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330B1 - method for displaying position of vehicle considering lane in navig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splaying position of vehicle considering lane in navig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330B1
KR101199330B1 KR1020100084546A KR20100084546A KR101199330B1 KR 101199330 B1 KR101199330 B1 KR 101199330B1 KR 1020100084546 A KR1020100084546 A KR 1020100084546A KR 20100084546 A KR20100084546 A KR 20100084546A KR 101199330 B1 KR101199330 B1 KR 101199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nk
road
coordinate information
sh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5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20734A (en
Inventor
김정행
Original Assignee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330B1/en
Publication of KR2012002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7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3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제품의 기능성과 품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은 GPS를 통한 차량의 좌표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링크의 좌표에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가 상행선 및 하행선을 모두 포함한 양방향링크인지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가 양방향링크인 경우에, 상기 매칭된 도로링크의 정보를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제3단계;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도로링크에 대응되는 쉬프트링크를 연산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쉬프트링크 상에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에 대응되는 자차커서의 위치를 연산하고, 연산된 위치에 상기 자차커서를 출력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and quality of the produ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GP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tches the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stored in the map database step; Determining whether the road link matched wit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a bidirectional link including both an uplink and a downline; A third step of extracting information of the matched road link from a map database when the road link to whic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matched is a bidirectional link; Calculating a shift link corresponding to the road link based on vertex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to whic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matched; And a fifth step of calculating a position of the own vehicle cursor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n the shift link, and outputting the own vehicle cursor to the calculated position. to provide.

Description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method for displaying position of vehicle considering lane in navigation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position of vehicle considering lane in navig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량위치 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도로링크에 매칭된 위치정보와 차선의 정보를 이용하여 자차커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ositioning method of a navig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determining a position of a host car cursor using loc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a road link of a navigation device and lane information.

일반적으로, 선박, 항공기, 자동차 등 각종 이동체들에는 해당 이동체의 현재 위치와 이동 속도를 확인하거나 이동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가 탑재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System)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장치는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 등을 나타내는 전파를 수신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연산한 후 현재 위치가 포함된 지도 정보를 운전자에게 출력시켜 준다. In general, navigation systems in which various types of moving objects such as ships, aircrafts, automobiles, etc. are equipped with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for checking the current position and mov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or determining a moving path. Is being used. The navigation device receives radio waves representing latitude, longitude, altitude, etc.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calculat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n outputs map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 position to the driver.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의 진행 방향, 목적지까지의 거리, 차량의 현재 이동 속도 등을 출력하여 주는 등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더욱이,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수신기를 이용하여 지구상에 떠있는 GPS 위성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한다. In addition, the navigation device provides the user with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such as outputt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the current mo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like. Moreover, the navigation device receives the predetermined data from the GPS satellite floating on the earth using the receiver, and calculates its position based on the received data.

구체적으로, 지구상에는 다수의 GPS 위성이 떠 있는데, 차량 등의 운송 장치는 지구상의 어느 지역에 있던지 3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3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는 이렇게 계산된 자신의 위치정보(위도 및 경도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주행 정보를 상기 차량 등의 운송 장치에 제공한다. Specifically,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are floating on the earth, and a vehicle, such as a vehicle, may receive GPS signals from three GPS satellites in any region of the earth, and are based on the GPS signals received from the three GPS satellites. Will be able to calculate their position. Therefore, the navigation device provides various driving information to a transportation device such as the vehicle based on its position information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calculated in this way.

그리고,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는 기존에는 항공기나 선박 등 대형 이동체의 위치 계산과 항법에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자동차 등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더욱이,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는 운송 장치의 현재 위치, 운송 장치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도로 정보와 관련된 지도 정보, 교통 상황 정보 등 매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In the past, the navigation device was mainly used for calculating and navigating the position of a large moving object such as an aircraft or a ship. In addition, the navigation device provides the user with a wide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ransport device, route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ransport device to the destination, map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road information, and traffic condition information.

