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115B1 - 하드웨어 색변환장치에 대응한 화상 계조 향상 장치 - Google Patents

하드웨어 색변환장치에 대응한 화상 계조 향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115B1
KR101209115B1 KR1020100130974A KR20100130974A KR101209115B1 KR 101209115 B1 KR101209115 B1 KR 101209115B1 KR 1020100130974 A KR1020100130974 A KR 1020100130974A KR 20100130974 A KR20100130974 A KR 20100130974A KR 101209115 B1 KR101209115 B1 KR 101209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thering
unit
signal
yuv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428A (ko
Inventor
류성걸
정윤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스트리
Priority to KR1020100130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1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9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4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6Colour space trans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YUV 영역에서 디더링하는 화상 계조 향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상 계조 향상 장치는, 압축된 비디오 스트림을 입력받고,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YUV 영상 신호로 출력하는 비디오 디코더;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YUV 영상 신호들이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YUV 영상 신호들을 디더링(Dithering) 처리하여 출력하는 YUV 디더링부; 상기 YUV 디더링부로부터 디더링된 YUV 영상 신호들이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YUV 영상 신호들을 24비트의 RGB 영상 신호들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색공간 변환부; 상기 색공간 변환부로부터 24비트의 RGB 영상 신호들을 전송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에 맞도록 상기 24 비트의 RGB 영상 신호들의 크기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영상 크기 조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하드웨어 색변환장치에 대응한 화상 계조 향상 장치{Image gradation improvement apparatus with color space converter formed in hardware}
본 발명은 디더링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드웨어 색변환 장치를 갖는 영상 처리 장치에서의 화상 계조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색차 컴포넌트 신호(Color difference Component signal)인 YUV 신호 영역에서 디더링을 수행하는 화상 계조 향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이하 'LCD'라 한다)는 얇고 가벼우며 고화질과 고해상도 및 저소비 전력 등의 우수한 특성 때문에 모니터나 TV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LCD는 부피가 적은 휴대용 단말기(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 DMB 단말기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TV나 모니터 등은 각 화소에 대하여 각각 8비트로 이루어지는 Red(R), Green(G), Blue(B)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며, 각 화면을 초당 30 프레임(frame)이상으로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선명한 색상 및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동통신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전력 소비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초당 15 프레임을 출력시키고, R, G, B 의 영상 신호들을 각각 5, 6 , 5 비트로 구성하여 사용하거나 6, 6, 6 비트로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화상 계조 향상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출력 장치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하여, 압축된 비디오 스트림을 복호한 후, YUV 영역의 데이터를 RGB 영역으로 변환시키고, 크기 조정을 한 후 출력 장치인 액정 표시 장치로 출력된다. YUV 영상 신호는 색차 컴포넌트 신호(Color Difference Componet Signal)로서, 휘도 신호인 Y 영상 신호는 밝고 어두움의 정도를 나타내며, 색상 신호인 U,V 영상 신호들은 각각 채도로서 적색과 청색의 정도를 표현한다. YUV 영상신호는 수평, 수직 동기 신호를 나타내는 휘도(Y)와 색상 신호(U, V)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RGB 방식보다 색상 분리 및 전달 효과는 약하지만, 적은 색상 정보로서 보다 많은 색상을 표현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로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화상 계조 향상 장치는 비디오 디코더(110), 색공간 변환부(130), 영상크기 조정부(140), RGB 디더링부(120)를 구비한다. 화상 계조 향상 장치로 압축된 비디오 스트림이 입력되면, 비디오 디코더(110)는 상기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YUV 영상 신호들로 출력하게 되는데, YUV 영상 신호들은 각각 휘도 신호(Y) 및 색상 신호들(U,V)이며, 각각 8 비트들로 구성된다. 도 1의 (a)는 RGB 디더링부가 영상크기 조정부(140)의 입력단에 연결된 형태이며, (b)는 RGB 디더링부가 영상 크기 조정부(140)의 출력단에 연결된 형태이다.
