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823B1 - Deck assembly with enhanced openness, lining assembly with reinforced rigidity and openness by integrating girder and the same, tempora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having the lining assembly - Google Patents

Deck assembly with enhanced openness, lining assembly with reinforced rigidity and openness by integrating girder and the same, tempora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having the lining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823B1
KR101205823B1 KR1020120055514A KR20120055514A KR101205823B1 KR 101205823 B1 KR101205823 B1 KR 101205823B1 KR 1020120055514 A KR1020120055514 A KR 1020120055514A KR 20120055514 A KR20120055514 A KR 20120055514A KR 101205823 B1 KR101205823 B1 KR 101205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assembly
transverse frame
shape
longitudinal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박상현
위드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현, 위드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상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8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PURPOSE: A deck assembly with enhanced openness, a lining assembly with enhanced rigidity and openness by integrating a girder with the same, a temporary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with the lining assembly are provided to reduce material costs by enabling the repetitive reuse of members. CONSTITUTION: A deck assembly with enhanced openness comprises two horizontal frames(110), vertical ribs(120), and a deck(130). Multipl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fram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vertical ribs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of the horizontal frames. The deck is installed on the tops of the vertical ribs. The bottom surface of the deck assembly is open by the latticed arrangement of the horizontal frames and the vertical ribs.

Description

개방성이 향상된 복공체, 복공체와 주형의 일체화로 단면강성 및 개방성이 증대된 복개조립체, 복개조립체를 포함한 가설구조물 및 시공방법{Deck assembly with enhanced openness, lining assembly with reinforced rigidity and openness by integrating girder and the same, tempora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having the lining assembly}Deck assembly with enhanced openness, lining assembly with reinforced rigidity and openness by integrating girder and the same, tempora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having the lining assembly}

본 발명은 복개를 위한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설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방향으로 설치된 주형들 상부에 격자형태로 횡프레임이 설치되고, 이웃한 횡프레임에 종리브의 양단부가 각각 안착되면서 격자형태로 종리브가 설치되며, 종리브의 상면에 상판이 설치됨으로써, 단면강성이 증대되면서 시공을 위한 측면 및 하면의 개방성이 확보되고, 각 구성요소들 상호 간의 제작 및 해체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개방성이 향상된 복공체, 복공체와 주형의 일체화로 단면강성 및 개방성이 증대된 복개조립체, 복개조립체를 포함한 가설구조물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the abdomen and a hypothetical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he horizontal frame is installed in a grid form on the mold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ribs are respectively seated on the adjacent horizontal frame The longitudinal ribs are installed in the form of a grid, and the upper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ribs, there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rigidity, ensuring the openness of the side and the lower surface for construction, and smoothly manufacturing and dismantling the compone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opening property of a porous body, an integrated assembly of a cavity and a mold, and an assembly of an abdominal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including an enlarged cross section rigidity and an opening property.

일반적으로 복공거더가 설치되는 가설구조물 및 지하 가시설 구조물은 공사용 작업교나 우회 구조물, 긴급 재해복구 구조물, 긴급 재해복구 구조물, 긴급 군용 구조물, 지하구조물 시공과 관련하여 지반을 개착하고 차량을 소통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 가설구조물 및 가시설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가설벤트, 주형 및 도로의 바닥면을 이루는 복공체가 포함되고, 그 목적의 특성상 빠른 시공성과 더불어 안전성이 요구된다. In general, temporary structures and underground temporary structures in which ventilated girders are installed include groundwork and communication of vehicles in connection with construction bridges, bypass structures, emergency disaster recovery structures, emergency disaster recovery structures, emergency military structures, and underground structures. The structure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These temporary structures and temporary structures typically include a ventilating body, a mold, and a porous body that forms the bottom of a road, and the safety and the fast construction are requir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rpose.

여기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0426440호에 개시된 종래의 복공판(1)은 도 1에서와 같이, 측판(2), 다수의 단위부재(3) 및 격벽(4)이 구비되었다. 여기서, 격벽(4)은 측판들 사이에 설치되어 단위부재(3)를 지지하도록 설치되었다. Here,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1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0422440 is provided with a side plate 2, a plurality of unit members 3, and a partition wall 4, as shown in FIG. Here, the partition wall 4 is installed between the side plates to support the unit member (3).

하지만, 단위부재(3)들 간의 결합 및, 격벽, 단위부재(3) 및 측판(2) 등의 상호 결합을 위해 장시간의 용접작업이 요구되었고, "ㄴ"자 형으로 절곡된 측판(2)의 저면이 복공판(1)의 중앙을 향하고 있어 격벽을 용접할 때 용접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성 저하 및 용접 품질의 불량을 야기하였다. 또한, 단위부재(3) 및 측판(2)의 전체길이에 대해 용접하여야 하므로 용접량 및 작업시간이 길어졌다. 또한, 복공판(1)의 조립시 격벽 설치 후 측판(2)을 결합하는 공정 순서를 반드시 지켜야하는 공정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 long time welding operation is required for the coupling between the unit members 3 and the mutual coupling of the partition wall, the unit member 3 and the side plate 2 and the like, and the side plate 2 bent in a “b” shape. The bottom surface of the faced toward the center of the perforated plate 1, the welding space was narrow when welding the partition wall, causing workability deterioration and poor welding quality. In addition, the welding amount and the working time are long because the entire length of the unit member 3 and the side plate 2 should be weld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e process that must follow the process sequence of coupling the side plate 2 after the partition wall installation when the perforated plate 1 is assembled.

한편, 종래의 제1실시예(국내등록특허 제0939484호)로 가설구조물(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이웃한 가설벤트(11)의 상부에 양단부가 안착되도록 다수의 주형(12)이 설치되고, 이웃한 주형(12)에 격자형상의 가로보조립체(13)가 설치되며, 가로보조립체(13)에 양단부가 걸치도록 다수의 복공판(14)이 설치되었다. 이때, 실제 복공판(14)의 길이가 대략 2m 이므로 가로보(13a)의 간격 역시 2m 간격으로 촘촘히 설치되었다. 여기서, 가로보조립체(13)는 격자형상으로 결합된 다수의 "H"형상의 가로보(13a)와 패널형상의 보강판(13b)이 포함되었고, 보강판(13b)은 주형(12)의 상부플랜지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볼팅체결되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ior art (National Patent No. 0939484), as shown in Figures 1 to 4, as shown in Figures 1 to 4, a plurality of mold ( 12) is provided, the grid-shaped cross-assembly assembly 13 is installed in the neighboring mold 12, and a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14 are provided so that both ends are extended to the cross-assembly assembly 13. At this time, since the actual length of the perforated plate 14 is approximately 2m, the spacing of the horizontal beams 13a was also closely installed at 2m intervals. Here, the cross-assembly assembly 13 includes a plurality of "H" -shaped cross beam 13a and panel-shaped reinforcement plate 13b coupled in a grid shape, the reinforcement plate 13b is the upper flange of the mold 12 Bol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하지만, 구조물(10)의 주축 방향 단면강성은 주형(12)의 길이방향에 대해 설계하중 하에서 주로 저항하는 성질인 반면, 횡방향강성은 그 역할이 하중을 분배하는기능일 뿐이다. 따라서, 주형(12)의 상부플랜지 상면에 장착된 보강판(13b)의 단면강성은 전혀 기대할 수 없고, 이웃한 주형(12)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치된 가로보(13a)의 단면강성 역시 구조물(10)의 주축 방향 단면강성에는 전혀 기여하지 않았다. 또한, 가로보조립체(13)가 복공판(14)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더라도 주형(12)이 지지해야하는 총 하중은 변함이 없이 유지되었다. 이로 인해, 복공판(14)을 횡으로 설치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가로보(13a)가 설치되므로 가로보(13a)의 개수가 증가하면서 하중 부담이 더욱 커지고, 시공이 복잡해지며 공사비가 과다해졌다. 또한, 복공판(14)과 주형(12)은 일체로 결합되지 않고, 가로보조립체(13)는 주형(12)의 단면강성에 전혀 기여하지 않으면서 오히려 강재중량을 증가시켜 설계하중을 증대시키며, 이로 인해 주형(120)의 내구성을 약화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설구조물의 특성상 사용기간이 끝난 후, 해체하여 재사용해야 하는데, 종래의 제1실시예는 많은 부재들의 연결과 그 연결된 공간이 폐합되어 있어 실상 해체과정에서 연결된 부위의 많은 부재들의 일부위를 절단해서 해체할 수밖에 없어 많은 손실이 발생하는 등의 다른 문제점도 있었다. However, while the axial stiffness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10 is a property that mainly resists the design direction agains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ld 12, the lateral stiffness is only a function of distributing the load. Therefore, the cross-sectional rigidity of the reinforcing plate 13b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of the mold 12 can not be expected at all, and the cross-sectional rigidity of the cross beam 13a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neighboring mold 12 is also a structure ( It did not contribute to the axial stiffness of the main axis of 10) at all. In addition, even if the cross-assembly assembly 13 distributes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perforated plate 14, the total load that the mold 12 should support was maintained unchanged. Therefore, since a plurality of cross beams 13a are installed in order to prevent the detachment while installing the perforated plate 14 laterally, the number of the cross beams 13a increases, the load burden becomes larger, the construction becomes complicated, and the construction cost becomes excessive. In addition, the perforated plate 14 and the mold 12 are not integrally coupled, the cross-assembly assembly 13 does not contribute to the cross-sectional rigidity of the mold 12, but rather increases the steel weight to increase the design load, thereby Due to this, there was a problem of weakening the durability of the mold 120.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temporary structure, after the end of the period of use, it must be dismantled and reus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lated art, the connection of many members and their connected spaces are closed so that a part of many members of the connected parts are actually removed during the dismantling process. There were other problems, such as cutting and dismantling, resulting in many losses.

또한, 종래의 제2실시예(국내등록특허 제0911451호)로 가설구조물(20)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이웃한 가설교각(21)에 설치된 다수의 메인거더(22)가 상호 결합되어 설치되고, 이웃한 메인거더(22)에 다수의 합성가설구조물용 구조체(23)가 설치되어 이루어졌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No. 0911451), the temporary structure 20 has a plurality of main girders 22 installed in the neighboring temporary pier 21 as shown in FIGS. 5 and 6. Coupled and installed, a plurality of synthetic temporary structure structure 23 is installed in the adjacent main girder (22).

또한, 합성가설구조물용 구조체(23)는 종리브판(24), 마감판(25) 및 대형복공판(26)이 포함되어 이루어졌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23 for the synthetic temporary structure was made to include a longitudinal rib plate 24, the finishing plate 25 and the large-sized recovery plate 26.

종리브판(24)은 메인거더(22)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받침판(27)에 입상(立像)으로 설치되었다. 또한, 종리브판(24)의 상부에는 다수의 결합홈(24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었다. The longitudinal rib 24 was installed in a granular shape on the support plate 27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girder 22.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4a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ribs 24.

하지만, 대형복공판(26)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메인거더(22)의 상부에 설치된 종리브판(24)에서 분담되지 않은 상태로 고스란히 메인거더(22)에 직접 전달되고, 이로 인해 하중은 물론 종리브판(24)을 포함한 다수의 부재를 지지해야하는 메인거더(22)의 하중 부담이 더욱 커졌다. 또한, 종리브판(24)을 전체 길이에 대해 용접하여야하기 때문에 용접량 및 작업시간이 길어졌다. 또한, 메인거더(22)의 상면에 받침판(27)과의 결합 및, 메인거더(22)들 간의 결합을 위해 다수의 볼트구멍(22a)이 형성되므로 메인거더(22) 자체의 단면적 손실이 크게 발생하였다. 또한, 대형복공판(27)의 양측면이 종리브판(24)에 의해 폐쇄되므로 대형복공판(27)을 연이어 설치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였다. 또한, 대형복공판(27)의 양측면이 폐쇄되므로 종리브판(24)의 결합홈(24a)에 끼워진 "ㄷ"자 형상의 형강과, 종리브판(24)의 접합이 실상 불가하여 전혀 시공실적이 없었고, 또한 가설구조물의 특성상 사용기간이 끝난 후 해체하여 재사용해야 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종래의 제2실시예는 많은 부재들의 연결과 그 연결된 공간이 폐합되어 있어 실상 해체 과정에서 연결부위의 부재들 일부위를 절단하여야 하기에 부재의 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밖에 없어 실질적인 시공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large-sized recovery plate 26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ain girder 22 without being shared in the longitudinal rib 24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girder 22, and thus the load as well as the longitudinal rib plate. The load burden on the main girder 22, which must support a large number of members, including 24, was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longitudinal rib 24 has to be welded for the entire length, the welding amount and the working time are long.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bolt holes 22a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girder 22 for coupling with the support plate 27 and coupling between the main girder 22, the cross-sectional loss of the main girder 22 itself is greatly increased. Occurred. In addition, since both sides of the large-sized plate 27 are closed by the longitudinal ribs 24,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install the large-sized plate 27 in succession. In addition, since both sides of the large-sized reinforcing plate 27 are closed, the joining of the “c” shaped steel and the longitudinal rib plate 24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4a of the longitudinal rib plate 24 is not practical.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ismantling and reusing after the end of the service period due to the nature of the temporary structur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related art is that the connection of many members and their connected spaces are closed so that a part of the members of the connection part is actually removed during the dismantl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tual construction is impossible because the loss of the member to be greatly generated to be cut.

또한, 종래의 제3실시예(국내등록특허 제0932105호)로 가설구조물(30)은 도 7에서와 같이, "H"형상의 스틸플레이트(31)의 상부에 "ㄷ"형상의 측판(32)이 설치되고, 측판(32)의 상부에 평판(33)이 설치되며, 평판(33)의 하면에 대략 "∨"형상의 보강채널(34)이 일체로 구비되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No. 0932105), the temporary structure 30 has a "c" shape side plate 32 on the "H" shape steel plate 31, as shown in FIG. ) Is installed, the flat plate 33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plate 32, the reinforcing channel 34 of the substantially "∨" shape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plate 33.

