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849B1 -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관리 서버, 모바일 단말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관리 서버, 모바일 단말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849B1
KR101199849B1 KR1020120074452A KR20120074452A KR101199849B1 KR 101199849 B1 KR101199849 B1 KR 101199849B1 KR 1020120074452 A KR1020120074452 A KR 1020120074452A KR 20120074452 A KR20120074452 A KR 20120074452A KR 101199849 B1 KR101199849 B1 KR 101199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ub
mobile terminal
server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만
김용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랩
Priority to KR102012007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방법에 있어서, 상호간 원거리에 위치하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장치들에 대해 일정수의 모바일 단말장치들을 그룹으로 묶어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시킨 후, 서브 네트워크내 포함된 모바일 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상태, 하드웨어 상태를 비교하여 가장 상태가 우수한 모바일 단말장치를 해당 서브 네트워크의 리더인 서버로 지정하여 서브 네트워크의 운영 권한을 제공하고, 나머지 모바일 단말장치들로는 인증키를 제공하여 서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 서버를 통하지 않고 서브 네트워크 내에서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직접적인 연결을 통한 서브 네트워크 작업이 가능하여 네트워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관리 서버, 모바일 단말서버 및 방법{MANAGEMENT SERVER, MOBILE TERMINAL SERVER AND METHOD FOR SUPPORTING SUB-NETWORK BETWEEN MOBILE TERMINALS}
본 발명은 관리 서버(management server)를 이용한 단말 장치들간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호간 원거리에 위치하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모바일 단말장치들에 대해 일정수의 모바일 단말장치들을 그룹으로 묶어 서브 네트워크(sub-network)를 구성시킨 후, 서브 네트워크내 포함된 모바일 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상태, 하드웨어 상태를 비교하여 가장 상태가 우수한 모바일 단말장치를 해당 서브 네트워크의 리더(leader)인 서버(server)로 지정하여 서브 네트워크의 운영 권한을 제공하고, 나머지 모바일 단말장치들로는 인증키를 제공하여 서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 서버를 통하지 않고 서브 네트워크 내에서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직접적인 연결을 통한 서브 네트워크 작업이 가능하여 네트워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시스템, 관리 서버, 모바일 단말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선 품질이 우수한 유선 인터넷에 연결되어 데스크톱(desktop) 같은 개인용 PC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관리 서버에서 상호간 원거리에 위치한 PC들을 그룹으로 묶어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개인용 PC간 서브 네트워크의 구성은 회선 품질이 우수한 유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서버 역할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하드웨어 사양을 구비한 개인용 PC들 사이에서만 제안되어 왔을 뿐,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테블릿(tablet) PC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다양한 무선 통신기기 또는 임베디드(embedded)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은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한편, 최근 들어, 모바일 네트워크의 속도 및 안정성이 향상되고 있고, 모바일 단말장치의 성능 또한 서버 역할을 할 수 있을 만큼 향상되고 있으므로, 모바일 단말장치에 대해서도 서브 네트워크 기술을 구현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장치간 보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허문헌)
한국공개특허번호 제2002-0091791호(공개일자 2002년 12월 06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호간 원거리에 위치하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장치들에 대해 일정수의 모바일 단말장치들을 그룹으로 묶어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시킨 후, 서브 네트워크내 포함된 모바일 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상태, 하드웨어 상태를 비교하여 가장 상태가 우수한 모바일 단말장치를 해당 서브 네트워크의 리더인 서버로 지정하여 서브 네트워크의 운영 권한을 제공하고, 나머지 모바일 단말장치들로는 인증키를 제공하여 서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 서버를 통하지 않고 서브 네트워크 내에서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직접적인 연결을 통한 서브 네트워크 작업이 가능하여 네트워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시스템, 관리 서버, 모바일 단말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관리 서버로서,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모바일 단말장치로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의 생성, 목록 열람, 참여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한 로비화면을 제공하며,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한 2대 이상의 모바일 단말장치 중 하나를 해당 서브 네트워크의 서버로 지정하고, 나머지 모바일 단말장치로는 상기 서버로 지정된 모바일 단말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인증키를 제공하는 서버 제어부와, 상기 서버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서브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상기 인증키를 생성하는 인증키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 지정된 모바일 단말장치로 상기 서브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는 권한을 이관하여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이 상기 서버를 통해 독립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참여한 다수의 모바일 단말장치 중 상태 정보가 가장 우수한 모바일 단말장치를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서버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서버로 지정된 모바일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이루어진 작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간 이루어진 상기 작업에 대한 로그, 진행 내역,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서버로서,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의 구성및 관리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기설정된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하거나 새로운 