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688B1 - Care Method and Device for Patients - Google Patents

Care Method and Device for Pati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688B1
KR101209688B1 KR1020100099581A KR20100099581A KR101209688B1 KR 101209688 B1 KR101209688 B1 KR 101209688B1 KR 1020100099581 A KR1020100099581 A KR 1020100099581A KR 20100099581 A KR20100099581 A KR 20100099581A KR 101209688 B1 KR101209688 B1 KR 101209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motion detection
induction
senso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5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8057A (en
Inventor
성홍기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원각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원각선원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원각선원
Priority to KR1020100099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688B1/en
Publication of KR20120038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0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6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용 케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장실 입구에 설치되어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모션감지센서가 형성된 유도타일, 타원형태로 형성되되 중심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온도감지센서가 장착된 변기, 변기를 중심으로 변기 위치의 양측면과 후면의 벽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안전바, 제1 모션감지센서에서 환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특정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e device and method for a patient, which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toilet and formed with an induction tile and an elliptical shape having at least on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movement of a patient, and are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center. A toilet equipped with a temperature sensor, a plurality of safety bars formed on both sides and rear walls of the toilet position centered on the toilet, and a speaker that outputs specific sound data when the movement of the patient is detected by the first motion sens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Description

환자용 케어장치 및 방법{Care Method and Device for Patients}Care Method and Device for Patients

본 발명은 환자용 케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장실 입구에 유도타일을 형성하고, 화장실 바닥에 유도램프를 형성하여 환자가 쉽게 화장실 및 변기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하고, 변기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장착하여 용변 후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환자용 케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e device and method for a patient, to form an induction tile at the entrance of the toilet, to form an induction lamp on the floor of the toilet so that the patient can easily go to the toilet and toilet, at least one sensor mounted on the toilet It relates to a patient care device and method that can facilitate post-stool treatment.

치매(dementia)는 일상생활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던 사람이 뇌기능 장애로 인해 후천적으로 지적 능력이 상실되는 경우를 말하며, 대뇌겉질 및 해마를 침범하는 광범위한 질환에 의해 지능, 행동 및 성격이 점진적으로 황폐화되어 이전 수준의 일상생활을 유지하는데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Dementia is a condition in which a person who normally maintains normal life loses intellectual ability due to brain dysfunction, and is gradually degraded by intelligence, behavior, and personality by a wide range of diseases involving the cerebral cortex and hippocampus. It refers to the case where it interferes with maintaining the previous level of daily life.

일반적으로, 가족 중에 치매환자가 발생한 경우에는 가정에서 직접 환자를 부양하는 경우도 있고, 요양원 또는 치매환자를 보살펴주는 센터 등에 입원을 시키는 경우도 있다.In general, when a dementia patient occurs in a family, the patient may be provided directly at home, or in a nursing home or a center for caring for dementia patients.

그러나 치매환자 뿐만 아니라 기억력 장애를 갖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상기의 환자들은 화장실의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여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 또는 화장실이 아닌 공간에 용변을 보게 되는 경우가 있다.However, not only dementia patients but also patients with memory disorders are increasing, and the above patients may not remember the location of the toilet, so that a toilet may be seen in a space shared by several people or a space other than the toilet.

또한, 치매환자 뿐 아니라, 고령자,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은 화장실 변기에 앉을 때도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as well as dementia patients, elderly people, people with poor mobility may need help from others when sitting on the toilet.

따라서, 주변 환경이 비위생적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화장실에 갈 때 항상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Therefore, a problem arises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unsanitary, and hassle that has to be helped by others when going to the bathroom.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화장실 입구에 유도타일을 형성하고, 화장실 바닥에 유도램프를 형성하여 기억력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화장실 및 변기를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환자용 케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uction tile at the entrance of the toilet and an induction lamp at the bottom of the toilet to provide a care device and method for a patient so that patients with memory disorders can easily visit the toilet and the toilet. It is.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변기와 가까운 위치에 복수 개의 안전바를 설치하여 치매환자, 고령자,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타인의 도움 없이 용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용 케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tient care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a plurality of safety bars in close proximity to the toilet and dementia patients, elderly people, people with discomfort to treat the stool without the help of others. .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변기를 8자 형태로 형성하여 치매환자, 고령자,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변기에 쉽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환자용 케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tient care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toilet in the form of eight characters so that dementia patients, elderly people, people with poor mobility can easily sit on the toile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케어장치는 화장실 입구에 설치되어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모션감지센서가 형성된 유도타일, 타원형태로 형성되되 중심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온도감지센서가 장착된 변기, 상기 화장실 입구에서 상기 변기까지 형성된 복수 개의 유도램프, 상기 변기를 중심으로 상기 변기 위치의 양측면과 후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안전바 및 상기 제1 모션감지센서에서 환자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감지신호가 감지되면 특정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atient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toilet is formed in the induction tile, elliptical shape formed with at least on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atient is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center And a toilet equipped with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or, a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formed from the entrance of the toilet to the toilet, a plurality of safety bars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rear of the toilet position around the toilet, and the first motion The sensor may include a speaker for outputting specific sound data when a motion detection signal for a patient's movement is detected.

