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564B1 -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564B1
KR101210564B1 KR1020070137709A KR20070137709A KR101210564B1 KR 101210564 B1 KR101210564 B1 KR 101210564B1 KR 1020070137709 A KR1020070137709 A KR 1020070137709A KR 20070137709 A KR20070137709 A KR 20070137709A KR 101210564 B1 KR101210564 B1 KR 101210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ime
time management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9890A (ko
Inventor
김웅겸
Original Assignee
전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옥 filed Critical 전영옥
Priority to KR102007013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5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은, 사용자의 착석여부를 검출하여 상태정보를 생성/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도킹장치에 연결된 경우 상태정보와 통계정보를 상기 도킹장치로 출력하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 책상, 책꽂이, 의자, 개인용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의 작업공간 또는 공부공간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 통계정보를 수신하여 내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도킹장치; 및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 상기 도킹장치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도킹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 통계정보를 수신하여 구조화하여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시간 또는 공부시간을 측정하고 관련된 통계정보를 사용자, 관리자, 학부모 등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작업시간 또는 공부시간에 따라 작업공간 또는 공부공간에 구비된 외부기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70137709
시간측정, 업무시간관리, 공부시간관리, 스케쥴관리

Description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Management system with portable-apparutus for hour-management}
본 발명은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착석여부를 정확히 판단하여 사용자의 업무시간 또는 공부시간을 정확히 측정하고, 관련된 통계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무를 하거나 공부를 하는 경우 의자 또는 방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의자에 착석한 상태나 의자에서 이석한 시간 등을 산정하거나 실질적으로 업무나 공부에 집중하는 시간을 체크하는 것은 귀찮거나 일일이 체크하기란 어려운 것이다.
특히, 의자에 착석한 상태라 하더라도 업무나 공부에 전념하지 않고 엎드려 자거나 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업무나 공부에 전념하여 실질적으로 얼마나 효율적으로 자신이 시간을 관리하는 지는 점검하기가 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개인이 주로 하루 일과 중 대부분을 보내는 의자에서 실제로 착석하여 자기 업무나 공부 등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집중적으로 하는지를 체크하여 개인 시간을 관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고 이를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면 편리하게 이용될 것이다.
한편, 종래에 사무실이나 도서관 등에서 생활하는 업무자나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메모, 시간표, 달력시계, 연간 스케쥴 달력, 계산기능, 단위 환산, 개인 정보 등의 기능을 가진 PDA나 기타 전자수첩, 탁상 용품 등은 나와 있으나, 의자 등에 착석하여 작업이나 공부를 하면서 소요되는 시간을 관리하는 기능을 가진 제품은 나와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이 착석하는 의자에 착석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술한 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상태데이터를 수신하여 통계처리하여 표시하는 관리장치부로 구성된 시간관리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시간관리장치의 경우 고정된 좌석에 설치되어 운영되므로 항상 동일한 장소에서 공부를 하거나 업무를 보는 경우에만 활용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센서부와 관리장치부가 별도로 구성되어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므로 장치의 생산단가가 높으며 오작동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시간관리장치의 경우 단순하게 착석하고 있는 시간만을 측정하여 알려줄 수 있을 뿐, 사용자가 업무시간 또는 공부시간 등에 대한 목표 를 세우고 목표달성여부를 체크하거나 목표달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효율적인 업무시간 또는 공부시간 관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시간관리장치의 경우 단순하게 시간만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을 뿐,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 또는 공부하는 사람의 작업시간, 공부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작업장소 또는 공부장소를 제어/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업무시간 또는 공부시간을 정확히 측정하며, 관련된 통계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하여 작업공간 또는 공부공간의 주변기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작업시간 또는 공부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통계정보를 사용자와 관리자, 부모님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착석여부를 검출하여 상태정보를 생성/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도킹장치에 연결된 경우 상태정보와 통계정보를 상기 도킹장치로 출력하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 책상, 책꽂이, 의자, 개인용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의 작업공간 또는 공부공간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 통계정보를 수신하여 내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도킹장치; 및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 상기 도킹장치의 식 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도킹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 통계정보를 수신하여 구조화하여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상술한 도킹장치는,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에 연결되는 도킹장치 인터페이스부; 내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도킹장치를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도킹장치 운영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 통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도킹장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도킹장치는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가 접속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작업시작정보 또는 공부시작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작업종료정보 또는 공부종료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킹장치 인터페이스부에는 조명기구, 