서브 네트워크를 생성하며,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해당 서브 네트워크내 서버로 지정되는 경우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통신을 통한 작업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인증키를 확인하여 인증키가 확인된 모바일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들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이루어진 작업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간 이루어진 상기 작업에 대한 로그, 진행 내역,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방법으로서,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다수의 모바일 단말장치로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의 생성, 목록 열람, 참여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한 로비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로비화면에서 선택된 서브 네트워크에 해당 모바일 단말장치를 새로운 멤버로 참여시키는 단계와, 상기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한 2이상의 모바일 단말장치 중 하나를 해당 서브 네트워크의 서버로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로 상기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인증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 상기 서브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는 권한을 이관하여 상기 서브 네트워크 내에서 독립적으로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브 네트워크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서버로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참여한 다수의 모바일 단말장치에 대해 각 모바일 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와 하드웨어 상태 정보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상태 정보가 가장 우수한 모바일 단말장치를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서버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방법으로서,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단계와, 상기 참여한 서브 네트워크에서 서버로 지정되는 경우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통신을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 네트워크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작업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업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인증키를 확인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장치가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속한 단말장치인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키가 확인된 모바일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간 이루어진 상기 작업에 대한 로그, 진행 내역,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방법으로서,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단계와, 상기 참여한 서브 네트워크에서 서버로 지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서버로 지정된 모바일 단말장치로 상기 인증키를 전송하여 상기 서브 네트워크에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접속을 인증받아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시스템으로서,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모바일 단말장치들을 다수의 서브 네트워크로 구성하며, 각 서브 네트워크내 하나의 모바일 단말장치를 서버로 지정하고 나머지 모바일 단말장치로 인증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서브 네트워크내 서버로 지정되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권한을 이관받아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통신을 통한 작업을 관리하며, 상기 작업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각 서브 네트워크내 서버로 지정되지 않은 나머지 모바일 단말장치로는 각 서브 네트워크내 서버로 지정된 모바일 단말장치로 접속할 수 있는 인증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방법에 있어서, 상호간 원거리에 위치하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장치들에 대해 일정수의 모바일 단말장치들을 그룹으로 묶어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시킨 후, 서브 네트워크내 포함된 모바일 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상태, 하드웨어 상태를 비교하여 가장 상태가 우수한 모바일 단말장치를 해당 서브 네트워크의 리더인 서버로 지정하여 서브 네트워크의 운영 권한을 제공하고, 나머지 모바일 단말장치들로는 인증키를 제공하여 서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 서버를 통하지 않고 서브 네트워크 내에서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직접적인 연결을 통한 서브 네트워크 작업이 가능하여 네트워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진 작업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여 모바일 단말장치간 보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서버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을 위한 관리 서버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로비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을 위한 관리 서버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관리 서버(100)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모바일 단말장치들을 다수의 서브 네트워크(150, 160)로 구성하며, 각 서브 네트워크(150,160)내 하나의 모바일 단말장치를 모바일 단말 서버(110)로 지정하고, 서버로 지정되지 않은 나머지 모바일 단말장치(112,114)로 인증키를 제공하여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110,112,114)간 독립적인 통신을 통한 작업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관리 서버(100)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장치가 접속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의 생성, 목록 열람, 서브 네트워크 참여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로비 화면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100)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장치는 위와 같은 로비 화면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통해 서브 네트워크 그룹의 목록을 열람하고, 필요에 따라 새로운 서브 네트워크를 생성하거나, 기존에 생성된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서브 네트워크의 멤버가 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모바일 단말장치가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경우 관리 서버(100)는 해당 모바일 단말장치가 서브 네트워크를 생성하여 처음 참여한 경우에는 처음 참여한 모바일 단말장치를 해당 서브 네트워크의 리더인 모바일 단말서버(110)로 지정한다.
