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735B1 -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 - Google Patents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735B1
KR101202735B1 KR1020100005018A KR20100005018A KR101202735B1 KR 101202735 B1 KR101202735 B1 KR 101202735B1 KR 1020100005018 A KR1020100005018 A KR 1020100005018A KR 20100005018 A KR20100005018 A KR 20100005018A KR 101202735 B1 KR101202735 B1 KR 101202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cription
barcode
patient
drug
ba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309A (ko
Inventor
김동선
조종만
김권철
김승열
Original Assignee
김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선 filed Critical 김동선
Priority to KR1020100005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73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증상을 진단하고 처방내용을 바코드화하여 처방전 바코드를 생성한 다음, 상기 처방전 바코드를 휴대전화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환자, 보호자 또는 약사에게 전달하며, 전달된 처방전 바코드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처방오류를 검토한 다음, 처방된 의약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에 의하면, 의사의 처방결과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환자, 환자의 보호자 또는 권한을 위임받은 약사에게 전달하여, 진료를 받은 환자가 편리하게 처방된 의약을 수령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진료 및 처방시스템으로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Method for Remote Prescription Using Barcode System}
본 발명은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환자의 증상을 진단하고 처방내용을 바코드화하여 처방전 바코드를 생성한 다음, 상기 처방전 바코드를 휴대전화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환자, 보호자 또는 약사에게 전달하며, 전달된 처방전 바코드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처방오류를 검토한 후, 처방된 의약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학의 발달에 따라 사람들의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있어, 고령 인구가 점차로 증가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고령자들은 다양한 질환을 앓고, 통원치료를 받게 되는데, 연령이 증가할수록 신체적인 능력이 저하되어 통원진료를 받는 것에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어, 필요시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아울러, 고령자가 아니더라도 의료기관으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사람들은 통원진료를 받는 경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역시 필요시에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고혈압,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 환자들의 경우에는 의료기관까지 거리가 가까운 지역에 살고 있다 하더라도 반복되는 간단한 진료를 위하여 매번 통원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기존의 의료서비스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원격진료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원격진료 시스템이란 통신기기, 예를 들면 전화나 화상통신장비 등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환자를 진단 및 치료하는 의료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산간지대, 낙도 등 교통이 불편한 지역 주민이나, 거동이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기관 사이에 통신망을 이용하여 진단 및 치료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인터넷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전자통신기기 및 의료 진단기기의 발전으로 직접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고서도 의사와 상담하거나 또는 진단,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개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등록 제 441592호에는 웹서버, 약국데이터베이스, 약국단말기 및 병원단말기로 구성된 온라인을 이용한 전자처방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등록 제 458184호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의료상담을 수행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등록 제 739324호에는 전송 대상 처방전을 전자처방전으로 변환한 후, 그 변환된 전자처방전을 암호화 및 전자 서명하여 전송하고, 그 전송된 전자처방전에 대한 전자서명 값을 확인하여 전자처방전의 송신자(즉, 의사)와 수신처(약국), 및 전자처방전의 무결성을 인증하게 하는 전자처방전 전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등록 제 771450호에는 전자식 청진기를 유선전화나 휴대전화 또는 컴퓨터 등의 통신장치에 별도의 통신모듈을 개재하여 연결하고, 상기 청진기를 통해 청진된 환자의 청진음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으로 담당 의사의 전화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청진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등록 제 794740호에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의료시설로 부터 원거리에 있는 노인들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노인 복지시설의 원격진료 및 원격 제어감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등록 제 844543호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 원격 진단의 대상이 되는 의료 영상 데이터 및 원격 진단자를 