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678B1 -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678B1
KR101206678B1 KR1020110042449A KR20110042449A KR101206678B1 KR 101206678 B1 KR101206678 B1 KR 101206678B1 KR 1020110042449 A KR1020110042449 A KR 1020110042449A KR 20110042449 A KR20110042449 A KR 20110042449A KR 101206678 B1 KR101206678 B1 KR 101206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mote
optical
signal
df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4658A (ko
Inventor
송영범
김종민
고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알에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알에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알에프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042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678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대형 경기장이나 병원, 캠퍼스와 같은 대형 건물의 이동통신 등의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서 증폭 시스템의 사용은 필수이다.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은 단일 캐리어(사업자)용으로 국한되는 것은 자원효율과 비용효율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광대역(Wideband), Multi-protocol 및 다중 캐리어용으로 제작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의 기술적 문제는 미주 지역의 주파수 계획과 같이 동일 대역에서 지역마다 동일 사업자의 서비스 신호의 사용 채널이 다를 뿐 아니라 여러 사업자의 이종의 신호(예, 1900MHz대역에서 GSM신호와 CDMA신호, WCDMA신호 등이 혼재함)가 혼재하는 경우에서 일례로 CDMA만 증폭해야 할 지역에 인접대역의 GSM신호가 같이 증폭되어 간섭하게 되므로 CDMA서비스의 품질이 열화 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필터링 및 디지털 필터의 이득을 제어하는 유닛을 내장하여 동일 주파수 대역 내의 다른 서비스 또는 서비스에 방해가 되는 간섭 신호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원하는 신호는 통과 및 증폭시키는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이다.

