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279B1 -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 Google Patents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279B1
KR101201279B1 KR20100122578A KR20100122578A KR101201279B1 KR 101201279 B1 KR101201279 B1 KR 101201279B1 KR 20100122578 A KR20100122578 A KR 20100122578A KR 20100122578 A KR20100122578 A KR 20100122578A KR 101201279 B1 KR101201279 B1 KR 101201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algam
lamp
discharge lamp
mercury discharge
dischar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225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61310A (en
Inventor
하승호
공재보
김교훈
장운용
백광현
Original Assignee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12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279B1/en
Publication of KR20120061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3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279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Discharge Lamp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은 방전 램프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방전공간이 형성된 램프관;상기 램프관의 양단에 형성된 전극; 상기 전극을 지지하는 스템; 및, 상기 스템과 상기 램프관의 실링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방전공간과 연통하는 구조의 아말감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고형화된 형태, 바람직하게는 펠렛 형태로 아말감을 구성하였으므로 골드 페이스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골드 페이스트 건조 공정 및 일정한 부위에 안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방전공간 가공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아말감을 넣지 않은 상태에서 먼저 램프의 모든 공정을 실시하여 내부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방전공간 내부(양쪽 전극의 각각 후단부)에 펠렛 형태의 아말감의 안착 위치를 결정하는 아말감수용부를 만들어 일정량의 아말감을 투입함으로써 고출력 아말감 램프의 조사강도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rcury discharge lamp, the lamp tube having a discharge space therein; electrodes formed on both ends of the lamp tube; A stem supporting the electrode; And an amalgamation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tem and the sealing portion of the lamp tube and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spac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malgam in a solid form, preferably in the form of pellets, the gold paste is not used, and thus, the gold paste drying process and the separate discharge space processing step for seating on a predetermined portion are omitted. In the state without amalgam, all process of lamp is carried out first to completely remove internal impurities and make amalgam receiving part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pellet form amalgam inside discharge space (rear end of each electrode). By applying a certain amount of amalgam, the irradiation intensity retention rate of the high output amalgam lamp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본 발명은 수은 방전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말감을 고형화된 형태로 제작하고 별도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rcury discharge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made of amalgam in solidified form and configured to have a separate receiving space.

일반적으로 자외선램프는 수십 년 전부터 의료 산업 분야에서 미생물, 바이러스, 세균 등을 살균하기 위한 방법으로 널리 사용해 왔으며, 또한 이러한 자외선 살균효과로 인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에도 사용되어 오고 있다. 특히 고출력의 아말감 살균 램프는 최근 수질 환경 기술부문의 용수 및 폐수의 살균에도 이용되며 고효율성 때문에 우수하다. 이러한 고효율성은 내부 압력이 낮은 어떤 램프에서 아말감(amalgam)에 수은을 결합하여 달성된다. In general, UV lamps have been widely used as a method for sterilizing microorganisms, viruses, bacteria, etc. in the medical industry for several decades, and also have been used in the apparatus for purifying air due to the UV sterilization effect. In particular, high-power amalgam sterilization lamps are also used for the steriliz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in the recent water environment technology sector and are excellent due to their high efficiency. This high efficiency is achieved by combining mercury with amalgam in some lamps with low internal pressure.

자외선램프들의 다른 형태로는 아말감을 구비하지 않은 저압력 수은 램프들이 있으며 이들 램프는 상기 아말감 살균 램프보다 원하는 파장 범위의 방사 출력과 전기적 전력 소비간의 비율이라 할 수 있는 효율성이 매우 낮다. Other forms of ultraviolet lamps include low pressure mercury lamps that do not have amalgams, and these lamps have a much lower efficiency than the amalgam germicidal lamps, which is the ratio between the radiated output and the electrical power consumption in the desired wavelength range.

