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002B1 - Spacing apparatus of walls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pacing apparatus of walls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002B1
KR101204002B1 KR1020110068094A KR20110068094A KR101204002B1 KR 101204002 B1 KR101204002 B1 KR 101204002B1 KR 1020110068094 A KR1020110068094 A KR 1020110068094A KR 20110068094 A KR20110068094 A KR 20110068094A KR 101204002 B1 KR101204002 B1 KR 101204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all
bar
fixing plate
ring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0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정호
김병설
윤태형
양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6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0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0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9/00Cooling or quenching coke
    • C10B39/02Dry cooling outside the ov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PURPOSE: A wall fixing device and method are provided to prevent the reduction of the life span by maintaining a constant width of a ring duct even i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ring duct increases. CONSTITUTION: A wall fixing device(400) comprises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and a connecting member. The first supporting member is installed on one side wall(110) of a ring duct(200) and connected to a chamber(100).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wall, separately from the first supporting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controlled.

Description

벽체 고정장치 및 그 방법{Spacing apparatus of walls and the method thereof}Spacing apparatus of walls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벽체 고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링 덕트를 높은 압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벽체 고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fix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 fixing device and a method for protecting a ring duct of a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from high pressure.

일반적으로 코크스 건식 소화(Coke Dry Quenching : CDQ) 설비는 코크스 오븐에서 압출되는 적열 코크스를 건식 방식으로 냉각시키는 설비이다. In general, coke dry quenching (CDQ) is a dry cooling system for the coke that is extruded from the coke oven.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는 적열 코크스가 장입된 챔버에 질소 등의 순환가스를 순환시키고, 적열 코크스와 열 교환된 고온의 순환가스를 보일러에서 열 회수되도록 순환시켜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보일러에서 발생된 증기는 터빈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되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이때, 챔버에서 열 교환된 고온의 순환가스는 챔버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링 덕트를 통해 보일러로 전달된다.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circulates a circulating gas such as nitrogen in a chamber in which the coke is charged and circulates the hot circulating gas heat-exchanged with the coke to heat recovery in a boiler to generate steam. In addition, the steam generated in the boiler can be used to rotate the turbine to produce power. At this time, the hot circulating gas heat exchanged in the chamber is delivered to the boiler through a ring duct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chamb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링 덕트(20)는 챔버(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챔버(10)를 형성하는 벽체(14)와, 벽체(14)의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내부 벽체(16)에 의해 형성된다. 벽체(14)는 연와로 형성되고, 그 외부는 강철 등으로 형성된 외벽(12)으로 둘러싸여 있다. 내부 벽체(16)는 연와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ring duct 20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mber 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wall 14 forming the chamber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side the wall 14. It is formed by the inner wall 16 provided. The wall 14 is formed with a lead and the outside thereof is surrounded by an outer wall 12 made of steel or the like. The inner wall 16 is formed with a lead.

그러나 이와 같이 형성된 링 덕트(20)는 내부로 흡입되는 순환가스(G)의 압력에 의해 내부 벽체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균열이 발생할 수도 있다. 즉, 벽체(14)는 외벽(12)에 의해 지지되어 압력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지만, 내부 벽체(16)는 챔버(10) 내부에 챔버(10) 내부의 공간을 분리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압력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내부 벽체(16)는 링 덕트(20) 내부 압력에 의해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게 되면서 균열되기 쉽고, 링 덕트로 대량의 순환가스가 흡입되는 경우에는 내부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균열이 발생된 내부 벽체(16)가 챔버(10) 내부 측으로 밀려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ring duct 20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be cracked while the inner wall is repeatedly expanded and contracted by the pressure of the circulating gas G suctioned therein. That is, the wall 14 is supported by the outer wall 12 and is hardly affected by the pressure, but the inner wall 16 is formed in a shape that separates the space inside the chamber 10 inside the chamber 10. There is a lot of influence of pressure. Therefore, the inner wall 16 is easily cracked while being repeatedly contracted and expanded by the pressure inside the ring duct 20, and when the large amount of circulating gas is sucked into the ring duct, the inner wall is excessively high and the crack is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16 is pushed into the chamber 10, the inner side is broke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의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623호, 공개일 : 2011.01.27.)에는 가스 배출관이 연결되는 부분의 링 덕트 단면적을 최대로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08623, Publication Date: 2011.01.27.) Suggests a method of maximall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ing duct of the portion where the gas discharge pipe is connected. It is.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링 덕트의 폭을 부분적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링 덕트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따라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정상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보수 작업이 빈번하게 실시되어 챔버로부터 절출되는 코크스의 조업량이 감소되는 등 코크스 건식 소화 공정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method partially increases the width of the ring duct, and there is still a concern that the above problems occur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ring duct increases rapidly.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process is lowered such that the maintenance work for maintaining the normal state of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is frequently performed to reduce the amount of coke cut out from the chamber.

