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008B1 - Regulator Having Thermo Element and Supply Apparatus of Gas Fuel Using The Sam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gulator Having Thermo Element and Supply Apparatus of Gas Fuel Using The Sam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008B1
KR101202008B1 KR1020120083293A KR20120083293A KR101202008B1 KR 101202008 B1 KR101202008 B1 KR 101202008B1 KR 1020120083293 A KR1020120083293 A KR 1020120083293A KR 20120083293 A KR20120083293 A KR 20120083293A KR 101202008 B1 KR101202008 B1 KR 101202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uel
temperature
regulator
gas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은도
이석우
양원
최영석
최영재
정재용
이정우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8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0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0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39Pressure or flow regul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gaseous fuels
    • F02D19/021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22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to adjust the fuel pressure, temperature or com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33Details of actu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0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 F02M31/1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electrically
    • F02M31/125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2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cooling
    • F02M31/205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PURPOSE: A regulator with a thermo element, a gas fuel supply device with the same and a vehicle with the same are provided to accurately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exhaust gas and engine output by adjusting the mount of gas fuel. CONSTITUTION: A gas fuel supply device comprises a supply unit(200) and a regulator(300). The supply unit is connected to a fuel storage tank(100) holding high pressure gas fuel, and supplies the gas fuel to the outside. The supply valve(210) of the supply unit selectively controls the gas fuel in a path. The regulator is connected to the supply unit, and comprises a moving space, a temperature regulating unit(330), and a pressure regulating unit. The gas fuel moves along the moving space. The temperature of a thermo elemen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low of current. The temperature regulating unit controls the temperature by heat exchanging with the gas fuel.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controls the pressure of the gas fuel brought in the moving space.

Description

열전소자가 구비된 레귤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가스연료 공급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차량{Regulator Having Thermo Element and Supply Apparatus of Gas Fuel Using The Same and Vehicle Having The Same}Regulator having thermoelectric element and gas fuel supply device using same, and vehicle including same {Regulator Having Thermo Element and Supply Apparatus of Gas Fuel Using The Sam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엔진으로 가스연료를 공급하는 가스연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받은 가스연료의 압력 및 온도를 조절하는 레귤레이터를 구비함으로써, 엔진으로 공급되는 가스연료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열전소자가 구비된 레귤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가스연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 fuel supply device for supplying gas fuel to an engi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electric element capable of precise control of a gas fuel supplied to an engine by providing a regulator for adjusting a pressure and a temperature of a gas fuel supplied from a fuel tank. It is provided with a regulator and a gas fuel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전 세계적으로 기존 화석연료의 가격 변동성이 날로 심화되고,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기존 수송용 연료에 비해 매장량이 풍부하고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은 천연가스나 LPG연료를 사용하여 엔진을 동작시키는 장치에 대해서 많이 개발되고 있다.As the price volatility of existing fossil fuels intensifies around the world and raises the issu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 device that operates engines using natural gas or LPG fuel, which has abundant reserves and emits less carbon dioxide than existing transportation fuels. It is developed a lot about.

이와 같은 가스연료를 사용하여 엔진을 동작하는 장치에 대해서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특히 LNG 및 CNG를 연료로 이용하는 자동차가 많이 개발되었다.Various devices have been developed for a device for operating an engine using such a gas fuel, and in particular, many vehicles using LNG and CNG as fuel have been developed.

C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의 경우, 가스연료가 고압으로 압축되어 있으며 압축된 가스연료가 연료탱크로부터 엔진으로 공급될 때 압력과 온도를 조절하는 레귤레이터가 필수로 사용된다. In automobiles using CNG as a fuel, a gas fuel is compressed at high pressure, and a regulator for controlling pressure and temperature is essential when compressed gas fuel is supplied from the fuel tank to the engine.

압축 가스차량에서 레귤레이터는 약200bar 의 압력을 다단의 압력 강하 기작을 통하여 알맞은 압력으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이다.In compressed gas vehicles, the regulator converts the pressure of about 200 bar to the appropriate pressure through the multistage pressure drop mechanism.

CNG의 경우 고압으로 압축되어 있기 때문 그대로 엔진으로 공급될 경우 압력에 의해서 엔진이 파손될 수도 있다. 그래서 별도의 레귤레이터를 구비하여 엔진으로 공급되는 가스연료의 압력을 조절하여 엔진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Since CNG is compressed at high pressure, the engine may be damaged by the pressure when it is supplied to the engine as it is. Therefore, by providing a separate regulator to control the pressure of the gas fuel supplied to the engine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engine.

종래의 레귤레이터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내부에 가스연료를 공급받아서 가스연료의 부피조절을 통해서 압력을 조절하는 장치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가스연료의 압력조절뿐만 아니라 레귤레이터 내부에서 가스연료의 온도도 함께 조절하도록 구성된다.Looking at the conventional regulator, in general, a device that controls the pressure through the volume control of the gas fuel by the gas fuel supplied therein has been used a lot, and recently, not only the pressure control of the gas fuel but also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inside the regulator together It is configured to.

레귤레이터에서 가스연료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라디에이터 내부에 별도의 유로를 형성하여 열전달유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열교환을 통해 가스연료의 온도를 조절하였다. 여기서, 열전달유체는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는 유체나 냉각수가 사용될 수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in the regulator, a separate flow path was formed inside the radiator and passed through a heat transfer flui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through heat exchange. Here, the heat transfer fluid may be a fluid or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radiator.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종래의 레귤레이터는 가스연료의 압력을 조절하여 유량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가스연료의 온도도 조절하여 엔진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알맞도록 조정 하였다.Through this method, the conventional regulator not only changes the flow rate by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gas fuel, but also adjusts the gas fuel temperature to suit the requirements of the engine.

하지만, 종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는 열전달유체가 레귤레이터 내부에서 가스연료의 온도를 제어하기에 충분히 온도변화가 빠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heat transfer fluid is not fast enough temperature change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inside the regulator.

또한, 레귤레이터 내부에서 가스연료의 냉각과 가열을 위한 열전달유체를 각각 따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transfer fluid for cooling and heating the gas fuel in the regulator must be provided separately.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가스연료 공급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연료의 압력 및 온도를 조절하여 엔진으로 공급하는 레귤레이터 내부에 열전소자를 구비하여 가스연료의 온도를 보다 넓은 범위에서 빠르게 조절함으로써, 엔진의 성능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유해 배기가스 농도를 미세 제어할 수 있은 가스연료의 온도조절이 용이한 열전소자가 구비된 레귤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가스연료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gas fuel supply device, by adjusting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gas fuel supplied from the fuel tank by providing a thermoelectric element inside the regulator for supplying the engin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By regulating rapidly in a wider range, it provides a regulator equipped with a thermoelectric element that facilitates temperature control of a gas fuel that can increase the performance and energy efficiency of the engine and finely control the harmful exhaust gas concentration, and a gas fuel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Is i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스연료 공급장치는, 고압의 가스연료가 수용된 연료탱크에 연결되어 외부로 상기 가스연료를 공급하며, 이동경로상에서 상기 가스연료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공급밸브를 가지는 공급유닛 및 상기 공급유닛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가스연료가 이동하는 이동공간, 상기 이동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전류의 흐름에 따라 온도가 변화하는 열전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가스연료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및 상기 이동공간 내부에서 유입된 상기 가스연료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이동공간 내부에서 상기 가스연료가 공급되는 가스투입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스연료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 1온도조절수단 및 상기 압력조절부에 의해서 변화된 상기 가스연료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스연료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 2온도조절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gas fuel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fuel tank containing a high-pressure gas fuel to supply the gas fuel to the outside, the supply of the gas fuel on the movement path is selective The gas is provided with a supply unit having a supply valve to be adjusted to the supply unit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connected to the supply unit, a moving space in which the gas fuel moves, a thermoelectric element disposed in the moving space and changing in temperature with the flow of current. And a regulator including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through heat exchange with fuel, and a press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pressure of the gas fuel introduced into the moving space, where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cludes the gas fuel in the moving space. Temperatur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gas inlet to which the gas is suppli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Is disposed adjacent to the gas discharge port is changed in which the gaseous fuel is discharged by the section means and said pressure control unit and a second temperatur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또한,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이동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가스연료의 이동경로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may be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movement path of the gas fuel in the moving space.