선택하는 정보를 입력받고,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진단 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기반의 원격진단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렇듯 다양한 형태로 원격진료 시스템이 개선되고 있으나, 이들 시스템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은 환자의 상태를 진료하는 것에 불과할 뿐, 환자에게 약물을 처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환자가 통원치료를 받는 경우, 의사에게 진료를 받고, 병리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한 처방전을 수령한 다음, 약국에서 처방된 약물을 조제받아 이를 복용할 수 있는데, 상술한 원격진료 방법으로는 병리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한 처방전을 수령할 수 없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현재의 의료시스템에서는 의사의 처방전이 있어야만 약국에서 약을 조제할 수 있으므로, 의사로부터 발급된 처방전을 팩스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환자가 수령하는 방안이 다양한 방법으로 모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별다른 성과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진료를 받은 환자에게 신속하고, 용이하게 처방전을 전달하여 약을 조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환자의 증상을 진단하고 처방내용을 바코드화하여 처방전 바코드를 생성한 다음, 상기 처방전 바코드를 휴대전화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환자, 보호자 또는 약사에게 전달하며, 전달된 처방전 바코드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처방오류를 검토한 후, 처방된 의약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안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은 (ⅰ) 의사가, 환자의 증상을 진단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데이타베이스에 기록된 해당 환자와 관련된 처방정보 및 약물정보를 확인한 다음, 처방된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투여량을 바코드 형태로 엔코딩(encoding)하여 처방전 바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권한을 위임받은 약사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전송하고 이를 약사에게 전달하는 단계; (ⅱ) 약사는, 상기 전달된 처방전 바코드를 바코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입력하고, 이를 디코딩(decoding)하여 처방된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투여량의 정보로 전환시킨 다음, 이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데이타베이스에 기록된 해당 환자와 관련된 처방정보 및 약물정보와 비교하여, 처방된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투여량이 적정한지의 여부를 조제가능 또는 오류발생의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및, (ⅲ) 약사는, ① 조제가능의 형태로 출력된 경우에는 처방된 약물을 조제하여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에게 전달하고, ② 오류발생의 형태로 출력된 경우에는 처방전 바코드를 발행한 의사에게 처방된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유효량을 재확인 받거나 혹은 처방된 약물에 대한 조제 및 처리사유를 기록, 저장하고 조제하여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ⅰ) 단계에서 의사는 ① 상기 처방전 바코드를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권한을 위임받은 약사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② 상기 처방전 바코드를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전송하고 이를 환자 또는 보호자로 하여금 종이에 인쇄하여 약사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휴대전화, 스마트폰, 전자우편, 인터넷 홈페이지 또는 IPTV를 통하여 처방전 바코드를 전송하거나 또는 약국 컴퓨터 또는 의약품 배송센터의 컴퓨터에 할당된 IP주소로 처방전 바코드를 직접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ⅱ) 단계의 바코드 입력장치는 종이, 액정화면, 은박지 또는 알루미늄 호일에 표시된 처방전 바코드를 스캔입력하기에 최적의 조명용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캐너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ⅱ) 단계의 처방된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투여량이 적정한지의 여부를 조제가능 또는 오류발생의 형태의 출력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약물처방을 심사 및 평가하는 전문기관의 온라인 서버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자료를 교환함으로써 실행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약물처방을 심사 및 평가하는 전문기관의 온라인 서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해당 환자의 처방정보 및 의사가 처방한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유효량 범위를 포함하는 데이타베이스; 및, 입력된 바코드의 정보와 전기 데이타베이스에 포함된 내용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중앙관리시스템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ⅱ) 단계의 조제가능 또는 오류발생의 형태의 출력은, 약사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경보음, 경고 음성 메세지 또는 모니터 화면의 팝업창의 형태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처방전 바코드의 전송매체로서 휴대전화 또는 스마트폰을 사용한다. 