또한, 상기 제1 모션감지센서는, 압력센서, 빛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may be at least one of a pressure sensor, a light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또한, 상기 변기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특정 온도만큼의 온도차이가 감지되면 상기 변기의 물을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o discharge the water of the toilet when a temperature difference of a specific temperature is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유도램프가 복수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 그룹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모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and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motion detection sensors formed in each group.

또한, 상기 제2 모션감지센서는, 압력센서, 빛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motion sensor may be at least one of a pressure sensor, a light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모션감지센서로부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속한 유도램프의 점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device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an induction lamp belonging to a first group of the plurality of groups when a motio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그룹에 형성된 상기 제2 모션감지센서에서 환자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제2 그룹에 속한 유도램프의 점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whe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atient is received in the second motion detection sensor formed in the first grou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ing of the induction lamp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of the plurality of groups. It is done.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그룹에 형성된 상기 제2 모션감지센서로부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유도램프의 멸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whe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tion detection sensor formed in the first group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the lamp of the induction lamp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모션감지센서로부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유도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apparatus may control the blinking of the induction lamp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based on a time point at which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유도타일에 형성되어 상기 유도타일의 외부로부터 특정 압력이 전달되면 상기 압력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로부터 제공된 상기 에너지로 상기 유도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device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blinking of the induction lamp by the energy provided from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formed in the induction tile and converting the pressure into energy when a specific pressure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induction tile. It features.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변기 또는 상기 안전바까지의 보폭 수, 방향을 포함하는 정보를 안내하는 음성데이터, 퀴즈를 제출하는 음성데이터, 음악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output sound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voice data for guiding information including a stride length and a direction to the toilet or the safety bar, voice data for submitting a quiz, and music data. It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케어장치의 변기는 타원형태로 형성되되 중심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좌대, 상기 좌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감지센서, 특정 수위의 물이 수납되는 보울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특정 온도만큼의 온도차이가 감지되면 상기 보울에 수납된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ilet bowl of the patient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oval shape, the seat is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center,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or formed on the seat, a bowl in which water of a certain water level and the temperature sensor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y a specific temperature is detec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ter stored in the bowl.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케어방법은 제어장치가 화장실 입구에 설치된 유도타일에 형성된 제1 모션감지센서로부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스피커를 제어하여 특정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화장실 입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타원형태로 형성된 변기까지 형성된 복수 개의 유도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변기에 형성된 온도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변화에 의거하여 상기 변기의 물을 배출하도록 물배출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atient car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ntrol device receives a mo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formed on the induction til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toilet, controlling the speaker to output specific sound data, the control device is Whe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controlling the blinking of the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formed in the toilet formed in the oval shape narrowing toward the center from the entrance of the toilet and the control device is based on the temperature change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formed in the toilet And controlling the water outlet to discharge water from the toilet.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유도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모션감지센서로부터 상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복수 개의 그룹으로 구분된 상기 복수 개의 유도램프 중에서 제1 그룹에 속한 유도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그룹에 형성된 제2 모션감지센서로부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제2 그룹에 속한 유도램프의 점등을 수행하고,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유도램프의 멸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rolling of the blinking of the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the contro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induction belonging to a first group among the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whe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lamp, wherein the control device lights up the induction lamp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whe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tion detection sensor formed in the first group, and induce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a flashing of the lamp.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를 따르면 화장실 입구에 유도타일을 형성하고, 화장실 바닥에 유도램프를 형성하여 기억력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화장실 및 변기를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실의 위치를 기억하지 못해도 상기 유도타일을 보고 화장실로 유인할 수 있어 주변 환경이 비위생적이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n induction tile at the entrance of the toilet, by forming an induction lamp on the floor of the toilet so that patients with memory impairment can easily go to the toilet and toilet, even if you do not remember the location of the toilet By looking at the induction tile can be attracted to the toile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henomenon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unsanitary.

