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658B1 - 공공용 가변식 벤치 - Google Patents

공공용 가변식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658B1
KR101202658B1 KR1020110094503A KR20110094503A KR101202658B1 KR 101202658 B1 KR101202658 B1 KR 101202658B1 KR 1020110094503 A KR1020110094503 A KR 1020110094503A KR 20110094503 A KR20110094503 A KR 20110094503A KR 101202658 B1 KR101202658 B1 KR 101202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bench
support
seat plat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하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9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C11/005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multiple separat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원이나 정류장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이용자가 먼지나 빗물 또는 눈을 비롯한 다양한 이물질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편안하게 앉을 수 있고, 아울러 자전거 보관대를 겸용할 수 있는 공공용 가변식 벤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이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주지지봉과, 이 주지지봉에 일측이 회전 및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좌판과, 한 쌍의 지지대 사이의 주지지봉의 횡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좌판의 하면을 떠받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자전거 바퀴를 삽입할 수 있도록 자전거 거치부가 다수 형성된 한 쌍의 보조지지봉을 포함하는 벤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공용 가변식 벤치{Bench for public}
본 발명은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원이나 정류장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이용자가 먼지나 빗물 또는 눈을 비롯한 다양한 이물질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편안하게 앉을 수 있고, 아울러 자전거 보관대를 겸용할 수 있어 설치공간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공공용 가변식 벤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합실, 역광장, 공원, 놀이시설, 약수터, 휴게소, 정류장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는 공중의 편의를 위해 이용자가 잠시 동안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금속이나 플라스틱 또는 나무로 제작된 다양한 형태의 벤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벤치는 대부분 등받이와 좌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좌판의 상면은 항상 노출된 상태이므로 쉽게 먼지가 쌓이거나 눈 또는 비가 내릴 때에는 물기에 젖어서 오염되고, 이 경우 이용자가 휴지 등으로 이물질을 닦거나 좌판에 종이나 손수건 등을 깔고 이용해야 하는 불쾌감 및 불편함이 따르게 마련이다.
이에 따라 등받이를 접어 좌판 위에 눕힐 수 있도록 하여 좌판에 먼지가 쌓이거나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와 반대로 좌판을 접어 세울 수 있는 형태의 벤치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5812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등받이로 좌판을 덮어 두더라도 빗물이 종종 좌판으로 스며드는 데다 양자 모두 이용자가 앉을 때 일일이 등받이 또는 좌판을 펼쳐야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동안 이용자가 없을 경우에는 등받이 또는 좌판을 누군가가 접어야 하므로 그 기능과 실제의 효용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6251호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하지 않을 때에는 좌석부(30)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을 수 있고, 또 좌석부(30)가 지지대(21,22)의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이용자가 앉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야외용 접이식 벤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벤치는 단순히 좌석부(30)의 상면 또는 하면을 좌석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구성에 불가할 뿐이어서 다양한 이용자가 이용하기에는 상당한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자전거 이용자들이 벤치에 앉아 잠시 쉴 때에는 자전거가 보행자의 이동이나 다른 벤치 이용자에게 방해가 되므로 별도의 자전거 보관장소에 보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일상에서의 자전거 보관장소는 사람들이 자주 이용하는 공공시설이지만, 자전거 보관대의 형태는 거의 단일 목적의 지주형태로 공공시설로서의 다양한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벤치와 자전거 보관의 두 가지 기본적 욕구와 활용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자전거 이용자가 자전거를 근처나 바로 옆에 두고 벤치에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자전거 보관대 겸용 벤치를 개발하고자 노력을 기울이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가 좌판의 앉는 면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으면서 자전거 보관대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공용 가변식 벤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이 지지대들 사이에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두고 고정 설치되는 주지지봉과, 이 주지지봉에 대하여 회전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좌판 및 지지대들 사이의 상기 주지지봉의 횡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좌판들의 하면을 떠받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자전거 바퀴를 삽입할 수 있도록 다수의 자전거 거치부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보조지지봉을 포함하는 벤치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이용자가 좌판의 앉는 면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고, 아울러 자전거 보관대로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어 벤치와 자전거 보관대의 두 가지 시설의 기능성과 활용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좌판의 상하 양면에는 보조지지봉의 상면 둘레와 대응하여 밀착되는 받침홈이 형성된 벤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보조지지봉의 자전거 거치부는 보조지지봉을 벤딩하여 일체로 형성된 벤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좌판을 회전시켜 이용자가 좌판의 앉는 면을 편의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좌판의 한쪽 면이 먼지나 빗물 또는 눈과 같은 이물질에 오염되어 더러울 경우 좌판을 간편하게 뒤집어서 다른 쪽 면에 편안하게 앉을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좌판의 위치를 주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더불어 보조지지봉에 자전거 바퀴를 삽입하여 거치하는 