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009B1 - 재털이 - Google Patents

재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009B1
KR101203009B1 KR1020100115295A KR20100115295A KR101203009B1 KR 101203009 B1 KR101203009 B1 KR 101203009B1 KR 1020100115295 A KR1020100115295 A KR 1020100115295A KR 20100115295 A KR20100115295 A KR 20100115295A KR 101203009 B1 KR101203009 B1 KR 101203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rail
guide groove
rotating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927A (ko
Inventor
권칠국
Original Assignee
(주)화인스케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스케이프 filed Critical (주)화인스케이프
Priority to KR1020100115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0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24F19/14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extinguish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78Ash-trays comprising two separatable parts, e.g. coaxial
    • A24F19/0085Ash-trays comprising two separatable parts, e.g. coaxial one of the parts being covering or closing mean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개방형 재털이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고 재털이 자체 동작과 기능을 부여하여 흡연자들이 담배꽁초를 비벼끄는 행위를 할 시,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 재털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 중앙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담배의 재 및 꽁초를 수용하는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돌출부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원통관과; 상기 원통관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ㄴ"자형 고정프레임과; 상기 원통관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되, 그 몸체의 외주연을 따라 스프링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레일과; 상기 원통형상의 레일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되, 담배의 재 및 꽁초를 상기 하부본체로 보내는 회전수단과; 상기 하부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수단에 밀착되는 상부본체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재털이{tabacco basket}
본 발명은 재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개방형 재털이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고 재털이 자체 동작과 기능을 부여하여 흡연자들이 담배꽁초를 비벼끄는 행위를 할 시,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 재털이에 관한 것이다.
재털이는 상부가 개구된 개방형으로, 담배의 재를 털고, 담배를 피고 남은 필터 및 찌꺼기 부분을 담는 역할을 하는 용기가 주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담배를 피는 도중에 담배를 잠시 놓아둘 수 있도록 하는 홈이나, 재를 털거나 비벼 끄도록 돌출형으로 형성되는 혹은 투각형으로 형성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들 재털이의 재질은 화재의 염려가 없고 고온에 견디며 연기나 냄새가 없는 재질이 주로 사용되는데, 예로부터 두꺼운 유리나 암석재질, 금속재질, 내열성 합성수지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재털이는 끽연 장소와 필요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를 위해 발이 달려 높게 형성되는 옥외용 재털이나 화장실의 벽에 부착되는 재털이, 차량용으로 서랍식으로 형성된 재털이도 있다. 그리고, 다양하게 끽연과 관련한, 혹은 관계없는 기능들이 부가되어 형성되고 있다.
끽연과 관련된 기능 중에 담배를 피운 후 남아있는 불씨를 소화시키는 기능도 들 수 있다. 물론 일반적인 재털이에서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털이를 구성하는 용기(10)의 벽체나 돌출부(12) 혹은 투각식으로 형성된 부분에 담배의 불이 붙어있는 부분을 대고 누르거나 비벼서 불을 끌 수 있지만,
이외의 방법으로 불을 끌 수 있도록 된 기능부가 부착된 재털이들이 일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흡연자들은 종래의 개방형 재털이를 사용하는바, 담배의 불을 소화시킬 때, 돌출부에 대고 누르거나 비벼서 소화시키기 때문에 부주의할 경우,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개방형 재털이의 용기의 내부에 모인 담배의 재 그리고 피다 남은 담배 꽁초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장시간 방치할 경우,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실내 공기가 오염될 수 있고, 미관상 나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기존의 개방형 재털이의 취약한 부분(예를 들어, 화재가 쉽게 일어남)을 보완하고 재털이 자체 동작과 기능을 부여하여 흡연자들이 담배꽁초를 비벼끄는 행위를 할 시,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재털이에서 발생되는 악취로부터 실내공기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재털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몸체의 내부 중앙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담배의 재 및 꽁초를 수용하는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돌출부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원통관과;
상기 원통관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ㄴ"자형 고정프레임과;
상기 원통관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되, 그 몸체의 외주연을 따라 스프링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레일과;
상기 원통형상의 레일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되, 담배의 재 및 꽁초를 상기 하부본체로 보내는 회전수단과;
상기 하부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수단에 밀착되는 상부본체로 구성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원통형상의 레일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베어링과;
상기 원통형상의 레일의 상면에 설치되어 스프링과;
상기 베어링, 제1스프링와셔, 스프링 및 제2스프링와셔를 수용하여 이탈을 방지시킴과 아울러 원통형상의 레일의 일부를 수용시키되,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레일베어링덮개와;
상기 레일베어링덮개를 수용하여 고정시켜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그 몸체의 외면 하단을 따라 밀착돌기를 구비시키되,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우산형상의 회전판덮개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털이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스프링과 회전력을 줄 수 있는 레일에 베어링이 결합함으로써, 상하운동과 회전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흡연자가 담배의 재나 꽁초를 비벼끄는 행위 시, 눌러 끄는 동작을 할 때, 꽁초를 회전판덮개에 누르면, 누르는 힘에 의해서 회전판덮개가 아래로 내려가고, 내부에 장착된 베어링에 의해 내려감과 동시에 회전을 하면서 꽁초가 회전판덮개에 의해 연소가 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누르는 동작이 완료되면, 즉, 수직으로 누르는 힘이 없어지면, 스프링의 탄성이 자동으로 복원되면서 내려올때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부본체와 회전판덮개는 수직으로 누르는 힘이 없을 시, 상부본체와 회전판덮개가 완전히 밀착됨에 따라, 하부본체가 완전히 밀폐되어 산소를 차단하기 때문에 미처 꺼지지 않은 꽁초의 불씨를 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화재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본체가 완전히 밀폐되는 구조로 되는바, 악취발생을 줄일 수 있고, 실내 공기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재털이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털이의 분리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재털이의 조립상태도.
