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236B1 -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236B1
KR101207236B1 KR1020120098365A KR20120098365A KR101207236B1 KR 101207236 B1 KR101207236 B1 KR 101207236B1 KR 1020120098365 A KR1020120098365 A KR 1020120098365A KR 20120098365 A KR20120098365 A KR 20120098365A KR 101207236 B1 KR101207236 B1 KR 101207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steel
steel frame
horizontal
roof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현기
Original Assignee
권현기
(주)정도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현기, (주)정도에너텍 filed Critical 권현기
Priority to KR1020120098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면에 처짐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다수의 굴곡부(R1)가 형성된 지붕(R)에 설치되는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굴곡부(R1)에 치합되는 형태의 치합굴곡면(11)(11')이 형성된 다수의 바닥절곡프레임(10)(10')와; 다수의 바닥절곡프레임(10)(10') 각각의 일측 상부측에 용접된 것으로서 상단에 제1체결단(21)(21')이 형성된 제1C형강프레임(20)(20')와; 다수의 바닥절곡프레임(10)(10') 각각의 타측 상부측에 제1C형강프레임(20)(20')과 이격되게 용접된 것으로서 상단에 제2체결단(31)(31')이 형성되며 상기 제1C형강프레임(20)(20')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C형강프레임(30)(30')와; 다수의 제1체결단(21)(21')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태양전지패널(P)(P')의 상부측을 가로 방향으로 지지하는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와; 다수의 제2체결단(31)(31')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태양전지패널(P)(P')의 하부측을 가로 방향으로 지지하는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PHOTOVOLTA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붕 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처짐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상부면에 굴곡부가 형성되고 경사지게 형성된 지붕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지붕 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은, 다수개의 태양광모듈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방식이다. 태양광 발전은 다른 발전방식에 비하여 대기오염, 소음, 발열, 진동 등의 공해가 전혀 없으며,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수명이 길기 때문에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을 하는 발전장치는 소규모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부나 지자체가 아닌 개인들도 태양광 발전장치를 설치하여 발전을 하고 있다. 특히 공장건물의 지붕은 면적이 크기 때문에 공장건물의 지붕에 태양광 발전장치가 설치되는 예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지상의 설치 가능면적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지형적 특성을 감안할 때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한편 공장건물의 내부에는 기계들이 복잡하게 배치되고 연속적인 생산활동이 진행되기 때문에 연속적인 공간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기둥의 수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붕은 건물의 측벽에만 지지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경량으로 시공되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공장지붕은 우레탄이나 스티로폼이 내장된 조립식판넬로 시공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때 조립식판넬의 표면에는 처짐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산과 골이 형성된 굴곡부가 형성되고, 비나 눈이 배수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시공되어 있다.
그런데 태양광 발전장치는 다수의 태양전지패널 및 골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게가 상당하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붕은 매우 견고하여야 하였고, 조립식판넬로 시공되는 장소에는 설치하기가 매우 까다로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경사지게 시공되는 지붕에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시공하는 것이 더더욱 까다로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처짐하중의 지탱하기 위한 굴곡부가 형성된 지붕에 설치될 수 있도록 경량으로 구현할 수 있는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사진 지붕에서 시간이 지나더라도 미끄러지지 않는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부면에 처짐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다수의 굴곡부(R1)가 형성된 지붕(R)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굴곡부(R1)에 치합되는 형태의 치합굴곡면(11)(11')이 형성된 다수의 바닥절곡프레임(10)(10'); 상기 다수의 바닥절곡프레임(10)(10') 각각의 일측 상부측에 용접된 것으로서 상단에 제1체결단(21)(21')이 형성된 제1C형강프레임(20)(20'); 상기 다수의 바닥절곡프레임(10)(10') 각각의 타측 상부측에 상기 제1C형강프레임(20)(20')과 이격되게 용접된 것으로서 상단에 제2체결단(31)(31')이 형성되며 상기 제1C형강프레임(20)(20')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C형강프레임(30)(30'); 상기 다수의 제1체결단(21)(21')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태양전지패널(P)(P')의 상부측을 가로 방향으로 지지하는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 및 상기 다수의 제2체결단(31)(31')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태양전지패널(P)(P')의 하부측을 가로 방향으로 지지하는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패널(P)과 다른 태양전지패널(P')를 위치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에 고정되는 클램프(6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클램프(60)는, 상기 태양전지패널(P)과 다른 태양전지패널(P')의 측부 표면에 걸치어지는 제1,2걸침대(61)(62)와, 