하지만, 측판(32)이 스틸플레이트(31)에 길이방향으로 볼트 체결 또는 용접되어야 하므로 장시간이 작업이 필요함은 물론, "ㄷ"자 형상의 측판(32)이 스틸플레이트(31)의 길이 방향으로 측면을 폐쇄하도록 배치되므로, 제작시 하부공간에서 조립하거나 또는 스틸플레이트(31)와 평판(33)을 뒤집어 제작한 후 다시 원위치 복귀시켜야하는 등 제작과정의 복잡함으로 제작시간 및 제작비용이 상승하였고, 연결된 공간의 폐쇄성으로 인해 해체시 각 부재들을 분리하는 과정에서의 시공상 어려움으로 공사비용이 상승하였다.However, since the side plate 32 has to be bolted or welded to the steel plate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long time is required, as well as the "c" shaped side plate 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31. Since it is arranged to close the side, the production time and production costs have increased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assembly in the lower space during the production, or to turn back to the original after the steel plate 31 and the plate 33 are turned upside down, Due to the closedness of the connected space,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d due to the difficulty in separating each member during dismantling.

한편, 종래의 제4실시예로 가설구조물(30)은 현재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구조로, 도 8을 보면 "I"형거더(41)의 상부에 다수의 복공판(42)이 구조물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orary structure 30 is currently generally constructed. 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42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I” type girder 4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tructure. Installed.

하지만, 다수의 복공판(42)을 설치함에 따라 제작비용이 상승하였다. 또한, I형 거더(41) 상부에 복공판(42)을 설치하는 구조는 결과적으로 I형 거더(41)의 높이(h1)와 복공판(42)의 높이(h2)가 그대로 가설구조물(40)의 형고(h3)가 높게 구축되기 때문에 형고의 높이가 낮게 요구되는 작업 현장에서는 설치하지 못하였다. 또한, 보다 더 강한 단면강성을 요구하기 위해서는 더 높은 형고(h3)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s the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42 are installed, manufacturing costs have increased.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porous plate 42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type girder 41, as a result, the height h1 of the I-type girder 41 and the height h2 of the double-hole plate 42 remain unchanged. Due to the high construction height (h3), it was not possible to install on the job site where the height of the mold is low.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higher mold height (h3) is required in order to require a stronger cross-sectional rigidity.

KR0426440 20KR0426440 20 KR0939484 10KR0939484 10 KR0911451 10KR0911451 10 KR0932105 10KR0932105 10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횡프레임, 종리브 및 상판이 볼팅체결과 용접의 병행으로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감소되고, 구조물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종리브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며, 횡프레임들과 종리브들이 격자 배치에 의한 하면 개방성은 물론, 종리브가 횡프레임의 끝단으로부터 횡프레임의 중앙부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여 결합됨으로써 횡프레임들 사이에 형성된 측면 개방성이 확보되도록 한 개방성이 향상된 복공체를 제공함에 있다.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ransverse frame, the longitudinal ribs and the top plate is made in parallel with the bolting conduit and welding, reducing the working time, the load is supported by the longitudinal rib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In addition, when the horizontal frames and the longitudinal ribs ar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by lattice arrangement, the longitudinal ribs are moved by a certain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us the openness is secured to secure the side openness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frames. In providing a porous body.

또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개방된 측면 및 하면을 통해 개방성이 향상된 복공체가 단위체로 제작되어 주형과 일체로 결합되고, 주형과 횡프레임이 개방된 측면 또는 하면을 통해 볼팅체결로 손쉽게 결합 또는 해체됨으로써, 주형 및 종리브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어 단면강성이 증대되고, 복공체와 주형의 일체 결합에 의한 일체거동으로 단면강성이 더욱 증대되며, 측면 및 하면 개방성이 수반되도록 한 복공체와 주형의 일체화로 단면강성 및 개방성이 증대된 복개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ous body is improved to be opened through the open side an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as a unit and combined with the mold integrally, easily coupled or bolted through the open side or bottom of the mold and the transverse frame By dismantling, the load is supported by the mold and the longitudinal rib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rigidity, and the cross-sectional rigidity is further increased by the integral behavior by integrally combining the porous body and the mold. It is to provide a cover assembly with increased cross-sectional rigidity and openness by integration.

또한, 본 발명의 제3목적은 가설벤트에 주형, 횡프레임, 종리브가 포함된 복개조립체가 설치됨으로써, 개방된 하면 공간을 통해 가설벤트와 주형이 볼팅체결 및 용접 등으로 손쉽게 결합 및 해체가 이루어지면서 복공체 및 주형 등을 반복 재사용할 수 있도록 된 복개조립체를 포함한 가설구조물 및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mold assembly, the transverse frame, longitudinal ribs are installed in the temporary vents, through the open bottom space, the temporary vents and molds are easily coupled and dismantled by bolting and welding, etc.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mporary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including an abdominal assembly, which can be reused repeatedly, such as a perforated body and a mol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공체와 주형의 일체화된 복개조립체는, 길이방향으로 결합홈이 다수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횡프레임;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결합홈에 끼워져 격자형태로 설치된 종리브; 및 종리브의 상부에 설치된 상판;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그리고 횡프레임과 종리브의 격자 배치로 인해 하면이 개방되고, 최외측에 배치된 종리브의 측면형상의 중심선(C)이 횡프레임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L)를 갖도록 설치되어 횡프레임들 사이의 공간이 외부와 통하여 측면이 개방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tegrated abdominal assembly of the perforated body and th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least two horizontal fram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Longitudinal rib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nd fitted in the coupling grooves and installed in a grid shape; And an upper plate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ribs, and the lower surface is opened due to the lattice arrangement of the transverse frames and the longitudinal ribs, and the centerline C of the lateral shape of the longitudinal ribs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s fixed from the end of the transverse frame. It is installed to have a distance (L)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is open to the side through the outside.

여기서, 횡프레임 또는 종리브는 측면형상이 "ㅗ"자 형상, "I"자 형상, "L"자 형상, "T"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 또는 "│"자 형상이다. Here, the lateral frame or longitudinal rib has a "ㅗ" shape, an "I" shape, an "L" shape, a "T" shape, or a "c" shape or a "│" shape.

또한, 상판은 종리브의 상면에 접촉되어 설치되고, 그리고 결합홈에 종리브가 하향 끼워지고, 종리브의 상면이 횡프레임의 상면보다 더 높게 위치되어 상판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종리브에 의해 지지되고, 횡프레임에 의해 분산된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rib, and the longitudinal rib is fitted downward in the coupling groove,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rib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frame so that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plate is supported by the longitudinal rib, and the transverse frame Is dispersed by.

또한, 종리브의 하단은 횡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rib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transverse frame by a certain height.

또한, 횡프레임들 사이에 설치되어 양단부가 횡프레임에 결합되고, 측면형상이 "ㅗ"자 형상, "I"자 형상, "L"자 형상, "T"자 형상, "│"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이고, 횡프레임의 하부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된 거치부재;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In addition, it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transverse frame, the side shape is "ㅗ" shape, "I" shape, "L" shape, "T" shape, "│" shape or The "c" shape, the mounting member spaced apart by a certain heigh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verse frame; further compris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개조립체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주형; 및 주형의 상부에 설치된 복공체;가 포함되고, 그리고 복공체의 개방된 하면 및 측면을 통해 주형과 횡프레임이 일체로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bdomin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two mold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perforated bod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ld, and the mold and the transverse frame are integrally fixed through the open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perforated body.

또한, 횡프레임의 단부는 최외측 주형의 상면 일부위에 안착되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transverse frame is seated and fix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most mol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은 복개조립체; 복개조립체들 사이이면서 주형의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부가 안착되어 설치된 복공판;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hypothesis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bdominal assembly; It includes between the cover assembly and the perforated plate is installed with the en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of the mold.

또한, 주형의 상부플랜지 상면에는 복개조립체의 횡프레임의 단부와 복공판의 단부가 안착되어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transverse frame and the end of the perforated plate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of the mold assembl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주형; 및 주형의 상부에 복공판을 배제한 채 사방으로 연속설치된 적어도 2개인 복공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그리고 복공체에서 격자배치로 개방된 하면 및, 종리브의 하단과 횡프레임의 하단 간의 이격으로 개방된 측면을 통해 주형과 횡프레임이 일체로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empor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two mold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at least two perforated bodies continuously installed in all directions excluding the perforated plate on the upper part of the mold, and including a lower surface opened by lattice arrangement in the perforated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longitudinal ribs and the bottom of the transverse frame. Through the side, the mold and the transverse frame are integrally fixed.

또한, 주형의 상부플랜지 상면에는 상호 이웃한 복공체의 횡프레임 단부들이 안착되어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transverse upper ends of the molds are seat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of the mold.

또한, 주형들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결합된 부위이면서 횡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된 현장이음데크;가 더 포함되고, 그리고 현장이음데크는 횡프레임, 종리브 및 상판을 포함한 복공체로 제작된다. In addition, the mold joints are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ite joint deck is installed interposed between the transverse frame; further includes, and the field joint deck is made of a perforated body including a transverse frame, longitudinal ribs and top plate.

또한, 복개조립체의 주형들 사이에 위치하여 횡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지지빔;이 더 포함되고, 그리고 지지빔은 주형들의 복부를 연결하여 설치된 제2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2지지부재의 단부는 주형의 복부에 높이방향으로 고정된 제2결합부재에 고정된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eam positioned between the molds of the abdomen assembly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verse frame, and the support beam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installed by connecting the abdomen of the molds. The end of the support member is fixed to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fixed in the height direction to the abdomen of the mol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횡프레임들과 종리브들이 격자형태로 결합되면서 최외측 종리브의 측면 형상의 중심선(C)이 횡프레임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L)를 갖도록 설치되고, 종리브의 하단과 횡프레임의 하단 사이에 일정 높이가 이격되어 설치되며, 종리브의 상부에 상판이 설치되어 하면 및 측면이 개방되도록 복공체를 제작하는 제1단계(S10); 지반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가설벤트의 상부에 적어도 2개의 주형을 구조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제2단계(S20); 최외측 주형의 상면 중 일부위에 횡프레임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주형의 상부에 적어도 2개의 복공체를 설치하는 제3단계(S30); 주형의 연결부위이면서 횡프레임 사이에 현장이음데크를 개재하여 설치하는 제4단계(S40); 주형과 복공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복개조립체 사이이면서 주형의 상면 중 잔여 부위에 단부가 고정되도록 복공판을 개재하여 설치하는 제5단계(S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Meanwhile, in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tempor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lines and longitudinal ribs are combined in a lattice shape such that the center line C of the side shape of the outermost longitudinal rib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L from the horizontal frame end. The first step (S10) is installed, the predetermined height is spaced apart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ribs and the lower end of the transverse frame, the upper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ngitudinal ribs so that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are opened; A second step (S20) of installing at least two mold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on top of at least two temporary vents installed on the ground; A third step (S30) of installing at least two perforated bodies on the upper part of the mold such that the end of the transverse frame is fix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most mold; A fourth step (S40) of installing the connection part of the mold via a field joint deck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And a fifth step (S50) installed between the at least two abdominal assemblies including the mold and the perforated body via the perforated plate so that the end is fixed t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다른 방법에 있어서, 주형들, 횡프레임들 및 종리브들이 격자형태로 결합되면서 최외측 종리브의 측면 형상의 중심선(C)이 횡프레임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L)를 갖도록 설치되고, 종리브의 하단과 횡프레임의 하단 사이에 일정 높이가 이격되어 설치되며, 종리브의 상부에 상판이 설치되고, 횡프레임이 상부에 격자형태로 결합되도록 적어도 2개의 주형이 설치되면서 횡프레임의 단부가 주형의 상면 중 일부위에 고정되어 하면 및 측면이 개방되도록 복개조립체를 제작하는 제10단계(S100); 지반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가설벤트의 상부에 적어도 2개의 복개조립체를 설치하는 제20단계(S200);주형의 연결부위이면서 횡프레임 사이에 현장이음데크를 개재하여 설치하는 제30단계(S300); 이웃한 복개조립체 사이이면서 주형의 상면 중 잔여 부위에 단부가 고정되도록 복공판을 개재하여 설치하는 제40단계(S4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Meanwhile, in another method for constructing a tempor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molds, the transverse frames, and the longitudinal ribs are combined in a lattice form, the centerline C of the side shape of the outermost longitudinal rib i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transverse frame). It is installed to have L), the predetermined height is spaced apart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rib and the lower end of the transverse frame, the upper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rib, at least two molds are installed so that the transverse frame is combined in a grid form on the upper side A tenth step (S100) of manufacturing an abdominal assembly such that an end of the transverse frame is fix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 and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are opened; A twenty step (S200) of installing at least two abdominal assemblies on an upper portion of the at least two temporary vents installed on the ground; a thirty step (S300) of installing a connection part of the mold via a field joint deck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40 steps (S400) between the adjacent abdominal assembly and installed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so that the end is fixed t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에 있어서, 횡프레임들과 종리브들이 격자형태로 결합되면서 최외측 종리브의 측면 형상의 중심선(C)이 횡프레임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L)를 갖도록 설치되고, 종리브의 하단과 횡프레임의 하단 사이에 일정 높이가 이격되어 설치되며, 종리브의 상부에 상판이 설치되어 하면 및 측면이 개방되도록 복공체를 제작하는 제100단계(S1000); 지반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가설벤트의 상부에 적어도 2개의 주형을 구조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제200단계(S2000); 최외측 주형의 상면 중 일부위에 횡프레임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주형의 상부에 적어도 2개의 복공체를 사방으로 연속설치하는 제300단계(S3000); 주형의 연결부위이면서 횡프레임 사이에 현장이음데크를 개재하여 설치하는 제400단계(S40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in another method for constructing a tempor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line (C) of the side shape of the outermost longitudinal rib is a certain distance (L)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while the transverse frames and longitudinal ribs are combined in a grid form It is installed to have a, and the predetermined height is spaced apart between the bottom of the longitudinal rib and the bottom of the transverse frame, the upper plate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longitudinal rib to produce a perforated body to open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1000); Step 200 of installing at least two mold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on top of at least two temporary vents installed on the ground; Step 300 (S3000) of continuously installing at least two perforated bodies in four directions on the upper part of the mold such that the end of the transverse frame is fix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most mold; It includes a connection step of the mold (S4000) to be installed via the field joint deck between the transverse frame between the frame (S4000).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공체는 측면 및 하면이 개방되도록 상호 체결되고, 개방된 측면 및 하면을 통해 각 부재들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며, 특히 해체시 각 부재들의 절단에 따른 길이변화 등의 손실이 배제되므로 부재들은 종래의 실시예들과는 달리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함으로써, 자재 구입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공체가 일정 크기를 갖도록 규격화되어 단위체로 제작되고, 복공체의 횡프레임과 주형이 개방된 측면 및 하면을 통해 볼팅체결됨으로써, 복공체와 주형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ated body is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ide and the lower surface are opened, and the coupling and disassembly of the members are easy through the open side and the lower surface, and in particular, the length change according to the cutting of each member during disassembly. Since the loss of the back is excluded, the members can be repeatedly reused unlike the conventional embodiments, thereby reducing the material purchase cost. In addition, the perforated body is standardiz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and manufactured as a unit, and the lateral frame and the mold are bol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open side and the bottom, thereby facilitating the coupling and disassembly of the perforated body and the mold.