자전거 거치부가 일체로 다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전거 보관대로도 동시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자전거 이용자의 경우 앉아서 휴식을 취하는 좌판 바로 옆에 자전거를 세워 보관할 수 있는 등 이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벤치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는 한 쌍의 지지대(100), 주지지봉(200), 다수의 좌판(300) 및 한 쌍의 보조지지봉(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100)들은 일정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칭적으로 떨어져 주지지봉(200) 및 보조지지봉(400)의 양단을 고정하여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대(100)들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주지지봉(200) 및 보조지지봉(400)의 양단부를 끼울 수 있는 홈(미도시)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되어 있어 주지지봉(200) 및 보조지지봉(400)를 그 홈에 끼움으로써 상호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100)들은 지면에 세워서 고정 설치할 수 있는데 지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앵커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주지지봉(200)은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대(100)들 사이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고정 설치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좌판(300)들을 끼워서 지지한다.
이러한 주지지봉(200)은 좌판(300)들의 회전축 구실과 함께 좌판의 한쪽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받침대 기능 및 역할을 하므로 전체 좌판(300)에 앉는 이용자의 최대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강도와 내식성 및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 통상의 스테인리스 파이프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좌판(300)은 이용자가 앉을 경우 불편이 없는 크기로 상하 양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일측이 주지지봉(200)에 회전 가능하면서 그 수평한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좌판(300)의 한쪽 단부에는 주지지봉(200)이 삽입되는 원통형의 힌지부(305)가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힌지부(305)의 내측 둘레면은 주지지봉(200)의 외측 둘레면보다 약간 크게 형성함으로써 좌판(300)이 주지지봉(200)을 회전축으로 하는 양측 방향으로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용자가 편의에 따라 앉는 방향과 면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좌판(300)의 힌지부(305)와 반대쪽 단부의 상하 양면에는 보조지지봉(400)의 상면 둘레와 대응하는 형상의 받침홈(301)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보조지지봉(400)과 한층 안정적으로 밀착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좌판(300)의 상하 어느 한쪽 면이 주지지봉(200)의 양쪽 중 어느 한쪽의 보조지지봉(400)과 밀착된 상태에서는 주지지봉(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쉽게 미끄러지거나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좌판(300)은 주지지봉(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세 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지지봉(400)은 지지대(100)들 사이의 주지지봉(200)의 횡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좌판의 힌지부(305) 반대쪽 하면을 안정적으로 떠받쳐서 지지하게 된다.
즉, 보조지지봉(400)의 상면은 좌판(300)의 하면과 접촉 간섭으로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놓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보조지지봉(40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수평으로 연속 벤딩하여 자전거 바퀴를 삽입할 수 있는 자전거 거치부(401)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보조지지봉(400)의 양단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며 지지대(100)들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되어 있고, 그 길이방향의 어느 한쪽 단부에서 다른 쪽 단부로 가면서 1차적으로 지면을 향해 수직이게 벤딩하고, 다시 지면과 수평하게 벤딩하며, 또다시 지면의 반대방향으로 수직이게 벤딩하여 자전거의 바퀴 부분을 삽입 및 별도의 잠금장치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자전거 거치부(401)에 의하여 보조지지봉(400)의 벤딩된 일부분이 지면과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좌판(300)을 한층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조지지봉(400)은 좌판(300)의 바깥쪽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받침대 기능 및 역할을 하므로 주지지봉(200)과 마찬가지로 전체 좌판(300)에 앉는 이용자의 최대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강도와 내식성 및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 통상의 스테인리스 파이프 등을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는 좌판(300)들의 힌지부(305)가 주지지봉(200)에 각각 지지되어 주지지봉을 회전축으로 하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평상 시 좌판(300)의 어느 한쪽 면이 어느 한쪽 편 보조지지봉(400)의 상면과 접촉하면서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놓이게 된다.
즉, 주지지봉(200)을 기준으로 좌측 편의 좌판(300)은 그 상면이 상방을 향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주지지봉(200)의 우측 편의 좌판(300)은 하면이 상방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좌판(300)의 어느 한쪽 면이 먼지나 빗물 또는 눈과 같은 이물질에 오염되어 더러울 경우 이용자가 해당 좌판(300)을 간편하게 반대쪽으로 뒤집어서 청결한 다른 쪽 면에 편안하게 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는 도 7의 모식도와 같이, 좌판(300)의 위치가 주지지봉(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자전거 이용자의 경우 어느 하나의 좌판(300)을 일정거리로 이동시키고, 그 좌판(300)과 바로 인접하여 보조지지봉에 형성된 자전거 거치부(401)상에 자전거를 세워서 임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전거 보관대의 설치공간을 별도로 마련하거나 제작할 필요 없음은 물론이고, 벤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전거 이용자가 벤치에서 멀리 떨어진 자전거 보관소에 자전거를 보관할 필요가 없고, 특히 별도의 잠금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자전거 이용자의 경우 분실 및 도난사고의 부담감이나 피해 없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즉, 벤치가 자전거 보관대의 기능 및 역할을 자연스럽게 발휘하여 하나의 물품으로 두 가지 물품 기능을 동시에 소화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설치공간의 효율성을 제고 및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지지대 200: 주지지봉
300: 좌판 301: 받침홈
305: 힌지부 400: 보조지지봉
401: 자전거 거치부

