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817B1 - 위성지연시간의 변화를 이용한 상향링크 홉 동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성지연시간의 변화를 이용한 상향링크 홉 동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817B1
KR101206817B1 KR1020110044597A KR20110044597A KR101206817B1 KR 101206817 B1 KR101206817 B1 KR 101206817B1 KR 1020110044597 A KR1020110044597 A KR 1020110044597A KR 20110044597 A KR20110044597 A KR 20110044597A KR 101206817 B1 KR101206817 B1 KR 101206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ellite
frame
delay time
deviation
central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6636A (ko
Inventor
김영재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4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81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04B1/7156Arrangements for sequenc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04B1/7156Arrangements for sequence synchronisation
    • H04B2001/71563Acqui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상향링크 홉 동기 보정을 위한 위성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위성 시스템은 위성을 중계하여 송출한 N(N은 1 이상인 자연수) 번째 프레임(Frame)의 위성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N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을 N+1 번째 프레임에 포함시켜 송출하는 중심국과 상기 위성을 중계하여 상기 중심국으로부터 송출된 N-1 번째 프레임 및 상기 N 번째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N 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N-1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을 추출하고 상기 N+1 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N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N+1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과 N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의 편차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위성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성지연시간의 변화를 이용한 상향링크 홉 동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성 시스템{UPLINK HOP SYNCHRONIZATION COMPENSATING METHOD USING SATELLITE SIGNAL ROUND TRIP DELAY CHANGE AND SATELLITE SYSTEM THEROF}
본 발명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고속 도약 신호에 대한 상향링크 홉 동기 보정 기술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성지연시간의 변화를 이용하여 고속 도약 링크에서 일어날 수 있는 데이터 심볼의 손실 없이 홉 동기를 유지할 수 있는 상향링크 홉 동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성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위성 통신은 고정된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하지만 군 통신에서는 적의 재밍(Jamming) 공격에 대해 대항력을 갖기 위해 넓은 대역에서 주파수를 옮겨다니는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 통신 방식이 사용된다. 상기 주파수 도약을 하는 위성 통신 시스템은 주파수 도약을 통하여 적의 재밍(Jamming)에 대해 강한 생존력을 갖는 안전한 통신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고속으로 도약하는 위성 신호에서 위성 중계기와 지상의 중심국 및 각 위성 단말들은 높은 정밀도를 갖는 기준 클럭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기준 클럭들 사이의 미세한 클럭 편차가 누적되어 홉 동기(Hop Synchronization)가 틀어지게 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홉 동기의 추적을 통해 일정 주기마다 홉 동기를 보정해야하나 정지궤도를 유지하기 위한 위성의 움직임으로 인해 위성 지연 변화 및 홉(Hop)의 변화가 발생하여 상기 보정이 용이하지 않다. 종래에는 하향링크 홉 동기를 추적하면서 동시에 위성의 위치 변화에 따른 상향링크 홉 동기를 보정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상기 종래의 방식은 수신되는 홉을 시간 축에서 절반으로 나누어 Early/Late 구간의 총 에너지 비율을 추적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즉, 초기 홉 동기가 일치하는 상태에서 Early/Late 구간의 총 에너지를 각각 구하여 에너지가 높은 쪽으로 상/하향 홉의 윈도우(window)를 함께 옮겨주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이 Early/Late 구간의 에너지 비율을 추적하다가 한 홉 내의 전체 에너지(Early/Late 구간의 전체 에너지 합)가 줄어들기 시작하면 위성의 위치 변화가 생기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 전체 에너지의 손실이 홉 구간의 뒤쪽에서부터 발생하면 위성이 가까워져 상향링크의 에너지가 홉 뒤쪽에서 잘린 것이고 앞쪽에서부터 발생하면 위성이 멀어져 상향 링크의 에너지가 홉 앞쪽에서 잘린 것으로 판정하여 상향 링크 송신 타이밍을 보정한다. 