상세히, 이러한 내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에 탑재된 방위 센서와 거리 센서에 의해 차량의 주행 궤적을 구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구한 다음, 차량의 주행 궤적과 디지털 수치 지도 상의 도로 형상을 비교하고 통과 도로를 판정하여 디지털 수치 지도상에 차량의 위치를 맵 매칭시키고, 맵 매칭시킨 차량의 위치를 모니터와 같은 화면에 출력해 주는 시스템이다. In detail, such a navigation device obtains the driving trajectory of the vehicle by using the orientation sensor and the distance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obtain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compares the driving trajectory of the vehicle with the road shape on the digital numerical map, and determines the passing road. It is a system that maps the location of the vehicle on the digital numerical map and outputs the location of the map-matched vehicle on a screen such as a monitor.

또한, 최근에는 네비게이션 장치에 3D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건물이나 도로 등의 구조물의 3차원 이미지를 렌더링하여 지도상의 해당 장소에 배치하고, 3차원 지도로서 유도 정보를 제시하는 시스템도 널리 보급되어 있다. In recent years, by utilizing 3D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for navigation devices, a system for rendering 3D images of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and roads, placing them in a corresponding place on a map, and presenting guidance information as 3D maps has been widely used. have.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자차커서의 위치를 출력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has the following problems when outputting the position of the host vehicle cursor of the navigation device.

첫째, 2D 및 3D 기술에서 자차커서의 위치는 항상 현재 매칭된 도로링크에 출력되었다. 이로 인해, 지도에 출력되는 도로의 폭을 고려하지 않고 자차커서의 위치가 결정이 된다. 예를 들어, 도로링크가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형성이 되어 있다면, 자차커서는 중앙선을 따라 주행을 하게 된다. 이는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3D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디테일하고 실제와 비슷한 지형, 도로 및 차선 등의 배경과 이질감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First, in 2D and 3D technology, the position of the host car cursor is always output to the currently matched roadlink. For this reason, the position of the host car cursor is determined without considering the width of the road output on the map. For example, if the road link is formed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road, the own car cursor will travel along the center line. This has a problem that the background and heterogeneity of the detailed and realistic terrain, roads and lanes of the 3D navigation system that is being developed recently.

둘째, 지도에 출력되는 배경 및 차선의 이질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GPS 좌표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 위치를 파악하여 세밀하게 자차커서의 위치를 표시하더라도 GPS 좌표의 미세한 오차가 생길 수도 있어 도로 상의 자차커서의 이동이 자연스럽게 출력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Second, in order to solve the heterogeneity of the background and lane output on the map, even i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is grasped using GPS coordinates and the position of the own vehicle cursor is displayed in detail, a slight error of the GPS coordinate may occur. Problems may occur in which movement is not output naturally.

셋째, 종래의 기술에서 자차커서가 위치하는 도로링크는 차량이 실제 주행 중인 도로 및 차선과는 일치하지 않는 형태로 데이터가 구성된다. 이로 인해,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에 오차가 생겨 안전운전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ird, in the related art, the road link in which the own vehicle cursor is located is composed of data in a form inconsistent with the road and lane in which the vehicle is actually driving. As a result, an error occurs in th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driver, which may interfere with safe driv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링크에 매칭된 차량의 위치정보 및 차선의 정보를 이용하여 자차커서의 위치를 실제 도로상에 주행하는 차선에 일치시켜 현실성이 향상되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tched with the road link and the information of the lane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own car cursor to the lane driving on the actual road to improve the realistic The problem is to provide a vehicle positioning method considering the lanes.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GPS를 통한 차량의 좌표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링크의 좌표에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가 상행선 및 하행선을 모두 포함한 양방향링크인지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가 양방향링크인 경우에, 상기 매칭된 도로링크의 정보를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제3단계;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도로링크에 대응되는 쉬프트링크를 연산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쉬프트링크 상에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에 대응되는 자차커서의 위치를 연산하고, 연산된 위치에 상기 자차커서를 출력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detect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GPS, and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tches the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stored in the map database; Determining whether the road link matched wit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a bidirectional link including both an uplink and a downline; A third step of extracting information of the matched road link from a map database when the road link to whic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matched is a bidirectional link; Calculating a shift link corresponding to the road link based on vertex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to whic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matched; And a fifth step of calculating a position of the own vehicle cursor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n the shift link, and outputting the own vehicle cursor to the calculated position. to provide.