종래의 자외선램프의 광 출력은 램프 방전공간 내 수은 증기 압력, 즉 기체 밀도에 중요하게 의존한다. 이 때 수은증기압력은 소위 '콜드 스폿(cold spot)'으로 불리는 램프 방전공간 내의 가장 차가운 부분에 응집되는 과잉 액상 수은의 온도에 의해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자외선램프는 램프관 방전 공간의 내부로 향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램프 제조시 배기관으로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이 포함된다. 제조 완료시 배기관의 끝은 뾰족하게 마감되며 통상적으로 끝이 뾰족한 단부(도 1의 12참조)는 램프의 콜드 스폿이 된다. The light output of the conventional ultraviolet lamp is importantly dependent on the mercury vapor pressure in the lamp discharge space, that is, the gas density. The mercury vapor pressure is then controlled by the temperature of the excess liquid mercury that aggregates in the coldest part of the lamp discharge space, so-called 'cold spot'. In general, an ultraviolet lamp includes at least one exhaust pipe having an opening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lamp tube discharge space and used as an exhaust pipe in manufacturing the lamp. At the end of manufacture the end of the exhaust pipe is pointed closed and typically the pointed end (see 12 in FIG. 1) becomes the cold spot of the lamp.

주어진 온도에서 순수한 수은의 온도에 비례하여 수은 증기 압력을 감소시키며 이로 인해 상승된 온도에서 최적의 광 출력을 얻기 위해 아말감을 사용한다. 또한 이러한 아말감은 광 출력 대 온도 곡선에서 넓어진 피크를 제공하여 최적에 가까운 광 출력이 주위 온도에서 확대된 범위에서 얻어진다. At a given temperature, mercury vapor pressure is reduced in proportion to the temperature of pure mercury, thereby using amalgam to obtain optimal light output at elevated temperatures. This amalgam also provides broader peaks in the light output versus temperature curve so that near optimal light output is obtained over an extended range at ambient temperature.

또한 변화하는 온도 조건하에서 수은 증기 압력 제어를 위해 가스 상태에서 수은을 흡수할 수 있는 여러 합금을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된다. 저온 용융금속의 합금은 종종 과잉 수은을 이용하여 아말감을 만들고 램프 내 수은 증기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자외선램프 내에 배치된다. 수은을 이용하여 아말감을 형성할 때 매우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합금은 납-비스무트-주석 합금, 비스무트-인듐 합금, 비스무트와 주석 합금, 아연, 인듐 및 주석 합금이다. 순수 인듐, 순수 납, 순수 아연을 이용하여 다른 유용한 아말감을 형성할 수 있다. It is also at least partly solved by the use of several alloys capable of absorbing mercury in the gas phase for controlling mercury vapor pressure under varying temperature conditions. Alloys of low temperature molten metal are often placed in ultraviolet lamps to create amalgams using excess mercury and to control the mercury vapor pressure in the lamp. Alloys known to be very useful when forming amalgams with mercury are lead-bismuth-tin alloys, bismuth-indium alloys, bismuth and tin alloys, zinc, indium and tin alloys. Pure indium, pure lead, pure zinc can be used to form other useful amalgams.

통상적으로 초과량의 아말감, 즉 램프가 안정화된 동작 조건에 도달할 때, 기화된 수은을 공급하기에 필요한 것보다 많은 아말감이 램프에 제공된다. 램프가 노화함에 따라서, 과잉 아말감 중 일부는 램프의 수명기간 동안 램프 내 도처에서 화학 결합된 수은을 대체하는데 필요하다. Typically an excess of amalgam, i.e., when the lamp reaches stabilized operating conditions, the amalgam is provided to the lamp more than necessary to supply vaporized mercury. As the lamp ages, some of the excess amalgam is needed to replace the chemically bound mercury throughout the lamp throughout its lifetime.

자외선램프가 소등될 때 아말감은 냉각되고 램프 내 수은증기는 아말감으로 점차 흡수된다. 램프가 켜질 때, 조사 강도는 아말감이 램프가 유효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은 증기를 방출하는 포인트에까지 아말감이 덥혀질 때까지 현저하게 감소한다. When the UV lamp goes out, the amalgam is cooled and mercury vapor in the lamp is gradually absorbed into the amalgam. When the lamp is turned on, the irradiation intensity decreases significantly until the amalgam is warmed up to the point where the amalgam emits sufficient mercury vapor for the lamp to operate effectively.