다음, 색공간 변환부(color space converter:130)는 각각 8 비트들로 구성되는 YUV 영상 신호들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YUV 영상 신호들을 각각 8 비트들로 구성되는 RGB 영상 신호들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한편, 영상 크기 조정부(140)는 입력 영상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에 맞게 입력 영상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여 해상도를 재조정한다. 예컨대, 입력 영상의 해상도가 720 * 480 이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가 320 * 240 인 경우, 영상 크기 조정부는 해상도가 720 * 480인 입력 영상의 R,G,B 각각의 신호를 320 * 240 의 해상도를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맞게 크기를 줄인 후 출력한다.
이와 같이 영상 크기 조정부가 입력 영상의 신호들을 감소시킴으로써, 색을 표현할 수 있는 비트수가 많지 않아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에 계단 현상이 나타나게 될 뿐만 아니라 영상에서의 부드러운 표현이 어려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적은 수의 색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없는 색을 표현하고자 할 때, 주변에 사용할 수 있는 색상의 화소를 모아서 표현함으로써 사람의 눈에 비슷한 색상으로 보이게 하고, 그 결과 표현이 부드러워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디더링(Dithering)이라고 한다.
RGB 디더링부(120)는 영상 크기 조정부(140)의 입력단이나 출력단에 배치되어, RGB 영상 신호를 변환처리하여 출력함으로써, 출력 영상을 보다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RGB 디더링부는 RGB 영상 신호를 변환 처리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디더링을 사용한 효과를 나타내는 영상들로서, (a)는 216색을 사용하고 디더링을 적용하지 않은 web-safe color palette이며, (b)는 216색을 사용하면서 디더링을 적용한 영상이다. 도 2를 통해, 디더링된 영상이 디더링되지 않은 영상보다 부드럽게 표현된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추가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CPU의 복잡도가 점차 증가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CPU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에는 CPU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되었던 색공간 변환부와 영상 크기 조정부를 하드웨어 로직으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인 액정 표시 장치로 출력하게 된다. 도 3은 색공간 변환부와 영상 크기 조정부가 하드웨어 로직으로 처리된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와 같이, 화상 계조 향상 장치의 색공간 변환부와 영상 크기 조정부가 하드웨어 로직으로 바뀜에 따라, RGB 영상 신호들에 대하여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RGB 영상 신호들에 대해 수행하던 디더링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없으며, 그 결과 부드러운 영상 출력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색변환 장치가 하드웨어로 구현된 경우 YUV 신호 영역에서 디더링 변환시켜 화상 계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압축된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하는 화상 계조 향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화상 계조 향상 장치는, 압축된 비디오 스트림을 입력받고,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YUV 영상 신호로 출력하는 비디오 디코더;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YUV 영상 신호들이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YUV 영상 신호들을 디더링(Dithering) 처리하여 출력하는 YUV 디더링부; 상기 YUV 디더링부로부터 디더링된 YUV 영상 신호들이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YUV 영상 신호들을 24비트의 RGB 영상 신호들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색공간 변환부; 상기 색공간 변환부로부터 24비트의 RGB 영상 신호들을 전송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에 맞도록 상기 24 비트의 RGB 영상 신호들의 크기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영상 크기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YUV 디더링부는, 입력된 Y 영상 신호들을 디더링하여 출력하는 Y 신호 디더링부; 입력된 U 영상 신호들을 디더링하여 출력하는 U 신호 디더링부; 입력된 V 영상 신호들을 디더링하여 출력하는 V 신호 디더링부;를 구비한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디코더 및 YUV 디더링부는 소프트웨어로 처리되며, 상기 색공간 변환부 및 영상 크기 조정부는 하드웨어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YUV 디더링부는, U 신호 디더링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부, 및 V 신호 디더링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스위칭부로 제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스위칭부를 오프시켜 U 신호 디더링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입력된 U 영상 신호를 디더링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하며, 상기 제2 스위칭부로 제2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제2 스위칭부를 오프시켜 V 신호 디더링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입력된 V 영상 신호를 디더링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하거나,
상기 제1 스위칭부로 제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스위칭부를 온(ON)시켜 U 신호 디더링부를 구동시켜 입력된 U 영상 신호를 디더링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2 스위칭부로 제2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제2 스위칭부를 온(ON)시켜 V 신호 디더링부를 구동시켜 입력된 V 영상 신호를 디더링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는 YUV 신호 영역에서 디더링 변환을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색공간 변환부 및 영상 크기 조정부가 하드웨어 로직으로 처리되는 경우에도, 적은 수의 RGB 영상 신호들을 이용하더라도 디스플레이 모듈에 영상들을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로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디더링을 사용한 효과를 나타내는 영상들로서, (a)는 216색을 사용하고 디더링을 적용하지 않은 web-safe color palette이며, (b)는 216색을 사용하면서 디더링을 적용한 영상이다.