KRKR 2011-00086232011-0008623 AA

본 발명은 링 덕트 내에 흡입된 순환가스의 압력에 의한 설비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벽체 고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ll fixing device and a method for preventing damage to a facility due to pressure of circulating gas sucked in a ring duct.

본 발명은 코크스 생산 조업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벽체 고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ll fixing device and method which can contribute to the stabilization of the coke production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벽체 고정장치는, 챔버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링 덕트에 구비되며, 상기 링 덕트의 일 측 벽체에 연결되는 제1 지지부재와; 상기 링 덕트의 타 측 벽체에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이격되어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다.Wal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ring duct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chamber, the first support member connected to one wall of the ring duct; A second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wall of the ring duc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to adjust the length thereof, and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walls.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는, 상기 덕트의 벽체에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에 연결되는 고정바;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바의 일 측 내부에는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나사산과 나사결합하여 상기 삽입홈 내에서 이동하면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the fixing plate fixed to the wall of the duct through the fixing member; And a fixing bar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In this case, an insertion groove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inner wall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fixing bar, and the connection member is screwed with the screw thread to adjust the length while moving in the insertion groove.

상기 연결부재는, 일 측이 상기 제1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제1 연결바와; 일 측이 상기 제1 연결바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 측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제2 연결바; 및 상기 제1 연결바와 상기 제2 연결바의 연결부위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2 연결바의 일 측을 상기 제1 연결바의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길이 조절수단;을 포함한다.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ar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first supporting member; A second connection bar having one side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length adjusting means screwed 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to move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bar in the first connection bar in a rotational direction.

또한, 상기 벽체 고정장치의 표면에는 요철(凹凸) 또는 거칠기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rregularities or roughnes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all fixing device.

상기 벽체 고정장치의 표면에는 내화물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벽체 고정장치의 표면 및 상기 벽체 고정장치가 연결되는 링 덕트의 벽체에는 내화물이 형성될 수도 있다. Refractorie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all fixing device, or refractory may be formed on the wall of the ring duct to which the surface of the wall fixing device and the wall fixing device are connected.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벽체 고정방법은, 링 덕트의 벽체에 서로 대향하도록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을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고정판과 상기 제2 고정판 사이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제1 고정바 및 제2 고정바를 배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연결부재를 조절하여 상기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의 단부를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에 각각 밀착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에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를 각각 연결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 제1 및 제2 고정바, 연결부재 및 벽체를 내화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Wall fix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fixing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to face the wall of the ring duct; Disposing a first fixing bar and a second fixing bar connected by the length-adjustable connecting member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Adjusting the connection member to bring the ends of the first fixing bar and the second fixing bar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respectively; Connecting a first fixing bar and a second fixing bar to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respectively; And refractory treatment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ars,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wall.

여기에서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을 벽체에 고정하기 이전에 상기 벽체에 구멍을 뚫고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Here, before fixing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to the wal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drilling a hole in the wall and fixing the fixing member.