상기 제1,2걸침대(61)(62)와 연결되어 상기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 또는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에 고정되는 U형 몸체(6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R1)와 치합굴곡면(11)(11') 사이에 설치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부재(7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71)는,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고무 재질로 된 것으로서 그 양 표면에 다수의 마찰돌기(71a)가 돌출된 형태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R1)와 치합굴곡면(11)(11') 사이에 설치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부재(72)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72)는, 철재질로 된 것으로서 상기 지붕의 굴곡부(R1) 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핀돌기(72a)와, 상기 핀돌기(72a)의 반대측에 형성된 돌부(72b)를 포함하며; 기 치합굴곡면(11)(11')에는 상기 돌부(72b)가 끼어지는 돌부홈(12b)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단(21)(21') 및 제2체결단(31)(31') 각각에는 볼트(B)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가로방향으로 제1,2장공(21a)(21a') 및 제2장공(31a)(31a')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에는 상기 제1,2장공(21a)(21a') 및 제2장공(31a)(31a')을 관통하는 상기 볼트(B)가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공(40a)(50a)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C형강프레임(20)(20')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결단(21)(21')의 양 측부로 절곡된 제1서브체결단(22)(22'); 및 상기 제2C형강프레임(30)(30')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체결단(31)(31')의 양 측부로 절곡된 제2서브체결단(32)(32');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성하는 바닥절곡프레임, 제1C형강프레임, 제2C형강프레임,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은 강판을 절곡하여 구현되므로 강한 휨력을 가짐과 동시에 경량형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큰 중량 하중을 지탱할 수 없는 조립식판넬 지붕이나 노후된 건물의 지붕에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바닥절곡프레임이 지붕의 굴곡부에 치합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태양광 발전장치 자체의 무게를 굴곡부의 전체 면을 통하여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집중적인 하중을 지탱하기 어려운 조립식 지붕이나 노후된 건물의 태양광 발전장치를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닥절곡프레임(10)(10')과 굴곡부(R1) 사이의 접촉면적이 커짐으로써 경사진 지붕(R)에서도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따라서 태양광 발전장치를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고, 특히 바닥절곡프레임과 지붕의 굴곡부 사이에 마찰부재가 설치될 경우 시간이 지나더라도 지붕으로부터 더더욱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가 지붕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바닥절곡프레임, 제1,2C형강프레임,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바닥절곡프레임 및 제1,2C형강프레임이 C형강으로 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제1,2C형강프레임의 상단에 가로상단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이 체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가로상단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태양전지패널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바닥절곡프레임과 지붕의 굴곡부 사이에 마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마찰부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마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가 지붕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바닥절곡프레임, 제1,2C형강프레임,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부면에 처짐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다수의 굴곡부(R1)가 형성되고, 비나 눈이 배수될 수 있도록 경사진 지붕(R)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굴곡부(R1)에 치합되는 형태의 치합굴곡면(11)이 형성된 다수의 바닥절곡프레임(10)(10')과; 다수의 바닥절곡프레임(10)(10') 각각의 일측 상부측에 용접된 것으로서 상단에 제1체결단(21)(21')이 형성된 제1C형강프레임(20)(20')과; 다수의 바닥절곡프레임(10)(10') 각각의 타측 상부측에 상기 제1C형강프레임(20)(20')과 이격되게 용접된 것으로서 상단에 제2체결단(31)(31')이 형성되며 제1C형강프레임(20)(20')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C형강프레임(30)(30')과; 다수의 제1체결단(21)(21')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태양전지패널(P)(P')의 상부측을 가로 방향으로 지지하는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과; 다수의 제2체결단(31)(31')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태양전지패널(P)(P')의 하부측을 가로 방향으로 지지하는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과; 태양전지패널(P)과 다른 태양전지패널(P')를 위치고정한 상태에서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에 고정되는 클램프(60)과; 굴곡부(R1)와 치합굴곡면(11)(11') 사이에 설치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부재(71)(72);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닥절곡프레임(10)(10'), 제1C형강프레임(20)(20'), 제2C형강프레임(30)(30'),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은 강판을 절곡하여 구현된다. 따라서 절곡에 의한 강한 휨력(bending moment)을 가지지만 경량형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바닥절곡프레임(10)(10')은 지붕(R)의 굴곡부(R1)에 대응되는 치합굴곡면(11)(11')을 가지며, 치합굴곡면(11)(11')이 굴곡부(R1)에 치합됨으로써 굴곡부(R1)를 따라 위치고정된다.
