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887B1 -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887B1
KR101204887B1 KR1020100126789A KR20100126789A KR101204887B1 KR 101204887 B1 KR101204887 B1 KR 101204887B1 KR 1020100126789 A KR1020100126789 A KR 1020100126789A KR 20100126789 A KR20100126789 A KR 20100126789A KR 101204887 B1 KR101204887 B1 KR 101204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ference point
curved
reference plan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5585A (ko
Inventor
김진국
신창민
김수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00126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8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65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6Topological mapping of higher dimensional structures onto lower dimensional surfaces
    • G06T3/067Reshaping or unfolding 3D tree structures onto 2D pla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3Reconstruction from projections, e.g. tom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1Blood vessel; Artery; Vein; Vascula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5/00Indexing scheme for image rendering
    • G06T2215/06Curved planar reformation of 3D line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 재구성(CPR, Curved Planar Reformation)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재구성(CPR, Curved Planar Reformation)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는 표시부, 인터페이스부 및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는 관 형태의 대상 물체의 굴곡에 따라 상기 대상 물체가 소정의 기준면에 대하여 2차원 영상으로 투영되는 곡면 재구성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준면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명령을 입력받는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기준면이 회전되면, 상기 대상 물체의 곡면 재구성 영상을 재구성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관 형태의 대상 물체를 진단하는데 용이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TERMINAL FOR DISPLAYING TUBULAR OBJECT WITH CURVED PLANAR REFORMATION IMA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곡면 재구성(CPR, Curved Planar Reformation)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소스가 많이 사용될 필요가 없고, 혈전이나 혈관의 곡선 형태로 인하여 조영제가 전달되지 않은 부위의 형상도 정확하면서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으며, 의사의 만족도가 극대화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10038419, 과제명: 지능형 영상진단 및 치료지원 시스템].
일반적으로 조영제란 위, 장관, 혈관, 뇌척수강, 관절강 등에 투입한 후 자기공명장치(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나 컴퓨터단층촬영기(CT: Computed Tomography)와 같은 의료장비를 이용하여 방사선 검사 시 조직이나 혈관을 잘 볼 수 있도록 각 조직의 X선 흡수차를 인위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영상의 대조도를 크게 해주는 약품이다. 이러한 조영제를 사용하면 생체 구조나 병변이 주위와 잘 구별되어 진단적 가치를 향상시켜주어 현재 많이 쓰이고 있다.
한편, 3차원 의료영상기법이란 컴퓨터단층촬영기 또는 자기공명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일련의 2차원 의료영상으로부터 3차원 의료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말하는데, 일련의 2차원 의료영상만을 통한 진단은 전체적인 입체감을 얻기 힘들고 임의의 단면 등을 관찰하기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그러나 3차원 의료영상기법을 이용하면 환부에 대한 정확한 위치 판단이 가능하고, 수술 방법을 보다 현실감 있게 예측할 수 있다.
현대에는 CT를 3차원 의료영상기법에 적용하여 CT 영상을 3차원으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진료 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관 형태(tubular structure)의 대상 물체를 가시화(visualize)하는 기법으로서 곡면 재구성(CPR, curved planar reformation) 기법이 이용되고 있다. CPR 기법은 관 형태의 대상 물체의 전체 길이를 하나의 이미지 내에서 가시화할 수 있는 수단이다.
도 10은 종래의 CPR 기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관 형태의 대상 물체, 여기서는 혈관(1000)이 사용자가 보기에 편한 형태로 재구성하여 도시된다.
사용자는 혈관(1000) 가운데서 시작점이 되는 시드 포인트(seed point)(1010)을 설정할 수 있다. 시드 포인트(1010)는 CPR 영상의 가시화를 위한 시작점이 된다.
시드 포인트(1010)를 시작으로 혈관(1000)의 곡면이 CPR 평면(1020)에 투사된다. CPR 평면(1020)은 z축 방향으로 진행하되, 혈관(1000)의 x축 방향의 구부러짐을 반영하는 곡면이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혈관(1000)의 임의의 한 기준점(1010)을 시드 포인트(1010)로 설정하면, CPR 그래픽 연산 프로세서는 혈관(1000)의 형상을 탐색하여 CPR 평면(1020)을 설정하고, CPR 영상을 연산한다.