냉난방기구, 개인용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연결장치가 연결되며, 상기 도킹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상태정보,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또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연결장치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기구, 냉난방기구, 개인용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연결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킹장치는 연결된 연결장치의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도킹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연결장치 상태정보를 이용해 상기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관리서버는 외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외부 단말기로부터 시간관리 통계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요청에 해당되는 시간관리 통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킹장치가 포함된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내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술한 관리서버는 상태정보, 통계정보, 관리자의 조작 또는 외부 통신망을 이용해 접속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감시 카메라를 제어하여 작업자(학생)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는, 사용자의 착석여부를 검출하여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감지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시간관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통계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 외부 정보통신기기 또는 상기 도킹장치에 연결되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시간관리장치의 조작에 필요한 사용자인터페이스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통계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시간관리장치 동작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저장공간으로 이용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통계정보는 단위기간별 작업(공부)시간정보, 단위기간 당 평균이석횟수, 1회 착석시 평균 작업(공부)시간정보, 선택기간의 총 작업(공부)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시간 또는 일정정보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목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상태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목표정보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목표달성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알림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는 상기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저장된 사용자의 목표 달성에 필요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단위시간별로 상기 알림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에 따르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시간 또는 공부시간을 측정하고 관련된 통계정보를 사용자, 관리자,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작업시간 또는 공부시간을 측정하여, 작업 공간 또는 공부공간의 주변기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은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 도킹장치(130), 내부 통신망(140), 관리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는 사용자의 착석여부를 검출하여 상태정보를 생성/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도킹장치(130)에 연결된 경우 상태정보와 통계정보를 도킹장치(130)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는 독립하여 사용되어 사용자의 작업시간 또는 공부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작업시간정보 또는 공부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통계정보를 제공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가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는 사용자가 책상, 책꽂이, 책장 등의 작업공간 또는 공부공간의 일정한 위치에 시간관리장치(100)를 두고 작업(공부)시간 측정을 시작하면 사용자의 착석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작업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표시하 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작업시간에 관련된 통계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130)에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의 일 구성요소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와 도킹장치(130)는 케이블 또는 착탈부재를 이용하여 결합,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가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130)에 연결되는 경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는 사용자의 착석여부에 따라 생성되는 상태정보를 도킹장치(130)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의 상세한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는 도 2a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킹장치(130)는 책상, 책꽂이, 의자, 개인용 컴퓨터 등 사용자의 작업공간 또는 공부공간에 존재하는 다양한 가구, 주변기기 등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며, 상술한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에 연결되어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 통계정보를 수신하여 내부 통신망(140)을 통해 연결된 관리서버(150)로 전송하게 된다. 도킹장치(130)는 전술한 시간관리장치(100)와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으며, 도킹장치(130)에 시간관리장치(100)의 착탈이 가능한 일정한 결합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시간관리장치(100)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부는 핸드폰 충전기의 핸드폰 결합부와 같은 방식 또는, 내부의 일정한 공간으로 슬라이딩 가이드를 통해 시간관리장치(1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결합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도킹장치(130)의 상세한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는 도 2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관리서버(150)는 내부 통신망을 통해 도킹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 통계정보를 수신하여 구조화하여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하고,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상태정보 또는 통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2)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관리서버(150)에는 상술한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 도킹장치(130)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식별정보를 이용해 