도 4는 도 3의 바닥절곡프레임 및 제1,2C형강프레임이 C형강으로 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제1,2C형강프레임의 상단에 가로상단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이 체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가로상단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태양전지패널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C형강프레임(20)(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절곡프레임(10)(10')의 일측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단에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과 체결되는 제1체결단(2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체결단(21)(21')은 제1C형강프레임(20)(20')의 상단(20a)(20a')에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을 제1체결단(21)(21') 측으로 밀착시킬 때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은 제1C형강프레임(20)(20')의 상단에 지지된다.
또한 제1체결단(21)(21')에는 가로방향으로 장공(21a)(2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할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을 조립할 때 체결공(40a)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아도 장공(21a)(21a')에 맞출 수 있기 때문에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을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제1C형강프레임(20)(20')의 상부측에는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제1체결단(21)(21')의 양 측부로 절곡된 제1서브체결단(22)(22')이 설치되어 있다. 제1서브체결단(22)(22')에는 볼트(B)가 관통되는 관통공(22a)(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서브체결단(22)(22')이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에 결합됨으로써, 가로상단 C형프레임(40)은 제1C형강프레임(20)(20')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1서브체결단(22)(22')은 제1C형강프레임(20)(20')의 일부를 절개후 절곡해서 구현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제작된 후 용접에 의하여 부착된다.
제2C형강프레임(30)(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절곡프레임(10)(10')의 타측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단에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과 체결되는 제2체결단(3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체결단(31)(31')은 제2C형강프레임(30)(30')의 상단(30a)(30a')에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을 제2체결단(31)(31') 측으로 밀착시킬 때 제2C형강프레임(30)(30')의 상단에 지지된다.
또한 제2체결단(31)(31')에는 가로방향으로 장공(31a)(3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할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을 조립할 때 체결공(50a)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아도 장공(21a)(21a')에 맞출 수 있기 때문에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을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제2C형강프레임(30)(30')의 상부측에는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제2체결단(31)(31')의 양 측부로 절곡된 제2서브체결단(32)(32')이 설치되어 있다. 제2서브체결단(32)(32')에는 볼트(B)가 관통되는 관통공(32a)(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서브체결단(32)(32')이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에 결합됨으로써, 가로하단 C형프레임(50)은 제2형강프레임(30)(30')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2서브체결단(32)(32')은 제2C형강프레임(30)(30')의 일부를 절개후 절곡해서 구현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제작된 후 용접에 의하여 부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에는 제1장공(21a)(21a')을 관통하는 볼트(B)가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공(4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에는 제2장공(31a)(31a')을 관통하는 볼트(B)가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공(50a)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볼트(B)가 제1장공(21a)(21a') 및 체결공(40a)을 관통한 후 너트(N)에 결합됨으로써,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은 제1C형강프레임(20)(20')에 결합된다. 또한 볼트(B)가 제2장공(31a)(31a') 및 체결공(50a)을 관통한 후 너트(N)에 결합됨으로써,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은 제2C형강프레임(30)(30')에 결합된다.
