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763B1 -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763B1
KR101208763B1 KR1020117004159A KR20117004159A KR101208763B1 KR 101208763 B1 KR101208763 B1 KR 101208763B1 KR 1020117004159 A KR1020117004159 A KR 1020117004159A KR 20117004159 A KR20117004159 A KR 20117004159A KR 101208763 B1 KR101208763 B1 KR 101208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displacement
oppos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4026A (en
Inventor
히데키 미야하라
에이지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4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0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7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는 장착대가 고정되어 있다. 장착대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받이부를 가지고 있다. 또, 장착대에는 클리트장치가 보유지지되어 있다. 클리트장치는 각 받이부의 아래쪽에 각각 삽입된 한 쌍의 대향부를 포함하며 장착대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행거부재와, 대향부와 받이부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대향부 및 받이부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대향부 및 받이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체와, 각 받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행거부재에 접속된 샤클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은 샤클에 접속된 현가수단에 의해 매달려 있다.The mounting table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r. The mount has a pair of receiving parts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a cleat device is held in the mounting table. The cleat device includes a pair of opposing portions respectively inserted under each receiving portion, and is disposed between the oppos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respectively, and is arranged between the opposite portions and the receiving portion so as to face each other in a direction close to each other. It has a pair of press bodies which press the opposing part and the receiving part in the direction which opposes the displacement of a part and a receiving part, and the shackle arrange | positioned between each receiv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hanger member. The car is suspended by suspension means connected to the shackle.

Figure R1020117004159
Figure R1020117004159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0001] ELEVATOR DEVICE [0002]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메인로프 등에 의해서 매달린 엘리베이터칸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having a car suspended by, for example, a main rope.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메인로프의 단부에 막대 모양의 로프샤클(rope shackle)이 접속됨으로써, 메인로프의 말단(末端)처리가 행해져 있다. 로프샤클은 엘리베이터칸의 상부프레임을 상하방향에 따라서 통과되어 있다. 로프샤클 상부프레임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한 부분에는 스프링받이판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받이판과 상부프레임과의 사이에는 로프샤클이 내측으로 통과된 코일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다. 메인로프는 코일스프링, 스프링받이판 및 로프샤클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칸의 하중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엘리베이터칸은 메인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다(특허문헌 1 참조).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the rod-shaped rope shackle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main rope which hangs a car, and the terminal rope end process is performed. The rope shackle passes through the upper frame of the ca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pring receiving plate is installed in the part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upper frame of the rope shackle. Between the spring receiving plate and the upper frame, a coil spring through which the rope shackle passes inward is disposed. The main rope is loaded with the car through a coil spring, spring plate and rope shackle. In this way, the car is suspended by the main rope (se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0-35547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355475

그러나, 1개의 메인로프가 받는 하중 전부를 1개의 코일스프링이 받고 있으므로, 코일스프링이 대형화해 버린다. 또, 코일스프링을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상부프레임의 아래쪽에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 전체의 높이방향의 치수가 커져 버린다. 따라서, 승강로 전체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없다.However, since one coil spring receives all the loads of one main rope, the coil spring becomes large. Moreover, sinc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pace in which the coil spring is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upper frame, the dimension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hole car becomes large. Therefore, reduction of the entire hoistway cannot be achiev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로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aim at reduction of a hoistway.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칸, 수평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받이부를 가지고,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 고정된 장착대, 각 받이부의 아래쪽에 각각 삽입된 한 쌍의 대향부를 포함하며 장착대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행거부재와, 대향부와 받이부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대향부 및 받이부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대향부 및 받이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체와, 각 받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행거부재에 접속된 샤클을 가지는 클리트(cleat)장치 및 샤클에 접속되어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현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receiving parts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in a car, a horizontal direction, a mounting table fixed to an upper part of a car, and a pair of opposing parts respectively inserted below each receiving part. It includes a hanger member that is displace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table, and disposed between the oppos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respectively, to press the oppos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in a direction against the displacement of the oppos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A cleat device having a pair of pressing bodies, a shackle disposed between each receiving part and connected to a hanger member, and a suspension means connected to the shackle and suspending a car.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re exists an effect of obtaining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aim at reduction of a hoistw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상부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장착대, 클리트장치 및 저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장착대, 클리트장치 및 저울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칸 측의 클리트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엘리베이터칸 측의 클리트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엘리베이터칸 측의 클리트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ar of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ar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upper frame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table, the cleat device, and the balance device of FIG. 1.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table, the cleat device, and the balance device of FIG. 4.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5.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cleat device of the side of the car of FIG.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cleat device of the side of the car of FIG.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leat device on the side of the car of FIG. 8.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도시생략)가 현가수단인 복수 개(본 예에서는 3개)의 로프(2)에 의해서 매달려 있다. 각 로프(2)는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권상기의 구동쉬브(도시생략)에 감겨 있다.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는 구동쉬브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 내에서 승강된다.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가 승강로 내에서 승강될 때에는, 엘리베이터칸(1)이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도시생략)에 안내되고, 균형추가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도시생략)에 안내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ar of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car of FIG. In the drawing, the car 1 and the balance weight (not shown) are suspended by a plurality of ropes 2 (three in this example) as suspension means in the hoistway. Each rope 2 is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not shown) of the hoist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are lifted in the hoistway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When the car 1 and the balance weight are elevated in the hoistway, the car 1 is guided by a pair of car guide rails (not shown), and the balance weight is guided by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not shown). do.

엘리베이터칸(1)의 상부에는 장착대(3)가 고정되어 있다. 장착대(3)에는 각 로프(2)의 일단부가 개별적으로 접속된 복수(본 예에서는 3대)의 클리트장치(4)가 보유지지되어 있다. 균형추의 상부에는 장착대(도시생략)가 고정되어 있다. 균형추의 장착대에는 각 로프(2)의 타단부가 개별적으로 접속된 복수(본 예에서는 3대)의 클리트장치(도시생략)가 보유지지되어 있다. 즉, 로프(2)에 의한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의 매닮 방식은 1 : 1 로핑방식으로 되어 있다.The mounting table 3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r 1. The mounting table 3 holds a plurality of cleat devices 4 (three in this example) in which one end of each rope 2 is individually connected. A mounting table (not shown)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weight. On the mounting table of the counterweight, a plurality of cleats (not shown) (not shown) are held in which the other end of each rope 2 is individually connected. That is, the hawk resembling method of the cage | basket | car 1 and the counterweight by the rope 2 is 1: 1 roping system.