여기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매칭된 당해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당해 도로링크의 이전 및 이후 도로링크에 해당하는 버텍스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당해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로부터 산출된 수선과 상기 버텍스 좌표에 대한 이전 및 이후 도로링크를 기준으로 한 수선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연산조건으로 상기 쉬프트링크의 버텍스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The fourth step may include extracting vertex coordinates of the matched road link, extracting vertex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a road link before and after the road link, and vertex of the road link.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shift link under a predetermined operation condition using the waterline calculated from the coordinates and the waterline based on the road links before and after the vertex coordinates.

또한, 상기 쉬프트링크는,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와 상기 당해 도로링크의 차선정보를 기설정된 분할조건에 따라 반영하여 거리가 연산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hift link, the distance is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ane information of the road link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rtitioning condition.

그리고, 상기 쉬프트링크의 버텍스 좌표를 산출하는 기설정된 연산조건은, 상기 당해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로부터 산출된 수직벡터와 상기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에 대한 이전 및 이후 도로링크를 기준으로 한 수직벡터의 합벡터로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t operation condition for calculating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shift link may include a vertical vector calculated from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and a vertical vector based on before and after road links with respect to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It is preferable to compute the sum vector.

나아가, 상기 쉬프트링크의 최종 위치는, 상기 기설정된 분할조건에 따라 연산된 상기 쉬프트링크와 상기 기설정된 연산조건에 따라 연산된 합벡터의 교점을 상기 쉬프트링크의 버텍스 좌표로 설정하여 연산됨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final position of the shift link may be calculated by setting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shift link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reset division condition and the sum vector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reset operation condition as vertex coordinates of the shift link. Do.

더욱이,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쉬프트링크 상에 위치하는 자차커서는, 상기 매칭된 도로링크 상의 차량 위치좌표의 비율과 대응되는 곳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the fifth step, the host vehicle cursor located on the shift link is preferably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tio of the vehicle position coordinates on the matched road link.

또한, 상기 제1 및 2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링크의 좌표에 기설정된 범위조건으로 포함되어 매칭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가 양방향링크가 아닌 경우, 상기 자차커서를 지도상의 상기 매칭된 도로링크에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the first and second steps, when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not matched by being included as a preset range condition in the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stored in the map database, and the road link to whic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matched is bidirectional. If it is not a link, it is preferable to output the host car cursor to the matched road link on the map.