즉, 본 발명의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은 (ⅰ) 의사가, 환자의 증상을 진단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데이타베이스에 기록된 해당 환자와 관련된 처방정보 및 약물정보를 확인한 다음, 처방된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투여량을 바코드 형태로 엔코딩(encoding)하여 처방전 바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휴대전화 또는 스마트폰을 통하여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전송하고 이를 약사에게 전달하는 단계; (ⅱ) 약사는, 상기 휴대전화 또는 스마트폰을 통하여 전송된 처방전 바코드를 바코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입력하고, 이를 디코딩(decoding)하여 처방된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투여량의 정보로 전환시킨 다음, 이를 약물처방을 심사 및 평가하는 전문기관의 온라인 서버에 기록된 해당 환자와 관련된 처방정보 및 약물정보와 비교하여, 처방된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투여량이 적정한지의 여부를 조제가능 또는 오류발생의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및, (ⅲ) 약사는, ① 조제가능의 형태로 출력된 경우에는 처방된 약물을 조제하여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에게 전달하고, ② 오류발생의 형태로 출력된 경우에는 처방전 바코드를 발행한 의사에게 처방된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유효량을 재확인받거나 혹은 처방된 약물에 대한 조제 및 처리사유를 기록, 저장하고 조제하여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ⅱ) 단계의 바코드 입력장치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코드가 표시된 휴대전화 또는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상기 액정화면에 표시된 처방전 바코드를 스캔입력하기에 최적의 조명용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캐너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약물처방을 심사 및 평가하는 전문기관의 온라인 서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해당 환자의 처방정보 및 의사가 처방한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유효량 범위를 포함하는 데이타베이스; 및, 입력된 바코드의 정보와 전기 데이타베이스에 포함된 내용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중앙관리시스템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ⅱ) 단계의 조제가능 또는 오류발생의 형태의 출력은, 약사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경보음, 경고 음성 메세지 또는 모니터 화면의 팝업창의 형태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에 사용되는 바코드 스캐너는, 본원과 동일자 출원되는 “바코드가 인쇄된 복수의 매체에 이용가능한 바코드 스캐너 및 그 제어방법”에 개시된 바와 같이, ① 바코드가 기록된 매체에 미리 정해진 색상 및 강도를 갖는 안내용 빛을 1차적으로 조사하는 안내용 광원 모듈; ② 상기 바코드 영역을 판독하기 위해 조명용 빛을 2차적으로 조사하는 조명용 광원 모듈; ③ 상기 안내용 광원 모듈로부터 조사된 안내용 빛 또는 상기 조명용 광원 모듈로부터 조사된 조명용 빛에 의해 반사되는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모듈; ④ 상기 안내용 광원 모듈로부터 조사된 안내용 빛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통해 바코드가 기록된 상기 매체의 광학적인 속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용 광원 모듈을 제어하는 조명용 광원 제어 모듈; 및, ⑤ 상기 조명용 광원 모듈로부터 조사된 조명용 빛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상기 영상 획득 모듈로부터 입력받아 분석하여 바코드에 내장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영상 분석 모듈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바코드 스캐너는 ① 바코드가 표시된 매체에 100 내지 500 LUX의 일반조명 하에서 녹색, 적색 또는 청색으로 표시되는 빛을 조사하는 단계; ② 상기 매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이미지로 저장하고,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녹색성분, 적색성분 및 청색성분을 각각 분리하는 단계; ③ 상기 분리된 각 색성분을 2치화(binarization)하여 각 색성분의 흑백이미지를 각각 수득하는 단계; ④ 상기 각 흑백 이미지 중의 백색부분의 면적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면적을 취합하여 총면적을 산출한 다음, 상기 총면적 중의 조명하에서 표시되는 색으로부터 유래된 면적의 비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⑤ 조명하에서 표시되는 색으로부터 유래된 면적의 비율이 총면적의 40-60%인 경우, 바코드가 표시된 매체를 종이로 판정하고, 상기 비율이 25-40%인 경우, 상기 매체를 휴대전화 또는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으로 판정하는 단계에 의하여, 바코드가 표시된 매체가 종이인지 아니면 휴대전화 또는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인지를 자동으로 인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코드 스캐너는 종이, 은박지, 알루미늄 호일, 액정화면 등의 바코드가 표시되는 매체를 인식한 다음, 각 매체에 따라 조명용 빛의 조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조사함으로써, 하나의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하여, 다양한 매체에 기록된 처방전 바코드를 스캔입력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바코드가 표시된 휴대전화 또는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을 자동인식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조명용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에 의하면, 의사의 처방결과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환자, 환자의 보호자 또는 권한을 위임받은 약사에게 전달하여, 진료를 받은 환자가 편리하게 처방된 의약을 수령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진료 및 처방시스템으로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격처방 방법의 일실시태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에 사용되는 바코드 스캐너의 구성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격처방 방법의 다른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인터넷을 이용한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를 이용한 원격진료 방법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환자가 원격진료를 받았다 하여도, 현행법규에 의하면, 약을 