또한, 본 발명은 변기와 가까운 위치에 복수 개의 안전바를 설치하여 치매환자, 고령자,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타인의 도움 없이 용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하는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safety bars in close proximity to the toilet bowl, dementia patients, elderly people, people with poor mobility can treat the toilet without the help of other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assle of getting help from others. It ha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변기를 8자 형태로 형성하여 치매환자, 고령자,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변기에 쉽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orming a toilet in the form of eight characters so that dementia patients, elderly people, people with poor mobility can easily sit on the toile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케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케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1 is a view showing a care device for a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showing a patient car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in order to describe it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케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are device for a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케어장치는 크게 유도타일(10), 스피커(12), 유도램프(13), 변기(20), 안전바(30)로 구성되고, 상기 구성들은 화장실(100)의 내외부에 설치된다. 1 to 5, the care device for a pat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n induction tile 10, a speaker 12, an induction lamp 13, a toilet 20, a safety bar 30, The components ar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toilet 100.

유도타일(10)은 화장실(100) 외부에서 화장실(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화장실(100)의 문 앞에 설치된다. 특히, 유도타일(10)은 치매환자(이하, 환자로 통칭함)들이 화장실(100)을 인지할 수 있도록 바닥과 구분되는 색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duction tile 1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door of the toilet (100) so that the location of the toilet (100) outside the toilet (100). In particular, the induction tile 10 is preferably formed in a color distinguished from the floor so that the dementia pati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atient) can recognize the toilet 100.

또한, 유도타일(10)은 환자들이 화장실(100)에 진입할 때 환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바닥과의 높이 차이가 거의 존재하지 않도록 얇은 판 형태로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duction tile 10 is preferably formed uniformly in the form of a thin plate so that there is almost no height difference with the floor to prevent injuries that may occur to the patients when the patients enter the toilet (100). .

유도타일(10)과 바닥의 사이에는 제1 모션감지센서(11)가 삽입된다. Th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11 is inserted between the induction tile 10 and the floor.

제1 모션감지센서(11)는 압력센서, 빛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등 유도타일(10)에 환자가 접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활용될 수 있다.The first motion sensor 11 may be used a variety of sensors that can confirm that the patient approaches the induction tile 10, such as a pressure sensor, light sensor, temperature sensor.

제1 모션감지센서(11)는 환자가 유도타일(10)에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제어장치(미도시)로 전송하고, 제어장치는 스피커(12)에서 특정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스피커(12)의 동작을 제어한다.When the first motion sensor 11 detects that the patient approaches the induction tile 10, th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11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a control device (not shown), and the control device outputs specific sound data from the speaker 12. The operation of (12) is controlled.

이때, 제어장치는 스피커(12)를 제어할 수 있는 특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스피커(12)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device may be installed at a specific position capable of controlling the speaker 12, and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peaker 12.

스피커(12)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기저장된 특정 음향데이터를 출력한다. The speaker 12 outputs specific sound data previously sto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이때, 음향데이터는 환자들에게 친숙한 목소리로 녹음된 음성데이터이되, 환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위치부터 변기(20) 또는 안전바(30)까지의 보폭수, 환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위치부터 변기(20) 또는 안전바(30)까지의 방향 등 다양한 정보를 안내하는 음성데이터, 퀴즈를 제출하는 음성데이터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coustic data is the voice data recorded in a voice familiar to the patient, the number of strides from the position where the movement of the patient is detected to the toilet 20 or safety bar 30, from the position where the movement of the patient is detected from the toilet ( 20) or voice data for guid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directions to the safety bar 30, voice data for submitting a quiz.

이로 인해, 환자들을 심리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고, 화장실(100) 입구부터 변기(20)까지 음성데이터만으로 환자를 유도할 수 있어 화장실(100)을 인지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주변 환경이 비위생적이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ue to this, patients can be psychologically stabilized, and the patient can be guided only by voice data from the entrance of the toilet 100 to the toilet 20 so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used by the failure to recognize the toilet 100 becomes unsanitar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phenomenon.

또한, 음향데이터는 환자들을 심리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는 음악데이터일 수 있다.Also, the acoustic data may be music data that can psychologically stabilize patients.

제1 모션감지센서(11)는 유도타일(10)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도타일(10)과 근접한 위치의 바닥, 유도타일(10)과 맞닿은 문틀의 하부, 문틀의 양측면 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하는 바이다.Although th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11 is described as being inserted into the induction tile 1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ottom of the door frame in contact with the induction tile 10 and the bottom of the door frame in contact with the induction tile 10 are described. Clearly, it can be formed in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lower side, both sides of the door frame.

유도램프(13)는 도 1에서와 같이 화장실 입구 즉, 유도타일(10)의 끝지점에서부터 변기(20)까지의 경로에 형성된다. Induction lamp 13 is formed in the path from the end of the toilet entrance, that is, the induction tile 10 to the toilet 20 as shown in FIG.