또한, 이 복공체가 단위체로 제작되어 가설구조물에 설치되는 경우, 가설구조물의 상부는 복공체와 종래의 복공판의 조합으로 제작될 수 있고, 복공판을 대체하여 복공체만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복공체가 복공판을 대체하는 경우, 종래의 복공판보다 강재량 및 자중(自重)을 대폭 감소시켜 주형 및 종리브의 하중 부담을 경감되고, 종래의 복공판과 주형의 미체결된 상태가 배제되며, 주형과 복공체의 체결로 이루어진 가설물 전체가 일체로 거동할 수 있어 단면강성이 현저히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erforated body is manufactured as a unit and installed on the temporary structure, the upper portion of the temporary structure may be manufactured by a combination of the perforated body and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and may be manufactured by using only the perforated body instead of the perforated plate. In addition, when the perforated body replaces the perforated plate, the steel material and its weight are greatly reduced than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to reduce the load burden on the mold and the longitudinal ribs, and the unfastened state of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and the mold is excluded. The entire hypothesis consisting of the fastening of the perforated body can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ere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rigidity significantly.

또한, 복공체가 별도의 단위체로 제작되어 현장설치가 가능하고, 단위체인 복공체가 연속 설치되는 경우, 연접되는 상판에 의해 상면이 폐쇄되더라도 개방된 측면 또는 하면을 통해 주형 및 횡프레임의 체결을 위한 볼팅체결 또는 용접 등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므로 복공체와 주형의 일체 거동이 가능하고, 작업이 용이하면서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erforated body is manufactured as a separate unit can be installed on-site, and when the perforated body is installed in the unit, the bolting for fastening the mold and the transverse frame through the open side or lower surface even if the upper surface is closed by the joined upper plate Since coupling by welding or welding is possible, integral behavior of the perforated body and the mold is possible, and work is easy and work time is shortened.

또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복공체의 구성이 종래의 실시예보다 더 적은 수의 부재로 이루어져 부재들의 자중이 감소되어 전체 하중에 대한 부담이 경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porous body for supporting the load is made of fewer members than the conventional embodiment has the effect that the weight of the members is reduced to reduce the burden on the total load.

또한, 상호 이웃한 횡프레임들을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횡프레임들의 양측부 또는 전체 부위에 대해 적어도 2개의 거치부재가 설치되어 횡프레임의 좌굴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t least two mounting member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r the entire portions of the transverse frames while being installed across the mutually adjacent transverse frames, thereby preventing buckling of the transverse frames.

또한, 복개조립체는 측면 및 하면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복공체의 횡프레임과 주형이 일체로 결합되어 복공체와 주형의 일체 거동을 보장함으로써, 단면강성이 월등히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형, 횡프레임, 종리브 및 상판으로 이루어진 복개조립체 역시 일정 크기를 갖는 단위체로 제작되어 가설벤트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가설물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면서 작업 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복공체를 단위체로 제작하여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효과 역시 수반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abdominal assembly has an effect that the lateral rigidity of the perforated body and the mold are integrally combined through the open spaces of the side and the bottom to ensure the integral behavior of the perforated body and the mold,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rigidity. In addition, the opening assembly consisting of a mold, a transverse frame, a longitudinal rib and a top plate may also be manufactured in a unit having a certain size and installed in a temporary vent, thereby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temporary construction and shortening the working time, as well as a unit of the porous body. It also comes with a variety of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by making.

또한, 가설구조물은 지반에 설치된 가설벤트의 상부에 주형이 설치되고, 주형의 상부에 단위체로 제작된 복공체가 설치되는 동안 또는, 주형의 상부에 횡프레임, 종리브 및 상판이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동안, 복공체의 개방된 측면 및 하면을 통해 각 부재들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복공체와 주형 또는, 주형과 가설벤트 간의 일체화에 따른 일체 거동이 이루어지며, 주형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종리브에 의해 단면강성이 극대화되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복공체가 최소의 부재로 이루어져 감소된 강재량과 더불어 종리브에 의해 주형의 하중 부담 역시 현저히 낮아지면서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temporary structure is a mol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emporary vent installed on the ground, while the perforated body made of the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ld, or while the transverse frame, longitudinal ribs and top plate are installed separately on the upper part of the mold, The open side and lower surface of the perforated body makes it easy to join and dismantle each member, and the integral behavior according to the integration between the perforated body and the mold or the mold and the temporary vent is achieved, and the longitudinal ribs arranged in the mold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iffness of the cross section is maximized, and the porous material for supporting the load is made of the minimum member, and the load burden of the mold is also significantly lowered by the longitudinal ribs along with the reduced amount of steel,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이로 인해, 종래의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보면, 본 발명은 주형과 복공체가 일체로 거동하게 되어 단면강성이 월등히 증대되며, 복공체의 최소 수량의 부재로 인해 강재량이 감소되고, 강재량 및 하중에 대한 주형의 부담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For this reason,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causes the mold and the perforated body to be integrally increas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iffness is greatly increased, the amount of steel is reduced due to the absence of the minimum quantity of the perforated bod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urden of the mold on the load is reduced.

또한, 종래의 제2실시예와 대비하여 보면, 본 발명은 종리브가 주형들 사이에 설치되어 하중이 종리브 및 주형에서 분담되어 지지되고, 횡프레임들 사이의 측면 개방성이 확보됨은 물론 횡프레임과 주형의 배치로 인해 하면 개방성이 확보되어 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ㄷ"자 덮개판의 전체 길이에 대해 용접을 하여야만 하고, 실제 시공된 적이 없는 반면, 본 발명은 각 부재의 교차되는 부분만 용접하게 되므로 용접량이 급감하고, 실제 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contrast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longitudinal ribs are installed between the molds so that the load is shared by the longitudinal ribs and the molds, and the side opening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is ensured, as well as the transverse frames and the molds.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openness is ensured that the work is easy to work. In addition, while the welding of the entire length of the "c" cover plate must be welded, and has never been constructed, the present invention only welds the intersection of each member, so the welding amount is drastically reduced, the effect that can be actually installed have.

또한, 종래의 제3실시예와 대비하여 보면, 본 발명은 횡프레임들 사이의 측면이 개방되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복공체의 부재 수가 감소하여 강재량은 물론 주형 및 종리브의 하중 부담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판 및 평판의 접촉된 전체 길이에 대해 용접을 하면서 평판의 열변형이 수반되지만, 본 발명은 교차된 부분만 용접하게 되므로 용접량 및 제작시간이 감소되며 상판의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contrast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by opening the side surfaces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reducing the number of members of the porous body, thereby reducing the load of the mold and the longitudinal ribs as well as the amount of steel. There is a reduction effect. In addition, although the heat deformation of the plate is accompanied while welding the entire contact length of the side plate and the flat plate, the present invention is welded only the cross-section, the welding amount and manufacturing time is reduced and the heat deformation of the top plate does not occur There is.

또한, 종래의 제1,2,3실시예에서는 각 부재들 간의 조립 및 해체가 공간의 폐쇄성으로 인해 작업이 어려웠고, 연결부위에서의 부재의 일부위를 절단할 수밖에 없어 재사용을 위한 부재의 손실이 불가피하였고, 경우에 따라 재사용이 불가하여 부재를 새로 구입해야하는 등의 시공 비용이 상승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각 부재들 간의 조립 및 해체를 위한 측면 및 하면의 공간 개방성이 확보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연결부위에서의 부재의 일부위를 절단하지 않아도 되므로 해체된 부재들을 반복 재사용할 수 있어 시공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between the members is difficult due to the closedness of the space. In some cases, the cost of construction increased, such as the need to purchase new members due to the impossibility of reus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ace openness of the side and the lower surface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between the members is secured,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are easy, and since the part of the member at the connection part does not need to be cut off, the disassembled members can be reused repeatedly.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또한, 종래의 제4실시예와 대비하여 보면, 주형 및 횡프레임의 형고를 낮게 제작하면서 종리브가 횡프레임에 중첩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전체 형고를 낮추면서도 단면강성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compared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related art, while making the mold height of the mold and the transverse frame low, the longitudinal ribs are superimposed on the transverse frame,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mold height and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rigidity.

한편, 종리브에 의해 하중이 분담되면서 횡프레임에 의해 하중의 분산이 극대화되고, 종리브와 더불어 횡프레임 및 주형의 하중 지지력이 극대화되며, 상판 자체가 부담하는 하중 지지력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어 상판의 두께를 축소할 수 있고, 이에 상판의 자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load is shared by the longitudinal ribs, the distribution of loads is maximized by the transverse frames,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transverse frames and molds is maximized along with the longitudinal ribs, and the load bearing force that the upper plate itself bears is considerably reduced. It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material cost of the top plate.

또한, 본 발명에서 복개조립체와 복공판이 교번으로 설치된 경우와 종래의 복공판이 연속 설치된 경우와 비교해보면, 일예로 총 횡길이 8m에서 5개의 주형가 설치되었을 때, 종래의 경우 4개의 복공판이 요구되지만, 본 발명의 경우 2개의 복공판이 설치되므로, 정확히 1/2로 복공판이 감소되어 복공판의 제작 비용 및 전체 가설구조물의 시공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abdominal assembly and the perforated plate are alternately installed and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are continuously installed, for example, when five molds are installed at a total transverse length of 8 m, the four perforated plates are required in the conventional cas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wo perforated plates are installed, the perforated plate is reduced to exactly 1/2,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erforated plate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entire temporary structure.

또한, "I"자 형상 ,"T"자 형상, "L"자 형상, "H"자 형상, "│"자 형상, "ㄷ"자 형상의 종리브 또는 횡프레임이 제작되고, 주형, 횡프레임 및 종리브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도심축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한 종리브의 플랜지로 인해 단면2차모멘트 값이 극대화되고, 이로 인해 지간거리를 더 길게 하여 시공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longitudinal or horizontal frames of "I" shape, "T" shape, "L" shape, "H" shape, "│" shape and "c" shape are produced, And the longitudinal moment value of the cross section is maximized due to the flange of the longitudinal rib located far from the center axis in the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ribs are integrated, and thus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b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ongitudinal ribs.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종래의 복공판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종래의 제1실시예의 가설구조물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제2실시예의 가설구조물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제3실시예의 가설구조물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제4실시예의 가설구조물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성이 향상된 복공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횡프레임 및 종리브의 일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종리브의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종리브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횡프레임의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횡프레임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0에 도시된 복공체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도 16에 도시된 횡프레임 및 거치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10의 복공체와 주형의 일체화로 단면강성 및 개방성이 증대된 복개조립체의 일부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실시예가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도 9에 도시된 주형들 사이에 횡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지지부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에 따라 도 24의 복개조립체를 포함한 가설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공정이 순서대로 도시된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평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라 도 10의 복공체를 포함하여 설치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설구조물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라 가설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정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이다.
도 36은 도 3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2 to 5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temporary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ior art.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temporary structure of a second conventional embodiment.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mporary structure of a third conventional embodiment.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mporary structure of a fourth conventional embodiment.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ous body with improved openn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transverse frame and the longitudinal ribs shown in FIG. 10.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longitudinal rib shown in FIG.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ongitudinal rib shown in FIG. 11.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transverse frame shown in FIG. 10.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nsverse frame illustrated in FIG. 10.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orous body illustrated in FIG. 10.
17 to 2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nsverse frame and the mounting member shown in FIG.
FIG.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rtion of the abdominal assembly in which cross-sectional rigidity and openness are increased by integrating the mold of the cavity and the mold of FIG. 10.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embodiment of FIG. 24.
FIG. 26 and FIG. 27 are side views showing a supporting member installed to support a transverse frame between the molds shown in FIG. 9.
28 to 31 are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in order the process for installing the temporary structure including the abdominal assembly of Figure 24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top view of FIG. 30.
FIG. 3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temporary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porous body of FIG. 10.
34 is a process diagra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or installing a temporary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process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or installing a tempor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6 is a process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installing a tempor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3.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복공체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repair body>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및 개방성이 향상된 복공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횡프레임 및 종리브의 일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종리브의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종리브의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횡프레임의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횡프레임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0에 도시된 복공체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17 내지 도 21은 도 16에 도시된 횡프레임 및 거치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ous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mproved openness,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transverse frame and longitudinal ribs shown in FIG. 10, and FIG. 12 is FIG. 11. An embodiment of the longitudinal rib shown i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longitudinal rib shown in FIG. 11,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ransverse frame shown in FIG. 10, and FIG. 15 is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nsverse frame shown in Figure 10,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erforated body shown in Figure 10, Figures 17 to 21 is a horizontal frame and mounting shown in Figure 16 Another embodiment of the member is a perspective view shown.

본 발명에 따른 단면강성 및 개방성이 증대된 복공체(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프레임(110), 종리브(120) 및 상판(13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복공체(100)는 일정 크기의 단위체로 제작되고, 별도 장소에서 제작된 단위체는 작업현장으로 이송되어 후술된 주형(210)에 조립된다. As shown in FIG. 10, the porous body 100 having increased cross-sectional rigidity and open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frame 110, a longitudinal rib 120, and a top plate 130. At this time, the perforated body 100 is made of a unit of a certain size, the unit produced in a separate place is transported to the work site is assembled to the mold 210 described below.

