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939B1 -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939B1
KR101205939B1 KR1020110025778A KR20110025778A KR101205939B1 KR 101205939 B1 KR101205939 B1 KR 101205939B1 KR 1020110025778 A KR1020110025778 A KR 1020110025778A KR 20110025778 A KR20110025778 A KR 20110025778A KR 101205939 B1 KR101205939 B1 KR 101205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shaft
main shaft
bevel gear
propell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175A (ko
Inventor
이태구
백광준
이동현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5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939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08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with provision for reversing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B63H2005/10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with drive shafts of second or further propellers co-axially passing through hub of first propeller, e.g. counter-rotating tandem propellers with co-axial drive shaf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선박용 추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 장치는, 전단은 동력부와 연결되고, 후단은 후방 프로펠러와 결합하는 주축; 선체 중 주축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주축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주축이 통과하도록 베이스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 1 중공축을 포함하는 선체 고정부; 외주면에 전방 프로펠러가 결합되고, 제 1 중공축이 통과하며, 주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 중공축; 및 전방 프로펠러와 후방 프로펠러 사이에 배치되어 주축이 회전할 때 제 2 중공축을 주축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베벨기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Propulsion apparatus for ship and Shi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이중 반전 프로펠러는 전방 프로펠러로부터 유출되는 회전 에너지를 전방 프로펠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후방 프로펠러로 회수하여 추진력으로 바꿈으로써, 높은 프로펠러 효율을 얻는 추진장치(이하, '이중 반전식 추진장치'라 함)이다.
종래의 이중 반전식 추진장치는 동축상에 배치된 주축과 중공축에 각각 후방 프로펠러 및 전방 프로펠러가 부착되고, 주축과 중공축이 유성기어장치에 의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이중 반전식 추진장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거대한 유성기어장치가 사용되어야 하는데,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선체의 선미부에서 거대한 유성기어장치를 설치할 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한편, 유성기어장치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유성기어장치를 전진 배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유성기어장치가 전진한 만큼, 중공축의 길이도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중공축의 길이가 증가하면, 중공축과 주축 사이에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윤활이 필요한 영역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축계 내부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수행하는 정렬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주축과 중공축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주축과 중공축 사이의 윤활막의 중앙부에서 전단이 발생하게 되어 윤활을 효과적으로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중공축의 길이를 줄이며 효과적인 윤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선박용 추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내부에 배치된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선체의 선미에 배치된 전방 프로펠러 및 후방 프로펠러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선박용 추진장치에 있어서, 전단은 동력부와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후방 프로펠러와 결합하는 주축; 상기 선체 중 상기 주축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주축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주축이 통과하도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 1 중공축을 포함하는 선체 고정부; 외주면에 상기 전방 프로펠러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중공축이 통과하며, 상기 주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 중공축; 및 상기 전방 프로펠러와 상기 후방 프로펠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축이 회전할 때 상기 제 2 중공축을 상기 주축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베벨기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베벨기어장치는, 상기 전방 프로펠러와 상기 후방 프로펠러 사이에서 상기 주축의 반경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 중공축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벨기어부; 상기 제 1 베벨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주축에 형성된 제 2 베벨기어부; 및 상기 제 1 베벨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 2 중공축에 형성된 제 3 베벨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박용 추진장치는 상기 전방 프로펠러와 상기 후방 프로펠러 사이의 이격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중공축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쓰러스트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주축의 외주면과 상기 제 1 중공축의 내주면 사이 그리고 상기 제 1 중공축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중공축의 내주면 사이에 윤활재 및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벨기어부는 일단이 상기 제 1 중공축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된 지지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중공축의 전단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제 2 중공축의 전단부가 수용되는 베이스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후방 프로펠러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노출된 주축의 후단부에 프로펠러 캡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 및 상기 선체에 설치된 상기 선박용 추진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후방 프로펠러와 결합된 주축과 전방 프로펠러와 결합된 제 2 중공축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베벨기어장치가 전방 프로펠러와 후방 프로펠러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거대한 유성기어장치를 선체 내부에 배치하던 종래 기술과 달리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방 프로펠러와 결합된 제 2 중공축의 길이가 종래 기술에 비해 짧아짐으로써, 제 2 중공축의 회전을 위한 윤활구간의 길이가 종래 기술에 비해 현저하게 짧아지게 되고, 축 정렬 작업도 용이해진다.