또한, 상기 제1 고정바 및 제2 고정바를 배치시키는 과정 이전에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 고정바, 연결부재 및 제2 고정바의 전체 길이를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before the process of disposing the first fixing bar and the second fixing bar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entire length of the first fixing bar,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bar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adjusting th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벽체 고정장치는, 링 덕트를 형성하는 벽체에 설치되어 링 덕트의 벽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링 덕트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에도 벽체 고정장치에 의해 링 덕트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비의 수명 저하를 방지하고, 설비의 유지 보수를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The wall fixing devic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the wall which forms a ring duct, and can prevent the wall of a ring duct from being damaged. That is, even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ring duct increases, the width of the ring duct can be kept constant by the wall fixing devi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life of the equipment and to save time and cost for the maintenance of the equipmen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벽체 고정장치 및 그 방법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벽체 사이에서의 설치가 용이하며, 다양한 폭을 갖는 벽체 사이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The wall fixing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between the walls because the length can be adjusted, and can be universally applied between the walls having various width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벽체 고정장치 및 그 방법은 코크스 생산 조업을 안정화시켜 코크스의 원활한 생산을 도모할 수도 있다.Moreover, the wall fixing device and the method which concern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can stabilize coke production operation, and can promote coke produc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 고정장치가 설치된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벽체 고정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벽체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 고정장치를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링 덕트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is installed wal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ll fixing device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ll fixing device shown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6a to 6e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the wal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ing duct of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are only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for complete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 고정장치 및 그 방법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벽체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는데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에서 링 덕트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벽체 고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Wall fixing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maintain a pair of walls facing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is embodiment to maintain a constant width of the ring duct in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The wall fixing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 고정장치가 설치된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is installed wall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 고정장치(400)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링 덕트(200)의 벽체(110, 130)에 설치되어, 링 덕트(200)의 폭, 즉 벽체(110)와 벽체(130)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2, the wall fixing devic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alls 110 and 130 of the ring duct 200 of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the width of the ring duct 200, That is, it serves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wall 110 and the wall 130.

여기에서 링 덕트(200)는 챔버(100)를 형성하는 벽체(110)와, 벽체(1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내부 벽체(130)를 통해 챔버(100)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링 덕트(200)는 챔버(100)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챔버(100) 내부의 순환가스를 흡입하여 보일러에 연결된 가스 배출관(300)을 통해 배출한다. The ring duct 200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chamber 100 through the wall 110 forming the chamber 100 and the inner wall 13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ring duct 20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chamber 100, and sucks the circulating gas inside the chamber 100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gas discharge pipe 300 connected to the boiler.

벽체 고정장치는 링 덕트(200)의 벽체(110, 130)에 링 덕트(200)의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설치된다. 즉, 벽체 고정장치의 일 측은 챔버(100)를 형성하는 벽체(110)에 고정되고, 타 측은 벽체(1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내부 벽체(130)에 고정된다.
The wall fix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walls 110 and 130 of the ring duct 20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ing duct 200. That is, one side of the wall fixing device is fixed to the wall 110 forming the chamber 100,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inner wall 13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벽체 고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벽체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ll fixing device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ll fixing device shown in FIG.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벽체 고정장치는 링 덕트(200)의 일 측 벽체(110)에 연결되는 제1 지지부재와; 링 덕트(200)의 타 측 벽체(130)에 제1 지지부재와 이격되어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430);를 포함한다. 3 and 4, the wall fixing device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connected to one side wall 110 of the ring duct 200; A second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wall 130 of the ring duct 200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 connection member 430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to adjust the length thereof.

제1 지지부재는 링 덕트(200)의 일 측 벽체(110)에 고정되는 제1 고정판(410)과, 제1 고정판(410)에 연결되는 제1 고정바(420)를 포함하고, 제2 지지부재는 링 덕트(200)의 타 측 벽체(130)에 고정되는 제2 고정판(411)과 제2 고정판(411)에 연결되는 제2 고정바(421)를 포함한다. The first support member includes a first fixing plate 410 fixed to one wall 110 of the ring duct 200, a first fixing bar 420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late 410, and a second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second fixing plate 411 fixed to the other side wall 130 of the ring duct 200 and a second fixing bar 421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late 411.