Claims (3)

  1.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들 사이에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두고 고정 설치되는 주지지봉;
    상기 주지지봉에 대하여 회전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좌판;
    상기 지지대들 사이의 상기 주지지봉의 횡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좌판들의 하면을 떠받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자전거 바퀴를 삽입할 수 있도록 다수의 자전거 거치부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보조지지봉;
    을 포함하는 벤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상하 양면에는 상기 보조지지봉의 상면 둘레와 대응하여 밀착되는 받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봉의 자전거 거치부는 보조지지봉을 수직 및 수평으로 연속 벤딩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KR1020110094503A 2011-09-20 2011-09-20 공공용 가변식 벤치 KR101202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503A KR101202658B1 (ko) 2011-09-20 2011-09-20 공공용 가변식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503A KR101202658B1 (ko) 2011-09-20 2011-09-20 공공용 가변식 벤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658B1 true KR101202658B1 (ko) 2012-11-19

Family

ID=4756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503A KR101202658B1 (ko) 2011-09-20 2011-09-20 공공용 가변식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297Y1 (ko) * 2021-04-26 2022-04-20 김희정 태양전지를 포함한 스마트 벤치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0281A (ja) 2002-01-23 2003-07-29 Sankyo Alum Ind Co Ltd ベンチ
KR100986251B1 (ko) 2010-04-15 2010-10-07 이선영 야외용 접이식 벤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0281A (ja) 2002-01-23 2003-07-29 Sankyo Alum Ind Co Ltd ベンチ
KR100986251B1 (ko) 2010-04-15 2010-10-07 이선영 야외용 접이식 벤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297Y1 (ko) * 2021-04-26 2022-04-20 김희정 태양전지를 포함한 스마트 벤치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9461A (en) Portable cosmetic mirror apparatus
US7448688B2 (en) Footrest
US4135604A (en) Vanity storing step
US6890033B1 (en) Beach chair for use on beaches and other locations
CA2985983A1 (en) Portable adjustable chair
KR101202658B1 (ko) 공공용 가변식 벤치
KR101036135B1 (ko) 의자가 부착된 난간
JP4928309B2 (ja) 物干装置
US6527219B1 (en) Toilet paper dispensing system
US6290290B1 (en) Infant car seat support assembly
KR100990496B1 (ko) 다기능 펜스
US20080106130A1 (en) Fence-mounted, folding spectator seat
KR101266317B1 (ko) 낚시용 좌대
US7175234B1 (en) Foldable safety rail
US20070001488A1 (en) Multipurpose portable table
KR100986251B1 (ko) 야외용 접이식 벤치
KR200453628Y1 (ko) 야외용 접이식 테이블의 구조
WO2011082465A1 (pt) Esteira estofada dobrável com encosto regulável para praia
KR200462860Y1 (ko) 의자 겸용 지팡이
KR102275210B1 (ko) 야외용 원목 테이블
KR200483119Y1 (ko) 자전거 거치대
KR200496857Y1 (ko) 조립식 그늘막 벤치
RU130817U1 (ru) Подъемная кровать
KR20190113404A (ko) 실내 및 실외에서 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의자 겸용 테이블
KR200494643Y1 (ko) 휴대가 가능한 가변형 낚시좌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