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746B1 - Automatic Start-Controlling Machine for Racing of Boats - Google Patents

Automatic Start-Controlling Machine for Racing of Boa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746B1
KR101206746B1 KR1020120085100A KR20120085100A KR101206746B1 KR 101206746 B1 KR101206746 B1 KR 101206746B1 KR 1020120085100 A KR1020120085100 A KR 1020120085100A KR 20120085100 A KR20120085100 A KR 20120085100A KR 101206746 B1 KR101206746 B1 KR 101206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cylinder
water
holder
automatic start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1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종수
Original Assignee
정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수 filed Critical 정종수
Priority to KR102012008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74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7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rowing or scul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PURPOSE: An automatic start control device for boat racing is provided to uniform the start time and line of each lane. CONSTITUTION: An automatic start control device for boat racing comprises an underwater bridge(10), a pneumatic cylinder(20), a holder(30), and a drive unit. The underwater bridge can be floated on water or settled on the underwater bottom. The pneumatic cylinder is pivotally combined with the reinforcing support of a pivot frame and can adjust a maximum stroke. The holder is installed in the vertex end of the pivot frame. The drive unit comprises a pressurization tank and a solenoid valve. The pressurization tank temporarily stores compressed air. The solenoid valve controls the compressed air in the pressurization tank.

Description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Automatic Start-Controlling Machine for Racing of Boats}Automatic Start-Controlling Machine for Racing of Boats}

본 발명은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누?조정?용선 등의 수상경기 시 운영요원의 도움 없이 각 레인의 출발선 및 출발시각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경기의 운영을 공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tarting device for water sports,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operation of the game fairly by equalizing the starting line and the starting time of each lane without the help of the operating personnel during the water game, such as canoe, rowing, charte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tart device for a water game.

카누, 조정 또는 용선경기는 순위를 다투는 속도경기로서 참가 카누?조정?용선 모두가 동일 출발선에서 동일 시각에 출발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들 경기가 강?호수?댐 등의 수상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바람이나 물의 흐름에 의해 레인별 출발위치가 달라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Canoeing, rowing or chartering is a speed competition that makes it very important for all participating canoes, rowing and chartering to start at the same time on the same starting line. However, since these competitions are held in rivers, lakes, dams, et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arting position for each lane is changed by wind or water flow.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상 경기 운영요원들이 출발선 후방에서 각 레인에 위치한 배가 동일한 출발선상에 위치하도록 돕거나, 고정 출발대를 경기장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운영요원이 관여하는 경우 인력이 많이 소요되면서 정확한 동시출발을 유도하기 어려우며, 고정 출발대를 설치하는 경우 설치 및 유지보수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ypically, the race management staff helps ships located in each lane behind the starting line to be located on the same starting line, or installs a fixed starting stage in the stadium. However, it is difficult to induce accurate simultaneous departures when a large number of personnel are involved when operating personnel are involve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excessiv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occur when installing a fixed starting stage.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본특허공개 제2005-177419호(조정경기용발정대)에는 게이트를 모터에 연결된 와이어로 끌어올리고 보트 출발시에 원격제어장치의 작동으로 게이트가 수중으로 회동?하강하여 출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정경기용 출발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면 와이어에 의해 게이트가 당겨져서 게이트가 닫혀 있다가 출발시 와이어를 풀어주어 중력에 의해 게이트가 회동?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출발대로 이루어진 경우 와이어의 길이가 전부 상이하므로 전체 출발대에서 게이트가 동시에 정확하게 열리기 어렵다. 또한 보트가 출발대에 의해 전-좌-우가 감싸인 형태로 되어 있어 전력을 다한 출발시에 보트나 노가 출발대에 부딪히는 경우가 발생한다.In order to solve this disadvantag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177419 (Adjustment Competition Horn) raises the gate to the wire connected to the motor, and when the boat leaves, the gate is rotat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Disclosed is a starting stage for rowing races, which is configured to be started.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technique, the gate is pulled by the wire to close the gate, and then the wire is released and the gate is rotated and lowered by gravity. Therefore,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starting stages, since the lengths of the wires are all different, it is difficult to simultaneously open the gate accurately at the entire starting stage. In addition, the boat is wrapped in all-left-right by the starting platform, which may cause the boat or the oars to hit the starting platform during the full power departure.