이어, 해당 서브 네트워크에 새로운 모바일 단말장치(112,114)가 들어오게 되는 경우 새로운 모바일 단말장치(112,114)가 참여한 것에 대한 이벤트가 관리 서버(100)로 전송되고, 관리 서버(100)는 새로 참여한 모바일 단말장치(112,114)의 데이터 전송속도 등과 같은 네트워크 상태(network status)와 CPU 클럭(clock), 가용 메모리, 리소스(resource) 사용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태(hardware status)를 확인하여 현재 해당 서브 네트워크의 모바일 단말 서버(110)와 서버 기능 적합성에 대해 비교한 후, 네트워크 상태와 하드웨어 상태 등이 더 우수한 모바일 단말장치를 서브 네트워크의 모바일 단말 서버(110)로 지정하는 방식으로 서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서브 네트워크(150)내 새로운 모바일 단말장치가 참여하는 경우 관리 서버(100)는 지속적으로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장치(110,112,114)의 네트워크 상태와 하드웨어 상태 등을 검사하여 상태가 가장 우수한 모바일 단말장치를 모바일 단말 서버(110)로 지정하게 된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서브 네트워크(150)내 서버로 지정되지 않은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112,114)에 대해서는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 서버(110)에 접속할 수 있는 인증키를 제공하여, 모바일 단말장치(112,114)가 인증키를 통해 모바일 단말 서버(110)에게 접속함으로써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장치들(110,112,114)과 통신을 통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작업이라함은,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장치들(110,112,114)이 관리 서버(100)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통신하여 수행하는 작업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채팅이 될 수도 있고, 게임이 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 서버(110)는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서브 네트워크(150)에 참여한 모바일 단말장치 중 관리 서버(100)에 의해 서브 네트워크(150)에서 서버 역할을 하도록 선택된 모바일 단말장치를 말한다.
즉, 모바일 단말 서버(110)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서브 네트워크(150)의 리더인 서버로 지정되는 경우 서브 네트워크 운영에 대한 권한을 이관받아 서브 네트워크(150)의 시작, 종료 등을 포함하는 서브 네트워크(150)의 전반적인 운영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모바일 단말서버(110)는 서브 네트워크(150)를 시작하는 경우 서브 네트워크(150)내 인증키가 제공된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들(112,114)로부터 인증키를 이용한 서브 네트워크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 그러면, 모바일 단말 서버(110)는 서브 네트워크의 접속을 요청한 모바일 단말장치(112,114)로부터의 인증키가 관리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정당한 인증키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인증키가 확인된 모바일 단말장치에 대해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장치들(112,114)과 통신을 통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접속을 허여한다.
이와 같은 인증 작업 완료 후, 서브 네트워크(150)에서는 관리 서버(100)와 독립적으로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 서버(110)의 제어에 따라 서브 네트워크(150)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장치들(110,112,114)간 통신을 통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작업은 예를 들어, 채팅 또는 게임 등이 될 수 있는데, 모바일 단말 서버(110)는 서브 네트워크(150)가 종료되는 경우 서브 네트워크(150) 내에서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장치들(110,112,114)간 작업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여 저장시킨다. 이때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장치들(110,112,114)간 이루어진 작업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작업에 대한 로그 및 진행 내역 정보 또는 작업 결과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서브 네트워크(150)의 작업이 종료되는 경우 서브 네트워크(150)의 서버인 모바일 단말서버(110)와 구성원인 모바일 단말장치(112,114)는 서브 네트워크(150) 연결을 종료하고 관리 서버(100)로 접속하여 다시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로, 관리 서버(100)는 통신부(200), 메모리부(202), 서버 제어부(204), 저장부(206)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200)는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모바일 단말장치(110,112,114)와 통신을 수행하고, 모바일 단말장치(110,112,114)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서버 제어부(204)로 전송한다.
