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916B1 -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916B1
KR101200916B1 KR1020120072616A KR20120072616A KR101200916B1 KR 101200916 B1 KR101200916 B1 KR 101200916B1 KR 1020120072616 A KR1020120072616 A KR 1020120072616A KR 20120072616 A KR20120072616 A KR 20120072616A KR 101200916 B1 KR101200916 B1 KR 101200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odule
road
energy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철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120072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판 형태로 형성되고, 도로의 가장 자리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한 쌍이 적어도 2개 이상 배열 설치되되, 차량 진행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설치되며, 하단 양측에 회전축이 설치되는 패드 모듈과; 상기 패드 모듈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토셔널 댐퍼와; 상기 패드 모듈의 회전수를 증대시키도록 상기 토셔널 댐퍼와 연결되는 유성 기어와; 상기 유성 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유성 기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따라 수평 이동되는 에너지 변환 모듈과; 상기 에너지 변환 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에너지 변환 모듈의 수평 이동에 따라 압력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압력 발생 모듈과; 상기 압력 발생 모듈로부터 발생된 압력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탱크; 및 상기 에너지 저장 탱크에 저장된 압력 에너지에 의해 회전되어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패드를 통과시 패드에서 발생되는 회전축의 회전수를 유성 기어를 통해 증대시켜 볼스크류를 회전시키고, 볼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볼나사가 이동하여 실린더를 압축시키고, 실린더에서 발생하는 압력 에너지를 저장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킴으로써 운동에너지를 압력 에너지로 전환시켜 저장하고, 저장된 압력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하여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PRESSURE GENERATION SYSTEM FOR ROAD}
본 발명은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이 패드를 통과시 패드에서 발생되는 회전축의 회전수를 유성 기어를 통해 증대시켜 볼스크류를 회전시키고, 볼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볼나사가 이동하여 실린더를 압축시키고, 실린더에서 발생하는 압력 에너지를 저장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에너지 고갈의 현실에 직면하여 새로운 대체에너지의 개발과 에너지 순환시 효과적인 에너지보존을 위한 다양한 방식과 장치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대표적으로 중점 개발되고 있는 대체 에너지로 태양광을 이용한 전압발생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이는 태양광을 직접 수광하는 태양전지를 구성하고, 그 태양전지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을 균일하게 유지해주는 정전압 회로를 매개로하여 축전지에 상기 태양전지로부터의 전압을 충전시켜 필요시 보조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상기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력 생산은 낮은 효율과 광량에 따라 발전량이 큰 차이가 생기고 밤에는 생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한 국가의 주 에너지원으로서 역할은 할 수 없고 다만 보조적이거나 시험적인 에너지원이 될 수밖에 없다.
또한, 조력과 풍력, 수력발전으로 인한 에너지 생성장치는 자연조건이 적합한 지역에서만 보조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에너지이며, 그로 인한 발생전압 또한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거나 주변환경에 따른 제약을 많이 받고, 초기시설투자 비용이 막대하여 일반적이라고 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대체 에너지원으로 에너지의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자동차 문화가 정착되어 운행되는 자동차의 대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대되면서 이러한 자동차를 이용한 에너지 재활용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에는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진동력이 상당히 공급되고 있으며, 자동차 운행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고려한다면 도로에 가해지는 진동력은 상당한 에너지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동 에너지를 활용하지 못하고, 그대로 낭비하고 있는 실정이며, 상기 진동 에너지를 재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진동 에너지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도로상의 과속방지턱을 넘어가는 차량의 중량 및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기 위한 종래의 발전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3304호의 "도로용 과속방지턱"은 과속방지턱의 내측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갖추고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이루며, 도로에 매설되는 지지함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상하이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크랭크암과, 크랭크축 및 플라이휠 등을 구비하고, 과속방지턱의 상하운동에 따라서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와 충전기를 구비한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지지함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하나의 과속방지턱을 이용하여 발전하게 되므로 발전 용량이 작아서 실용화되기 곤란하다.