한국특허 제733552호(공압을 이용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에는 각 레인의 수중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하단부 지점으로 회동되며, 상기 지점에 대향되는 상단으로 정지판이 설치된 스타팅바와; 스타팅바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공압실린더와; 공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스타팅바를 회동시키는 구동수단과; 구동수단이 장착되고, 레인의 수중 중앙부에 근접되어 설치되는 지지트러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도 1a 및 도 1b 참조). 그러나 이 기술에 의하면, 스타팅바의 회전축이 크고, 정지판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회동?하강시에 물의 저항 때문에 큰 용량의 공압실린더가 필요하며, 정지판과 스타팅바의 급속한 회동?하강에 의해 보트의 전방에 수류의 교란이 발생하여 보트의 자연스런 출발에 영향을 준다. 또한 스타팅바와 정지판이 고정된 길이이므로 경기장의 깊이에 따른 높이 조정이 불가능하며, 정지판의 회동?하강-회동?상승을 위해 복잡한 장치구성(공압실린더-힌지결합부-스타팅바-정지판)으로 이루어져 있다.Korean Patent No. 733552 (Automatic starter for water games using pneumatic) includes a starting bar extending longitudinally in each lane of the lane and rotating to an extended lower end point and having a stop plate installed at an upper end opposite to the point; A pneumatic cylinder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starting bar; Drive means for operating the pneumatic cylinder to rotate the starting bar; Disclosed is an automatic start apparatus for a water race, comprising a support truss mounted with a driving means and installed close to the center of the water in a lane (see FIGS. 1A and 1B). However, according to this technique, since the starting bar has a large rotation axis and a large area of the stop plate, a large capacity pneumatic cylinder is required due to the resistance of water during rotation and descent, and due to the rapid rotation and descent of the stop plate and the starting bar, Disturbance of the water stream occurs in front of the lagoon, affecting the boat's natural starting. In addition, since the starting bar and the stop plate are fixed lengths,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stadium, and the complicated device configuration (pneumatic cylinder-hinge coupling part-starting bar-stop plate) can be used to rotate, lower, rotate, and raise the stop plate. consist of.

한편, 본 발명자에 의한 한국특허 제859171호(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는 보트 등에 부자연스러운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출발선 및 출발시각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A) 수중브릿지; (B) 상기 수중브릿지상에 설치되어 승하강운동하는 공압실린더; (C) 상기 공압실린더 로드말단에 설치된 홀더; 및 (D) 상기 공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도 2a 및 도 2b 참조). 이에 의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공압실린더 로드말단에 홀더(정지판)이 장착되어 있어 공압실린더의 작동을 통해 간단하게 홀더를 상승(도 2a)-하강(도 2b)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높이의 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상기 한국특허 제733552호의 단점이 해소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가 가능하였다.
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No. 859171 (automatic starting device for water racing) by the present inventors (A) underwater bridge that can equalize the starting line and the starting time while minimizing unnatural effects on boats and the like; (B) a pneumatic cylinder is installed on the underwater bridge to move up and down; (C) a holder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neumatic cylinder rod; And (D) driving means for operating the pneumatic cylinder. The automatic starting device for a water game is disclosed (see FIGS. 2A and 2B). As a result, a holder (stop plate)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pneumatic cylinder rod installed vertically, so that the holder can be simply raised (Fig. 2a)-lowered (Fig. 2b)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neumatic cylind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height of the simple structure, it was possible to automatically start the device for water games in which the disadvantages of the Korean Patent No. 733552 is eliminated.

그러나 전술한 한국특허 제733552호나 제859171호에 의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를 현장에 적용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한 결과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문제가 발견되었다. 즉, 이들 장치의 경우 보트가 출발하기 위해 정렬하는 과정에서에 선수가 승선한 큰 중량의 보트가 수직으로 서있는 스타팅바(제733552호)나 공압실린더(제859171호)에 충격을 가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충격에 의해 스타팅바나 공압실린더 로드가 휘어지면 장치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출발위치가 변동될 여지가 있기 때문에 수시로 점검하고 교체해야 했다.
However, as a result of repeatedly applying the automatic starting device for water sports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No. 733552 or 859171 to the field, a new problem was unexpectedly found. That is, in the case of these devices,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heavy boats aboard the boat impact the starting bar (heading 733552) or pneumatic cylinders (heading 859171) standing vertically during the boat's alignment process. Occurs. If the starting bar or the pneumatic cylinder rod were bent due to the impact, the device could not be operated or the starting position could be changed.