조제하기 위하여는 환자나 보호자가 의사의 처방전을 직접 수령하여 약국에 제출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원격진료 방법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의사의 처방전을 바코드화하여 처방전 바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종이가 아닌 환자의 휴대전화 또는 스마트폰, 전자우편, 의사의 인터넷 홈페이지, IPTV 등의 매체를 통하여 전송하며, 환자에게 전송된 처방전 바코드를 약사에게 전달하고, 이에 근거하여 약사가 약을 조제하게 하는 원격처방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원격처방 방법은 의사가 환자를 원격진료하고,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전 바코드를 생성한 다음, 이를 환자 또는 환자의 증상, 연령 등을 고려하여, 환자의 보호자에게 전송하며, 처방전 바코드를 전송받은 환자 또는 보호자는 이를 약사한테 제시하고, 약사는 처방전 바코드를 컴퓨터에 스캔입력하여 상기 처방전 바코드를 처방된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투여량으로 전환시켜, 이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데이타베이스에 기록된 해당 환자와 관련된 처방정보 및 약물정보와 비교하고,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처방전 바코드를 발행한 의사에게 처방된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유효량을 재확인받거나, 약사가 처방된 약물에 대한 조제 및 처리사유를 기록, 저장하고 조제하여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참조: 도 1). 도 1은 상술한 본 발명의 원격처방 방법의 일실시태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때, 의사는 처방전 바코드를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휴대전화, 스마트폰, 전자우편, 인터넷 홈페이지, IPTV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수단을 이용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의사가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권한을 위임받은 약사에게 처방전 바코드를 직접 전송할 수 있는데, 이처럼 약사에게 직접 전송할 경우에는 입력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약사의 컴퓨터에 할당된 IP주소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송수단을 이용하여 환자 또는 보호자가 아닌, 의사와 환자가 협의하여 지정한 의약품 배송센터의 컴퓨터에 할당된 IP주소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처방전 바코드를 전송하는 수단 중, 휴대전화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할 경우, 이들의 액정화면에 표시된 처방전 바코드가 약국의 컴퓨터에 정상적으로 스캔입력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발견하고, 그 원인을 분석한 결과, 종이와 상기 액정화면은 처방전 바코드가 표시된 매체의 환경이 각각 상이하여, 종이에 표시된 처방전 바코드를 입력하는 바코드스캐너로 상기 액정화면에 표시된 처방전 바코드를 스캔입력할 경우, 인식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인식오류의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액정화면에 표시된 처방전 바코드를 정상적으로 스캔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액정화면에 표시된 처방전 바코드를 스캔입력하기에 적합한 조도의 빛을 조사하는 기능이 구비된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약국에서는 원격진료 환자의 비율보다는 대면진료 환자의 비율이 크기 때문에, 처방전 바코드뿐만 아니라, 종이처방전에 기록된 바코드를 스캔입력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어, 바코드가 표시된 매체가 종이, 액정화면, 은박지, 알루미늄호일 등 중에서 무엇인지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상기 매체에 표시된 처방전 바코드를 스캔입력하기에 최적의 조명용 빛을 조사하는 기능이 구비된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코드가 표시된 매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상기 매체에 표시된 처방전 바코드를 스캔입력하기에 최적의 조명용 빛을 조사하는 기능이 구비된 바코드 스캐너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본원과 동일자 출원되는 “바코드가 인쇄된 복수의 매체에 이용가능한 바코드 스캐너 및 그 제어방법”에 개시된 바와 같이, ① 바코드가 기록된 매체에 미리 정해진 색상 및 강도를 갖는 안내용 빛을 1차적으로 조사하는 안내용 광원 모듈; ② 상기 바코드 영역을 판독하기 위해 조명용 빛을 2차적으로 조사하는 조명용 광원 모듈; ③ 상기 안내용 광원 모듈로부터 조사된 안내용 빛 또는 상기 조명용 광원 모듈로부터 조사된 조명용 빛에 의해 반사되는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모듈; ④ 상기 안내용 광원 모듈로부터 조사된 안내용 빛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통해 바코드가 기록된 상기 매체의 광학적인 속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용 광원 모듈을 제어하는 조명용 광원 제어 모듈; 및, ⑤ 상기 조명용 광원 모듈로부터 조사된 조명용 빛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상기 영상 획득 모듈로부터 입력받아 분석하여 바코드에 내장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영상 분석 모듈로 구성된 바코드 스캐너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참조: 도 2). 도 2는 본 발명의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에 사용되는 바코드 스캐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에 사용되는 바코드 스캐너는, 안내용 광원 모듈(10), 조명용 광원 모듈(20), 영상 획득 모듈(30), 조명용 광원 제어 모듈(40), 및 영상 분석 모듈(50)을 포함하고, 조작 스위치(62), 화면 표시부(64), 외부 인터페이스(66), 종료 표시부(68) 등으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모듈(60)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우선, 안내용 광원 모듈(10)은, 바코드가 기록된 매체에 미리 정해진 색상과 강도를 갖는 안내용 빛을 1차적으로 조사한다. 안내용 광원 모듈(10)에서 조사되는 안내용 빛은, 판독하고자 하는 영역을 정확하게 지시함과 동시에, 바코드의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각 색상 성분을 판단하기 위해 바코드가 기록된 매체에 미리 정해진 색상으로 1차적으로 조사되는 조명이다.
