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763A - 무선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763A
KR20150089763A KR1020140010757A KR20140010757A KR20150089763A KR 20150089763 A KR20150089763 A KR 20150089763A KR 1020140010757 A KR1020140010757 A KR 1020140010757A KR 20140010757 A KR20140010757 A KR 20140010757A KR 20150089763 A KR20150089763 A KR 20150089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filter
broadband
ba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운기
조영민
안중효
임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0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9763A/ko
Publication of KR2015008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2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70Multiple-port 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9/72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70Multiple-port 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9/72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725Duplex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중 대역의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광대역 송신 필터; 상기 광대역 송신 필터에서 출력되는 RF 신호를 송신 가능한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 모듈; 상기 다중 대역의 송신 신호를 다중 대역의 수신 신호와 분리하는 광대역 듀플렉서; 및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광대역 송신 필터 및 광대역 듀플렉서의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는 통신 모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송수신 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FREQUENCY SIGNAL}
본 발명은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는 전세계 나라(지역)별로 각각 다른 통신 서비스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각 통신 서비스 방식별로 여러 개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 서비스 방식은 나라(지역)별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방식, WCDMA(Wide 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 등 여러 가지로 제공되고 있다. CDMA 방식은 800MHz, 1800MHz, 1900M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있다. GSM 방식은 850MHz, 900MHz의 주파수 대역과, 1800MHz, 1900M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있다. WCDMA 방식은 850MHz, 1900MHz, 2000M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있다. LTE 방식은 1850MHz, 2100MHz, 1.8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모든 이동통신 서비스와 각 서비스별 주파수 대역을 모두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중 모드 및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가 필요하다. 여기서, 다중 모드는 WCDMA 방식에 따른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모드, GSM 방식에 따른 TDD(Time Division Duplex) 모드 등을 의미하고, 다중 대역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그런데, 종래의 무선 송수신 장치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별개의 듀플렉서, 전력 증폭기, 송신 필터 및 수신 필터 등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각 서비스별 주파수 대역을 모두 지원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품들의 개수가 계속 증가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무선 송수신 장치의 전체 사이즈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광대역 듀플렉서 및 광대역 SAW 필터를 통해 다중 대역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중 대역의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광대역 송신 필터; 상기 광대역 송신 필터에서 출력되는 RF 신호를 송신 가능한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 모듈; 상기 다중 대역의 송신 신호를 다중 대역의 수신 신호와 분리하는 광대역 듀플렉서; 및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광대역 송신 필터 및 광대역 듀플렉서의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는 통신 모뎀을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장치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관계없이, 하나의 광대역 듀플렉서 및 광대역 송/수신 필터를 통해 다중 대역의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해당 모듈을 초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의 개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이동 단말기의 무선 송수신 장치에 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무선 송수신 장치에 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광대역 송/수신 필터 및 광대역 듀플렉서에 구비되는 주파수 매칭부의 등가 회로도;
도 4는 광대역 듀플렉서의 가변 주파수 대역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무선 송수신 장치에 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이동 단말기의 무선 송수신 장치에 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송수신 장치(100)는 통신 모뎀(110), RF 신호 처리부(120), 제1 내지 제n 송신 필터(130), 제1 내지 제n 전력 증폭기(140), 제1 내지 제n 듀플렉서(150),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160), 제1 내지 제n 수신 필터(170) 및 안테나(180)를 포함한다.
통신 모뎀(110)은 현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중인 이동통신 서비스의 규격에 따라 기 설정된 방식의 채널 코딩, 변조 및 복조 등의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디지털 송/수신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RF 신호 처리부(120)는 통신 모뎀(110)에서 수신한 베이스 밴드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거나, 제1 내지 제n 수신 필터(170)에서 수신한 RF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RF 신호 처리부(120)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n 개의 송신 필터 중 어느 하나로 RF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내지 제n 송신 필터(130)는 RF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 성분을 제거하여, 현재 서비스 대역의 송신 신호만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n 송신 필터(130)로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가 사용된다.
