뒤로 갈 때 둔부근육 자극부재에 저항이 발생됨에 따라 그 영향으로 둔부근육은 물론 허리 근육이 함께 자극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걷기 운동시 다리가 뒤로 가는 과정에서 허리 근육을 함께 자극함에 따라, 다리가 뒤로 갈 때도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를 당겨주는 힘인 저항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힙업 효과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동시에 허리 근육을 보강하는 장점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둔부 근윤 자극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둔부 근육 자극부재는, 신축 근육 자극띠부를 제외한 타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슨 실시예의 둔부 근육 자극부재를 구성하는 신축 근육 자극띠부(42)는, 중간이 나누어져 구성된 상부측 단부(43)와 하부측 단부(44)와, 상기 상부측 단부(43)와 하부측 단부(44)를 상호 연결하면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길이 조정수단(4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 조정수단(45)은, 상기 하부측 단부(44)에 제봉을 통해 구비된 연결된 중간대(452)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 조정수단(45)은 상기 상부측 단부(43)를 상부 개방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끼운 다음 하부 개방부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우는 과정을 통해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 사각링(451)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길이 조정수단(45)을 통해 신축 근육 자극띠부(42)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정함에 따라 신체조건과 관계없이 누구나 호환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둔부 근육 자극부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신축 근육 자극띠부(42)의 길이 조정을 통해 사용자에 힙업 정도에 맞추어 둔부근육의 자극 정도를 단계별로 조정할 수도 있게 한다. 그러므로 힙업정도와 맞지 않게 무리한 과사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둔부근육이 손상을 미연에 예방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힙업 보조의류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4부 팬츠
11 : 몸체부
111 : 복근 암 벨크로테이프
12 : 복근 커버띠
121 : 상부 암 벨크로테이프, 122 : 상부 수 벨크로테이프
13 : 허벅지부
131 : 하부 암 벨크로테이프
14 : 허벅지 고정띠
141 : 고정 수 벨크로테이프
2 : 제1 암 연결수단
21 : 상부 암 고리
3 : 제2 암 연결수단
31 : 하부 암 고리
4 : 둔부근육 자극부재
41 : 신축 복부 커버부
411 : 복근 수 벨크로테이프
42 : 신축 근육 자극띠부
421 : 하부 수 벨크로테이프
43 : 상부측 단부
44 : 하부측 단부
45 : 길이 조정수단
451 : 길이 조정 사각링, 452 : 중간대
5 : 제1 수 연결수단
51 : 상부 수 고리
6 : 제2 수 연결수단
61 : 하부 수 고리

Claims (8)