그리고 가로상단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40)(50)에는 제1M2서브체결단(22)(22')(32)(32')를 관통하는 볼트(b)가 체결되는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패널(P)과 다른 태양전지패널(P')의 측부 표면에 걸치어지는 제1,2걸침대(61)(62)와, 상기 제1,2걸침대(61)(62)와 연결되어 상기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에 볼트(B)에 의하여 고정되는 U형 몸체(63)를 포함한다. 이러한 클램프(60)의 구조에 의하여, 태양전지패널(P)과 다른 태양전지패널(P') 사이를 약간 벌린 상태로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과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에 걸친 후, 태양전지패널(P)과 다른 태양전지패널(P') 사이에 U형 몸체(63)를 끼어넣은 후 볼트(B)로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에 고정하면, 제1,2걸침대(61)(62)는 태양전지패널(P)(P)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도 7은 바닥절곡프레임과 지붕의 굴곡부 사이에 마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마찰부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마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지붕(R)은 비나 눈이 배수될 수 있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붕(R)에 설치된 본원의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가 미끄러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치합굴곡면(11)(11')과 굴곡부(R1) 사이에는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한 마찰부재(71)(&2)가 설치되는 것이다.
마찰부재(71)의 일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고무 재질로 된 것으로서 그 양 표면에는 다수의 마찰돌기(71a)가 돌출된 형태로 구현된다. 이러한 마찰부재(71)에 의하여, 바닥절곡프레임(10)(10')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하여 마찰돌기(71a)가 찌그러지면서 치합굴곡면(11)(11')과 굴곡부(R1)의 상부면 사이를 강하게 밀착하여 마찰력을 극대화시키고, 이에 따라 시간이 지나더라도 바닥절곡프레임(10)(10')이 지붕(R)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찰부재(72)의 다른 실시예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재질로 된 것으로서 지붕의 굴곡부(R1) 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핀돌기(72a)와, 핀돌기(72a)의 반대측에 형성된 돌부(72b)를 포함한다.
상기 돌부(72b)는 치합굴곡면(11)(11')에 형성된 돌부홈(12b)에 끼어져 마찰부재(72)가 바닥절곡프레임(10)(10')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이때 바닥절곡프레임(10)(10')의 상부측에 자석(M)을 설치하여 돌부(72b)가 바닥절곡프레임(10)(10')에 더욱 견고히 밀착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하여 바닥절곡프레임(10)(10')의 상부측에 돌부홈(12b)과 대응하는 위치에 자석(M)이 끼어지는 자석홈(12a)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자석(M)에서 발생되는 자력은 돌부(72b)를 돌부홈(12b)에서 벗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자력을 발생하므로, 마찰부재(72)는 더더욱 바닥절곡프레임(10)(10')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마찰부재(72)에 의하여, 바닥절곡프레임(10)(10')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하여 핀돌기(72a)가 지붕의 굴곡부(R1)의 표면으로 파고 들어가 마찰력을 극대화시키고, 이에 따라 시간이 지나더라도 바닥절곡프레임(10)(10')이 지붕(R)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핀돌기(72a)가 바닥절곡프레임(10)(10')의 표면을 파고 들어가므로 바닥절곡프레임(10)(10')은 굴곡부(R1)에서 완전히 들리지 않는 이상 굴곡부(R1)에서 분리되지 않고, 이에 따라 바닥절곡프레임(10)(10')을 지붕의 굴곡부(R1)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은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강판을 절곡하게 구현된 바닥절곡프레임(10)(10'), 제1C형강프레(20)(20')임, 제2C형강프레임(30)(30'),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40')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50')으로 이루어지므로 경량형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큰 중량 하중을 지탱할 수 없는 조립식판넬 지붕이나 노후된 건물의 지붕에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바닥절곡프레임(10)(10')이 굴곡부(R1)에 치합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태양광 발전장치 자체의 무게를 굴곡부(R1)의 전체 면을 통하여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집중적인 하중을 지탱하기 어려운 조립식 지붕이나 노후된 건물의 태양광 발전장치를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닥절곡프레임(10)(10')과 굴곡부(R1) 사이의 접촉면적이 커짐으로써 경사진 지붕(R)에서도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따라서 태양광 발전장치를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다. 특히 바닥절곡프레임(10)(10')과 지붕의 굴곡부(R1) 사이에 마찰부재(71)(72)가 설치될 경우, 시간이 지나더라도 지붕(R)으로부터 더더욱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마찰부재(72)에 다수의 핀돌기(72a)를 형성할 경우, 바닥절곡프레임(10)(10')을 지붕의 굴곡부(R1)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10' ... 바닥절곡프레임 11, 11' ... 치합굴곡면