엘리베이터칸(1)은 엘리베이터칸실(5)과 엘리베이터칸실(5)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6)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실(5)은 엘리베이터칸실 바닥부(7)와, 엘리베이터칸실 바닥부(7)상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8)와,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8)의 상단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9)를 가지고 있다.The car 1 has a car cage 6 and a car frame 6 supporting the car cage 5. The cage 5 is a cage bottom portion 7, a cage body portion 8 provided on the cage bottom portion 7, and a cage ceiling portion 9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age body portion 8. Has)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8)에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0)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0)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칸실 바닥부(7)에 고정된 엘리베이터칸 문턱(11)이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문턱(11)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0)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문턱(11)의 위쪽에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0)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도어(12)가 배치되어 있다.The car doorway 10 is provided in the cage main body 8. The car threshold 11 fixed to the car bottom part 7 is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car entrance 10. As shown in FIG. The car threshold 11 is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entrance 10. As shown in FIG. A pair of car doors 12 that open and close the car doorway 10 are arranged above the car door 11.

또한,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8)의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0) 근방의 부분에는 엘리베이터칸실(5) 내에서 조작 가능한 엘리베이터칸 조작반(13)이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 문턱(11)에는 엘리베이터칸 문턱(1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보호판인 에이프런(apron)(14)이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car operating panel 13 which can operate in the cage | basket | car 5 is provided in the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entrance 10 of the cage | basket | car main body part 8 near. Moreover, the apron 14 which is a protection board extended downward from the car threshold 11 is provided in the car threshold 11.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9)는 엘리베이터칸실(5)을 상하방향에 따라서 보았을 때에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8)보다도 작게 되며, 또한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8)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9)의 수평 단면적은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8)의 수평 단면적보다도 작게 되며, 또한 승강로의 수직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9)의 영역의 전부가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8)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8)와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9)와의 경계에는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9)를 둘러싸는 계단부(15)가 형성되어 있다.The cage ceiling portion 9 is smaller than the cage body portion 8 when the cage 5 is viewed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is disposed inside the cage body portion 8. That is,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age ceiling portion 9 is smaller tha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age body portion 8, and the entire area of the cage ceiling portion 9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is the cage body portion 8. It is arranged in the area of (). Therefore, the step part 15 which surrounds the cage ceiling part 9 is formed in the boundary between the cage main body part 8 and the cage ceiling part 9.

엘리베이터칸 프레임(6)은 엘리베이터칸실(5)이 놓여지는 하부프레임(16)과,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9)의 외주를 둘러싸는 상부프레임(17)과, 하부프레임(16)과 상부프레임(17)을 연결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18)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프레임(6)의 상하 단부에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안내되는 가이드슈(19)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부프레임(16)에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을 파지하여 엘리베이터칸(1)의 낙하를 저지하는 비상멈춤장치(20)가 탑재되어 있다.The car frame 6 includes a lower frame 16 on which the cage 5 is placed, an upper frame 17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eiling 9 of the cage, a lower frame 16 and an upper frame 17. It has a pair of vertical frames (18) connecting.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ar frame 6, guide shoes 19 guided along the car guide rail are provided. In addition, the lower frame 16 is equipped with an emergency stop device 20 for holding the car guide rail and preventing the car 1 from falling.

여기서, 도 3은 도 1의 상부프레임(17)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부프레임(17)은 수평방향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9)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모양의 외부프레임(21)과, 외부프레임(21)의 내측에 고정되어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9)의 위쪽에 배치된 내부프레임(22)을 가지고 있다. 외부프레임(21) 및 내부프레임(22)은 중공의 각(角)파이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upper frame 17 of FIG. 1. The upper frame 17 has a rectangular outer frame 21 surrounding the cage ceiling 9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frame 21 and disposed above the cage ceiling 9. It has an inner frame 22. The outer frame 21 and the inner frame 22 are constituted by hollow angular pipes.

외부프레임(21)의 상면의 위치는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9)의 상면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고, 외부프레임(21)의 하면의 위치는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9)의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도 2). 또, 외부프레임(21)의 내주면은 상부프레임(17)을 상하방향에 따라서 보았을 때에,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8)의 외주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The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21 i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10 of the cage, and the posi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21 is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9 of the cage (Fig. 2).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21 is located insid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age body part 8 when the upper frame 17 is view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외부프레임(21)은 엘리베이터칸(1)의 깊이방향에 대해서 대향하는 외부프레임 프런트빔부(23) 및 외부프레임 리어빔부(24)와, 외부프레임 프런트빔부(23) 및 외부프레임 리어빔부(24)의 양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외부프레임 사이드빔부(25)를 가지고 있다. 외부프레임 사이드빔부(25)는 각 세로프레임(18)의 상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The outer frame 21 includes an outer frame front beam portion 23 and an outer frame rear beam portion 24 facing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r 1, an outer frame front beam portion 23 and an outer frame rear beam portion 24. It has a pair of outer frame side beam portion 25 to connect between both ends of the. The outer frame side beam part 25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each vertical frame 18, respectively.

외부프레임 프런트빔부(2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0)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외부프레임 프런트빔부(23)에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0)의 폭방향에 따른 도어레일(도시생략)이 고정되고 있다. 각 엘리베이터칸 도어(12)는 도어레일에 걸려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칸 도어(12)는 엘리베이터칸(1)에 탑재된 도어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도어레일을 따라서 이동된다.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0)는 각 엘리베이터칸 도어(12)가 도어레일을 따라서 이동됨으로써 개폐된다. 즉, 상부프레임(17)의 일부인 외부프레임 프런트빔부(23)는 각 엘리베이터칸 도어(12)를 지지하는 도어케이스로서 겸용되고 있다.The outer frame front beam part 23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car entrance 1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 door rail (not show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entrance and exit 10 is fixed to the outer frame front beam part 23. Each car door 12 is hung on a door rail. Moreover, each car door 12 is moved along the door rail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oor drive device mounted in the car 1. The car door 10 is opened and closed by moving each car door 12 along the door rail. That is, the outer frame front beam part 23 which is a part of the upper frame 17 is used as a door case which supports each car door 12. As shown in FIG.