그리고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1886호의 "발전기능을 가지는 과속방지턱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과속방지턱을 통과하는 차량의 하중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구름판과, 구름판 저면과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 레버와, 일단이 상기 제1 레버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2 레버와, 상기 구름판을 상부로 밀어올리는 스프링, 및 상기 제2 레버의 타단과 원웨이 클러치 방식으로 결합되어 단방향으로 회전하는 발전기 구동축으로 이루어지며, 인접한 과속 방지턱부와 서로 클러치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과속 방지턱부를 갖는다. 그리고 발전기 구동축에 끼워지며 회전 관성을 가지도록 일정한 중량을 가지는 공회전 드럼과 상기 발전기 구동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결합되는 제2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전기를 발전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발전시스템 구조도 그 구조가 복잡하고, 실용적이지 못하여 현장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최근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988413호(유성기어 및 일방향 클러치를 이용한 도로용 발전장치),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1-0128055호(도로용 발전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도로용 발전장치는 과속 방지턱인 패드를 차랑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직접 발전기에 전달함으로써 전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도로용 발전장치는 수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도로 설치에 제약이 많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1)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988413호 (선행기술 2)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1-01280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이 패드를 통과시 패드에서 발생되는 회전축의 회전수를 유성 기어를 통해 증대시켜 볼스크류를 회전시키고, 볼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볼나사가 이동하여 실린더를 압축시키고, 실린더에서 발생하는 압력 에너지를 저장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킴으로써 운동에너지를 압력 에너지로 전환시켜 저장하고, 저장된 압력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하여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부가 횡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도로의 저면에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적 제약을 없앨 수 있는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판 형태로 형성되고, 도로의 가장 자리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한 쌍이 적어도 2개 이상 배열 설치되되, 차량 진행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설치되며, 하단 양측에 회전축이 설치되는 패드 모듈과; 상기 패드 모듈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토셔널 댐퍼와; 상기 패드 모듈의 회전수를 증대시키도록 상기 토셔널 댐퍼와 연결되는 유성 기어와; 상기 유성 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유성 기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따라 수평 이동되는 에너지 변환 모듈과; 상기 에너지 변환 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에너지 변환 모듈의 수평 이동에 따라 압력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압력 발생 모듈과; 상기 압력 발생 모듈로부터 발생된 압력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탱크; 및 상기 에너지 저장 탱크에 저장된 압력 에너지에 의해 회전되어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패드 모듈은 저면에 복원을 위해 코일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패드 모듈과 대응되는 지면에 충격 흡수 스토퍼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에너지 변환 모듈은 상기 유성 기어에 일단이 연결되는 볼 스크류와; 상기 볼 스크류의 끝단에서 결합되고, 상기 압력 발생 모듈에 고정되어 상기 볼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압력 발생 모듈 측으로 직선 이동되는 볼 나사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패드 모듈의 회전축과 에너지 변환 모듈의 볼 스크류는 베어링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압력 발생 모듈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압력 발생 모듈은 상기 에너지 저장 탱크와 연결되는 관로 상에 체크 밸브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발전기는 유압 또는 공압 발전기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토셔널 댐퍼와, 유성 기어와, 에너지 변환 모듈 및 압력 발생 모듈은 도로의 지면 아래 설치되되,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된 상기 패드 모듈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에 따르면, 차량이 패드를 통과시 패드에서 발생되는 회전축의 회전수를 유성 기어를 통해 증대시켜 볼스크류를 회전시키고, 볼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볼나사가 이동하여 실린더를 압축시키고, 실린더에서 발생하는 압력 에너지를 저장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킴으로써 운동에너지를 압력 에너지로 전환시켜 저장하고, 저장된 압력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하여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구성부가 횡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도로의 저면에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적 제약을 없앨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중 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중 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계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1)는, 패드 모듈(10)과, 토셔널 댐퍼(20)와, 유성 기어(30)와, 에너지 변환 모듈(40)과, 압력 발생 모듈(50)과, 에너지 저장 탱크(60)와, 발전기(70)로 구성된다.
먼저, 패드 모듈(10)은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판 형태로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R)의 가장 자리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한 쌍이 적어도 2개 이상 배열 설치되되, 차량 진행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설치되며, 하단 양측에 회전축(11)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패드 모듈(10)은 저면에 복원을 위해 코일 스프링(13)이 구비되고, 패드 모듈(10)과 대응되는 지면에 충격을 흡수하고, 하강을 차단하는 충격 흡수 스토퍼(15)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한, 회전축(11)은 베어링(B)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여기에서 또, 패드 모듈(10)은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988413호(유성기어 및 일방향 클러치를 이용한 도로용 발전장치),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1-0128055호(도로용 발전장치)에서 공지된 형태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또, 패드 모듈(10)이 설치되는 장소는 주차장 진입로, 주차 요금 결제소 전방, 톨게이트 진입로 등과 같이 차량이 서행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간격은 서로 간섭이 없는 최소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한 쌍을 서로 이격시켜 설치하는 이유는 차량의 각 바퀴에 각각 면접되어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토셔널 댐퍼(20)는 패드 모듈(10)의 회전축(11)과 결합되어 충격력을 완화시켜 충격력에 의해 구성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유성 기어(30)는 패드 모듈(10)의 회전수를 증대시키도록 토셔널 댐퍼(20)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유성 기어(30)는 회전비를 20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패드 모듈(10)의 회전축(11)이 30ㅀ회전하게 되면 하기에서 설명할 에너지 변환 모듈(40)의 볼 스크류(41)를 600°회전시킨다.