메모리부(202)는 서버 제어부(204)에서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인증키 생성부(205)는 서버 제어부(204)의 제어에 따라 서브 네트워크(150)내 서버로 지정되지 않은 나머지 모바일 단말장치(112,114)가 해당 서브 네트워크(15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한 인증키를 생성한다.
저장부(206)는 관리 서버(100)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으로, 관리 서버(100)에 등록한 모바일 단말장치(110,112,114)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208)와, 서브 네트워크(150)에서 수행된 작업의 결과를 저장하는 서브 네트워크 작업 DB(210) 등을 포함한다.
서버 제어부(204)는 통신부(200)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모바일 단말장치(110,112,114)로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의 생성, 목록 열람, 참여가 가능한 로비화면을 제공하며,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한 2이상의 모바일 단말장치 중 하나를 해당 서브 네트워크(150)의 모바일 단말 서버(110)로 지정하고, 나머지 모바일 단말장치(112,114)로는 모바일 단말 서버(110)에 접속할 수 있는 인증키를 제공하여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장치들(110,112,114)간 독립적인 통신을 통한 작업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서버 제어부(204)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장치(110,112,114)가 접속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의 생성, 목록 열람, 서브 네트워크 참여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로비 화면을 제공하고, 모바일 단말장치가 선택한 서브 네트워크에 해당 모바일 단말장치를 새로운 멤버로 참여시킨다.
이때, 서버 제어부(204)는 모바일 단말장치가 서브 네트워크를 생성하여 처음 참여한 경우에는 처음 참여한 모바일 단말장치를 서브 네트워크의 모바일 단말 서버로 지정하고, 기존에 존재하였던 서브 네트워크에 새로운 멤버로 참여한 경우에는 해당 서브 네트워크내 서버로 지정된 모바일 단말장치와의 네트워크 상태, 하드웨어 상태를 비교하여 상태 정보가 더 우수한 모바일 단말장치를 해당 서브 네트워크의 모바일 단말 서버로 지정한다. 이에 따라 서브 네트워크가 시작되기 전까지 서브 네트워크(150,160)의 모바일 단말서버(110)는 네트워크 상태, 하드웨어 상태가 더 우수한 모바일 단말장치로 계속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204)는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 서버(110)로 지정되지 않은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112,114)에 대해서는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 서버(110)에 접속할 수 있는 인증키를 제공하여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장치들(110,112,114)간 통신을 통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작업이라함은,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장치(110,112,114)이 관리 서버(100)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통신을 하여 수행하는 작업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채팅이 될 수도 있고, 게임이 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서버(110)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 서버(110)는 휴대폰,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장치 중 관리 서버(100)에 의해 서브 네트워크(150)의 서버로 선택된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바일 단말장치가 모바일 단말서버(110)로 선택되는 경우의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RF부(300)는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하며,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망으로부터의 음성 및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선통신 대역 주파수에서 1차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다시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는 중간주파수 처리와, 이를 다시 제어부(310)에서 처리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처리한다.
오디오부(302)는 제어부(31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K)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키입력부(304)는 키패드(keypad)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으로 구현되며,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상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310)로 출력한다.
