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227B1 - 상하 이동 가능한 수납부를 가지는 수납장 - Google Patents
상하 이동 가능한 수납부를 가지는 수납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9227B1 KR101209227B1 KR1020100106687A KR20100106687A KR101209227B1 KR 101209227 B1 KR101209227 B1 KR 101209227B1 KR 1020100106687 A KR1020100106687 A KR 1020100106687A KR 20100106687 A KR20100106687 A KR 20100106687A KR 101209227 B1 KR101209227 B1 KR 1012092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inet
- housing
- cover
- rotating member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8—Covers or lids for sliding draw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08—Suspension fittings for cabinets to be hung on wall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상하 이동 가능한 수납부를 가지는 수납장은, 벽체 또는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 전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가 상향 이동 시 상기 수용공간의 전면을 차폐하며,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커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품 등을 보관하는 고정형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납장의 수납부가 상하로 이동되어 효율적으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 등을 보관 또는 거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수납장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수납장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바닥에 거치되거나, 사용자의 신장에 적합한 높이로 벽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경우, 수납장이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이 비효율적이고, 사용자의 동선 상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업무에 방해를 유발하거나 부딪히게 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벽체에 매립되는 형태의 붙박이장이 고안되었으나, 이는 상기 벽체가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 활용되는 것이며, 따라서 다양한 공간 및 구조에 적용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납장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미닫이형으로 설계되는 경우, 인체 구조 상 커버의 개폐에 보다 많은 노력이 소요되므로, 일반적으로 커버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여닫이형으로 설계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와 같이 커버가 여닫이형으로 설계될 경우에는 커버의 움직임에 따른 추가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어, 수납장의 설치공간 외에 추가공간이 더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수납부를 가지는 수납장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커버부는 고정부에 연결되어, 수납부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슬라이드되는 수납장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하 이동 가능한 수납부를 가지는 수납장은, 벽체 또는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 전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가 상향 이동 시 상기 수용공간의 전면을 차폐하며,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커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앞쪽에서 하부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고정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 상부에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축회전하는 회전부재, 일측은 상기 수납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부재의 둘레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비된 연결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벽체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의 후면에는 벽체에 접촉되어, 상기 수납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베어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수납부의 하향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 전면의 양측에는 상하 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수납부의 사이에는 상기 수납부가 원활히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하 이동 가능한 수납부를 가지는 수납장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일반적으로 거의 활용되지 않는 사용자의 신장보다 높은 위치의 상부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공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커버부는 고정부에 연결되어 수납부의 하향 이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용공간이 개방되므로, 커버부를 개폐하기 위한 사용자의 노력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수용공간을 개방 시 커버부가 별도 공간을 더 소요하지 않으므로, 공간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에 있어서, 수납부가 하향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에 있어서, 제어수단의 구동 원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에 있어서, 수납부 후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에 있어서, 커버부의 스토퍼 및 수납부의 가이드홈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에 있어서, 수납부가 하향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에 있어서, 제어수단의 구동 원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에 있어서, 수납부 후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에 있어서, 커버부의 스토퍼 및 수납부의 가이드홈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수납부(10), 고정부(20) 및 커버부(30)를 포함한다.
먼저, 수납부(10)는 내부에 다양한 물품 등이 수납되는 수용공간(S)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수납부(10)는 일반적으로 각 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어 공간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수납부(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고, 내부에 각각 구획된 수용공간(S)이 복수 개 구비된다. 또한, 도 1에는 잘 나타나지 않으나, 도 2를 참조하면 수용공간(S)의 전면이 개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부(10) 및 타 구성요소의 연결 관계는 차후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고정부(20)는 벽체 또는 천장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수납장의 전체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고정부(20)가 벽체에 설치될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장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물론, 특수한 목적에 의해 이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수납부(10)는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부(20)와 연결된다. 즉, 수납부(10)는 고정부(20)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하로 가동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부(20)는 천장 또는 사용자의 신장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수납부(10)는 상향 이동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이동 및 행동에 방해되지 않으며, 하향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적절한 높이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수용공간(S)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20)가 벽체에 고정되고, 수납부(10)는 용이한 상하 이동을 위해 고정부(20)의 하부에 구비된다.