Description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Analog Optic Bi-directional Amplifying System}
본 발명은 아날로그 광 양방향증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 주파수 대역이지만 국가, 지역마다 각각 다른 서비스 신호와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복잡하고 다양한 이동통신 환경에서 디지털 필터를 사용하여 한 개 또는 인접, 비인접을 포함한 복수의 원하는 주파수의 서비스 신호만을 통과 및 증폭시켜 양질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아날로그 광 양방향증폭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 캠퍼스, 스타디움, 병원, 터널 등의 전파 전달이 어려운 지역을 대상으로 기지국(BTS)의 신호가 음영 지역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신호를 증폭 및 전송하는 장치이며, 앞에서 설명한 중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음영 지역에 존재하는 단말기에서 요청된 신호를 증폭하여 기지국(BTS)으로 전송하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한다.
이와 같은 아날로그 광 양방향증폭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도 1은 기지국(BTS)(100)과 아날로그 광 양방향증폭시스템이 무선으로 인터페이스되는 경우의 구성이다. 도 1의 RF양방향증폭기(101)는 아날로그 광 양방향증폭시스템과 기지국(BTS)(100) 사이에 위치하여 기지국(BTS)과 아날로그 광 양방향증폭시스템이 무선으로 인터페이스 될 수있게 역할한다.
예시 목적으로, 4개의 광라인(104)과 4개의 리모트유닛(RU)(103)을 도시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헤드유닛(HU)는 다른 개수의 광라인과 리모트유닛(RU)이 연결될 수 있다.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은 순방향 경로에서 기지국(BTS)(100)에서 무선 전송한 순방향신호(105)는 기지국(BTS)(100)과 양방향증폭기(BDA)(101)간 무선 경로 상에서 순방향신호(105)와 동일한 밴드내의 다양한 간섭신호(106)와 동시에 양방향증폭기(BDA)의 안테나로 입력된다. 이렇게 입력된 간섭된 신호(107)는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의 헤드유닛(HU)(102)와 리모트유닛(RU)(103)에서 충분한 필터링이 되지 않고 단말기(109)로 무선 전송된다. 선호신호만이 리모트유닛(RU)(103)의 고출력증폭기(HPA)에서 증폭되어 단말기로 전송되어야 하지만 SAW필터나 기타의 아날로그 필터 방식으로는 동일밴드내의 간섭된 신호(107) 중에서 선호 신호만을 필터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기지국(BTS)(100)으로부터 입력된 순방향신호(105)와 기지국(BTS)(100)과 양방향증폭기(BDA)(101) 사이에서 유입되는 불필요한 간섭신호(106)가 동시에 시스템에 입력되어 증폭되므로 특히 리모트유닛(RU)(103)내의 고출력증폭기의 과입력이나 과출력으로 인해 장비의 열화 현상이 발생하여 서비스 품질 저하를 유발하거나, 장비의 열화 현상이 아니더라도 간섭된 신호(107)가 필터링되지 않고 단말기로 전달되므로 인해 서비스 품질을 열화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아날로그 필터링 방식을 사용하는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밴드내의 불필요한 간섭신호에 의해 간섭된 신호에서 선호 신호만을 필터링 및 증폭하는 디지털필터를 이용함으로써 간섭된 신호 중에서 선호신호만을 선택하여 증폭 및 전송하는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은, 기지국(BTS) 또는 양방향증폭기(BDA)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신호가 IF로 주파수하향변환과 적정한 레벨로 조정된 후 디지털 필터링을 통해 간섭신호 제거와 순방향의 선호신호만을 여파하여 주파수상향변환과 적정한 레벨로 조정된 후 다수의 리모트유닛(RU)로 전광변환 후 확장 전송하고, 다수의 리모트유닛(RU)으로부터 입력된 역방향신호를 광전변환 후 IF로 주파수하향변환과 적정한 레벨로 조정하여 디지털필터에서 간섭신호 제거와 역방향의 선호신호만을 증폭하여 주파수상향변환과 적정한 레벨로 조정한 후 기지국(BTS)/양방향증폭기(BDA)로 전송하는 헤드유닛(HU)과; 헤드유닛(HU)내에 위치하여 순방향/역방향 다운컨버터로부터 입력되는 IF주파수의 간섭된 순방향/역방향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변환하여 FPGA에서 디지털 필터링하여 간섭신호를 제거하고 선호신호만을 증폭시켜서 디지털아날로그변환하여 순방향/역방향 업컨버터로 전송하는 디지털필터와; 헤드유닛(HU)과 광선로로 연결되어 헤드유닛(HU)의 순방향신호를 광전변환하여 적정한 레벨로 조정하고 고출력증폭하여 RU안테나를 통해 단말기로 송신하고, 단말기로부터 RU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역방향신호를 저잡음증폭하여 적정한 레벨로 조정 후 전광변환하여 광선로를 통해 헤드유닛(HU)으로 전송하는 리모트유닛(RU)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으로 입력된 복잡하고 다양한 간섭신호를 제거하여 선호신호만을 증폭 및 전송하므로 양호한 통화 품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으로 입력된 복잡하고 다양한 간섭신호를 제거하여 불필요한 간섭신호에 의한 과입력과 과출력으로부터 장비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유닛에 포함된 RF유닛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유닛에 포함된 디지털필터유닛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유닛에 포함된 리모트증폭유닛의 구성도
도 6는 도 3에 도시된 RF유닛 내의 순방향 다운컨버터와 역방향 다운컨버터에 포함된 리플보정회로의 구성도
도 7는 도 6에 도시된 리플보정회로의 주파수 응답 특성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은 헤드유닛(HU)(201)과 리모트유닛(RU)(206)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모트유닛(RU)(206)의 구성은 리모트유닛(RU)(213, 214, 215)과 동일한 구성이며 상세한 구성을 표시한 것이다.