도 1은 종래 아말감 살균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amalgam sterilizing lamp.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아말감(14)이 도포되고 불활성가스를 함유한 방전공간(15)을 기밀식으로 밀봉하는 석영의 램프관(16)과, 상기 램프관(16)의 양쪽으로는 전극(11)이 각기 대향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램프관(16)의 양단에 있는 전극(11)에는 소위 이미터(emitter)라는 물질을 도포한다. 전극(11)에 도포된 이미터는 방전반응에 전자를 공급하거나(음극기능), 방전반응으로부터 전자를 수용하기 위해(양극기능) 낮은 일함수(일함수 전압의 저하)를 갖는 물질이다. 이러한 물질로는 바륨(Ba), 스트론튬(Sr) 및 칼슘(Ca) 등이 있다. As shown in FIG. 1, both of the lamp tube 16 and the quartz lamp tube 16 are hermetically sealed to the discharge space 15 having the amalgam 14 coated therein and containing an inert gas. In this configuration, the electrodes 11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this case, a material called an emitter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11 at both ends of the lamp tube 16. The emitter applied to the electrode 11 is a material having a low work function (lowering of the work function voltage) for supplying electrons to the discharge reaction (cathode function) or for receiving electrons from the discharge reaction (anode function). Such materials include barium (Ba), strontium (Sr) and calcium (Ca).

아말감 살균 램프가 작동하는 동안 이미터는 휘발되거나 방전공간(15) 내면상에 침착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물질들로 이루어진 이미터는 자체적으로 휘발성 산화물질이 포함되어 있어서 램프 내부에서 불순물로 작용하여 조사 강도 및 유지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하나가 된다. While the amalgam germicidal lamp is operating, the emitter may be volatilized or deposi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space 15. In addition, the emitter made of the above-mentioned material itself contains a volatile oxide material, which acts as an impurity inside the lamp, which is one of the factors that most affect the irradiation intensity and retention rate.

통상적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산 공정상에서 전극에 전기 분해와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이미터가 가지고 있는 불순물을 없앤다. Typical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electrode is subjected to electrolysis and heat treatment in the production process to remov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emitter.

그러나 상기 아말감 살균 램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말감(14)을 도포하는 위치가 전극(11)으로부터 약 300mm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어서 방전공간(15) 전체를 열처리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그로 인해 방전공간(15) 내부에 남아 있는 불순물을 완전하게 처리하지 못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결국 아말감 램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사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malgam germicidal lamp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osition where the amalgam 14 is applied is located about 300 mm away from the electrode 11 as shown in FIG. 1, and thus does not heat-treat the entire discharge space 15. Therefore, it has an undesirable structure that does not completely process the impurities remaining in the discharge space 15. As a result, the amalgam lamp has a problem that the irradiation intensity is significantly reduced over time.

또한 종래의 아말감 살균 램프는 아말감(14)을 도포하기 위해 1차적으로 액체로 된 골드 페이스트(13)(gold paste)를 방전공간(15) 내부 표면의 일정 부위에 안착시켜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공 작업을 통해 오목한 형태로 만들어 주는 공정을 거친다. 결국 골드 페이스트(13)를 건조시키고 방전공간(15)을 별도로 가공해야 하므로 원가를 높이고 생산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malgam germicidal lamp has to be deposited on a certain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space 15, the gold paste 13 (gold paste) of the liquid primarily to apply the amalgam (14) to separate processing The work goes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a concave shape. As a result, the gold paste 13 needs to be dried and the discharge space 15 must be separately processed, thereby raising costs and lowering produc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말감을 펠렛 형태로 하고 아말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기 때문에 가공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를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malgam has a pellet form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malgam, so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a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that can simplify the processing process. The purpos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본 발명의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는 내부에 방전공간이 형성된 램프관; 상기 램프관의 양단에 형성된 전극; 상기 전극을 지지하는 스템; 및, 상기 스템과 상기 램프관의 실링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방전공간과 연통하는 구조의 아말감수용부;를 포함한다. The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the amalg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mp tube with a discharge space formed therein; Electrod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amp tube; A stem supporting the electrode; And an amalgam accept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tem and the sealing portion of the lamp tube and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space.