그리고, GPS 위성으로부터 차량의 좌표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를 지도상에 출력하기 위한 도로링크 및 차선의 정보가 저장된 지도 데이터베이스;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 및 차선의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링크가 쉬프트되는 거리와 쉬프트링크 상의 자차커서를 상기 도로링크에 상기 차량이 위치하는 비율에 대응하는 위치로 연산하는 쉬프트연산부;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 및 상기 도로링크의 이전 및 이후의 도로링크에 해당하는 버텍스 좌표 정보가 추출되어 저장되는 쉬프트메모리; 및 상기 쉬프트된 도로링크 상의 자차커서를 차량이 실제 도로상에서 주행하는 차선에 일치시켜 지도상에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제공한다. And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GPS satellites; A map database storing road links and lane information for outputt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n a map; The vehicle is located on the road link by the distance where the road link is shifted and the own vehicle cursor on the shift link using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to whic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matched according to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ane information. A shif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tio; A shift memory for extracting and storing vertex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road links match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road links before and after the road links; And a display unit which is displayed on a map by matching a host car cursor on the shifted road link with a lane on which a vehicle actually travels on a road.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vehicle positioning method considering the lane of the navig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은 자차커서를 차량이 실제 도로상에서 주행하는 도로의 폭을 고려하여 지도상의 도로에 일치하도록 출력됨으로써, 상기 네비게이션의 3D 기술에 있어서 고급화된 기술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좋은 시인성과 현실성 있는 지도가 출력되므로 제품의 품질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First, the vehicle positioning method considering the lanes of the navigation device is output so that the own vehicle cursor is matched with the road on the map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actually runs on the road, thereby improving the advanced technology in the 3D technology of the navigation. to provide. As a result, a good visibility and a realistic map is output, so that the quality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둘째,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은 자차커서를 해당 차선으로 쉬프트함에 있어서,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 및 도로 폭 등의 차선정보를 이용하여 연산한다. 그러므로, 자차커서가 쉬프트된 링크상에 안정감 있게 출력되며, 불필요한 연산이 최소화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연산처리 속도를 개선하여 그에 따라 성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Second, the vehicle positioning method considering the lane of the navigation device is calculated by using lane information such as vertex coordinates and road width of the road link in shifting the own vehicle cursor to the corresponding lane. Therefore, the host vehicle cursor is stably output on the shifted link, and unnecessary operations are minimized, thereby improving the processing speed of the navigation device, and thus performanc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셋째,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의 자차커서는, 실제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에 일치된 지도상의 도로에 출력된다. 이로 인해,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에 오차를 줄여 운전자의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Third, the own vehicle cursor of the vehicle positioning method considering the lane of the navigation device is output on the road on the map that matches the road on which the actual vehicle is traveling. As a result, the safety of the driver may be remarkably improved by reducing an error in th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driv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을 나타낸 전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쉬프트링크 및 자차커서 위치의 연산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쉬프트링크 및 자차커서 위치의 연산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차커서가 출력된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개략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verall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position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a lane of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hift link and the host cursor posi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hift link and the host cursor posi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isplay unit of a navigation device outputs a host vehicle cur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vehicle position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lane of the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네비게이션 장치(10)는 GPS 수신부(1), 키입력부(3), 음성출력부(5), 디스플레이부(7), 제어부(9), 지도 데이터베이스(11), 쉬프트연산부(13) 및 쉬프트메모리(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the navigation device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receiver 1, a key input unit 3, a voice output unit 5, a display unit 7, a controller 9, and a map database. (11), the shift calculating section 13 and the shift memory 15 are included.

여기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거나 혹은 목적지까지 길을 안내해주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10)는 크게 상기 GPS 수신부(1)를 통하여 들어온 정보를 사용하는 방식과 이동 통신회사에서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중계기를 통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서비스하는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대부분 상기 GPS 수신부(1)를 이용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10)가 차량에 장착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및 목적지에 대한 상세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Here, the navigation device 10 refers to a device that informs the user's current location or guides the way to a destination. The navigation device 10 may be classified into a method of us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GPS receiver 1 and a method of calculating and serving a current location through repeaters installed throughout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In most cases, a method using the GPS receiver 1 is adopted. Therefore, as the navigation device 10 is mounted on the vehicle, the user may receiv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a destination.

상세히, 상기 GPS 수신부(1)는 다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위치정보들로부터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10)가 장착된 차량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GPS 수신부(1)를 통하여 들어온 정보는 위도와 경도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해놓은 지도와 대입시켜 사용자는 지도를 통해서 아주 쉽게 현재의 위치를 오차범위 이내에서 파악할 수 있다.In detail, the GPS receiver 1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and detect a location of a vehicle equipped with the navigation device 10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GPS receiver 1 is substituted with a map calibrated with latitude and longitud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urrent position within the error range through the map.

따라서, 상기 GPS 위성이 송신한 GPS 신호를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GPS 위성에서 신호를 받는다면 삼각 측량에 의한 방법에 의해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오차범위 이내에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GPS 수신부(1)는 다수의 GPS 위성들로부터 송신되는 각각의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7) 상에 나타난다.  Therefore, when the GPS signal transmitted by the GPS satellite is received by, for example, three or more GPS satellit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can be grasped within an error range by a triangulation method. In addition, the GPS receiver 1 receives respective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and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

더욱이, 상기 위도정보 및 경도정보가 모두 포함된 맵정보와 도로링크 및 도로 폭 등의 차선 정보는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맵정보는 맵 상에 포함되는 각종 도로 및 주요지점이 이에 해당하는 위도 및 경도 상의 좌표에 맞게 세밀하게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map information including both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and lane information such as road links and road widths are stored in the map database 11. For example, the map information may be made by including various roads and main points included in the map in detail according to coordinates of latitude and longitude corresponding thereto.