도 3은 색공간 변환부와 영상 크기 조정부가 하드웨어 로직으로 처리된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40)의 디더링부(420)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60)의 YUV 디더링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장치는 압축된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40)는, 비디오 디코더(410), YUV 디더링부(420), 색공간 변환부(430) 및 영상 크기 조정부(440)를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410)는 압축된 비디오 스트림을 입력받고,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YUV 영상 신호를 YUV 디더링부(420)로 출력한다. YUV 영상 신호는 각각 8비트들로 구성되는 Y 영상 신호, U 영상 신호, V 영상 신호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YUV 디더링부(420)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YUV 영상 신호들이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YUV 영상 신호들을 디더링 처리하여 색공간 변환부(430)로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40)의 디더링부(420)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더링부(420)는 8 비트의 Y 영상 신호를 디더링하여 출력하는 Y 신호 디더링부(422), 8 비트의 U 영상 신호를 디더링하여 출력하는 U 신호 디더링부(424), 8 비트의 V 영상 신호를 디더링하여 출력하는 V 신호 디더링부(426)를 구비한다.
상기 색공간 변환부(430)는 상기 YUV 디더링부로부터 디더링된 YUV 영상 신호들이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YUV 영상 신호들을 24비트의 RGB 영상 신호들로 변환시켜 영상 크기 조정부(440)로 출력한다.
상기 영상 크기 조정부(440)는 상기 색공간 변환부로부터 24비트의 RGB 영상 신호들이 전송되고, 입력된 영상 신호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에 맞도록 상기 24 비트의 RGB 영상 신호들의 크기를 조정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등에 장착되는데, 상기 비디오 디코더(410) 및 YUV 디더링부(4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CPU)에서 소프트웨어로 처리되며, 상기 색공간 변환부(430) 및 상기 영상 크기 조정부(440)는 하드웨어 로직으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RGB 영상 신호들에 대하여 디더링 처리를 하는 것이 아니라, YUV 영상 신호들에 대하여 디더링 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YUV 디더링부는 Y 영상 신호, U 및 V 영상 신호들의 각각에 대하여 디더링 알고리즘을 적용하게 되는데, 상기 디더링 알고리즘은 종래의 R,G,B 영상 신호에 적용되는 디더링 알고리즘들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수 개의 디더링 알고리즘들 중 대표적인 알고리즘인 오차 확산 디더링 알고리즘의 하나인 Floyd-Steinberg 방법을 본 발명에서는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Floyd-Steinberg 방법은, 먼저 현재 픽셀값과 낮은 비트로 양자화된 픽셀값에 대한 오차를 계산한다. 여기서 픽셀 값은 Y 신호를 디더링할 경우 Y, U 신호를 디더링할 경우 U, V 신호를 디더링할 경우 V의 값을 의미한다. 원래의 픽셀값을 p(x,y)로, 양자화된 픽셀값을 p' (x,y)라고 정의한다면, 오차 e는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10084114115-pat00001
다음, 오차 e 를 사전에 설정된 디더링 행렬을 이용하여 분산시켜 픽셀 값을 변환시킨다. 변환 식은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0084114115-pat00002
p˝(x,y)(x,y)에서의 디더링 변환된 값을 의미하며, M은 디더링 행렬로서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0084114115-pat00003
디더링 행렬은 사용하는 디더링 알고리즘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행렬의 크기도 바뀔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모든 픽셀에 대하여 반복 수행함으로써, 전체 영상에 대하여 디더링 변환을 완료한다.