  1. 상부가 허리와 복부 및 골반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된 몸체부(11)와 몸체부(11)의 하부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허벅지를 감싸는 양 허벅지부(13)를 포함하는 4부 팬츠(1)와;
    상기 몸체부(11)의 전방의 상부에 구비된 제1 암 연결수단(2)과;
    상기 허벅지부(13)의 하부 외측 둘레에 측부와 측부의 전,후방으로 위치되게 구비된 제2 암 연결수단(3)과;
    상기 제1 암 연결수단(2)에 상부에 구비된 제1 수 연결수단(5)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복부의 전방에 위치됨에 따라 복근 근육을 눌러주는 신축 복부 커버부(41)와, 신축 복부 커버부(41)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둔부근육을 감싸며 하단에 구비된 제2 수 연결수단(6)이 상기 제2 암 연결수단(3)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걷기를 할 경우에 상기 둔부근육을 자극하여 둔부근육의 근육량을 증가시켜 힙업 효과를 얻는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가 일체로 구성된 둔부근육 자극부재(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업 보조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부 팬츠(1)는, 상기 몸체부(11)의 상부 전방인 복근을 감싸는 부분의 전방에 구비된 복근 암 벨크로테이프(1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4)는, 상기 신축 복부 커버부(4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근 암 벨크로테이프(111)에 부착되어 걷기를 할 경우에 복근 근육의 팽창력이 상기 양측의 신축 근육 자극띠부(42)로 전달되어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를 당기는 복근 수 벨크로테이프(4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업 보조의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4부 팬츠(1)는, 상기 양 허벅지부(13)의 하부 외측 둘레에 구비된 하부 암 벨크로테이프(1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둔부근육 자극부재(4)는, 상기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의 하부 내측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하부 암 벨크로테이프(131)에 부착되어 걷기 운동을 할 경우에 양 신축 근육 자극띠부(42)가 둔부근육을 감싸면서 밀착되게 하는 하부 수 벨크로테이프(4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업 보조의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암 벨크로테이프(131)의 길이는 상기 하부 수 벨크로테이프(421)가 부착된 후 일부가 노출되게 상기 신축 근육 자극띠부(42)의 양측 폭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4부 팬츠(1)는, 상기 양 허벅지부(13)의 각각의 후방에서 돌출되어 허벅지를 감싸는 허벅지 고정띠(14)와, 상기 각각의 허벅지부(13)의 단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암 벨크로테이프(131)의 나머지 노출부분에 부착되는 고정 수 벨크로테이프(1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업 보조의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 연결수단(2)은 상기 몸체부(11)의 전방 외측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상부 암 고리(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 연결수단(5)은 상기 신축 복부 커버부(41)의 내측 상부에 제봉을 통해 구비되어 걷기를 할 경우에 신축성을 가진 둔부근육 자극부재(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암 연결수단(2)의 상부 암 고리(21)들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상부삽입 상부 수 고리(5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암 연결수단(3)은 상기 각각의 허벅지부(13)의 하부 외측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하부 암 고리(3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 연결수단(6)은 상기 신축 근육 자극띠부(42)의 내측 하부에 제봉을 통해 구비되어 걷기를 할 경우에 신축성을 가진 둔부근육 자극부재(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암 연결수단(3)의 하부 암 고리(31)들에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하부삽입 하부 수 고리(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업 보조의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부 팬츠(1)는,
    상기 몸체부(11)의 양측으로 돌출 구비되어 복근을 감싸는 양측 복근 커버띠(12)와,
    양측 복근 커버띠(12) 중 하나의 단부 외측에 구비된 상부 암 벨크로테이프(121)와,
    상기 양측 복근 커버띠(12) 중 다른 하나의 단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부 상기 암 벨크로테이프(121)에 부착되어 걷기를 할 경우에 4부팬츠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상부 수 벨크로테이프(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업 보조의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근육 자극띠부(42)는,
    중간이 나누어져 구성된 상부측 단부(43) 및 하부측 단부(44)와,
    상기 상부측 단부(43)와 하부측 단부(44)를 상호 연결하면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길이 조정수단(4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업 보조의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정수단(45)은;
    상기 하부측 단부(44)에 제봉을 통해 구비된 연결된 중간대(45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측 단부(43)를 상부 개방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끼운 다음 하부 개방부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우는 과정을 통해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 사각링(4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업 보조의류.
KR1020100095222A 2010-09-30 2010-09-30 힙업 보조의류 KR101212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222A KR101212102B1 (ko) 2010-09-30 2010-09-30 힙업 보조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222A KR101212102B1 (ko) 2010-09-30 2010-09-30 힙업 보조의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614A KR20120033614A (ko) 2012-04-09
KR101212102B1 true KR101212102B1 (ko) 2012-12-13

Family

ID=4613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222A KR101212102B1 (ko) 2010-09-30 2010-09-30 힙업 보조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1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21987A1 (fr) 1996-11-22 1998-05-28 Kabushiki Kaisha With Sous-vetement feminin dote d'une fonction de correction de l'abdomen et de la region fessiere
US7143453B2 (en) 1999-12-30 2006-12-05 Intermarketing Express, Inc. Reinforced undergarment
KR200448514Y1 (ko) 2009-11-11 2010-04-21 임문상 체형 교정을 위한 속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21987A1 (fr) 1996-11-22 1998-05-28 Kabushiki Kaisha With Sous-vetement feminin dote d'une fonction de correction de l'abdomen et de la region fessiere
US7143453B2 (en) 1999-12-30 2006-12-05 Intermarketing Express, Inc. Reinforced undergarment
KR200448514Y1 (ko) 2009-11-11 2010-04-21 임문상 체형 교정을 위한 속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614A (ko)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4564A (en) Undergarment with natural feeling buttock support
US6258014B1 (en) Exercise kit and method of using same
US8087094B2 (en) Shirt having form-fitting mid-section support
US8516614B2 (en) Shirt having form-fitting mid-section support
CA2350567C (en) Buttocks support device
KR101036795B1 (ko) 신축성밴드를 이용한 힙업용 속옷
US5902170A (en) Body shaping undergarment
US6422917B1 (en) Therapeutic brassiere
US20060183968A1 (en) Article of clothing with a novel attachment means
US20180317562A1 (en) Neutral Spine Support Garment
JP2008002035A (ja) インナー
KR101291565B1 (ko) 벨트가 부착된 탈착형 히퍼지어
KR101528567B1 (ko) 가슴보정 기능을 갖는 여성용 런닝셔츠
KR101212102B1 (ko) 힙업 보조의류
US20220132943A1 (en) Riding pants
JP5602496B2 (ja) 尿失禁改善パンツ
KR20210058632A (ko)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JP3143285U (ja) 男性用下着
KR20120002087U (ko) 몸매 및 자세교정 란제리
CN219645084U (zh) 一种束腰胸衣
CN210612305U (zh) 用于健身康复牵引床的腰腿套
CN220024209U (zh) 一种塑形瑜伽裤
CN210471048U (zh) 一种脊柱矫正用内衣
CN217184894U (zh) 一种塑身衣物
KR200492583Y1 (ko) 여성용 바디 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