헤드유닛(HU)(201)은 기지국(BTS)/양방향증폭기(BDA)(200)와 인터페이스되고 다수의 리모트유닛(RU)(206, 213~215)으로 광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리모트유닛(RU)(206)은 헤드유닛(HU)(201)과 광라인(212)으로 연결되며 단말기와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유닛(HU)(201)은 기지국(BTS)/양방향증폭기(BDA)(200)와 인터페이스되는 RF유닛(RFU)(202); 과 동일 대역 내의 간섭 신호를 제거하고 선호하는 신호를 통과 및 증폭시키는 디지털필터유닛(DFU)(203); 과 전광/광전 변환 및 확장 하는 역할을 하여 RF유닛(RFU)(202)과; 리모트유닛(RU)(206)을 광라인(212)을 통해 연결하도록 역할을 하는 광도너유닛(ODU)(204)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유닛(RU)(206)은 광도너유닛(ODU)(204)과 광으로 연결되어 전광/광전 변환의 역할을 하는 광리모트유닛(ORU)(207)과; 순방향의 RF신호의 레벨을 적정하게 조정한 후 고출력 증폭하여 듀플렉서(210)로 전송하고 듀플렉서(210)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F신호를 저잡음증폭한 후 적정한 레벨로 조정하여 광리모트유닛(ORU)(207)으로 출력하는 리모트증폭유닛(RAU)(208)과; 순방향과 역방향 신호를 분리하는 듀플렉서(210)를 구비한다.
상기 RF유닛(RFU)은 기지국(BTS)/양방향증폭기(BDA)(200)와 RF케이블로 연결되어 디지털필터유닛(DFU)(203)과 인터페이스하여 주파수변환을 하고 대역 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광도너유닛(ODU)(204)과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구성도에서 디지털필터유닛(DFU)(203)과 연결된 RF유닛(RFU)(202)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유닛(RFU)(202)은 순방향 다운컨버터(DL DNC)(301)와 순방향 업컨버터(DL UPC)(302)와 역방향 다운컨버터(UL DNC)(303)와 역방향 업컨버터(UL UPC)(304)를 구비한다.
순방향 다운컨버터(DL DNC)(301)는 기지국(BTS)/양방향증폭기(BDA)(200)로부터 순방향 신호를 전달받아 디지털필터유닛(DFU)(203)이 처리 가능한 IF로 주파수하향변환과 적정한 레벨로 조정하여 디지털필터유닛(DFU)(203)으로 전달한다.
순방향 업컨버터(DL UPC)(304)는 디지털필터유닛(DFU)(203)으로부터 순방향 IF신호를 전달받아 원래의 주파수로 주파수상향변환과 적정한 레벨로 조정하여 광도너유닛(ODU)(204)으로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의 디지털필터유닛(DFU)(203)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필터유닛(DFU)(203)은 순방향 다운컨버터(DL DNC)(301)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IF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ADC)(401)에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을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FPGA(403)로 입력하며 FPGA(403)는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자 의도에 따른 필터링 및 증폭 또는 기타 신호처리를 사용하여 처리 후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DAC)(402)에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을 통하여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ADC)(401)에서 받은 순방향 IF신호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한다.
역방향 경로에서 디지털필터유닛(DFU)(203)은 역방향 다운컨버터(UL DNC)(303)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IF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ADC)(404)에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후 FPGA(403)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자 의도에 따른 필터링 및 증폭 또는 기타 신호처리를 사용하여 처리 후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DAC)(405)에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을 통하여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ADC)(404)에서 받은 역방향 IF신호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한다.
ODU(204)는 RF유닛(RFU)(202)과 연결되어 전광/광전 변환하고 다수의 리모트유닛(RU)(206, 213~215)과 광라인으로 연결하여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광리모트유닛(ORU)(207)은 광도너유닛(ODU)(204)과 광으로 연결되어 전광/광전 변환하고 리모트증폭유닛(RAU)(208)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리모트증폭유닛(RAU)(208)은 광리모트유닛(ORU)(207)과 듀플렉서(210) 사이에 위치하여 신호를 적정한 레벨로 조절하여, 대역 외의 신호를 제거한 후 고출력 증폭하여 듀플렉서(210)에 전달하고, 듀플렉서(201) 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신호를 저잡음 증폭한 후 대역 외의 신호를 제거한 후 적절한 레벨로 조정하여 광리모트유닛(ORU)(207)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리모트증폭유닛(RAU)(208)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증폭유닛(RAU)(208)은 순방향 RF부(DL RF부)(501)와 순방향 고출력증폭기(DL HPA)(502)와 역방향 저잡음증폭기(UL LNA)(503)와 역방향 RF부(UL RF부)(504)를 구비한다.