12a ... 자석홈 12b ... 돌부홈
20, 20' ... 제1C형강프레임 21, 21' ... 제1체결단
21a, 21a' ... 장공 30, 30' ... 제2C형강프레임
22, 22' ... 제1서브체결단 22a, 22a' ... 관통공
31, 31' ... 제2체결단 31a, 31a' ... 장공
32, 32' ... 제2서브체결단 32a, 32a' ... 관통공
40 ...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 40a ... 체결공
50 ...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 60 ... 클램프
61, 62 ... 제1,2걸침대 63 ... U형 몸체
71 ... 마찰부재의 일 실시예 71a ... 마찰돌기
72 ... 마찰부재의 다른 실시예 72a ... 핀돌기
72b ... 돌부 R ... 지부
R1 ... 굴곡부 M ... 자석

Claims (7)

  1. 상부면에 처짐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다수의 굴곡부(R1)가 형성된 지붕(R)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굴곡부(R1)에 치합되는 형태의 치합굴곡면(11)(11')이 형성된 다수의 바닥절곡프레임(10)(10');
    상기 다수의 바닥절곡프레임(10)(10') 각각의 일측 상부측에 용접된 것으로서 상단에 제1체결단(21)(21')이 형성된 제1C형강프레임(20)(20');
    상기 다수의 바닥절곡프레임(10)(10') 각각의 타측 상부측에 상기 제1C형강프레임(20)(20')과 이격되게 용접된 것으로서 상단에 제2체결단(31)(31')이 형성되며 상기 제1C형강프레임(20)(20')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C형강프레임(30)(30');
    상기 다수의 제1체결단(21)(21')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태양전지패널(P)(P')의 상부측을 가로 방향으로 지지하는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 및
    상기 다수의 제2체결단(31)(31')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태양전지패널(P)(P')의 하부측을 가로 방향으로 지지하는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패널(P)과 다른 태양전지패널(P')를 위치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에 고정되는 클램프(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60)는,
    상기 태양전지패널(P)과 다른 태양전지패널(P')의 측부 표면에 걸치어지는 제1,2걸침대(61)(62)와, 상기 제1,2걸침대(61)(62)와 연결되어 상기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 또는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에 고정되는 U형 몸체(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R1)와 치합굴곡면(11)(11') 사이에 설치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부재(7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71)는,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고무 재질로 된 것으로서 그 양 표면에 다수의 마찰돌기(71a)가 돌출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R1)와 치합굴곡면(11)(11') 사이에 설치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부재(72)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72)는, 철재질로 된 것으로서 상기 지붕의 굴곡부(R1) 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핀돌기(72a)와, 상기 핀돌기(72a)의 반대측에 형성된 돌부(72b)를 포함하며;
    상기 치합굴곡면(11)(11')에는 상기 돌부(72b)가 끼어지는 돌부홈(1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단(21)(21') 및 제2체결단(31)(31') 각각에는 볼트(B)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가로방향으로 제1,2장공(21a)(21a') 및 제2장공(31a)(31a')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 및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에는 상기 제1,2장공(21a)(21a') 및 제2장공(31a)(31a')을 관통하는 상기 볼트(B)가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공(40a)(5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C형강프레임(20)(20')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상단 C형강프레임(40)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결단(21)(21')의 양 측부로 절곡된 제1서브체결단(22)(22'); 및