일본특허공개 제2005-177419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5-177419 한국특허 제733552호Korean Patent No. 733552 한국특허 제859171호Korean Patent No.859171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보트의 충격에 의해 손상받지 않는 새로운 구조의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starting device for a water gam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freely adjustable height and not damaged by the impact of a boa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수중브릿지; (B) 양측 다리와 다리 사이의 보강대로 이루어진 A-자형으로, 이격된 양측 다리가 상기 수중브릿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프레임; (C) 상기 회동프레임의 꼭지점 말단에 설치된 홀더; (D) 일측말단이 상기 수중브릿지에, 타측말단이 상기 회동프레임의 보강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공압실린더; 및 (D) 상기 공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는 통상의 카누나 조정 등 수상 경기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수면상에 다수의 레인을 표시하는 기능을 하는 복수개의 부표와, 상기 부표를 고정하도록 수중으로 연결된 와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underwater bridge; (B) an A-shaped frame made of a reinforcing bar between both legs and the legs, wherein the spaced both legs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underwater bridge; (C) a holder installed at the vertex end of the rotating frame; (D) a pneumatic cylinder,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nderwater bridge,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inforcement of the rotation frame; And (D) driving means for operating the pneumatic cylinder. The automatic starting device for water spor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uoys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lanes on the surface of water for smooth running of ordinary water sports such as canoeing and adjustment, and wires connected underwater to fix the buoys. It may include.

본 발명에 의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에서는, 상기 공압실린더의 작동(신축)에 의해 회동프레임의 회동각도가 변하고(즉, 회동프레임이 눕혀지거나 세워지고) 이에 따라 궁극적으로 상기 회동프레임의 꼭지점 말단에 설치된 홀더의 높이가 변하게 된다.
In the automatic start device for a water r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frame is changed by the operation (expansion) of the pneumatic cylinder (that is, the rotation frame is lying down or standing), and ultimately, the end of the vertex of the rotation frame. The height of the holder installed in the door will change.

본 발명에서 상기 공압실린더는 최대 행정(stroke)을 조정할 수 있는 복동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압실린더의 최대 행정(즉, 로드의 최대 인출 길이)을 조정할 수 있다면 경기장의 조건에 따라 상기 홀더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출발장치의 설치와 운전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neumatic cylinder is preferably a double-acting type that can adjust the maximum stroke (stroke). If the maximum stroke of the pneumatic cylinder (i.e., the maximum lead length of the rod) can be adjusted, the height of the holder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stadium, making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starting device very easy.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수단은,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공기압축기, 상기 공기압축기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일시 저장하는 압축탱크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압축탱크에서 상기 공압실린더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급을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공압실린더 및 그의 주변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eans, the air compressor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a compressed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the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air compressor and the supply of compressed air from the compressed tank to the pneumatic cylinder by the electrical signal Conventional pneumatic cylinders and their peripheral devices, including solenoid valves for blocking, can be applied.

상기 자동출발장치의 운반, 설치 및 보관시에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회동프레임과 공압실린더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행정(길이)이 긴 공압실린더를 적용하여 공압실린더가 최소 행정이 되었을 때 상기 회동프레임과 공압실린더가 수중브릿지에 맞닿도록 할 수도 있고, 공압실린더가 상기 회동프레임의 보강대와 탈착가능하게 제작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 공압실린더와 회동프레임결합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frame and the pneumatic cylinder can be folded so as to occupy a minimum space when transporting, installing and storing the automatic starting device. To this end, by applying a pneumatic cylinder with a long stroke, the rotating frame and the pneumatic cylinder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nderwater bridge when the pneumatic cylinder is at the minimum stroke, and the pneumatic cylinder is made to be detachable from the reinforcement of the rotating frame. It may be possible to disassemble the pneumatic cylinder and the rotating frame when not in use.

또한 홀더도 회동프레임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the holder is preferably mounted to be detachable to the rotating fram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는, 상기 수중브릿지의 양 끝단에 인접한 다른 수중브릿지와의 연결수단이 추가되어 필요한 경기장 레인의 수에 대응된 수의 수중브릿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중브릿지 마다의 솔레노이드밸브에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회로가 내장된 콘트롤박스(제어부)가 추가되어 각 레인마다 동시 출발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start device for water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means with other underwater bridges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underwater bridge can be added to connect the number of underwater bridges corresponding to the required number of stadium lanes.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dd a control box (control unit) in which a circuit for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s to the solenoid valves for each of the underwater bridges is added to enable simultaneous starting for each lane.