그러나 Early/Late 구간의 에너지를 비교하여 홉을 추적하는 종래의 방식은 수신된 에너지 비율과 크기만으로 클럭의 편차와 위성의 움직임을 모두 보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정밀도가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위성의 움직임을 보정하기 위해 전체 홉 에너지의 변화를 관찰하는 동안 일부 구간에서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손실은 하나의 홉에 다수의 데이터 심볼을 사용하는 고속 통신에서 막대한 데이터 손실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중심국의 위성지연시간 변화를 이용하여 위성의 위치변화에 따른 오차를 보정할 수 있어 고속 도약 링크에서 일어날 수 있는 데이터 심볼의 손실 없이 홉 동기를 유지할 수 있는 상향링크 홉 동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성 시스템에 대한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홉 동기 보정을 위한 위성 시스템은 위성을 중계하여 송출한 N(N은 1 이상인 자연수) 번째 프레임(Frame)의 위성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N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을 N+1 번째 프레임에 포함시켜 송출하는 중심국 및 상기 위성을 중계하여 상기 중심국으로부터 송출된 N-1 번째 프레임 및 상기 N 번째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N 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N-1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을 추출하고 상기 N+1 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N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N+1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과 N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의 편차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위성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위성단말은 상기 추출한 N+1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과 N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의 편차에 해당하는 시간 간격만큼 상기 상향링크 송신타이밍을 앞당기거나 늦춰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지연시간의 편차를 이용한 상향 홉 동기 보정 방법은 중심국이 위성을 중계하여 N(N은 1 이상인 자연수) 번째 프레임(Frame)을 송출하고 상기 송출한 N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위성 단말이 상기 송출된 N 번째 프레임을 수신하여 N-1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중심국이 상기 위성을 중계하여 상기 측정한 N 번째 프레임(Frame)의 위성지연시간을 포함하는 N+1 번째 프레임을 송출하는 단계와 위성 단말이 상기 송출된 N+1 번째 프레임을 수신하여 N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위성 단말이 상기 추출한 N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과 N-1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의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 단말이 상기 계산된 편차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편차가 양수이면 상기 편차에 해당하는 시간 간격만큼 상기 상향링크 송신타이밍을 앞당기고, 상기 계산된 편차가 음수이면 상기 편차에 해당하는 시간 간격만큼 상기 상향링크 송신타이밍을 늦춰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 홉 동기 보정 방법은 고속 홉 도약을 하는 위성 통신 시스템에서 정밀한 고속 상향링크 홉 동기의 추적을 통하여 데이터 심볼의 손실 없이 홉 동기를 유지할 수 있어 고속 홉 도약 통신의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홉 동기 추적 방법을 이용한 위성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심국이 위성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홉 동기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홉 동기 추적 방법을 이용한 위성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 통신 시스템(10)은 중심국(100), 위성(200) 및 위성 단말(30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위성 통신 시스템(10)이 하나의 위성 단말(30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도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설계에 따라 위성통신 시스템(10)은 복수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국(100)은 위성 단말(300)과 제어 정보 및 트래픽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전체적인 위성망(Satellite Network)의 운용 및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위성망의 운용 및 유지를 위한 정보, 예컨대 위성 단말(300)이 상기 위성망에 가입하기 위한 조건 정보, 상향 링크 송신 타이밍에 대한 정보나 중심국의 위성지연시간(Tn)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위성망은 상기 위성망의 제어 정보가 송수신 되는 제어 채널과 트래픽 정보가 송수신 되는 트래픽 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채널로 구성되며 중심국(100)은 상기 제어 채널과 상기 트래픽 채널을 위성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시간 단위로 나누어 할당할 수 있다.
위성(200)은 중심국(100)과 위성 단말(300) 사이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실시 예에 따라 위성(200)은 적도 상공의 정지 위성(Geosynchronous orbit satellit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위성 단말(300)은 중심국(100)으로부터 송신되어 위성(200)을 통해 수신한 위성지연시간(Tn)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상기 위성지연시간(Tn)의 변화에 따라 상향 링크 송신 타이밍을 보정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심국(100)은 매 프레임(Frame)마다 제어 정보 및 트래픽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데이터를 위성(200)으로 송신하며, 위성(200)은 상기 전송된 방송 메시지를 다시 지구로 송출한다.