또한,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이동공간 내부에서 상기 가스연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온도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in the moving spac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제 1온도측정센서는 상기 이동공간의 상기 가스연료 이동 경로상에서 상기 제 1온도조절수단 및 상기 제 2온도조절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adjusting means and the second temperature adjusting means on the gas fuel movement path of the moving space.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가스연료가 배출되는 상기 가스배출구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상기 가스연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온도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gulat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is provided in the gas discharge port discharged from the gas discharge.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에 연결되어 압력이 변화된 상기 가스연료를 별도로 구비된 엔진으로 전달하는 엔진유입관 및 상기 엔진유입관의 일측에서 상기 엔진 내부로 상기 가스연료를 분사하는 분사기를 포함하는 전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elivery unit including an engine inlet pipe connected to the regulator for delivering the gas fuel whose pressure is changed to a separate engine, and an injector for injecting the gas fuel into the engine from one side of the engine inlet pipe. It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엔진유입관은 상기 분사기와 인접한 끝단부에 상기 분사기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보조온도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ngine inlet pip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supplied to the injector to the end adjacent to the injector.

또한, 상기 엔진유입관은 상기 분사기와 인접한 끝단부에 상기 분사기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의 온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보조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gine inlet pip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temperature control means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supplied to the injector to the end adjacent to the injector.

또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레귤레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연료가 이동하는 경로상에서 상기 레귤레이터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레귤레이터에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가 균일한 속도 및 압력을 가지도록 하는 소닉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sonic nozzle connected to the regulator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egulator on a path through which the gas fuel moves, and to allow the gas fuel supplied to the regulator to have a uniform speed and pressure. Can be.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가 상기 엔진으로 상기 가스연료를 공급하는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연료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가스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gulator may further include a gas filter disposed on the path for supplying the gas fuel to the engine to remov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gas fuel.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스연료가 구비된 연료탱크에 연결되어 가스연료를 공급받으며 내부에 공급받은 상기 가스연료가 이동하는 이동공간, 상기 이동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전류의 흐름에 따라 온도가 변화하는 열전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가스연료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및 상기 이동공간 내부에서 유입된 상기 가스연료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connected to a fuel tank equipped with a gas fuel is supplied to the gas fuel and the moving space in which the gas fuel supplied therein is disposed in the moving space It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that changes in temperature as the current flows, and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gas fuel, and a press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gas fuel introduced into the moving spac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연료탱크에서 엔진으로 가스연료를 공급할 때 별도의 레귤레이터를 구비하여 엔진의 요구조건에 알맞은 압력으로 가스연료를 공급함과 동시에 레귤레이터 내부에 별도의 열전소자를 구비하여 주위환경 및 엔진의 요구조건에 알맞도록 가스연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극한 지역이나 고온 지역에서 가스연료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연료공급에 따른 문제(극한지역의 경우 기화 문제 및 냉시동 문제, 고온 지역의 경우 밀도 하강에 따른 출력 저하문제, 두 지역 모두 연료 공급 조건 변화에 따른 엔진 성능 변화로 인한 에너지효율 저하 및 배기가스 내 유해물질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order to supply gas fuel from the fuel tank to the engine, a separate regulator is provided to supply gas fuel at a pressure appropriate to the engine's requirements, and a separate therm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inside the regulator to suit the environment and engine requirements.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which is caused by the fuel supply generated when using the gas fuel in extreme or high temperature areas (evaporation and cold start in the extreme areas, and output due to density drop in the high temperature areas) Degradation problems, both areas can reduce energy efficiency due to changes in engine performance due to changes in fuel supply conditions and increase of harmful substances in exhaust gas.

또한, 엔진으로 공급되는 가스연료의 순간적인 압력뿐만 아니라 온도도 함께 제어 함으로써, 엔진으로 공급되는 가스연료의 양을 세밀하게 제어하여 엔진출력 및 유해 배기가스 농도의 정밀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s well as the instantaneous pressure of the gas fuel supplied to the engine, it is possible to finely control the amount of the gas fuel supplied to the engine to enable precise control of the engine output and harmful exhaust gas concentration.

또한, 레귤레이터가 가스연료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열전소자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조건에 의한 온도조절의 응답속도가 빨라 능동적인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gulator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the response speed of temperature regulation by external conditions is fast, and thus active control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연료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가스연료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레귤레이터의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가스연료 공급장치에서 레귤레이터에 별도의 소닉노즐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4는 도 1의 레귤레이터 내부에 공급된 가스연료의 압력 및 온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as fuel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gulator used in the gas fuel supply device of FIG. 1;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parate sonic nozzle is provided in a regulator in the gas fuel supply device of FIG. 1; And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djusting a pressure and a temperature of a gas fuel supplied into the regulator of FIG. 1.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열전소자가 구비된 레귤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가스연료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를 통해서 좀더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A preferred embodiment of a regulator equipped with a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a gas fuel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but to help a more clear understanding through the present embodiment.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가스연료 공급장치는 기본적으로 가스연료를 엔진에 공급할 때 엔진에서 요구되는 연료의 분사조건에 따라 가스연료의 압력 및 유량을 조절한다.The gas fuel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djusts the pressure and flow rate of the gas fuel according to the injection conditions of the fuel required by the engine when supplying the gas fuel to the engine.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가 구비된 레귤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가스연료 공급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a configuration of a regulator equipped with a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gas fuel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연료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가스연료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레귤레이터의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as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gulator used in the gas fuel supply device of FIG.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열전소자가 구비된 레귤레이터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가스연료 공급장치에 대해서 함께 설명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not only a regulator equipped with a thermoelectric element, but also a gas fuel supply apparatus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toge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연료 공급장치는 크게 공급유닛(200), 레귤레이터(300) 및 전달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함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상기 가스연료 공급장치 외에 별도로 엔진(E) 및 전체 시스템의 온도 및 압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ECU: Electronic Control Unit)를 더 포함하여 설명한다.Gas fuel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arge supply unit 200, the regulator 300 and the delivery unit 400.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gas fuel supply device will be described further including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engine (E) and the entire system separately. .