한편, 출발신호에 따른 홀더의 하강시에 홀더와 뱃머리의 마찰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홀더에 복수개의 롤러를 장착하는 것도 좋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rollers may be mounted to the holder to minimize the effects of friction between the holder and the bow when the holder is lowered according to the start signal.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는 보트 등과 관련된 수상경기에서 보트 등에 동일한 출발선을 제공하고, 자연스럽게 출발시각을 동일하게 할 수 있게 한다.The automatic starting device for water ga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same starting line in boats and the like in water games related to boats and the like, and naturally enables the same starting time.

본 발명에 의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는 운용과정에서 보트가 강하게 홀더에 부딪히더라도 자동출발장치에 손상을 받지 않아 고장의 가능성이 적고 항상 정확한 출발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The automatic starting device for water rac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amage the automatic starting device even if the boat hits the holder strongly during the oper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precise starting position with little possibility of failure.

본 발명에 의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는 경기장의 상태(경기장이 되는 강, 호수, 댐 등의 수면 아래의 조건과 상태)에 무관하게 출발장치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수상경기의 운영을 편리하게 한다.The automatic starting device for water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height of the starting device to be easily adjusted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stadium (conditions and conditions under the water surface of rivers, lakes, dams, etc.). To make it convenient.

본 발명에 의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는 간단하고 편리한 구조로서 저렴하며, 보관?이용?관리가 간편하므로 수상경기의 활성화에 일조할 수 있다.
The automatic starting device for a water g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and convenient in structure, inexpensive, and easy to store, use, and manage, thereby contributing to activation of the water game.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출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 ~ 도 3c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에서 홀더가 상승된 상태, 중간상태 및 홀더가 하강된 상태의 사시도 및 측면도.
1 and 2 are views showing an automatic sta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spectively.
Figures 3a to 3c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the holder in the raised state, the intermediate state and the holder is lowered state in the automatic start device for water ga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only the contents and scope of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se examples.

도 3a ~ 도 3c에 본 발명에 의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에서 홀더(30)가 상승된 상태, 중간상태 및 홀더(30)가 하강된 상태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공압실린더(20), 회동프레임(25)과 홀더(30) 및 수중브릿지(10) 삼자간의 구조적 연관성 및 그의 작동기작에 특징이 있기에 도 3a ~ 도 3c에서는 기타 부표, 에어탱크(44), 제어부 등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를 도시한 도 3a ~ 도 3c은, 예를 들면 선행기술에 해당하는 도 2a에서 적색 사각형으로 표시된 부분을 치환하여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도 3a ~ 도 3c에 도시된 구조물이 도 2a에서 적색 사각형으로 표시된 부분(공압실린더(20), 홀더(30) 및 수중브릿지(10)의 일부)에 치환된 상태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3A to 3C are perspective views and side views of the holder 30 in a raised state, an intermediate state, and a state in which the holder 30 is lowered in the automatic start device for water ga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way pneumatic cylinder 20, the rotating frame 25 and the holder 30 and the underwater bridge 10, and its operation mechanism is characterized in other buoys, air tank 44 in Figures 3a to 3c. ), Control units and the like are omitted. That is, Figures 3a to 3c showing the automatic start device for a water g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can be installed by replacing the part indicated by the red square in Figure 2a corresponding to the prior art.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ssuming that the structure shown in Figures 3a to 3c is replaced with a portion (pneumatic cylinder 20, holder 30 and part of the underwater bridge 10) indicated by a red square in Figure 2a Shall be.