제1 내지 제n 전력 증폭기(140)는 해당 송신 필터(130)를 통해 출력된 RF 신호를 송신 가능한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내지 제n 듀플렉서(150)는 현재 서비스 대역의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여, 송신 신호는 전력 증폭기(140)로부터 프론트 엔드 모듈(160)로 전달하고, 수신 신호는 프론트 엔드 모듈(160)로부터 제1 내지 제n 수신 필터(17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n 듀플렉서(150)는 송신 및 수신 필터를 통해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의 듀플렉서이다.
프론트 엔드 모듈(160)는 안테나(180)를 통해 송/수신되는 RF 신호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다중 대역 신호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내지 제n 수신 필터(170)는 현재 서비스 대역의 수신 신호만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n 수신 필터(170)로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가 사용된다. 상기 수신 필터(170)를 통해 필터링된 수신 신호는 저 전력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미도시) 등을 통해 증폭되어, RF 신호 처리부(120)로 전송된다.
이처럼, 종래의 무선 송수신 장치는, 안테나(18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n 개의 듀플렉서, n 개의 전력 증폭기, n 개의 SAW 송/수신 필터를 구비해야 한다. 이러한 부품 개수의 증가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듀플렉서 및 SAW 필터를 이용하여 다중 대역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무선 송수신 장치에 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송수신 장치(200)는 통신 모뎀(210), RF 신호 처리부(220), 광대역 송신 필터(230), 전력 증폭기 모듈(240), 광대역 듀플렉서(250), 프론트 엔드 모듈(260), 광대역 수신 필터(270) 및 안테나(28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 모뎀(210) 및 안테나(280)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은 하나의 PCB 기판 위에 실장 되어, RF 통합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모뎀(210)은 현재 서비스 중인 이동통신망의 규격에 따라 기 설정된 방식의 채널 코딩, 변조 및 복조 등의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디지털 송/수신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 모뎀(210)은, 로밍 시, 네트워크 동기화 과정을 통해 해당 지역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전압 값(Va, Vb, Vc)을 메모리(또는 레지스터, 215)에서 읽어온다. 이때, 메모리(215)는 각 통신 서비스의 주파수 대역별로 미리 결정된 전압 값을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모뎀(210)은,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I2C(Inter Integrated Circuit)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광대역 송신 필터(230), 광대역 수신 필터(270) 및 광대역 듀플렉서(250)의 주파수 대역을 조정한다. 즉, 통신 모뎀(210)은,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모리(215)에서 읽어온 전압 값을 상기 광대역 송신 필터(230), 광대역 수신 필터(270) 및 광대역 듀플렉서(250)에 각각 제공한다. 아울러, 통신 모뎀(210)은 현재 서비스 중인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전력 증폭기 모듈(240)의 스위치를 제어한다.
RF 신호 처리부(220)는 통신 모뎀(210)으로부터 수신한 베이스 밴드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광대역 송신 필터(230)로 출력하거나, 광대역 수신 필터(270)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모뎀(21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대역 송신 필터(230)는 RF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 성분을 제거하여, 현재 서비스 중인 주파수 대역의 송신 신호만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광대역 송신 필터(230)는, 통신 모뎀(210)에서 제공되는 전압 값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는 주파수 매칭 회로(300)와, 하나의 SAW 필터를 포함한다. 이때, 주파수 매칭 회로(300)의 입력 포트(310)는 RF 신호 처리부(22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 포트(320)는 SAW 필터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광대역 송신 필터(230)는, 하나의 SAW 필터 및 주파수 매칭 회로를 통해 다중 대역의 송신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게 된다.
전력 증폭기 모듈(240)은 광대역 송신 필터(230)를 통해 출력되는 RF 신호를 송신 가능한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전력 증폭기 모듈(240)은 제1 내지 제n 전력 증폭기(242, 244, 246)와, 상기 복수의 전력 증폭기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한다.