도 10과 같은 CPR 영상은 조영제에 의하여 혈관(1000)의 영상을 명확히 얻을 수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혈관(1000)의 전체 모습을 일목 요연하게 볼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법을 이용하더라도 혈전이나 혈관의 곡선 형태로 인하여 조영제가 전달되지 않은 부위의 형상을 탐색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혈전의 크기가 크거나 혈관이 심하게 굴곡된 형태를 이루는 경우에는 혈관을 탐색할 영역이 넓은데 비해 조영제의 전달로 가시화된 혈관 부위는 상당히 작을 수 있으므로, 의사의 만족도가 상당히 낮을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의사가 여러 개의 영상을 확인하거나, 영상을 수 차례 확대, 이동 또는 회전시켜 혈관의 형태를 탐색하기도 한다. 하지만, 리소스(Resource)가 많이 사용되며, 혈관의 탐색 과정이 너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정확하면서 신속하게 혈관의 병변을 찾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혈전이나 혈관의 굽어진(curved) 형태로 인하여 조영제가 전달되지 않은 경우에 혈관을 자동으로 찾기 어려웠으며, 또한 혈관이 뼈 또는 장기에 의하여 가려지는 경우에도 혈관을 자동으로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혈관을 자동으로 찾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쉽게 혈관을 찾을 수 있도록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혈관을 찾기 위하여 전체 영상을 확대하거나 이동 또는 회전하는 경우에, 이를 계산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많은 리소스를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의 영상을 주어진 규칙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곡면 재구성(CPR, Curved Planar Reformation)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는 표시부, 인터페이스부 및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는 관 형태의 대상 물체의 굴곡에 따라 상기 대상 물체가 소정의 기준면에 대하여 2차원 영상으로 투영되는 곡면 재구성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준면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명령을 입력받는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기준면이 회전되면, 상기 대상 물체의 곡면 재구성 영상을 재구성한다.
상기 곡면 재구성 영상은 이전에 가시화된 대상 물체의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영상과, 상기 입력에 따라 재구성되고, 상기 제1 영상에 연결되어 가시화되는 대상 물체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영상을 포함한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전에, 상기 제1 영상의 종단부의 기준면을 확장하여 상기 제2 영상을 초기화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 또는 표시부는 상기 제1 영상의 종단부의 제1 기준 포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 기준 포인트의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2 기준 포인트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영상의 기준면을 회전하고, 상기 제2 영상을 재구성한다.
사용자는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대상 물체의 제2 부분을 적절하게 표시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2 영상을 최종 곡면 재구성 영상의 일부로서 승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 포인트의 입력으로 기준면을 회전시켜 곡면 재구성 영상을 재구성함으로써 조영제로도 보이지 않던 나머지 혈관을 볼 수 있으므로, 혈관의 가시화 영역을 확장시켜 나갈 수 있다. 즉, 초기에 가시화된 제1 혈관의 기준 포인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사)로부터 임의의 가상 포인트가 입력되면, 연산부가 기준면을 회전시켜 실시간으로 곡면 재구성 영상을 재구성함에 따라 제1 혈관과 연결되어 제2 혈관이 가시화되므로 여러 개의 영상을 확인하거나, 영상의 확대, 이동, 또는 회전을 여러 번 수행하지 않아도 혈전이나 혈관의 곡선 형태로 인하여 탐색하기 힘든 혈관도 정확하면서 신속하게 혈관의 병변의 위치를 찾을 수 있어 의사의 만족도가 극대화될 수 있고, 리소스가 많이 사용될 필요가 없으며, 진단에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체 혈관의 형상을 한꺼번에 탐색하는 대신 혈관을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부분을 단계적으로 탐색할 수 있으므로, 혈관의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탐색에 필요한 메모리 크기 등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사용자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곡면 재구성 영상이 혈관의 해당 부분을 적절하게 표시하고 있는지 평가하고, 적절하게 표시하고 있다고 평가되면 현재 표시되고 있는 곡면 재구성 영상을 최종 곡면 재구성 영상의 일부로 승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재구성(CPR, Curved Planar Reformation)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부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이전에 이미 가시화된 혈관의 제1 혈관이 포함된 제1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기준면의 회전으로 제1 영상에 연결되어 가시화되는 혈관의 제2 혈관을 포함하는 제2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관의 확장 곡면 재구성 영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곡면 재구성 영상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위하여 실제와는 달리 과장된 수치가 제시되었을 수 있다.
