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055B1 -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055B1
KR101202055B1 KR1020100085765A KR20100085765A KR101202055B1 KR 101202055 B1 KR101202055 B1 KR 101202055B1 KR 1020100085765 A KR1020100085765 A KR 1020100085765A KR 20100085765 A KR20100085765 A KR 20100085765A KR 101202055 B1 KR101202055 B1 KR 101202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ire cord
steel wire
shaf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304A (ko
Inventor
구제청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5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0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2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6Cutting textile inserts to required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Tyre Mould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틸 와이어 코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성형용 벨트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성형기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스틸 와이어 코드가 벨트 절단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의 검출축(10)과; 검출축(1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도체부(11)에 각각 결합되며 내경이 도체부(1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복수개의 검출용 엽전롤러(12)와; 검출축(10)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음극 접점(13a)과 양극 접점(13b)이 검출축(10)의 도체부(11)에 교대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전선(13)과; 전선(13) 사이가 통전될 때 스틸 와이어 코드(35)의 노출로 판단하는 감지기;를 포함하고, 벨트 서비서(40)의 상측에 설치된 축 고정 프레임(15)이 반제품 벨트(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검출축(10)을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반제품 벨트의 절단면에서 노출된 스틸 와이어 코드의 길이가 짧더라도 이를 조기에 감지하여 조치할 수 있게 되므로 완제품 타이어의 품질 저하가 방지되고 불량 타이어로 인한 사용자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Detecting Device for Wire Cord Exposed from Belt of Tire}
본 발명은 스틸 와이어 코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성형용 벨트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성형기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스틸 와이어 코드가 벨트 절단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틸 와이어 코드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롤러들이 전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노출된 스틸 와이어 코드의 길이가 짧더라도 이를 조기에 감지하여 완제품 타이어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벨트(Belt)는 타이어의 언더 트레드(Under Tread, 또는 트레드)와 카카스 플라이(Carcass Fly) 사이에 위치하는 특수 코드지로서, 트레드면에 작용하는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아울러 트레드에 발생한 크랙(Crack) 또는 외상이 카카스 플라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언더 트레드의 고무층과 카카스 플라이 사이의 세퍼레이션(Seperation)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타이어의 벨트는 일정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스틸 와이어 코드(Steel Wire Cord)에 고무가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린 케이스(Green Case)의 성형 공정에서 반제품 벨트가 벨트 서비서(Belt Servicer)를 통해 설정된 길이로 절단된 후, 성형기의 드럼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반제품 벨트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벨트의 절단면으로부터 스틸 와이어 코드가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성형 및 가황 공정을 거쳐 완성된 완제품 타이어 상에 스틸 와이어 코드가 노출될 수 있어 완제품 타이어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그린 케이스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가 노출되는 것을 사전에 발견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제품 타이어의 품질 저하를 막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본 출원인에 의해 2007년 09월 19일자로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10-0913592호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 도 그 중 하나이다.
상기한 종래의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는, 벨트 서비서(110)의 상측에 고정되는 메인 브래킷(120)과, 상기 벨트 서비서(110)의 상측에 인접하게 상기 메인 브래킷(120)에 고정되는 롤러 고정 브래킷(130)과, 상기 벨트 서비서(110)의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롤러 고정 브래킷(130)에 서로 이격 고정되는 제1고정축(140) 및 제2고정축(150)과, 상기 제1고정축(140) 및 제2고정축(150)에 각각 끼워져 반제품 벨트(200)와 접하도록 고정되는 다수의 제1엽전롤러(160) 및 제2엽전롤러(170)와, 상기 제1고정축(140)을 통해 상기 제1엽전롤러(160) 각각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기(190)와, 상기 제2고정축(150)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엽전롤러(160)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2엽전롤러(170) 사이에서 상기 반제품 벨트(200)의 절단면으로부터 노출된 와이어 코드(210)에 의해 통전시 와이어 코드의 노출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기(2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는, 벨트 서비서(110)를 통해 설정된 길이로 절단 공급되는 반제품 벨트(200)에 접하는 복수의 제1엽전롤러(160)와 제2엽전롤러(170)가 상기 반제품 벨트(200)의 절단면으로부터 노출된 와이어 코드(210)에 의해 통전될 때 감지기(250)가 와이어 코드(210)의 