한편,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 도로링크의 정보 및 도로 폭 등의 차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쉬프트연산부(13)는 자차커서의 위치를 연산하기 위해 현재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에 해당하는 쉬프트링크의 거리 및 위치를 연산한다. On the other hand, using the road link information such as road link information and road width stored in the map database 11, the shift calculation unit 13 to the road link matched wit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urrent vehicle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own vehicle cursor Compute the distance and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shift link.

상세히, 상기 쉬프트연산부(13)는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링크가 쉬프트되는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쉬프트링크 상의 자차커서의 위치를 상기 도로링크에 상기 차량이 위치하는 비율에 대응하는 곳으로 연산한다. 여기서, 상기 자차커서는, 주행 중인 차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조그마한 그림 및 기호로 만들어 출력한 아이콘(icon)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shift operation unit 13 calculates a distance at which the road link is shifted using vertex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to whic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matched, and transmits the position of the own vehicle cursor on the road link to the road link. Calculate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te at which the vehicle is located.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st car cursor is understood as an icon which is output by making a small picture and a symbol into a vehicle on the display.

또한, 상기 도로링크는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 도로링크 및 차선의 정보에 해당되는 영역에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인식되어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와 매칭된다. In addition, the road link is matched wit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recognized by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road link and lane information stored in the map database (11).

그리고,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 및 상기 도로링크의 이전 및 이후의 도로링크에 해당하는 버텍스 좌표 정보는 상기 쉬프트메모리(15)에 의해 저장되어 버퍼링된다. The vertex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oad link to whic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matched and the road link before and after the road link is stored and buffered by the shift memory 15.

더욱이, 상기 쉬프트메모리(15)는 상기 차량이 현재 매칭된 도로링크에서 다음 도로링크로 진행할 시 상기 저장된 버텍스 좌표 정보를 버퍼링한다. 여기서, 상기 버퍼링(buffering)이란, 상기 쉬프트메모리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동작을 말하며, 정보의 수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출력시 처리속도를 현격히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처리과정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shift memory 15 buffers the stored vertex coordinate information when the vehicle proceeds from the currently matched road link to the next road link. Here, the buffering refers to an operation of temporarily storing information in the shift memory, and may be used as a method for significantly increasing processing speed during output by temporarily storing information in order to smoothly receive the information. It means a process that is.

한편, 상기 쉬프트연산부(13)에서 연산된 쉬프트링크 상의 상기 자차커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7)에 의해 차량이 실제 도로상에서 주행하는 차선에 일치시켜 지도상으로 출력된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7)는, 상기 자차커서, 도로 및 배경 등이 지도형식으로 출력되어 사용자의 시각적인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ost vehicle cursor on the shift link calculated by the shift operator 13 is output on a map in accordance with the lane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on the actual road by the display unit 7.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7 is provided such that the vehicle cursor, the road, the background, and the like are output in a map form,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그리고, 상기 키입력부(3)는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10)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7)와 일체화된 터치패드로 구성되어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10)의 검색을 위한 검색환경이 상기 디스플레이부(7)를 통해 그래픽 화면으로 제공되며, 상기 그래픽 화면의 특정위치를 스타일러스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터치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3 is configured as a touch pad integrated with the display unit 7 as input means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to the navigation device 10 to provide a graphic interface means. Accordingly, a search environment for searching the navigation device 10 is provided as a graphic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7, and a user command is input by touching a specific position of the graphic screen with a stylus pen or a finger. Can be.

한편,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10)에는 상기 음성출력부(5)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차량의 주행 중의 상황, 검색의 결과 내용 및 각종 정보의 입력 과정이 상기 음성출력부(5)를 통해 효과음 및 멘트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avigation device 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the voice output unit (5). As a result, a situation of driving the vehicle, a result of searching, and a process of inputting various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5 as sound effects and comments.