<장치의 구성에 대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재구성(CPR, Curved Planar Reformation)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도 1과 더불어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예시도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100)는 표시부(110), 인터페이스부(120), 연산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부(110)는 관 형태의 대상 물체의 굴곡에 따라 대상 물체를 소정의 기준면(Q)에 대하여 2차원 영상으로 투영하는 곡면 재구성(CPR, Curved Planar Reformation) 영상을 표시한다. 곡면 재구성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컴퓨터단층촬영기(CT: Computed Tomography) 등의 의료장비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며, 관 형태의 대상 물체(예를 들어, 혈관)가 잘 보이도록 대상 물체에 조영제가 투입될 수 있다. 조영제로는 통상적으로 요오드 화합물 등이 널리 이용되는데, 자기공명장치(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나 컴퓨터단층촬영기와 같은 의료장비를 이용하여 의료 영상을 얻는 경우에 각 조직의 X선 또는 자계의 흡수차를 인위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영상의 대조도를 크게 하는 약품을 의미한다. 조영제가 위, 장관, 혈관, 뇌척수강, 관절강 등에 투입되면, 해당 혈관 또는 장기는 의료영상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 병변(病變: 병의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생체의 변화)의 진단을 용이하게 한다.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의사)로부터 기준면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나 키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부(120)와 표시부(110)가 하나의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이를 통해서 입력과 출력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120)를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으로 터치하면,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의해 해당 기능이 수행됨으로써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100)가 기능하며, 터치스크린에서 감지된 터치의 움직임은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하기의 제어부(150)에 전달된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면, 의사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조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연산부(130)는 인터페이스부(120)로의 입력에 따라 기준면이 회전되면, 대상 물체의 곡면 재구성 영상을 재구성한다.
저장부(140)는 곡면 재구성 영상과 관련된 환자의 이름, 나이, 성별, 연락처, 촬영부위, 알고리즘, 기준 포인트(P1)와 가상 포인트(P2)의 위치 등 전반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150)는 상기 구성들(110, 120, 130, 140)을 제어한다.
이하, 연산부(130)에 의한 곡면 재구성 영상의 재구성에 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하되, 설명의 편의상 곡면 재구성 영상을 분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곡면 재구성 영상은 초기에 가시화된 대상 물체의 제1 부분(V1)을 포함하는 제1 영상(I1), 및 인터페이스부(1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재구성되고, 제1 영상(I1)에 연결되어 가시화되는 대상 물체의 제2 부분(V2)을 포함하는 제2 영상(I2)을 포함한다.
대상 물체가 혈관인 경우에, 혈관에 조영제가 투입되어 가시화가 용이한 부분을 제1 부분 또는 제1 혈관(V1)이라 하면, 혈전이나 혈관의 곡선의 형태로 인하여 조영제가 전달되지 않아 가시화가 용이하지 않은 부분을 제2 부분 또는 제2 혈관(V2)이라 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구성은 제2 혈관(V2)을 보다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가시화 방법을 제공한다.
곡면 재구성 영상에 의하면, 표시부(110)는 제1 혈관(V1)을 표시하고, 제1 혈관 상에 기준 포인트(P1)를 표시한다. 제1 혈관(V1)의 기준 포인트(P1)는 제1 혈관(V1)의 최종단에 지정되는 포인트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0)가 사용자로부터 특정 입력을 입력받기 전에, 연산부(130)는 가상 포인트(P2)의 초기 위치 및 기준면의 초기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부(130)는 제1 영상의 종단부가 생성되었을 때의 기준면을 이용하여 그 방향을 그대로 유지하며 제2 영상(I2)의 기준면을 초기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초기화된 제2 영상을 평가하여, 제2 혈관(V2)이 제2 영상(I2)에 적절하게 표시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제2 영상(I2)을 곡면 재구성 영상의 일부로서 승인하고, 제3 혈관(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제3 영상(도시되지 않음)을 탐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영상(I2)이 제2 혈관(V2)을 적절하게 표시하고 있지 못하다고 판단하면, 현재의 제2 영상(I2)을 재구성하여 제2 혈관(V2)을 탐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영상(I2)을 재구성하기로 결정한 경우에, 인터페이스부(120)가 사용자로부터 특정 입력을 입력받으면, 연산부(130)는 입력으로부터 가상 포인트(P2)의 위치를 연산한다. 