복수 개의 유도램프(13)는 4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각 그룹에 해당하는 유도램프(13)의 점멸이 수행된다. The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13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flashing of the induction lamps 13 corresponding to each group is per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모션감지센서(11)에서 환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4개의 그룹 중 제1 그룹(13a)의 유도램프(13)가 점등되고, 특정 시간 간격으로 제2 그룹(13b), 제3 그룹(13c), 제4 그룹(13d)을 이루는 유도램프(13)에 순차적으로 점등이 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movement of the patient is detected by the first motion sensor 11, the induction lamp 13 of the first group (13a) of the four groups is turned o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at a specific time interval The induction lamp 13 which comprises the 2nd group 13b, the 3rd group 13c, and the 4th group 13d turns on sequentially.

이때, 제2 그룹(13b)을 이루는 유도램프(13)에 점등이 되면 제1 그룹(13a)을 이루는 유도램프(13)는 멸등된다. 이로 인해, 환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주어 화장실 입구에서 변기(20)까지 환자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induction lamp 13 constituting the second group 13b is turned on, the induction lamp 13 constituting the first group 13a is turned off. As a result, the patient may be visually stimulated to provide a path of movement of the patient from the entrance of the toilet to the toilet 20.

또한, 유도램프(13)의 내부 또는 하부에는 제2 모션감지센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어장치가 상기와 같이 특정 시간 간격으로 각 그룹의 점멸을 제어하지 않고, 제2 모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환자의 움직임여부로 각 그룹에 포함된 유도램프(13)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모션감지센서는 제1 모션감지센서(11)와 마찬가지로 압력센서, 빛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가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mot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may be formed inside or below the induction lamp 13. In this case, the control device does not control the blinking of each group at a specific time interval as described above, but controls the blinking of the induction lamp 13 included in each group by the movement of the patient detected by the second motion sensor. Can be. Like th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11, the second motion detection sensor may use various sensors such as a pressure sensor, a light detection sensor, and a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모션감지센서(11)에서 환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4개의 그룹 중 제1 그룹(13a)의 유도램프(13)가 점등된다. 그리고 제1 그룹(13a)을 구성하는 유도램프(13)에 형성된 제2 모션감지센서에서 환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장치는 제1 그룹(13a)의 유도램프(13)를 멸등하고 제2 그룹(13b)의 유도램프(13)를 점등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movement of the patient is detected by th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11, the induction lamp 13 of the first group 13a of the four groups is turned o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When the motion of the patient is detected by the second motion detection sensor formed on the induction lamp 13 constituting the first group 13a, the control device turns off the induction lamp 13 of the first group 13a and the second light is detected. The induction lamp 13 of the group 13b is turned on.

이로 인해, 환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곳의 유도램프(13)는 멸등하고, 환자가 현재 위치에서 이동해야하는 위치의 유도램프(13)를 점등하여, 환자를 안전하게 변기(20)까지 유도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induction lamp 13 where the patient is currently located is extinguished, and the induction lamp 13 at the position where the patient should move from the current position is turned on, so that the patient can be safely led to the toilet 20.

유도타일(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미도시)가 형성되어, 유도타일(10)의 외부로부터 특정 압력이 전달되면, 즉, 환자가 유도타일(10)에 압력을 가하는 상태가 되면, 압전소자는 전달된 압력을 에너지로 전환한다. 그리고 압전소자는 전환된 에너지로 유도램프(13)의 점멸을 제어하도록 제어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not shown) is formed in the induction tile 10, and when a specific pressure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induction tile 10, that is, when the patient is in a state of applying pressure to the induction tile 10, The piezoelectric element converts the delivered pressure into energy.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device to control the blinking of the induction lamp 13 with the converted energy.

변기(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타원형태로 형성된다. 변기(20)는 환자, 고령자,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한 변기로서, 일반 좌변기에 존재하는 물수납부(미도시), 물배출밸브(미도시) 등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변기(20)의 내부 등 환자, 고령자,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의 행동반경을 제외한 위치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oilet 20 is formed in an oval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center as shown in FIGS. 1 to 3. The toilet 20 is a toilet for a patient, an elderly person, or people who are inconvenient to move, but the water storage unit (not shown), the water discharge valve (not shown), etc. present in the general toilet bowl are not shown, but the inside of the toilet 20, etc. It is desirable to be in a position excluding the radius of behavior of patients, elderly people, and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변기(20)의 좌대(21)에는 환자가 변기(20)에 앉았을 때, 환자의 온도가 잘 전달되는 위치에 온도감지센서(22)가 장착된다. The seat 21 of the toilet 20 is equipped with a temperature sensor 22 at a position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patient is well transmitted when the patient sits on the toilet 20.