또, 에너지 변환 모듈(40)은 유성 기어(30)에 일단이 연결되는 볼 스크류(41)와, 볼 스크류(41)의 끝단에서 결합되고, 압력 발생 모듈(50)에 고정되어 볼 스크류(41)의 회전에 따라 압력 발생 모듈(50) 측으로 직선 이동되는 볼 나사(43)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에너지 변환 모듈(40)의 볼 스크류(41)는 베어링(B)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여기에서 또한, 볼 나사(43)는 볼 스크류(41)의 회전 길이보다 더 긴 회전 길이를 갖도록 하여 볼 스크류(41)의 끝단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압력 발생 모듈(50)은 에너지 변환 모듈(40)에 설치되어 에너지 변환 모듈(40)의 수평 이동에 따라 압력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압력 발생 모듈(50)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이다. 여기에서 또한, 압력 발생 모듈(50)은 에너지 저장 탱크(60)와 연결되는 관로 상에 체크 밸브(51)가 더 구비되어 압력 에너지를 일방향으로만 이동시킨다.
그리고, 에너지 저장 탱크(60)는 통상의 어큐뮬레이터로서, 압력 발생 모듈(50)로부터 발생된 압력 에너지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에너지 저장 탱크(60)는 부피에 때문에 지면 아래에 설치되지 않고, 도로(R)의 측면인 지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전기(70)는 에너지 저장 탱크(60)에 저장된 압력 에너지에 의해 회전되어 전력을 발생한다. 여기에서, 발전기(70)는 압력 발생 모듈(50)이 유압 실린더인 경우 유압 발전기가 적용되고, 압력 발생 모듈(50)이 공압 실린더인 경우 공압 발전기가 적용된다. 여기에서 또한, 발전기(70)는 에너지 저장 탱크(60)의 측면인 지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1)중 토셔널 댐퍼(20)와, 유성 기어(30)와, 에너지 변환 모듈(40) 및 압력 발생 모듈(50)은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키도록 도로(R)의 지면 아래 설치되되,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된 패드 모듈(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1)는 설치 편의를 위해 각 구성품이 받침판(8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각 구성부를 직접 땅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로 시공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1)가 설치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다단의 공간부 또는 하나의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각의 받침판(80)에 패드 모듈(10)과, 토셔널 댐퍼(20)와, 유성 기어(30)와, 에너지 변환 모듈(40)과, 압력 발생 모듈(50)를 결합한 상태에서, 받침판(80)을 공간부에 앵커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되, 패드 모듈(10)만이 지면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단의 패드 모듈(10)과 하단의 패드 모듈(10) 사이에는 아스콘이나 콘크리트로 포장을 하거나 별도의 마감재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차량의 바퀴가 각각의 패드 모듈(10)을 밟고 지나가게 된다.
그러면, 차량의 바퀴에 걸리는 축하중에 의해 패드 모듈(10)의 코일 스프링(13)이 압축되어 패드 모듈(10)의 회전축(11)을 중심으로 베어링(B)에서 일정 각도(약 30°) 회전하게 된다. 이때, 패드 모듈(10)은 충격 흡수 스토퍼(15)에 의해 더 이상 하강되지 않고,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고, 차량이 지나가면 코일 스프링(13)의 탄반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한편, 패드 모듈(10)의 회전축(11)이 회전하게 되면, 토셔널 댐퍼(20)에서 충격이 흡수된 후 회전력은 유성 기어(30)로 전달되고, 유성 기어(30)는 패드 모듈(10)의 회전축(11)의 회전수를 증대시킨다. 즉, 패드 모듈(10)의 회전축(11)이 30°회전하게 되면 유성 기어(30)의 회전각도는 600°가 된다.