제1 고정판(410) 및 제2 고정판(411)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벽체(110, 130)에 고정된 앵커 등의 고정부재(412)를 관통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관통구(미 도시)가 형성된다. 제1 고정판(410) 및 제2 고정판(411)은 고정부재(412)를 관통구에 끼운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413)를 고정부재(412)에 연결하여 벽체(110, 130)에 고정된다. The first fixing plate 4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411 ar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not shown) for penetrating the fixing member 412 such as an anchor fixed to the walls 110 and 130 are provided. Is formed. The first fixing plate 4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411 connect the fastening member 413 such as a bolt to the fixing member 412 while the fixing member 41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o the walls 110 and 130. It is fixed.

또한, 제1 고정판(410) 및 제2 고정판(411)의 표면에는 링 덕트(200) 내에 벽체 고정장치(400)를 설치한 이후 수행되는 내화 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요철(凹凸, 미 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요철은 제1 및 제2 고정판(411)의 제조 시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제1 및 제2 고정판(411)을 벽체(110, 130)에 고정한 후 내화물 등을 용접하여 부착시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late 4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411 has an unevenness (not shown) to facilitate the fire treatment performed after the wall fixing device 400 is installed in the ring duct 200. Formed. Such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wh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411 are formed, or may be formed by fix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411 to the walls 110 and 130 and then welding and refractories. have.

제1 고정바(420)의 일 측에는 내부에 연결부재(430)의 일 측 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제1 삽입홈(42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홈(422)은 연결부재(430)의 단부 일부를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고, 연결부재(430)가 압입되어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One side of the first fixing bar 420 is formed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422 for inserting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430 there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422 is formed to a depth enough to insert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430,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member 430 is formed to a size that does not detach from the press-fit.

제1 고정바(420)의 타 측에는 제1 고정판(410)에 연결할 수 있도록 플랜지(4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바(420)의 외주면에는 내화물(470)이 형성된다. 이때, 제1 고정바(420)의 외주면에는 내화물(470)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은 제1 고정바(420)의 형성 시 형성된 거칠기일 수도 있고, 제1 고정바(420)의 둘레 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 형태의 플레이트(423)일 수도 있다.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ixing bar 420, a flange 424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late 410. The refractory 47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xing bar 420. 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xing bar 420 may be formed with irregularities for facilitating the attachment of the refractory 470. The unevenness may be roughness formed when the first fixing bar 420 is formed, or may be a plate 423 having a flange shap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o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bar 420.

제1 고정바(420)는 타 측에 형성된 플랜지(424)를 통해 제1 고정판(410)에 연결되며, 볼트 및 너트 등의 고정부재(미 도시)를 이용하거나 용접 등의 융착을 통해 제1 고정판(41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bar 420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late 410 through the flange 424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first fixing bar 420 using a fixing member (not shown), such as bolts and nuts or by welding or the like It may be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410.

제2 고정바(421)는 제1 고정바(420)와 거의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고, 동일한 방식으로 제2 고정판(411)에 연결된다. 이때, 제2 고정바(421)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홈(427)은 연결부재(430)의 구성에 따라 제1 고정바(420)에 형성된 제1 삽입홈(422)에 비하여 크거나 또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bar 42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imilar form to the first fixing bar 42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late 411 in the same manner. At this time,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7 formed in the second fixing bar 421 is larger than the first insertion groove 422 formed in the first fixing bar 420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430 or It can be formed small.

연결부재(430)는 일 측이 제1 삽입홈(422)에 연결되는 제1 연결바(432)와, 일 측은 제2 삽입홈(427)에 연결되고 타 측은 제1 연결바(432)와 연결되는 제2 연결바(434) 및 제1 연결바(432)와 제2 연결바(434)의 연결부위에 결합되어 제1 연결바(432)와 제2 연결바(434)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재(436)를 포함한다. The connection member 43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bar 432,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422,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7,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430 to the first connection bar 432.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bar 432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434 is adjusted by being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434 and the first connecting bar 432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434 to be connected. It includes a length adjusting member 436 to.

이때, 제1 연결바(432)의 내부에는 제2 연결바(434)의 타 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433)가 형성되고, 제1 연결바(432)의 외주면에는 길이 조절부재(436)를 연결하기 위한 홈부(미 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바(432)의 중공부(433)에 삽입되는 제2 연결바(434)의 타 측 외주면에는 나사산(4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바(434)는 제1 연결바(432)의 중공부(433)에 삽입할 수 있도록 제1 연결바(43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2 연결바(434)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427)의 크기도 제1 삽입홈(42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hollow portion 433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first connection bar 432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bar 434 can be inserted, the length adjusting memb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ar 432) Grooves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436 may be formed. A thread 435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bar 434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433 of the first connection bar 432. The second connection bar 434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connection bar 432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bar 434 can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433 of the first connection bar 432. The size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7 into which the 434 is inserted may also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422.