상기 공급유닛(200)은 별도로 구비된 연료탱크(100)에 수용된 고압의 상기 가스연료(G)를 상기 레귤레이터(300)로 공급하는 공급관(220) 및 상기 공급관(220)상에 구비되어 ON/OFF를 반복하며 상기 연료탱크(100)로부터 상기 레귤레이터(300)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를 엔진(E)에서 요구하는 요구조건에 따라서 상기 레귤레이터(300)로 분사하는 공급밸브(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pply unit 200 is provided on the supply pipe 220 and the supply pipe 220 for supplying the high-pressure gas fuel (G) contained in the fuel tank 100 provided separately to the regulator 300 ON / A supply valve 210 which injects the gaseous fuel G supplied from the fuel tank 100 to the regulator 300 to the regulator 300 according to a requirement of the engine E by repeating OFF.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여기서, 상기 공급밸브(210)는 일반적으로 유체 및 기체를 특정 대상위치로 공급할 때 선택적으로 공급여부를 조절함으로써, 대상위치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알맞도록 공급을 한다. 상기 공급밸브(210)의 동작 정도는 상기 중앙처리부(ECU)에 의해서 조절된다.In this case, the supply valve 210 is generally supplied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upply of fluid and gas to a specific target position, thereby supplying to meet the conditions required at the target position. The operation degree of the supply valve 210 is controll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ECU).

상기 레귤레이터(300)는 일반적으로 고압의 상기 가스연료(G)를 상기 엔진(E)으로 공급하기 전에 상기 엔진(E)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알맞도록 상기 가스연료(G)의 압력 및 온도를 조절한다.The regulator 300 generally adjusts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so as to meet the conditions required by the engine E before supplying the gas fuel G of the high pressure to the engine E. do.

상기 레귤레이터(300)는 일측이 상기 공급관(220)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밸브(210)의 동작에 의해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를 상기 엔진(E)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적정한 수준으로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엔진(E)으로 공급한다. 상기 레귤레이터(3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One side of the regulator 300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220 and adjusts the pressure to an appropriate level to supply the gas fuel (G) supplied by the operation of the supply valve 210 to the engine (E). To the engine (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gulator 30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레귤레이터(300)는 내부에 상기 공급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조절하는 별도의 온도조절부(330)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조절부(330)는 상기 레귤레이터(300) 내부에서 상기 공급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가스연료(G)가 이동하는 경로에서 압력이 조절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상기 엔진(E)에 공급되기 알맞도록 조절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egulator 3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temperature control unit 330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200 t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ler 33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whose pressure is adjusted in a path in which the gas fuel G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200 moves in the regulator 300. Adjust it to be supplied to (E).

상기 전달유닛(400)은 상기 레귤레이터(300)에 연결되어 압력이 변화된 상기 가스연료(G)를 상기 엔진(E)으로 전달하며, 크게 엔진유입관(410) 및 분사기(420)로 구성된다.The delivery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regulator 300 to transfer the gas fuel (G) of the pressure is changed to the engine (E), it is largely composed of the engine inlet pipe 410 and the injector 420.

상기 엔진유입관(410)은 상기 레귤레이터(300)에 연결되어 상기 레귤레이터(300)에 의해서 감압된 상기 가스연료(G)를 상기 엔진(E)으로 전달한다The engine inlet pipe 410 is connected to the regulator 300 to deliver the gas fuel (G) depressurized by the regulator 300 to the engine (E).

상기 분사기(420)는 상기 엔진유입관(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귤레이터(30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가스연료(G)를 상기 엔진(E)에 직접 분사하는 장치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 에서는 상기 엔진(E) 내부에 구비된 연소실에 직접 상기 가스연료(G)를 분사한다.The injector 42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ngine inlet pipe 410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a device for directly injecting the gas fuel (G) supplied from the regulator 300 to the engine (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as fuel (G) is injected directly into the combustion chamber provided in the engine (E).

즉, 상기 레귤레이터(300)는 상기 가스연료(G)를 상기 엔진(E)으로 공급할 때 상기 엔진(E)으로 직접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분사기(420)를 통해서 상기 엔진(E)으로 상기 가스연료(G)를 공급한다.That is, the regulator 300 does not directly supply the gas fuel G to the engine E when the gas fuel G is supplied to the engine E, but the gas fuel to the engine E through the injector 420. Supply (G).

한편, 추가적으로 상기 레귤레이터(300)가 상기 엔진(E)으로 상기 가스연료(G)를 공급하는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연료(G)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별도의 가스필터(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귤레이터(300)에서 상기 분사기(420)로 상기 가스연료(G)를 공급하는 이동 경로상에 상기 가스필터(500)가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스필터(500)는 상기 가스연료(G)에 포함된 불순물 등을 제거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gulator 300 is disposed on a path for supplying the gas fuel (G) to the engine (E) to separate the gas filter 500 to remov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gas fuel (G)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ore.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gas filter 500 is provided on a movement path for supplying the gas fuel G from the regulator 300 to the injector 420. 500 removes impurities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gaseous fuel (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연료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레귤레이터(300) 및 상기 온도조절부(33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gas fuel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regulator 300 and the temperature controller 3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레귤레이터(300)는 크게 이동공간(310), 온도조절부(330) 및 압력조절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gulator 300 is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 moving space 310,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30 and the pressure control unit 320.

그리고 상기 레귤레이터(300)는 상기 공급밸브(210)에 의해서 상기 가스연료(G)가 상기 이동공간(310)으로 투입되는 가스투입구(340) 및 상기 이동공간(310)을 경유한 상기 가스연료(G)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gulator 300 includes a gas inlet 340 through which the gas fuel G is introduced into the moving space 310 and the gas fuel via the moving space 310 by the supply valve 210. G)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gas outlet 350 is discharged.

상기 이동공간(310)은 상기 레귤레이터(3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써 상기 가스투입구(340)로부터 공급된 상기 가스연료(G)가 내부에서 압력 및 온도가 변화하여 배출되는 공간이다.The moving space 310 is a space formed inside the regulator 300 and is a space in which the gas fuel G supplied from the gas inlet 340 is discharged due to a change in pressure and temperature therein.

상기 온도조절부(330)는 열전소자(332) 및 상기 제 1온도측정센서(3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열전소자(332)는 상기 이동공간(310)의 내부에서 상기 가스연료(G)가 이동하는 경로상에서 상기 가스연료(G)와 열교환을 통해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열전소자(332)는 상기 이동공간(310)의 내부에서 상기 가스연료(G)의 이동경로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형성될 수 있다. 열전소자(332)가 상기 가스연료(G)의 이동경로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가스연료(G)가 상기 열전소자(332)와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된다.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30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332 and 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34,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is the gas fuel (G) in the moving space (310)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is controll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gas fuel (G) 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gas moves. Here,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may be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movement path of the gas fuel (G) in the moving space (310). 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is configured to cover a part of the movement path of the gas fuel G, the contact area of the gas fuel G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is increased.

상기 열전소자(332)는 펠티에소자가 사용되며 전류의 흐름에 따라 흡열과 발열에 의해서 온도가 변화하여 상기 가스연료(G)와 접촉하는 지점의 온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가 상기 엔진(E)에서 요구되는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열전소자(332)와 상기 가스연료(G)가 접촉하는 영역의 온도를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가스연료(G)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가 낮은 경우 이와 반대 형태로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may be a Peltier element, and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may be selectively changed by contact with the gaseous fuel G due to the endotherm and the heat generation as the current flows. If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required by the engine (E), by cooling the temperature of the reg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and the gas fuel (G) contact the gas fuel (G) ) Can be cooled. 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gaseous fuel (G) is low,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gaseous fuel (G) by flowing a current in the opposite manner.