표시부(306)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단말서버(110)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키입력부(308)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310)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표시부(306)는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단말서버(110)가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는 경우 관리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로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의 생성, 목록 열람, 참여 등에 대한 선택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310)는 메모리부(308)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모바일 단말 서버(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관리 서버(100)로부터 서브 네트워크(150)의 리더인 서버로 지정되는 경우 서브 네트워크(150) 운영에 대한 권한을 이관받아 서브 네트워크(150)의 시작, 종료 등을 포함하는 서브 네트워크(150)의 전반적인 운영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모바일 단말서버(110)의 제어부(310)는 서브 네트워크(150)를 시작하는 경우 서브 네트워크(150)내 인증키가 제공된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들(112,114)로부터 인증키를 이용한 서브 네트워크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인증키를 확인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장치(112,114)에 대한 서브 네트워크 접속 허여를 결정한다.
이어, 서브 네트워크(150)에 참여할 모바일 단말장치(112,114)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제어부(310)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서브 네트워크(150)의 운영에 대한 권한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서브 네트워크(150)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장치(112,114)간 통신을 통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작업은 예를 들어, 채팅 또는 게임 등이 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 서버(110)의 제어부(310)는 서브 네트워크(150)가 종료되는 경우 서브 네트워크(150) 내에서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장치들(110,112,114)간 작업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여 저장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관리 서버(100)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장치(110,112,114)가 접속하는 경우(S400),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의 생성, 목록 열람, 서브 네트워크 참여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로비 화면을 제공한다(S40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비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관리 서버(100)내 생성된 서브 네트워크의 목록을 볼 수 있는 서브 네트워크 목록(500)과, 각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선택 가능한 참여 버튼(502), 또한 새로운 서브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서브 네트워크 생성 버튼(504)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100)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장치(110,112,114)는 위와 같은 로비 화면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통해 서브 네트워크 그룹의 목록을 열람하고, 필요에 따라 새로운 서브 네트워크를 생성하거나, 기존에 생성된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서브 네트워크(150)의 멤버가 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장치(110)가 로비 화면에서 서브 네트워크 목록상 존재하는 특정 서브 네트워크(150)에 참여하고자 참여 버튼(502)을 입력하는 경우(S404), 관리 서버(100)는 모바일 단말장치(114)가 선택한 서브 네트워크(150)에 해당 모바일 단말장치(110)를 새로운 멤버로 참여시킨다(S406).
이어, 관리 서버(100)는 위와 같이 기존 서브 네트워크(150)에 새로운 모바일 단말장치(110)가 참여하게 되는 경우 새로 참여한 모바일 단말장치(110)의 데이터 전송속도 등과 같은 네트워크 상태와 CPU 클럭, 가용 메모리, 리소스 사용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태를 확인하여 현재 해당 서브 네트워크(150)의 서버로 지정된 모바일 단말서버와 서버 기능 적합성에 대해 비교한 후(S408), 네트워크 상태와 하드웨어 상태 등이 더 우수한 경우 새로운 모바일 단말장치(110)를 해당 서브 네트워크(150)의 모바일 단말 서버(110)로 지정하여 서버를 변경시킨다(S410).
이와 같은 방법으로 관리 서버(100)는 서브 네트워크내 새로운 모바일 단말장치가 참여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상태와 하드웨어 상태 등을 검사하여 상태가 가장 우수한 모바일 단말장치를 서버로 지정하게 된다.
이어, 관리 서버(100)는 서브 네트워크(150)내 서버로 지정된 모바일 단말서버(110)로 해당 서브 네트워크(150)의 운영에 대한 권한을 이관시켜 서브 네트워크(150)내에서는 모바일 단말 서버(110)에 의해 독립적으로 네트워크의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다(S412).