사용자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시간관리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를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간관리장치(100)는 시간관리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가 연관되어 식별부호가 부여되며, 도킹장치(130)는 도킹장치(130)가 설치된 작업공간 또는 공부공간 정보가 연관되어 식별부호가 부여되며,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150)는 시간관리장치(100)의 식별부호를 통해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구분하며, 도킹장치(130)의 식별부호를 이용하여 도킹장치(130)가 설치된 공간을 인식하고, 또한, 도킹장치(130)의 식별부호를 이용하여 내부 통신망(140)을 통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식별부호를 부여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일 뿐, 상술한 방식 이외의 다양한 방식의 식별부호 부여 및 이용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는 일종의 출퇴근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킹장치(130)는 일일별로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의 접속여부를 판단하여,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가 접속되는 경우(또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작업시작정보 또는 공부시작정보를 관리서버(150)로 전송하고,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또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작업종료정보 또는 공부종료정보를 관리서버(150)로 전송하게 된다. 도킹장치(130)로부터 작업시작정보가 전송되면 관리서버(150)는 해당 시간관리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출근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킹장치(130)로부터 작업종료정보가 전송되면 관리서버(150)는 해당 시간관리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베이스(152)에 해당 사용자의 출퇴근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출퇴근 판단기능은 도킹장치(130)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관리서버(150)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은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작업공간 또는 공부공간에 존재하는 조명기구, 냉난방기구, 개인용 컴퓨터 등의 다양한 전기/전자적 제어가 가능한 연결장치(132)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130)에는 조명기구, 냉난방기구, 개인용 컴퓨터 등의 연결장치(132)가 연결되며, 도킹장치(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상태정보,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또는 관리서버(150)로부터 전송되는 연결장치 제어명령에 따라 연결장치(132)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장치(132)의 제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130)에는 연결장치(132)를 인식하고, 연결장치(132)의 제어명령 생성 및 상태검출이 가능한 연결장치(132) 드라 이버가 설치된다. 조명기구, 냉난방기구, 개인용 컴퓨터 등의 다양한 전기/전자적 제어가 가능한 연결장치(132)의 상태검출과 제어에 관련해서는 이미 공지된 기술을 채택하고 있는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130)는 연결된 연결장치(132)의 상태를 검출하여 관리서버(150)로 전송하며, 관리서버(150)는 도킹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연결장치 상태정보를 이용해 연결장치(132)의 작동상태를 판단하고, 이상상태 또는 고장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동시에 이상상태 또는 고장상태에 대응되는 적절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연결장치(132)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도킹장치(1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150)는 외부 통신망(160)을 통해 접속된 외부 단말기(170)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시간관리 통계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요청에 해당되는 시간관리 통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2)로부터 추출하여 외부 단말기(17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150)는 외부에서 접속하는 외부 단말기(170)에 시간관리 통계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증에 성공한 사용자(관리자, 학부모)에게 저장된 특정 사용자의 단위기간별 작업(공부)시간정보, 단위기간 당 평균이석횟수, 1회 착석시 평균 작업(공부)시간정보, 선택기간의 총 작업(공부)시간정보, 목표설정 정보 및 목표달성정보 등의 시간관리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킹장치(130)가 포함된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 를 내부 통신망(140)을 통해 연결된 관리서버(150)로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용되는 감시 카메라(180)는 내부 통신망(140)을 통해 관리서버(150)와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카메라가 이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통신을 위한 고유 식별부호가 부여되어 관리서버(15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180)는 촬영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감시 카메라(180)는 일정한 고정지지대 상에 설치되며, 감시 카메라(180)는 고정지지대 상에서 설정에 따라 상하좌우로 촬영방향을 조절하여 설정에 따라 촬영대상을 변경하여 해당되는 도킹장치(130)가 포함된 영역의 다수의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정보를 관리서버(15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180)는 관리서버(15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명령에 따라 촬영방향을 조절하여 촬영대상을 변경하거나, 줌인/줌아웃 기능 등의 다양한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150)는 특정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특정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자리비움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상술한 감시 카메라(180)를 제어하여 해당되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가 설치된 도킹장치(130)의 설치영역을 촬영하여 사용자(작업자)의 작업여부 또는 공부여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150)에 외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 단 말기(170)를 조작하는 관리자, 사용자 또는 학부모가 특정 사용자의 영상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외부 단말기(170)를 조작하여 카메라 제어요청을 관리서버(150)로 전송하면, 관리서버(150)는 외부 단말기(170)로부터 전송되는 카메라 제어요청을 수신하여 특정 감시 카메라(180)를 제어하여 요청에 상응되는 사용자의 시간관리장치(100)가 설치된 도킹장치(130)의 설치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외부 단말기(170)로 제공하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의 내부 구성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102), 입력부(104), 제어부(200), 디스플레이부(106), 인터페이스부(208), 메모리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02)는 사용자의 착석여부를 검출하여 상태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102)로는 광센서, 초음파센서, 압력센서, 온도센서 등의 상용화된 센서가 필요에 따라 채택될 수 있다.