또한 도 3a ~ 도 3c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수중브릿지(10)의 일부를, 판형상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수중브릿지(10)가 공압실린더(20), 회동프레임(25)과 홀더(30) 등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의 기능을 한다면 판형이건, 프레임형이건 그 구체적인 형태나 구조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3A to 3C, a portion of the underwater bridge 10 is illustrated in a plate shape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nderwater bridge 10 functions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pneumatic cylinder 20, the rotating frame 25 and the holder 30, etc., the specific shape or structure can be freely selected, whether plate or fram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카누, 조정 또는 용선 경기장은 보통 호수나 강과 같은 실외에 설치되며 이들은 각각 소정 폭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레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인을 표시하기 위하여 부표가 설치되는데, 이 부표는 수중에 설치된 와이어에 고정되어 있다.Canoes, rowing or chartering arenas are usually set up outdoors such as lakes or rivers, each consisting of one or a plurality of lanes of predetermined width. A buoy is installed to mark the lane, which is fixed to a wire installed underwater.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는 신축운동하는 공압실린더(20)와, 상기 공압실린더(20)와 연결된 회동프레임(25)과, 상기 회동프레임(25)의 꼭지점 말단에 설치된 홀더(30)와, 상기 공압실린더(20)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40)과, 이들이 장착되는 수중브릿지(1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압실린더(20)와 회동프레임(25)은 수중브릿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공압실린더(20)와 회동프레임(25) 사이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에서는 회동가능한 결합의 예로 힌지결합부(HC)를 예시하였다.The automatic sta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neumatic cylinder (20) for stretching and contracting, a rotating frame (25) connected to the pneumatic cylinder (20), a holder (30) installed at the vertex end of the rotating frame (25), It consists of a driving means 40 for operating the pneumatic cylinder 20, and the underwater bridge 10 to which they are mounted. At this time, the pneumatic cylinder 20 and the rotation frame 2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nderwater bridge, and the pneumatic cylinder 20 and the rotation frame 25 is also rotatably coupled. In the drawings, the hinge coupling portion HC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the rotatable coupling.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프레임(25)은 A-자형으로 양측 다리와 다리 사이의 보강대(26)로 이루어져 있다. 회동프레임(25)의 양측 다리는 상기 수중브릿지(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보강대(26)는 상기 공압실린더(20)의 로드말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회동프레임(25)의 꼭지점 말단에는 홀더(30)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frame 25 is A-shaped and consists of reinforcing bars 26 between both legs and legs. Both legs of the rotating frame 25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underwater bridge 10, and the reinforcing rod 26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d end of the pneumatic cylinder 20. The holder 30 is installed at the vertex end of the rotation frame 25.

한편, 상기 수중브릿지(10)는 경기장의 조건에 따라 수중에 부양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고, 수중 바닥에 안착될 수도 있다. 수중 바닥에 안착되는 경우 적절한 방법으로 수평을 맞춘다.
On the other hand, the underwater bridge 10 may be maintained in a suspended state in the water,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stadium, may be sea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When seated on the water floor, level it in an appropriate way.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운용된다.The automatic sta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the following manner.

먼저, 보트 출발신호가 있기 전에 상기 공압실린더(20)가 신장하면서 상기 홀더(30)가 적절한 높이에 이르도록 상기 회동프레임(25)을 세운다(도 3a). 이 상태이면 카누?조정?용선의 스턴포스트 또는 노즈콘의 최선단부가 상기 홀더(30)에 맞닿은 상태로 카누?조정?용선의 요동 및 진행(출발)이 방지된다. 출발신호가 있게 되면 공압실린더(20)가 빠르게 수축하면서 회동프레임(25)이 순간적으로 눕혀지면 상기 회동프레임(25)의 꼭지점 말단에 장착된 홀더(30)가 보트의 최저면보다 아래로 하강한다(도 3a → 도 3b → 도 3c). 이에 따라 보트의 진행이 가능하게 된다. First, the rotation frame 25 is erected so that the holder 30 reaches an appropriate height while the pneumatic cylinder 20 extends before the boat departure signal (FIG. 3A). In this state, the canoe adjustment charter's stent post or nose cone's top end abuts against the holder 30, and the canoe adjustment charter's rocking and traveling (starting) are prevented. When the starting signal is received, the pneumatic cylinder 20 quickly contracts and the rotation frame 25 is laid down momentarily, and the holder 30 mounted at the vertex end of the rotation frame 25 descends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boat ( Figure 3a-3b-3c).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boat.

즉,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는, 출발신호 전에는 상기 공압실린더(20)가 신장되어 궁극적으로 회동프레임(25) 말단의 홀더(30)가 수면위로 올라온 상태로 유지되어 보트가 앞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였다가, 출발시 상기 공압실린더(20)가 수축되어 궁극적으로 상기 홀더(30)가 수중(보트의 최저면 이하)으로 하강하여 보트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후발 경기를 위해 상기 공압실린더(20)가 다시 신장되어 홀더(30)를 수면위로 복귀시킨다(도 3c → 도 3b → 도 3a).That is, in the automatic sta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neumatic cylinder 20 is extended before the start signal, and ultimately the holder 30 at the end of the rotation frame 25 is kept on the water so that the boat cannot go forward. A, upon departure, the pneumatic cylinder 20 is contracted and ultimately the holder 30 descends into the water (below the bottom of the boat) to allow the boat to start. Thereafter, the pneumatic cylinder 20 is elongated again to return the holder 30 to the surface of water for the late game (Fig. 3C → Fig. 3B → Fig. 3A).