다음으로, 조명용 광원 모듈(20)은, 바코드 영역에 기록된 바코드 영상을 최종적으로 판독하기 위해 2차적으로 조명용 빛을 조사한다. 즉, 조명용 광원 모듈(20)에서 조사되는 조명용 빛은, 안내용 광원 모듈(10)에서 조사된 안내용 빛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바코드 영역을 판독하기 위해 바코드가 기록된 매체에 2차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이다.
또한, 영상 획득 모듈(30)은, 안내용 광원 모듈(10)로부터 조사된 안내용 빛 또는 조명용 광원 모듈(20)로부터 조사된 조명용 빛에 의해 반사되는 영상을 획득한다.
아울러, 조명용 광원 제어 모듈(40)은, 안내용 광원 모듈(10)로부터 조사된 안내용 빛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통해 바코드가 기록된 매체의 광학적인 속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조명용 광원 모듈(20)을 제어한다.
끝으로, 인터페이스 모듈(60)은, 사용자에 대한 인터페이스 기능, 바코드 스캔 과정 또는 최종적인 바코드 스캔 결과 등의 표시 기능, 및 획득된 바코드 영상을 PC나 혹은 다른 외부 정보저장 혹은 정보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인터페이스 모듈(60)은, 조작 스위치(62), 화면 표시부(64), 외부 인터페이스(66), 종료 표시부(68)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코드 스캐너를 사용할 경우, 바코드가 표시된 매체를 인식하여, 각 매체에 적합한 조명을 조사하여, 목적하는 바코드를 용이하게 스캔입력할 수 있다. 상기 바코드를 스캔입력하기 전에, 바코드가 표시된 매체가 종이인지 아니면 휴대전화 액정화면인지를 구별하여 인식하는 방법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코드가 표시된 매체에 100 내지 500 LUX의 일반조명 하에서 적색, 녹색 또는 청색과 같은 특정색으로 표시되는 빛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매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이미지로 저장하고,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녹색성분, 적색성분 및 청색성분을 각각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각 색성분을 2치화(binarization, 多値의 화상으로부터 1과 0의 화상을 얻기 위한 처리)하여 각 색성분의 흑백이미지를 각각 수득하는 단계; 상기 각 흑백 이미지 중의 백색부분의 면적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면적을 취합하여 총면적을 산출한 다음, 상기 총면적 중의 조명하에서 표시되는 색으로부터 유래된 면적의 비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조명하에서 표시되는 색으로부터 유래된 면적의 비율이 총면적의 40-60%인 경우, 바코드가 표시된 매체를 종이로 판정하고, 상기 비율이 25-40%인 경우, 상기 매체를 휴대전화 액정화면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코드 기록매체의 인식방법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바코드가 표시된 매체를 인식한 다음, 각 매체에 따라 조명용 빛의 조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조사함으로써, 하나의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하여, 휴대전화 액정화면에 기록된 처방전 바코드 뿐만 아니라, 종이처방전에 기록된 바코드를 스캔입력할 수 있다.