이때, 중심국(100)은 위성(200)으로부터 송출된 방송 메시지를 재수신하여 중심국의 위성지연시간(Tn)을 매 프레임마다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중심국의 위성지연시간(Tn)을 다음 프레임의 방송데이터에 포함하여 위성(200)으로 송신한다.
위성 단말(300)은 중심국(10)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방송데이터를 통해 상기 위성망의 제어 정보들, 특히 상향 링크 송신 타이밍에 대한 정보와 중심국의 위성지연시간(Tn)을 알 수 있게 된다.
위성 단말(300)은 중심국의 위성지연시간(Tn)을 매 프레임마다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위성지연시간(Tn)이 변화하는 편차만큼 상기 상향 링크 송신 타이밍을 보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심국이 위성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중심국(100)에서 매 프레임(F1, F2)마다 일정한 위치에 방송데이터(B1, B2)를 위성(200)으로 송신한다.
상기 전송된 방송데이터(B1, B2)가 위성(200)을 통하여 다시 중심국(100)에 수신되면 위성(200)에 의한 위성신호 지연시간(Tn1, Tn2)을 측정한다.
중심국(100)은 상기 위성신호 지연시간(Tn1, Tn2)을 매 프레임(F1, F2)마다 측정하여 다음 프레임(F2, F3)의 방송데이터에 함께 보내준다.
즉, 중심국(100)이 제1프레임(F1)에서 측정한 제1지연시간(Tn1)은 제2프레임의 방송데이터(B2)에 포함되어 위성(200)으로 전송되고 제2프레임(F2)에서 측정한 제2지연시간(Tn2)은 제3프레임(F3)의 방송데이터에 포함되어 위성(200)으로 전송된다.
위성(200)은 그 위치가 항상 고정되어 있지 않고 조금씩 움직이기 때문에 매 프레임마다 측정되는 위성지연시간(Tn1, Tn2)도 조금씩 차이가 나게 된다.
예컨대, 위성(200)이 제1프레임(F1) 구간보다 제2프레임(F2) 구간에서 지구로부터 더 멀어지게 되면 위성(200)과 중심국(100)의 거리 또한 멀어지게 되므로, 제2지연시간(Tn2)은 제1지연시간(Tn1)보다 더 길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위성(200)이 제1프레임(F1) 구간보다 제2프레임(F2) 구간에서 지구와 더 가까워 지면 제2지연시간(Tn2)은 제1지연시간(Tn1)보다 짧아진다.
한편, 위성 단말(300)에서는 중심국(100)으로부터 위성(200)을 거쳐 수신한 방송데이터(B1, B2 및 B3)에서 위성지연시간(Tn1, Tn2 및 Tn3)을 추출하고, 위성지연시간(Tn1, Tn2 및 Tn3) 상호 간의 지연시간의 변화량, 즉 편차를 관찰하여 위성 단말(300)의 상향 링크 송신 타이밍을 보정한다.
예컨대, 위성 단말(300)이 제1프레임(F1)에 대한 제1위성지연시간(Tn1)을 추출하고, 제2프레임(F2)에 대한 제2위성지연시간(Tn2)을 추출한 경우, 제1위성지연시간(Tn1)과 제2위성지연시간(Tn2)의 시간 차를 계산하고 그 시간 차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앞당기거나 미뤄서 상기 상향링크 송신 타이밍을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위성 단말(300)이 제2프레임(F2)에 대한 제2위성지연시간(Tn2)을 추출하고, 제3프레임(F3)에 대한 제3위성지연시간(Tn3)을 추출한 경우, 제2위성지연시간(Tn2)과 제3위성지연시간(Tn3)의 시간 차를 계산하고 그 시간 차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앞당기거나 미뤄서 상기 상향링크 송신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홉 동기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중심국(100)은 매 프레임(F1, F2)마다 방송데이터(B1, B2)를 위성(200)으로 송신하고, 위성(200)으로부터 상기 송신한 방송데이터(B1, B2)를 다시 수신한다.