순방향 RF부(DL RF부)(501)는 광리모트유닛(ORU)(207)으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신호를 대역외 신호를 제거하고 적정한 레벨로 조정하여 순방향 고출력증폭기(DL HPA)(50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순방향 고출력증폭기(DL HPA)(502)는 순방향 RF부(DL RF부)(501)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신호를 고출력 증폭하여 듀플렉서(2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역방향 저잡음증폭기(UL LNA)(503)는 듀플렉서로(210)부터 입력된 역방향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역방향 RF부(UL RF부)(504)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역방향 RF부(UL RF부)(504)는 역방향 저잡음증폭기(UL LNA)(503)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신호를 대역외 신호를 제거하고 적정한 레벨로 조정하여 광리모트유닛(ORU)(207)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의 도시된 듀플렉서(210)는 리모트증폭유닛(RAU)(208)과 RU안테나(211) 사이에 위치하며 순방향과 역방향의 주파수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도 6는 도 3에 도시된 순방향 다운컨버터(DL DNC)(301)와 역방향 다운컨버터(UL DNC)(303)에 삽입된 리플보정회로(Ripple Correction Circuit; RCC)(305)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보정회로(RCC)(305)는 전압에 의해 가변 가능한 공진회로서 시스템 전체의 대역내 리플 특성을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플보정회로(RCC)(305)는 입력신호의 통과주파수대역을 결정하는 기본 공진 소자부(C16, C14, R14)와 기본 공진 소자부(C16, C14, R14)의 통과주파수대역에 대한 미세공진주파수를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보정하도록, 인덕턴스 소자(L13)와 연결 형성되는 가변용량 다이오드(Varactor Diode)(D11)및 주변 회로 구성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의 기본 공진 소자부 중 C6의 캐패시턴스 및 L14의 인덕턴스는 공진회로의 통과 대역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인덕턴스 소자(L13)와 가변용량 다이오드(D11)는 리플을 보정하기 위한 중요한 소자이며, 인덕턴스 소자(L13)의 인덕터 값을 고정을 시키고 가변용량 다이오드(D11)에 인가되는 전압(Vc)을 변경하여 리플을 보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을 통해 대역 통과된 신호가 불균일한 신호 특성을 갖을 때, 이를 상보적으로 보상하는 대역통과 필터의 역할을 함으로써 균일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 함으로써 안정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로 구성 소자인 도 6의 C12, C13, C14 및 C15의 캐패시턴스(Capacitance)는 AC신호를 통과 시키고 DC 신호를 차단을 시켜주는 커플링 캐패시턴스(Capacitance)이다. 그리고 도번 C11, L11 및 L12는 입력된 전압의 노이즈(Noise) 성분을 제거해주는 바이패스 캐패시터(By-Pass Capacitor)와 초크 코일이다. 또, 도번 R11, R12 및 R13의 저항은 입력 및 출력 양단의 임피던스 정합 및 밸런스(Balance)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
상기 리플보정회로(RCC)(305)는 도 6의 가변용량 다이오드(D11)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함으로 도 2의 메인컨트롤유닛(MCU)(205)이 전압(Vc)을 제어하여,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서비스 대역이 바뀌어도 리플보정회로(RCC)(305)의 내부 구성이 바뀌지 않으며 외부 또는 원격으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적절한 리플 보정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리플보정회로(RCC)(305)의 가변용량 다이오드(D11)에 인가되는 전압값을 해당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제어를 하는 방법은 상기 리플보정회로(RCC)(305)에 인가되는 전압(Vc)을 주파수 대역에 따라 도 2의 메인컨트롤유닛(MCU)(205)에 기억된 전압값을 호출하여 상기 리플보정회로(RCC)(305)의 가변용량 다이오드(D11)에 인가되는 전압(Vc)을 제어함으로써 입력신호의 통과대역에 대한 미세 공진 주파수를 보정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리플보정회로(RCC)(305)의 공진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번 701은 손실값, 도번 72는 주파수 대역 도번 703, 704, 705는 상기 리플보정회로(RCC)에서 메인컨트롤유닛(MCU)(205)이 인가하는 전압값에 따라 주파수의 손실치가 차이가 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메인컨트롤유닛(MCU)(205)이 인가하는 소정의 전압값에 따라 공진회로의 리플은 기울기가 (-)에서 (+)로 변화한다.
상기 리플보정회로(RCC)(305)에서 시스템이 선택할 수 있는 서비스 대역의 경우수가 많을 경우 각 사용대역에 대한 리플 보정값을 사전에 측정하여 테이블형태의 데이터로 메인컨트롤유닛(MCU)(205)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플보정회로(RCC)(305)은 시스템 설치 시 또는 설치 후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주파수대역을 선택하기 위해서 메인컨트롤유닛(MCU)(205)에 미리 저장해 둔 테이블형태의 데이터값을 호출하여 사용대역에 해당하는 공진회로 제어 전압 값을 공진회로에 적용함으로써 사용대역에 최적화된 리플 특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또한, 상기 리플보정회로(RCC)(305)은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복수로 사용할 수 있다. 복수로 사용할 경우, 최적화된 값의 적용을 위해서 사용되는 보상회로 개수의 선택을 사용자가 메인컨트롤유닛(MCU)(205)의 조작으로 가능하며, 각각의 리플보정회로(RCC)(305)에 적용될 전압 값을 메인컨트롤유닛(MCU)(205)에서 조작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은 전세계적으로 사용하는 이동통신 주파수와 서비스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지원하는 주파수는 VHF, UHF, 698MHz~2.1GHz이며, 지원하는 서비스 프로토콜은 Public safety, Paging, Health care, GSM, LTE, CDMA, GPRS, EDGE, UMTS, IDEN, SMR등이다.