먼저, 횡프레임(110)은 일정 간격이면서 횡(橫)으로 배치된다. 이 횡프레임(110)은 상판(13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는 부재로서, 일예로 제1수평부(111), 제1수평부(111)로부터 상향 연장된 제1수직부(112)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횡프레임(110)의 실시예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300)에 설치된 경우 하중을 주형(210) 또는 종리브(120)에 분산하여 전달하기 위해 구조물(3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주형(210)의 상부이면서 직각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횡프레임(110)은 종리브(120)를 끼울 수 있도록 제1수직부(112)에 다수의 결합홈(113)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113)은 상면이 개방되어 종리브(120)가 하향 끼워지고, 종리브(120)의 상부가 횡프레임(1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종리브(120)가 상판(13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First, the transverse frame 110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transverse (橫). The horizontal frame 110 is a member for distributing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plate 130, for example,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11, the first vertical portion 112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11 is It is included. As shown in FIG. 30 as an embodiment of the transverse frame 110, when installed in the structure 300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300 to distribute and transfer the load to the mold 210 or longitudinal ribs 120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210 is installed in a r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110 ha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13 are formed in the first vertical portion 112 to fit the longitudinal ribs (120). At this time, the coupling groove 113 is open so that the longitudinal rib 120 is fitted down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rib 120 protrudes from the horizontal frame 110. This is for the longitudinal rib 120 to support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top plate 130.

여기서, 횡프레임(110)은 제1수평부(111) 및 제1수직부(112)가 포함된 측면이 대략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변형예로 도 14에서와 같이 제1a수평부(111a) 및 제1a수직부(112a)로 이루어진 측면이 대략 "L"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도 15에서와 같이 제1b수평부(111b), 제1b수직부(112b) 및 제1c수평부(111c)로 이루어진 측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이외에 측면이 "T"자 형상, "I"자 형상 또는 "│"자 형상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이외에도 측면이 원형 및 다각형상의 중실 또는 중공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횡프레임(110)의 양단부에는 볼트(213a)가 관통하도록 볼트홀(114)이 형성되고, 이 볼트홀(114)을 통해 도 24 및 도 25에서와 같이 횡프레임(110)과 주형(210)이 볼팅체결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도 18, 도 19, 도 21 및 도 22에서 "ㄴ"자 및 "ㄷ"자인 횡프레임( 110)은 도 17 및 도 20에서와 같이 개방된 면이 상호 대면하는 것과는 달리, 폐쇄된 면이 상호 대면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는 볼트(213a) 체결을 위한 공간이 도 17 및 도 20의 배치보다 더 확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8 및 도 21에서와 같이 횡프레임(110)의 수직부에 상판(130)의 끝단이 정렬되어 횡프레임(110)의 배치 형태에 따라 횡프레임(110)의 수평부가 상판(130)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도 19 및 도 22에서와 같이, 횡프레임(110)의 수평부의 끝단이 상판(130)의 끝단에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횡프레임(110)에는 도 16에서와 같이 횡프레임(110)의 제1수직부(110)에 발생할 수 있는 좌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이웃한 횡프레임(110)들 사이에 "ㄴ"자 형상의 거치부재(140)가 설치된다. 이때, 횡프레임(110)은 "ㅗ"자의 측면형상이다. 이 거치부재(140)는 횡프레임(110)의 양측부에 각각 1개씩 설치될 수도 있고, 양측부 사이에 다수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횡프레임(110)과는 접촉이 회피된다. 또한, 거치부재(140)의 실시예로 먼저, 도 17에서와 같이 측면형상이 "ㄴ"자인 횡프레임(110)들 사이에 측면형상이 "ㄷ"자인 거치부재(140)가 설치된다. 또한, 도 19에서와 같이 측면형상이 "ㄷ"자인 횡프레임(110)들 사이에 측면형상이 "ㅗ"자인 거치부재(140)가 설치된다. 또한, 도 21에서와 같이 측면형상이 "I"자인 횡프레임(110)들 사이에 측면형상이 "I"자인 거치부재(140)가 설치된다. 물론, 횡프레임 (110), 종리브 (120) 및 거치부 재(140)의 배치는 측면형상에서 어떠한 각도로도 회전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최외측 거치부재(140)는 횡프레임(110)의 끝단에 정렬되거나 또는 횡프레임(110)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내측으로 이동되어 결합된다. 또한, 거치부재(140)의 하단과 횡프레임(110)의 하단 사이에는 일정 높이의 이격 거리가 보장되고, 이 이격거리를 통해 도 25에서와 같이 추후 복개조립체(100)의 주형(210)과의 볼트(213a) 및 너트(213b) 체결을 보장하게 되며, 이로 인해 복공체(100)에서 외측에서의 측면 및 내측에서의 측면이 개방된다. 즉, 종리브(120)와 거치부재(140)가 주형(210)의 상부에 위치되더라도 종리브(120) 및 거치부재(140)와, 주형(210) 사이에는 이격거리가 형성되기 때문에 횡프레임(110)과 주형(210)의 체결은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최외측 거치부재(140)는 횡프레임들(110) 사이의 개방된 측면 중, 횡프레임(110)과 주형(210)의 체결을 위해 공간 이외의 부위를 막아 외부에서 볼 수 있는 각도를 최소화한다. Here, the horizontal frame 110 is preferably formed in a substantially "⊥" shape of the side surface including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11 and the first vertical portion 112, as a variant 1a as shown in FIG. Sides formed of the horizontal portion 111a and the first a vertical portion 112a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n approximately “L” shape, and as shown in FIG. 15, the first b horizontal portion 111b, the first b vertical portion 112b,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 horizontal part 111c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substantially "C" shape, and the side surface may also be manufactured to a "T" shape, an "I" shape, or a "│" shape. In addition, the sides may be made of solid or hollow in circular and polygonal shapes. In addition, bolt holes 114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10 so that the bolt 213a penetrates through the horizontal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10 and the mold ( 210 is for bolting. Here, in FIG. 18, 19, 21 and 22, the transverse frame 110, which is a letter "b" and a letter "c", is a closed surface, unlike the open surfaces facing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7 and 20. This can be arranged in the shape facing each other, because the space for fastening the bolt 213a is secured more than the arrangement of Figs. Therefore, as shown in FIGS. 18 and 21, the horizontal frame 110 The end of the upper plate 130 is aligned in the vertical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1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horizontal frame 110 The horizontal portion may protrude further outward than the top plate 130 . Alternatively, as in FIGS. 19 and 22, the horizontal frame 110 may be Th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may be arranged to be aligned with the end of the top plate (130). On the other hand, the transverse frame 110, as shown in Figure 16 to prevent the buckling phenomenon that may occur in the first vertical portion 110 of the transverse frame 110 "b" between the mutually adjacent transverse frame 110 The mounting member 140 of the shape of a child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horizontal frame 110 is a side shape of the "ㅗ". One mounting member 140 may be provided at each of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110, a plurality may be installed between both sides, the contact with the horizontal frame 110 is avoided. In addition, as an embodiment of the mounting member 140, as shown in Figure 17, the mounting member 140 having a side shape of "c" is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110 having a side shape of "b".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9, the mounting member 140 having a side shape “ㅗ” is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frames 110 having a side shape “c”.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1, the mounting member 140 having the side shape “I” is installed between the lateral frames 110 having the side shape “I”. Of course, the horizontal frame 110 , the longitudinal ribs 120 and the mounting member 140 may be disposed by rotating at any angle in the side shape. Here, the outermost mounting member 140 is aligned with the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or moved i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is coupled. In addition, a distance of a certain height is ensured between the bottom of the mounting member 140 and the bottom of the transverse frame 110, and through the separation distance, as shown in FIG. The bolt 213a and the nut 213b of the fastening are ensured, thereby opening the side surface at the outside and the side surface at the inner side in the cavity 100. That is, even if the longitudinal ribs 120 and the mounting member 140 are positioned above the mold 210, the horizontal ribs 110 and the mounting member 140 and the mold 210 have a separation distance therebetween. ) And the mold 210 is smoothly made. In addition, the outermost mounting member 140 of the open side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110, blocking the portion other than the space for the fastening of the transverse frame 110 and the mold 210 to be viewed from the outside Minimize.

또한, 종리브(120)는 일정 간격이면서 종(縱)으로 배치되고, 일예로 제2수직부(121) 및, 제2수직부(121)의 상부에 형성된 제2수평부(122)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제2수직부(121)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종리브(120)는 횡프레임(110)의 상부에 상호 격자로 배치되도록 제2수직부(121)가 결합홈(113)에 끼워져 설치된다. 여기서, 종리브(120)의 하단은 횡프레임(11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이 이격된 높이를 통해 도 24 및 도 25에서와 같이 후술된 주형(210)에 횡프레임(110)이 볼팅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이로 인해 복공체(110)에서 외측에서의 측면 및 내측에서의 측면이 개방된다.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ribs 120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t regular intervals, and include, for example, a second vertical portion 121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122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portion 121. It may be made of, only the second vertical portion 121. Here, the longitudinal ribs 120 are installed by fitting the second vertical portion 121 into the coupling groove 113 so as to be arranged in a lattice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10). Here, the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rib 120 is installed spaced apart by a certain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0, the horizontal frame 110 to the mold 210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ure 24 and 25 through the separated height. ) Is to be bolted, thereby opening the side on the outside and the side on the inside in the perforated body (110).

이때, 결합홈(113)에 끼워진 제2수직부(121)는 횡프레임(110)에 용접, 융착, 나사 또는 볼트 및, 리벳 등을 포함한 통상의 기술로 견고히 고정되며, 용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개의 종리브(120)가 다수의 횡프레임(110)에 걸쳐 설치될 수도 있고, 2개의 이웃한 횡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결합홈(113)에 제2수직부(121)가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고, 이때 고정은 용접 또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한 볼팅체결이 이용될 수 있다. 종리브(120)는 상판(13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일예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300)에 설치된 경우 주형(210)과 더불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횡프레임(110)의 상부에 주형(2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이 종리브(120)는 대략 "T"자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변형예로 도 12와 같이 측면이 "│"자이거나 또는, 도 13에서와 같이 측면이 "I"자 형상이거나 또는, 횡프레임(110)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종리브(120)의 설치 위치는 일예로, 종리브(120)의 제2수직부(121)가 횡프레임(110)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횡프레임(110)의 중앙부측으로 이동되어 설치된다. 다른 예로, 도 12에서와 같이 "│"자의 경우 종리브(120)의 측면에서의 중심선(C)이 횡프레임(110)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L)만큼 내측으로 이동되어 위치된다. 또한, 종리브(120)의 하단이 횡프레임(110)의 제1수직부(112)에 체결되면서 제1수평부(111)보다 더 높게 위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종리브(120)의 위치는 "ㄴ"자, "T"자, "│"자 및 "I"자 등을 포함한 종리브(120)의 형상과 무관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종리브(120)의 설치 위치는 횡프레임(110)의 이격된 단부들 사이에 측면이 외부에 개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는 후술된 주형(210)과 횡프레임(110)이 개방된 측면 또는 하면을 통해 볼팅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종리브(120)와 횡프레임(110)이 격자로 설치되므로 횡프레임(110)들의 이격된 공간만큼 하면이 개방된다. 여기서, 복공체(100)의 개방된 측면을 폐쇄할 수도 있고, 이때 횡프레임(110)들 사이에 패널형상의 마감판(미도시)이 설치되며, 가설구조물에 설치된 경우 최외측 측면만 폐쇄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횡프레임(110)과 종리브(120)는 설치 위치 및 설치 각도 등에 따라 하중을 지지하거나 분산하는 역할이 바뀔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vertical portion 121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3 is firmly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110 by conventional techniques including welding, fusion, screws or bolts, and rivets, and it is preferable to use welding. . In addition, one longitudinal rib 120 may be installed over a plurality of transverse frames 110, or may be installed between two neighboring transverse frames 110. Of course, the second vertical portion 121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113 is fitted, and in this case, bolting using welding or a separate member may be used. The longitudinal rib 120 is a member for supporting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plate 1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0, the longitudinal rib 120 is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support the load together with the mold 210 when installed in the structure 300. As shown in FIG.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10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ld (210). This longitudinal rib 120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substantially "T" shape, and as a modification, the side is "" "as shown in Figure 12, or the" I "shape as shown in Figure 13, or It may be manufactured in the same or similar shape to the shape of the horizontal frame (110).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is, for example, the second vertical portion 121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is moved to the cent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10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0 is installed.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2, the center line C at the side of the longitudinal rib 120 is moved inward by a distance L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0.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rib 120 is fastened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112 of the horizontal frame 110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11. The position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is appli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including the letter “b”, “T”, “│” and “I”.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ongitudinal rib 120 is to open the side to the outside between the spaced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In addition, this is to allow the mold 210 and the transverse frame 110 described below to be bolted through the open side or bottom surface. In addition, since the longitudinal ribs 120 and the horizontal frame 110 are installed in a lattice, the bottom surface is opened as much as spaced spaces of the horizontal frames 110. Here, the open side of the perforated body 100 may be closed, and in this case, a panel-shaped closing plate (not shown) is installed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110, so that only the outermost side is closed when installed in the temporary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frame 110 and the longitudinal rib 120 may change the role of supporting or distributing the loa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installation angle.

또한, 상판(130)은 통행을 위한 바닥면을 이루기 위해 종리브(120)의 상면에 설치된다. 일예로, 종리부(120)가 제2수직부(121) 및 제2수평부(122)로 이루어진 경우, 상판(130)은 종리브(120)의 제2수평부(122) 상면에만 접촉되면서 횡프레임(110)과는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하중이 상판(130)을 통해 종리브(120)에서 지지되고, 횡프레임(110)에 의해 분산된다. 이때, 상판(130)은 복공체(100)의 측면 및 하면을 통해 종리브(120)의 상면과 용접되고, 이외에 별도로 횡프레임(110)과는 이격된 상태로 볼팅 체결 또는 별도의 이음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판(130)이 종리브(120)의 상면에만 접촉되어 용접되면, 용접이 용이하면서 용접량 및 작업시간이 훨씬 감소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top plate 130 is installed on the top surface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to form a bottom surface for passage. For example, when the vertical portion 120 includes the second vertical portion 121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22, the upper plate 130 is in contact with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22 of the longitudinal rib 120. The frame 110 is spaced apart from the installation. Thus, the load is supported at the longitudinal ribs 120 through the top plate 130 and is distributed by the transverse frame 110. At this time, the upper plate 130 is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rib 120 through the sid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avity 100, in addition to the bolting or separate joint member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horizontal frame 110 separately It may be fastened. As such, when the upper plate 130 is in contact with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to be welded, the welding amount and the working time are much reduced while the welding is easy.