가상 포인트(P2)가 지정되면 연산부(130)는 기준 포인트(P1)와 가상 포인트(P2)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기준면을 회전시킨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가상 포인트(P2)를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은 마우스나 키보드, 또는 터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쉽게 설정할 수 있고, 이를 수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연산부(130)는 사용자 입력 포인트로부터 가상 포인트(P2)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포인트(P1)로부터의 거리 및 현재 표시되고 있는 제1 영상의 기준면의 방향을 고려하여 연산부(130)가 가상 포인트(P2)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연산부(130)는 기준 포인트(P1)와 가상 포인트(P2)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기준면이 회전하도록 연산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기준면은 기준 포인트(P1) 및 가상 포인트(P2)를 지나는 평면으로, 법선 벡터의 방향에 의하여 결정된다. 해당 법선 벡터의 방향은 기준 포인트(P1) 및 가상 포인트(P2)의 위치, 및 초기화된 기준면의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상 포인트(P2)의 위치 및 기준면의 방향은 현재의 가상 포인트(P2)의 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의 상대적인 변위(displacement)에 의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의 변위에 비례하여 기준면의 방향의 회전 각도가 결정될 수 있으며, 가상 포인트(P2)의 위치도 이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입력의 예로는, 마우스의 휠(wheel)의 회전,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drag) 동작, 마우스의 터치에 의한 드래그(drag) 동작 등을 들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의 상대적인 변위를 고려하여, 연산부(130)는 기존의 가상 포인트(P2)로부터 새로운 가상 포인트(P2)의 위치 및 기준면의 방향을 연산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기준면의 방향은 x, y, z 축 중 어느 한 축에 대해서는 고정되고, 고정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자유도(degree of freedom)를 제한 받아 결정될 수도 있다. 고정된 축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은 별도의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신속하게 기준면이 회전되어 제1 혈관(V1)과 연결되는 제2 혈관(V2)이 표시부(110)에 반영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때, 가시화되는 제2 혈관(V2)의 길이는 가상 포인트(P2)의 위치, 즉 기준면의 방향에 따라 다르며, 사용자는 직접 가상 포인트(P2)의 위치를 예상한 후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임의의 가상 포인트(P2)를 입력함으로써 제1 혈관(V1)에 연장되는 제2 혈관(V2)의 가시화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이때, 편의상 연산부(130)에서의 계산을 기준으로 예측되는 가상 포인트(P2)를 표시부(110)에 미리 보여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가상 포인트(P2)의 위치를 조정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조영제는 위, 장관, 혈관 등이 잘 보이도록 해당 부위에 투입되는 약품으로, 혈관의 경우에는 혈전이나 심하게 구부러진 혈관의 곡선 형태로 인하여 조영제가 전달되지 않은 혈관의 일부 형상을 탐색하는데 한계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적용하면 가상 포인트(P2)의 입력으로 기준면을 회전시켜 곡면 재구성 영상을 재구성함으로써 조영제로도 보이지 않던 나머지 혈관을 볼 수 있으므로, 혈관의 가시화 영역을 확장시켜 나갈 수 있다. 즉, 초기에 가시화된 제1 혈관(V1)의 기준 포인트(P1)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사)로부터 임의의 가상 포인트(P2)가 입력되면, 연산부(130)가 기준면을 회전시켜 실시간으로 곡면 재구성 영상을 재구성함에 따라 제1 혈관(V1)과 연결되어 제2 혈관(V2)이 가시화되므로 여러 개의 영상을 확인하거나, 영상의 확대, 이동, 또는 회전을 여러 번 수행하지 않아도 혈전이나 혈관의 곡선 형태로 인하여 탐색하기 힘든 혈관도 정확하면서 신속하게 혈관의 병변의 위치를 찾을 수 있어 의사의 만족도가 극대화될 수 있으며, 리소스가 많이 사용될 필요가 없고, 진단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혈관(600)의 제1 부분이 혈관 재구성 영상을 통하여 도시되며, 제1 혈관(610)의 종단부에 "3"으로 표시된 제1 기준 포인트(610)가 도시된다. 초기화된 제2 영상(620)이 도시되며, 초기화된 제2 영상(620)은 혈관(600)의 제2 부분의 일부를 포함한다.
도 6에서는 혈관 재구성 영상 외에도 3차원 렌더링 영상(630)과, 관상 단면 영상(coronal image, 640), 축상 단면 영상(axial image, 650)이 표시된다. 3차원 렌더링 영상(630), 관상 단면 영상(640) 및 축상 단면 영상(650)에는 이전에 미리 탐색된 혈관의 주요 포인트들(1, 2, 3)이 표시된다.
3차원 렌더링 영상(630), 관상 단면 영상(640) 및 축상 단면 영상(650)은 현재 지정된 포인트들(1, 2, 3)이 혈관(600)을 재구성하는데 적절한지 여부를 사용자(의사)가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영상이 된다. 현재까지 확정된 포인트들(1, 2, 3) 외에 사용자의 입력 또는 연산부(130)의 초기화 과정에 의하여 제2 기준 포인트가 도출된다.
3차원 렌더링 영상(630)은 환자의 대상 부위를 CT로 촬영하여 생성된 CT 영상을 3차원으로 구현한 영상으로, 환자의 치아와 뼈뿐 아니라 신경구조물 등 깊은 곳에 숨겨진 중요한 해부학적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대상 부위의 회전 및 확대/축소가 가능하다. 축상 단면 영상(650)은 대상 부위의 횡단면을 재구성하여 생성된 영상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3차원 렌더링 영상(630), 관상 단면 영상(640) 및 축상 단면 영상(650)을 참고하여, 새롭게 설정되는 제2 기준 포인트의 위치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연산부(130)의 초기화 과정에 의하여 도출된 제2 기준 포인트가 혈관(600)의 위치를 벗어나 표시된다면, 사용자는 현재의 제2 기준 포인트 및 기준면의 방향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초기화된 제2 영상(620)이 혈관(600)의 전체 모습을 적절하게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로 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제2 영상(620)의 적절한 기준면을 탐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사용자가 제2 영상(720)을 조정하여 혈관(700)의 제2 부분을 적절하게 탐색한 경우가 도시된다.