광센서(optical sensor)란 빛을 이용하여 대상을 검출하는 장치이다. 광센서의 원리는 발광부(202)에서 방사된 Plus변조광이 검출물체가 검출영역에 들어감에 따라 검출물체에 반사되어 수광부(204)에 입력되는 반사광이 증가(또는 감소)하게 되고, 이 증가(또는 감소)한 반사광을 이용하여 검출물체의 존재여부판단 또는 검출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102)가 광센서 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102)는 검출용 빛을 검출영역에 투사하는 발광부(202) 및 발광부(202)에서 투사된 빛이 검출물체에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검출물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수광부(204)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발광부(202)의 발광소자로는 발광 엘이디(LED)가 이용될 수 있다. 발광 엘이디는 통상적으로 파장이 480nm에서 950nm 정도의 근적외선 파장 대역의 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수광소자의 분광 감도 peek가 일반적으로 적외선 영역인 약 900nm이고, 또한 적외 엘이디쪽이 가시광 엘이디에 비해 양자 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물론 상술한 발광 엘이디 이외의 공지된 다양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발광부(202)를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또한, 상술한 수광부(204)의 수광소자로는 포토 다이오드, 포토 트랜지스터 등의 공지된 다양한 수광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수광소자를 통해 수광된 빛은 광전도셀(photoconductive cell) 등의 광전도소자를 통해 전기량으로 변환되며, 수광부는 변환된 전기량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착석여부를 판단하여 상태정보를 제어부(200)로 출력하게 된다.
초음파(ultrasonic)센서란, 압전 소자를 사용한 진동자의 송파기(미도시)로부터 발진된 초음파의 에코가 수파기(미도시)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요시간으로 측정대상 물체의 존부 또는 거리를 검출하는 것이다. 즉,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일정 시간 발생시킨 뒤 측정대상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검출하여 그 시간차로 측정대상 물체의 존부를 판단하거나, 측정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 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센서의 종류 중에는 대향형과 반사형이 있으며, 대향형은 광전 스위치의 투과형과 같이 송파기와 수파기를 마주 보게 하고, 송파기로부터 방출된 초음파가 물체에 의해 차단될 때 수파기측의 신호 변화를 검출하는 방식이다.
압력센서란, 압력을 받으면 물체가 변형되거나 거기에 반응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센싱을 수행하는 센서를 말한다. 압력센서는 다이어프램·벨로스·부르동관 등이 물체의 무게에 따른 압력에 의해 변위하는 것을 용량변화·인덕턴스변화·주파수변화 또는 변형에 의해 전기량으로 변환한 후, 변환된 전기량에 따라 물체의 존부 등을 판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102)가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경우, 감지센서(102)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에 연결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연결되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온도센서란 온도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는 사용자의 착석시 온도와 이석시 온도 차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착석여부를 판단하여 상태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센서 또는 온도센서를 채택한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압력센서 또는 온도센서로 구성된 감지센서(102)를 의자에 위치시킨 후 사용자의 몸무게 또는 체온에 따라 착석/이석여부의 센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를 사용하게 된다.