일반적으로, 열전소자는 2종류의 금속 끝을 접속시켜 전류를 흘려 보내면, 전류 방향에 따라 한쪽 단자는 흡열하고, 다른 쪽 단자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2종류의 금속 대신 전기전도 방식이 다른 비스무트, 텔루륨 등 반도체를 사용하면, 효율성 높은 흡열, 발열작용을 하는 펠티에소자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전류 방향에 따라 흡열, 발열의 전환이 가능하고, 전류량에 따라 흡열, 발열량이 조절될 수 있다.In general, when a thermoelectric element connects two kinds of metal tips to flow a current, one terminal absorbs heat and the other terminal generates heat depending on the current direction. If semiconductors such as bismuth and tellurium having different electric conduction methods are used instead of the two kinds of metals, a Peltier device capable of efficient endothermic and exothermic action can be obtained. It is possible to switch between the endotherm and the heat gen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direction, the endothermic, heat generation amoun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한편, 상기 열전소자(332)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전소자(332)는 제 1온도조절수단(332a) 및 제 2온도조절수단(332b)의 한 쌍으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in this embodiment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is composed of a pair of the first temperature regulating means 332a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gulating means 332b.

상기 제 1온도조절수단(332a)은 상기 이동공간 내부에서 상기 가스투입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스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가스연료(G)와 열교환을 통해서 온도를 조절한다.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means 332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gas inlet in the moving space to control the temperature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gas fuel G introduced through the gas inlet.

그리고 상기 제 2온도조절수단(332b)은 이와 달리 상기 이동공간 내부에서 상기 가스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압력이 변화된 상기 가스연료(G)가 상기 전달유닛(400)으로 배출되기 전에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조절한다.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means 332b is differently disposed in the moving space adjacent to the gas outlet so that the gas fuel G whose pressure is changed is discharged to the delivery unit 400. Adjust the temperature of G).

즉, 상기 레귤레이터(300) 내부에서 상기 가스연료(G)는 상기 제 1온도조절수단(332a)에 의해서 거시적인 온도가 조절되고, 이후 압력이 조절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가 상기 제 2온도조절수단(332b)에 의해서 다시 한번 조절된다.That is, the gas fuel (G) in the regulator 300 is a macroscopic temperature is controlled by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means (332a), after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the pressure is adjusted is the second It is adjusted once again by the temperature control means 332b.

이와 같이 상기 열전소자(332)는 상기 제 1온도조절수단(332a) 및 상기 제 2온도조절수단(332b)에 의해서 온도가 조절 됨으로써, 상기 가스연료(G)의 압력변화에 의해서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상기 엔진(E)에서 요구되는 온도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is controlled by the first temperature regulating means 332a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gulating means 332b, so that the temperature may change due to the pressure change of the gas fuel G.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can be adjusted to the temperature required by the engine (E).

상기 제 1온도측정센서(334)는 상기 이동공간(3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스연료(G)의 압력 변화에 따른 온도면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제 1온도측정센서(334)는 상기 중앙처리부(ECU)에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 정보를 전달한다. 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34 is provided in the moving space 310 and is configured to detect the temperature cotton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of the gas fuel (G). Thus, 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34 transfer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gas fuel G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ECU.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ECU)는 상기 열전소자(332)와 연결되어 상기 제 1온도측정센서(334)에 의해서 측정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엔진(E)에서 요구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조건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332)의 동작을 조절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ECU is connect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and the gas required by the engine 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gaseous fuel G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34.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fuel 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온도측정센서(334)는 상기 이동공간의 상기 가스연료(G) 이동 경로상에서 상기 제 1온도조절수단(332a) 및 상기 제 2온도조절수단(332b) 사이에 배치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34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adjusting means 332a and the second temperature adjusting means 332b on the gas fuel G moving path of the moving space. .

그래서 상기 제 1온도조절수단(332a)에 의해서 온도가 조절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에 따라 상기 엔진(E)에서 요구되는 온도조건에 부합하도록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제 2온도조절수단(332b)의 동작 여부를 조절한다.Thus, afte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whose temperature is controlled by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means (332a), the temperature required by the engine (E)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temperature adjusting means 332b to meet the conditions.

즉, 상기 제 1온도조절수단(332a) 또는 상기 압력조절부에 의해서 상기 가스연료(G)의 변화된 온도를 상기 제 1온도측정센서(334)에서 측정한 후, 측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온도조절수단(332b)이 동작하여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That is, after measuring the changed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by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means (332a) or the pressure control unit in 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34, the second according to the measured result Temperature control means 332b is operat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이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부(330)는 상기 이동공간(31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압력조절부(320)에 의해서 압력이 조절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엔진(E)에 공급되기 알맞도록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조절한다.In this way, the temperature controller 330 is introduced into the moving space 310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whose pressure is controlled by the pressure controller 320 to the engine (E) The temperature of the gaseous fuel G is adjusted to be appropriately supplied.

이와 별도로 상기 온도조절부는 별도로 레귤레이터(300)에서 상기 가스연료(G)가 배출되는 상기 가스배출구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온도측정센서(3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eparately, the temperature controller further includes a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36 which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which is provided at the gas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gas fuel G is discharged from the regulator 300 and discharged.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온도측정센서(336)는 상기 레귤레이터(300) 내부에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가 변화한 후 상기 전달유닛(400)으로 배출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측정한다. 즉, 상기 레귤레이터(300)에서 배출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엔진(E)에서 요구하는 온도조건에 부합하는지를 측정한다.As shown, the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36 of the gas fuel (G) discharged to the delivery unit 400 after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in the regulator 300 is changed Measure the temperature. That is,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discharged from the regulator 30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meet the temperature conditions required by the engine (E).

상기 제 2온도측정센서(336)에 의해서 측정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열전소자(332)의 동작을 조절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measured by the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36.

이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제 1온도측정센서(334) 및 상기 제 2온도측정센서(336)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조절하여 상기 엔진(E)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As such, the temperature adjusting part includes 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34 and the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36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can be more accurately controlled and supplied to the engine E. do.

상기 압력조절부(320)는 상기 이동공간(310) 내부에서 유입된 상기 가스연료(G)의 압력을 조절을 한다.The pressure control unit 320 controls the pressure of the gas fuel (G) introduced into the moving space (310).

상기 압력조절부(320)는 상기 레귤레이터(300)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된 상기 가스연료(G)의 유입과 배출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는 다이어프램(322), 상기 다이어프램(322)을 가압하는 밸런스스프링(324), 및 상기 다이어프램(322)의 동작에 따른 압력 정도를 조절하는 압력조절 스크류(3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sure control unit 320 is provided in the regulator 300, the diaphragm 322 is expanded and contracted in accordance with the inflow and discharge of the gas fuel (G) introduced, the balance spring for pressing the diaphragm 322 324, and a pressure adjusting screw 326 for adjusting the degree of pressur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diaphragm 322.

상기 다이어프램(322)은 일측이 상기 이동공간(310) 내부에 배치되며 승하강이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밸런스스프링(324)에 의해서 복원력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상기 압력조절 스크류(326)는 상기 다이어프램(322)에 제공되는 복원력의 정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귤레이터(300)가 상기 가스연료(G)의 압력을 조절함에 있어 그 정도를 조절할 때 사용된다.The diaphragm 322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is disposed inside the moving space 310 and is moved up and down and is provided with a restoring force by the balance spring 324. And the pressure adjusting screw 326 is configured to adjust the degree of restoring force provided to the diaphragm 322 is used when the regulator 300 adjusts the degree in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gas fuel (G). .