여기서 상기 아말감의 직경은 상기 방전공간의 통로의 직경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일정한 직경을 구비한 고형물의 구조로 상기 아말감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아말감은 펠렛(pellet) 형태로서 상기 아말감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diameter of the amalgam may be implement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assage of the discharge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id structure having a constant diameter is accommodated in the amalgam containing portion. In particular, the amalgam is preferably contained in the amalgam containing portion in the form of a pellet (pellet).

상기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골드 페이스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골드 페이스트 건조 공정 및 일정한 부위에 안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방전공간 가공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conventional gold paste is not used, the gold paste drying step and the separate discharge space processing step for seating on a predetermined portion can be omitted.

여기서 상기 아말감수용부는 상기 방전공간으로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개구부를 구비하는 차단막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malgamation receiv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rier film having an opening to form a passage to the discharge space.

또한 상기 아말감수용부는 적어도 1 이상의 아말감을 수용하며, 상기 아말감의 직경은 상기 개구부의 직경 이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malgam receiving portion accommodates at least one amalga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amalgam is implemented as more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ing.

또한 여기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차단막이 상기 램프관의 내주면과 이격됨으로써 형성되고, 이격 거리는 0mm초과 내지 0.2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pening is formed by the blocking film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amp tube, the separation distance is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0mm to less than 0.2mm.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아말감을 상기 아말감수용부에 수용함과 동시에 이격을 통해 수은 증기를 용이하게 순환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malgam can be easily circulated through the space while accommodating the amalgam containing portion.

또한 여기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스템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rrier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one piece or separate from the stem.

또한 여기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램프관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평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이거나 불규칙적인 형상의 단일폐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locking film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amp tube, the planar sha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ngle closed curve of any one of circular, oval, or polygonal or irregular shape.

또한 여기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차단막에 적어도 하나 이상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pening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t least one hole perforated in the blocking film.

나아가 여기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차단막이 메시(mesh) 구조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open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rier film is formed of a mesh (mesh) structur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고형화된 구조, 바람직하게는 펠렛 형태로 아말감을 구성하였으므로 골드 페이스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골드 페이스트 건조 공정 및 일정한 부위에 안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방전공간 가공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아말감을 넣지 않은 상태에서 먼저 램프의 모든 공정을 실시하여 내부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방전공간 내부(양쪽 전극의 각각 후단부)에 고형화된 형태의 아말감의 안착 위치를 결정하는 아말감수용부를 만들어 일정량의 아말감을 투입함으로써 고출력 아말감 램프의 조사강도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malgam in a solidified structure, preferably in the form of pellets, since the gold paste is not used, the gold paste drying process and the separate discharge space processing step for seating on a predetermined portion are omitted. The amalgam accepting part which performs all processes of the lamp first without the amalgam and completely removes internal impurities and determines the seating position of the amalgam solidified inside the discharge space (rear end of each electrode). By making a certain amount of amalgam, the irradiation intensity retention of the high power amalgam lamp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램프의 제작 공정 중에는 외부로 용이하게 불순 가스를 배출할 수 있고 램프의 동작시에는 별도로 독립된 아말감수용부를 통해 수은 증기가 용이하게 흐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mpurity gas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amp, and the mercury vapor can easily flow through the amalgamation receiving unit separately during operation of the lamp.

도 1은 종래 아말감 살균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에 있어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에 있어서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아말감이 펠렛 형태로 제작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에 있어서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다양한 형태의 차단막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amalgam sterilizing lamp.
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the amalg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malgam produced in pellet form as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the amalgam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E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various types of barrier films as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the amalga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앞서 설명한 대로 종래 아말감 살균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석영관(16)의 양단을 보호하는 캡(17)에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핀(18)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11)을 지지하기 위한 스템(19)이 형성되어 있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amalgam sterilization lamp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 a terminal pin 18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outside is formed in a cap 17 protecting both ends of the quartz tube 16, and a stem for supporting the electrode 11. (19) is formed.

도 2는 본 발명의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에 있어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the amalga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방전공간(15)이 형성된 램프관, 상기 램프관의 양단에 형성된 전극(11), 상기 전극(11)을 지지하는 스템(19) 및, 상기 스템(19)과 상기 램프관의 실링부(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방전공간(15)과 연통하는 구조의 아말감수용부(22)를 포함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a lamp tube having a discharge space 15 formed therein, electrodes 11 formed on both ends of the lamp tube, The stem 19 supporting the electrode 11 and the amalgamation receiving portion 22 disposed between the stem 19 and the sealing portion 20 of the lamp tube and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space 15. It includes.