상술한 광센서, 초음파센서, 압력센서, 온도센서를 이용한 감지센서(102)는 이미 공지된 기술을 채택하여 구성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입력부(104)는 시간관리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200)로 출력하게 된다. 입력부(104)는 복수의 기능키와 방향키로 구성되는 버튼식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04)가 버튼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0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기능키, 사용자인터페이스 상에서 메뉴이동 및 선택을 위한 방향키, 시간관리장치(100)의 시간측정 시작과 종료를 위한 시작/종료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입력부(10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시간관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감지센서(102)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통계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6)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는 입력부(104)로부터 시간측정시작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술한 감지센서(102)로부터 입력되는 상태정보(사용자의 착석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측정시작 후 사용자의 누적 착석시간을 디스플레이부(106)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시간측정은 사용자에 의해 종료신호가 입력될 때 까지 계속되며, 사용자가 리셋키를 조작하는 경우 누적 착석시간이 리셋되어 사용자의 누적 착석시간을 0에서부터 다시 산출하여 표시/저장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부(104)를 조작하여 착석시간을 이용한 통계정보를 조회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는 저장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하는 통계정보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106)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통계정보는 단위기간(일일, 주간, 월)별 작업(공부)시 간정보, 단위기간 당 평균이석횟수, 1회 착석시 평균 작업(공부)시간정보, 선택기간의 총 작업(공부)시간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6)는 시간관리장치(100)의 조작에 필요한 사용자인터페이스와 정보를 표시하고,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통계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06)는 LED, LCD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8)는 외부 정보통신기기(미도시) 또는 도킹장치(130)에 연결되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부(208)는 RS-232 포트, 또는 범용 USB 포트 등의 상용화된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인터페이스부(208)를 통해 연결된 외부 정보통신기기로 저장된 상태정보, 통계정보 등의 시간관련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외부 정보통신기기와 시간관리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208)의 종류에 따라 시리얼 케이블 또는 USB 케이블 등의 연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외부 정보통신기기는 시간관리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산출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 정보통신기기로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PDA,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다양한 정보통신기기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외부 정보통신기기에는 외부 정보통신기기 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의 인식이 가능하게 하며, 시간관리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상태정보를 이용해 통계정보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시간관리장치 관리모듈(미도시)이 설치된다. 즉, 외부 정보통신기기에 설치되는 시간관리장치 관리모듈은 일종의 드라이버 기능과, 상태정보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통계처리/표시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를 판매하는 업체의 홈페이지 등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거나 별도로 제공되는 CD 등의 프로그램 저장매체를 통해 외부 정보통신기기에 설치되어 구동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의 제어부(200)는 상술한 인터페이스부(208)를 통해 도킹장치(130)에 연결되는 경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의 구성각부를 제어하여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상태정보를 도킹장치(130)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도킹장치(130)를 통해 관리서버(150)로부터 저장된 통계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요청된 통계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서버(150)로 전송하게 된다.
메모리부(206)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관리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영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시간관리장치(100)의 동작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상태정보, 통계정보 등)의 저장공간으로 이용된다.