전력 증폭기 모듈(240)은 통신 모뎀(2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스위치를 조절하여, 복수의 전력 증폭기들 중 현재 서비스 대역에 맞는 전력 증폭기를 통해 송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광대역 듀플렉서(250)는 현재 서비스 대역의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여, 송신 신호는 전력 증폭기 모듈(240)로부터 프론트 엔드 모듈(260)로 전달하고, 수신 신호는 프론트 엔드 모듈(260)로부터 광대역 수신 필터(27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광대역 듀플렉서(250)는 송신 필터 및 수신 필터를 이용하여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의 듀플렉서이다.
또한, 광대역 듀플렉서(250)는, 하나의 송신 필터 및 수신 필터와 함께, 통신 모뎀(210)에서 제공되는 전압 값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는 제1 및 제2 주파수 매칭 회로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주파수 매칭 회로(300)의 입력 포트(310)는 전력 증폭기 모듈(24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 포트(320)는 송신 필터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제2 주파수 매칭 회로(300)의 입력 포트(310)는 프론트 엔드 모듈(26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 포트(320)는 수신 필터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광대역 듀플렉서(250)는 송신 신호의 전송 라인에 제1 주파수 매칭 회로 및 송신 필터를 구비하고 있어, 다중 대역의 송신 신호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대역 듀플렉서(250)는 수신 신호의 전송 라인에 제2 주파수 매칭 회로 및 수신 필터를 구비하고 있어, 다중 대역의 수신 신호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프론트 엔드 모듈(260)는 광대역 듀플렉서(250)를 통과한 송신 신호를 안테나(280)로 전달하고, 상기 안테나(280)를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광대역 듀플렉서(26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대역 수신 필터(270)는 광대역 듀플렉서(250)를 통과한 수신 신호에서 잡음(noise) 성분을 제거하여, 현재 서비스 대역의 수신 신호만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광대역 수신 필터(270)는, 통신 모뎀(210)에서 제공되는 전압 값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는 주파수 매칭 회로와, 하나의 SAW 필터를 포함한다. 이때, 주파수 매칭 회로(300)의 입력 포트(310)는 광대역 듀플렉서(25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 포트(320)는 SAW 필터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광대역 수신 필터(270)는, 하나의 수신 필터 및 주파수 매칭 회로를 통해 다중 대역의 수신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광대역 수신 필터(270)를 통해 필터링된 수신 신호는 저 전력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미도시) 등을 통해 증폭되어, RF 신호 처리부(220)로 전달된다.
도 3은 광대역 송/수신 필터 및 광대역 듀플렉서에 구비되는 주파수 매칭부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파수 매칭부(또는 주파수 매칭 회로, 300)는 인덕터(L)와 캐패시터(C)로 구성된 LC 매칭 회로로, 예를 들어 2개의 인덕터(L1, L2)와 3개의 가변 캐패시터(Ca, Cb, Cc)를 포함한다.
즉, 주파수 매칭 회로(300)는 입력 포트(310)와 출력 포트(320) 사이에 제2 인덕터(L2) 및 제3 가변 캐패시터(Cc)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 포트(310)와 제2 인덕터(L2) 사이에 제1 인덕터(L1) 및 제2 가변 캐패시터(Cb)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출력 포트(320)와 제3 가변 캐패시터(Cc)사이에 제1 가변 캐패시터(Ca)가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주파수 매칭 회로(300)에서, 제1 내지 제3 가변 캐패시터(Ca, Cb, Cc)는 통신 모뎀(210)으로부터 수신한 전압 값들(Va, Vb, Vc)에 따라 캐패시턴스의 값이 변경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모뎀(210)에서 제공하는 전압 값들은, 현재 서비스 중인 주파수 대역에 따라 그 값이 변경된다.