내부프레임(22)은 외부프레임 프런트빔부(23) 및 외부프레임 리어빔부(24)에 고정되어 있다. 또, 내부프레임(22)은 각 외부프레임 사이드빔부(25)와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내부프레임 세로빔부(26)와, 각 내부프레임 세로빔부(26) 사이에 고정되어 엘리베이터칸(1)의 깊이방향에 대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내부프레임 가로빔부(27)를 가지고 있다. 각 내부프레임 세로빔부(26) 및 각 내부프레임 가로빔부(27)에 의해 둘러싸인 범위는 엘리베이터칸(1)을 상하방향에 따라서 보았을 때에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9)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The inner frame 22 is fixed to the outer frame front beam portion 23 and the outer frame rear beam portion 24. In addition, the inner frame 22 is fixed between a pair of inner frame vertical beam portions 26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uter frame side beam portion 25, and each inner frame vertical beam portion 26, and the car 1 It has a pair of inner frame horizontal beam portion 27 arranged at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range surrounded by each of the inner frame vertical beam units 26 and each of the inner frame horizontal beam units 27 is located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cage ceiling portion 9 when the car 1 is view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장착대(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프레임(22)에 고정되어 있다. 또, 장착대(3)는 각 내부프레임 세로빔부(26) 및 각 내부프레임 가로빔부(27)에 의해 둘러싸인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프레임(22)에는 엘리베이터칸(1)의 하중을 검출하는 저울장치(28)가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ounting table 3 is fixed to the internal frame 22. Moreover, the mounting table 3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range enclosed by each internal frame vertical beam part 26 and each internal frame horizontal beam part 27. As shown in FIG. The internal frame 22 is equipped with a scale device 28 for detecting the load of the car 1.

도 4는 도 1의 장착대(3), 클리트장치(4) 및 저울장치(28)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5는 도 4의 장착대(3), 클리트장치(4) 및 저울장치(28)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장착대(3)는 내부프레임(22)에 수평으로 고정된 지지판(29)과, 지지판(29)의 상면에 고정되어 수평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받이브래킷(받이부)(30)을 가지고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table 3, the cleat device 4, and the balance device 28 of FIG. 1. 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table 3, the cleat device 4, and the balance device 28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5. In the drawing, the mounting table 3 has a support plate 29 fixed horizontally to the inner frame 22 and a pair of support bracket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9 and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as 30).

지지판(29)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가 각 내부프레임 가로빔부(27)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볼트(31)에 의해 각 내부프레임 가로빔부(27)에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supporting plate 29 is fixed to the respective inner frame horizontal beam portions 27 by bolts 31 in a state where the edge portion abuts against the lower surface of each inner frame horizontal beam portion 27.

각 받이브래킷(30)은 내부프레임 가로빔부(27)에 따른 방향에 대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받이브래킷(30)은 엘리베이터칸(1)의 깊이방향에 대해서 대향하는 한 쌍의 다리부(30a)와, 각 다리부(30a) 사이에 고정되어 지지판(29)의 위쪽에 배치된 수평부(30b)를 가지고 있다. 각 수평부(30b)에는 로프(2)의 개수와 같은 수(이 예에서는 3개)의 관통구멍(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받이브래킷(30)은 띠모양의 금속판을 굽혀 제작되어 있다.Each bracket 30 is arranged at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along the inner frame horizontal beam portion 27. In addition, the support bracket 30 is horizontally fixed between the pair of leg portions 30a facing each other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r 1 and the leg portions 30a and disposed above the support plate 29. It has a part 30b. Each horizontal portion 30b is formed with the same number of through holes 32 as the number of ropes 2 (three in this example). The support bracket 30 is produced by bending a strip-shaped metal plate.

각 클리트장치(4)는 각 수평부(30b)의 아래쪽에 각각 삽입된 한 쌍의 대향부(33a)를 포함하며 장착대(3)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천칭기구(행거부재)(33)와, 대향부(33a)와 수평부(30b)와의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샤클스프링(가압체)(34)과, 각 받이브래킷(30) 사이에 배치되어 천칭기구(33)에 접속된 샤클(35)과, 각 대향부(33a)에 고정되어 샤클스프링(34) 및 관통구멍(32)을 통과한 안내볼트(안내축)(36)를 가지고 있다.Each cleat device 4 includes a pair of opposing portions 33a respectively inserted below each horizontal portion 30b, and a balance mechanism (hanger member) 33 capable of being dis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table 3. ) And a pair of shackle springs (pressors) 34 disposed between the opposing portion 33a and the horizontal portion 30b, and connected to the balance mechanism 33, respectively. And a guide bolt (guide shaft) 36 which is fixed to each of the shackles 35 and the opposing portions 33a and has passed through the shackle springs 34 and the through holes 32.

천칭기구(33)의 각 대향부(33a) 사이의 부분에는 샤클(35)과의 접속용의 돌기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샤클(35)의 하단부는 돌기부(33b)에 핀(3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천칭기구(33)는 샤클(35)에 대해서 핀(37)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샤클(35)의 상단부는 크림핑(crimping)됨으로써 로프(2)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In the part between each opposing part 33a of the balance mechanism 33, the projection part 33b for connection with the shackle 35 is formed. The lower end of the shackle 35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33b by a pin 37. The balance mechanism 33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hackle 35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the pin 37. The upper end of the shackle 35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rope 2 by crimping.

한 쌍의 샤클스프링(34)은 수평부(30b)로부터 받는 엘리베이터칸(1)의 하중에 의해 대향부(33a)와 수평부(30b)와의 사이에서 수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샤클스프링(34)은 탄성반발력을 발생하고 있다. 즉, 샤클스프링(34)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수평부(30b) 및 대향부(33a)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대향부(33a) 및 수평부(30b)를 가압하고 있다.The pair of shackle springs 34 are contracted between the opposing portion 33a and the horizontal portion 30b by the load of the car 1 receive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30b. As a result, each of the shackle springs 34 generates elastic repulsive force. That is, the shackle spring 34 presses the opposing part 33a and the horizontal part 30b in the direction which opposes the displacement of the horizontal part 30b and the opposing part 33a in the direction which mutually approaches.

로프(2)는 각 샤클스프링(34), 천칭기구(33) 및 샤클(35)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칸(1)의 하중을 받고 있다. 즉, 로프(2)는 한 쌍의 샤클스프링(34)의 각각이 받은 하중의 합계 하중을 받고 있다.The rope 2 receives the load of the car 1 through each shackle spring 34, the balance mechanism 33, and the shackle 35. That is, the rope 2 receives the total load of the load which each of the pair of shackle springs 34 received.

대향부(33a)는 천칭기구(33)의 샤클(35)에 대한 회동, 혹은 천칭기구(33)의 장착대(3)에 대한 변위에 의해, 수평부(30b)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된다. 대향부(33a)의 수평부(30b)에 대한 상하방향으로의 변위는 안내볼트(36)가 관통구멍(32)이 슬라이드됨으로써 안내된다. 대향부(33a)의 수평부(30b)에 대한 변위량은 샤클스프링(34)이 받은 하중에 따른 양으로 된다.The opposing part 33a is displac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art 30b by th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shackle 35 of the balance mechanism 33, or the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3 of the balance mechanism 33. As shown in FIG. . The up-and-down displacement of the opposing part 33a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art 30b is guided by the guide bolt 36 sliding the through-hole 32. As shown in FIG.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opposing part 33a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art 30b becomes an amount according to the load which the shackle spring 34 received.