또한, 관리 서버(100)는 서브 네트워크(150)내 서버로 지정되지 않은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112,114)에 대해서는 서브 네트워크(150)내 서버로 지정된 모바일 단말 서버(110)에 접속할 수 있는 인증키를 제공하여(S414), 모바일 단말장치(112,114)가 인증키를 통해 모바일 단말 서버(110)에게 접속함으로써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장치들(110,112,114)과 통신을 통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작업이라함은,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장치들(110,112,114)이 관리 서버(100)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통신을 하여 수행하는 작업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채팅이 될 수도 있고, 게임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브 네트워크(150)는 서버로 지정된 모바일 단말장치 즉, 모바일 단말서버(110)에 의해 독립적으로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장치들(110,112,114)간 작업이 수행되게 되며, 모바일 단말서버(110)는 서브 네트워크(150)가 종료되는 경우(S416) 서브 네트워크(150)에서 이루어진 작업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관리 서버(100)는 해당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서버(110)로부터 서브 네트워크(150)에서 이루어진 작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S418), 이를 저장부(206)내 서브 네트워크 작업 DB(210)에 저장시킨다(S420).
한편, (S402)단계의 로비 화면에서 모바일 단말장치(120)가 로비 화면에서 서브 네트워크 생성 버튼(504)을 입력하여 서브 네트워크(160)의 생성을 요청하는 경우(S422), 관리 서버(100)는 모바일 단말장치(120)에 의해 요청된 새로운 서브 네트워크(160)를 생성하고, 해당 모바일 단말장치(120)를 새로이 생성한 서브 네트워크(160)에 참여시킨다(S424).
이어, 관리 서버(100)는 새로운 서브 네트워크(160)에 처음 참여한 모바일 단말장치(120)를 해당 서브 네트워크(160)의 모바일 단말 서버(120)로 지정한다(S426).
이와 같이, 새로운 서브 네트워크(160)가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서브 네트워크(160)는 서브 네트워크 목록(500)에 표시되며, 이에 따라 새로운 모바일 단말장치(122,124)가 참여할 수 있다. 이때 만일 새로이 생성된 서브 네트워크(160)에 새로운 모바일 단말장치(122,124)가 참여하는 경우(S428) 관리 서버(100)는 (S408) (S420)단계를 진행하면서 2이상이 참여한 서브 네트워크에 대한 서버 지정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100)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장치들 중 서브 네트워크의 서버로 지정되는 모바일 단말 서버(110)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모바일 단말 서버(110)는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100)에 처음 접속하는 경우(S600) 모바일 단말장치 중 하나로 접속을 수행하며, 관리 서버(100)로부터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의 생성, 목록 열람, 서브 네트워크 참여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로비 화면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 서버(110)는 위와 같은 로비 화면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통해 서브 네트워크의 목록을 열람하고, 필요에 따라 새로운 서브 네트워크를 생성하거나, 기존에 생성된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서브 네트워크의 멤버가 될 수 있다(S602).
이때, 모바일 단말 서버(110)는 참여한 서브 네트워크(150)내에서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들과의 네트워크 상태, 하드웨어 상태 등의 비교를 통해 관리 서버(100)에 의해 서버로 지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100)에 의해 해당 서브 네트워크(150)에서 서버로 지정되는 경우(S604) 모바일 단말 서버(110)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자신이 참여한 서브 네트워크(150)의 운영에 대한 권한을 수신받아(S606), 서브 네트워크(150)의 시작, 종료 등을 포함하는 서브 네트워크(150)의 전반적인 운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서브 네트워크(150)에 적정한 수의 모바일 단말장치(112,114)가 참여하여 서브 네트워크(150)를 시작하고자 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 서버(110)는 서브 네트워크(150)내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들(112,114)로 서브 네트워크(150)의 시작 신호를 전송한다(S608).
이에 따라, 서브 네트워크(150)내 서버로 지정되지 않은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들(112,114)은 관리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키를 이용하여 서브 네트워크(150)의 모바일 단말 서버(110)로 접속을 요청하게 된다.