이처럼 약국에서 원격진료 환자의 처방전 바코드를 컴퓨터에 스캔입력한 후에는 예를 들면 특허등록 제 763989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입력된 바코드 정보를 의사가 기록한 원본 자료로 전환하고, 이는 의사가 처방한 약물, 약물의 제형 및 유효량 범위를 포함하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데이타베이스에 전달되어, 처방된 약물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제공할 것인지, 아니면 처방전을 발급한 의료기관 또는 의사에게 처방전데이타의 오류를 통보하여 재검토를 요청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약국에서 환자가 제시한 처방전 바코드를 바코드 스캐너에 적용하여 바코드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바코드 정보는 바코드 디코딩 모듈로 전달되어, 바코드 정보를 처방한 약물, 전기 약물의 제형, 전기 약물의 투여량 등의 자료로 전환된다. 전환된 자료는 의사가 처방한 약물, 약물의 제형 및 유효량 범위를 포함하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데이타베이스에 전달되어, 전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환자의 자료와 비교하여 처방된 약물, 약물의 제형 및 투여량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때, 입력된 처방전의 정보가 데이타베이스의 정보에 부합하여 오류가 없다면, 약사는 이를 확인한 후, 처방된 약물을 조제하여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제공하며, 입력된 처방전의 정보가 해당 환자의 데이타베이스의 정보에 부합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하면, 이를 약국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약사는 이를 확인한 후, 처방전을 발급한 의사에게 이를 통보하여 재검토를 요청하게 된다.
한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임부금기, 연령금기, 병용금기, 중복처방 등 약제의 안전성과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는 경고 문구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고, 이와 함께 조제 및 처리사유를 기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약사가 의사에게 통보하는 방법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약사가 직접 의사에게 통보하거나 또는 오류발생 내용을 환자에게 알려주고, 이를 해당 의사에게 전달함으로써 약사가 간접적으로 의사에게 통보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화면에 표시된 경고 문구에도 불구하고, 의사와 연락되지 않아 약사가 처방 및 조제를 행하는 경우에는, 그 사유를 기록, 저장하고 환자에게는 충분한 복약지도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의사의 처방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는 진단된 환자의 병명, 전기 병명에 처방될 수 있는 약물의 목록, 상기 처방될 수 있는 약물의 투여가능한 제형 및 처방된 약물의 유효량 범위 등의,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해당 환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데이타베이스에 접속하여, 처방된 약물, 약물의 제형 및 투여량의 적합성 여부를 조회함으로써 확인한다. 이때, 접속할 수 있는 온라인 데이타베이스는 신뢰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공인된 전문기관에서 인증하는 데이타베이스로 운영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의하면,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본 발명의 원격처방 방법은 의사가 환자를 원격진료하고, 환자에게 전송하는 처방전 바코드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발급한 바코드가 인쇄된 종이처방전(바코드 처방전)을 약사에게 전달하고, 약사는 이들 처방전 바코드 또는 바코드 처방전에 인쇄된 바코드를 컴퓨터에 스캔입력하여 처방된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투여량으로 전환시켜, 이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데이타베이스에 기록된 해당 환자와 관련된 처방정보 및 약물정보와 비교하고,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처방전 바코드 또는 바코드 처방전을 발행한 의사에게 처방된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유효량을 재확인 받거나, 의사와 연락되지 않을 경우에는 약사가 처방된 약물에 대한 조제 및 처리사유를 기록, 저장하고 조제하여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참조: 도 3). 도 3은 상술한 본 발명의 원격처방 방법의 다른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9)

  1.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데이타베이스에 기록된 환자와 관련된 처방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투여량을 바코드 형태로 엔코딩(encoding)하여 생성된 처방전 바코드를 휴대전화, 스마트폰, 전자우편, 인터넷 홈페이지 또는 IPTV(Internet Protocol TV)를 통하여 전송하거나 또는 약국 컴퓨터 또는 의약품 배송센터의 컴퓨터에 할당된 IP주소로 직접 전송한 다음, 이를 바코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입력하고, 디코딩(decoding)하여 처방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투여량의 정보로 전환시킨 다음,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데이타베이스에 기록된 해당 환자와 관련된 처방정보 및 약물정보와 비교하여, 처방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투여량이 적정한지의 여부를 약물처방을 심사 및 평가하는 전문기관의 온라인 서버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자료를 교환함으로써 조제가능 또는 오류발생의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입력장치는 ① 바코드가 기록된 매체에 미리 정해진 색상 및 강도를 갖는 안내용 빛을 1차적으로 조사하는 안내용 광원 모듈; ② 상기 바코드의 영역을 판독하기 위해 조명용 빛을 2차적으로 조사하는 조명용 광원 모듈; ③ 상기 안내용 광원 모듈로부터 조사된 안내용 빛 또는 상기 조명용 광원 모듈로부터 조사된 조명용 빛에 의해 반사되는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모듈; ④ 상기 안내용 광원 모듈로부터 조사된 안내용 빛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통해 바코드가 기록된 상기 매체의 광학적인 속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용 광원 모듈을 제어하는 조명용 광원 제어 모듈; 및, ⑤ 상기 조명용 광원 모듈로부터 조사된 조명용 