저울장치(28)는 저울장치 장착기구(38)를 통하여 내부프레임 가로빔부(27)에 고정되어 있다. 또, 저울장치(28)는 각 천칭기구(33)의 장착대(3)에 대한 변위에 따라 동작하는 링크기구체(39)와, 링크기구체(39)의 동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변위검출장치(40)를 가지고 있다.The weighing device 28 is fixed to the inner frame horizontal beam portion 27 via the weighing device mounting mechanism 38. Moreover, the balance apparatus 28 is a link mechanism 39 which operates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3 of each balance mechanism 33, and the displacement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the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link mechanism 39. It has a detection apparatus 40.

링크기구체(39)는 각 천칭기구(33)에 대해서 한 쌍의 대향부(33a)의 한쪽만의 변위에 따라 동작한다. 즉, 링크기구체(39)와 연동하는 천칭기구(33)의 부분은 한 쌍의 대향부(33a) 중 한쪽만으로 되어 있다. 또, 링크기구체(39)는 각 천칭기구(33)의 수평부(30b)에 대한 변위 및 각 천칭기구(33) 사이의 상대적 변위의 각각에 따라 변위되는 제1 및 제2 조정용 링크부재(41, 42)와, 제1 및 제2 조정용 링크부재(41, 42)의 변위에 따라 장착대(3)에 대해서 회동되는 전달용 링크부재(43)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조정용 링크부재(41, 42) 및 전달용 링크부재(43)의 각각은 판 모양 부재로 되어 있다.The link mechanism 39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cement of only one pair of opposing portions 33a with respect to each balance mechanism 33. That is, the part of the balance mechanism 33 which cooperates with the link mechanism 39 becomes only one of a pair of opposing parts 33a. Further, the link mechanism 39 includes first and second adjustment link members which are displaced according to each of the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ortion 30b of each balance mechanism 33 and the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each balance mechanism 33 ( 41 and 42 and the transmission link member 43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3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1st and 2nd adjustment link members 41 and 42. As shown in FI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djustment link members 41 and 42 and the transmission link member 43 is a plate member.

제1 조정용 링크부재(41)는 각 천칭기구(33)의 한쪽의 대향부(33a)에 각각 설치된 3개의 안내볼트(36) 가운데, 일단 측 및 중앙에 각각 배치된 2개의 안내볼트(36)의 상단부에 위쪽으로부터 맞닿아져 있다.The first adjustment link member 41 has two guide bolts 36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center of the three guide bolts 36 respectively provided on one opposing portion 33a of each balance mechanism 33. I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upper part.

제2 조정용 링크부재(42)는 3개의 안내볼트(36) 가운데, 타단 측에 배치된 나머지의 1개의 안내볼트(36)의 상단부에 위쪽으로부터 맞닿아져 있음과 아울러, 제1 조정용 링크부재(41)에 핀(4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핀(44)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조정용 링크부재(41)와 2개의 안내볼트(36)와의 사이의 2개의 맞닿음 점의 각각으로부터 같은 거리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핀(44)의 장착대(3)에 대한 변위량은 일단 측 및 중앙의 2개의 안내볼트(36)의 장착대(3)에 대한 변위량의 평균값이 된다.The second adjustment link member 4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remaining one of the guide bolts 36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three guide bolts 36 from above, and the first adjustment link member ( It is connected to 41 by the pin 44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As shown in FIG. 5, the pin 44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becomes the same distance from each of the two contact points between the 1st adjustment link member 41 and two guide bolts 36.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displacement amount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3 of the pin 44 becomes an average value of the displacement amount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3 of the two guide bolts 36 of a side and a center.

전달용 링크부재(43)는 저울장치 장착기구(38)에 고정된 지지기구(45)에 핀(4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핀(46)은 전달용 링크부재(43)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다. 전달용 링크부재(43)의 일단부는 제2 조정용 링크부재(42)에 핀(4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전달용 링크부재(43)의 타단부에는 변위검출장치(40)를 누르는 프레싱판(48)이 고정되어 있다.The transmission link member 43 is rotatably mounted to the support mechanism 45 fixed to the scale device mounting mechanism 38 by the pin 46. The pin 46 is provid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link member 43 for transmission. One end of the transmission link member 4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adjustment link member 42 by a pin 47. On the other end of the transmission link member 43, a pressing plate 48 for pressing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40 is fixed.

전달용 링크부재(43)의 회동량은 각 천칭기구(33)의 한쪽의 대향부(33a)의 각각의 변위량의 평균값에 따른 양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핀(47)은 제2 조정용 링크부재(42)가 안내볼트(36)에 맞닿아져 있는 점으로부터의 거리보다도 핀(44)으로부터의 거리가 짧아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핀(44)의 변위량은 이미 2개의 안내볼트(36)의 변위량이 평균된 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달용 링크부재(43)의 회동량에서의 핀(44)의 변위량의 영향을 크게 하기 위해서, 제2 조정용 링크부재(42)가 안내볼트(36)에 맞닿아져 있는 점으로부터의 거리보다도 핀(44)에 가까운 위치에 핀(47)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3개의 대향부(33a)의 수평부(30b)에 대한 변위량의 평균값이 전달용 링크부재(43)의 회동량에 정밀도 좋게 반영된다.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link member 43 for transmission is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value of the displacement amounts of one opposing portion 33a of each balance mechanism 33. Accordingly, the pin 47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from the pin 44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point where the second adjustment link member 42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bolt 36. That is, since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pin 44 is already the averag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two guide bolts 36, the influence of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pin 44 on the rotation amount of the transmission link member 43 is greatly increased. For this purpose, the pin 47 is dispos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pin 44 than the distance from the point where the second adjustment link member 42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bolt 36. Thereby, the average value of the displacement amoun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art 30b of the three opposing parts 33a is accurately reflected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link member 43 for transmission.

변위검출장치(40)는 프레싱판(48)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변위검출장치(40)는 저울장치 장착기구(38)에 장착된 작동트랜스(49)와, 작동트랜스(49)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프레싱판(48)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러져 있는 검출봉(50)과, 검출봉(50)의 아래쪽으로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검출봉(50)을 가압하는 리턴스프링(51)을 가지고 있다.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40 is disposed below the pressing plate 48. In addition,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40 can be displac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transformer 49 and the operation transformer 49 mounted on the scale device mounting mechanism 38, and is pressed downward by the pressing plate 48. Detection rod 50, and a return spring 51 for pressing the detection rod 50 in a direction against the displacement of the detection rod 50 downward.