복수개의 자동출발장치를 설치하여 운용하는 경우 각 자동출발장치의 솔레노이드밸브에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회로가 내장된 소정의 콘트롤박스(48)에 의해 공압실린더(20)의 수축(따라서 궁극적으로 홀더(30)의 하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the case of installing and operating a plurality of automatic starting devices, the contraction of the pneumatic cylinder 20 by the predetermined control box 48 having a circuit for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s to the solenoid valves of each automatic starting device at the same time, thus ultimately the holder (30) is to be made at the same tim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은 공압실린더(2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서는 공압실린더(20), 구동수단(40), 솔레노이드밸브(도시 생략)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였으나 당업계에서는 이들 일체를 공압실린더(20) 시스템으로 이해한다.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공압실린더(20)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eans 40 is for driving and controlling the pneumatic cylinder 20, and in the claims, the pneumatic cylinder 20, the driving means 40, a solenoid valve (not shown) are described separately. However, in the art, all of these are understood as a pneumatic cylinder 20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ntional pneumatic cylinder 20 system can be used.

공압실린더(20) 시스템은 통상 ① 압축공기를 만드는 전동식 공기압축기(42)(air compressor) 및 에어탱크(44) ② 공기필터, 밸브, 공기이송관, 압력게이지 등으로 이루어진 공기공급유니트 ③ 액추에이터인 공압실린더(20) ④ 공기의 방향을 바꿔서 실린더의 로드가 상하로 구동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및 ⑤ 상기 공기압축기(42)의 작동과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콘트롤박스(48))로 구성된다.
The pneumatic cylinder (20) system usually comprises: (1) an electric air compressor (42) and an air tank (44) for making compressed air; (2) an air supply unit consisting of an air filter, a valve, an air transfer pipe, a pressure gauge, and the like. Cylinder 20 ④ solenoid valv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air to drive the cylinder rod up and down and ⑤ control unit (control box 48)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mpressor 42 and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

본 발명에서 상기 공압실린더(20)는, 경기장의 조건에 따라 상기 홀더(3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최대 행정을 조정할 수 있는 복동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압실린더(20)의 구조와 작동에 관한 것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하기 위한 전기적 배선, 프로그램된 PLC회로 및 전기신호 발생에 의한 작동 등 구체적인 공압실린더(20)의 구조와 작동방식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neumatic cylinder 20 is preferably a double acting type that can adjust the maximum stroke so that the height of the holder 30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stadium. Sinc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neumatic cylinder 20 are widely known, the specific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neumatic cylinder 20, such as electrical wiring for operating the solenoid valve, programmed PLC circuits, and operation by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are described.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are omitted.

상기 공기압축기(42)는 지면 또는 수면상에 설치되고 공기이송관(도시 생략)에 의해 수중에 설치되는 상기 에어탱크(44)와 연결되어 있으며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탱크(44)를 보조하기 위한 보조에어탱크(45)를 둘 수 있다. 보조에어탱크(45)는 상기 공기압축기(42)에서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였다가 다시 상기 에어탱크(44)에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동력이 끊긴 경우에도 소정 횟수 이상 상기 공압실린더(20)가 작동 가능하도록 한다.
The air compressor 42 is connected to the air tank 44 installed on the ground or the water surface and installed in the water by an air transfer pipe (not shown), and functions to store compressed ai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air tank 45 for assisting the air tank 44 may be provided. The auxiliary air tank 45 operates the pneumatic cylinder 20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even when the power is cut off by storing the compressed air in the air compressor 42 and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air tank 44 again. Make it possible.