Figure pat00001
위 수학식 1과 같이, LC 회로에서, 캐패시턴스 및/또는 인덕턴스의 값에 따라, 공진 주파수(f0)의 값이 결정된다. 따라서, LC 회로의 캐패시턴스 및/또는 인덕턴스의 값을 변경하면, 원하는 공진 주파수(f0)의 값(즉, 주파수 대역)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모뎀(210)에 의한 주파수 매칭 회로(300)의 제어를 통해, 광대역 송신 필터(230), 광대역 수신 필터(270) 및 광대역 듀플렉서(250)의 주파수 대역을 변경할 수 있다.
가령,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서비스 중인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면(즉, 이동통신 서비스 망이 변경되면), 통신 모뎀(210)에 의한 주파수 매칭 회로(300)의 제어를 통해, 광대역 듀플렉서(250)의 주파수 대역을 변경된 서비스 대역에 맞는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대역 듀플렉서(250)는 하나의 송신 필터 및 주파수 매칭 회로(300)를 통해 다중 대역의 송신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고, 하나의 수신 필터 및 주파수 매칭 회로(300)를 통해 다중 대역의 수신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광대역 송/수신 필터(230, 270)는 하나의 SAW 필터 및 주파수 매칭 회로(300)를 통해 다중 대역의 송/수신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주파수 매칭 회로(300)가 2개의 인덕터와 3개의 가변 캐패시터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주파수 매칭 회로를 구성하는 인덕터 및 가변 캐패시터의 개수와, 그 결선 방법은 제조사의 설계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변 캐패시터의 개수가 변경되면, 그에 따라 통신 모뎀(220)에서 제공되는 전압 값들 또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무선 송수신 장치에 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송수신 장치(500)는 통신 모뎀(510), RF 신호 처리부(520), 광대역 송신 필터(530), 광대역 전력 증폭기 모듈(540), 광대역 듀플렉서(550), 프론트 엔드 모듈(560), 광대역 수신 필터(570) 및 안테나(580)를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통신 모듈(510) 및 전력 증폭기 모듈(54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이 상술한 도 2의 구성 요소들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 요소들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모뎀(510)은 현재 서비스 중인 이동통신망의 규격에 따라 기 설정된 방식의 채널 코딩, 변조 및 복조 등의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디지털 송/수신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 모뎀(510)은, 로밍 시, 네트워크 동기화 과정을 통해 해당 지역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전압 값(Va, Vb, Vc)을 메모리(또는 레지스터, 515)에서 읽어온다.
이러한 통신 모뎀(510)은,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I2C(Inter Integrated Circuit)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광대역 송신 필터(530), 광대역 전력 증폭기 모듈(540), 광대역 수신 필터(570) 및 광대역 듀플렉서(550)의 주파수 대역을 조정한다. 즉, 통신 모뎀(510)은,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모리(515)에서 읽어온 전압 값을 상기 광대역 송신 필터(530), 광대역 전력 증폭기 모듈(540), 광대역 수신 필터(570) 및 광대역 듀플렉서(550)에 각각 제공한다.