노출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함으로써 반제품 벨트(200)의 절단 불량을 조기에 감지하여 후속 공정을 중지시킴으로써 와이어 코드 노출로 인한 완제품 타이어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는, 노출된 와이어 코드(210)에 의해 제1고정축(140)과 제2고정축(150)이 통전될 경우에만 와이어 코드(210)의 노출을 감지하도록 하고 있어, 반제품 벨트(200)의 절단면에서 노출된 와이어 코드(210)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반제품 벨트(200)의 절단면에서 노출된 와이어 코드(210)가 너무 짧거나 휘어져 제1엽전롤러(160)와 제2엽전롤러(170)에 동시에 접하지 못할 경우에는 제1고정축(140)과 제2고정축(1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아 와이어 코드(210)의 노출을 감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1고정축(140)과 제2고정축(150) 사이의 간격을 줄임으로써 감지 가능한 와이어 코드(210)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나, 상기 제1고정축(140) 및 제2고정축(150)에 각각 결합되는 제1엽전롤러(160) 및 제2엽전롤러(170)의 직경을 고려하면 간격 단축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하여 와이어 코드(210)의 노출 감지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노출된 와이어 코드(210)가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지 않고 폭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꺾인 경우에는 대부분 와이어 코드(210)가 제1엽전롤러(160) 또는 제2엽전롤러(170) 중 하나에만 접촉될 뿐 동시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반제품 벨트(200)의 절단면에서 와이어 코드(210)가 노출된 것을 감지하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
하지만 와이어 코드의 노출로 인하여 완제품 타이어에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품질 저하는 물론 타이어 사용자의 안전에 있어서도 큰 문제가 되므로, 완벽한 불량 검출이 필요하다. 또한, 반제품 벨트의 절단면에서 노출되는 와이어 코드는 대부분 벨트의 길이 방향이 아닌 폭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꺾여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폭이 아주 짧은 노출 와이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91359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타이어의 반제품 벨트의 절단면에서 노출되는 스틸 와이어 코드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이를 빠르게 감지하여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로 인한 완제품 타이어의 불량을 방지하고 완제품 타이어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절단면에서 스틸 와이어 코드가 노출된 반제품 벨트를 조기에 감지하여 타이어 성형 공정에 적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완제품 타이어의 불량률을 제거하고 불량 타이어의 제조에 수반되는 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완제품 타이어의 전체적인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의 검출축과; 상기 검출축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도체부에 각각 결합되며 내경이 상기 도체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복수개의 검출용 엽전롤러와; 상기 검출축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음극 접점과 양극 접점이 상기 검출축의 도체부에 교대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전선과; 상기 전선 사이가 통전될 때 스틸 와이어 코드의 노출로 판단하는 감지가;를 포함하고, 벨트 서비서의 상측에 설치된 축 고정 프레임이 반제품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검출축을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에 따르면, 상기 축 고정 프레임은 상기 벨트 서비서에 설치된 메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반제품 벨트의 절단 각도에 대응하여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에 따르면, 상기 축 고정 프레임은 상기 감지기에 의해 작동되는 검출장치 회전용 모터에 의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되며, 상기 검출장치 회전용 모터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어 브래킷으로 고정되며, 상기 검출장치 회전용 모터의 출력축과 상기 축 고정 프레임의 중심축이 축 연결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에 따르면, 상기 축 고정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축 고정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이탈방지 가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에 따르면, 상기 검출용 엽전롤러들의 끝단 사이 간격은 1.0 ~ 5.0 ㎜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는, 하나의 검출용 엽전롤러를 이용하여 반제품 벨트의 절단면에서 노출되는 스틸 와이어 코드를 감지하게 되므로, 스틸 와이어 코드의 길이가 짧더라도 이를 빠르게 감지하여 불량으로 판정함으로써 완제품 타이어의 전체적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에 따르면, 절단면에서 스틸 와이어 코드가 노출된 불량 반제품 벨트를 조기에 감지하여 후속 공정에서 사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량 완제품 타이어의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완제품 타이어의 전체적인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에 따르면, 검출용 엽전롤러가 장착된 검출축이 설치된 축 고정 프레임을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시켜 반제품 벨트의 절단 각도에 상관없이 스틸 와이어 코드의 노출 여부를 간단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에 따르면, 검출장치 회전용 모터를 이용하여 축 고정 프레임을 자동으로 회동시키게 되므로 반제품 벨트의 절단 각도와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축 고정 프레임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에 따르면, 축 고정 프레임에 구비된 이탈방지 가이드가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축 고정 프레임이 흔들리지 않고 정확한 위치로 회동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이 도시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가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부 상세도.
도 5는 반제품 벨트의 절단 각도에 따라 검출축이 회동하는 모습이 도시된 참고도,
도 6은 2개의 검출축을 이용하여 스틸 와이어 코드의 노출을 감지하는 모습이 도시된 참고도.