혈관(700)의 제1 부분에 걸쳐 주요 포인트들(1, 2, 3, 4)이 도시된다. 이들 중 "4"로 표시된 제1 기준 포인트(710)의 방향으로 확장하여 제2 영상(720)이 초기화된다.
도 6에서 사용자가 제2 기준 포인트를 탐색하여 그 결과로 얻어진 점이 "4"로 표시된 제1 기준 포인트(710)이다. 즉, 사용자는 혈관(600, 700)을 적절하게 표시하는 기준 포인트를 발견하였다고 판단되면 그 기준 포인트를 승인함으로써 혈관 재구성 영상을 확정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확정된 혈관 재구성 영상에 새로운 혈관 재구성 영상을 추가하면서 전체 혈관의 모습을 탐색할 수 있다.
도 7에서 또한 3차원 렌더링 영상(730), 관상 단면 영상(740), 및 축상 단면 영상(750)이 레퍼런스 영상으로 도시되어, 사용자가 현재 기준 포인트의 위치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 재구성 영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810)이 표시부(110)의 화면에 표시된다. 제1 아이콘(810)은 사용자의 마우스 입력, 터치 입력, 또는 키패드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연산부(130)는 제1 아이콘(810)이 표시되는 위치로부터 직접적으로 제2 기준 포인트의 위치를 추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연산부(130)는 제1 아이콘(810)의 표시되는 위치를 고정시키고,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주어지는 입력 신호에 따라 사용자 입력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제2 아이콘(82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의 진행 방향이라 함은 사용자가 마우스를 드래그하는 동작의 방향, 사용자가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하는 제스쳐(gesture)의 방향,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사용자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명령을 입력한 경우가 도시된다. 연산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방향을 추출하고, 표시부(110)는 추출된 방향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820)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제2 아이콘(820)의 방향으로 연산부(130)는 제2 기준 포인트를 이동시키고, 기준면을 회전시키며, 그에 따른 제2 영상을 연산한다. 이 때 사용자가 제2 아이콘(820)의 방향으로 입력한 명령의 지속 시간 또는 입력 세기에 따라 제2 기준 포인트의 변위(displacement), 또는 기준면의 회전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입력이 제2 영상(720)의 영역 내로 진입한 경우, 제1 아이콘(810)은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며, 사용자 입력이 제2 영상(720) 내에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표시일 수 있다. 또한 제1 아이콘(810)은 사용자에게 이후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은 기준면을 회전시키는데 이용됨을 알리는 표시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 재구성 영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때 제1 아이콘(910)은 사용자 입력이 제2 영상(720) 내에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표시이면서, 이후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기준면을 회전시키는데 이용됨을 알리는 표시일 수 있다.
제3 아이콘(920)은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 표시되는 아이콘이다. 연산부(130)는 사용자의 입력 방향에 따라 제2 기준 포인트의 이동 방향 및 기준면의 회전 방향을 결정한다. 결정된 방향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입력의 지속 시간 또는 세기에 따라 연산부(130)는 제2 기준 포인트의 이동 변위 및 기준면의 회전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터치 입력을 제2 영상(720) 영역내로 이동시키면, 표시부(110)는 이후의 사용자 입력을 제2 영상(720)의 기준면을 회전하는데 이용한다는 의미로 제1 아이콘(810, 910)을 표시한다.
연산부(130)가 사용자의 입력이 상하 방향이라고 인식하면, 표시부(110)는 현재 입력이 상하 방향임을 나타내는 제2 아이콘(820)을 표시한다. 연산부(130)가 사용자의 입력이 좌우 방향이라고 인식하면, 표시부(110)는 현재 입력이 좌우 방향임을 나타내는 제3 아이콘(920)을 표시한다. 사용자의 입력의 방향이 바뀌면 연산부(130)는 이를 감지하고, 표시부(110)는 새로이 바뀐 방향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820) 또는 제3 아이콘(920)을 표시한다.