도 4은 도 3의 재털이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재털이의 분해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털이의 요부 절개사시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재털이의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털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털이의 분리사시도 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재털이의 조립상태도 이며, 도 4은 도 3의 재털이의 단면도 이고, 도 5는 도 3의 재털이의 분해 단면도 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털이의 요부 절개 사시도 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털이는,
상면이 개구되어 수용공간(100)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몸체의 내부 중앙에 돌출부(102)와 그 몸체의 상부를 따라 내측으로 굴곡된 굴곡부(103)를 구비하여 담배의 재 및 꽁초를 수용하는 하부본체(104)와;
상기 하부본체(104)의 돌출부(102)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원통관(106)과;
상기 원통관(106)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ㄴ"자형 고정프레임(108)과;
상기 "ㄴ"자형 고정프레임(108)의 단부에 연장형성되는 고정용판(112)과;
상기 원통관(106)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되, 그 몸체의 외주연을 따라 스프링형상의 가이드홈(116)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레일(118)과;
상기 원통형상의 레일(118)의 가이드홈(116)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116)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베어링(120)과;
상기 원통형상의 레일(118)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와셔(122)와;
상기 제1스프링와셔(122)의 상면에 설치되어 스프링(124)과;
상기 스프링(124)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와셔(126)와;
상기 베어링(120), 제1스프링와셔(122), 스프링(124) 및 제2스프링와셔(126)를 수용하여 이탈을 방지시킴과 아울러 원통형상의 레일(118)의 일부를 수용시키되,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레일베어링덮개(128)와;
상기 레일베어링덮개(128)을 수용하여 고정시켜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그 몸체의 외면 하단을 따라 밀착돌기(129)를 구비시키되,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우산형상의 회전판덮개(130)와;
상기 하부본체(104)와 "ㄴ"자형 고정프레임(108)을 수용시킴과 아울러 그 몸체의 외벽(131) 하측 내부에 걸림턱(132)을 형성시켜 상기 걸림턱(132)이 하부본체(104)의 굴곡부(103)에 안착되록 함과 동시에 그 몸체의 외벽이 상기 "ㄴ"자형 고정프레임(108)의 고정용판(112)에 밀착시키고, 그 몸체의 외벽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부(134)를 구비시키되, 그 몸체의 중앙이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경사부(134)의 외면 하단을 따라 밀착부(136)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판덮개(130)가 밀착되도록 하는 상부본체(138)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관(106)과 "ㄴ"자형 고정프레임(108)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본체(104)의 외면에 끼움돌기(14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재털이의 재질은 금속재질, 내열성 합성수지 등이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스텐레스 재질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재털이의 조립과정 및 사용 상태를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재털이의 조립과정은 조립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먼저, 수용공간(100)과 몸체의 내부 중앙에 돌출부(102)와 몸체의 상부를 따라 내측으로 굴곡된 굴곡부(103)를 구비한 하부본체(104)를 일정한 장소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원통관(106)과 일체로 형성된 "ㄴ"자형 고정프레임(108)을 하부본체(104)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원통관(106)을 상기 하부본체(104)의 돌출부(102)의 상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02)와 원통관(106)을 용접한다.