온도감지센서(22)는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장치로 제공한다. 제어장치는 온도감지센서(22)에서 특정 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었다가 특정 온도 이하로의 온도가 감지되는 온도변화에 의거하여 변기(20)의 보울(미도시)에 수납되는 특정 수위의 물 및 환자의 배변을 물배출구(23)를 통해 배출하도록 물배출구(23)를 제어한다. The temperature sensor 22 detects a change in temperature and provides it to a control device. The control device detects a temperature above a certain temperature in the temperature sensor 22 and then, based on a temperature change in which a temperature below a specific temperature is sensed, water of a specific level of water contained in a bowl (not shown) of the toilet 20 and The water outlet 23 is controlled to discharge the bowel movement of the patient through the water outlet 23.

제어장치는 온도감지센서(22)로부터 온도변화가 수신되면 환자가 변기(20)에 앉아 배변을 처리한 후, 변기(20)에서 일어나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장치는 물배출부(23)를 제어하여 변기 내부에 존재하는 물과 배변을 물배출부(23)를 통해 배출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control apparatus receives a change in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2,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patient has sat in the toilet 20 to process the bowel movement and then rises and moves in the toilet 20.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water discharge unit 23 to discharge water and bowel movements existing in the toilet through the water discharge unit 23.

아울러, 일반적으로 화장실(100)에 설치된 변기(20)는 벽에 부착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화장실(100)에 들어간 후 변기(20)에 앉기 위해 들어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몸을 돌려야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장실(100)의 구조는 환자, 고령자,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변기(20)를 이용할 때 번거로움을 제공한다. In addition, in general, since the toilet 20 installed in the toilet 100 is attached to the wall, users have to tur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irection to enter the toilet 20 after sitting in the toilet 100. However, such a structure of the toilet 100 provides a hassle when patients, elderly people, people who are inconvenient to use the toilet 20.

따라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변기(20)를 타원형태로 형성하되 중심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한 후(예를 들어, 8자 형태), 도 4에서와 같이 화장실(100) 내부의 벽과 일정 간격을 두어 설치되고, 변기(20)의 뒤쪽에는 안전바(30)가 형성된다. Therefore, after the toilet 2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as shown in FIGS. 1 to 3 but narrower toward the center (for example, in an eight-character shape), as shown in FIG.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the safety bar 30 is formed behind the toilet 20.

안전바(30)는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변기(20)가 위치한 곳의 벽면에 고정되게 형성되고, 스티로폼 등의 재질로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Safety bar 3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luminum, it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toilet 20 is located in order to prevent injury to the patient, it may be formed surrounded by a material such as styrofoam.

도 1에서와 같이, 안전바(30)는 변기(20)를 기준으로 변기(20)의 뒤쪽 벽면과 변기(20)의 양쪽의 벽면에 형성되어, 환자, 고령자,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타인의 도움 없이 변기(20)에 앉았다 일어서는 것이 가능하므로 환자, 고령자, 거동이 불편한 사람과 이들을 돕기 위한 타인들이 느끼는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shown in Figure 1, the safety bar 30 is formed on the rear wall of the toilet 20 and the wall of both sides of the toilet 20 with respect to the toilet 20, patients, elderly people, people with uncomfortable behavior Since it is possible to sit and stand on the toilet 20 without assistan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hassle of patients, elderly people, people with discomfort and others to help them.

아울러, 도 5에서와 같이 변기(20)를 8자 형태로 형성하고, 종래의 물수납부(미도시) 등을 제거함으로 인해, 화장실에 들어간 방향으로 변기(20)에 앉아 용변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변기(20)의 뒤쪽에 형성된 안전바(31) 또는 양측면에 형성된 안전바(32)를 지지하여 변기(20)에 쉽게 앉거나 일어설 수 있고, 화장실에 들어가서 변기(20)에 앉을 때 돌아앉아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toilet 20 in the form of an eight-shape as shown in Figure 5, by removing the conventional water storage unit (not shown),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toilet seat sitting on the toilet 20 in the direction entering the toilet. . In addition, by supporting the safety bar 31 formed on the rear of the toilet 20 or the safety bar 32 formed on both sides can easily sit or stand on the toilet 20, when entering the toilet to sit on the toilet 2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liminate the discomfort to turn aroun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케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6 is a flow chart showing a patient car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S11단계에서 제어장치(미도시)가 제1 모션감지센서(11)로부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S12단계에서 제어장치는 스피커(12)를 제어하여 특정 음향데이터를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6, when a control device (not shown) receives a mo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st motion sensor 11 in step S11,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speaker 12 to output specific sound data in step S12. do.