이와 같은 횡프레임(110)과 종리브(120)의 결합으로 복공체(100)의 측면 및 하면의 개방성이 증대되고, 개방된 측면 및 하면을 통해 각 부재들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면서 해체된 부재들은 종래의 실시예들과는 달리 반복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복공체(100)를 구성하는 부재의 수량이 종래의 실시예보다 훨씬 줄어들어 제작비용 및 자중에 대한 부담이 경감된다. 이 복공체(100)는 일정 크기의 단위체로 제작되고, 이 단위체가 후술된 복공판(320)을 대체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The combina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10 and the longitudinal ribs 120 increases the openness of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porous body 100, and facilitates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members through the open side and bottom surfaces. Unlike conventional embodiments, they can be reused repeatedly. In addition, the number of members constituting the porous body 100 for supporting the load is much reduced than in the conventional embodiment,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manufacturing cost and its own weight. The perforated body 100 is made of a unit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unit may be installed to replace the perforated plate 320 described below.

<복개조립체의 구성><Configuration of Cover Assembly>

도 24는 도 10의 복공체와 주형의 일체화로 단면강성 및 개방성이 증대된 복개조립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실시예가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며, 도 26 및 도 27은 도 24에 도시된 주형들 사이에 횡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지지부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ning assembly in which cross-sectional rigidity and openness are increased by the integration of the molding of the cavity and the mold of FIG. 10, FIG.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24, and FIGS. 26 and 27 are shown in FIG. 24 is a side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installed to support the transverse frame between the molds shown in FIG.

먼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방성 및 단면강성을 증대된 복개조립체(200)는 복공체(100)와 주형(21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복공체(100)의 설명은 상술된 바, 이하에서는 복공체(100)와 주형(210)의 결합 및 일체 거동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복개조립체(200)의 일실시예로 2개의 주형(210) 사이에 복공체(10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지만, 이외에도 3개 이상의 주형(210)에 복공체(1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복개조립체(200)는 일예로, 도 24에서와 같이 일정 크기의 단위체로 제작된 복공체(100)가 주형(2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복개조립체(200)의 다른 예로, 도 25에서와 같이 횡프레임(110)이 일정 간격으로 연속배열된 후 종리브(120) 역시 연속배열되도록 장착되고, 종리브(120)의 상부에 일정 크기의 상판(130)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또 다른 예로 복개조립체(200)가 일정 크기의 단위체로 제작될 수 있고, 가설벤트(310)의 상부에 다수의 복개조립체(200)가 연속으로 체결되어 가설구조물(300)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24, the opening assembly 200 having increased openness and cross-sectional stiff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rforated body 100 and a mold 210. Here, the description of the cavity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coupling and integral behavior of the cavity 100 and the mold 2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although the ventilator 100 is installed between two molds 210 as one embodiment of the vent assembly 200, the ventilator 100 may be installed in three or more molds 210. . Here, the abdomen assembly 200, for example, is made of a porous body 100 made of a unit of a predetermined size, as shown in Figure 24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210).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abdomen assembly 200, as shown in FIG. 25, after the horizontal frame 110 is continuous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longitudinal ribs 120 are also mounted to be continuously arrang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has a predetermined size. The top plate 130 is made to be coupled.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abdomen assembly 200 may be manufactured as a unit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 plurality of abdomen assemblies 200 may be continuous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emporary vent 310 to form the temporary structure 300. .

주형(210)은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복공체(100)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일예로 하부플랜지(211), 상부플랜지(212) 및, 복부(21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I"자 형강이다. 또한, 주형(210)들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실제로 주형(210)을 설치하는 작업의 일예로, 횡프레임(110)이 설치되는 주형(210)들 간의 간격은 2m 이하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주형(210)들 사이에서의 횡프레임(11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220)의 양단부가 각각 주형(210)의 하부플랜지(211)에 설치되고, 마루부가 횡프레임(110)의 제1수평부(111)에 설치된다. 이 제1지지부재(220)는 대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지지부재(220)의 양단부 및 마루부와 각각 결합하도록 주형(210)의 하부플랜지(211) 및 횡프레임(110)의 제1수평부(111)에 제1결합부재(221)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제1지지부재(220) 및 제1결합부재(221)는 모든 횡프레임(110)의 제1수평부(111)에 설치될 수도 있고, 교번 또는 일정 간격마다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주형(210)들 사이에서의 횡프레임(11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도 27에서와 같이, 제2지지부재(231)의 양단부가 각각 이웃한 주형(210)들의 복부(213)에 장착되고, 횡프레임(110)의 제1수평부(111)와 제2지지부재(231) 사이에 지지빔(230)이 개재되어 설치된다. 이 지지빔(230)은 대략 "I"자 형상이고, 주형(2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주축 방향에 대한 단면강성도 증대하게 된다. 여기서, 제2지지부재(231)는 주형(2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때, 제2지지부재(231)를 복부(213)에 고정하기 위해 주형(210)의 복부(213)에 높이방향으로 제2결합부재(232)가 설치된다. 또한, 도 30에서와 같이 이웃한 복개조립체(200)의 주형(210)들 사이에 제1가로보(240)가 설치되고, 제1가로보(240)의 설치를 위해 별도의 장착부재가 주형(210)의 복부(213)에 높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도 26 및 도 27은 횡프레임(110)과 주형(210)의 체결 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도 25의 A-A 단면선 위치에서 제1지지부재(220) 또는 지지빔(230)이 도시된 것이다. The mold 210 is a member supporting the ventilated body 100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the mold 210 is an “I” shaped steel including a lower flange 211, an upper flange 212, and an abdomen 213. . In addition, the molds 210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and as an example of the work to actually install the mold 210, the interval between the molds 210, the horizontal frame 110 is installed is arranged to be less than 2m goo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6 to prevent sagging of the transverse frame 110 between the molds 210,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are lower flanges 211 of the mold 210, respectively. The floor is installed i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11 of the horizontal frame (110).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 형 " shape, and the lower flange 211 and the transverse frame 110 of the mold 210 are coupled to both ends and the floo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respectively. The first coupling member 221 is installed i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11 of each.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221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11 of all the transverse frames 110, or may be installed alternately or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sagging of the transverse frame 110 between the molds 210, as shown in FIG. 27,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31 may be formed on the abdomen 213 of the adjacent molds 210, respectively. The support beam 23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1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31 of the horizontal frame 110. The support beam 230 is substantially "I" shaped, and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ld 210, there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rigidity in the main axis direction. Here, the second support member 231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ld 210. At this time, in order to fix the second support member 231 to the abdomen 213,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2 is install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abdomen 213 of the mold 21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0, the first gabor 240 is installed between the molds 210 of the adjacent cover assembly 200, and a separate mounting member is installed to install the first gabor 240. ) Is install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abdomen 213. 26 and 27 illustrate a first support member 220 or a support beam 230 at the AA cross-sectional position of FIG. 25 to illustrate a fasten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verse frame 110 and the mold 210. .

횡프레임(110)은 일정 간격의 배치된 주형(210)의 상부에 고정되는 부재로, 측면이 대략 "⊥"자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주형(210)보다 크기가 작다. 물론, 횡프레임(110)은 복공체(100)에서 설명된 다양한 형상이 적용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24에서 보듯이 횡프레임(110)들의 측부에 장착된 종리브(120)의 위치로 인해 횡프레임(110)들 사이가 외부에 개방되는 즉, 복공체(100)의 측면이 개방된다. 이 횡프레임(110)은 이웃한 주형(210)에 양단부가 각각 안착되어 고정되고, 이외의 실시예로 주형(210) 간의 간격 및 횡프레임(110)의 길이에 따라 1개의 횡프레임(110)이 다수의 주형(210)을 걸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횡프레임(110)의 하면 단부는 주형(210)의 상면 중 일부위에만 안착된다. 횡프레임(110)이 "⊥" 형상이고, 주형(210)이 "I"자 형강인 경우, 제1수평부(111)의 단부가 상부플랜지(212)의 상면 중 일부위에 안착되고, 나머지 부위에는 후술된 복공판(220, 도 32 참조)의 일단부가 안착된다. 여기서, 제1수평부(111)의 단부는 상부플랜지(212)에 도 24에서와 같이 볼트(213a) 및 너트(213b)로 체결된다. 만약, 복공체(100)가 연속 배치된 경우에도, 복공체(100)의 개방된 측면 또는 하면을 통해 제1수평부(111)와 상부플랜지(212)의 볼팅체결은 항상 가능하다. 따라서, 복공체(100)와 주형(210)의 체결 및 해체가 쉽고,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횡프레임(110)은 일예로 횡프레임(110)의 길이는 대략 30~300cm이고, 횡프레임(110)들 간격은 대략 20~300cm 정도이다. 이는 횡프레임(110)의 간격이 20cm보다 좁으면 자재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300cm보다 넓으면 하중을 분산하는데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횡프레임(110)은 종리브(12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판(140)의 상면과, 주형(210)의 상면에 안착되는 복공판의 상면 높이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갖는다. 여기서, 상판(140)의 상면 및 복공판(320)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무늬가 형성된다. 또한, 거치부재(140)의 설명은 복공체(100)를 설명하면서 기재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horizontal frame 110 is a member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210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side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 shape,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the size is smaller than the mold 210 . Of course, the horizontal frame 110 is applicable to the various shapes described in the perforated body (100). As shown in FIGS. 10 to 24, the positions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mounted on the sides of the transverse frames 110 open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110 to the outside, that is, the sides of the porous body 100 are opened. . The transverse frame 110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adjacent mold 210 is seated and fixed, 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mold 210 and the length of the transverse frame 110, one transverse frame 110 It can be installed over a number of the mold (210).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is seated only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 (210). When the transverse frame 110 is a "⊥" shape and the mold 210 is an "I" shaped steel,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11 is seat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12, the remaining portion One end of the porous plate 220 (see Fig. 32) described later is seated. Here,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11 is fastened to the upper flange 212 by a bolt 213a and a nut 213b as shown in FIG. 24. If the cavity 100 is continuously arranged, bolting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11 and the upper flange 212 through the open side or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00 is always possible. Therefore, the fastening and disassembly of the porous body 100 and the mold 210 is easy, and recycling is possible. 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110 is,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frame 110 is approximately 30 ~ 300cm, the horizontal frame 110 is about 20 ~ 300cm interval. This is becaus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110 is narrower than 20cm, the material cost is increased, if it is wider than 300cm it is not efficient to distribute the load. 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110 has a height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4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rib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 210 may be the same or similar. . Here, an anti-slip patter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4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plate 320. In addition,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mounting member 140 has been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porous body 10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종리브(120)는 주형(210)의 길이방향이면서 주형(210)들 사이에 배치되고, 종리브(120)의 제2수직부(121)가 횡프레임(110)의 결합홈(113)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종리브(120)의 상면 즉, 제2수평부(122)의 상면은 상판(140)과 접촉되고, 이로 인해 상판(140)으로부터 종리브(120)에 직접 하중이 전달된다. 또한, 복개조립체(200)의 주축 방향에 대한 단면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수의 종리브(120)가 주형(210)들 사이에 주형(2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더불어, 최외측 종리브(120)의 제2수직부(121)가 횡프레임(110)의 끝단으로부터 횡프레임(110)의 중앙부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여 설치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제1,2,3실시예와는 달리 하중을 자체적으로 지지하여 하중 지지를 전담하였던 종래 주형의 하중 부담을 감소시키면서 단면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하중 부담 감소에 따라 주형의 강재량을 절감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리브(120)의 배치로 인해 횡프레임(110)의 단부들 사이의 측면 개방성을 보장하게 된다. 또한, 측면 개방성과 아울러, 횡프레임(110)과 주형(210)의 배치로 인해 확보된 하면 개방성에 의해 주형(210), 횡프레임(110), 및 복공판(320)을 포함한 각 부재들 상호 간의 체결이 용이하고, 복공판(320)과 주형(210)을 견고히 일체로 결합시켜 일체거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복공체(100)와 주형(210)의 일체거동으로 복개조립체(200)의 단면강성이 더욱 증대됨은 물론 복공체(100)의 측면 및 하면의 개방성도 확보하게 된다. 이때, 종리브(120)의 하단이 횡프레임(110)의 하부와 일정 높이 이격되기 때문에 복공체(100)의 측면은 외측 및 내측에서 개방된다. 물론, 거치부재(140)의 체결 역시 종리브(120)처럼 복공체(10)의 측면 개방을 보장하게 되고, 이는 거치부재(140)의 하단이 횡프레임(110)의 하부와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설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ribs 120 are disposed between the molds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ld 210, and the second vertical portion 121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is disposed in the coupling groove 113 of the horizontal frame 110. Is fitted and fixed.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2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140, thereby transferring the load directly from the upper plate 140 to the longitudinal ribs 120. In addition,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ibs 120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ld 210 between the molds 210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main axis direction of the cover assembly 200. In addition, the second vertical portion 121 of the outermost longitudinal rib 120 is installed by mo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0 toward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110. Thus, unlike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ffness of the mold can be increased while reducing the load burden of the conventional mold, which is dedicated to the load support by supporting the load by itself, and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he load burden, It can also reduce the amount of steel. 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ensures lateral opening between the ends of the transverse frame 110. In addition, due to the side opening and the bottom surface opening secured by the arrangement of the transverse frame 110 and the mold 210, the members 210 including the mold 210, the transverse frame 110, and the perforated plate 320 are mutually Fastening is easy, it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perforated plate 320 and the mold 210 to induce integral behavior.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tiffness of the abdominal assembly 200 is further increased by the integral behavior of the cavity 100 and the mold 210, and the openness of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cavity 100 is also secured. At this time, since the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rib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10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side surface of the porous body 100 is open at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course, the fastening of the mounting member 140 also ensures the lateral opening of the perforated body 10 like the longitudinal ribs 120,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frame 110 by a predetermined height below the mounting member 140. By installation.

<가설구조물의 구성><Configuration of Temporary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의 구성은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가설구조물(300)은 도 10 내지 도 21의 복공체(100) 또는, 도 24 내지 도 27의 복개조립체(2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복공체(100) 및 복개조립체(200)에 대한 설명은 필요한 경우에 간략히 언급한다. 이하에서, 1개의 가설벤트(310)에 2개의 주형(210)이 설치된 구조를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1개의 가설벤트(310)에 1개의 주형(210) 또는 3개 이상의 주형(210)이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The construction of the tempor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0 and 31. The hypothetical structure 300 includes the abdominal cavity 100 of FIGS. 10 to 21, or the abdominal assembly 200 of FIGS. 24 to 27, and includes the ventral assembly 100 and the abdominal assembly 200. The description is briefly mentioned where necessary. 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wo molds 210 are installed in one temporary vent 310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but one mold 210 or three or more molds 210 in one temporary vent 310 will be described. Other embodiments in which this is installed are also possible.