사용자의 입력이 상하 이동으로 인식되는 동안은, 연산부(130)는 제2 기준 포인트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연산부(130)는 제2 기준 포인트의 좌우 방향의 좌표는 고정되고, 제1 기준 포인트(71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원주를 따라 이동하도록 연산할 수도 있다. 기준면의 노말 벡터(normal vector)는 제2 기준 포인트의 이동 변위에 따라 좌우 방향 성분은 고정된 채로, 기준면이 제1 기준 포인트(710)와 제2 기준 포인트를 지나는 조건을 유지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이 좌우 이동으로 인식되는 동안은, 연산부(130)는 제2 기준 포인트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연산부(130)는 제2 기준 포인트의 상하 방향의 좌표는 고정되고, 제1 기준 포인트(71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원주를 따라 이동하도록 연산할 수도 있다. 기준면의 노말 벡터는 제2 기준 포인트의 이동 변위에 따라 상하 방향 성분은 고정된 채로, 기준면이 제1 기준 포인트(710)와 제2 기준 포인트를 지나는 조건을 유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되는 명령의 방향을 조정하면서 기준면의 방향을 회전해 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비교적 단순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관상 물체의 형상을 적절하게 투영하는 기준면을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다.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관상 물체의 표시방법에 대해서 도 2에 도시된 흐름도와 더불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곡면 재구성 영상 표시단계< S210 >
관 형태의 대상 물체의 굴곡에 따라 상기 대상 물체를 소정의 기준면(Q)에 대하여 2차원 영상으로 투영되는 곡면 재구성(CPR, Curved Planar Reformation)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로, 본 발명에서 곡면 재구성 영상은 초기에 가시화된 대상 물체의 제1 부분(V1)을 포함하는 제1 영상(I1) 및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재구성되고, 제1 영상(I1)에 연결되어 가시화되는 대상 물체의 제2 부분(V2)을 포함하는 제2 영상(I2)을 포함하며, 이에 관한 설명은 앞서 자세히 살펴보았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곡면 재구성 영상을 분할하여 적용하면 상기 S210에서는 제1 부분(V1)의 기준 포인트(P1)를 표시부(110)에 표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대상 물체를 혈관으로 적용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곡면 재구성 영상은 표시부(110)의 화면에 표시되는데, 도 3과 같이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100)의 표시부(110)의 화면 영역이 세 개로 나누어지는 경우 곡면 재구성 영상과 함께 3차원 영상 (3D Image)과 축상 영상 (Axial Image)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조영제가 혈관에 투입된 경우에는 도 3에서의 곡면 재구성 영상과 같이 혈관의 형상이 선명하게 표시된다. 이때, 혈전이나 혈관의 곡선 형태로 인하여 조영제가 전달되지 않은 혈관은 곡면 재구성 영상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가시화된 혈관 영역, 즉 본 발명에서는 제1 혈관(V1)의 형상과 제1 혈관(V1)의 말단에 기준 포인트(P1)가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기준 포인트(P1)를 기준으로 위의 영역은 제1 영상(I1)으로 정의된다.
한편, 제2 영상(I2)은 제1 영상(I1)의 말단의 기준면 방향을 계속 유지한 채로 초기화되어 표시부(110)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초기화된 제2 영상(I2)이 제2 혈관(V2)을 적절히 표시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초기화된 제2 영상(I2)을 그대로 승인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는 초기화된 제2 영상(I2)이 제2 혈관(V2)을 충분히 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기준면(Q)의 방향을 회전하는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제2 영상(I2)을 수정하여 최적화된 제2 영상(I2)을 탐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영상(I2)의 초기화 표시 방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여, 향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많은 경우에 제2 혈관(V2)이 제1 혈관(V1)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것이므로, 초기화된 제2 영상(I2)이 최적화된 제2 영상(I2)에 가까운 해답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단계(S210)를 설명하면, 이미 사용자에 의하여 승인된 제1 영상과, 연산부(130)에 의하여 초기화된 제2 영상(620)이 함께 표시된다. 제2 영상(620)은 제1 영상에 연결되어 표시된다.
연산부(130)는 혈관(600)의 제1 부분의 종단점을 제1 기준 포인트(610)로 설정하고 표시부(110)는 제1 기준 포인트(610)를 표시한다.
연산부(130)는 혈관(600)의 제1 부분의 종단부의 기준면의 방향을 유지하며 기준면을 확장하여, 기준면 상에 제1 기준 포인트(61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2 기준 포인트(도시되지 않음)를 설정한다.
연산부(130)는 확장된 기준면에 혈관(600)의 제2 부분을 투영하여, 초기화된 제2 영상(620)을 생성하고, 표시부(110)는 초기화된 제2 영상(620)을 표시한다.
2. 기준면을 회전 시킬 수 있는 명령 입력단계< S220 >
상기 단계 S210에서 기준 포인트(P1)가 표시되면, 사용자로부터 기준면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 때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가상 포인트(P2)의 위치가 추출된다. 상기 입력은 제1 혈관(V1)의 기준 포인트(P1)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가상 포인트(P2)를 선택하여 이루어지는데,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100)가 도 3에서와 같이 일반 PC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마우스의 클릭, 마우스의 드래그 동작 등에 의하여 가상 포인트(P2)가 결정됨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표시장치(100)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사용자의 터치, 터치 드래그 제스쳐(drag gesture) 등의 입력에 의하여 가상 포인트(P2)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단계(S220)을 설명하면, 사용자의 입력이 제2 영상(720)의 영역 내로 진입하면, 기준면 회전 모드로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제1 아이콘(810, 910)이 표시될 수 있다.