또한, 길이 조절부재(436)의 내주면에는 제1 연결바(432)의 홈부와 제2 연결바(434)의 나사산(435)에 결합되는 나사산(43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1 연결바(432)에 중공부(433)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2 연결바(434)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thread 437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first connecting bar 432 and the thread 435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434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436. Herein, although the hollow portion 433 is described in the first connection bar 432, the hollow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bar 434.

길이 조절부재(436)를 회전시키면, 길이 조절부재(436)와 제2 연결바(434)의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제2 연결바(434)가 중공부(433) 내에서 이동하면서 연결부재(43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고, 이를 통해 제1 고정바(420)와 제2 고정바(42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length adjusting member 436 is rotated, the second connecting bar 434 moves in the hollow portion 433 according to the screwing degree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436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434. The overall length of the 430 is adjusted, and thereb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bar 420 and the second fixing bar 421 may be adjusted.

이와 같은 벽체 고정장치(400)는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강철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wall fixing device 4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steel.

링 덕트(200) 내에는 질소 등과 같은 불활성 가스도 존재하지만, 일산화탄소 등과같이 금속재질을 부식시킬 수 있는 유해가스도 존재한다. 또한, 챔버(100) 내부 온도는 1000℃ 이상의 고온으로 부식될 수도 있다. An inert gas such as nitrogen is present in the ring duct 200, but there are also harmful gases that may corrode metal materials such as carbon monoxide. In additi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100 may be corroded to a high temperature of 1000 ° C or higher.

따라서 링 덕트(200) 내의 고온 및 유해가스로부터 벽체 고정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1 고정판(410) 및 제2 고정판(411), 제1 고정바(420) 및 제2 고정바(421), 연결부재(430)의 표면에 내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벽체 고정장치를 링 덕트(200) 내에 설치한 이후 벽체 고정장치 및 벽체 고정장치가 설치된 링 덕트(200)의 벽체(110, 130)에도 내화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내화물은 글라스 울(glass wool)이나 캐스터블 내화물(castable refractory) 등 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fixing plate 4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411, the first fixing bar 420, and the second fixing bar 421 are connected to protect the wall fixing apparatus from the high temperature and harmful gas in the ring duct 200. Refractorie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ember 430. In addition, after the wall fix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ring duct 200, refractory may be formed on the walls 110 and 130 of the ring duct 200 in which the wall fixing device and the wall fixing device are installed. The refractory can be glass wool, castable refractory, or the like.

도 5는 도 3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FIG. 3.

도 5를 참조하면, 벽체 고정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벽체 고정장치와는 연결부재(430a)의 형태와, 제1 및 제2 고정바(421)와 연결부재(430a)의 연결 구조에 차이가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wall fixing device has a form of a connecting member 430a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ars 421 and the connecting member 430a with the wall fixing device shown in FIGS. 3 and 4. There is a difference in structure.

즉, 연결부재(430a)는 양쪽 단부 외주면에 나사산(431)이 형성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 삽입홈(422a)과 제2 삽입홈(422b)의 내벽에는 연결부재(430a)에 형성된 나사산(431)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425)이 형성된다. 연결부재(430a)는 회전방향에 따라 제1 삽입홈(422a) 및 제2 삽입홈(422b)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제1 고정바(420)와 제2 고정바(42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430a)는 회전방향에 따라 제1 삽입홈(422a) 및 제2 삽입홈(422b) 내부로 더 깊이 이동하거나, 제1 삽입홈(422a) 및 제2 삽입홈(422b)의 입구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고정바(420)와 제2 고정바(421) 사이에서의 길이가 조절된다. 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430a has a bar shape in which threads 431 are formed on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both ends. Accordingly, the thread 425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422a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2b for screwing with the thread 431 formed in the connection member 430a. The connecting member 430a ma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bar 420 and the second fixing bar 421 while moving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422a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2b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have. At this time, the connection member 430a moves deeper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422a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2b or rotates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422a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22b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By moving toward the inlet side,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fixing bar 420 and the second fixing bar 421 is adjusted.