빛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상기 영상 획득 모듈로부터 입력받아 분석하여 바코드에 내장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영상 분석 모듈로 구성된 바코드 스캐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약물처방을 심사 및 평가하는 전문기관의 온라인 서버는, 해당 환자의 처방정보 및 의사가 처방한 약물, 상기 약물의 제형 및 유효량 범위를 포함하는 데이타베이스; 및, 입력된 바코드의 정보와 전기 데이타베이스에 포함된 내용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중앙관리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조제가능 또는 오류발생의 형태의 출력은, 경보음, 경고 음성 메세지 또는 모니터 화면의 팝업창의 형태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00005018A 2010-01-20 2010-01-20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 KR101202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018A KR101202735B1 (ko) 2010-01-20 2010-01-20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018A KR101202735B1 (ko) 2010-01-20 2010-01-20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309A KR20110085309A (ko) 2011-07-27
KR101202735B1 true KR101202735B1 (ko) 2012-11-19

Family

ID=4492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018A KR101202735B1 (ko) 2010-01-20 2010-01-20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7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272B1 (ko) 2020-07-31 2021-06-30 주식회사 웰니스헬스케어 원격 자동 약 조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986B1 (ko) * 2013-01-11 2014-09-1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조제장치
KR20170036333A (ko) 2015-09-24 2017-04-03 이디비(주) 환자 주도형 전자처방전 전달 시스템 및 방법
WO2019221478A1 (ko) * 2018-05-16 2019-11-21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의무 기록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 처방전 자동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985011B1 (ko) * 2018-11-26 2019-05-31 김진만 가상 시리얼 포트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송방법
KR102544791B1 (ko) * 2020-05-08 2023-06-1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한 텔레메트리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989B1 (ko) * 2006-07-03 2007-10-05 김동선 바코드 시스템을 이용한 처방데이타 오류의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989B1 (ko) * 2006-07-03 2007-10-05 김동선 바코드 시스템을 이용한 처방데이타 오류의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272B1 (ko) 2020-07-31 2021-06-30 주식회사 웰니스헬스케어 원격 자동 약 조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309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9675B2 (en) Efficient surgical center workflow procedures
KR101202735B1 (ko) 처방전 바코드를 이용한 원격처방 방법
US112442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on of protocol adherence data
US20140365242A1 (en) Integration of Multiple Input Data Streams to Create Structured Data
US201900960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diagnostic software tool
CN105844175A (zh) 一种基于云服务端的诊疗病历存储及调用方法和系统
CN111476940B (zh) 基于自助问诊端的分诊转诊方法及系统
US200901678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telemedicine station
KR102367418B1 (ko) 정량적 지표 기반 의료서비스 추천 시스템
WO2013136600A1 (ja) 生体情報配信サーバ、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利用した医療支援システム
US11545261B2 (en) Hospital healthcare provider monitoring and verifying device and system for patient care condition
US201103139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s
CN111430047B (zh) 线下线上结合的自助医疗问诊方法及系统
CN208570121U (zh) 远程健康自助服务终端设备
WO2021033755A1 (ja) 医療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804311B1 (en) Use and coordination of healthcare information within life-long care team
KR102392912B1 (ko)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JP2001188858A (ja) 医用システム
KR1006041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개인 약력 관리방법
KR102475788B1 (ko)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US202201305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uthenticated testing applications
KR102544791B1 (ko)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한 텔레메트리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KR101139731B1 (ko) Cdss 검사용 툴킷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WO2023002510A1 (en) An unmanne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wellness parameters of a person
WO20220718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telemedcine services in real-t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