도 2는 도 1과 달리, 골드페이스트(13)가 필요치 않으며 대신에 고형화된 형태, 바람직하게는 펠렛 형태의 아말감(14)이 스템(19)과 실링부(20) 사이의 차단막(21)에 의해 형성된 아말감수용부(22)에 수용된다. 상기 차단막(21)과 석영관(16)의 내주면은 수은 증기가 유통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FIG. 2 differs from FIG. 1 in that no gold paste 13 is required and instead a solidified, preferably pelletized, amalgam 14 is applied to the barrier 21 between the stem 19 and the sealing portion 20. It is accommodated in the amalgamation receiving portion 22 form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blocking film 21 and the quartz tube 16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mercury vapor is distributed.

한편 상기 램프관은 석영관(16)이 바람직하며 막대 형태일 수 있으나, U자 형태 일 수도 있다. Meanwhile, the lamp tube is preferably a quartz tube 16 and may have a rod shape, or may have a U shape.

상기 전극(11)은 상기 스템(19)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캡(17)의 단자핀(18)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고 상기 전극(11)을 통해 전하가 방전된다. The electrode 11 is supported by the stem 19 an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in 18 of the cap 17 to receive current from the outside and discharge electric charges through the electrode 11.

한편 상기 아말감수용부(22)는 램프관의 일단에 형성될 수도 있고 양단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아말감수용부(22)에는 아말감이 수용되고 램프관 내의 방전공간(15) 사이에 수은 증기가 유통된다. 따라서 아말감수용부(22)와 방전공간(15) 간에는 차단막(21)이 존재하는데 이 차단막(21)은 반드시 개구부(40)를 갖는다. On the other hand, the amalgamation unit 22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lamp tube or may be formed at both ends. The amalgam receiving unit 22 accommodates amalgam and mercury vapor flows between discharge spaces 15 in the lamp tube. Accordingly, a blocking film 21 exists between the amalgamation receiving unit 22 and the discharge space 15, and the blocking film 21 necessarily has an opening 40.

다만 상기 개구부(40)는 수은 증기의 통로가 되므로 상기 차단막(21)과 상기 램프관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이격되지 않고 밀착되더라도 차단막(21)의 평면 상에 하나 이상의 홀이 천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격되는 경우에는 이격 거리는 0mm초과 내지 0.2mm이하가 적당하다. 일반적으로 고형화된 아말감은 0.2mm 이상의 크기를 제조되기 때문이다. However, since the opening 40 is a passage of mercury vapor, the opening 4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ing film 21 and the lamp tube. It may be form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is more than 0mm to 0.2mm or less is appropriate. This is because the solidified amalgam is generally produced in a size of 0.2 mm or more.

또한 상기 차단막(21)은 상기 램프관의 내주면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일 수도 있으나,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거나 그 평면이 다각형, 불규칙한 단일폐곡선 등 다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ocking film 21 may have a circula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mp tube, but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plane thereof may be polygonal or irregular single closed curve.

또한 상기 차단막(21)은 메시 형태도 가능하며, 이 경우 하나의 그물코의 크기가 고형화된 아말감보다 작으면 충분하다. In addition, the barrier film 21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in which case it is sufficient that the size of one mesh is smaller than the solidified amalgam.

한편 상기 차단막(21)은 상기 스템(19)과 분리형일 수 있으나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blocking film 21 may be separated from the stem 19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아말감은 골드 페이스트(13)가 불필요한 고형화된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아말감수용부(22)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malgam is manufactured in a solidified form in which the gold paste 13 is unnecessary and accommodated in the amalgam receiving portion 22.

도 3은 본 발명의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에 있어서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아말감(14)이 펠렛 형태로 제작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형화된 아말감(14)은 사출성형이 간단한 펠렛 형태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malgam 14 is manufactured in pellet form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solidified amalgam 14 is preferably molded into a pellet having a simple injection molding.