여기에서는 연결부재(430a)의 양쪽 단부 외주면에 나사산(431)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연결부재(430a)의 일 측 단부 또는 외주면 전체에 걸쳐 나사산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제1 고정바(420)와 제2 고정바(421) 사이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threads 431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430a, but the threads may be formed over one side end portion or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430a. It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that can adjust the length between the 420 and the second fixing bar (421).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벽체 고정장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링 덕트 내에 설치가 용이한 동시에, 다양한 폭을 갖는 벽체 사이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벽체 고정장치는 링 덕트의 내부 벽체를 챔버의 벽체에 공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링 덕트 내에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내부 벽체가 압력에 의해 밀려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wall fixing device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ring duct because of the adjustable length, and can be applied between walls having various widths. Further, the wall fixing device can securely fix the inner wall of the ring duct to the wall of the chamber, and can suppress the phenomenon that the inner wall is pushed by the pressure even when the pressure in the ring duct increase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에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support member in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체 고정장치를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링 덕트(200)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6a to 6e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the wal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ing duct 200 of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먼저, 벽체 고정장치가 설치될 부분의 벽체(110, 130)에 구멍을 뚫고 복수 개의 앵커 등의 고정부재(412)를 고정한다. 벽체 고정장치는 링 덕트(200)의 폭이 최단 거리가 되는 부분의 벽체(110, 130)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벽체 고정장치가 양쪽 벽체(110, 130)에 비스듬하게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벽체(13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6의 (a) 참조)First, a hole is drilled in the walls 110 and 130 of the portion where the wall fixing device is to be installed, and a fixing member 412 such as a plurality of anchors is fixed. The wall fixing device may be formed to connect the walls 110 and 130 of the portion where the width of the ring duct 200 is the shortest distance to each other. That is, the wall fixing device can effectively support the wall 130 as compared to the case in which the wall fixing device is installed obliquely on both walls 110 and 130. (See FIG. 6A)

다음, 벽체에 고정된 고정부재(412)에 제1 고정판(410) 및 제2 고정판(411)을 연결하고, 고정부재(412)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413)를 체결하여 벽체(110, 130)에 제1 고정판(410) 및 제2 고정판(411)을 고정한다. (도 6의 (b) 참조)Next, the first fixing plate 4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411 are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412 fixed to the wall, and the fastening member 413 such as a bolt is fastened to the fixing member 412. The first fixing plate 4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411 are fixed to the 130. (See FIG. 6B)

그 다음, 링 덕트(200)의 벽체(110, 130) 사이, 즉 제1 고정판(410)과 제2 고정판(411) 사이에 연결부재(430)에 의해 연결된 제1 고정바(420)와 제2 고정바(421)를 위치한다. 이때, 제1 고정바(420), 연결부재(430) 및 제2 고정바(421)의 전체 길이가 링 덕트(200)의 폭, 즉 벽체(110, 130)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경우에는 벽체(110, 130) 사이에 위치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연결부재(4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체 길이가 벽체(110, 130)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조절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고정판(410)과 제2 고정판(110)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조절하는 것이 좋다. Next, the first fixing bar 420 and the first fixing bar 420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430 between the walls 110 and 130 of the ring duct 200, that is,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4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411. 2 position the fixed bar (421). At this time, when the entire length of the first fixing bar 420, the connecting member 430 and the second fixing bar 421 i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ring duct 200,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walls (110, 130) It is difficult to locate between 110 and 13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member 430 so that the entire length has a length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walls 110 and 130, and preferably,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4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110. It is better to adjust shorter than the distance.