그러면, 모바일 단말서버(110)는 서브 네트워크(150)내 인증키가 제공된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들(112,114)로부터 인증키를 이용한 서브 네트워크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S610), 서브 네트워크(150)의 접속을 요청한 모바일 단말장치(112,114)로부터의 인증키가 관리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정당한 인증키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정당한 인증키를 전송한 모바일 단말장치(112,114)에 대해 접속을 허여한다(S612).
이어, 모바일 단말서버(110)는 인증키가 확인된 모바일 단말장치들(112,114)에 대해 서브 네트워크(150) 내에서 관리 서버(100)를 통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S614), 서브 네트워크(150) 내에서 모바일 단말장치들(110,112,114)간 통신을 통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이와 같은 작업은 예를 들어, 채팅 또는 게임 등이 될 수 있다.
이어, 모바일 단말 서버(110)는 서브 네트워크(150)가 종료되는 경우(S616) 서브 네트워크(150) 내에서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장치들(110,112,114)간 작업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여 저장시킨다(S618). 이때 서브 네트워크(150)내 모바일 단말장치들(110,112,114)간 이루어진 작업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작업에 대한 로그 및 진행 내역 정보 또는 작업 결과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 네트워크(150)의 작업이 종료되는 경우 서브 네트워크(150)의 서버인 모바일 단말 서버(110)와 구성원인 모바일 단말장치들(112,114)은 서브 네트워크 연결을 종료하고 관리 서버(100)로 접속하여 다시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방법에 있어서, 상호간 원거리에 위치하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장치들에 대해 일정수의 모바일 단말장치들을 그룹으로 묶어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시킨 후, 서브 네트워크내 포함된 모바일 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상태, 하드웨어 상태를 비교하여 가장 상태가 우수한 모바일 단말장치를 해당 서브 네트워크의 리더인 서버로 지정하여 서브 네트워크의 운영 권한을 제공하고, 나머지 모바일 단말장치들로는 인증키를 제공하여 서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 서버를 통하지 않고 서브 네트워크 내에서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직접적인 연결을 통한 서브 네트워크 작업이 가능하여 네트워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장치만으로 서브 네트워크가 구성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개인용 PC, 노트북 등의 단말장치만으로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모바일 단말장치와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단말장치를 함께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이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100 : 관리 서버 150 : 서브 네트워크
110 : 모바일 단말서버 112, 114 : 모바일 단말장치

Claims (18)

  1.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모바일 단말장치로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의 생성, 목록 열람, 참여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한 로비화면을 제공하며,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한 2대 이상의 모바일 단말장치 중 하나를 해당 서브 네트워크의 서버로 지정하고, 나머지 모바일 단말장치로는 상기 서버로 지정된 모바일 단말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인증키를 제공하는 서버 제어부와,
    상기 서버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서브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상기 인증키를 생성하는 인증키 생성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관리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 지정된 모바일 단말장치로 상기 서브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는 권한을 이관하여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이 상기 서버를 통해 독립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관리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참여한 다수의 모바일 단말장치 중 상태 정보가 가장 우수한 모바일 단말장치를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서버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관리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서버로 지정된 모바일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이루어진 작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관리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간 이루어진 상기 작업에 대한 로그, 진행 내역,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관리 서버.
  6.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의 구성 및 관리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기설정된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하거나 새로운 서브 네트워크를 생성하며,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해당 서브 네트워크내 서버로 지정되는 경우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통신을 통한 작업을 관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인증키를 확인하여 인증키가 확인된 모바일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들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서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이루어진 작업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간 이루어진 상기 작업에 대한 로그, 진행 내역,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서버.
  10.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다수의 모바일 단말장치로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의 생성, 목록 열람, 참여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한 로비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로비화면에서 선택된 서브 네트워크에 해당 모바일 단말장치를 새로운 멤버로 참여시키는 단계와,
    상기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한 2이상의 모바일 단말장치 중 하나를 해당 서브 네트워크의 서버로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로 상기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인증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 상기 서브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는 권한을 이관하여 상기 서브 네트워크 내에서 독립적으로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네트워크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서버로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참여한 다수의 모바일 단말장치에 대해 각 모바일 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와 하드웨어 상태 정보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상태 정보가 가장 우수한 모바일 단말장치를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서버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방법.
