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753B1 -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753B1
KR101208753B1 KR20120114383A KR20120114383A KR101208753B1 KR 101208753 B1 KR101208753 B1 KR 101208753B1 KR 20120114383 A KR20120114383 A KR 20120114383A KR 20120114383 A KR20120114383 A KR 20120114383A KR 101208753 B1 KR101208753 B1 KR 101208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water
blades
air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1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Priority to KR2012011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5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서 흡입된 물이, 상기 폐쇄성 수역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관로; 상기 관로내에 설치되며, 미세기포가 함유된 미세기포 함유수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및 미생물을 농축하여 배양하고, 배양된 미생물을 상기 관로내에 배출하는 미생물 공급부;를 포함하는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CLOSED WATERAREA IN RIVER}
본 발명은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산업화로 인하여 강, 하천, 연못 등의 수역에서 녹조 현상이 빈번 히 발생하여 수질악화가 심화됨으로써 악취발생 이나 물고기 집단 폐사 등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또한, 연못과 같은 정체수역에서도 부영양화에 따른 조류 발생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단기적으로는 상수원의 수질 악화를 일으켜 정수처리의 장애현상을 일으키고, 심층의 산소를 고갈시키고, 생물상의 변화를 초래하며, 독성환원 물질의 발생과, 정수비용의 증가, 관광자원의 심미적 가치 하락 등의 피해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러한 호수 등의 폐쇄성 수역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즉, 퇴적물 준설, 수중폭기, 희석, 응집제 투여, 수생식물, 생물학적 제어, 화학적 처리 등의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4-0003847호에는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를 제시하고 있지만, 이보다 효율적인 미세기포발생기를 사용한 정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적 개념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대량으로 안정적으로 초미세기포 함유수를 발생시킴으로써,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에 있어서,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서 흡입된 물이, 상기 폐쇄성 수역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관로;
상기 관로내에 설치되며, 미세기포가 함유된 미세기포 함유수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및
미생물을 농축하여 배양하고, 배양된 미생물을 상기 관로내에 배출하는 미생물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는,
(a) 에어를 제공받는 관 형상을 가진 에어 주입관;
(b) 상기 에어 주입관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에어 주입관과는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다수의 블레이드로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의 각각은 상기 에어 주입관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 연장 부분과, 이 연장부분의 단부에서 아래쪽으로 굴곡되어 수직 하방을 향하고 있는 수직 하방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
(c) 상기 에어 주입관의 단부와 결합되는 상면, 측면, 및 하면으로 이루어진 통형상의 챔버로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의 상면의 중심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이 관통구에 상기 에어 주입관의 단부가 베어링을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챔버의 측면은 복수개의 개구를 포함하되 이 개구의 각각에 다공성 소결 필터가 부착되어 있는, 상기 챔버; 및
(d) 상기 챔버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모터로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이 상기 챔버의 하면의 중심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챔버를 회전시킬 수 있는, 상기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주입관의 내부는 상기 에어가 상기 챔버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비어있고,
상기 에어 주입관을 통해서 상기 챔버에 유입된 에어는, 상기 챔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필터를 통해 수중으로 배출되며,
상기 수평 연장 부분은, 상기 챔버의 상면과 평행하게 이격 위치되고,
상기 수직 하방 부분은, 상기 챔버의 측면과 평행하게 이격 위치되며,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의 각각에는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날개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모터는, 상기 챔버의 회전 방향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방향과 반대가 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날개는 상기 관로에 흐르는 물에 의해 힘을 받아,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가 회전되도록,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가 상기 관로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적 개념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량으로 안정적으로 초미세기포 함유수를 발생시킴으로써,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하천의 폐쇄성 수역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MBG)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챔버(130)의 단면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MBG)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도 6에서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는 표현은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직접적 연결을 의미할 뿐 아니라 다른 제3의 구성요소를 매개로 한 간접적 연결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11)의 정화장치는 정화대상수역(11)의 물을 흡입하는 흡입부(19)와, 흡입부(19)를 통하여 흡입된 물과 산소를 혼합하여 마이크로 버블이 함유된 마이크로 버블 함유수를 생성하여 정화대상수역(11)에 배출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100)(이하, 'MBG'라고 함)와, 고농도 미생물을 배양, 증식하고 정화대상수역(11)에 산포하는 미생물 공급부(17)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폐쇄성 수역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19)는 정화대상수역(11)의 내부에 잠기며, 일단부(21)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100)에 연결된다. 따라서, 흡입펌프(미도시)가 구동하는 경우 정화대상수역(11)의 물이 흡입부(19)를 통하여 흡입된다.