제1 고정바(420)와 제2 고정바(421) 및 연결부재(430)가 제1 고정판(410)과 제2 고정판(411) 사이에 위치하면, 다시 연결부재(4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1 고정바(420)와 제2 고정바(421)를 제1 고정판(410)와 제2 고정판(411)에 각각 밀착시킨다. When the first fixing bar 420, the second fixing bar 421, and the connecting member 430 ar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4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411,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430 is adjusted again. The first fixing bar 420 and the second fixing bar 421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ixing plate 4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411, respectively.

이어서, 제1 고정판(410)에 제1 고정바(420)를 연결하고, 제2 고정판(411)에는 제2 고정바(421)를 연결한다. (도 6의 (c) 참조) 이때, 제1 고정바(420) 및 제2 고정바(421)는 볼트 및 너트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제1 고정판(410) 및 제2 고정판(411)에 고정되거나, 용접 등의 융착 방법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Subsequently, the first fixing bar 420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late 410, and the second fixing bar 4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late 411. At this time, the first fixing bar 420 and the second fixing bar 421 are fixed to the first fixing plate 4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411 by using fixing members such as bolts and nuts. It may be fixed to or through a fusion method such as welding.

이후, 제1 고정판(410) 및 제2 고정판(411)과 제1 고정바(420) 및 제2 고정바(421)의 연결부위, 즉 연결부재(430)에 글라스 울(glass wool) 등의 내화물(471)을 시공(도 6의 (d) 참조)하고, 벽체 고정장치 및 벽체 고정장치가 설치된 벽체(110, 130)에 캐스터블 내화물 등의 내화물(472)을 도포한다. (도 6의 (e) 참조)
Subsequently, a glass wool or the like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late 4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411, the first fixing bar 420, and the second fixing bar 421, 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430. The refractory 471 is constructed (refer to FIG. 6 (d)), and a refractory 472 such as castable refractory is applied to the walls 110 and 130 provided with the wall fixing device and the wall fixing device. (See FIG. 6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챔버 200 : 링 덕트
300 : 가스 배출관 400 : 벽체 고정장치
410 : 제1 고정판 411 : 제2 고정판
420 : 제1 고정바 421 : 제2 고정바
430 : 연결부재 470, 471, 472 : 내화물
100: chamber 200: ring duct
300: gas discharge pipe 400: wall fixing device
410: first fixing plate 411: second fixing plate
420: first fixing bar 421: second fixing bar
430: connecting members 470, 471, 472: refractory

Claims (10)

챔버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링 덕트에 구비되며, 상기 링 덕트의 일 측 벽체에 연결되는 제1 지지부재와;
상기 링 덕트의 타 측 벽체에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이격되어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벽체 고정장치.
A first support member provided in a ring duct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chamber and connected to one wall of the ring duct;
A second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wall of the ring duc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to adjust the length thereof, wherein the wall fixing device maintains a distance between the wal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는,
상기 덕트의 벽체에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에 연결되는 고정바;
를 포함하는 벽체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 fixing plate fixed to the wall of the duct through a fixing member; And
A fixing bar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Wall fixing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의 일 측 내부에는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나사산과 나사결합하여 상기 삽입홈 내에서 이동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벽체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 insertion groove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inner wall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fixing bar, and the connection member is screwed with the screw thread to adjust the length while moving in the insertion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 측이 상기 제1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제1 연결바와;
일 측이 상기 제1 연결바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 측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제2 연결바; 및
상기 제1 연결바와 상기 제2 연결바의 연결부위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2 연결바의 일 측을 상기 제1 연결바의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길이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벽체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ion bar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 second connection bar having one side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And a length adjusting means screwed 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to move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bar in the first connection bar according to a rotational directio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 고정장치의 표면에는 요철(凹凸) 또는 거칠기가 형성된 벽체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all fixing devic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all fixing device irregularities (거칠) or roughn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 고정장치의 표면에는 내화물이 형성된 벽체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ll fixing device is a refractor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all fix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 고정장치의 표면 및 상기 벽체 고정장치가 연결되는 링 덕트의 벽체에는 내화물이 형성된 벽체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all of the ring duct to which the surface of the wall fixing device and the wall fixing device are connected.
링 덕트의 벽체에 서로 대향하도록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을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고정판과 상기 제2 고정판 사이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제1 고정바 및 제2 고정바를 배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연결부재를 조절하여 상기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의 단부를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에 각각 밀착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에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를 각각 연결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 제1 및 제2 고정바, 연결부재 및 벽체를 내화 처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벽체 고정방법.
Fixing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to face the walls of the ring duct;
Disposing a first fixing bar and a second fixing bar connected by the length-adjustable connecting member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Adjusting the connection member to bring the ends of the first fixing bar and the second fixing bar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respectively;
Connecting a first fixing bar and a second fixing bar to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respectively; And
Refractory treatment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ars,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wall;
Wall fixing method comprising a.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을 벽체에 고정하기 이전에 상기 벽체에 구멍을 뚫고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벽체 고정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nd fixing the fixing member by drilling a hole in the wall before fixing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to the wall.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바 및 제2 고정바를 배치시키는 과정 이전에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 고정바, 연결부재 및 제2 고정바의 전체 길이를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벽체 고정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Before the process of disposing the first fixing bar and the second fixing bar,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is adjusted so that the entire length of the first fixing bar,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bar is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Wall fixing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djusting the shorter than the distance.
KR1020110068094A 2011-07-08 2011-07-08 Spacing apparatus of walls and the method thereof KR1012040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094A KR101204002B1 (en) 2011-07-08 2011-07-08 Spacing apparatus of walls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094A KR101204002B1 (en) 2011-07-08 2011-07-08 Spacing apparatus of walls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002B1 true KR101204002B1 (en) 2012-11-23