한편, 상기 홀더(30)는 카누?조정?용선의 스턴포스트 또는 노즈콘의 최선단부와 맞닿게 되는데, 홀더(30)의 상하이동에 의한 마찰에 의해 보트의 선단부가 손상받지 않도록 홀더(30)에 복수개의 롤러를 장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 생략). 또한 홀더(30)는 운반 및 보관의 편의를 위해 회동프레임(25)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홀더(30)는 보트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시켜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On the other hand, the holder 30 is in contact with the stern post of the canoe, adjustment, and charter or the top end of the nose cone, so that the tip of the boat is not damaged by friction caused by the shanghaidong of the holder 30 It is preferable to mount several rollers (not shown). In addition, the holder 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otation frame 25 for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course, the holder 30 can be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boat.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에는 이동의 편의를 위해 바퀴(14)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설명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는 통상의 카누나 조정 등 수상 경기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수면 상에 다수의 레인을 표시하는 기능을 하는 복수개의 부표와, 상기 부표를 고정하도록 수중으로 연결된 와이어 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utomatic sta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 wheel 14 for the convenience of movement. In addition, although not described separately, the automatic start device for a water g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uoys and a buoy that functions to display a plurality of lanes on the water surface for smooth running of a water game, such as ordinary canoe adjustment, fixed the buoys It may be used with wires and the like connected underwater.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start device for a water gam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발장치를 카누?조정?용선 등의 수상경기가 개최되는 장소에 설치한 뒤에 공기압축기(42)를 작동시켜 에어탱크(44)에 충분한 양의 공기를 미리 저장시켜 둔다. 경기 시작 전, 상기 공압실린더(20)를 신장시켜 회동프레임(25)을 소정 각도로 세운다. 이에 의해 회동프레임(25)의 꼭지점 말단에 설치된 홀더(30)가 수면위로 상승되어 보트가 출발선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도록 한다(도 3c → 도 3b → 도 3a). 출발을 알리는 신호음과 동시에 콘트롤박스(48)의 스타트 버튼을 누르게 되면(출발신호음과 콘트롤박스(48)의 버튼 전기신호가 동시에 자동으로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음) 콘트롤박스(48)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각 레인의 설치된 공압실린더(20)의 솔레노이드밸브가 동시에 작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탱크(44)의 압축공기는 상기 공압실린더(20)를 수축작동시켜 회동프레임(25)을 소정 각도로 눕히면 홀더(30)가 수면 아래로 하강함으로써 보트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한다(도 3a → 도 3b → 도 3c). 보트의 출발완료 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콘트롤박스(48)로부터 원상복귀 전기신호가 각 솔레노이드밸브에 전달되면 에어탱크(44)의 압축공기가 공압실린더(20)를 신장작동시켜 홀더(30)가 다시 수면위로 상승되도록 한다(도 3c → 도 3b → 도 3a).
After the automatic sta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water games such as canoeing, adjusting, and chartering are held, the air compressor 42 is operated to store a sufficient amount of air in the air tank 44 in advance. Before the start of the game, the pneumatic cylinder 20 is extended to raise the rotation frame 25 at a predetermined angle. As a result, the holder 30 installed at the vertex end of the rotation frame 25 is raised above the water surface so that the boat cannot move forward from the starting line (Fig. 3C → Fig. 3B → Fig. 3A). When the start button of the control box 48 is pressed at the same time as the start signal (the start signal and the button electrical signal of the control box 48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at the same time), the electric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box 48 By the solenoid valve of the pneumatic cylinder (20) installed in each lane is operated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compressed air of the air tank 44 contracts the pneumatic cylinder 20 so that the pivot frame 25 is lai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boat 30 can be started by descending below the surface of the boat 30. Figure 3a-3b-3c). After completion of the boat, when the original return electric signal from the control box 48 is transmitted to each solenoid valve automatically or manually, the compressed air of the air tank 44 expands and operates the pneumatic cylinder 20 so that the holder 30 It rises again to the surface (Fig. 3c → Fig. 3b → Fig. 3a).

HC 힌지결합부
10 수중브릿지 12 연결수단 14 바퀴
20 공압실린더
25 회동프레임 26 보강대
30 홀더
40 구동수단 42 공기압축기 44 에어탱크
46 보조에어탱크 48 콘트롤박스
HC hinge coupling
10 Underwater bridge 12 Connecting means 14 Wheels
20 Pneumatic Cylinder
25 pivot frames 26 reinforcement
30 holder
40 Drive means 42 Air compressor 44 Air tank
46 Auxiliary Air Tank 48 Control Box