전원부(212)는 상술한 감지센서(102), 입력부(104), 제어부(200), 디스플레이부(106) 및 메모리부(206)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식 또는 비충전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212)가 충전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시간관리장치(100)에는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시간 또는 일정정보를 출력하는 알림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는 일종의 개인일정관리장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입력부(104)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개인일정정보(기념일, 스케쥴정보, 알람시각 등)를 메모리부(206)에 저장한 후, 저장된 개인일정정보에 따라 설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알림부(210)를 통해 일정정보, 시각정보 등을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알림부(210)는 범용적으로 이용되는 음성출력부를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는 작업(공부)시간과 관련된 목표설정 및 목표달성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부(104)를 통해 사용자의 목표정보를 입력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간관리장치(100)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목표정보를 저장한 후, 감지센서(102)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정보와 저장된 사용자의 목표정보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목표달성여부를 판단하여 알림부(21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설정되는 사용자의 목표정보, 목표달성여부 정보는 전술한 도킹장치(130)를 통해 관리서버(150)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152)로 구축되며, 관리자 또는 사용자 또는 학부모는 관리서버(150)를 통해 구조화되어 저장된 목표정보, 목표달성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측정기간 : 1일, 측정시간 : 오전 9시에서 오후 9시, 목표시간 : 8시간"이라는 목표정보를 입력하면 시간관리장치(100)는 이러한 목표정 보를 저장한 후, 오전 9시에서 오후 9시 까지의 사용자의 누적착석시간과 목표시간 8시간을 비교하여 누적착석시간이 8시간 미만인 경우 목표달성실패정보를 출력하고, 누적착석시간이 8시간 이상인 경우 목표달성성공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측정기간'은 시간별, 일일별, 주간별, 월별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목표달성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시간관리장치(100)는 해당 '측정기간'별로 목표달성여부를 판단하고, 그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통계정보로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목표정보가 설정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목표달성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시간관리장치(100)는 『'12월10일, 목표달성성공, 누적착석시간 : 9시간 30분', '12월11일, 목표달성실패, 누적착석시간 : 7시간', '12월12일, 목표달성성공, 누적착석시간 : 8시간 05분'』과 같은 목표달성여부에 관련된 통계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계정보의 제공방식의 구성이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시간관리장치(100)는 저장된 목표정보와 감지센서(102)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저장된 사용자의 목표 달성에 필요한 정보(목표달성에 필요한 추가 착석시간 등)를 미리 설정된 단위시간별로 알림부(210)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측정기간 : 1일, 측정시간 : 오전 9시에서 오후 9시, 목표시간 : 8시간, 알림설정시간 : 2시간"으로 목표정보를 설정한 경우, 오전 9시 에서 오전 11시까지 사용자의 누적착석시간이 1시간 30분으로 산출되면 시간측정장치()는 알림설정시간에 따라 『목표시간 : 8시간, 현재 누적착석시간 : 1시간 30분, 목표달성에 필요한 추가착석시간 : 6시간 30분』이라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오전 9시에서 오후 1시까지의 사용자의 누적착석시간이 2시간으로 산출되면 『목표시간 : 8시간, 현재 누적착석시간 : 2시간, 목표달성에 필요한 추가착석시간 : 6시간』이라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목표달성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설정에 따라 단위시간별로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표달성여부에 관련된 정보도 시간관리장치(100)에 누적적으로 저장되고 상술한 외부 정보통신기기 또는 관리서버(150)로 출력되어, 외부 정보통신기기 또는 관리서버(150) 상에서 사용자의 시간관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고, 관리자 또는 사용자 또는 학부모의 요청에 따른 다양한 통계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간관리장치(100)는 상술한 시간관리모드(작업 또는 공부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정보, 통계정보를 제공하는 모드를 말함) 이외에 스톱워치 모드, 시계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간관리장치(100)는 사용자가 스톱워치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일반적인 스톱워치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업시간 또는 공부시간 등을 수동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기능하며, 사용자가 시계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현재 시각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톱워치 모드, 시계 모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간관리장치(100)는 별도의 시간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거나, 제어부(200)의 상태정보 처리기능을 이용하여 스톱워치 기능, 시계 기능이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간관리장치(100)가 스톱워치 모드 또는 시계모드와 시간관리모드가 동시에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장치의 내부 구성블록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130)는 도킹장치 인터페이스부(222), 통신부(224), 저장부(226), 도킹장치 제어부(220), 충전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킹장치 인터페이스부(222)는 상술한 휴대용 시간관리장치가 연결되어 데이터통신의 경로로 이용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 인터페이스부(222)는 작업공간 또는 공부공간에 존재하는 다양한 연결장치(조명기구, 냉난방기구, 개인용 컴퓨터 등)(132)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24)는 내부 통신망(140)을 통해 관리서버(15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여,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상태정보, 통계정보를 관리서버(15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15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네트워크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226)는 도킹장치(130)를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도킹장치 운영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며, 플래쉬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범용 저장장 