한편, 커버부(30)는 수납부(10)가 상향 이동 시 상기 개방된 수용공간(S)의 전면을 차폐하도록 구비되며, 고정부(20)에 연결된다. 즉, 커버부(3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며, 수납부(10)의 상하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수납부(10)가 상향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커버부(30)에 의해 수용공간(S)의 전면이 차폐되고, 하향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수용공간(S)의 전면이 커버부(30)보다 아래쪽으로 위치되어 개방된다.
즉, 사용자가 물품 등을 수납하기 위해 수납부(10)를 하향 이동시켰을 경우, 수납부(10)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높이로 하향됨과 동시에 커버가 개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닫이형 커버 및 미닫이형 커버는 모두 수용공간을 개방하기 위해서 커버를 각각 축회전 또는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커버가 점유하는 별도의 공간이 요구된다. 물론, 미닫이형 커버가 위쪽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계될 경우에는 잉여공간을 활용하게 되어 효율적이지만, 사용자가 커버를 슬라이딩시키는 데 많은 노력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수납부(10)가 하향 이동되어 수용공간(S)의 전면이 개방되더라도 커버부(30)는 고정부(20)에 연결되어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므로 공간 효율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상대적 측면에서 설명하면, 본 발명은 결과적으로 미닫이형 커버를 위쪽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나, 사용자의 노력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현저한 차이가 발생된다.
특히,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커버부(30)는 고정부(20)와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부(20)의 앞쪽에서 하부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별도의 연결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일체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에 따르면 커버부(30)는 고정부(20)에 항상 고정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나, 이와 달리, 필요에 따라 분리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30)는 고정부(20)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고정부(20)에 연결되어 고정된 형태를 가지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고정부(20)에서 분리시켜 제거하거나, 수납부(1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커버부(30)를 개폐 가능하도록 수납부(10)와의 연결 구조가 형성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수납장은 상기 수납부(1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구동부(40)를 조작하여 본인의 의지에 따라 수납부(10)를 상하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40)는 종래에 알려진 일반적인 기술 또는 새로 고안된 기술 등 매우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 중 하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수납부(10)가 상하 이동되는 구동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의 구동부(40)는, 회전축(49)을 가지는 봉 형상의 회전부재(47), 일측은 수납부(10)에 연결되고, 타측은 회전부재(47)의 둘레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비된 연결부재(42) 및 회전부재(47)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부재(47)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5)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부재(47)의 둘레에는 복수 개의 걸림홈(48)이 연속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직접 조작 가능한 제어수단(45)은 복수 개의 걸림구(44)가 끼워진 폐곡선을 가지는 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걸림구(44)가 걸림홈(48)에 걸려 회전부재(47)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연결부재(42)는 수납부(10)의 상면에 구비된 걸림부재(42)에 연결되고, 회전부재(47)의 회전에 따라 회전부재(47)에 감기거나 풀려 수납부(10)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사용자는 제어수단(45)을 회전시켜 수납부(1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40)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였으며, 본 방식 외에도 다양한 구동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수납장은 사용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수납부(10)의 후면이 도시된다. 그리고, 수납부(10)의 후면 양측에는 복수 개의 베어링홈(12)이 형성되고, 베어링홈(12)에는 각각 베어링부재(14)가 구비된다.
즉, 수납부(10) 후면이 벽체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경우, 베어링부재(14)가 벽체에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써 수납부(10)의 매끄러운 상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부재(14)는 구형, 롤러 등 그 종류에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30)에는 수납부(10)의 하향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32)가 형성된다. 스토퍼(32) 역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수납부(10)의 다양한 지점에 걸리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실시예의 스토퍼(32)는 수납부(10) 전면의 양측 부분에 돌기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이에 대응되어, 수납부(10)의 양측에는 상기 스토퍼(32)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17)이 형성된다.