이후, S13단계에서 제어장치는 복수 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화장실(100) 입구부터 변기(20)까지 형성된 유도램프(13)에서 제1 그룹(13a)에 해당하는 유도램프(13)의 점등을 수행한다.Subsequently, in step S13, the control devic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groups to perform the lighting of the induction lamp 13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p 13a in the induction lamp 13 formed from the entrance of the toilet 100 to the toilet 20. do.

S14단계에서 제어장치는 제 n그룹에 형성된 제2 모션감지센서로부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S15단계로 진행하여 제n+1 그룹에 해당하는 유도램프(13)의 점등을 수행하고, S16단계에서 제어장치는 제n 그룹에 해당하는 유도램프(13)의 멸등을 수행한다. 이때, n은 1이상이고 4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In step S14, whe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tion detection sensor formed in the nth group, the control device proceeds to step S15 to turn on the induction lamp 13 corresponding to the n + 1th group, and in step S16 The control device performs the blinking of the induction lamp 13 corresponding to the nth group. In this case, n is preferably 1 or more and less than 4.

S17단계에서 n이 1이상이고 4미만이면 제어장치는 S14단계로 회귀하여 상기의 단계를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S17단계에서 n이 4이상이면 S18단계로 진행하여 제4 그룹(13d)에 해당하는 유도램프(13)의 멸등을 수행한다. If 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 and less than 4 in step S17, the control unit returns to step S14 to continuously perform the above steps. If 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4 in step S17,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8 to correspond to the fourth group 13d. The induction lamp 13 is turned off.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모션감지센서(11)에서 환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장치는 4개의 그룹 중 제1 그룹(13a)에 해당하는 유도램프(13)를 점등한다. 그리고 제어장치는 제1 그룹(13a)을 구성하는 유도램프(13)에 형성된 제2 모션감지센서에서 환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1 그룹(13a)의 유도램프(13)를 멸등하고 제2 그룹(13b)의 유도램프(13)를 점등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movement of the patient is detected by the first motion sensor 11, the control device turns on the induction lamp 13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p 13a of the four groups. When the motion of the patient is detected by the second motion detection sensor formed in the induction lamp 13 constituting the first group 13a, the control device turns off the induction lamp 13 of the first group 13a and the second light. The induction lamp 13 of the group 13b is turned on.

이로 인해, 환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곳의 유도램프(13)는 멸등하고, 환자가 현재 위치에서 이동해야하는 위치의 유도램프(13)를 점등하여, 환자를 안전하게 변기(20)까지 유도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induction lamp 13 where the patient is currently located is extinguished, and the induction lamp 13 at the position where the patient should move from the current position is turned on, so that the patient can be safely led to the toilet 20.

이어서, S19단계에서 제어장치는 변기(20)의 좌대(21)에 형성된 온도감지센서(22)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복수 번 수신하고, S20단계에서 제어장치는 온도감지센서(22)로부터 수신된 온도의 차이값을 계산하여 온도차가 특정 임계값보다 작으면 S19단계로 진행하여 온도감지센서(22)로부터 온도를 지속적으로 수신한다. Subsequently, in step S19, the control device receives the temperature detec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2 formed on the base 21 of the toilet 20 a plurality of times, and in step S20, the control device receives the temperature detec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2.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less than a specific threshol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9 to continuously receive the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2.

S20단계에서의 계산결과 온도차가 특정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장치는 S21단계로 진행하고 물배출구(23)를 제어하여 변기(20)의 보울에 특정 수위로 수납되는 물 및 환자의 배변을 배출하도록 한다.If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in step S20 is a temperature difference is greater than a certain threshold, the control unit proceeds to step S21 and controls the water outlet 23 to discharge the water and the patient's bowel received at a certain level in the bowl of the toilet 20. .

이후, S22단계에서 제어장치는 제4 그룹(13d)에 해당하는 유도램프(13)를 점등한다. 이는 용변을 마친 환자가 화장실을 안전하게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reafter, in step S22, the control device turns on the induction lamp 13 corresponding to the fourth group 13d. This is to allow the patient to leave the toilet safely after the toilet.

S22단계에서 제어장치는 제4 그룹(13d)에 해당하는 유도램프(13)를 점등하고, S23단계에서 제어장치는 제m 그룹에 형성된 제2 모션감지센서로부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여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S24단계로 진행하고,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S23단계로 회귀한다. In step S22, the control device turns on the induction lamp 13 corresponding to the fourth group 13d, and in step S23, the control device checks whether a motio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tion detection sensor formed in the m-th group. If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4. If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3.