  13.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단계와,
    상기 참여한 서브 네트워크에서 서버로 지정되는 경우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통신을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 네트워크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작업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다른 모바일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인증키를 확인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장치가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속한 단말장치인지를 검사하는단계와,
    상기 인증키가 확인된 모바일 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간 이루어진 상기 작업에 대한 로그, 진행 내역,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방법.
  16.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단계와,
    상기 참여한 서브 네트워크에서 서버로 지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서버로 지정된 모바일 단말장치로 상기 인증키를 전송하여 상기 서브 네트워크에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접속을 인증받아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방법.
  17.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모바일 단말장치들을 다수의 서브 네트워크로 구성하며, 각 서브 네트워크내 하나의 모바일 단말장치를 서버로 지정하고 나머지 모바일 단말장치로 인증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서브 네트워크내 서버로 지정되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권한을 이관받아 상기 서브 네트워크내 모바일 단말장치들간 통신을 통한 작업을 관리하며, 상기 작업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 서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각 서브 네트워크내 서버로 지정되지 않은 나머지 모바일 단말장치로는 각 서브 네트워크내 서버로 지정된 모바일 단말장치로 접속할 수 있는 인증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시스템.
KR1020120074452A 2012-07-09 2012-07-09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관리 서버, 모바일 단말서버 및 방법 KR101199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452A KR101199849B1 (ko) 2012-07-09 2012-07-09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관리 서버, 모바일 단말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452A KR101199849B1 (ko) 2012-07-09 2012-07-09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관리 서버, 모바일 단말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9849B1 true KR101199849B1 (ko) 2012-11-09

Family

ID=47564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452A KR101199849B1 (ko) 2012-07-09 2012-07-09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관리 서버, 모바일 단말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5961A (zh) * 2021-03-02 2022-09-20 西门子股份公司 在自动化设施的通信网络中对设备的认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5961A (zh) * 2021-03-02 2022-09-20 西门子股份公司 在自动化设施的通信网络中对设备的认证
CN115085961B (zh) * 2021-03-02 2024-04-19 西门子股份公司 在自动化设施的通信网络中对设备的认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7668B2 (en) Authentication method, system and equipment
EP3148225B1 (en) Bluetooth connection-based audio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JP6207794B2 (ja) スマート・アプライアンスの管理アカウント設定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70373869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specified communications service, and terminal
JP6251481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ipアドレス割当方法及び装置
CN106796626B (zh) 共享会话技术
CN105393490B (zh) 用于安全服务的基于介质的认证和授权的方法、系统及介质
US11330065B2 (en) Application connection for devices in a network
EP2837220B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ink between portable terminals
KR20110042711A (ko) 개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082093A (ko) 컨텐트 라이센싱을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장치
CN109257793B (zh) 网络连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664699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6063307B (zh) 对优先访问信道的优先访问
CN105072537A (zh) 一种基于蓝牙连接的音频播放方法及装置
CN104539571B (zh) 信息交互方法、身份鉴权方法、服务器及终端
CN113556715A (zh) 设备连接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介质和电子设备
WO2017040346A1 (en) A dock for extending the utility of an electronic device
KR101199849B1 (ko) 모바일 단말간 서브 네트워크 지원 관리 서버, 모바일 단말서버 및 방법
US90716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losing personal network information in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CN108462801B (zh) 一种获取流媒体数据的方法、装置及系统
JP2023110881A (ja) IoTデバイスの安全な連結のためのデバイス証明書生成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261539B1 (ko)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애플리케이션 수행 방법
CN116821911A (zh) 账号登录方法和相关装置
CN105659643A (zh) 用于管理利用多个标识简档的通信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