먼저, 가설벤트(310)는 도 27에서와 같이, 평면상 대략 "H"자 형상으로 지반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파일(311)과, 파일(311)의 상부에 설치된 받침판(312) 및, 이 받침판(312) 위에 중앙부가 위치하도록 설치된 "H"자 형상의 받침거더(31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파일(311)은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가설벤트(310)는 주형(210)에 의한 받침거더(313) 양측부의 휨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파일(311)과 받침거더(313)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된 브라켓(314)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받침거더(313)들을 상호 체결하는 제2가로보(315)가 설치되고, 제2가로보(315)의 설치를 위해 받침거더(313)에 높이방향으로 별도의 연결부재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2가로보(315)에 의해 받침거더(313)들의 일체거동이 조력된다. 또한, 가설벤트(310)는 도 30에서와 같이 주형(210)들 사이인 받침거더(313) 중앙부의 휨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거더(313)의 중앙부위에 설치된 받침보(313a)가 더 포함된다. 또한, 파일(310)들 간의 일체거동을 위해 파일(310)들 사이에 설치된 체결부재(310a)가 더 포함된다. First, as shown in FIG. 27, the temporary vent 310 has a plurality of piles 311 installed on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in a substantially “H” shape on a plane, a support plate 312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iles 311, and The support girder 313 having an “H” shape installed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312 is included. Here, the file 311 may be manufactured in a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the temporary vent 310 further includes a bracket 314 installed by connecting between the pile 311 and the support girder 313 to prevent bending deformation of both sides of the support girder 313 by the mold 210. . Here, the second girder 315 for fastening the support girders 313 are installed, and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support girder 313 in the height direction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econd girder 315. Therefore, the integral behavior of the support girders 313 is assisted by the second gabor 315. In addition, the temporary vent 310 has a support beam 313a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girder 313 to prevent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center of the support girder 313 between the mold 210 as shown in FIG. Included. In addition, a fastening member 310a installed between the piles 310 is further included for integral operation between the piles 310.

주형(210)은 받침거더(313)의 양단부에 각각 구조물 길이방향으로 한 쌍이 설치된다. 여기서, 주형(210)의 상부에 설치된 횡프레임(110)을 지지하기 위해, 횡프레임(110)과 주형(210) 사이에 도 26과 같이 대략 "∧"형상의 제1지지부재(220) 또는, 도 27과 같이 대략 "I"자 형상이면서 주형(210)들 사이에 주형(210)의 길이방향으로 지지빔(230)이 설치된다. 또한, 도 30에서와 같이 복공판(320) 양측의 주형(210)들을 상호 체결하는 제1가로보(240)가 교번 또는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고, 이 제1가로보(240)에 의해 주형(210)들이 일체로 거동된다. 한편, 주형(210)은 이웃한 가설벤트(310)의 상부에 설치될 때, 주형(210) 1개의 길이가 이웃한 가설벤트(310)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 도 31에서와 같이 다수의 주형(210)들을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이때 주형(210)들 간의 체결은 별도의 이음부재(214)를 덧댄 상태에서의 볼팅 체결된다. 또한, 주형(210)들의 이음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횡프레임(110)들 사이의 이음매 부위에 이음매의 결합 이후 현장이음데크(215)가 개재되어 고정된다. 이때, 현장이음데크(215)는 횡프레임(110), 종리브(120) 및 상판(130)으로 구성된 복공체(100)로 제작된다. 따라서, 주형(210)에 횡프레임(110)이 안착되어 고정되면서 하중이 주형(210)과 종리브(120)에 의해 지지되므로, 단면강성은 증대된다. The mold 21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girder 313 in a pai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respectively. Here, in order to support the transverse frame 11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210, between the transverse frame 110 and the mold 21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7, the support beam 230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ld 210 between the molds 210 while being substantially “I” shap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0, the first gasoline 240 that fastens the molds 210 on both sides of the double hole plate 320 are installed alternately or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molds 210 are formed by the first gasoline 240. It acts in one pie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ld 210 is installed on top of the neighboring temporary vent 310, when the length of one mold 21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neighboring temporary vent 310, as shown in Figure 31 2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molds 210 is bolted in a state in which a separate joint member 214 is padded. 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seams of the mold 210, after the coupling of the seams to the seam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110, the field joint deck 215 is interposed and fixed. At this time, the field joint deck 215 is made of a perforated body 100 composed of a transverse frame 110, longitudinal ribs 120 and the top plate 130. Therefore, since the load is supported by the mold 210 and the longitudinal ribs 120 while the horizontal frame 110 is seated and fixed to the mold 210, the cross-sectional rigidity is increased.

횡프레임(110)은 이웃한 주형(210)의 상부에 양단부가 고정되면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때, 횡프레임(110)의 단부는 주형(210)의 상부플랜지(212)의 상면 일부위에만 안착되어 고정되고, 이는 상부플랜지(212)의 상면 기타 부위에 복공판(320)의 단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횡프레임(110)과 종리브(120) 및 주형(21)의 배치로 인한 횡프레임(110)들 간의 하면 개방성은 유지된다. 또한, 종리브(120) 또는 거치부재(140) 및 횡프레임(110)의 배치로 인해 횡프레임(110)들 사이의 측면 개방성이 보장되고, 이 측면을 통해 횡프레임(110)이 주형(210)에 체결된다. The transverse frame 11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ile both ends ar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neighboring mold (210). At this time, the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is seated and fixed only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12 of the mold 210, which is the end of the perforated plate 320 is se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12 To be fixed.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penness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110 and the transverse frames 110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and the mold 21 is maintained. In addition,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or the mounting member 140 and the transverse frame 110, the lateral opening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110 is ensured, through which the transverse frame 110 is the mold 210 Is fastened to.

종리브(120)는 이웃한 횡프레임(110)의 상부에 격자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최외측 종리브(120)의 제2수직부(121)의 중심(C)이 횡프레임(110)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길이(L)만큼 횡프레임(110)의 중앙부측으로 이동되어 설치되고, 종리브(120)의 하단이 횡프레임(11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므로 구조물 길이방향에서 보면 횡프레임(110)들 사이의 측면은 개방된다. 또한, 종리브(120)와 횡프레임(110)의 격자 형태의 배치로 횡프레임(110)의 하면은 개방된다. 또한, 종리브(120)는 주형(210)의 길이방향이면서 주형(210)들 사이에 설치되므로 주축방향에 대한 복개조립체(200)의 단면강성을 증대시킨다. The longitudinal ribs 120 are installed in a lattice form on top of the adjacent transverse frame 110. In addition, the center (C) of the second vertical portion 121 of the outermost longitudinal rib 120 is mov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10 by a predetermined length (L)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0, the longitudinal rib Since the lower end of the 120 is spaced apart by a certain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the side surface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110 is opened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10 is opened in a grid-like arrangement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and the horizontal frame 110.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rib 120 is installed between the mold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ld 210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rigidity of the cover assembly 200 in the main axis direction.

복공판(320)은 도 30에서와 같이 복개조립체(200)와 복개조립체(200)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이고, 상판(14)과 더불어 지면을 이룬다. 여기서, 복공판(320)은 종래의 일반적인 복공판을 사용할 수도 있고, 횡프레임(110), 종리브(120) 및 상판(130)으로 구성된 복공체(100)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일반 복공판인 경우, 도 30에서와 같이 복공판(320)의 단부는 주형(210)의 상부플랜지(212) 상면 일부위에 고정되고, 이때 상부플랜지(212)의 상면 기타부위에 횡프레임(110)의 단부가 고정된다. 또한, 복공판(320)의 고정은 횡프레임(110)들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단위체 또는 단위체가 아닌 상태의 복공체(100)로 제작된 복공판(320)인 경우, 횡프레임(110)의 단부가 상부플랜지(212) 상면 일부위에 고정되고, 상부플랜지(212)의 상면 기타부위에는 복개조립체(200)에서의 횡프레임(110)의 단부가 고정된다. 여기서, 도 33에서와 같이 복강판(320)이 단위체로 구성된 복공체(100)로 대체되는 경우, 도 10의 복공체(100)를 단위체로 하여 별도 제작하고, 이 복공체(100)가 주형(210)의 상부에 사방(四方)으로 연속 배치 및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가로보(240)가 설치되거나 제1지지부재(2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복공체(100)의 횡프레임(110)과 주형(210)이 개방된 측면 또는 하면을 통해 볼팅 체결되므로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고, 추후 반복된 재활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33에서 확대된 도면에서는 주형(210)과 횡프레임(110)의 체결을 확실히 인지할 수 있도록 도시하기 위해 일부 은선이 실선으로 도시되었다. The porous plate 320 is a member disposed between the abdomen assembly 200 and the abdomen assembly 200, as shown in FIG. 30, and forms a surface together with the upper plate 14. Here, the perforated plate 320 may use a conventional general perforated plate, or may be made of a perforated body 100 composed of a horizontal frame 110, longitudinal ribs 120 and the top plate 130. In the case of a normal perforated plate, the end of the perforated plate 320 is fixed to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12 of the mold 210, as shown in Figure 30, wherei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frame of the upper flange 212 of the transverse frame 110 The end is fixed. In addition, the fixing of the perforated plate 320 is made through an open space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110.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erforated plate 320 made of the unit body or the non-unit body of the porous body 100,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0 is fix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lange 212,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12 The other part is fixed to the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in the abdomen assembly 200. Here, when the perforated plate 320 is replaced with a perforated body 100 composed of units as shown in FIG. 33, the perforated body 100 of FIG. 10 is manufactured separately as a unit, and the perforated body 100 is a mold. Consistently arranged and fastened in four directions on the top of the (210). In addition, the first gabor 240 may be installed or the first support member 220 may be installed as necessary. At this time, the horizontal frame 110 and the mold 210 of the perforated body 100 is bolted through the open side or bottom, so that fastening and dismantling is easy, and repeated recycling is possible later. Here, in the enlarged view of FIG. 33, some hidden lines are shown as solid lines in order to clearly recognize the fastening of the mold 210 and the transverse frame 110.

이외의 다른 예로, 단위체 제작이 아닌 가설벤트(310), 주형(210), 횡프레임(110), 종리브(120) 및 상판(130)의 각 부재들이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복개조립체(200)가 단위체로 제작되고, 가설벤트(310)의 상부에 주형(210)이 연속배치되어 상호 체결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members of the temporary vent 310, the mold 210, the transverse frame 110, the longitudinal rib 120 and the upper plate 130 may be sequentially installed instead of the unit. As another example, the abdomen assembly 200 may be manufactured as a unit, and the mold 210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emporary vent 310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한편, 현장이음데크(215)와 복공판(320)이 복공체(100)로 제작됨으로써, 종래보다 강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eld joint deck 215 and the perforated plate 320 is made of the perforated body 1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steel than conventional.

<가설구조물의 설치방법><Installation method of temporary structure>

도 2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에 따라 도 9의 복개조립체를 포함한 가설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공정이 순서대로 도시된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2는 도 30의 평면도이며, 도 33은 본 발명에 따라 도 10의 복공체를 포함하여 설치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설구조물이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에 따라 가설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공정도이며,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이고, 도 36은 도 3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구조물의 설치 공정의 제1실시예는 도 34에서와 같이, 가설벤트(310) 상부에 주형(210)을 설치한 후 복공체(100)를 설치하고, 현장이음데크(215) 및 복공판(320)을 설치한다. 또한, 설치 공정의 제2실시예는 도 35에서와 같이, 가설벤트(310)의 상부에 별도 제작된 복개조립체(200)를 안착시켜 설치한 후 현장이음데크(215) 및 복공판(320)을 설치한다. 또한, 설치 공정의 제3실시예는 도 36에서와 같이, 가설벤트(310)의 상부에 주형(210)을 설치한 후, 복공체(100)를 사방으로 연속 설치하여 복공판(320)을 복공체(100)로 대체하여 설치한다. 28 to 31 are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in order the process for installing the temporary structure including the abdominal assembly of Figure 9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2 is a plan view of Figure 30, Figure 33 is a view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 side view showing a temporar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ing the porous body of Figure 10, Figure 34 is a process diagram for installing the tempor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5 is a tempor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or installing the, Figure 36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installing the tempor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shown in FIG. Her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tempor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4, after the mold 2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emporary vent 310 to install a porous body 100, the field joint deck 215 and the perforated plate 320 are provided. 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nstallation process, as shown in FIG. 35, the seat joint deck 215 and the perforated plate 320 are installed by seating and installing the cover assembly 200 separately manufactur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emporary vent 310. Install.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installation process, as shown in FIG. 36, after the mold 2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emporary vent 310, the porous body 100 is continuously installed in all directions to recover the porous plate 320. Install by replacing the ball 100.