연산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의 방향이 상하인지, 좌우인지 인식하고, 연산부(130)에 의하여 인식된 방향에 따라 표시부(110)는 제2 아이콘(820) 또는 제3 아이콘(920)을 표시한다.
3. 기준면 회전단계< S230 >
상기 단계 S220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추출된 가상 포인트(P2)의 위치에 따라 기준면이 회전한다. 본 발명에서 기준면은 기준 포인트(P1) 및 가상 포인트(P2)를 지나는 평면으로, 혈관이 기준면에 투영되어, 혈관 재구성 영상이 생성된다.
사용자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초기화된 제2 기준 포인트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연산부(130)는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의 방향을 인식하고, 인식된 방향에 대응하는 입력의 지속 시간 또는 세기에 따라 제2 기준 포인트의 위치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이 상하 방향인 경우, 제2 아이콘(820)이 표시되고, 제2 기준 포인트의 좌우 방향의 좌표 및 기준면의 노말 벡터의 좌우 방향의 좌표가 고정된다. 이 때 사용자의 상하 방향의 입력의 지속 시간 또는 세기에 따라 제2 기준 포인트는 제1 기준 포인트(710)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이동하고, 기준면의 노말 벡터는 제2 기준 포인트의 이동에 따라 회전한다.
사용자의 입력이 좌우 방향인 경우, 제3 아이콘(920)이 표시되고, 제2 기준 포인트의 상하 방향의 좌표 및 기준면의 노말 벡터의 상하 방향의 좌표가 고정된다. 사용자의 좌우 방향의 입력의 지속 시간 또는 세기에 따라 제2 기준 포인트는 제1 기준 포인트(710)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이동하고, 기준면의 노말 벡터는 제2 기준 포인트의 이동에 따라 회전한다.
4. 재구성된 곡면 재구성 영상 표시단계< S240 >
상기 단계 S230에서 기준면이 회전되면, 기준 포인트(P1)와 가상 포인트(P2)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기준면이 회전하도록 연산을 수행하여 혈관의 곡면 재구성 영상을 재구성한다. 상기 단계 S220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가상 포인트(P2)가 추출되면 실시간으로 곡면 재구성 영상에 반영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 포인트(P2)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해가면서 실시간으로 변하는 제2 영상(I2)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는 가장 적당한 위치에 가상 포인트(P2)를 지정하면 된다. 입력된 가상 포인트(P2)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추가 명령이 입력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단계 S240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초기에 가시화된 혈관의 제1 혈관이 포함된 제1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기준면의 회전으로 제1 영상에 연결되어 가시화되는 혈관의 제2 혈관을 포함하는 제2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초기의 곡면 재구성 영상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먼저, 도 4와 같이 조영제에 의해 가시화된 제1 혈관(V1)이 포함된 제1 영상(I1)이 표시되고, 제1 혈관(V1)의 말단에는 기준 포인트(P1)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가상 포인트(P2)가 추출되면 가상 포인트(P2)를 기준으로 기준면(Q)이 회전하여 제1 혈관(V1)에 제2 혈관(V2)이 연결되는 제2 영상(I2)이 가시화될 수 있다. 즉, 제1 영상(I1)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영상(I2)만 가상 포인트(P2)의 위치에 따라 전환되는 것이다.