도 7은 노출된 스틸 와이어 코드에 의해 전기가 통전될 때 이를 검출하여 스틸 와이어 코드의 노출을 감지하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기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름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의 검출축(10)과; 상기 검출축(1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도체부(11)에 각각 결합되며 내경이 상기 도체부(1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복수개의 검출용 엽전롤러(12)와; 상기 검출축(10)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음극 접점(13a)과 양극 접점(13b)이 상기 검출축(10)의 도체부(11)에 교대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전선(13)과; 상기 전선(13) 사이가 통전될 때 스틸 와이어 코드(35)의 노출로 판단하는 감지기로서의 PLC(50)와; 반제품 벨트(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검출축(10)을 지지하도록 벨트 서비서(40)의 상측에 설치된 축 고정 프레임(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축 고정 프레임(15)은 상기 벨트 서비서(40)에 설치된 메인 프레임(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반제품 벨트(30)의 절단 각도에 대응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상측에는 위치되어 검출장치 회전용 모터(25)가 설치되어 브래킷(27)으로 고정되며, 상기 검출장치 회전용 모터(25)의 출력축(26)과 상기 축 고정 프레임(15)의 중심축(16)이 축 연결장치(2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축 고정 프레임(15)은 상기 PLC(50)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검출장치 회전용 모터(25)에 의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축 고정 프레임(15)을 안내하도록 상기 축 고정 프레임(15)의 상측에는 복수개의 이탈방지 가이드(17)가 설치된다.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17)의 상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가이드 홈(21)에 삽입되어 상기 축 고정 프레임(15)의 이동을 가이드 함으로써, 상기 축 고정 프레임(15)이 회동하는 동안 정해진 경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상기 검출용 엽전롤러(12)들은 끝단 사이 간격(d)이 1.0 ~ 5.0 ㎜가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d)이 1.0 ㎜ 미만이면 상기 검출용 엽전롤러(12)의 설치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면에서 효과적이지 않고, 상기 간격(d)이 5.0 ㎜를 초과하게 되면 스틸 와이어 코드(35)가 노출되었음에도 이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검사의 신뢰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간격(d)의 상한을 5.0 ㎜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는 반제품 벨트의 절단면에서 스틸 와이어 코드가 노출되었는지를 검출함으로써 노출된 스틸 와이어 코드로 인한 완제품 타이어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절단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절단된 후 벨트 서비서(40)에 의해 이송되는 반제품 벨트(30)는 상기 벨트 서비서(40)의 상측에 설치된 검출축(10)의 하부를 지나게 된다. 이때, 상기 검출축(10)에 설치된 복수개의 검출용 엽전 롤러(12)는 상기 반제품 벨트(30)의 상면에 맞닿은 채로 회전하거나 상기 검출축(10)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검출축(10)의 하부로 상기 반제품 벨트(30)가 지나는 경우에는 상기 검출용 엽전롤러(12)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반제품 벨트(30)의 상면에 맞닿은 채로 회전하고, 상기 반제품 벨트(30)가 상기 검출축(10)의 하부를 지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검출용 엽전 롤러(12)가 하강하여 상기 검출축(10)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이웃하는 상기 검출용 엽전롤러(12)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감지기인 PLC(50)에는 아무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
그런데, 상기 반제품 벨트(30)의 절단면에서 스틸 와이어 코드(35)가 노출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용 엽전롤러(12)가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35)에 맞닿아 회전하게 됨과 아울러 이웃하는 검출용 엽전롤러(12)가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3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전선(13)의 음극 접점(13a)과 양극 접점(13b)이 이웃하는 검출용 엽전롤러(12)가 설치된 도체부(11) 및 상기 스틸 와이어 코드(3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전선(13)의 음극 접점(13a)과 양극 접점(13b)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51)가 작동되어 릴레이 스위치(52)를 온 시킴으로써 감지기인 상기 PLC(50)에 신호를 입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PLC(50)는 상기 반제품 벨트(30)의 절단면에서 스틸 와이어 코드(35)가 노출되었음을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검출용 엽전롤러(12)에 의한 스틸 와이어 코드(35)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검출축(10)을 도 5와 같이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시킬 수 있다. 즉, 검출장치 회전용 모터(25) 등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축(10)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검출축(10)과 상기 반제품 벨트(30)의 절단면이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검출축(10)이 설치되는 축 고정 프레임(15)의 상단에 이탈방지 가이드(17)가 설치되며, 상기 검출축(10)은 메인 프레임(20)의 가이드 홈(21)에 상단부가 삽입된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17)의 안내를 받으면서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한다.