Claims (6)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에 있어서,
(A) 수중브릿지(10);
(B) 양측 다리와 다리 사이의 보강대(26)로 이루어진 A-자형으로, 이격된 양측 다리가 상기 수중브릿지(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프레임(25);
(C) 상기 회동프레임(25)의 꼭지점 말단에 설치된 홀더(30);
(D) 일측말단이 상기 수중브릿지(10)에, 타측말단이 상기 회동프레임(25)의 보강대(26)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최대 행정(stroke)을 조정할 수 있는 복동식인 공압실린더(20); 및
(D) 상기 공압실린더(20)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In the automatic start device for water games,
(A) the underwater bridge 10;
(B) an A-shaped shape consisting of reinforcing rods 26 between both legs and the legs, wherein both the spaced apart legs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underwater bridge 10;
(C) a holder 30 installed at the vertex end of the rotation frame 25;
(D) A double-acting pneumatic cylinder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nderwater bridge 10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inforcing table 26 of the pivot frame 25, respectively. 20; And
(D) driving means for operating the pneumatic cylinder 20; automatic start device for a water g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공기압축기;
상기 공기압축기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일시 저장하는 압축탱크;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압축탱크에서 상기 공압실린더(20)로 압축공기를 조절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means includes:
An air compressor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Compression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the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air compressor; And
And a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compressed air from the compression tank to the pneumatic cylinder (20) by an electrical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20)가 자동출발장치의 운반, 설치 및 보관 시에 접혀질 수 있도록, 공압실린더(20)는 상기 회동프레임(25)의 보강대(26)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neumatic cylinder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inforcing table 26 of the rotation frame 25 so that the pneumatic cylinder 20 can be folded during transportation, installation and storage of the automatic starting device. Automatic starting device for water gam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브릿지(10)의 양 끝단에 인접한 다른 수중브릿지(10)와의 연결수단(12)이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utomatic start device for water gam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means 12 and the other underwater bridge 10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underwater bridge 10 is ad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0)에는 하강 시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복수개의 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경기용 자동출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er 30 is an automatic start device for a water gam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ollers are mounted so as to reduce the friction when falling.
KR1020120085100A 2012-08-03 2012-08-03 Automatic Start-Controlling Machine for Racing of Boats KR1012067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100A KR101206746B1 (en) 2012-08-03 2012-08-03 Automatic Start-Controlling Machine for Racing of Boa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100A KR101206746B1 (en) 2012-08-03 2012-08-03 Automatic Start-Controlling Machine for Racing of Boa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746B1 true KR101206746B1 (en) 2012-11-30

Family

ID=47565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100A KR101206746B1 (en) 2012-08-03 2012-08-03 Automatic Start-Controlling Machine for Racing of Boa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74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165B1 (en) 2013-11-01 2014-12-17 장귀동 starting plate device of sledding groun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7419A (en) 2003-12-19 2005-07-07 康平 ▲萱▼原 Boat starting base for boat race
JP2006238959A (en) * 2005-02-28 2006-09-14 Toyoda Gosei Kyushu Kk Boat launching apparatus
KR100859171B1 (en) 2008-03-12 2008-09-19 정종수 Automatic start-controlling machine for racing of boa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7419A (en) 2003-12-19 2005-07-07 康平 ▲萱▼原 Boat starting base for boat race
JP2006238959A (en) * 2005-02-28 2006-09-14 Toyoda Gosei Kyushu Kk Boat launching apparatus
KR100859171B1 (en) 2008-03-12 2008-09-19 정종수 Automatic start-controlling machine for racing of boa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165B1 (en) 2013-11-01 2014-12-17 장귀동 starting plate device of sledding grou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6391A (en) Inflatable ship interior simulating play tent
CN102173367B (en) Stern hydraulic rudder installing walking trolley
CN107217609B (en) A kind of city is paddled section warning mark post and application method
CN204916093U (en) A monitoring devices for synthesizing ship of decontaminating
KR101206746B1 (en) Automatic Start-Controlling Machine for Racing of Boats
NO332091B1 (en) Device for holding and positioning equipment by - and method of feeding fish in - a fish cage
KR100859171B1 (en) Automatic start-controlling machine for racing of boats
CN206533956U (en) A kind of automatic fishing device
US35891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nduit during a laying operation
CN208198757U (en) Modular ship draw off gear
CN205591189U (en) Surface of water cleaning device for municipal garden
NO158127B (en) Schooners.
KR100733552B1 (en) Automatic starting device for water games using pneumatic
CN208617259U (en) A kind of bridge constructio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CN109138535B (en) Bilateral artificial wave making system
EP2184223B1 (en) Device for raising/lowering of elongated objects
CN107554725A (en) Rescue at sea locomotory apparatus
CN107197842A (en) A kind of fishing is with automatically-unhooked upper bait device
CN209900642U (en) Basketball stand with small floor area
KR200432266Y1 (en) Automatic starting device for water games using pneumatic
CN110702459A (en) Water quality sampling device
CN207000758U (en) A kind of windlass
CN205620551U (en) Fresh water shoal of fish check out test set
CN211235074U (en) Water quality sampling device
CN206297700U (en) Track combination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