MBG(100)는, 흡입부(19)를 통하여 흡입된 물에 산소가 포함된 마이크로 버블 함유수를 생성하여 정화대상수역(110)에 배출한다.
MBG(100)는, 산소 탱크에 저장된 산소를 유입받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산소 탱크와 MBG(100) 사이에 펌프가 있을 수 있다.
이처럼, MBG(100)는 미세기포의 형태로 산소를 정화대상수역(110)에 제공함으로써, 산소가 정화대상수역(110)의 하부에 오랫동안 머물게 한다.
관로(18) 내부에 MBG(100)가 설치되며(도 3의 실시예 참조), 흡입부(19)에 의해 흡입된 물은 관로(18)를 따라 이동하다가, 다시 정화대상수역(110)으로 유입되게 된다.
미생물 공급부(17)는 수질을 정화시키기 위한 미생물을 고농도로 배양하게 된다. 이러한 미생물 공급부(17)는 다수개의 챔버로 구성되며, 각각의 챔버 내부에 미생물을 저장하여 배양하게 된다.
따라서, 미생물 공급부(17)는 미생물을 MBG(100)가 위치한 관로(18)에 공급하고, 미생물은 미세기포 함유수와 혼합되어 정화대상수역(11)에 배출됨으로써 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자정능력을 가진 미생물이 감소되고 이것에 의하여 혐기성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질정화 장치는, 정화대상수역의 오염정도를 검사하는 단계(S100)와, 오염수에 산소가 포함된 미세기포 함유수를 제조(생성)하여 정화대상수역(11)에 토출시키는 단계(S200), 정화대상수역(11)내의 자생 미생물을 활성화 시킨 상태에서 오염원을 정화할 수 있는 자생 미생물 균형상태를 측정하고, 그 균형이 정상적인 정화능력 기준치 이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00)와, 그리고 자생 미생물이 정화균형 유지에 미흡할 경우 별도로 특정의 정화 미생물을 고농도로 배양하고 상기 미생물을 정화대상수역 (11)에 산포하여 자생 미생물과 추가 투여된 미생물이 합해진 전체 정화 미생물군을 활성화시켜 정화대상수역(11)의 자정능력을 복원시키고 이를 항구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단계(S400)들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MBG)(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MBG(100)는, 관로(18)내에 설치되며, 에어 주입관(400), 블레이드부(120), 챔버(130), 및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관(400)은 에어(본 실시예에서는 산소)를 챔버(130)측으로 주입하기 위한 원형 관이다.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에어 주입관(400)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관의 형상이고 챔버(130)와 연결부(121)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에어 주입관(400)과 연결부(121) 사이에는 베어링(111)이 개재되어, 연결부(12)의 회전동작은 에어 주입관(40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 주입관(400)의 중심축과 챔버의 돌출부(131)는 서로 정렬된다.
에어 주입관(400)은, 그 내부에는 에어가 흐르도록 하는 관의 형상을 가지며, 에어 주입관(400)에 흐르는 에어는 챔버(13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압된다.
블레이드부(120)는 에어 주입관(40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에어 주입관(400)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부재이다. 블레이드부(120)는 연결부(121) 및 다수의 블레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21)는 에어 주입관(400)의 외부를 둘러싸는 원통형 부재이며, 이러한 원통형 부재인 연결부(122)에 다수의 블레이드(122)가 방사상 방향으로 연결부(122)의 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블레이드(122)는 연결부(121)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뻗어있고 날개(129)가 달려있어서 날개(129)가 유속에 의해 회전되면, 블레이드(122)가 회전하게 된다.
블레이드(122)의 일단부는 연결부(121)에 부착되고 이로부터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다가 아래쪽으로 굴곡되어 타단부가 수직 하방을 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122)는, 에어 주입관(400)을 둘러싸는 연결부(121)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 연장 부분과, 이 연장부분의 단부에서 아래쪽으로 굴곡되어 수직 하방을 향하고 있는 수직 하방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수평 연장 부분은 후술할 챔버(130)의 상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되고, 수직 하방 부분은 챔버(130)의 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된다.
챔버(130)는 에어 주입관(40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로서, 돌출부(131), 본체(132), 및 필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의 본체(132)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면, 측면, 및 하면으로 구성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챔버(130)의 직경은 블레이드부(120)의 직경보다 약간 작다. 즉 챔버(130)가 회전 축(P1)에 결합되었을 때, 블레이드(122) 중 수직 하방을 향하는 부분이 챔버(130)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챔버(130)의 상면의 중심에는 돌출부(131)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31)에는 수직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에어 주입관(400)이 돌출부(131)를 관통한다. 에어 주입관(400)과 돌출부(131)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있고, 따라서 에어 주입관(400)을 축으로 챔버(130)가 회전하게 된다.