S24단계에서 제어장치는 제m-1 그룹에 해당하는 유도램프(13)의 점등을 수행하고, S25단계에서 제어장치는 제m 그룹에 해당하는 유도램프(13)의 멸등을 수행한다. 이때, m은 1보다 크고 4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step S24, the control device performs lighting of the induction lamp 13 corresponding to the m-th group, and in step S25, the control device performs the blinking of the induction lamp 13 corresponding to the m-th group. At this time, m is preferably greater than 1 and 4 or less.

S26단계에서 제어장치는 m이 1보다 크고, 4이하이면 S23단계로 회귀하여 상기의 단계를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S26단계에서 제어장치는 m이 1이면 S27단계로 진행하여 제1 그룹(13a)에 해당하는 유도램프(13)의 멸등을 수행한다.In step S26, when m is greater than 1 and less than or equal to 4, the control unit returns to step S23 to continuously perform the above steps, and in step S26, when m is 1, the control device proceeds to step S27 to form the first group 13a. To perform the lamp of the induction lamp 13 corresponding to.

따라서, 환자가 용변을 마친 후에 변기(20)에서 일어나면 보울에 수납된 물을 배출하고 제4 그룹(13d)에 해당하는 유도램프(13)부터 제1 그룹(13a)에 해당하는 유도램프(13)를 차례로 점멸하여 환자를 화장실(100) 입구까지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when the patient wakes up from the toilet 20 after finishing the toilet, the water stored in the bowl is discharged and the induction lamp 13 corresponding to the fourth group 13d to the induction lamp 13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p 13a. By flashing in tur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afely guide the patient to the entrance to the toilet (100).

최종적으로, S28단계에서 제어장치는 스피커(12)를 제어하여 S12단계에서 출력하던 특정 음향데이터의 출력을 종료한다. Finally, in step S28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speaker 12 to terminate the output of the specific sound data that was output in step S1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도램프(13)를 4개의 그룹으로 분리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하는 바이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lamp 13 is described as being separated into four group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chang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means of a limited embodiment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0: 화장실
10: 유도타일 11: 제1 모션감지센서
12: 스피커 13: 유도램프
20: 변기 21: 좌대
22: 온도감지센서 23: 물배출구
30: 안전바
100: toilet
10: induction tile 11: th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12: speaker 13: induction lamp
20: toilet seat 21: base
22: temperature sensor 23: water outlet
30: safety bar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화장실 입구에 설치되어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모션감지센서가 형성된 유도타일;
타원형태로 형성되되 중심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온도감지센서가 장착된 변기;
상기 화장실 입구에서 상기 변기까지 형성된 복수 개의 유도램프;
상기 변기를 중심으로 상기 변기 위치의 양측면과 후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안전바; 및
상기 제1 모션감지센서에서 환자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감지신호가 감지되면 특정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션감지센서는,
압력센서, 빛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변기는,
상기 압력센서, 상기 빛감지센서, 상기 온도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에서 각각 특정 압력, 밝기, 온도만큼의 압력차이, 밝기차이, 온도차이가 감지되면, 상기 변기의 물을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유도타일에 형성되어 상기 유도타일의 외부로부터 특정 압력이 전달되면 상기 압력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로부터 제공된 상기 에너지로 상기 유도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케어장치.
An induction til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bathroom and having at least on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configured to detect movement of the patient;
Toilet bowl is formed in an oval shape and formed narrower toward the center, and equipped with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or;
A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formed from the toilet entrance to the toilet bowl;
A plurality of safety bars formed on both sides and a rear surface of the toilet seat with respect to the toilet bowl; And
And a speaker configured to output specific sound data when a motion detection signal for a patient's movement is detected by th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Th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At least one of a pressure sensor, a light sensor, a temperatur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oilet bowl,
Th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o discharge the water of the toilet when a pressure difference, a brightness difference, a temperature difference as much as a specific pressure, brightness, temperature at each one of the pressure sensor, the light sensor, the temperature sensor is detected Including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nd the energy provided from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that converts the pressure into energy when a specific pressure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induction tile to the induction tile and controls the blinking of the induction lam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도램프가 복수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 그룹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모션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케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plurality of second motion detection sensors in which the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and formed in the respective groups;
Patient care device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션감지센서는,
압력센서, 빛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케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motion detection sensor,
Patient ca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ny one of a pressure sensor, light sensor, temperature sens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모션감지센서로부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속한 유도램프의 점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케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device includes:
Whe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motion sensor, the patient care device for lighting the induction lamp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of the plurality of group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그룹에 형성된 상기 제2 모션감지센서에서 환자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제2 그룹에 속한 유도램프의 점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케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nd the induction lamp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of the plurality of groups is turned on whe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patient is received by the second motion detection sensor formed in the first grou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그룹에 형성된 상기 제2 모션감지센서로부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유도램프의 멸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케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device includes:
Patient ca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tion detection sensor formed in the first group to perform the lamp of the induction lamp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모션감지센서로부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유도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케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device includes:
Patient ca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blinking of the induction lamp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n the basis of the time whe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변기 또는 상기 안전바까지의 보폭 수, 방향을 포함하는 정보를 안내하는 음성데이터, 퀴즈를 제출하는 음성데이터, 음악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케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nd controlling the speaker to output sound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voice data gui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steps and the direction to the toilet or the safety bar, voice data to submit a quiz, and music data. Patient Care Device.
삭제delete 제어장치가 화장실 입구에 설치된 유도타일에 형성된 제1 모션감지센서로부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스피커를 제어하여 특정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화장실 입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타원형태로 형성된 변기까지 형성된 복수 개의 유도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변기에 형성된 온도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변화에 의거하여 상기 변기의 물을 배출하도록 물배출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유도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모션감지센서로부터 상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복수 개의 그룹으로 구분된 상기 복수 개의 유도램프 중에서 제1 그룹에 속한 유도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그룹에 형성된 제2 모션감지센서로부터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제2 그룹에 속한 유도램프의 점등을 수행하고,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유도램프의 멸등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케어방법.
Outputting specific sound data by controlling a speaker when a control device receives a motion detection signal from a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formed on an induction tile installed at a bathroom entrance;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blinking of the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formed from the toilet entrance to the toilet formed narrower toward the center whe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And controlling the water outlet to discharge the water of the toilet based on the temperature change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formed in the toilet.
Controlling the flashing of the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induction lamp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from the plurality of induction lamp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whe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motion detection sensor;
Whe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tion detection sensor formed in the first group, the control device turns on the induction lamp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and performing the extinction of the induction lamp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Patient care method comprising a.
삭제delete
KR1020100099581A 2010-10-13 2010-10-13 Care Method and Device for Patients KR101209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581A KR101209688B1 (en) 2010-10-13 2010-10-13 Care Method and Device for Pati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581A KR101209688B1 (en) 2010-10-13 2010-10-13 Care Method and Device for Pati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057A KR20120038057A (en) 2012-04-23
KR101209688B1 true KR101209688B1 (en) 2012-12-07