여기서, "ㄴ"자형 고정프레임(108)은 단부에 고정용판(11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관(106)의 내부에 스프링형상의 가이드홈(116)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레일(118)을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118)의 가이드홈(116)에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베어링(120)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118)의 상면에 제1스프링와셔(122), 스프링(124), 제2스프링와셔(126)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레일(118)을 레일베어링덮개(128)로 덮는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일베어링덮개(128)가 베어링(120), 제1스프링와셔(122), 스프링(124) 및 제2스프링와셔(126)를 수용하여 이탈을 방지시킴과 아울러 원통형상의 레일(118)의 일부를 수용시킨다.
그리고, 상기 레일베어링덮개(128)의 상면에 밀착돌기(129)가 구비된 회전판덮개(130)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회전판덮개(130)의 내부에 레일베어링덮개(128)가 수용된다.
그리고, 몸체의 외벽(131) 저부에 형성된 걸림턱(132)과 몸체의 외벽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부(134)와 경사부(134)의 외면 하단을 따라 형성된 밀착부(136)와 몸체의 중앙이 관통된 상부본체(138)를 상기 하부본체(104)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상부본체(138)를 하부본체(104) 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가압에 따라, 상부본체(138)의 걸림턱(132)이 하부본체(104)의 굴곡부(103)에 밀착됨과 아울러 상부본체(138)의 밀착부(136)가 회전판덮개(130)의 밀착돌기(129)에 밀착된다.
또한, 상부본체(138)의 외벽(131) 내측에 "ㄴ"자형 고정프레임(108)의 고정용판(112)이 밀착된다.
따라서, 상부본체(138)의 걸림턱(132)이 하부본체(104)의 굴곡부(103)에 밀착되는 구조로 되는바,
상기 상부본체(138)와 하부본체(104)는 착탈이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털이가 조립되고 난 후,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덮개(130)의 상면에 담배 꽁초를 눌러서 끌 때,
상기 회전판덮개(130)가 하부본체(104) 측으로 움직이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레일베어링덮개(128)의 내부에 수용된 스프링(124)이 하측으로 움직인다.
이때, 스프링(124)의 움직에 따라, 상기 레일베어링덮개(128)가 하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레일베어링덮개(128)의 내부에 위치한 베어링(120)이 원통형상의 레일(118)의 가이드홈(116)을 따라 회전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120)이 회전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는바, 레일베어링덮개(128)도 회전하여 하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회전판덮개(130)가 회전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는바, 상기 회전판덮개(130)의 상면에 위치한 담배의 재나 담배꽁초가 하부본체(104)의 수용공간(100)으로 떨어진다.
반대로, 회전판덮개(130)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즉, 수직으로 누르는 힘이 없어지면, 스프링(124)의 탄성이 자동으로 복원되는바,
상기 레일베어링덮개(128)가 상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레일베어링덮개(128)의 내부에 위치한 베어링(120)이 원통형상의 레일(118)의 가이드홈(116)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회전판덮개(130)의 밀착돌기(129)가 상부본체(138)의 밀착부(136)에 밀착한다.
따라서, 상부본체(138)와 회전판덮개(130)이 완전히 밀착됨에 따라, 하부본체(104)가 완전히 밀폐되어 산소를 차단하기 때문에 미처 꺼지지 않은 꽁초의 불씨를 소화시킨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수용공간 102 : 돌출부
103 : 굴곡부 104 : 하부본체
106 : 원통관 108 : "ㄴ"자형 고정프레임
112 : 고정용판 116 : 가이드홈
118 : 원통형상의 레일 120 : 베어링
122 : 제1스프링와셔 124 : 스프링
126 : 제2스프링와셔 128 : 레일베어링덮개
130 : 회전판덮개 129 : 밀착돌기
131 : 외벽 132 : 걸림턱
134 : 경사부 136 : 밀착부
138 : 상부본체 140 : 끼움돌기

Claims (4)

  1. 몸체의 내부 중앙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담배의 재 및 꽁초를 수용하는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돌출부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원통관과;
    상기 원통관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ㄴ"자형 고정프레임과;
    상기 원통관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되, 그 몸체의 외주연을 따라 스프링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레일과;
    상기 원통형상의 레일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되, 담배의 재 및 꽁초를 상기 하부본체로 보내는 회전수단과;
    상기 하부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수단에 밀착되는 상부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원통형상의 레일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베어링과;
    상기 원통형상의 레일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와셔와;
    상기 제1스프링와셔의 상면에 설치되어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와셔와;
    상기 베어링, 제1스프링와셔, 스프링 및 제2스프링와셔를 수용하여 이탈을 방지시킴과 아울러 원통형상의 레일의 일부를 수용시키되,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레일베어링덮개와;
    상기 레일베어링덮개를 수용하여 고정시켜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그 몸체의 외면 하단을 따라 밀착돌기를 구비시키되,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우산형상의 회전판덮개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털이.