Family

ID=4756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094A KR101204002B1 (en) 2011-07-08 2011-07-08 Spacing apparatus of walls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0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176A (en) * 2015-08-11 2017-02-21 주식회사 포스코 Object Processing Facilites and Recovery Method for Refractories of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043A (en) 1999-03-31 2000-10-10 Nippon Steel Corp Coke dry quenching facility
KR100413961B1 (en) 2001-12-12 2004-01-13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이건 Pipe duct and Air duct box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043A (en) 1999-03-31 2000-10-10 Nippon Steel Corp Coke dry quenching facility
KR100413961B1 (en) 2001-12-12 2004-01-13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이건 Pipe duct and Air duct box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176A (en) * 2015-08-11 2017-02-21 주식회사 포스코 Object Processing Facilites and Recovery Method for Refractories of the same
KR101712830B1 (en) * 2015-08-11 2017-03-07 주식회사 포스코 Object Processing Facilites and Recovery Method for Refractories of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89789B (en) Stave with external manifolds
US20190170439A1 (en) Plate cooler stave apparatus and methods for ferrous or non-ferrous metal making furnace
JP2010229239A (en) Heat insulating box for hot repair of carbonization chamber of coke oven and hot repair process for carbonization chamber
JP2010248389A (en) Side-surface heat shielding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of side-surface heat shielding plate for hot replacement in coke oven carbonization chamber
WO2007068802A3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walls of a power boiler
KR101204002B1 (en) Spacing apparatus of walls and the method thereof
US20180149429A1 (en) Stave with external manifold
US20170353995A1 (en) Heater unit and carburizing furnace
AU2015305213B2 (en) Support and compression assemblies for curvilinear molten metal transfer device
TWI572799B (en) Ball screw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40099587A1 (en) Burner arrangement and burner assembly
US10870909B2 (en) Heat treatment facility
JP2009019074A (en) Heat insulating member for brick which is off-object of repair during hot repair of coke oven
US11384985B2 (en) Furnace stave
KR101569573B1 (en) Spark road and ignition device of annealing furnace using the same
KR20210034210A (en) Bellows having cooling chamber blocking high atmosphere gas of annealing furnace
US20060101740A1 (en) Refractory tiles and mounting methods
KR20070012869A (en) Ceramic insulator and cylindrical electric furnace
JP2009120795A (en) Method for repairing coke oven
SU1636626A1 (en) Device for removal of expanded tubes from tube sheets
RU2038559C1 (en) Revolving furnace
JP2009227904A (en) Method for repairing coke oven
KR101373115B1 (en) support and support apparatus
JP6817799B2 (en) Heat treatment furnace
JP2010091219A (en) Heat exchanger for corrosive g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