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6)에는 관리서버(150)로부터 전송된 상술한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를 운영하기 위한 업그레이드 펌웨어가 저장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간관리장치(100)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130)의 저장부(226)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의 성능을 확장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의 특성상 많은 용량의 메모리가 탑재되기 힘들며, 또한, 고성능의 CPU가 이용될 수 없으므로,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도킹장치(130)에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킹장치(130)의 저장부(226)에 저장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간관리장치(100)의 데이터를 도킹장치 제어부(220) 또는 관리서버(150)를 이용해 처리하여 보다 향상된 통계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킹장치 제어부(220)에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를 인식하기 위한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킹장치 제어부(220)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 통계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 제어부(220)는 전술한 도킹장치 인터페이스부(222)를 통해 연결된 조명기기, 냉난방기기 등의 연결장치(132)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연결장치(132)의 상태정보를 관리서버(150)로 전송하며,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상태정보 또는 관리서버(15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연결장치(132)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5분 이상 자리를 비우는 경우 조명기기의 전원을 차단 하도록 설정되었다면, 도킹장치 제어부(220)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5분 이상 자리를 비우는 경우 자동으로 조명기기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난방기구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여 난방기구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안전온도 보다 높아지는 경우 이를 관리서버(150)로 전송하고, 현재 난방기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상태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지정된 위치에 착석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난방기구, 냉방기구 등이 작동되고 있는 경우 냉난방기구의 동작을 적절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130)는 작업공간 또는 공부공간에 존재하는 다양한 전기기구의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태에 따라 연결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연결장치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도킹장치(130)는 도킹장치 인터페이스부(222)를 통해 연결된 휴대용 시간관리장치(100)의 전원부를 충전부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부(2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시간관리장치의 내부 구성블록도.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장치의 내부 구성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용 시간관리장치 102 : 감지센서
104 : 입력부 106 : 디스플레이부
130 : 도킹장치 132 : 연결장치
140 : 내부 통신망 150 : 관리서버
152 : 데이터베이스 160 : 외부 통신망
170 : 외부 단말기 200 : 제어부
206 : 메모리부 208 : 인터페이스부
210 : 알림부

Claims (12)

  1. 사용자의 착석여부를 검출하여 상태정보를 생성/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도킹장치에 연결된 경우 상태정보와 통계정보를 상기 도킹장치로 출력하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
    책상, 책꽂이, 의자, 개인용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의 작업공간 또는 공부공간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 통계정보를 수신하여 내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도킹장치; 및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 상기 도킹장치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도킹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 통계정보를 수신하여 구조화하여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는,
    사용자의 착석여부를 검출하여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감지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시간관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통계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
    외부 정보통신기기 또는 상기 도킹장치에 연결되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시간관리장치의 조작에 필요한 사용자인터페이스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통계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시간관리장치 동작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저장공간으로 이용되는 메모리부; 및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시간 또는 일정정보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목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상태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목표정보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목표달성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알림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는 상기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저장된 사용자의 목표 달성에 필요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단위시간별로 상기 알림부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도킹장치는,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에 연결되는 도킹장치 인터페이스부;