Claims (13)

  1. 기지국(BTS)/양방향증폭기(BDA)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고 IF로 주파수변환하여 디지털필터유닛(DFU)로 전송한 후에 디지털필터유닛(DFU)에서 처리된 순방향 출력신호를 주파수상향변환하여 광도너유닛(ODU)으로 출력하고, 광도너유닛(ODU)으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신호를 IF로 주파수하향변환하여 디지털필터유닛(DFU)으로 전송한 후에 디지털필터유닛(DFU)에서 처리된 역방향 출력신호를 주파수상향변환하여 기지국(BTS)/양방향증폭기(BDA)로 출력하는 RF유닛(RFU)과,

    상기 RF유닛(RFU)으로부터 수신된 IF 신호를 사용자가 원하는 신호 처리 및 디지털 필터링 또는 이득처리를 한 후 수신된 신호 대역과 동일한 IF주파수로 출력하는 디지털필터유닛(DFU)과,

    상기 RF유닛(RFU)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모트유닛(RU)으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모트유닛(RU)으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도너유닛(ODU)과,

    상기 광도너유닛(ODU)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광신호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리모트증폭유닛(RAU)으로 전송하고, 상기 리모트증폭유닛(RAU)으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무선 주파수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리모트유닛(RU)과,

    상기 리모트유닛(RU)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적정한 레벨로 조정하여 고출력증폭하여 듀플렉서로 전송하고,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저잡음증폭하여 적정한 레벨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리모트증폭유닛(RAU)과,

    상기 리모트증폭유닛(RAU)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무선 주파수 신호를 필터링하여 안테나로 출력하고,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무선 주파수 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RF유닛(RFU), 디지털필터유닛(DFU), 광도너유닛(ODU)과 직접 연결되어 상기 RF유닛(RFU), 디지털필터유닛(DFU), 광도너유닛(ODU)의 상태 조회와 제어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광도너유닛(ODU)과 광으로 연결된 리모트유닛(RU)과 상기 리모트유닛(RU)과 연결된 리모트증폭유닛(RAU)의 상태 조회와 제어기능을 제공하는 메인컨트롤유닛(MCU)과,