    상기 제2C형강프레임(30)(30')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하단 C형강프레임(50)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체결단(31)(31')의 양 측부로 절곡된 제2서브체결단(32)(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120098365A 2012-09-05 2012-09-05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07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365A KR101207236B1 (ko) 2012-09-05 2012-09-05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365A KR101207236B1 (ko) 2012-09-05 2012-09-05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236B1 true KR101207236B1 (ko) 2012-12-24

Family

ID=4790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365A KR101207236B1 (ko) 2012-09-05 2012-09-05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2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568B1 (ko) 2013-06-17 2013-10-11 권현기 방수기능이 강화된 조립식 지붕설치용 태양광 발전장치
KR200470558Y1 (ko) * 2013-05-06 2013-12-24 권현기 조립식 지붕설치용 태양광 발전장치
KR20160008784A (ko) 2014-07-15 2016-01-25 손종복 태양전지판모듈 설치용 지지프레임부재
KR102219933B1 (ko) 2020-06-19 2021-02-23 김능한 조립형 태양광 구조물
KR102406925B1 (ko) 2021-04-27 2022-06-08 유신하 자동 절첩식 태양광패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1434A (ja) 2006-02-08 2007-08-23 Eishin:Kk 太陽電池パネル取付け架台
JP2010071039A (ja) 2008-09-22 2010-04-02 Sato Terumi 金属折板屋根におけるパネル支持構造
KR101161009B1 (ko) 2011-12-21 2012-06-28 두원산업(주) 지붕 철골 구조물에 설치되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1434A (ja) 2006-02-08 2007-08-23 Eishin:Kk 太陽電池パネル取付け架台
JP2010071039A (ja) 2008-09-22 2010-04-02 Sato Terumi 金属折板屋根におけるパネル支持構造
KR101161009B1 (ko) 2011-12-21 2012-06-28 두원산업(주) 지붕 철골 구조물에 설치되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구조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558Y1 (ko) * 2013-05-06 2013-12-24 권현기 조립식 지붕설치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17568B1 (ko) 2013-06-17 2013-10-11 권현기 방수기능이 강화된 조립식 지붕설치용 태양광 발전장치
KR20160008784A (ko) 2014-07-15 2016-01-25 손종복 태양전지판모듈 설치용 지지프레임부재
KR102219933B1 (ko) 2020-06-19 2021-02-23 김능한 조립형 태양광 구조물
KR102406925B1 (ko) 2021-04-27 2022-06-08 유신하 자동 절첩식 태양광패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1510B2 (en) Slider clip and photovoltaic structure mounting system
KR101640627B1 (ko) 최소 관통 옥상 지지 시스템을 갖춘 광발전 어레이
KR101207236B1 (ko) 지붕설치용 경량형 태양광 발전장치
KR200470558Y1 (ko) 조립식 지붕설치용 태양광 발전장치
JP5116238B2 (ja) ソーラーパネルの固定構造
KR101616102B1 (ko) 태양광 발전모듈 설치방법
KR101902126B1 (ko) 태양광 발전 설비의 패널 고정장치
KR101324500B1 (ko) 지붕형 태양광 모듈 장치
KR102134462B1 (ko) 지붕 설치용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지프레임 고정구조체
KR200467825Y1 (ko) 태양광 모듈 패널이 설치된 지붕구조
KR101317568B1 (ko) 방수기능이 강화된 조립식 지붕설치용 태양광 발전장치
KR200481087Y1 (ko) 태양광 발전 구조물
KR20120110668A (ko) 태양광발전유닛 설치용 어댑터 모듈
JP2013007192A (ja) 太陽電池等の屋根への取付構造
KR200474764Y1 (ko) 태양광 발전 설비용 태양광 모듈 장착 구조
KR101498551B1 (ko) 조립식 지붕에 태양전지 모듈 설치를 위한 마운팅 구조체
KR102647212B1 (ko) 경량 태양전지모듈의 건물 설치구조
KR100907085B1 (ko) 태양광 전지 어셈블리
JP602931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0497773Y1 (ko) 태양광모듈의 비틀림시공방지를 위한 지붕설치구조
KR101409071B1 (ko) 태양에너지 수집패널 설치대
JP2014122493A (ja) ソーラーパネル支持構造体
JP2011247035A (ja) 太陽電池等の屋根への取付構造
JP2012097439A (ja) 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用架台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