  3. 상면이 개구되어 수용공간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몸체의 내부 중앙에 돌출부와 그 몸체의 상부를 따라 내측으로 굴곡된 굴곡부를 구비하여 담배의 재 및 꽁초를 수용하는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돌출부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원통관과;
    상기 원통관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ㄴ"자형 고정프레임과;
    상기 "ㄴ"자형 고정프레임의 단부에 연장형성되는 고정용판과;
    상기 원통관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되, 그 몸체의 외주연을 따라 스프링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레일과;
    상기 원통형상의 레일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베어링과;
    상기 원통형상의 레일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와셔와;
    상기 제1스프링와셔의 상면에 설치되어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와셔와;
    상기 베어링, 제1스프링와셔, 스프링 및 제2스프링와셔를 수용하여 이탈을 방지시킴과 아울러 원통형상의 레일의 일부를 수용시키되,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레일베어링덮개와;
    상기 레일베어링덮개를 수용하여 고정시켜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그 몸체의 외면 하단을 따라 밀착돌기를 구비시키되,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우산형상의 회전판덮개와;
    상기 하부본체와 "ㄴ"자형 고정프레임을 수용시킴과 아울러 그 몸체의 외벽 저부에 걸림턱을 형성시켜 상기 걸림턱이 하부본체의 굴곡부에 안착되록함과 동시에 그 몸체의 외벽이 상기 "ㄴ"자형 고정프레임의 고정용판에 밀착시키고, 그 몸체의 외벽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부를 구비시키되, 그 몸체의 중앙이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경사부의 외면 하단을 따라 밀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판덮개가 밀착되도록 하는 상부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털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의 외면에 끼움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털이.
KR1020100115295A 2010-11-18 2010-11-18 재털이 KR101203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295A KR101203009B1 (ko) 2010-11-18 2010-11-18 재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295A KR101203009B1 (ko) 2010-11-18 2010-11-18 재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927A KR20120053927A (ko) 2012-05-29
KR101203009B1 true KR101203009B1 (ko) 2012-11-20

Family

ID=4626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295A KR101203009B1 (ko) 2010-11-18 2010-11-18 재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0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1308A (zh) * 2013-04-28 2013-07-24 太仓市哲泰天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无烟烟灰缸
KR20190036103A (ko) 2017-09-27 2019-04-04 변종혁 담배 꽁초로 인한 화제 예방
KR20200007113A (ko) 2018-07-11 2020-01-22 우리토탈디자인 주식회사 골프장용 재떨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9481A (en) 1976-08-04 1979-10-02 Hultberg Ake A Ashtray with depressible resilient central s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9481A (en) 1976-08-04 1979-10-02 Hultberg Ake A Ashtray with depressible resilient central se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1308A (zh) * 2013-04-28 2013-07-24 太仓市哲泰天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无烟烟灰缸
CN103211308B (zh) * 2013-04-28 2015-10-21 太仓市哲泰天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无烟烟灰缸
KR20190036103A (ko) 2017-09-27 2019-04-04 변종혁 담배 꽁초로 인한 화제 예방
KR20200007113A (ko) 2018-07-11 2020-01-22 우리토탈디자인 주식회사 골프장용 재떨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927A (ko) 2012-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009B1 (ko) 재털이
AU701398B2 (en) A device for controlling free-burn rate of and reducing sidestream smoke from a cigarette and the like
US5085230A (en) Smoker's appliance
US20100051040A1 (en) Odor reducing ashtray
US6161549A (en) Ash tray
US2695619A (en) Cigarette ash receiver
US20070039627A1 (en) Smoker's appliance
KR20140101913A (ko) 휴대용 흡연장치
KR20170126110A (ko) 분리 및 청소가 용이한 자동개폐형 착탈식 산업현장용 화재방지 재털이
KR101247076B1 (ko) 소화 기능이 구비된 위생 재떨이
KR102394438B1 (ko) 담배꽁초 포집장치
US3500835A (en) Automotive ash tray and snuffer
KR900009819Y1 (ko) 위생 재떨이
KR20200007113A (ko) 골프장용 재떨이
KR100634063B1 (ko) 건강성 재떨이
JP3023259U (ja) 乾式消火方式による吸殻受
JP3353192B2 (ja) 乾式消火方式による吸殻受
US1921874A (en) Cigarette extinguisher
KR200345680Y1 (ko) 담뱃불 소화기
JP2022100536A (ja) 灰皿
JP3092072U (ja) 消火灰皿
KR20230001293U (ko) 다단 적층형 재떨이
CA1153662A (en) Ashtray
JP2006055144A (ja) 蚊取り線香用の容器
KR200409302Y1 (ko) 건강성 재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