    상기 리모트증폭유닛(RAU), 리모트유닛(RU)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리모트증폭유닛(RAU), 리모트유닛(RU)의 상태 조회와 제어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리모트유닛(RU)와 광으로 연결된 광도너유닛(ODU)과 상기 광도너유닛(ODU)와 직접 연결된 상기 RF유닛(RFU)과 상기 RF유닛(RFU)과 연결된 디지털필터유닛(DFU)의 상태 조회와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리모트컨트롤유닛(RCU)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필터유닛(DFU)은 가변 대역폭을 가지는 1개 이상의 대역채널을 가지고 각 대역채널의 중심 주파수를 가변 가능하고 각 대역채널을 켜거나 끌 수 있고 각 대역채널 별로 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필터유닛(DFU)은 지연시간을 소정의 범위와 단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필터유닛(DFU)은 사용자가 의도한 필터특성으로 간섭신호가 제거되고 선호신호가 통과된 후의 레벨의 정보를 메인컨트롤유닛(MCU)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레벨 정보를 식별 가능한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필터유닛(DFU)은 사용자가 의도한 필터특성으로 간섭신호가 제거되고 선호신호가 통과된 후의 스펙트럼 파형의 정보를 메인컨트롤유닛(MCU)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스펙트럼 파형의 정보를 식별 가능한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필터유닛(DFU)은 착탈이 용이한 구조로서 옵션화가 가능한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유닛(MCU)는 상기 디지털필터유닛(DFU)의 착탈의 설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메인컨트롤유닛(MCU)가 설치 정보에 따른 상태정보 제공과, 제어화면을 제공하는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유닛(RU)와 연결된 광라인의 연결 상태 정보를 상기 메인컨트롤유닛(MCU)로 제공하는 상기 광도너유닛(ODU)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너유닛(ODU)와 연결된 광라인의 연결 상태 정보를 상기 리모트컨트롤유닛(RCU)로 제공하는 상기 리모트유닛(RU)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유닛(RFU)은 리플보정회로(Ripple Correction Circuit; RCC)를 가지는 것을특징으로하는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RF유닛(RFU)은 리플보정회로(Ripple Correction Circuit; RCC)를 필요에따라 복수로 구성하는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RF유닛(RFU)은 리플보정회로(Ripple Correction Circuit; RCC)를 상기 메인컨트롤유닛(MCU)의 전압값의 변경에 의해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보정회로(Ripple Correction Circuit; RCC)의 전압값이 상기 메인컨트롤유닛(MCU)에 저장/호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KR1020110042449A 2011-05-04 2011-05-04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KR101206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449A KR101206678B1 (ko) 2011-05-04 2011-05-04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449A KR101206678B1 (ko) 2011-05-04 2011-05-04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658A KR20120124658A (ko) 2012-11-14
KR101206678B1 true KR101206678B1 (ko) 2012-12-03

Family

ID=4750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449A KR101206678B1 (ko) 2011-05-04 2011-05-04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6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454B1 (ko) 2006-09-26 2008-02-13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454B1 (ko) 2006-09-26 2008-02-13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658A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08987B (zh) 具有并行功能的功率放大器的组合输出匹配网络和滤波器
US9838049B2 (en) Method and frequency agile pre-distorted transmitter using programmable digital up and down conversion
JP200404081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多重帯域無線周波数の受信方法及び装置
US7689187B2 (en) Dual input low noise amplifier for multi-band operation
EP2750291A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adjustment method of filter circuit
US20120189040A1 (en) Multi-mode receiver
KR10045954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표준 규격들을 지원하는 직접변환 수신기
US20140376428A1 (en) Multi-frequency range processing for rf front end
US20010049267A1 (en) Method for implementing a transceiver and a transceiver
KR100735333B1 (ko) 다중 모드/다중 대역 무선 송수신기
KR20140128054A (ko) 대역 가변형 필터 장치 및 이동통신 중계기
US20210083702A1 (en) Front-End Architecture of Multiband Radio
KR101206678B1 (ko) 아날로그 광 증폭 시스템
US20140254568A1 (en) Semiconductor module
KR100638879B1 (ko) 고조파 억제기능을 개선한 고주파용 복합모듈
WO2019208173A1 (ja) 無線通信モジュール
KR20150089763A (ko) 무선 송수신 장치
TW201637373A (zh) 具有彈性頻帶路由之分集接收器前端系統
JP2005507206A (ja) 折り返し選択帯域フィルタ処理を用いた低雑音送信機構造及びその方法
KR101654806B1 (ko) 조립형 이동통신 중계 장치
WO2017008403A1 (zh) 信号发射方法和装置
CN114747147B (zh) 通信装置和网络设备
KR10046051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이중 접지 분리된 주파수 변환장치
KR100876801B1 (ko) 멀티캐리어 통신시스템의 송신기 및 그에 의한 신호 송신방법
KR20060097237A (ko) 하모닉 성분이 억압되는 전력증폭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