상기 펠렛 형태는 상기 차단막(21)과 석영관(16)의 이격된 틈이나 천공, 메시 등을 통해 상기 아말감수용부(22)를 이탈하지 않을 정도의 두께면 충분하다.
The pellet form may have a thickness such that it does not leave the amalgamation receiving portion 22 through spaced gaps, perforations, meshes, etc. of the blocking film 21 and the quartz tube 16.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에 있어서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다양한 형태의 차단막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4A to 4E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various types of barrier films as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the amalg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21)은 원형이고 석영관(16)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서 개구부(40)를 형성하고 있다. 도 4a에서는 마치 차단막(21)이 석영관(16)의 중앙에 부양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나 상기 스템(19)에 고정되어 있어서 가능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4A, the blocking film 21 is circular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quartz tube 16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the opening 40. In FIG. 4A, it is as if the blocking film 21 is supported at the center of the quartz tube 16, but is fixed to the stem 19.

도 4b는 차단막(21)이 원형이면서 수 개의 지지부가 석영관(16) 내주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또 다른 실시예이다. 4B is yet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blocking film 21 is circular and several supporting portions are formed exte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quartz tube 16.

도 4c는 차단막(21)이 석영관(16) 내주면에 밀착되어 밀폐시키는 구조이나 차단막(21) 평면에 수 개의 개구부(40)가 천공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일실시예이다. 천공된 개구부(40)는 여러 가지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FIG. 4C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blocking film 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quartz tube 16 and is sealed, or several openings 40 are perforated in the plane of the blocking film 21. The perforated opening 40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도 4d는 차단막(21)이 메시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일실시예이다. 메시 형태의 차단막(21)은 석영관(16) 내주면과 밀착될 수 있으나 도4a와 같이 이격될 수 있다. 4D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barrier layer 21 may be formed in a mesh form. The mesh blocking layer 2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quartz tube 16, but may be spaced apart as shown in FIG. 4A.

도 4e는 차단막(21)의 평면의 형태가 다각형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타원형, 불규칙한 단일폐곡선 등도 될 수 있다. 아말감(14)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개구부(40)를 형성할 수 있으면 그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4E shows that the planar shape of the barrier film 21 may be polygon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 elliptical or irregular single closed curve. If the amalgam 14 can form an opening 40 having a size that can not pass through, the shape may var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1: 전극 12: 단부
13: 골드 페이스트 14: 아말감
15: 방전공간 16: 석영관
17: 캡 18: 단자핀
19: 스템 20: 실링부
21: 차단막 22: 아말감수용부
40: 개구부
11: electrode 12: end
13: gold paste 14: amalgam
15: discharge space 16: quartz tube
17: Cap 18: Terminal pin
19: stem 20: sealing part
21: barrier 22: amalgam receptor
40: opening

Claims (12)

내부에 방전공간이 형성된 램프관;
상기 램프관의 양단에 형성된 전극;
상기 전극을 지지하는 스템; 및,
상기 스템과 상기 램프관의 실링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방전공간과 연통하는 구조의 아말감수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아말감수용부는,
상기 방전공간으로의 통로인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스템과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차단막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차단막이 상기 램프관의 내주면과 이격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
A lamp tube having a discharge space formed therein;
Electrod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amp tube;
A stem supporting the electrode; And,
An amalgamation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tem and the sealing portion of the lamp tube, and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space;
Including,
The amalgamation unit,
An opening that is a passage to the discharge space and includes a blocking film formed separately from the stem,
The opening is a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film is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amp tub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말감수용부는
적어도 1 이상의 아말감을 수용하며,
상기 아말감의 직경은 상기 차단막과 상기 램프관의 내주면 간의 이격 거리 이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malgamation unit
Accepts at least one amalgam,
The diameter of the amalgam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n amalgam,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ove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locking film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amp tub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차단막과 상기 램프관 간의 이격 거리가 0mm초과 내지 0.2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locking film and the lamp tube is greater than 0mm or less than 0.2m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평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이거나 불규칙적인 형상의 단일폐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blocking layer
A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ar shape is one of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or a single closed curve of irregular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차단막에 적어도 하나 이상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t least one hole perforated on the blocking fil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차단막에 적어도 하나 이상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opening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t least one hole perforated on the blocking fil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차단막이 메시(mesh) 구조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rier film is formed of a mesh (mesh) structur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차단막이 메시 구조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opening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rier film is formed of a mesh structur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아말감은 일정한 직경을 구비한 고형물의 구조로 상기 아말감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
The method of claim 4,
The amalgam is a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ccommodated in the amalgam receiving portion in the structure of a solid having a constant diameter.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아말감은 펠렛(pellet) 형태의 고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말감을 이용한 수은 방전 램프.