챔버(130)의 측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각각의 개구에 필터(133)가 부착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필터(133)는 다공성 소결 필터일 수 있고, 따라서 에어가 이 필터(133)의 일측면을 통과할 때 마이크로 버블이 되어 필터(133)의 타측면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필터(133)는 에어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 경로를 포함하는 재질(예를 들면, 스테인레스나 레진)로 구성될 수 있다.
챔버(130)의 아래쪽에는 구동부(140)가 배치된다. 구동부(140)는 모터(142) 및 구동축(141)을 포함한다. 구동축(141)의 일단부는 모터(142)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챔버(130)의 하면의 중심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챔버(130)는 모터(142)에 의해 회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주입관(400)과 연결부(121) 사이에는 베어링(111)이 개재되어, 연결부(12)의 회전동작은 기체 주입관(400)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챔버(130)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챔버(130)의 돌출부(131)는 베어링(134)을 통해 에어 주입관(400)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있다. 챔버(130)가 회전가능하게 에어 주입관(400)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에어 주입관(400)을 중심으로, 챔버(130)는 구동축(141)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에어 주입관(400)의 하단부에서는 에어가 배출되어 챔버(130)의 본체(132) 내부를 채우게 된다. 에어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 높아지면 에어가 필터(133)를 통해 외부(하천의 수중)로 배출된다. 이때 필터(133)를 통과하는 에어는 마이크로 버블 형태로 수중으로 배출된다. 나아가,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챔버(130)가 회전되므로, 마이크로 버블이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MBG(100)가 관로(18)에 배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에어 주입관(400)이 연결부(121)를 관통하고 챔버(130)와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결부(121)에는 블레이드부(120)가 결합되어 있고, 그 아래에 챔버(130)가 에어 주입관(4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챔버(130)는 모터(142)에 의해 구동되며 블레이드(122)의 회전 방향과는 독립적(바람직하게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3에서의 날개(139)를 생략하였음을 양지하기 바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레이드(122)가 필터(133)에 근접하여 이격 위치되어 필터(133)를 통과하여 나오는 버블들이 블레이드(122)에 의해 추가적으로 더 미세한 버블로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A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부(140)에 의해 챔버(130)가 회전하는 동안, 챔버(130) 내의 에어는 에어 주입관(400)으로부터의 계속적인 에어 공급에 따른 압력을 받고 회전되면서, 필터(133)를 통해 마이크로 버블(MB) 형태로 수중으로 배출된다. 이 때 챔버(130)가 회전하고 있으므로, 마이크로 버블은 필터(133)를 통해 배출되는 순간 주위의 하천수의 흐름에 의해 잘리게 되어 더 작은 크기로 분해될 수 있다.
챔버(130)의 본체(132)의 측면과 블레이드(122)의 수직 하방을 향하는 부분이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으므로, 마이크로 버블은 수중에 배출된 직후 블레이드(122)에 부딪히며 더 작은 크기의 마이크로 버블로 또 다시 잘라질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챔버(130)와 블레이드(122)의 상대적인 회전 속도가 클수록 마이크로 버블이 더 잘게 잘라질 것이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130)를 블레이드(122)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회전시킴으로써 상대적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날개(129)는 관로(18)에 흐르는 물의 흐름에 의해서 회전되며, 이로써 블레이드(122)가 회전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날개(129)의 모양이, 블레이드(122)가 특정 방향(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되도록 국자 모양(오목부가 있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력 공급선(450)을 통해서 전원(미도시)은, 챔버(130)가 시계방향(cw)으로 회전하도록, 모터(142)에게 전력을 공급한다. 즉, 도 1에서 마이크로버블 발생기(100)로 전력 공급선(450)을 통해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미도시)은, 챔버(130)의 회전 방향이, 블레이드(122)의 회전방향과 반대가 되도록 모터(142)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마이크로버블 발생기
120: 블레이드부
130: 챔버 140: 구동부

Claims (1)

  1.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에 있어서,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서 흡입된 물이, 상기 폐쇄성 수역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관로;
    상기 관로내에 설치되며, 미세기포가 함유된 미세기포 함유수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및
    미생물을 농축하여 배양하고, 배양된 미생물을 상기 관로내에 배출하는 미생물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는,
    (a) 에어를 제공받는 관 형상을 가진 에어 주입관;
    (b) 상기 에어 주입관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에어 주입관과는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다수의 블레이드로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의 각각은 상기 에어 주입관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 연장 부분과, 이 연장부분의 단부에서 아래쪽으로 굴곡되어 수직 하방을 향하고 있는 수직 하방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