제1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복공체(100)를 제작(S10)한다. 이 복공체(100)의 제작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횡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횡프레임(110)을 배치(S11)한다. 이때, 횡프레임(110)은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대략 "⊥"자 형상인 횡프레임(110)의 제1수직부(112)에 일정 간격마다 결합홈(113)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횡프레임(110)의 상부에 대략 "T"자 형상인 종리브(120)를 종방향으로 설치(S12)한다. 이때, 횡프레임(110) 결합홈(113)에 종리브(120)의 제2수직부(1212)를 끼운 후 용접 또는 볼팅 체결 등으로 견고히 고정한다. 또한, 종래브(120)는 1개 또는 2개 이상 설치된다. 따라서, 횡프레임(110)과 종리브(12)의 격자 배치로 인해 횡프레임(110)의 하면이 개방된다. 다음으로, 종리브(120)의 상면 즉, 제2수평부(12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상판(130)을 설치(S13)한다. 평판 형상의 상판(130)이 종리브(120)의 상면, 자세하게는 제2수평부(122)의 상면에 안착된 후 용접 또는 볼팅 체결 등으로 견고히 고정된다. 이외에, 상판(130)과 횡프레임(110) 사이에 별도의 이음부재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결한 후 용접 또는 볼팅 체결하여 상판(130)과 횡프레임(110)을 견고히 고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종리브(120)가 횡프레임(110)에 중첩되어 배치되므로 복개조립체(200)의 형고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종리브(120)는 종래와는 달리 측면형상의 중심선(C)이 횡프레임(110)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길이(L)만큼 횡프레임(110)의 중앙부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여 설치되고, 종리브(120)의 하단과 횡프레임(110)의 하단이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물 길이방향에서 보면 횡프레임(110)들 단부에서의 측면이 개방된다. 한편, 횡프레임(110)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이웃한 횡프레임(110)들 사이에 거치부재(1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rst, the porous body 100 is manufactured (S10). Looking 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rous body 100, first, at least two horizontal frame 1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rranged (S11). At this time, the horizontal frame 11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parallel. In addition, coupling grooves 11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irst vertical portion 112 of the transverse frame 110 having a substantially “⊥” shape. Next, a vertical rib 120 having a substantially “T” shape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10 (S12). At this time, the second vertical portion 1212 of the longitudinal rib 12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3 of the horizontal frame 110, and then firmly fixed by welding or bolting. In addition, one or more conventional rods 120 are installed. Therefore,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verse frame 110 is opened due to the lattice arrangement of the transverse frame 110 and the longitudinal ribs 12. Next, the upper plate 130 is install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rib 12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22 (S13). The flat plate 13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in detail,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22 and then firmly fixed by welding or bolting. In addition, after connecting a separate joint member vertically or horizontally between the upper plate 130 and the transverse frame 110 may be firmly fixed to the upper plate 130 and the transverse frame 110 by welding or bolting. Here, since the longitudinal ribs 120 are disposed to overlap the horizontal frame 110, the mold height of the cover assembly 200 may be lowered.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rib 120 is installed by moving the central line C of the side shape to a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10 by a predetermined length (L)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0, unlike the prior art, longitudinal rib Since the lower end of the 120 and the lower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by a certain height, the sides at the ends of the transverse frames 110 are opened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buckling of the transverse frame 110, the mounting member 140 may be further installed between neighboring transverse frames 110.

다음으로, 지반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가설벤트(310)에 주형(210)을 설치(S20)한다. 이때, 적어도 2개의 주형(210)은 별도의 이음부재(114)로 볼팅 체결되면서 이음매에 용접으로 연결된다. 또한, 1개의 가설벤트(310)의 상부에 받침판(312) 및, 받침판(312)에 중심부위가 위치되도록 받침거더(313)를 설치하고, 이 받침거더(313)의 양측단부에 각각 주형(210)을 설치한다. 이 받침거더(313)의 휨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브라켓(314) 및 받침보(313a)를 설치한다. 또한, 횡프레임(110)을 지지하기 위해 제1지지부재(220) 또는 지지빔(230)을 설치한다. 또한, 일체거동을 위해 받침거더(313)들 사이에 제2가로보(315)를 설치하고, 복공판(320) 양측의 주형들(210) 사이에 제1가로보(240)를 설치한다. Next, the mold 210 is installed in at least two temporary vents 310 installed in the ground (S20). At this time, the at least two molds 210 are connected to the joint by welding while bolting to a separate joint member 114. In addition, a support girder 313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312 and the support plate 312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support plate 312, and the molds ar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support girder 313, respectively. 210). The bracket 314 and the support beam 313a are installed to prevent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support girder 313. In addition, a first support member 220 or a support beam 230 is installed to support the horizontal frame 110. In addition, the second girders 315 are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girders 313 for the integral operation, and the first girders 240 are installed between the molds 210 on both sides of the perforated plate 320.

다음으로, 최외측 주형(210)의 상면에 횡프레임(110)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적어도 2개의 복공체(100)를 설치(S30)한다. 이때, 횡프레임(110)의 단부는 주형(210)의 상부플랜지(213) 상면 중 일부면에 안착된 후, 종리브(120)와 횡프레임(110)의 배치에 의해 개방된 측면 및, 횡프레임(110), 종리브(120) 및 주형(210)의 배치에 의해 개방된 하면통해 결합된다. 이때, 복공체(100)의 측면 개방은 종리브(120)와 횡프레임(110)의 배치 구조에 의해 보장된다. 따라서, 하중이 주형(210)과 종리브(120)에 의해 지지되므로 단면강성은 증대되고, 또한 주형(210)과 복공체(100)는 견고한 결합으로 상호 일체거동을 하게 되므로 단면강성이 더욱 증대된다. 물론, 횡프레임(110)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이웃한 횡프레임(110)들 사이에 종리브(120)와 같이 측면 개방을 보장하면서 거치부재(1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Next, at least two perforated bodies 10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most mold 210 so that the end portions of the transverse frames 110 are fixed (S30). At this time, the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is seat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13 of the mold 210, and then opened by the arrangement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and the transverse frame 110, and the transverse frame It is coupl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pened by the arrangement of the 110, the longitudinal ribs 120 and the mold 210. At this time, the side opening of the porous body 100 is ensured by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ongitudinal rib 120 and the transverse frame 110. Therefore, since the load is supported by the mold 210 and the longitudinal ribs 120, the cross-sectional rigidity is increased, and the cross-section rigidity is further increased because the mold 210 and the porous body 100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firm coupling. . Of course, in order to prevent buckling of the transverse frame 110, the mounting member 140 may be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adjacent transverse frames 110 to ensure side openings such as the longitudinal ribs 120.

다음으로, 주형(210)의 연결부위이면서 횡프레임(110) 사이에 현장이음데크(215)를 개재하여 설치(S40)한다. 이때, 현장이음데크(215)는 횡종리브(110), 종리브(120) 및 상판(130)으로 구성된 복공체(100)로 제작된다. 물론, 종래의 일반적인 현장이음데크를 이용할 수도 있다. Next, while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old 210 is installed through the field joint deck 215 between the transverse frame 110 (S40). At this time, the field joint deck 215 is made of a perforated body 100 composed of a transverse longitudinal rib 110, longitudinal rib 120 and the top plate 130. Of course, a conventional general field joint deck may be used.

다음으로, 주형(210)과 복공체(100를 포함하는 복개조립체(200) 사이에 복공판(320)을 개재하여 설치(S50)한다. 이때, 복공판(320) 역시 횡종리브(110), 종리브(120) 및 상판(130)으로 구성된 복공체(100)로 제작된다. 물론, 종래의 복공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복공판(320)의 단부(320)는 주형(210)의 상부플랜지(112)의 상면 중 횡프레임(130)이 접촉되지 않은 잔여 상면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현장이음데크(215)를 설치하는 단계(S40)와 복공판(320)을 설치하는 단계(S50)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Next, it is installed between the mold 210 and the abdominal assembly 200 including the perforated body 100 via a perforated plate 320 (S50). At this time, the perforated plate 320 is also transverse longitudinal rib 110, longitudinal rib ( 120 and a top plate 130. Of course, a conventional double plate may be used, and the end 320 of the double plate 320 may have an upper flange 112 of the mold 210.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30 is fixed to the rest is not fixed to the rest of the upper surface, the step of installing the field joint deck 215 (S40) and the step of installing the perforated plate 320 (S50) in order Can be changed.

한편,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고, 다만 복공체(100)로 조립하여 설치하는지, 복개조립체(200)로 조립하여 설치하는지에 대한 차이만 있을 뿐이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시공에 대한 순서만 조정하여 기술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but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whether the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ventilated body 100, or installed in the vent assembly 200.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is described by adjusting only the order for construction.

먼저, 복개조립체(200)를 제작(S100)한다. 이 복개조립체(200)의 제작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종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주형(210)을 배치(S110)한다. 이때, 주형(210)은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다음으로, 주형(210)의 상부에 격자형태로 적어도 2개의 횡프레임(110)을 배치(S120)한다. 다음으로, 횡프레임(110)의 상부에 대략 "T"자 형상인 종리브(120)를 종방향으로 설치(S130)한다. 이때, 주형(210), 횡프레임(110)과 종리브(120)의 연계 배치로 인해 복공체(110)의 하면이 개방되고, 횡프레임(110)과 종리브(120)의 연계 배치로 인해 및 복공체(110)의 측면이 개방된다. 이때, 복공체(100)의 측면 개방을 보장하면서 거치부재(140)가 횡프레임(110)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종리브(120)의 상면 즉, 제2수평부(12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상판(130)을 설치(S13)한다. First, to produce a stomach assembly 200 (S100). Looking 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ver assembly 200, first, at least two molds 210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110). In this case, the molds 2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parallel. Next, at least two horizontal frames 110 in a lattice form on the mold 210 (S120). Next, a vertical rib 120 having a substantially “T” shap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130). 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perforated body 110 is opened due to the collocation arrangement of the mold 210, the transverse frame 110, and the longitudinal ribs 120, and the coordination arrangement of the transverse frame 110 and the longitudinal ribs 120 and The side of the cavity 110 is opened. At this time, the mounting member 14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110 while ensuring the lateral opening of the porous body 100. Next, the upper plate 130 is install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rib 12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22 (S13).

다음으로, 지반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가설벤트(310)의 상부에 주형(210)을 배치하여 복개조립체(200)를 설치(S200)한다. Next, the mold assembly 210 is disposed on the at least two temporary vents 310 installed on the ground to install the cover assembly 200 (S200).

다음으로, 주형(210)의 연결부위이면서 횡프레임(110) 사이에 현장이음데크(215)를 개재하여 설치(S300)한다. Next, while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old 210 is installed via the field joint deck 215 between the transverse frame 110 (S300).

다음으로, 복개조립체(200) 사이에 복공판(320)을 개재하여 설치(S400)한다. Next, it is installed through the vent hole plate 320 between the cover assembly 200 (S400).

한편,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고, 다만, 복공판(320)을 복공체(100)로 대체하여 설치하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복공판(320)의 설치 공정이 배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hird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installing the perforated plate 320 to replace the perforated body (100). Therefor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porous plate 320 is excluded.

먼저 복공체(100)를 제작(S1000)한다. 이 복공체(100)의 제작공정에서 횡프레임(110) 배치(S1100), 종리브(120) 설치(1200) 및 상판(130) 설치(S1300)하는 공정은 제1실시예의 S11, S12, S13 공정과 동일하다First, to produce a porous body 100 (S1000).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rous body 100,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horizontal frame 110 (S1100), the longitudinal rib 120, the installation 1200, and the upper plate 130 (S1300) is performed in steps S11, S12, and S13 of the first embodiment. Is the same as

다음으로, 지반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가설벤트(310)에 주형(210)을 설치(S2000)한다. 이 주형(210) 설치(S2000) 공정 역시 제1실시예의 S20 공정과 동일하다. Next, the mold 210 is installed in at least two temporary vents 310 installed on the ground (S2000). This mold 210 installation (S2000) process is also the same as the S20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다음으로, 최외측 주형(210)의 상면에 횡프레임(110)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적어도 2개의 복공체(100)를 사방으로 연속설치(S3000)한다. 이때, 복공체(100)는 제1실시예에서의 복공판(320)을 대체하여 설치된다. 이로 인해, 주형(210)에는 복공판(320)을 배제한 채 복공체(100)만이 연속설치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의 공정 S50이 배제된다. Next, at least two perforated bodies 100 are continuously installed in all directions so that the ends of the transverse frame 110 ar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most mold 210 (S3000). At this time, the porous body 100 is installed to replace the porous plate 320 in the first embodiment. For this reason, only the perforated body 100 is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mold 210 without the perforated plate 320 being removed. Therefore, step S50 in the first embodiment is excluded.

다음으로, 주형(210)의 연결부위이면서 횡프레임(110) 사이에 현장이음데크(215)를 개재하여 설치(S4000)한다. 이 공정(S4000) 역시 제1실시예의 S40 공정과 동일하다. Nex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old 210 and installed between the transverse frame 110 via the field joint deck 215 (S4000). This step S4000 is also the same as the step S40 of the first embodiment.

따라서, 복공체(100)를 별도 제작하여 작업현장에서 조립하는 형태로 주형(210)에 결합시킴으로써, 가설구조물(300)을 완성한다. 또는, 복공체(100)와 주형(210)을 포함한 복개조립체(200)를 별도 제작하여 작업현장에서 가설벤트(310)에 조립하는 형태로 결합시킴으로써, 가설구조물(300)을 완성할 수도 있다.
Therefore, by manufacturing the perforated body 100 separately and assembled to the mold 210 in the form of assembly at the work site, the temporary structure 300 is completed. Alternatively, the temporary assembly 300 may be completed by separately manufacturing the abdominal assembly 200 including the perforated body 100 and the mold 210 and assembling the temporary vent 310 to the work si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복공체, 110..횡프레임,
120...종리브, 130...상판,
200...복개조립체, 210...주형,
215...현장이음데크, 300...가설구조물,
310...가설벤트, 311...파일,
320...복공판.
100 ... revolved body, 110..lateral frame,
120 ... longitudinal ribs, 130 ... tops,
200 ... cover assembly, 210 ... mould,
215 ... on-site joint deck, 300 ...
310 ... hypothetical vent, 311 ... file,
320 ... recovery plate.