The method of claim 11,
The amalgam is a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id (pellet) form.

KR20100122578A 2010-12-03 2010-12-03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KR101201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2578A KR101201279B1 (en) 2010-12-03 2010-12-03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2578A KR101201279B1 (en) 2010-12-03 2010-12-03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310A KR20120061310A (en) 2012-06-13
KR101201279B1 true KR101201279B1 (en) 2012-11-15

Family

ID=4661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22578A KR101201279B1 (en) 2010-12-03 2010-12-03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27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523B1 (en) * 2017-11-27 2018-06-19 김태화 Ultraviolet lam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76178B1 (en) * 2017-11-27 2018-07-09 장명옥 Apparatus for advanced oxidation process
KR101868524B1 (en) * 2017-11-27 2018-07-19 장명옥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411B1 (en) * 2016-07-22 2022-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Ultraviolet rays sterilization lamp and ultraviolet rays sterilization modul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KR102153833B1 (en) * 2019-11-22 2020-09-08 이상혁 Method for manufacturing environment-friendly high irradiance ultraviolet lamp and environment-friendly high irradiance ultraviolet lamp
RU198581U1 (en) * 2020-03-26 2020-07-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ВК» UV source for closed germicidal install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7484A (en) * 2002-08-22 2004-03-18 Osram Sylvania Inc Fluorescent lamp and amalgam assembly therefor
KR100844059B1 (en) * 2007-07-31 2008-07-04 금호전기주식회사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7484A (en) * 2002-08-22 2004-03-18 Osram Sylvania Inc Fluorescent lamp and amalgam assembly therefor
KR100844059B1 (en) * 2007-07-31 2008-07-04 금호전기주식회사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523B1 (en) * 2017-11-27 2018-06-19 김태화 Ultraviolet lam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76178B1 (en) * 2017-11-27 2018-07-09 장명옥 Apparatus for advanced oxidation process
KR101868524B1 (en) * 2017-11-27 2018-07-19 장명옥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310A (en)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279B1 (en) Mercury discharge lamp using amalgam
US20060267495A1 (en) Germicidal low 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with amalgam location and temperature control permitting high output
EP2447981B1 (en) Low-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with amalgam, lamp system, water or air treatment system, use of a lamp system
KR100670688B1 (en) Short-arc high-pressure discharge lamp
JP6564663B2 (en) Excimer lamp device
CN1822312A (en) Excimer lamp
KR100528232B1 (en) Short Arc Electric Discharge Lamp
KR100374234B1 (en) Short Arc Mercury Lamp
EP1044456B1 (en) Lamp device
KR20010021543A (en) Low-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US6525473B2 (en) Low 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with ceramic electrode shield
JP4394096B2 (en) Discharge lamp
JP2007299563A (en) High power sterilizer lamp
EP3267466B1 (en) Uv mercury low-pressure lamp with amalgam deposit
EP1435641B1 (en) Gas discharge lamp with a cathode shield, germicidal lamp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disinfecting contaminated water or treating wastewater and increasing current load in a gas discharge lamp
CN101790772A (en) Ceramic discharge vessel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with opacity
WO2020232783A1 (en) Ultraviolet lamp
EP2260504B1 (en) Discharge tube for compact fluorescent lamp
JP2014531116A (en) Mercury vapor short arc lamp for DC operation with cycle
JP2001068056A (en) Rare gas flashing discharge lamp
JP2001068057A (en) Flashing discharge lamp for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method
TW201730915A (en) Low-pressure mercury lamp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omprising a tubular light-emitting tube, a pair of filaments, and mercury and rare gas
JPH0243304B2 (en)
JP2004235118A (en) Low 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CA2700198A1 (en) Direct current discharge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