또한, 주축 및 제 2 중공축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주축 및 제 2 중공축 사이에 개재된 제 1 중공축이 위치 고정됨으로써 주축과 제 1 중공축 그리고 제 2 중공축과 제 1 중공축 사이의 윤활막의 전단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효과적인 윤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가 설치된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를 전방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의 분해사시도로서, 일부 구성 요소가 부분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가 설치된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를 전방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의 분해사시도로서, 일부 구성 요소가 부분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 및 도 3에서 우측은 전방을 좌측은 후방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10)는 선박(1)을 추진시키기 위한 추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선체(20) 내부에 배치된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선체(20)의 후미에 배치된 전방 프로펠러(40) 및 후방 프로펠러(60)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선박용 추진장치(10)는 주축(110)과, 제 1 중공축(133)과, 제 2 중공축(150)과, 전방 프로펠러(40)와, 후방 프로펠러(60)와, 베벨기어장치(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축(110)은 동력부(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후방 프로펠러(60)를 회전시킨다. 주축(110)의 전단은 동력부와 연결되고, 주축(110)의 후단은 후방 프로펠러(60)와 결합한다. 여기서, 동력부는 디젤 엔진, 터빈 또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방 프로펠러(60)는 도 2 및 3에서 알 수 있는 같이 주축(110)에 결합된 허브(61)와, 허브(6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날개(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후방 프로펠러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허브 없이 주축(11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축(110)은 다수의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선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주축(11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일부가 선체(20)의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20) 중 주축(110)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선체 고정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선체 고정부(130)는 주축(110) 및 후술하는 제 2 중공축(150)이 회전할 때 상대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베이스부(131)와 제 1 중공축(133)을 포함한다. 선체 고정부(130)는 베이스부(131)와 제 1 중공축(133)이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결합되거나 베이스부(131) 및 제 1 중공축(133)이 주물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등의 방법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선체 고정부(130)는 선체(20)의 선미부에 용접 결합되어 선미부와 일체가 될 수 있다.
베이스부(131)는 후술하는 제 2 중공축(1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이스부(131)가 선체(20)의 일부이기 때문에 제 2 중공축(150)이 베이스부(1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는 것은 선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베이스부(131)는 제 2 중공축(150)이 회전 할 때 제 2 중공축(150)의 축 방향의 하중을 받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중공축(150)의 축 방향은 주축(110)의 축 방향과 동일하다.
베이스부(131)와 제 2 중공축(150)의 전단부 사이에 쓰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121)이 개재될 수 있다. 쓰러스트 베어링(121)은 베이스부(131)가 제 2 중공축(1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동시에 제 2 중공축(150)의 축 방향의 하중을 받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베이스부(131)는 제 2 중공축(150)이 효과적으로 지지되도록 넓은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31)는 주축(110)이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즉, 베이스부(131)에는 주축(110)이 통과하는 관통홀(131a)이 형성된다.
베이스부(131)에는 후술하는 제 2 중공축(150)을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 수용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이스 수용부(134)는 제 2 중공축(150)이 주축(110)의 반경 방향으로 급격하게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131)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제 1 중공축(133)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중공축(133)은 전방 프로펠러(40)와 후방 프로펠러(60) 사이 영역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 1 중공축(133)은 주축(110)이 통과하도록 중공형상을 갖는다.
선체 고정부(130)를 통과하는 주축(110)이 회전할 때 주축(110)과 선체 고정부(13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윤활재(미도시) 및 베어링(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주축(110)이 제 1 중공축(133) 내에서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제 1 중공축(133)과 주축(110) 사이에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제 1 중공축(133) 내에서 주축(110)이 원할하게 회전하기 위해 주축(110)의 외주면과 제 1 중공축(133)의 내주면 사이에 윤활재가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주축(110)이 회전할 때 제 1 중공축(133)이 위치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윤활막의 전단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제 1 중공축(133)은 제 2 중공축(150)을 통과한다. 제 2 중공축(150)은 제 1 중공축(133)이 통과하도록 중공형상을 갖는다.