검출봉(50)의 상단부는 리턴스프링(51)의 가압력에 의해 위쪽의 프레싱판(48)으로 눌러 맞닿아져 있다. 따라서, 검출봉(50)은 전달용 링크부재(43)의 회동에 따라 작동트랜스(49)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된다. 검출봉(50)에는 스프링받이판(52)이 고정되어 있다.The upper end of the detection rod 50 is pressed against the upper pressing plate 48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51. Therefore, the detection rod 50 is displac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transformer 49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transmission link member 43. The spring receiving plate 52 is fixed to the detection rod 50.

리턴스프링(51)은 검출봉(50)이 내측에 통과된 코일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또, 리턴스프링(51)은 작동트랜스(49)와 스프링받이판(52)과의 사이에서 수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턴스프링(51)은 검출봉(50)을 프레싱판(48)에 눌러 닿게 하는 가압력을 발생한다.The return spring 51 is a coil spring through which the detection rod 50 passed inside. The return spring 51 is contracted between the actuation transformer 49 and the spring bearing plate 52. As a result, the return spring 51 generates a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detection rod 50 against the pressing plate 48.

작동트랜스(49)는 장착밴드(53) 및 볼트(54)에 의해 저울장치 장착기구(38)에 보유지지되어 있다. 또, 작동트랜스(49)는 검출봉(50)의 변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한다.The operation transformer 49 is held in the balancer mounting mechanism 38 by the mounting band 53 and the bolt 54. In addition, the operation transformer 49 generates a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cement of the detection rod (50).

작동트랜스(49)로부터의 신호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도시생략)로 보내진다. 제어장치는 각 로프(2)가 받는 하중의 평균값에 따른 신호로서 작동트랜스(49)로부터의 신호를 받고, 작동트랜스(49)로부터 받은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한다.The signal from the operation transformer 49 is sent to a control device (not show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he control device receives a signal from the operating transformer 49 as a signal according to the average value of the loads received by the respective ropes 2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ng transformer 49.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1)의 하중을 받는 천칭기구(33)의 각 대향부(33a)가 각 받이브래킷(30)의 아래쪽으로 각각 삽입되고, 한 쌍의 샤클스프링(34)이 대향부(33a)와 받이브래킷(30)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공통의 로프(2)가 받는 하중을 각 샤클스프링(34)으로 분담하여 받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샤클스프링(34)이 받는 각각의 하중을 작게 할 수 있어, 각 샤클스프링(34)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천칭기구(33)에 의해서 샤클(35) 및 각 샤클스프링(34)를 수평방향으로 늘어놓을 수 있으므로, 클리트장치(4)의 높이방향의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1)의 높이방향의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로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each opposing part 33a of the balance mechanism 33 which receives the load of the car 1 is inserted below each support bracket 30, and a pair of shackle springs 34 oppose each other. Since it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part 33a and the support bracket 30, the load which the common rope 2 receives can be shared by each shackle spring 34, and can receive. Therefore, each load which each shackle spring 34 receives can be made small, and each shackle spring 34 can be miniaturized. Moreover, since the shackle 35 and each shackle spring 34 can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the balance mechanism 33, the dimension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leat device 4 can be reduced, and a car ( The dimension of the height direction of 1)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hoistway can be reduced.

또, 상부프레임(17)은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9)의 외주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9)의 상면의 위치보다도 상부프레임(17)의 하면의 위치를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1)의 높이방향의 치수의 축소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upper frame 17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ge ceiling part 9, the posi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7 can be made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ge ceiling part 9. Therefore, the dimension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1 can be further reduced.

또,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9)는 엘리베이터칸실(5)을 상하방향에 따라서 보았을 때에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8)보다도 작게 되며, 또한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8)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부프레임(17)의 수평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수평방향의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cage | basket | car ceiling part 9 becomes smaller than the cage | basket | car main body part 8 when the cage 5 is seen along the up-down direction, and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cage | basket | car main body part 8, the upper frame ( The horizontal dimension in 17) can be reduced. Thereby, the dimension of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1 can be reduced.

또,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8)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12)에 의해 개폐되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0)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프레임(17)의 일부가 엘리베이터칸 도어(12)를 지지하는 도어케이스로 되어 있으므로, 상부프레임(17)과 도어케이스를 겸용할 수 있어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ar doorway 10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 car door 12 is provided in the car compartment body part 8, and a part of the upper frame 17 supports a door case 12. Since the upper frame 17 and the door case can be used together,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Thereby, weight reduction of the whole car 1 can be aimed at.

또, 저울장치(28)는 천칭기구(33)의 장착대(3)에 대한 변위에 따라 동작하는 링크기구체(39)와, 링크기구체(39)의 동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변위검출장치(40)를 가지고 있으므로, 링크기구체(39)의 변위의 전달에 의해, 천칭기구(3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변위검출장치(40)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클리트장치(4)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떨어져 변위검출장치(40)를 배치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1)의 높이방향의 치수가 커지지 않는 범위에서 변위검출장치(40)의 설치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Moreover, the balance apparatus 28 detects the displacement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the signal according to the link mechanism 39 which operates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3 of the balance mechanism 33, and the link mechanism 39. Since it has the apparatus 40, the displacement detection apparatus 40 can be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away from the balance mechanism 33 by transfer of the displacement of the link mechanism 39.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displacement detection apparatus 40 can be arrange | positioned away from the cleat apparatus 4 horizontally, an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apparatus 40 is easy in the range which the dimension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1 does not become large. Can be secured.

또, 링크기구체(39)는 각 천칭기구(33)의 받이브래킷(30)에 대한 변위 및 각 천칭기구(33)의 상대적 변위의 각각에 따라 변위되는 제1 및 제2 조정용 링크부재(41, 42)와, 제1 및 제2 조정용 링크부재(41, 42)의 변위에 따라 장착대(3)에 대해서 회동되는 전달용 링크부재(43)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1 및 제2 조정용 링크부재(41, 42)에 대한 전달용 링크부재(43)의 접속위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전달용 링크부재(43)의 회동량을 각 천칭기구(33)의 변위량의 평균값에 따른 양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천칭기구(33)의 장착대(3)에 대한 변위량의 평균값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k mechanism 39 is the first and second adjustment link members 41 which are displac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s of the balance brackets 33 of each balance mechanism 33 and the relative displacements of the balance mechanisms 33, respectively. , 42 and the transmission link member 43 which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table 3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adjustment link members 41 and 42, the first and second adjustment link members.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link member 43 with respect to (41, 42), the rotation amount of the transmission link member 43 can be made into the quantity according to the average value of the displacement amount of each balance mechanism 33. As shown in FIG. . Thereby, the average value of the displacement amount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3 of each balance mechanism 33 can be detected easily.