    내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도킹장치를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도킹장치 운영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 통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도킹장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장치는 일일별로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가 접속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작업시작정보 또는 공부시작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작업종료정보 또는 공부종료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도킹장치 인터페이스부에는 조명기구, 냉난방기구, 개인용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연결장치가 연결되며, 상기 도킹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상태정보,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또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연결장치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기구, 냉난방기구, 개인용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연결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장치는 연결된 연결장치의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도킹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연결장치 상태정보를 이용해 상기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외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외부 단말기로부터 시간관리 통계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요청에 해당되는 시간관리 통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킹장치가 포함된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내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태정보, 통계정보, 관리자의 조작 또는 외부 통신망을 이용해 접속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감시 카메라를 제어하여 작업자(학생)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정보는 단위기간별 작업(공부)시간정보, 단위기간 당 평균이석횟수, 1회 착석시 평균 작업(공부)시간정보, 선택기간의 총 작업(공부)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70137709A 2007-12-26 2007-12-26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KR101210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709A KR101210564B1 (ko) 2007-12-26 2007-12-26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709A KR101210564B1 (ko) 2007-12-26 2007-12-26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890A KR20090069890A (ko) 2009-07-01
KR101210564B1 true KR101210564B1 (ko) 2012-12-11

Family

ID=4132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709A KR101210564B1 (ko) 2007-12-26 2007-12-26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5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5566B2 (en) 2016-09-09 2020-07-07 Targus International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native and virtualized video in a hybrid docking station
US11231448B2 (en) 2017-07-20 2022-01-25 Targus International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te power management and discovery
GB2594173B (en) 2018-12-19 2023-10-04 Targus International Llc Display and docking apparatus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360534B2 (en) * 2019-01-04 2022-06-14 Targus Internatonal Llc Smart workspace management system
US11017334B2 (en) 2019-01-04 2021-05-25 Targus International Llc Workspace management system utilizing smart docking station for monitoring power consumption, occupancy, and usage displayed via heat maps
BR112022002917A2 (pt) 2019-08-22 2022-05-10 Targus International Llc Sistemas e métodos para videoconferência controlada por participantes
BR112022004289A2 (pt) 2019-09-09 2022-08-09 Targus International Llc Sistemas e métodos para estações de ancoragem fixáveis de modo removível a aparelhos de exibição e conjuntos de suporte de ancoragem
KR102436770B1 (ko) * 2021-01-13 2022-08-26 (주)글로벌드림스틸 전동 의자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사용시간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065B1 (ko) * 2007-03-26 2007-10-17 (주)홈시큐넷 원격 보호관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065B1 (ko) * 2007-03-26 2007-10-17 (주)홈시큐넷 원격 보호관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890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564B1 (ko) 휴대용 시간관리장치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TWI452544B (zh) 遙控裝置
KR102463281B1 (ko) 모드 스위칭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10146194B2 (en) Building lighting and temperature control with an augmented reality system
US20170139012A1 (en) Expected battery life notification
US10678310B2 (en) Modular tablet case with environmental monitoring components
EP3007313A1 (en) Power supply for tetherless workstations
US10698470B2 (en) Smart battery balance system and method
US9471124B2 (en) Portable energy management device, power management module, and power management method
KR101536304B1 (ko) 축압식 소화기의 상시 압력 감지장치
KR101005081B1 (ko) 휴대용 시간관리장치
US10811865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operational data from circuit breakers
US20120274566A1 (en) Computer with removable display module for conversion to slate-type computer while being wirelessly controlled by processor in detached keyboard module
US8239478B2 (en) Computer system
CN103198273A (zh) 混合式光代码扫描仪的用户警报
KR20220020169A (ko)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JP2020047298A (ja) ウェアラブル端末、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US20170277888A1 (en) Security devic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KR20180033791A (ko) IoT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X선 촬영 장치
CA3060906A1 (en) Apparatus that controls an adjustable height desk and detects a user's presence
JP6080244B2 (ja) 端末装置の集合充電器および端末装置の充電方法
US201803428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of a beacon and/or sensor device
CN103134437B (zh) 测试治具及测试方法
TWI573991B (zh) 智慧型光感測系統
KR20210103254A (ko) 비콘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형 매장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