디더링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디더링 알고리즘외에도 다양한 디더링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60)의 YUV 디더링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에 있어서, YUV 디더링부를 제외한 다른 구성 요소들은 제1 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YUV 디더링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60)의 YUV 디더링부(620)는 Y 영상 신호는 항상 디더링 변환을 수행하며, U 및 V 영상 신호는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디더링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60)는 U 영상 신호와 V 영상 신호의 디더링 변환을 각각 선택하기 위한 제1 스위칭 신호 및 제2 스위칭 신호가 YUV 디더링부(620)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더링부(620)는 8 비트의 Y 영상 신호를 디더링하여 출력하는 Y 신호 디더링부(622), 8 비트의 U 영상 신호를 디더링하여 출력하는 U 신호 디더링부(624), 8 비트의 V 영상 신호를 디더링하여 출력하는 V 신호 디더링부(626), U 신호 디더링부의 구동을 선택하지 않는 제1 스위칭부(628), 및 V 신호 디더링부의 구동을 선택하지 않는 제2 스위칭부(629)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위칭부(628)는 U 신호 디더링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다. 외부로부터 제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는 U 신호 디더링부를 구동시키지 않고 U 영상 신호를 그대로 출력한다. 상기 제2 스위칭부(629)는 V 신호 디더링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다. 외부로부터 제2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V 신호 디더링부를 구동시키지 않고 V 영상 신호를 그대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1 스위칭 신호 및 제2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입력된 U 영상 신호 및 V 영상 신호는 각각 U 신호 디더링부 및 V 신호 디더링부에서 디더링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제1 스위칭 신호 및 제2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U 신호 디더링부 및 V 신호 디더링부가 구동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입력된 U 영상 신호 및 V 영상 신호가 디더링되지 않고 그대로 출력된다.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제2 스위칭부로 각각 제공되는 제1 스위칭 신호 및 제2 스위칭 신호는 화상 계조 향상 장치를 구동하는 중앙 처리 장치의 부하에 따라 결정되어 제공되어 질 수도 있으며, 사용자나 운용자에 의해 초기에 설정되어 입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다른 실시 형태는, 제1 스위칭부로 제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U 신호 디더링부가 구동되도록 하고, 제2 스위칭부로 제2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V 신호 디더링부가 구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 스위칭 신호 및 제2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U 신호 디더링부 및 V 신호 디더링부가 구동되지 않으며, 입력된 U 영상 신호 및 V 영상 신호가 디더링되지 않고 그대로 출력된다. 그리고, 제1 스위칭 신호 및 제2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U 신호 디더링부 및 V 신호 디더링부가 구동되어, 입력된 U 영상 신호 및 V 영상 신호가 각각 디더링되어 출력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계조 향상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에 보다 부드러운 영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계조 향상 장치의 색공간 변환부 및 영상 크기 조정부를 하드웨어 로직으로 설계한 경우에 더욱 널리 사용될 수 있다.