상기 가스투입구(340)는 상기 레귤레이터(3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유닛(200)을 경유하여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를 내부로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가스투입구(340)는 레버(342) 및 메인스프링(34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버(342)는 중간부를 중심으로 상기 레귤레이터(300) 내부에서 힌지 결합되며 일측이 승하강을 통해서 상기 가스투입구(340)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스프링(344)은 상기 레버(342)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342)에 복원력을 제공한다.The gas inlet 34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egulator 300 and accommodates the gaseous fuel G supplied through the supply unit 200 therein. Here, the gas inlet 340 is configured to include a lever 342 and the main spring 344, the lever 342 is hinged in the regulator 300 around the middle portion and one side through the lifting The gas inlet 340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he main spring 344 is disposed below the other side of the lever 342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lever 342.

그리고 상기 가스배출구(350)는 상기 압력조절부(320)의 동작에 의해서 압력이 조절된 상기 가스연료(G)를 배출한다.In addition, the gas discharge port 350 discharges the gas fuel G whose pressure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320.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레귤레이터(3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공급유닛(200)에 의해서 상기 가스연료(G)가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레귤레이터(300)의 내부 압력 상승에 따라 다이어프램(322)을 위로 밀게 된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322)의 상면에 설치된 밸런스 스프링은 수축되고 상기 레버(342)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메인스프링(344)은 팽창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342)는 상기 가스투입구(340)를 닫아 유입되는 상기 가스연료(G)를 차단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regulator 3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gas fuel (G)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by the supply unit 200, the diaphragm 322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regulator 300 Pushed up. At this time, the balance spring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322 is contracted and the main spring 344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lever 342 is expanded. Accordingly, the lever 342 closes the gas inlet 340 to block the gas fuel G introduced therethrough.

이와 같이 추가적인 상기 가스연료(G) 유입의 차단에 의해서 감압된 상기 가스연료(G)는 상기 가스배출구(350)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레귤레이터(30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밸런스스프링(324)의 탄성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322)이 하강하며 저부의 상기 레버(342)를 하부로 밀어내림으로써 상기 레버(342)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스투입구(340)가 열림 상태가 된다. As such, the gas fuel (G) decompressed by the additional blocking of the gas fuel (G) is discharged through the gas outlet (350)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inside the regulator (300) is lowered as the balance spring ( The diaphragm 322 is lowered by the elasticity of 324 and rotates the lever 342 by pushing the lever 342 of the bottom portion downward. Accordingly, the gas inlet 340 is in an open stat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상기 가스투입구(340)의 열림 및 닫힘의 반복을 통해 상기 레귤레이터(300)는 상기 엔진(E)에서 요구되는 압력으로 상기 가스연료(G)를 감압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압력조절 스크류(326)의 조절을 통해 상기 레귤레이터(3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Through such a process, the regulator 300 reduces the gas fuel G to the pressure required by the engine E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gas inlet 340. Here, the pressure inside the regulator 300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ressure adjusting screw 326.

한편, 상기 레귤레이터(300)에서 상기 가스연료(G)의 압력을 조절할 때, 상기 온도조절부(330)에 의해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가스연료(G)의 압력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gas fuel (G) in the regulator 300, the pressure of the gas fuel (G) as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is chang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30 Fine adjustment is possible.

일반적으로 압력, 부피, 온도를 각각 P, V, T라고 할 때, 이상기체 상태방적식은 PV=nRT로 나타나며 부피가 고정된 경우 온도에 따라 그 기체의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밀폐된 상태에서는 온도의 증감에 따라서 압력도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된다.In general, when the pressure, volume, and temperature are P, V, and T, respectively, the ideal gas state equation is represented by PV = nRT. That is, in the closed state, the pressure also increases or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or decreases.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상기 레귤레이터(300) 내부에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부(320)에 의한 거시적 압력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상기 온도조절부(330)에 의한 미시적 압력도 조절할 수 있다.By the same principle as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in the regulator 300 is adjusted as well as the macroscopic pressure by the pressure control unit 320 as well as the microscopic pressure by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30 You can also adjust.

한편, 이와 별도로 상기 엔진유입관(4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기(420)에 의해서 상기 엔진(E)으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측정하는 보조 온도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eparately from the engine inlet pipe 410 is an auxiliary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supplied to the engine (E) by the injector 420 as shown in FIG. It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보조온도측정센서는 상기 엔진유입관(410)상에서 상기 분사기(420)에 인접한 위치에서 이동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중앙처리부로 전달한다. The auxiliary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moving in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injector 420 on the engine inlet pipe 410 and transmits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가스연료(G)가 상기 엔진유입관(410)을 이동하는 동안에 변화된 온도를 감안하여 상기 레귤레이터(300)에서 배출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조절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adjusts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discharged from the regulator 300 in consideration of the temperature changed while the gas fuel G moves the engine inlet pipe 410.

또한, 상기 엔진유입관(410)은 상기 보조온도측정센서뿐만 아니라 별도의 보조온도조절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레귤레이터(300)에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스연료(G)가 상기 엔진(E)으로 분사되기 직전에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엔진(E)에서 요구되는 온도조건에 알맞도록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gine inlet pipe 41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auxiliary temperature control means as well as the auxiliary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By providing the auxiliary temperature control means not only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in the regulator 300, the gas fuel (G) just before the gas fuel (G) is injected into the engine (E)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can be precisely adjusted to suit the temperature conditions required by the engine (E).

이와 같이, 상기 엔진유입관(410) 상에서 상기 분사기(420)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보조온도측정센서 및 상기 보조온도조절수단이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레귤레이터(300)에서 배출된 상기 가스연료(G)가 상기 엔진유입관(410)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상기 엔진(E)의 요구조건에 알맞도록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As such, the auxiliary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and the auxiliary temperature adjusting means are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jector 420 on the engine inlet pipe 410, thereby discharging the gas fuel G discharged from the regulator 300. Even if the temperature changes while moving along the engine inlet pipe 410, the temperature can be adjust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engine (E).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공급유닛(200)과 상기 레귤레이터(300)가 연결되는 지점에 별도의 소닉노즐(230)이 구비된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 3, a form in which a separate sonic nozzle 230 is provided at a point where the supply unit 200 and the regulator 300 are connected is as follows.

도 3은 도 1의 가스연료 공급장치에서 레귤레이터(300)에 별도의 소닉노즐(230)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parate sonic nozzle 230 is provided in the regulator 300 in the gas fuel supply device of FIG. 1.

상기 공급유닛(200)은 상기 공급관(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귤레이터(300)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가 균일한 압력을 가지고 공급되도록 하는 별도의 소닉노즐(230)이 더 구비된다.The supply unit 2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ly pipe 2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sonic nozzle 230 to supply the gas fuel (G) supplied to the regulator 300 with a uniform pressure. do.

상기 소닉노즐(230)은 상기 공급관(2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귤레이터(3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급밸브(210)에 의해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유속 및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레귤레이터(300)로 제공한다.The sonic nozzle 2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ly pipe 220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regulator 300 to change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the gas fuel G supplied by the supply valve 210. Provided to the regulator 300.

상기 소닉노즐(230)은 내부에 기체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귤레이터(300) 방향에 인접할수록 상기 유로의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The sonic nozzle 230 is formed with a flow path through which gas flows,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is formed to be smaller as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closer to the regulator 300.