전력 증폭기 모듈(540)은 광대역 송신 필터(530)를 통해 출력되는 RF 신호를 송신 가능한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력 증폭기 모듈(540)은, 통신 모뎀(510)에서 제공되는 전압 값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는 주파수 매칭 회로(300)와,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포함한다. 이때, 주파수 매칭 회로(300)의 입력 포트(310)는 광대역 송신 필터(53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 포트(320)는 전력 증폭기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광대역 전력 증폭기 모듈(540)은, 하나의 전력 증폭기 및 주파수 매칭 회로를 통해 다중 대역의 송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장치는, 하나의 광대역 듀플렉서 및 광대역 송/수신 필터를 통해 다중 대역의 RF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해당 모듈을 초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의 개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200 : 무선 송수신 장치 210 : 통신 모뎀
220 : RF 신호 처리부 230 : 광대역 송신 필터
240 : 전력 증폭기 모듈 250 : 광대역 듀플렉서
260 : 프론트 엔드 모듈 270 : 광대역 수신 필터

Claims (7)

  1. 다중 대역의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광대역 송신 필터;
    상기 광대역 송신 필터에서 출력되는 RF 신호를 송신 가능한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 모듈;
    상기 다중 대역의 송신 신호를 다중 대역의 수신 신호와 분리하는 광대역 듀플렉서; 및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광대역 송신 필터 및 광대역 듀플렉서의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는 통신 모뎀을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듀플렉서에서 출력되는 다중 대역의 수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광대역 수신 필터를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송신 필터는, 상기 통신 모뎀에서 제공되는 전압 값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는 주파수 매칭 회로와 하나의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듀플렉서는, 송신 신호의 전송 라인에 위치한 하나의 송신 필터와 상기 통신 모뎀에서 제공되는 전압 값에 따라 송신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는 주파수 매칭 회로를 포함하고,
    수신 신호의 전송 라인에 위치한 하나의 수신 필터와 상기 통신 모뎀에서 제공되는 전압 값에 따라 수신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는 주파수 매칭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수신 필터는, 상기 통신 모뎀에서 제공되는 전압 값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는 주파수 매칭 회로와 하나의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인터페이스, I2C(Inter Integrated Circuit) 인터페이스 및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매칭 회로는, 인덕터와 가변 캐패시터로 구성된 LC 매칭 회로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
KR1020140010757A 2014-01-28 2014-01-28 무선 송수신 장치 KR20150089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757A KR20150089763A (ko) 2014-01-28 2014-01-28 무선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757A KR20150089763A (ko) 2014-01-28 2014-01-28 무선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763A true KR20150089763A (ko) 2015-08-05

Family

ID=5388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757A KR20150089763A (ko) 2014-01-28 2014-01-28 무선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97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1498A (zh) * 2016-03-02 2016-07-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手机射频性能测试方法
CN112953573A (zh) * 2021-01-28 2021-06-11 广州慧智微电子有限公司 一种射频前端架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1498A (zh) * 2016-03-02 2016-07-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手机射频性能测试方法
CN105791498B (zh) * 2016-03-02 2018-09-2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手机射频性能测试方法
CN112953573A (zh) * 2021-01-28 2021-06-11 广州慧智微电子有限公司 一种射频前端架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5202B1 (ko) 고조파 누설을 감소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갖는 무선 트랜시버
JP5902348B2 (ja) マルチバンド/マルチモード無線周波数(rf)フロントエンドのための統合デュプレクサに基づいたハイブリッド変圧器
US9124355B2 (en) Tunable notch filtering in multi-transmit applications
EP2938000A2 (en) Radio frequency circuit and mobile terminal
CN108288958B (zh) 低通滤波器
KR101420898B1 (ko) 다중 모드 광대역 무선통신 장치 및 방법
CN108023609B (zh) 多模多频的收发器、射频前端电路及应用其的射频系统
TW201607252A (zh) 旁通路徑之損失減少
CN105577259A (zh) 具有可变增益放大器的分集接收机前端系统
WO2008014029A2 (en) Re-configurable impedance matching and harmonic filter system
CN1917685A (zh) 多模式/多频带无线收发器
WO2013063938A1 (zh) 功率放大模块、多模射频收发器、双工器和多模终端
KR20080104380A (ko) 송신기, 전력 증폭기, 필터링 방법 및 송수신기
WO200914588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rf power transmission, modulation, and amplification
US91849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ime-division signals and frequency-division signals
KR20160039437A (ko) 트랜시버 및 그 트랜시버의 동작 방법
US20150358041A1 (en) Calibration and tuning for a tunable filter having adjustable inductance and capacitance
CN105577258A (zh) 具有开关网络的分集接收机前端系统
CN108880490B (zh) 应对多频段的功率放大模块
US20190036508A1 (en) Variable frequency filter, radio frequency front-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terminal
CN107863984B (zh) 收发模块
CN102404881A (zh) 双模射频收发装置、滤波装置和双模终端
US963462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ethod and power amplifier of the same
KR102215081B1 (ko) 송신 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송신기
EP3759823B1 (en) Front-end architecture of multiband ra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