매 프레임(F1, F2)에 대한 방송데이터(B1, B2)를 위성(200)으로부터 수신할 때마다 중심국(100)은 위성지연시간(Tn1, Tn2)을 측정한다(S100).
중심국(100)은 상기 측정한 위성지연시간(Tn1, Tn2)을 다음 프레임(F2, F3)에 대한 방송데이터(B2, B3)에 포함하여 위성(200)으로 전송한다(S200).
위성 단말(300)은 매 프레임(F1, F2 및 F3)마다 중심국(100)으로부터 위성(200)을 거쳐 전송된 방송데이터(B1, B2 및 B3)에서 위성지연시간(Tn1, Tn2 및 Tn3)을 추출한다(S300).
위성 단말(300)은 상기 추출한 위성지연시간(Tn1, Tn2 및 Tn3) 상호 간의 지연시간의 변화량, 위성지연시간(Tn1, Tn2 및 Tn3) 상호 간의 편차를 계산한다(S400).
예컨대, 위성 단말(300)이 제2프레임(F2)에 대한 제2방송데이터(B2)에서 제2위성지연시간(Tn2)을 추출한 경우에는 제1프레임(F1)에 대한 제1위성지연시간(Tn1)과 상기 제2위성지연시간(Tn2)의 시간차를 계산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위성 단말(300)이 제3프레임(F3)에 대한 제3방송데이터(B3)에서 제3위성지연시간(Tn3)을 추출한 경우에는 제2프레임(F2)에 대한 제2위성지연시간(Tn2)과 상기 제3위성지연시간(Tn3)의 시간차를 계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이 계속적으로 반복된다.
한편 위성 단말(300)은 상기 계산된 위성지연시간(Tn1, Tn2 및 Tn3) 상호 간의 편차에 따라 앞당기거나 늦추어 상향 링크 송신 타이밍을 보정한다(S500).
예컨대, 위성 단말(300)은 상기 계산된 제1위성지연시간(Tn1)과 제2위성지연시간(Tn2)의 시간 차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상향링크 송신 타이밍을 앞당기거나 늦도록 보정하여 단말 트래픽을 상향 링크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위성 단말(300)은 제2위성지연시간(Tn2)과 제3위성지연시간(Tn3)의 시간 차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상향링크 송신 타이밍을 앞당기거나 늦도록 보정하여 단말 트래픽을 상향 링크 송신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위성 단말(300)은 중심국의 위성지연시간(Tn1, Tn2 및 Tn3)을 매 프레임(F1, F2 및 F3)마다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위성지연시간(Tn1, Tn2 및 Tn3)이 변화하는 편차만큼 상기 상향 링크 송신 타이밍을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속 홉 도약을 하는 위성 통신 시스템에서 위성의 위치변화에 대한 오차를 중심국의 위성신호 지연시간을 추적하여 보정 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심볼의 손실 없이 상향 홉 동기를 유지할 수 있어 고속 홉 도약 통신의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위성 통신 시스템
100: 중심국
200: 위성
300: 위성 단말

Claims (4)

  1. 위성을 중계하여 송출한 N(N은 1 이상인 자연수) 번째 프레임(Frame)의 위성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N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을 N+1 번째 프레임에 포함시켜 송출하는 중심국; 및
    상기 위성을 중계하여 상기 중심국으로부터 송출된 N-1 번째 프레임 및 상기 N 번째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N 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N-1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을 추출하고 상기 N+1 번째 프레임에서 상기 N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N-1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과 N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의 편차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위성 단말;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홉 동기 보정을 위한 위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단말은,
    상기 추출한 N-1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과 N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의 편차에 해당하는 시간 간격만큼 상기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앞당기거나 늦춰 결정하는 상향링크 홉 동기 보정을 위한 위성 시스템.