그래서 상기 가스연료(G)가 상기 레귤레이터(300)로 공급될 때 상기 소닉노즐(230)을 경유하면 상기 소닉노즐(230)은 유로의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기 때문에 병목현상에 의해서 상기 가스연료(G)의 유속이 및 압력이 증가한다. 이때, 상기 가스연료(G)의 유속은 초킹현상(choking)에 의해서 상기 소닉노즐(230)에 의해 증가하게 되지만 일정수준 이상에서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Thus, when the gas fuel G is supplied to the regulator 300, when the sonic nozzle 230 passes through the sonic nozzle 230,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becomes smaller, and thus, the gas fuel G may become a bottleneck. Flow velocity and pressure increase. At this time, the flow rate of the gas fuel (G) is increased by the sonic nozzle 230 by choking but it does not increase any more than a certain level.

이와 같이 상기 가스연료(G)가 상기 레귤레이터(300)로 공급될 때 상기 소닉노즐(230)을 경유함으로써, 상기 가스연료(G)의 유속 및 압력은 증가하지만, 상기 레귤레이터(300)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유속 및 압력이 균일하게 된다.When the gaseous fuel (G) is supplied to the regulator 300 as described above,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the gaseous fuel (G) are increased by passing through the sonic nozzle (230), but are supplied to the regulator (300).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the gas fuel G are made uniform.

상기 소닉노즐(230)에 의해서 균일한 압력 및 속도의 상기 가스연료(G)를 공급받은 상기 레귤레이터(300)는 상기 엔진(E)의 요구조건에 알맞도록 압력 및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엔진(E)으로 상기 가스연료(G)를 공급한다.The regulator 300 supplied with the gas fuel G having a uniform pressure and speed by the sonic nozzle 230 adjusts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engine E so that the engine E ) Is supplied to the gaseous fuel (G).

이와 같이 상기 공급관(220)과 상기 레귤레이터(300)의 결합영역에 상기 소닉노즐(23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소닉노즐(230)을 경유하는 상기 가스연료(G)는 상기 소닉노즐(230)의 직경이 점점 작아짐에 따라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라서 유속 및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In this way, the sonic nozzle 230 is formed in the coupling region of the supply pipe 220 and the regulator 300 so that the gas fuel G passing through the sonic nozzle 230 has a diameter of the sonic nozzle 230. As this becomes smaller, the flow rate and pressure increase according to Bernoulli's principle.

본 실시예 에서는 상기 소닉노즐(230)을 경유하며 상기 레귤레이터(300)로 배출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유속이 음속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레귤레이터(300)로 배출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유속이 음속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가스연료(G)의 유속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flow rate of the gas fuel (G) discharged to the regulator 300 via the sonic nozzle 230 is configured to be the sound speed. As the flow rate of the gas fuel G discharged to the regulator 300 reaches the sound speed, the flow rate of the gas fuel G no longer increases.

상기 소닉노즐(230)에서 배출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유속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종단속도에 이르게 되면 상기 레귤레이터(300)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유속이 균일해지기 때문에 상기 레귤레이터(300)에서는 상기 엔진(E)으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압력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flow rate of the gaseous fuel G discharged from the sonic nozzle 230 does not increase any more and reaches a termination speed, the flow rate of the gaseous fuel G supplied to the regulator 300 becomes uniform. In the regulator 300, the pressure of the gas fuel G supplied to the engine E may be uniformly controlled.

이와 함께, 상기 레귤레이터(300)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유속 및 압력이 균일해짐에 따라서 상기 압력조절부(320)에 의한 상기 가스연료(G)의 압력조절이 정밀해 질 뿐만 아니라 상기 온도조절부(330)에 의한 온도조절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the gas fuel G supplied to the regulator 300 become uniform, the pressure control of the gas fuel G by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320 may be precise. Temperature control by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30 can also be easier.

일반적으로 소닉노즐은 임계 유동 벤튜리 노즐(Critical Flow Venturi Nozzle)이라고도 칭하는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스연료가 유입되는 측은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유로가 형성되며, 급격하게 유로 직경(단면적)이 작아지는 구간이 존재하고, 이후로는 배출될 때까지 유로 직경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ISO 9300 규격 참조).In general, the sonic nozzle is also referred to as a critical flow venturi nozzle, and as shown in FIG. 3, a flow path having a constant diameter is formed at a side into which the gas fuel is introduced, and the flow path diameter (section area) is rapidly increased. This smaller section exists, and is subsequently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flow path diameter increases constantly until discharge (see ISO 9300 standard).

단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일정한 질량 유량을 유지하기 위해 유동속도는 증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유동속도의 증가에 필요한 에너지는 온도에 반영되는 무작위운동 에너지로부터 얻어진다 (온도는 유동속도의 제곱의 변화에 비례하여 낮아지게 되는데 이를 베르누이 효과라 한다). 그래서 상기 가스연료(G)가 상기 소닉노즐(230)을 통해 흐름에 따라 유동속도는 최대 단면적에서 최소에 이를 때까지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유로의 직경이 작아짐에 따라 가스연료의 유동속도가 증가하지만, 유동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에서 더 이상 증가하지 않게 된다. 이를 종단속도라고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속에서 가스연료의 속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As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he flow rate must be increased to maintain a constant mass flow rate. The energy required to increase this flow rate is derived from the random kinetic energy reflected in th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is lowered in proportion to the change in the square of the flow rate, which is called the Bernoulli effect). Thus, as the gaseous fuel G flows through the sonic nozzle 230, the flow rate increases until it reaches a minimum at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Here, the flow rate of the gas fuel increases as the diameter of the flow path decreases, but the flow rate does not increase any more than a certain level. This is called the termination velocity,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locity of the gas fuel at the sound velocity no longer increases.

이와 같은 현상을 초킹현상이라 하는데, 초킹현상은 가스체에 압력 차가 있으면 흐름이 생긴다. 그러나 압력비를 증가시키면 유로의 최소 단면에서의 유속은 증가하되, 그 속도가 음속에 달하면 그 이상 증가하지 않는데 이 현상을 말한다This phenomenon is called a choking phenomenon, which occurs when there is a pressure difference in the gas body. However, increasing the pressure ratio increases the flow velocity at the minimum cross section of the flow path, but does not increase any more when the speed reaches the speed of sound.

그래서 상기 소닉노즐(230)을 경유하여 상기 가스연료(G)가 상기 레귤레이터(300)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레귤레이터(300)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유속 및 압력이 증가하지만 균일해 지기 때문에 상기 레귤레이터(300)에 부하가 상대적으로 적게 걸리게 된다.Thus, when the gas fuel G is supplied to the regulator 300 via the sonic nozzle 230,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the gas fuel G supplied to the regulator 300 are increased but uniform. As a result, the load on the regulator 300 is relatively low.