또, 상기 검출축(10)은 도 6와 같이, 상기 반제품 벨트(30)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병렬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검출축(10)을 하나만 설치하는 것에 비해 스틸 와이어 코드(34)의 노출 여부를 감지함에 있어 정확성을 확보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검출축
11: 도체부
12: 검출용 엽전롤러
13: 전선
13a: 음극 접점 13b: 양극 접점
15: 축 고정 프레임
16: 중심축
17: 이탈방지 가이드
20: 메인 프레임
21: 가이드 홈
25: 검출장치 회전용 모터
26: 출력축
27: 브래킷
28: 축 연결장치
30: 반제품 벨트
35: 스틸 와이어 코드
40: 벨트 서비서
50: PLC
d: 엽전롤러의 끝단 사이 간격

Claims (5)

  1.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의 검출축(10)과;
    상기 검출축(1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도체부(11)에 각각 결합되며 내경이 상기 도체부(1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복수개의 검출용 엽전롤러(12)와;
    상기 검출축(10)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음극 접점(13a)과 양극 접점(13b)이 상기 검출축(10)의 도체부(11)에 교대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전선(13)과;
    상기 전선(13) 사이가 통전될 때 스틸 와이어 코드(35)의 노출로 판단하는 감지기;를 포함하고,
    벨트 서비서(40)의 상측에 설치된 축 고정 프레임(15)이 반제품 벨트(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검출축(10)을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고정 프레임(15)은 상기 벨트 서비서(40)에 설치된 메인 프레임(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반제품 벨트(30)의 절단 각도에 대응하여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 고정 프레임(15)은 상기 감지기에 의해 작동되는 검출장치 회전용 모터(25)에 의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되며, 상기 검출장치 회전용 모터(25)는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상측에 위치되어 브래킷(27)으로 고정되며, 상기 검출장치 회전용 모터(25)의 출력축(26)과 상기 축 고정 프레임(15)의 중심축(16)이 축 연결장치(28)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 고정 프레임(15)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에 삽입되어 상기 축 고정 프레임(15)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이탈방지 가이드(1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엽전롤러(12)들의 끝단 사이 간격(d)은 1.0 ~ 5.0 ㎜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용 반제품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
KR1020100085765A 2010-09-02 2010-09-02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 KR101202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765A KR101202055B1 (ko) 2010-09-02 2010-09-02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765A KR101202055B1 (ko) 2010-09-02 2010-09-02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304A KR20120022304A (ko) 2012-03-12
KR101202055B1 true KR101202055B1 (ko) 2012-11-15

Family

ID=4613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765A KR101202055B1 (ko) 2010-09-02 2010-09-02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095B1 (ko) * 2012-05-30 2014-02-04 에이스산업 주식회사 타이어용 반제품의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 장치
CN113970286B (zh) * 2021-10-18 2022-07-29 宁波星航源精密轴业有限公司 一种风扇轴心的检测设备以及检测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592B1 (ko) 2007-09-19 2009-08-2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592B1 (ko) 2007-09-19 2009-08-2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304A (ko) 201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0045B2 (ja) インナーライナージョイントの検出方法と検出装置及び生タイヤの製造方法
EP3126130B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controll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component of a tyre for vehicle wheels.
KR100638283B1 (ko) 타이어 트레드 자동 조인트 감지장치
US10451415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cylindrical member
KR101340698B1 (ko) 타이어 성형기의 벨트 컷팅장치
KR101202055B1 (ko)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스틸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장치
CN109982823B (zh) 用于制造轮胎面的方法和轮胎面制造装置
KR100913592B1 (ko) 타이어 성형용 벨트의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 장치
EP1690668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xposed metal cords in an elastomeric strip
US20160167466A1 (en) Probe and device for testing tires
KR101022879B1 (ko) 타이어용 벨트드럼의 벨트결함 검출장치
JP2009047648A (ja) タイヤの試験方法及びその装置
JP4512981B2 (ja) タイヤ成形方法
JP2012026873A (ja) 秤量コンベア装置および秤量方法
JP2009269233A (ja) 貼付部材の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JP5483321B2 (ja) タイヤの製造装置
KR101357095B1 (ko) 타이어용 반제품의 와이어 코드 노출 감지 장치
WO2018056482A1 (ko) 재제조 타이어의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EP38948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a tyre being processed
JP7280114B2 (ja) ゴム材料の搬送ローラ機構
KR101995770B1 (ko) 멀티 디스크 타입 타이어 트레드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KR102045645B1 (ko) 압연기의 워크롤 정렬 이상 진단방법
JP2016014633A (ja) 帯状ゴム材料の搬送制御装置および搬送制御方法
CN117023041A (zh) 输送辊转动检测系统及方法
KR20170038514A (ko) 벨트 커팅 컨베이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