그러면, 유성 기어(30)와 연결된 에너지 변환 모듈(40)의 볼 스크류(41) 역시 600°가 회전되고, 이로 인해 볼 나사(43)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볼 나사(43)가 이동하게 되면, 압력 발생 모듈(50)이 압축하게 되면서 압력 에너지를 발생하고, 발생된 압력 에너지는 에너지 저장 탱크(60)에 저장된 후 발전기(70)를 구동시켜 전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차량의 복수의 패드 모듈(10)을 통과하면서 각 패드 모듈(10)을 밟고 지나가기 때문에 각각의 패드 모듈(10)에서 압력 에너지가 발생하고, 이를 에너지 저장 탱크(60)에 저장함으로써 많은 량의 압력 에너지가 발생하고, 압력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기(70)를 구동시킴으로써 대용량의 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패드 모듈 20 : 토셔널 댐퍼
30 : 유성 기어 40 : 에너지 변환 모듈
50 : 압력 발생 모듈 60 : 에너지 저장 탱크
70 : 발전기 80 : 받침판

Claims (9)

  1. 판 형태로 형성되고, 도로의 가장 자리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한 쌍이 적어도 2개 이상 배열 설치되되, 차량 진행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설치되며, 하단 양측에 회전축이 설치되는 패드 모듈과;
    상기 패드 모듈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토셔널 댐퍼와;
    상기 패드 모듈의 회전수를 증대시키도록 상기 토셔널 댐퍼와 연결되는 유성 기어와;
    상기 유성 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유성 기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따라 수평 이동되는 에너지 변환 모듈과;
    상기 에너지 변환 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에너지 변환 모듈의 수평 이동에 따라 압력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압력 발생 모듈과;
    상기 압력 발생 모듈로부터 발생된 압력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탱크; 및
    상기 에너지 저장 탱크에 저장된 압력 에너지에 의해 회전되어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변환 모듈은,
    상기 유성 기어에 일단이 연결되는 볼 스크류와;
    상기 볼 스크류의 끝단에서 결합되고, 상기 압력 발생 모듈에 고정되어 상기 볼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압력 발생 모듈 측으로 직선 이동되는 볼 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모듈은,
    저면에 복원을 위해 코일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패드 모듈과 대응되는 지면에 충격 흡수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모듈은,
    도로의 상면에 설치되거나 도로에 매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모듈의 회전축과 에너지 변환 모듈의 볼 스크류는,
    베어링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발생 모듈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발생 모듈은,
    상기 에너지 저장 탱크와 연결되는 관로 상에 체크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유압 또는 공압 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셔널 댐퍼와, 유성 기어와, 에너지 변환 모듈 및 압력 발생 모듈은,
    도로의 지면 아래 설치되되,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된 상기 패드 모듈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
KR1020120072616A 2012-07-04 2012-07-04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 KR101200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616A KR101200916B1 (ko) 2012-07-04 2012-07-04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616A KR101200916B1 (ko) 2012-07-04 2012-07-04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916B1 true KR101200916B1 (ko) 2012-11-13

Family

ID=4756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616A KR101200916B1 (ko) 2012-07-04 2012-07-04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9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357B1 (ko) 2013-05-11 2014-09-23 박병서 차량 충격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매립형 발전장치
CN109854470A (zh) * 2019-04-15 2019-06-07 西南交通大学 一种丝杠式道路能量采集机构
JP2023040029A (ja) * 2018-06-08 2023-03-22 株式会社リニア・サーキット 電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413B1 (ko) * 2010-05-20 2010-10-18 이석영 유성기어 및 일방향 클러치를 이용한 도로용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413B1 (ko) * 2010-05-20 2010-10-18 이석영 유성기어 및 일방향 클러치를 이용한 도로용 발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357B1 (ko) 2013-05-11 2014-09-23 박병서 차량 충격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매립형 발전장치
JP2023040029A (ja) * 2018-06-08 2023-03-22 株式会社リニア・サーキット 電源装置
JP7476452B2 (ja) 2018-06-08 2024-05-01 株式会社リニア・サーキット 電源装置
CN109854470A (zh) * 2019-04-15 2019-06-07 西南交通大学 一种丝杠式道路能量采集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255B1 (ko) 이동하중을 이용한 압전 발전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기 시스템
KR101200916B1 (ko) 압력식 도로용 발전장치
CN205117637U (zh) 一种基于道路减速带构成的发电装置
KR101538991B1 (ko) 차량 주행력을 이용한 도로 매립형 발전장치
KR101091097B1 (ko) 과속방지턱의 차량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CN102042179B (zh) 一种风叶可折叠、油阻调速和控制的垂直轴风力发电装置
CN201739109U (zh) 公路压力发电系统
CN103133289B (zh) 一种道路压力发电系统
KR20110037258A (ko) 도로용 발전장치
CN102797653B (zh) 陆用往复式多极蓄能发电方法及装置
CN105952600B (zh) 一种公路发电装置
KR101189716B1 (ko) 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CN102128146A (zh) 重力动能发电装置
CN107433875A (zh) 一种移动式电动汽车伸缩式太阳能充电装置
CN107841961A (zh) 一种道路能量采集型减速带机构
CN101634283A (zh) 利用汽车行驶时对路的移动压力来发电的方法及装置
CN201396254Y (zh) 路面发电装置
KR20090099117A (ko) 자동차 중력을 이용한 전력발전장치
KR101915909B1 (ko) 차량 통행을 이용한 매립형 발전장치
CN202520489U (zh) 路面机械式压力发电装置
CN102588236B (zh) 一种往复式碾压发电机及其应用方法
CN116061727A (zh) 一种太阳能充电桩
CN103410690A (zh) 一种路基液压式发电装置
CN106042966A (zh) 一种可调谐角度的光伏充电桩
KR20120122115A (ko) 과속방지부와 원심발전장치 및 과속방지부를 이용한 원심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