상기 소닉노즐(230)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공급밸브(210)를 사용하여 분사하게 되는 경우, 상기 공급밸브(210)는 수십 Hz(최대 60Hz 정도)로 연료를 분사하게 되며 이에 따라 레귤레이터(300) 후단의 압력은 크게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레귤레이터(300) 후단의 압력이 단속적으로 변화하게 되면 상기 레귤레이터(300)에서 조절해야 하는 압력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레귤레이터(300)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귤레이터(300)의 배압이 반복적으로 변화하게 되면 상기 레귤레이터(300)에서 압력을 일정하게 제어해 주기가 힘들게 되고 이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제어에 영향을 주게 된다.When using the general supply valve 210 without using the sonic nozzle 230, the supply valve 210 injects fuel at a few tens Hz (about 60 Hz maximum) and accordingly the regulator 300 The pressure at the rear end changes significantly. As such, when the pressure at the rear end of the regulator 300 is intermittently changed, since the pressure to be adjusted in the regulator 300 is constantly changed,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regulator 300. When the back pressure of the regulator 300 is repeatedly changed, it is difficult to constantly control the pressure in the regulator 300, thereby affecting the control of the entire system.

이와 같이 상기 소닉노즐(230)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레귤레이터(300)에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유속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300)도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가스연료(G)를 상기 엔진(E)으로 공급한다.By using the sonic nozzle 230 as described above, the flow rate of the gas fuel G supplied to the regulator 300 can be constantly adjusted. Accordingly, the regulator 300 also uses the gas fuel at a uniform pressure. G) is supplied to the engine E.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레귤레이터(300) 내부에 공급된 가스연료(G)가 상기 압력조절부(320) 및 상기 온도조절부(330)에 의해서 조절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 4, a process in which the gas fuel G supplied into the regulator 300 is controlled by the pressure controller 320 and the temperature controller 330 is as follows.

도 4는 도 1의 레귤레이터(300) 내부에 공급된 가스연료(G)의 압력 및 온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djusting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supplied into the regulator 300 of FIG. 1.

먼저, 상기 연료탱크(100)로부터 상기 공급유닛(200)에 의해서 상기 레귤레이터(300) 내부로 상기 가스연료(G)가 공급되는 단계(S01)를 거친다. 그리고 상기 레귤레이터(300) 내부의 상기 이동공간(310)으로 상기 가스연료(G)가 공급되면 상기 압력조절부(320)에 의해서 상기 가스연료(G)의 압력이 조절되는 단계를 거친다(S02). 여기서, 상기 공급유닛(200)에 상기 소닉노즐(230)이 구비된 경우, 상기 레귤레이터(300)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압력이 균일하게 되어 상기 레귤레이터(300)가 보다 세밀하게 상기 가스연료(G)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First, the gas fuel (G)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egulator 300 by the supply unit 200 from the fuel tank 100 (S01). When the gas fuel G is supplied to the moving space 310 inside the regulator 300, the pressure of the gas fuel G is adjusted by the pressure adjusting unit 320 (S02). . In this case, when the sonic nozzle 230 is provided in the supply unit 200, the pressure of the gas fuel G supplied to the regulator 300 is uniform, so that the regulator 300 is more precisely provided. The pressure of the gas fuel (G) can be adjusted.

그리고 상기 가스연료(G)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구비된 상기 제 1온도측정센서(334)에 의해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엔진(E)으로 공급되기 적합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거친다(S03). 이때, 상기 제 1온도측정센서(334)는 상기 중앙처리부(ECU)로 측정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중앙처리부(ECU)가 상기 열전소자(332)의 동작을 결정한다.And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by 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34 provided on the path of the gas fuel (G) to determine whether it is suitable to be supplied to the engine (E) Go through the step (S03). In this case, 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34 transfer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gas fuel G measur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ECU to determine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ECU. do.

압력이 조절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가 상기 엔진(E)으로 공급되기 적합한 경우 상기 분사기(420)로 가스연료(G)를 배출한다(S04). When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whose pressure is controlled is suitable to be supplied to the engine (E), the gas fuel (G) is discharged to the injector (420) (S04).

하지만, 압력이 조절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가 상기 엔진(E)으로 공급되기 적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중앙처리부(ECU)는 상기 열전소자(332)를 동작시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상기 엔진(E)으로 공급되기 적합한 온도로 조절한 후 상기 분사기(420)로 상기 가스연료(G)를 공급한다(S05).Howev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whose pressure is controlled is not suitable to be supplied to the engine (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ECU) operates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to the gas fuel (G). Afte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to a suitable temperature to be supplied to the engine (E) and supplies the gas fuel (G) to the injector (420) (S05).

이후 상기 분사기(420)는 상기 엔진(E)으로 상기 가스연료(G)를 공급한다(S06).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상기 가스연료 공급장치는 상기 레귤레이터(300)에 의해서 상기 엔진(E)에서 요구되는 압력 및 온도조건에 알맞도록 상기 가스연료(G)를 조절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injector 420 supplies the gas fuel G to the engine E (S06). Through such a process, the gas fuel supply device may adjust the gas fuel G to suit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conditions required by the engine E by the regulator 3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특정형태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연료탱크 200: 공급유닛
210: 공급밸브 220: 공급관
230: 소닉노즐 300: 레귤레이터
310: 이동공간 320: 압력조절부
330: 온도조절부 340: 가스투입구
350: 가스배출구 400: 전달유닛
410: 엔진유입관 420: 분사기
500: 가스필터 S: 분사기
ECU: 중앙처리부 E: 엔진
100: fuel tank 200: supply unit
210: supply valve 220: supply pipe
230: Sonic Nozzle 300: Regulator
310: moving space 320: pressure control unit
330: temperature control unit 340: gas inlet
350: gas outlet 400: delivery unit
410: engine inlet pipe 420: injector
500: gas filter S: injector
ECU: central processing unit E: engine

Claims (13)