제 2 중공축(150)의 외주면에는 전방 프로펠러(40)가 결합된다. 제 2 중공축(150)은 후술하는 베벨기어장치(170)에 의해 주축(1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전방 프로펠러(40)는 후방 프로펠러(6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프로펠러(40)는 도 2 및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중공축(15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허브(41)와, 허브(4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날개(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방 프로펠러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허브 없이 제 2 중공축(15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2 중공축(150)은 주축(110)의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가 베이스부(1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2 중공축(150)이 베이스부(131)에 대해 회전할 때 제 2 중공축(150)과 제 1 중공축(133)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윤활재(미도시) 및 베어링(미도시)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중공축(133)의 외주면과 제 2 중공축(150)의 내주면 사이에 윤활재 및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제 1 중공축(133)과 제 2 중공축(150) 사이에 윤활재가 개재되는 경우, 제 2 중공축(150)이 회전할 때 제 1 중공축(133)이 위치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윤활막의 전단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전방 프로펠러(40)와 결합되고 주축(11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중공축(150)은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중공축과 대응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공축은 길게 연장된 주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주축과 중공축 사이의 윤활영역이 증가하며 축 정렬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10)는 베이스부(131)로부터 전방 프로펠러(40) 및 후방 프로펠러(60) 사이 영역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그 길이가 종래 기술의 중공축에 비해 현저하게 짧아지게 되고 종래 기술에 비해 윤활영역이 짧아지고, 축 정렬 작업도 보다 용이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주축(110)과 제 2 중공축(150)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베벨기어장치(170)가 사용된다. 베벨기어장치(170)는 전방 프로펠러(40)와 후방 프로펠러(60) 사이에 개재된다.
이와 같이 주축(110)과 제 2 중공축(150)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베벨기어장치(170)가 전방 프로펠러(40)와 후방 프로펠러(6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거대한 유성기어장치를 선체(20) 내부에 배치하던 종래 기술과 달리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벨기어장치(170)는 제 1 베벨기어부(171)와 제 2 베벨기어부(173)와 제 3 베벨기어부(175)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제 1 베벨기어부(171)는 전방 프로펠러(40)와 후방 프로펠러(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베벨기어부(171)는 주축(110)의 반경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 1 중공축(133)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벨기어부(171)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복수의 제 1 베벨기어부(171)가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제 1 베벨기어부(171)는 제 1 중공축(133)의 외주면 상에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 1 중공축(133)의 외주면에는 주축(110)의 반경 방향 또는 제 1 중공축(133)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봉(141)의 일단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지지봉(141)은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지지봉(141)에 제 1 베벨기어부(17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베벨기어부(171)가 지지봉(141)을 중심으로 원할하게 회전하도록 와셔(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지지봉(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베벨기어부(171)가 회전 중 지지봉(1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는 지지봉(141)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베벨기어부(171)가 회전 중 지지봉(141)의 타단을 통해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예를 들어, 이탈 방지부는 후술하는 커버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80)는 전방 프로펠러(40)와 후방 프로펠러(60) 사이의 갭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봉(141)의 타단이 커버부(18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베벨기어부(171)는 제 2 베벨기어부(173)와 맞물린다. 제 2 베벨기어부(173)는 제 1 베벨기어부(171)의 후방에서 주축(110)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베벨기어부(173)는 주축(110)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주축(110)의 회전에 의해 제 2 베벨기어부(173)가 회전하면 제 1 베벨기어부(171)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 1 베벨기어부(171)는 제 3 베벨기어부(175)와 맞물린다. 제 3 베벨기어부(175)는 제 1 베벨기어부(171)의 전방에서 주축(110)의 축 방향 또는 제 2 중공축(150)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베벨기어부(175)는 제 2 중공축(15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3 베벨기어부(175)는 제 2 베벨기어(173)에 대향하는 제 2 중공축(150)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베벨기어부(171)의 회전에 의해 제 3 베벨기어부(175)가 회전하면 제 2 중공축(150)이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제 2 중공축(150)은 주축(110)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베벨기어장치(170)는 주축(110)과 제 2 중공축(15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후방 프로펠러(60)와 전방 프로펠러(40)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 1 베벨기어부(171)가 제 2 베벨기어부(173) 및 제 3 베벨기어부(173)와 맞물려 회전하기 위해서는 제 1 베벨기어부(171)가 제 2 베벨기어부(173) 및 제 3 베벨기어부(175)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베벨기어부(171)와 제 1 중공축(133) 사이 그리고 제 1 베벨기어부(171)와 커버부(180) 사이에 와셔 등이 개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는 커버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80)는 전방 프로펠러(40)와 후방 프로펠러(6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커버부(18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180)는 전방 프로펠러(40)의 후류가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바로 후방 프로펠러(60)로 유입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커버부(180)는 전방 프로펠러(40)와 후방 프로펠러(60) 사이에 배치된 베벨기어장치(170), 즉 제 1 베벨기어부(171), 제 2 베벨기어부(173) 및 제 3 베벨기어부(175)로 해수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베벨기어장치(170)로 공급되는 윤활재를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8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베벨기어부(171)가 지지봉(1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프로펠러(60)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노출된 주축(110)의 후단부에 프로펠러 캡(8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축(110)과 결합된 후방 프로펠러(60)가 주축(11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펠러 캡(80)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주축(110)의 후단과 결합되거나 용접에 의해 주축(110)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중공축(150)의 전단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는 제 2 중공축(150)과 베이스부(131)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다. 이 경우, 제 2 중공축(150)이 주축(110)의 축 방향으로 베이스부(131) 또는 선체(20)에 가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부와 베이스부(131) 사이에 쓰러스트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31)에 제 2 중공축(150)의 전단부가 수용되는 베이스 수용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이스 수용부(134)는 제 2 중공축(150)이 주축(110)의 반경방향 또는 제 2 중공축(150)의 반경방향으로 급격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베이스 수용부(134)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 2 중공축(150)의 전단부와 쓰러스트 베어링(121)이 해수에 노출되지 않도록 베이스 수용부(134)의 입구에 실링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1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동력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된 동력은 주축(110)을 통해 후방 프로펠러(60)로 전달된다. 이 경우, 후방 프로펠러(60)는 주축(110)과 함께 회전한다. 이때, 주축(110) 및 후방 프로펠러(60)가 후방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하자.