Family

ID=4613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581A KR101209688B1 (en) 2010-10-13 2010-10-13 Care Method and Device for Pati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6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546B1 (en) * 2020-12-10 2024-03-06 (주)옵토레인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biological samples using kiosk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560Y1 (en) * 2001-10-08 2002-05-06 김영기 Portable toilet
KR100762246B1 (en) * 2007-02-13 2007-10-01 문현승 Gateway control system of toilet for handicapped person
KR100942312B1 (en) * 2009-08-31 2010-02-16 박성수 System of toilet for handicapped pers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560Y1 (en) * 2001-10-08 2002-05-06 김영기 Portable toilet
KR100762246B1 (en) * 2007-02-13 2007-10-01 문현승 Gateway control system of toilet for handicapped person
KR100942312B1 (en) * 2009-08-31 2010-02-16 박성수 System of toilet for handicapped pers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057A (en) 2012-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32925A (en) System for evaluating moving state of sleeping person
WO2023234645A1 (en) Automatic bath bed for elderly person
KR101209688B1 (en) Care Method and Device for Patients
US5937454A (en) Bathing chair
KR102160238B1 (en) Bathing prevention bath of bather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40522B1 (en) Bath chair for the disabled or elderly
KR200455227Y1 (en) Detachable Far Infrared Irradiation Device
KR20090097510A (en) A toilet stool
KR200432397Y1 (en) Moving bathing vehicles.
KR101538118B1 (en) Apparatus for language disorder therapy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314253B1 (en) Foot stimulation and relaxation musculus soleus
JP6970925B2 (en) Toilet voice guidance device
JP3126616U (en) Elevator chair and emergency toilet
ES2309669T3 (en) SHOWER COVERS OR HYDROMASSAGE BATHTUBS WITH ELECTRICAL CONTROL UNIT.
JP2008059538A (en) Physical injury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in bathroom, toilet and the like
KR20110109332A (en) Bidet with safety device of cover for women and the handicapped
KR102671506B1 (en) Alarm Providing Device for Toilet Seat
CN108078475A (en) A kind of nursing chair for closet with back massage apparatus
JP2020500094A (en) Modular wheelchair accessible shower system
JP2019003293A (en) In-toilet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and in-toilet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KR20190030289A (en) A bath wheelchair
JP6925710B2 (en) Away detection type nurse call system
JPH11276542A (en) Bath room system of various purposes
KR20090115381A (en) A bidet having a plurality alpha wave apparatus
JP2005143905A (en) Bathtub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