또, 제1 및 제2 조정용 링크부재(41, 42) 및 전달용 링크부재(43)는 판 모양 부재로 되어 있으므로, 각 링크부재(41, 42, 43) 사이의 핀에 의한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1st and 2nd adjustment link members 41 and 42 and the transmission link member 43 are plate-shaped members, the connection between each link member 41, 42, 43 by pin is easy. can do.

실시형태 2.Embodiment 2 Fi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1)과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1)은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1) 사이에 배치되며, 균형추(62)는 각 균형추 가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62)는 승강로 내의 상부에 설치된 권상기(63)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에서 승강된다.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62)가 승강될 때에는 엘리베이터칸(1)이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1)에 안내되고, 균형추(62)가 각 균형추 가이드레일에 안내된다.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n the drawing, a pair of car guide rails 61 and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not shown)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The car 1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each car guide rail 61, and the counterweight 62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62 are lifted up and down in the hoistway by the driving force of the hoist 63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When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62 are elevated, the car 1 is guided to each car guide rail 61, and the counterweight 62 is guided to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62)는 복수 개(본 예에서는 3개)의 로프(현가수단)(2)에 의해 매달려 있다. 승강로 내의 상부에는 복수의 지지빔(64)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빔(64)에는 각 로프(2)의 일단부가 개별적으로 접속된 복수(본 예에서는 3대)의 엘리베이터칸 측의 클리트장치(65)와, 각 로프(2)의 타단부가 개별적으로 접속된 복수(본 예에서는 3대)의 균형추 측의 클리트장치(66)가 지지되어 있다.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62 are suspended by a plurality of ropes (suspension means) 2 (in this example, three).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64 ar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he cleat device 65 on the side of the car (three in this example) with one end of each rope 2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beam 64, and the other end of each rope 2 are individually connected. The cleat device 66 on the balance weight side of the plurality of (three in this example) is supported.

엘리베이터칸(1)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서스펜션 쉬브(67)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62)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68)가 설치되어 있다.The lower part of the car 1 is provided with a pair of car suspension sheaves 67. The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68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unterweight 62.

로프(2)는 엘리베이터칸 측의 클리트장치(65)로부터 각 엘리베이터칸 서스펜션 쉬브(67), 권상기(63)의 구동쉬브 및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68)의 순서로 감겨, 균형추 측의 클리트장치(66)에 이르고 있다. 즉, 로프(2)에 의한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62)가 매닮 방식은 2 : 1 로핑방식으로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62)는 권상기(63)의 구동쉬브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 내에서 승강된다.The rope 2 is wound from the cleat device 65 on the car side in the order of the car suspension sheave 67, the drive sheave of the hoist 63 and the counterweight suspension sheave 68, and the cleat device 66 on the counterweight side. ). That is, the car 1 by the rope 2 and the counterweight 62 are resembling a 2: 1 roping system.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62 are lifted in the hoistway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of the hoist 63.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칸 측의 클리트장치(65)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 도 9는 도 8의 엘리베이터칸 측의 클리트장치(65)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8의 엘리베이터칸 측의 클리트장치(65)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지지빔(64)의 측면에는 연직으로 배치된 판 모양의 장착베이스(69)가 고정되어 있다. 장착베이스(69)에는 한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1)의 상단부가 복수의 레일클립(70)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FIG.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cleat device 65 at the side of the car of FIG. 9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cleat device 65 on the side of the car of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leat device 65 on the side of the car of FIG. 8. In the figure, a plate-shaped mounting base 69 vertically arranged is fix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beam 64. The upper end of one car guide rail 61 is attached to the mounting base 69 by a plurality of rail clips 70.

지지빔(64)의 상면에는 장착대(71)가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다. 장착대(71)는 장착베이스(69)에 고정된 복수의 보강부재(72)상에 실려 있다. 또, 장착대(71)는 중앙에 개구부(73)가 형성된 판 모양 부재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착대(71)에는 수평방향에 대해서 개구부(73)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받이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장착대(71)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받이부(74)를 가지고 있다.The mounting table 71 is horizontal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64. The mounting table 71 i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72 fixed to the mounting base 69. Moreover, the mounting table 71 is a plate-shaped member in which the opening part 73 was formed in the center. As a result, a pair of receiving portions 74 are formed in the mounting table 71 so as to sandwich the opening 7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mounting table 71 has a pair of receiving portions 74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각 받이부(74)상에는 판 모양의 스페이서(75)가 각각 겹쳐져 있다. 각 스페이서(75)상에는 커버부재(76)가 배치되어 있다. 장착대(71), 한쪽의 스페이서(75) 및 한쪽의 커버부재(76)는 복수의 볼트(77)에 의해 지지빔(64)의 상면에 합쳐져서 고정되어 있다. 다른 쪽의 스페이서(75) 및 다른 쪽의 커버부재(76)는 복수의 볼트(78)에 의해 장착대(71)에 합쳐져서 고정되어 있다.On each receiving part 74, the plate-shaped spacer 75 overlaps, respectively. A cover member 76 is disposed on each spacer 75. The mounting table 71, one spacer 75, and one cover member 76 ar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64 by a plurality of bolts 77. The other spacer 75 and the other cover member 76 are fixed to the mounting table 71 by a plurality of bolts 78.

지지빔(64), 받이부(74) 및 스페이서(75)에는 로프(2)의 개수와 같은 수(본 예에서는 3개)의 관통구멍(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지지빔(64), 받이부(74) 및 스페이서(75)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32)의 위치는 수평방향에 대해서 각각 같은 위치로 되어 있다.The support beam 64, the receiving portion 74, and the spacer 75 are each formed with the same number of through holes 32 as the number of the ropes 2 (three in this example). The positions of the through holes 32 formed in each of the support beam 64, the receiving portion 74, and the spacer 75 are the sam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각 클리트장치(65)는 장착대(71)에 보유지지되어 있다. 또, 클리트장치(65)는 각 받이부(74)의 위쪽에 각각 삽입된 한 쌍의 대향부(33a)를 포함하며 장착대(71)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천칭기구(행거부재)(33)와, 대향부(33a)와 받이부(74)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샤클스프링(가압체)(34)과, 각 받이부(74) 사이에 배치되어 천칭기구(33)에 접속된 샤클(35)과, 각 대향부(33a)에 고정되어 샤클스프링(34) 및 관통구멍(32)을 통과된 안내볼트(안내축)(36)를 가지고 있다. 즉, 각 클리트장치(65)의 구성은 실시형태 1의 클리트장치(4)를 상하 반대로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Each cleat device 65 is held by a mounting table 71. In addition, the cleat device 65 includes a pair of opposing portions 33a respectively inserted above the receiving portion 74, and a balance mechanism (hanger member) capable of being dis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table 71 ( 33 and a pair of shackle springs (pressors) 34 disposed between the opposing portion 33a and the receiving portion 74, respectively, and the balance mechanism 33 And a guide bolt (guide shaft) 36 fixed to each of the opposing portions 33a and passed through the shackle spring 34 and the through hole 32. That is, the structure of each cleat device 65 is the structure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cleat device 4 of Embodiment 1 upside down.