    (c) 상기 에어 주입관의 단부와 결합되는 상면, 측면, 및 하면으로 이루어진 통형상의 챔버로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의 상면의 중심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이 관통구에 상기 에어 주입관의 단부가 베어링을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챔버의 측면은 복수개의 개구를 포함하되 이 개구의 각각에 다공성 소결 필터가 부착되어 있는, 상기 챔버; 및
    (d) 상기 챔버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모터로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이 상기 챔버의 하면의 중심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챔버를 회전시킬 수 있는, 상기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주입관의 내부는 상기 에어가 상기 챔버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비어있고,
    상기 에어 주입관을 통해서 상기 챔버에 유입된 에어는, 상기 챔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필터를 통해 수중으로 배출되며,
    상기 수평 연장 부분은, 상기 챔버의 상면과 평행하게 이격 위치되고,
    상기 수직 하방 부분은, 상기 챔버의 측면과 평행하게 이격 위치되며,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의 각각에는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날개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모터는, 상기 챔버의 회전 방향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방향과 반대가 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의 날개는 상기 관로에 흐르는 물에 의해 힘을 받아,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가 회전되도록,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가 상기 관로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
KR20120114383A 2012-10-15 2012-10-15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 KR101208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4383A KR101208753B1 (ko) 2012-10-15 2012-10-15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4383A KR101208753B1 (ko) 2012-10-15 2012-10-15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753B1 true KR101208753B1 (ko) 2012-12-11

Family

ID=4790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14383A KR101208753B1 (ko) 2012-10-15 2012-10-15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7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16061A (zh) * 2016-08-30 2016-11-16 贵州绿纯环境开发有限公司 为构建河道水体生态系统提供必要前置条件的方法及结构
CN113233621A (zh) * 2021-05-24 2021-08-10 安徽建筑大学 一种基于丝线剪切污水的表面曝气方法及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541Y1 (ko) 1997-01-27 1999-06-15 이순자 오.폐수처리용 호기성 미생물군의 활성화 장치(bioactivator)
JP2003190753A (ja) 2001-12-27 2003-07-08 Tekku Kogyo Kk 微細気泡供給装置
JP2006088155A (ja) 2005-10-17 2006-04-06 Tekku Kogyo Kk 気液混合用インペラ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541Y1 (ko) 1997-01-27 1999-06-15 이순자 오.폐수처리용 호기성 미생물군의 활성화 장치(bioactivator)
JP2003190753A (ja) 2001-12-27 2003-07-08 Tekku Kogyo Kk 微細気泡供給装置
JP2006088155A (ja) 2005-10-17 2006-04-06 Tekku Kogyo Kk 気液混合用インペラ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16061A (zh) * 2016-08-30 2016-11-16 贵州绿纯环境开发有限公司 为构建河道水体生态系统提供必要前置条件的方法及结构
CN113233621A (zh) * 2021-05-24 2021-08-10 安徽建筑大学 一种基于丝线剪切污水的表面曝气方法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82107T3 (es) Sistema y metodo para generar micro-burbujas de gas en un liquido.
US6032931A (en) Apparatus for selective aeration
KR100512089B1 (ko) 고속 고효율 폭기장치
WO2001097958A9 (fr) Generateur de bulles d'air fines et dispositif de generation de bulles d'air fines muni de ce generateur
KR20120028065A (ko) 오폐수 처리용 마이크로 제트폭기장치
JP2007268376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101219892B1 (ko) 하천에서의 난분해성 하천수 처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CN108069524A (zh) 一种原位生态活水设备
US200601513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eration of a fluid
KR101624118B1 (ko) 다단형(多段型)구조를 갖는 수역정화장치
WO2007090098A2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1565230B (zh) 一种微米气泡的发生装置及其专用旋流器
KR101208753B1 (ko) 하천에서의 폐쇄성 수역의 정화장치
US7651075B2 (en) Bubble generator
US8172206B2 (en) System for forming mini microbubbles
CN108083571B (zh) 一种原位生态活水净水设备
KR101197001B1 (ko) 하천에서의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KR100753439B1 (ko) 폭기장치
CN207891208U (zh) 一种原位生态活水净水设备
CN207891135U (zh) 一种原位生态活水设备
KR101980335B1 (ko) 수질개선을 위한 전층순환 분사장치
JP6345545B2 (ja) 曝気撹拌装置
KR101206667B1 (ko) 상수도원에서의 부상 분리 시스템
KR20190010417A (ko)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190110310A (ko) 마이크로 버블 생성을 유도하는 입형 단단 구조의 펌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