이때, 제2 혈관(V2)과 연결되는 가시화되지 않은 나머지 혈관을 보기 위해서는 또 다른 임의의 가상 포인트를 도출하여 이에 따른 기준면을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면 제2 영상(I2)에 연결되어 가시화되는 혈관의 제3 혈관이 포함된 제3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혈관에 포인트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추가되면서 혈관의 가시화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혈전이나 굴곡이 심한 혈관의 형태로 인하여 탐색하기 힘든 혈관도 정확하면서 신속하게 혈관의 병변의 위치를 찾을 수 있어 의사의 만족도가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100)의 기능구현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110: 표시부 120: 인터페이스부
130: 연산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I1: 제1 영상
I2: 제2 영상 V1: 제1 부분, 제1 혈관
V2: 제2 부분, 제2 혈관 P1: 기준 포인트
P2: 가상 포인트

Claims (14)

  1. 삭제
  2. 관 형태의 대상 물체의 굴곡에 따라 상기 대상 물체가 소정의 기준면에 대하여 2차원 영상으로 투영되는 곡면 재구성(CPR, Curved Planar Reformation)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준면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기준면이 회전되면, 상기 대상 물체의 곡면 재구성 영상을 재구성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 재구성 영상은
    이전에 가시화된 상기 대상 물체의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영상;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입력에 따라 재구성되고, 상기 제1 영상에 연결되어 가시화되는 상기 대상 물체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영상; 을 포함하는
    곡면 재구성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 부분의 종단의 제1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1 영상의 기준면을 확장하여 제2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 포인트 및 상기 제2 기준 포인트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영상의 초기화된 기준면을 설정하고, 상기 제2 영상을 초기화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초기화된 제2 영상을 상기 제1 영상에 연결하여 표시하는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대상 물체를 포함하며 상기 곡면 재구성 영상의 방향과는 다른 하나 이상의 비교 기준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비교 기준 영상 내에 상기 제1 기준 포인트 및 상기 제2 기준 포인트의 위치를 표시하는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부분의 종단의 제1 기준 포인트를 표시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입력으로부터 제2 기준 포인트를 추출하고,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2 기준 포인트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기준면이 회전하도록 연산을 수행하는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 부분의 종단의 제1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고, 제1 영상의 기준면을 확장하여 초기화된 제2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상기 제2 기준 포인트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기준 포인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 기준 포인트 및 상기 제2 기준 포인트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기준면이 회전하도록 연산을 수행하는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결정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 영상에 연결되어 가시화되는 상기 대상 물체의 제3 부분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새로운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3 영상을 재구성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3 영상을 상기 제2 영상에 연결하여 표시하는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대상 물체를 포함하며 상기 곡면 재구성 영상의 방향과는 다른 하나 이상의 비교 기준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기준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비교 기준 영상이 회전하도록 연산을 수행하는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9. 관 형태의 대상 물체의 굴곡에 따라 상기 대상 물체가 소정의 기준면에 대하여 2차원 영상으로 투영되는 곡면 재구성(CPR, Curved Planar Reformation)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준면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기준면이 회전되면, 상기 대상 물체의 곡면 재구성 영상을 재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 재구성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물체의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영상을 가시화하여 표시하고,
    상기 곡면 재구성 영상을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물체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제1 영상에 연결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재구성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물체의 제1 부분의 종단의 제1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 재구성 영상을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1 영상의 기준면을 확장하여 초기화된 제2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준 포인트 및 상기 제2 기준 포인트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대상 물체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영상의 초기화된 기준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초기화된 기준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상을 초기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재구성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물체의 제1 부분의 종단의 제1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 재구성 영상을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명령으로부터 제2 기준 포인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2 기준 포인트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대상 물체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영상의 기준면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된 기준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상을 재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재구성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물체의 제1 부분의 종단의 제1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 재구성 영상을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1 영상의 기준면을 확장하여 초기화된 제2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명령으로부터 상기 제2 기준 포인트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초기화된 제2 기준 포인트의 위치와, 상기 결정된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제2 기준 포인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2 기준 포인트의 위치 간의 상대적인 관계에 따라 대상 물체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영상의 기준면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된 기준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상을 재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방법.
  14. 제9항, 또는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00126789A 2010-12-13 2010-12-13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101204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789A KR101204887B1 (ko) 2010-12-13 2010-12-13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789A KR101204887B1 (ko) 2010-12-13 2010-12-13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585A KR20120065585A (ko) 2012-06-21
KR101204887B1 true KR101204887B1 (ko) 2012-11-26

Family

ID=4668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789A KR101204887B1 (ko) 2010-12-13 2010-12-13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427B1 (ko) * 2019-06-26 2021-01-20 주식회사 디오 신경 위치 보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585A (ko)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2801B2 (ja) 医用画像ビューイングプロトコル
JP2008529578A5 (ko)
JP2010528750A (ja) 管状構造の検査
EP3025303B1 (en) Multi-modal segmentation of image data
JP5934071B2 (ja) 管状構造の最短経路探索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9788927B (zh) 用于规划注射点的位置的体积呈现
JP2016508242A (ja) 第一レンダリング投影と第二レンダリング投影との間のトランジションをユーザーに表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90794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201401845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3d ultrasound image analysis
JP5274894B2 (ja) 画像表示装置
US20120224752A1 (en) Image-based diagnosis assistance apparatus, its operation method and program
WO2016116136A1 (en) Atlas-based determination of tumour growth direction
CN113796960B (zh) 导管导航装置、设备和存储介质
EP2619729A1 (en) Quantification of a characteristic of a lumen of a tubular structure
KR101204887B1 (ko) 곡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관상 물체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US11443497B2 (en)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dical image processing system,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727968B2 (en) Tubular structure tracking
US20200193590A1 (en) Quantitative evaluation of time-varying data
Zheng et al. Reconstruction of coronary vessels from intravascular ultrasound image sequences based on compensation of the in-plane motion
Li et al. A new approach of building 3D visualization framework for multimodal medical images display and computed assisted diagnosis
König Usability issues in 3D medical visualization
JP2013097418A (ja) 医用画像処理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