천칭기구(33)의 각 대향부(33a) 사이의 부분에는 샤클(35)과의 접속용의 돌기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샤클(35)의 상단부는 돌기부(33b)에 핀(3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천칭기구(33)는 샤클(35)에 대해서 핀(37)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샤클(35)의 하단부는 크림핑됨으로써 로프(2)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In the part between each opposing part 33a of the balance mechanism 33, the projection part 33b for connection with the shackle 35 is formed. The upper end of the shackle 35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33b by the pin 37. The balance mechanism 33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hackle 35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the pin 37. The lower end of the shackle 35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rope 2 by crimping.

샤클스프링(34)은 대향부(33a)와 스페이서(75)에 맞닿아 있다. 한 쌍의 샤클스프링(34)은 로프(2)로부터 받는 하중에 의해, 대향부(33a)와 받이부(74)와의 사이에서 수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샤클스프링(34)은 탄성반발력을 발생하고 있다. 즉, 샤클스프링(34)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받이부(74) 및 대향부(33a)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받이부(74) 및 대향부(33a)를 가압하고 있다.The shackle spring 34 is in contact with the opposing portion 33a and the spacer 75. The pair of shackle springs 34 is contracted between the opposing portion 33a and the receiving portion 74 by the load received from the rope 2. As a result, each of the shackle springs 34 generates elastic repulsive force. That is, the shackle spring 34 presses the receiving part 74 and the opposing part 33a in a direction against the displacement of the receiving part 74 and the opposing part 33a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장착대(71)는 샤클(35), 천칭기구(33), 각 샤클스프링(34) 및 각 스페이서(75)를 통하여 로프(2)로부터의 하중을 받고 있다. 즉, 한 쌍의 샤클스프링(34)은 공통의 로프(2)로부터의 하중을 분담하여 받고 있다.The mounting table 71 receives a load from the rope 2 via the shackle 35, the balance mechanism 33, the respective shackle springs 34, and the spacers 75. In other words, the pair of shackle springs 34 share the load from the common rope 2.

대향부(33a)는 천칭기구(33)의 샤클(35)에 대한 회동, 혹은 천칭기구(33)의 장착대(3)에 대한 변위에 의해, 받이부(74)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된다. 대향부(33a)의 받이부(74)에 대한 상하방향으로의 변위는 안내볼트(36)가 관통구멍(32)이 슬라이드됨으로써 안내된다. 대향부(33a)의 받이부(74)에 대한 변위량은 샤클스프링(34)이 받은 하중에 따른 양으로 된다.The opposing part 33a is displac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art 74 by th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shackle 35 of the balance mechanism 33, or the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3 of the balance mechanism 33. As shown in FIG. . The up-and-down displacement of the opposing part 33a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art 74 is guided by the guide bolt 36 sliding the through-hole 32. FIG.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opposing part 33a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art 74 becomes an amount according to the load which the shackle spring 34 received.

각 로프(2)로부터의 하중의 평균값은 도시하지 않은 저울장치 장착기구에 장착된 저울장치(28)에 의해 검출된다. 저울장치(28) 및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The average value of the load from each rope 2 is detected by the weighing device 28 mounted on the weighing device mounting mechanism (not shown). The weighing apparatus 28 and other structure are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1.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로프(2)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천칭기구(33)의 각 대향부(33a)가 각 받이부(74)의 위쪽에 각각 삽입되고, 한 쌍의 샤클스프링(34)이 대향부(33a)와 받이부(74)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므로, 공통의 로프(2)로부터의 하중을 한 쌍의 샤클스프링(34)로 분담하여 받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샤클스프링(34)이 받는 각각의 하중을 작게 할 수 있어, 각 샤클스프링(34)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천칭기구(33)에 의해서 샤클(35) 및 각 샤클스프링(34)를 수평방향으로 늘어놓을 수 있으므로, 클리트장치(65)의 높이방향의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로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each opposing part 33a of the balance mechanism 33 which receives the load from the rope 2 is respectively inserted above the receiving part 74, and a pair of shackle springs 34 oppose each other. Since it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part 33a and the receiving part 74, respectively, the load from the common rope 2 can be shared by the pair of shackle springs 34, and can be received. Therefore, each load which each shackle spring 34 receives can be made small, and each shackle spring 34 can be miniaturized. Moreover, since the shackle 35 and each shackle spring 34 can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the balance mechanism 33, the dimension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leat device 65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hoistway can be reduced.

또한,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를 매다는 현가수단으로서 로프(2)가 이용되고 있지만, 현가수단을 벨트로 하여도 된다.In addition, in each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rope 2 is used as the suspension means which hangs the car 1 and the balance weight, you may use a suspension means as a belt.

또,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프(2)의 개수가 3개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로프(2)의 개수를 1개, 2개 혹은 4개 이상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링크기구체(39)의 조정용 링크부재의 수는 로프(2)의 개수에 따른 수로 된다. 로프(2)의 개수가 1개인 경우에는 조정용 링크부재는 없어도 된다.Moreover, in each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number of ropes 2 is three, it is not limited to this, You may make the number of ropes 2 one, two, or four or more. In this case, the number of link members for adjustment of the link mechanism 39 i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ropes 2.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ropes 2 is one, there may be no adjustment link member.