Claims (16)

길이방향으로 결합홈(113)이 다수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횡프레임(110);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결합홈(113)에 끼워져 격자형태로 설치된 종리브(120); 및
상기 종리브(120)의 상부에 설치된 상판(13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횡프레임(110)과 상기 종리브(120)의 격자 배치로 인해 하면이 개방되고,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종리브(120)의 측면형상의 중심선(C)이 상기 횡프레임(110)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L)를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횡프레임(110)들 사이의 공간이 외부와 통하여 측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성이 향상된 복공체.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13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least two horizontal frames 110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Vertical ribs 120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nd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113 and installed in a lattice form; And
An upper plate 130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rib 120;
Due to the lattice arrangement of the transverse frame 110 and the longitudinal ribs 120, the lower surface is opened, and the centerline C of the lateral shape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s formed from the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It is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L) is a space between the lateral frame 110, the opening is improv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is opened through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프레임(110) 또는 종리브(120)는 측면형상이 "ㅗ"자 형상, "I"자 형상, "L"자 형상, "T"자 형상, "ㄷ"자 형상 또는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성이 향상된 복공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horizontal frame 110 or longitudinal rib 120 has a side shape of "ㅗ" shape, "I" shape, "L" shape, "T" shape, "c" shape or "│" shape The porous body with improved opennes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30)은 상기 종리브(120)의 상면에 접촉되어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결합홈(113)에 상기 종리브(120)가 하향 끼워지고, 상기 종리브(120)의 상면이 상기 횡프레임(110)의 상면보다 더 높게 위치되어 상기 상판(13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종리브(12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횡프레임(110)에 의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성이 향상된 복공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plate 130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rib 120, and
The longitudinal rib 120 is inserted downward into the coupling groove 11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rib 12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10 so that the load transferred from the upper plate 130 is increased. Supported by (120), it is distributed by the transverse frame (110)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 body with improved openn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리브(120)의 하단은 상기 횡프레임(11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성이 향상된 복공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is improved openness,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by a predetermined h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프레임(110)들 사이에 설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횡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측면형상이 "ㅗ"자 형상, "I"자 형상, "L"자 형상, "T"자 형상, "│"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이고, 상기 횡프레임(110)의 하부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된 거치부재(14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성이 향상된 복공체.
The method of claim 1,
Installed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110,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transverse frame 110, the side shape is "ㅗ" shape, "I" shape, "L" shape, "T" shape, "│" shape or "c" shape, the mounting member 14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by a certain heigh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verse frame (110); the open body improved improved opennes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주형(210); 및
상기 주형(210)의 상부에 설치된 제1항의 복공체(100);가 포함되고, 그리고
상기 복공체(100)에서 격자배치로 개방된 하면 및, 종리브(120)의 하단과 횡프레임(110)의 하단 간의 이격으로 개방된 측면을 통해 상기 주형(210)과 상기 횡프레임(110)이 일체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체와 주형의 일체화로 단면강성 및 개방성이 증대된 복개조립체.
At least two molds 210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Includes; the porous body of claim 1 installed on top of the mold 210, and
The mold 210 and the transverse frame 110 are opened through a lower surface opened in a lattice arrangement in the porous body 100 and a side surface spaced apart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rib 120 and the lower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An abdomen assembly having an increased cross-sectional stiffness and openness by integrating a cavity and a mold, which are fixed integrall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횡프레임(110)의 단부는 최외측 상기 주형(210)의 상면 일부위에 안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체와 주형의 일체화로 단면강성 및 개방성이 증대된 복개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 end portion of the transverse frame 110 is seat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most mold (210) is fixed to the abdominal assembly and the integration of the mold, the cross-sectional rigidity and openness increased assembly.
제6항의 복개조립체(200);
상기 복개조립체(200)들 사이이면서 주형(210)의 상부플랜지(212) 상면에 단부가 안착되어 설치된 복공판(32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조립체가 포함된 가설구조물.
The abdominal assembly 200 of claim 6;
Temporar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e abdominal assembly between the gap between the abdomen assembly 200, the upper flange 212 of the mold 210 is installe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210)의 상부플랜지(212) 상면에는 상기 복개조립체(200)의 횡프레임(110)의 단부와 상기 복공판(320)의 단부가 안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조립체가 포함된 가설구조물.
9. The method of claim 8,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12 of the mold 210,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0 of the abdomen assembly 200 and the end of the abdominal plate 320, the hypothesis tha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 is fixed structure.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주형(210); 및
상기 주형(210)의 상부에 복공판(320)을 배제한 채 사방으로 연속설치된 적어도 2개인 제1항의 복공체(1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복공체(100)상기 복공체(100)에서 격자배치로 개방된 하면 및, 종리브(120)의 하단과 횡프레임(110)의 하단 간의 이격으로 개방된 측면을 통해 상기 주형(210)과 상기 횡프레임(110)이 일체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조립체가 포함된 가설구조물.
At least two molds 210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And a plurality of at least two of the perforated body of claim 1, which is continuously installed in all directions without removing the perforated plate 32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210; and
The mold 210 and the lower surface through the lower surface opened in a lattice arrangement and the lower side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and the lower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in the open space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rib 120 Temporary structure with a double cov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frame 110 is integrally fix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210)의 상부플랜지(212) 상면에는 상호 이웃한 상기 복공체(100)의 횡프레임(110) 단부들이 안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조립체가 포함된 가설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0,
The upper structure (212) of the mold 210, the temporar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dome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of the adjacent perforated body 100 is seated and fixed.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210)들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결합된 부위이면서 횡프레임(110)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된 현장이음데크(215);가 더 포함되고, 그리고
상기 현장이음데크(215)는 상기 횡프레임(110), 종리브(120) 및 상판(130)을 포함한 복공체(100)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조립체가 포함된 가설구조물.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10,
The mold 210 is a site-joint deck 215 interposed between the transverse frame 110 while being coupl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d; further includes, and
The on-site joint deck 215 is a temporary structure containing a ventila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perforated body 100 including the transverse frame 110, longitudinal ribs 120 and the top plate 130.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개조립체(200)의 주형(210)들 사이에 위치하여 횡프레임(1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지지빔(230);이 더 포함되고, 그리고
상기 지지빔(230)은 상기 주형(210)들의 복부(213)를 연결하여 설치된 제2지지부재(154)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154)의 단부는 상기 주형(210)의 복부(213)에 높이방향으로 고정된 제2결합부재(232)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조립체가 포함된 가설구조물.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10,
And a support beam 230 positioned between the molds 210 of the abdomen assembly 200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verse frame 110.
The support beam 2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54 installed by connecting the abdomen 213 of the mold 210,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54 is the mold 210 The hypothesis that includes an abdome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2 fixed in the height direction to the abdomen (213).
제8항 또는 제10항의 가설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횡프레임(110)들과 종리브(120)들이 격자형태로 결합되면서 최외측 상기 종리브(120)의 측면 형상의 중심선(C)이 상기 횡프레임(110)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L)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종리브(120)의 하단과 상기 횡프레임(110)의 하단 사이에 일정 높이가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종리브(120)의 상부에 상판(130)이 설치되어 하면 및 측면이 개방되도록 복공체(100)를 제작하는 제1단계(S10);
지반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가설벤트(310)의 상부에 적어도 2개의 주형(210)을 구조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제2단계(S20);
최외측 상기 주형(210)의 상면 중 일부위에 상기 횡프레임(110)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주형(210)의 상부에 적어도 2개의 상기 복공체(100)를 설치하는 제3단계(S30);
상기 주형(210)의 연결부위이면서 상기 횡프레임(110) 사이에 현장이음데크(215)를 개재하여 설치하는 제4단계(S40);
상기 주형(210)과 상기 복공체(100)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복개조립체(200) 사이이면서 상기 주형(210)의 상면 중 잔여 부위에 단부가 고정되도록 복공판(320)을 개재하여 설치하는 제5단계(S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의 시공방법.
In 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temporary structure of claim 8 or 10,
As the horizontal frames 110 and the longitudinal ribs 120 are combined in a lattice form, the center line C of the side shape of the outermost longitudinal ribs 120 is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L from an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0. A predetermined height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and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0, and the upper plate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so that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are opened. A first step (S10) of manufacturing 100;
A second step (S20) of installing at least two molds 210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on top of at least two temporary vents 310 installed on the ground;
A third step (S30) of installing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perforated bodies (100)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ld (210) such that an end portion of the transverse frame (110) is fixed on a part of an upper surface of the outermost mold (210);
A fourth step (S40) which is install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mold 210 via the field joint deck 215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110;
The agent 210 is installed between the mold 210 and the at least two abdominal assemblies 200 including the vent holes 100 and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an end is fixed to the remaining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 210. Step 5 (S50); Construction method of the temporar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de.
제8항 또는 제10항의 가설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주형(210)들, 횡프레임(110)들 및 종리브(120)들이 격자형태로 결합되면서 최외측 상기 종리브(120)의 측면 형상의 중심선(C)이 상기 횡프레임(110)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L)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종리브(120)의 하단과 상기 횡프레임(110)의 하단 사이에 일정 높이가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종리브(120)의 상부에 상판(130)이 설치되고, 상기 횡프레임(110)이 상부에 격자형태로 결합되도록 적어도 2개의 주형(210)이 설치되면서 상기 횡프레임(110)의 단부가 상기 주형(210)의 상면 중 일부위에 고정되어 하면 및 측면이 개방되도록 복개조립체(200)를 제작하는 제10단계(S100);
지반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가설벤트(310)의 상부에 적어도 2개의 상기 복개조립체(200)를 설치하는 제20단계(S200);
상기 주형(210)의 연결부위이면서 상기 횡프레임(110) 사이에 현장이음데크(215)를 개재하여 설치하는 제30단계(S300);
이웃한 상기 복개조립체(200) 사이이면서 상기 주형(210)의 상면 중 잔여 부위에 단부가 고정되도록 복공판(320)을 개재하여 설치하는 제40단계(S4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의 시공방법.
In 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temporary structure of claim 8 or 10,
As the molds 210, the transverse frames 110, and the longitudinal ribs 120 are combined in a lattice form, the center line C of the lateral shape of the outermost longitudinal ribs 120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It is installed to have L), a predetermined height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and the lower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the upper plate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At least two molds 210 are installed so that the transverse frame 110 is coupled in a lattice form on the top thereof, and the end of the transverse frame 110 is fixed to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 210 so that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are opened. A tenth step (S100) of manufacturing the abdomen assembly 200;
A 20th step (S200) of installing at least two of the cover assembly 200 on an upper portion of the at least two temporary vents 310 installed on the ground;
A thirty-stage step (S300) of being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mold 210 via the field joint deck 215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110;
40th step (S400) between the neighboring the abdomen assembly 200 and installed through the vent hole plate 320 so that the end is fixed t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 (210);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ructure.
제8항 또는 제10항의 가설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횡프레임(110)들과 종리브(120)들이 격자형태로 결합되면서 최외측 상기 종리브(120)의 측면 형상의 중심선(C)이 상기 횡프레임(110)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L)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종리브(120)의 하단과 상기 횡프레임(110)의 하단 사이에 일정 높이가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종리브(120)의 상부에 상판(130)이 설치되어 하면 및 측면이 개방되도록 복공체(100)를 제작하는 제100단계(S1000);
지반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가설벤트(310)의 상부에 적어도 2개의 주형(210)을 구조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제200단계(S2000);
최외측 상기 주형(210)의 상면 중 일부위에 상기 횡프레임(110)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주형(210)의 상부에 적어도 2개의 상기 복공체(100)를 사방으로 연속설치하는 제300단계(S3000);
상기 주형(210)의 연결부위이면서 상기 횡프레임(110) 사이에 현장이음데크(215)를 개재하여 설치하는 제400단계(S40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의 시공방법.
In 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temporary structure of claim 8 or 10,
As the horizontal frames 110 and the longitudinal ribs 120 are combined in a lattice form, the center line C of the side shape of the outermost longitudinal ribs 120 is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L from an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0. A predetermined height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and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0, and the upper plate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ngitudinal ribs 120 so that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are opened. A 100th step of manufacturing 100 (S1000);
Step 200 of installing at least two molds 210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on an upper portion of at least two temporary vents 310 installed on the ground;
Step 300 of continuously installing the at least two perforated bodies 100 in all directions on the upper part of the mold 210 so that an end portion of the transverse frame 110 is fix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most mold 210 ( S3000);
Construction step of the temporar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step of the mold 210 and the instal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110 via the field joint deck (215) (S4000);
KR1020120055514A 2012-04-13 2012-05-24 Deck assembly with enhanced openness, lining assembly with reinforced rigidity and openness by integrating girder and the same, tempora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having the lining assembly KR10120582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8583 2012-04-13
KR1020120038583 2012-04-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823B1 true KR101205823B1 (en) 2012-12-03

Family

ID=4790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514A KR101205823B1 (en) 2012-04-13 2012-05-24 Deck assembly with enhanced openness, lining assembly with reinforced rigidity and openness by integrating girder and the same, tempora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having the lining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82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123A (en) 2016-09-28 2018-04-05 에이치디복공체 주식회사 Modular deck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emporary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210040215A (en) * 2019-10-02 2021-04-13 (주)바로건설기술 Truss mounting structure supporting unit plate
KR20210065327A (en) * 2019-11-27 2021-06-04 박민경 Deck assembly having upper plate of single layer or double layer pattern of preventing sliding and deck assembly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823B1 (en) 2007-02-05 2007-07-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Girder conbined with the steel roof frame for temporary brid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823B1 (en) 2007-02-05 2007-07-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Girder conbined with the steel roof frame for temporary bridg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123A (en) 2016-09-28 2018-04-05 에이치디복공체 주식회사 Modular deck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emporary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210040215A (en) * 2019-10-02 2021-04-13 (주)바로건설기술 Truss mounting structure supporting unit plate
KR102316330B1 (en) * 2019-10-02 2021-10-25 (주)바로건설기술 Truss mounting structure supporting unit plate
KR20210065327A (en) * 2019-11-27 2021-06-04 박민경 Deck assembly having upper plate of single layer or double layer pattern of preventing sliding and deck assembly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17849B1 (en) * 2019-11-27 2021-10-27 박민경 Deck assembly having upper plate of single layer or double layer pattern of preventing sliding and deck assembly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823B1 (en) Deck assembly with enhanced openness, lining assembly with reinforced rigidity and openness by integrating girder and the same, tempora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having the lining assembly
KR101082575B1 (en) Reinforced long steel beam for stiffnes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CN103243818B (en) The connected node of a kind of concrete column and girder steel
CN204919882U (en) Assembled shear force wall
KR101851957B1 (en) Modular deck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emporary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409280B1 (en) Prefabricated circular steel pipe gird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04736781A (en) Wall element for building in prefabricated construction
CN101307620B (en) Building module unit and building structure using same
KR101077820B1 (en) Temporary bride construction method using module member
KR101776900B1 (en) Modular deck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emporary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120083020A (en) Precast module foot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with
CN110331797B (en) Detachable assembly type shear wall structure with replaceable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KR101050166B1 (en) Slab module and knock-down type modular construction of use it
KR101530785B1 (en) Holding a raised floor reinforcement
CN106480997A (en) The modular assembly connection limb steel plate shear force wall of replaceable core module
CN207863168U (en) Assembled integrated framework for building
KR102000114B1 (en) Modular truss girder for temporary bridge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KR101454888B1 (en) Circle steel girder having horizontal support and girder bridge
JP5661591B2 (en) Trailer front wall
KR101171061B1 (en) Modular unit with connector and floor heating plate
CN211690923U (en) Prefabricated assembled frame construction wall body
KR101275043B1 (en) truss structure for multipurpose construction temporary bent
KR100995832B1 (en) A slit debris barrier
KR101234610B1 (en) Complex superstructure of continuous bridge and connecting structure used therein
CN110541503A (en) Prefabricated assembled frame construction wall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