즉, 수납부(10)가 하향 이동할 경우, 스토퍼(32)가 가이드홈(17)의 상단에 걸리게 되어 가동 범위를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이밖에도,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부(30) 및 수납부(10) 사이에는 수납부(10)가 원활히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가 더 구비되어, 수납부(10)의 상하 이동에 따른 마찰을 최소화하여 수납장의 마모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하 이동 가능한 수납부(10)를 가지는 수납장은 수납부(10)가 상하 이동된다는 핵심 구조 외에도, 내구성을 증가시키거나 사용 상의 편의를 증가시키는 다양한 세부 구조가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수납부
12: 베어링홈
14: 베어링부재
15: 걸림부재
17: 가이드홈
20: 고정부
25: 연장면
30: 커버부
32: 스토퍼
40: 구동부
42: 연결부재
44: 걸림구
45: 제어수단
47: 회전부재
48: 걸림홈
49: 회전축
S: 수용공간
12: 베어링홈
14: 베어링부재
15: 걸림부재
17: 가이드홈
20: 고정부
25: 연장면
30: 커버부
32: 스토퍼
40: 구동부
42: 연결부재
44: 걸림구
45: 제어수단
47: 회전부재
48: 걸림홈
49: 회전축
S: 수용공간
Claims (8)
- 벽체 또는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
전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가 상향 이동 시 상기 수용공간의 전면을 차폐하며,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커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수납부의 하향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수납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앞쪽에서 하부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수납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고정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납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상부에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축회전하는 회전부재;
일측은 상기 수납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부재의 둘레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비된 연결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수납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벽체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의 후면에는 벽체에 접촉되어, 상기 수납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베어링부재가 구비된 수납장.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전면의 양측에는 상하 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된 수납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수납부의 사이에는 상기 수납부가 원활히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가 구비된 수납장.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6687A KR101209227B1 (ko) | 2010-10-29 | 2010-10-29 | 상하 이동 가능한 수납부를 가지는 수납장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6687A KR101209227B1 (ko) | 2010-10-29 | 2010-10-29 | 상하 이동 가능한 수납부를 가지는 수납장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5262A KR20120045262A (ko) | 2012-05-09 |
KR101209227B1 true KR101209227B1 (ko) | 2012-12-06 |
Family
ID=4626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6687A KR101209227B1 (ko) | 2010-10-29 | 2010-10-29 | 상하 이동 가능한 수납부를 가지는 수납장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922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382354A (en) | 1944-10-31 | 1945-08-14 | Norman Bel Geddes | Wall cabinet |
JP2006000581A (ja) * | 2004-06-17 | 2006-01-05 | Mitomi Kogyo:Kk | 昇降式戸棚 |
-
2010
- 2010-10-29 KR KR1020100106687A patent/KR10120922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382354A (en) | 1944-10-31 | 1945-08-14 | Norman Bel Geddes | Wall cabinet |
JP2006000581A (ja) * | 2004-06-17 | 2006-01-05 | Mitomi Kogyo:Kk | 昇降式戸棚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5262A (ko) | 2012-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4074B1 (ko) | 수납용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 |
KR101880098B1 (ko) | 냉장고 | |
KR20130011827A (ko) | 냉장고 | |
CN104884725B (zh) | 幕装置的滑动引导框部 | |
KR102210016B1 (ko) | 냉장고 | |
KR101896077B1 (ko) | 이동이 제한되는 이너리테이너가 구비된 슬라이더 | |
JP2009030875A (ja) | 冷蔵庫 | |
EP3444548B1 (en) | Refrigerator | |
ITPD20110001A1 (it) | Elettrodomestico da incasso e assieme di elettrodomestico da incasso e mobile per elettrodomestico da incasso | |
JP4955215B2 (ja) | 壁面収納装置 | |
JP5433908B2 (ja) | 引出し用衝撃緩和装置 | |
RU2014150862A (ru) | Емкость с выдвижным элементом для выдачи потребительских товаров | |
KR101262162B1 (ko) | 자동 잠금 장치가 설치된 수납 공간 분할 장치 | |
KR101563129B1 (ko) | 도어장치 | |
KR101209227B1 (ko) | 상하 이동 가능한 수납부를 가지는 수납장 | |
CN206502983U (zh) | 波轮洗衣机 | |
KR20150102457A (ko) | 이동유닛을 구비한 옷장 | |
KR101249588B1 (ko) | 슬라이딩 수납함 | |
KR200441767Y1 (ko) | 미닫이 장롱 | |
CN106388339A (zh) | 一种光盘收纳柜 | |
CN203662268U (zh) | 一种实验室用物品柜 | |
KR100954143B1 (ko) | 건축물 발코니 천정 수납구조 | |
KR200441299Y1 (ko) | 미닫이 장롱 | |
JP2017119957A (ja) | 戸袋構造 | |
KR200421309Y1 (ko) | 싱크대 용 냉장고의 하부 바스켓 개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