Claims (8)

엘리베이터칸,
수평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받이부를 가지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 고정된 장착대,
각 상기 받이부의 아래쪽에 각각 삽입된 한 쌍의 대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대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행거부재와, 상기 대향부와 상기 받이부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대향부 및 상기 받이부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상기 대향부 및 상기 받이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체와, 각 상기 받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행거부재에 접속된 샤클(shackle)을 가지는 클리트장치, 및
상기 샤클에 접속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현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Elevator car,
A mounting bracket fixed to an upper part of the car, having a pair of receiving parts arrang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 hanger member including a pair of opposing portions respectively inserted below each receiving portion and displaceable in an up-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and arranged between the oppos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Cleat device having a pair of pressing bodies for urging the oppos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in a direction against the displacement of the oppos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and a shackle dispos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s and connected to the hanger member. , And
An elevator apparatus, comprising: suspension means connected to the shackle and suspending the car.
엘리베이터칸,
수평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받이부를 가지고, 승강로 내에 고정된 장착대,
각 상기 받이부의 위쪽에 각각 삽입된 한 쌍의 대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대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행거부재와, 상기 대향부와 상기 받이부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대향부 및 상기 받이부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상기 대향부 및 상기 받이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체와, 각 상기 받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행거부재에 접속된 샤클을 가지는 클리트장치, 및
상기 샤클에 접속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현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Elevator car,
A mounting bracket fixed in the hoistway having a pair of receiving parts arrang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 hanger member including a pair of opposing portions respectively inserted above the receiving portion and displaceable in an up-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and disposed between the oppos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respectively,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A cleat device having a pair of pressing bodies for urging said opposing portion and said receiving portion in a direction against the displacement of said opposing portion and said receiving portion, and a shackle disposed between said receiving portions and connected to said hanger member, and
An elevator apparatus, comprising: suspension means connected to the shackle and suspending the car.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은,
엘리베이터칸실 바닥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실 바닥부상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의 상단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칸실과,
상기 엘리베이터칸 실이 놓여지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의 외주를 둘러싸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ar,
An elevator compartment including an elevator compartment bottom portion, an elevator compartment body portion provided on the elevator compartment bottom portion, and an elevator compartment ceiling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elevator compartment body portion;
And a car frame including a lower frame on which the car compartment is placed, an upper frame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eiling of the car compartment, and a vertical frame connecting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Elevator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실 천장부는 상하방향에 따라서 보았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보다도 작게 되며,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elevator compartment ceil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e cage body portion when view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arranged inside the cage body por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실 본체부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케이스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ar door body is provided with a car door opening and closing by the car door,
Part of the upper frame is an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case for supporting the car door.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재의 상기 장착대에 대한 변위에 따라 동작하는 링크기구체와, 상기 링크기구체의 동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변위검출장치를 가지는 저울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balance mechanism having a link mechanism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hanger member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table, and a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that generates a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nk mechanism.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에는 복수의 상기 클리트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링크기구체는 각 상기 행거부재의 상기 받이부에 대한 변위 및 각 상기 행거부재 사이의 상대적 변위의 각각에 따라 변위되는 조정용 링크부재와, 상기 조정용 링크부재의 변위에 따라 상기 장착대에 대해서 회동되는 전달용 링크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mounting tab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cleats,
The link mechanism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cement of the link member for adjustment and displacement of the hanger member relative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each hanger member, and the link member for adjustment. Eleva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ink member for transmiss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정용 링크부재 및 상기 전달용 링크부재는 판 모양 부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elevator link member and the transmission link member is a plate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like member.
KR1020117004159A 2008-10-01 2008-10-01 Elevator device KR10120876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7820 WO2010038289A1 (en) 2008-10-01 2008-10-01 Eleva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026A KR20110034026A (en) 2011-04-04
KR101208763B1 true KR101208763B1 (en) 2012-12-05

Family

ID=4207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159A KR101208763B1 (en) 2008-10-01 2008-10-01 Elevator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30066B1 (en)
JP (1) JP5398724B2 (en)
KR (1) KR101208763B1 (en)
CN (1) CN102171125B (en)
WO (1) WO2010038289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830A (en) 2019-08-28 2021-03-1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Rope shackle device for elev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1099B (en) * 2019-07-31 2023-08-18 湖南大举信息科技有限公司 Power supply system for non-trailing cable elevator and multi-car elevator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2602A (en) 2003-02-28 2004-09-24 Toshiba Elevator Co Ltd Car for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4981A (en) * 1929-10-24 1932-10-25 Otto Fritz Flexible suspension for rope hoisting equipment and in particular for mine cage winding
JPS5841768U (en) * 1981-09-11 1983-03-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rope tension adjustment device
JPS58140961U (en) * 1982-03-15 1983-09-22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vibration prevention device
JPS59116361U (en) * 1983-01-25 1984-08-06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weighing device
JP2581357B2 (en) * 1991-10-04 1997-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main rope device
JPH06316389A (en) * 1993-05-07 1994-11-15 Toshiba Corp Buffer suspension device for elevator
JP2000355475A (en) 1999-06-15 2000-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Main cable pull stop device of elevator
JP5097351B2 (en) * 2006-03-09 2012-12-12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Insulated gas and gas-insulated power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2602A (en) 2003-02-28 2004-09-24 Toshiba Elevator Co Ltd Car for elev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830A (en) 2019-08-28 2021-03-1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Rope shackle device for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026A (en) 2011-04-04
EP2330066A1 (en) 2011-06-08
WO2010038289A1 (en) 2010-04-08
CN102171125B (en) 2013-06-19
CN102171125A (en) 2011-08-31
JPWO2010038289A1 (en) 2012-02-23
EP2330066B1 (en) 2016-12-07
EP2330066A4 (en) 2014-07-09
JP5398724B2 (en)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86114A5 (en)
FI120788B (en) Elevator arrangement
US9725281B2 (en) Elevator roller guide
KR101392082B1 (en) Suspension body supporting device for elevator
US20210087020A1 (en) Elevator car frame
KR101936010B1 (en) Elevator device
KR101208763B1 (en) Elevator device
US11679959B2 (en) Compensation guide, counterweight screen, elevator and method
CN103221624B (en) Elevator car
JP4261368B2 (en) Elevator main rope stretch compensation device
CN107618959B (en) The installation method and elevator of hoist engine
KR20160135330A (en) Elevator comprising balance rope tensioning device
WO2010018299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fixing the compensating ropes of an elevator
CN104024139A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car stop for maintaining overhead clearance
KR20180086214A (en) Machine mounting structure for elevator system
KR101012254B1 (en) Suspension device for elevator
CN110040601B (en) H-shaped frame for double-deck elevator
KR20180101486A (en) Elevator device
JP5253285B2 (en) Elevator equipment
JPH05155560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center of gravity of cage frame
JP4056475B2 (en) Elevator equipment
CN110171760B (en) Speed regulator straining device, speed regulator device and elevator
KR101853774B1 (en) Lift door anti-falling device and lift door with the same
KR100923607B1 (en) Elevator device
JP2023172091A (en) Closer weight device and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