  3. 중심국이 위성을 중계하여 N(N은 1 이상인 자연수) 번째 프레임(Frame)을 송출하고 상기 송출한 N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위성 단말이 상기 송출된 N 번째 프레임을 수신하여 N-1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중심국이 상기 위성을 중계하여 상기 측정한 N 번째 프레임(Frame)의 위성지연시간을 포함하는 N+1 번째 프레임을 송출하는 단계;
    위성 단말이 상기 송출된 N+1 번째 프레임을 수신하여 N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위성 단말이 상기 추출한 N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과 N-1 번째 프레임의 위성지연시간의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위성 단말이 상기 계산된 편차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성지연시간의 편차를 이용한 상향 홉 동기 보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편차가 양수이면 상기 편차에 해당하는 시간 간격만큼 상기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앞당기고, 상기 계산된 편차가 음수이면 상기 편차에 해당하는 시간 간격만큼 상기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늦춰 결정하는 위성지연시간의 편차를 이용한 상향 홉 동기 보정 방법.
KR1020110044597A 2011-05-12 2011-05-12 위성지연시간의 변화를 이용한 상향링크 홉 동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성 시스템 KR101206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597A KR101206817B1 (ko) 2011-05-12 2011-05-12 위성지연시간의 변화를 이용한 상향링크 홉 동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597A KR101206817B1 (ko) 2011-05-12 2011-05-12 위성지연시간의 변화를 이용한 상향링크 홉 동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636A KR20120126636A (ko) 2012-11-21
KR101206817B1 true KR101206817B1 (ko) 2012-12-04

Family

ID=47511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597A KR101206817B1 (ko) 2011-05-12 2011-05-12 위성지연시간의 변화를 이용한 상향링크 홉 동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999B1 (ko) 2015-11-12 2017-03-03 국방과학연구소 Fh-fdma 위성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주파수 도약 타이밍 동기획득 기법 및 구조
CN115225135B (zh) * 2021-04-20 2023-12-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636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9419B2 (en) Timing synchronization for a beam hopping satellite
US4218654A (en) Space diversity system in TDMA communication system
US687366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daptive threshold for timing deviation measurement and method
JP5174253B2 (ja) 無線通信方式における基地局同期化方式
US10694479B2 (en) Timing synchronization with a modified DVB-S2X waveform for a beam hopping satellite
US20010040902A1 (en) Embedded loop delay compensation circuit for multi-channel transceiver
ES2753764T3 (es) Estación terrestre de múltiples antenas para implementar una conmutación transparente con diversidad entre dos satélites itinerantes y procedimiento de conmutación correspondiente
SE518224C2 (sv) Sätt och system i ett cellbaserat nät
CN101951286B (zh) 一种基于位置分区的时分双工卫星通信上行信号对齐方法
US9513388B2 (en) Method for providing synchronization in a data acquisition system
US6845085B1 (en) Synchronization method for a processing communication satellite
CN105577309A (zh) 一种卫星通信系统全网时钟同步方法
CN103916204A (zh) 一种光纤网络高精度授时系统的云同步方法
KR10067130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제어 장치 및 이동국
KR101206817B1 (ko) 위성지연시간의 변화를 이용한 상향링크 홉 동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성 시스템
CN110518960B (zh) 一种高鲁棒性的卫星星座时间自同步方法
US8218700B2 (en) Method for synchronisation and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2009260881A (ja) 基地局間同期方法および該方法を用いた移動通信システム
EP288307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hase determination over a wireless link
CN112868190B (zh) 卫星通信系统中的随机接入
KR101029099B1 (ko) 위성 통신 시스템의 상하향 시간 동기 획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성 통신 시스템
CN113708876B (zh) 低轨卫星tdma通信系统的前向链路时间同步方法
WO2017170147A1 (ja) 受信機、送信機、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Lee et al. Relay-based positioning in TDMA networks
CN117915448A (zh) 一种用于弹载组网数据链的高精度时间同步方法及数据链端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