40, 60 : 화상 계조 향상 장치
410, 610 : 비디오 디코더
420, 620 : YUV 디더링부
430, 630 : 색공간 변환부
440, 640 : 영상 크기 조정부
422, 622 : Y 신호 디더링부
424, 624 : U 신호 디더링부
426, 626 : V 신호 디더링부
628 : 제1 스위칭부
629 : 제2 스위칭부

Claims (7)

  1. 압축된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하는 화상 계조 향상 장치에 있어서,
    압축된 비디오 스트림을 입력받고,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YUV 영상 신호로 출력하는 비디오 디코더;
    상기 비디오 디코더로부터 YUV 영상 신호들이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YUV 영상 신호들을 디더링(Dithering) 처리하여 출력하는 YUV 디더링부;
    상기 YUV 디더링부로부터 디더링된 YUV 영상 신호들이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YUV 영상 신호들을 24비트의 RGB 영상 신호들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색공간 변환부;
    상기 색공간 변환부로부터 24비트의 RGB 영상 신호들을 전송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에 맞도록 상기 24 비트의 RGB 영상 신호들의 크기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영상 크기 조정부;
    를 구비하고, 상기 YUV 디더링부는
    입력된 Y 영상 신호들을 디더링하여 출력하는 Y 신호 디더링부;
    입력된 U 영상 신호들을 디더링하여 출력하는 U 신호 디더링부;
    입력된 V 영상 신호들을 디더링하여 출력하는 V 신호 디더링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계조 향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디코더 및 YUV 디더링부는 소프트웨어로 처리되며, 상기 색공간 변환부 및 영상 크기 조정부는 하드웨어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계조 향상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UV 디더링부는
    U 신호 디더링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스위칭부로 제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스위칭부를 오프(OFF)시켜 U 신호 디더링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입력된 U 영상 신호를 디더링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계조 향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UV 디더링부는
    V 신호 디더링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로 제2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제2 스위칭부를 오프(OFF)시켜 V 신호 디더링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V 영상 신호를 디더링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계조 향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UV 디더링부는
    U 신호 디더링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스위칭부로 제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스위칭부를 온(ON)시켜 U 신호 디더링부를 구동되도록 하여, U 영상 신호를 디더링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1 스위칭부로 제1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U 신호 디더링부가 구동되지 않고, U 영상 신호를 디더링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계조 향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UV 디더링부는
    V 신호 디더링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로 제2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제2 스위칭부를 온(ON)시켜 V 신호 디더링부를 구동되도록 하여 입력된 V 영상 신호를 디더링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2 스위칭부로 제2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V 신호 디더링부가 구동되지 않고, V 영상 신호를 디더링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계조 향상 장치.
KR1020100130974A 2010-12-20 2010-12-20 하드웨어 색변환장치에 대응한 화상 계조 향상 장치 KR101209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974A KR101209115B1 (ko) 2010-12-20 2010-12-20 하드웨어 색변환장치에 대응한 화상 계조 향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974A KR101209115B1 (ko) 2010-12-20 2010-12-20 하드웨어 색변환장치에 대응한 화상 계조 향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428A KR20120069428A (ko) 2012-06-28
KR101209115B1 true KR101209115B1 (ko) 2012-12-06

Family

ID=4668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974A KR101209115B1 (ko) 2010-12-20 2010-12-20 하드웨어 색변환장치에 대응한 화상 계조 향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1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1497A (ja) 2003-06-02 2004-12-24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1497A (ja) 2003-06-02 2004-12-24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428A (ko)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1983B2 (en) Color convers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color conversion method
JP362052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伝送装置、画像受信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108723B2 (ja) 表示装置の駆動方法、表示装置の駆動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表示装置
TWI549112B (zh) 顯示裝置及具備其之電子機器、以及顯示裝置之驅動方法
US8976102B2 (en) Timing controller utilized in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8416256B2 (en) Programmable dithering for video displays
JP2010020241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駆動用集積回路、駆動用集積回路による駆動方法及び信号処理方法
US10319339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processor and terminal
KR102103730B1 (ko)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1617658B1 (en) Enhanced image display
JP2006047993A (ja) データ変換装置
JP2007108439A (ja) 表示駆動回路
JP3859514B2 (ja) サブサンプリングされたy/cカラー信号によるフラットパネル駆動
US20180048914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CN101841724B (zh) 图像处理方法
US9311886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signal processing unit that converts an input signal for an input HSV color spac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for the display device
CN105100763A (zh) 色彩补偿方法及电路、显示装置
CN107845358B (zh) 显示器驱动设备和显示器驱动方法
WO2005043501A1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カラー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779654B2 (en) Method for image display and display system
KR101209115B1 (ko) 하드웨어 색변환장치에 대응한 화상 계조 향상 장치
JP2009511995A (ja) カラー画素データを記憶してディスプレイを駆動する方法及びその実行手段、及びこの方法を用いた表示装置
US20040240563A1 (en) Video preprocessor
JP371685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2004015065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signals for presentation on a display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