고압의 가스연료(G)가 수용된 연료탱크(100)에 연결되어 외부로 상기 가스연료(G)를 공급하며, 이동경로상에서 상기 가스연료(G)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공급밸브(210)를 가지는 공급유닛(200); 및
상기 공급유닛(200)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가스연료(G)가 이동하는 이동공간(310), 상기 이동공간(310) 내부에 배치되며 전류의 흐름에 따라 온도가 변화하는 열전소자(332)를 구비하여 상기 가스연료(G)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330) 및 상기 이동공간 내부에서 유입된 상기 가스연료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320)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300); 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소자(332)는 상기 이동공간(310) 내부에서 상기 가스연료(G)가 공급되는 가스투입구(34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 1온도조절수단(332a) 및 상기 압력조절부(320)에 의해서 압력이 변화된 상기 가스연료(G)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35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 2온도조절수단(332b)을 포함하는 가스연료 공급장치.
A supply valve 210 connected to the fuel tank 100 containing the high-pressure gas fuel G to supply the gas fuel G to the outside, and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gas fuel G on a movement path. Supply unit having a;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is connected to the supply unit 200 and is disposed in the moving space 310 in which the gaseous fuel G moves, and is disposed in the moving space 310 and whose temperature changes as a current flows. A regulator including a temperature control unit 330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gas fuel (G) and a pressure control unit 320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gas fuel introduced into the moving space ( 300); Includ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gas inlet 340 to which the gas fuel G is supplied in the moving space 310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is disposed adjacent to the gas discharge port 350 through which the gas fuel G whose pressure is changed by the pressure adjusting unit 320 is discharged,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Gas fuel supply comprising a means (332b).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330)는,
상기 이동공간(310)의 내부에서 상기 가스연료(G)의 이동경로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가스연료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30,
Gas fuel supply device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movement path of the gas fuel (G) in the moving space (310).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330)는,
상기 이동공간(310) 내부에서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온도측정센서(334)를 더 포함하는 가스연료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30,
Gas fuel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es a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34)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in the moving space (3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온도측정센서(334)는,
상기 이동공간(310)의 상기 가스연료(G) 이동 경로상에서 상기 제 1온도조절수단(332a) 및 상기 제 2온도조절수단(332b)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연료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34,
Gas fuel supply device disposed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means (332a)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means (332b) on the gas fuel (G) movement path of the moving space (3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300)에서 상기 가스연료(G)가 배출되는 상기 가스배출구(350)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온도측정센서(336)를 더 포함하는 가스연료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as further includes a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336 which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discharged provided in the gas outlet 350 through which the gas fuel (G) is discharged from the regulator 300 Fuel supp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300)에 연결되어 압력이 변화된 상기 가스연료(G)를 별도로 구비된 엔진(E)으로 전달하는 엔진유입관(410) 및 상기 엔진유입관(410)의 일측에서 상기 엔진(E) 내부로 상기 가스연료를 분사하는 분사기(420)를 포함하는 전달유닛(400)을 더 포함하는 가스연료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ngine (E) at one side of the engine inlet pipe (410) and the engine inlet pipe (410) to be connected to the regulator 300 to deliver the gas fuel (G), the pressure is changed separately provided to the engine (E) Gas fuel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elivery unit (400) comprising an injector (420) for injecting the gas fuel therei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유입관(410)은,
상기 분사기(420)와 인접한 끝단부에서 상기 분사기(420)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측정하는 보조온도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가스연료 공급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ngine inlet pipe 410,
And an auxiliary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supplied to the injector (420) at an end portion adjacent to the injector (42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유입관(410)은,
상기 분사기(420)와 인접한 끝단부에서 상기 분사기(420)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보조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가스연료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engine inlet pipe 410,
Gas fuel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temperature control means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supplied to the injector (420) at the end adjacent to the injector (4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200)은,
상기 레귤레이터(300)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연료(G)가 이동하는 경로상에서 상기 레귤레이터(3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레귤레이터(300)에 공급되는 상기 가스연료(G)가 균일한 속도 및 압력을 가지도록 하는 소닉노즐(230)을 더 포함하는 가스연료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ly unit 200,
Connected to the regulator 3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egulator 300 on the path that the gas fuel (G) is moved, the gas fuel (G) supplied to the regulator 300 has a uniform speed and pressure Gas fuel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es a sonic nozzle (230) to ha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300)가 엔진(E)으로 상기 가스연료(G)를 공급하는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연료(G)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가스필터(500)를 더 포함하는 가스연료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gulator 300 further includes a gas filter 500 disposed on a path for supplying the gas fuel G to the engine E, and further including a gas filter 500 for removing impurities contained in the gas fuel G. Device.
제 1항, 제 2항 및 제 4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스연료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차량.12. A vehicle comprising the gas fuel supply apparatus of any one of claims 1, 2 and 4. 가스연료(G)가 구비된 연료탱크(100)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연료(G)를 공급받으며 내부에 공급받은 상기 가스연료(G)가 이동하는 이동공간(310);
상기 이동공간(310) 내부에 배치되며 전류의 흐름에 따라 온도가 변화하는 열전소자(332)를 구비하여 상기 가스연료(G)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330); 및
상기 이동공간(310) 내부에서 유입된 상기 가스연료(G)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320); 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소자(332)는 상기 이동공간(310) 내부에서 상기 가스연료(G)가 공급되는 가스투입구(34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 1온도조절수단(332a) 및 상기 압력조절부(320)에 의해서 압력이 변화된 상기 가스연료(G)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35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스연료(G)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 2온도조절수단(322b)을 포함하는 열전소자가 구비된 레귤레이터.
A moving space 310 connected to the fuel tank 100 equipped with gas fuel G to receive the gas fuel G and to which the gas fuel G supplied therein moves;
A temperature control unit 330 disposed in the moving space 310 and having a thermoelectric element 332 whose temperature changes as a current flows, thereby controlling a temperature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gas fuel G; And
A pressure control unit 320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gas fuel G introduced into the moving space 310; Includ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33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gas inlet 340 to which the gas fuel G is supplied in the moving space 310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is disposed adjacent to the gas discharge port 350 through which the gas fuel G whose pressure is changed by the pressure adjusting unit 320 is discharged,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gas fuel G. Regulator provided with a thermoelectric element comprising means (322b).
KR1020120083293A 2012-07-30 2012-07-30 Regulator Having Thermo Element and Supply Apparatus of Gas Fuel Using The Sam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2020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93A KR101202008B1 (en) 2012-07-30 2012-07-30 Regulator Having Thermo Element and Supply Apparatus of Gas Fuel Using The Sam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93A KR101202008B1 (en) 2012-07-30 2012-07-30 Regulator Having Thermo Element and Supply Apparatus of Gas Fuel Using The Sam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008B1 true KR101202008B1 (en) 2012-11-21

Family

ID=4756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293A KR101202008B1 (en) 2012-07-30 2012-07-30 Regulator Having Thermo Element and Supply Apparatus of Gas Fuel Using The Sam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00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749A (en) * 2015-11-13 2017-05-24 자동차부품연구원 Fuel supply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102A (en) * 1996-11-06 1998-05-19 Taiyo Toyo Sanso Co Ltd Mixed gas supply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102A (en) * 1996-11-06 1998-05-19 Taiyo Toyo Sanso Co Ltd Mixed gas supply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749A (en) * 2015-11-13 2017-05-24 자동차부품연구원 Fuel supplying device
KR101977303B1 (en) * 2015-11-13 2019-05-13 자동차부품연구원 Fuel supply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3943A (en) Gaseous fuel supply module for automotiv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195035B2 (en) In-tank hydrogen distribution valve
RU2656082C2 (en) Liquefied natural gas cooling on the fly
JP5220764B2 (en) Use of gaseous fuel pressure regulator and gaseous fuel pressure regulator
JP5350824B2 (en) Liquid material vaporization supply system
KR20110074459A (en) Source gas concentration control system
US8755679B2 (en) Liquid material vaporizer
RU2014128293A (en) METHOD AND DEVICE FOR GAS FUEL SUPPLY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095688B1 (en) Gas engine fuel supply apparatus
CN107636284A (en) The operation of gaseous-fuel injector
US6712088B2 (en) Pilot-type channel valves providing counter-flow prevention
Chen et al. Modeling a hydrogen pressure regulator in a fuel cell system with Joule–Thomson effect
KR101202008B1 (en) Regulator Having Thermo Element and Supply Apparatus of Gas Fuel Using The Sam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96381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natural gas to dual fuel engine
CN213235265U (en) Gas supply system
CN100381694C (en) Fuel delivery system
JP5308066B2 (en) Carbon dioxide pressure regulator
KR101133015B1 (en) Method for supplying fluid gas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 a fuel supply system and a fuel supply aggregate
FR2787515A1 (en) Gas regulation and heating unit in an IC engine fuel injection system, has fuel vapor output pressur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n electronic control unit
JPH0510211A (en) Hydrogen supply system of hydrogen engine
KR101465442B1 (en) Supply Apparatus of Gas Fuel Having Converging-Diverging Nozzle
KR20100093588A (en) Liquid material vaporization apparatus
BG61737B1 (en) Reducer for pressure or liquified gas with autonomous compensation and electrical heating
KR20090008994A (en) Pressure changable type regulator for fuel system of the lpi engine
JP7257826B2 (en) gas sup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