주축(110) 및 후방 프로펠러(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주축(110)의 회전력은 제 2 베벨기어부(173), 제 1 베벨기어부(171) 및 제 3 베벨기어부(175)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제 2 중공축(150)으로 전달되어 제 2 중공축(150)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 2 중공축(150)에 결합된 전방 프로펠러(4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선박용 추진장치
20 : 선체
40 : 전방 프로펠러
60 : 후방 프로펠러
80 : 프로펠러 캡
110 : 주축
130 : 선체 고정부
131 : 베이브부
133 : 제 1 중공축
150 : 제 2 중공축
170 : 베벨기어장치
171 : 제 1 베벨기어부
173 : 제 2 베벨기어부
175 : 제 3 베벨기어부

Claims (10)

  1. 선체 내부에 배치된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선체의 선미에 배치된 전방 프로펠러 및 후방 프로펠러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선박용 추진장치에 있어서,
    전단은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후방 프로펠러와 결합하는 주축;
    상기 선체 중 상기 주축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주축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주축이 통과하도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 1 중공축을 포함하는 선체 고정부;
    외주면에 상기 전방 프로펠러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중공축이 통과하며, 상기 주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 중공축; 및
    상기 전방 프로펠러와 상기 후방 프로펠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축이 회전할 때 상기 제 2 중공축을 상기 주축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베벨기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장치는,
    상기 전방 프로펠러와 상기 후방 프로펠러 사이에서 상기 주축의 반경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 중공축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벨기어부;
    상기 제 1 베벨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주축에 형성된 제 2 베벨기어부; 및
    상기 제 1 베벨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 2 중공축에 형성된 제 3 베벨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3. 제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로펠러와 상기 후방 프로펠러 사이의 이격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공축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쓰러스트 베어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의 외주면과 상기 제 1 중공축의 내주면 사이 그리고 상기 제 1 중공축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중공축의 내주면 사이에 윤활재 및 베어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벨기어부는 일단이 상기 제 1 중공축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된 지지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공축의 전단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제 2 중공축의 전단부가 수용되는 베이스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프로펠러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노출된 주축의 후단부에 프로펠러 캡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10. 선체; 및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를 포함하는선박.
KR1020110025778A 2011-03-23 2011-03-23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205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78A KR101205939B1 (ko) 2011-03-23 2011-03-23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78A KR101205939B1 (ko) 2011-03-23 2011-03-23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75A KR20120108175A (ko) 2012-10-05
KR101205939B1 true KR101205939B1 (ko) 2012-11-28

Family

ID=4727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778A KR101205939B1 (ko) 2011-03-23 2011-03-23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9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095A (ja) 1983-07-11 1985-01-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分岐・插入回路
US4642059A (en) 1983-07-18 1987-02-10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Marine contra-rotating propeller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095A (ja) 1983-07-11 1985-01-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分岐・插入回路
US4642059A (en) 1983-07-18 1987-02-10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Marine contra-rotating propell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75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9786A1 (en) Counter-Rotating Integrated Propeller Assembly
JP5384787B2 (ja) 水上船舶用の推進システム
KR101313616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US9017119B2 (en) Ship propulsion device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1205949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205939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EP2722269B1 (en) Propulsion device for ship and ship having same
KR20160116224A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1302982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390833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454615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571423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313612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247775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236762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20120134302A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390820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20120138448A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20120135662A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20160116227A (ko) 선박용 추진장치
KR20120134306A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20120137991A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그 설치방법과 이를 갖춘 선박
KR20120135576A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20120135582A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