또한, 상기 제어부(9)는 상기 GPS 수신부(1), 키입력부(3), 음성출력부(5), 디스플레이부(7), 지도 데이터베이스(11), 쉬프트연산부(13), 쉬프트메모리(15) 및 네비게이션 장치(10)내의 모든 장치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9 includes the GPS receiver 1, the key input unit 3, the voice output unit 5, the display unit 7, the map database 11, the shift operator 13, the shift memory 15 And control all devices in the navigation device 10.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을 나타낸 전체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position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a lane of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도 1의 10)는 GPS 위성으로부터 차량의 좌표정보를 상기 GPS 수신부(도 1의 1)를 통해 수신받는다(s101). 즉, 상기 차량에 장착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도 1의 10)의 전원이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navigation device 10 of FIG. 1 receives coordinate information of a vehicle from a GPS satellite through the GPS receiver 1 of FIG. 1 (s101). That is, the power of the navigation device 10 of FIG. 1 connected to the vehicle may be connected and receiv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여기서, 수신받은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도 1의 11)에 저장된 도로링크의 좌표에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 He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ed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tches the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stored in the map database (11 in FIG. 1) (s103).

그리고,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상기 도로링크의 좌표에 매칭되지 않은 경우, 도로를 이탈했다고 판단하여 별도의 쉬프트 과정을 거치지 않고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자차커서의 위치를 결정한다(s105). If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oes not match the coordinate of the road link,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has left the road and the position of the own vehicle cursor is determined us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without undergoing a separate shift process (s105). .

한편,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상기 도로링크의 좌표에 매칭 될 경우, 해당 도로링크가 양방향링크인지 판단한다(s107). 즉, 상기 도로링크가 양방향 속성을 가져 하나의 링크로 상행선 및 하행선 도로를 모두 매칭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도로링크가 양방향링크가 아닌 경우, 예컨데, 상행선 및 하행선이 각각 분리된 링크 및 일방통행 링크 등은 자차커서를 해당 도로링크에 그대로 출력해도 지도상에 자연스럽게 표시되기 때문에 별도의 쉬프트 과정을 거치지 않고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자차커서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matched with the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rresponding road link is a bidirectional link (s107).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oad link has the bidirectional property to match both the up and down roads with one link. If the road link is not a two-way link, for example, a link and a one-way link, each of which has an up and down line separated, are displayed naturally on the map even if the own vehicle cursor is output to the corresponding road link, without undergoing a separate shift process. The position of the host vehicle cursor may be determined us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가 양방향링크인 경우, 상기 도로링크 및 차선의 정보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도 1의 11)로부터 추출한다(s109). 그리고, 상기 매칭된 도로링크의 이전 및 이후의 도로링크의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고(s111), 이전 및 이후의 도로링크 및 상기 도로링크의 차선의 정보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도 1의 11)로부터 추출한다(s113). In addition, when the road link matched wit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a bidirectional link, the road link and the lane information are extracted from the map database (11 in FIG. 1) (s109).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on the road links before and after the matched road links (s111), and information on the road links before and after and the lanes of the road links is extracted from the map database (11 in FIG. 1). (S113).

여기서, 이전 및 이후의 도로링크를 추가적으로 고려하는 이유는 현재 매칭된 도로링크에서 다음 도로링크로 진행할 때, 도로링크의 각도가 차이나는 경우를 고려하여 쉬프트링크 상의 자차커서의 위치를 연산하기 위함이다. 또한, 주행중인 차량의 차선 변경 등의 이동이 있으면, 상기 이후의 도로링크 정보를 상기 쉬프트메모리(도 1의 15)에서 버퍼링하여 다음 쉬프트링크 상의 자차커서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Here, the reason for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road links before and after is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own car cursor on the shift link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angle of the road link is different from the currently matched road link to the next road link. . In addition, if there is a movement such as a lane change of a vehicle that is being driven, the subsequent road link information may be buffered in the shift memory 15 of FIG. 1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host vehicle cursor on the next shift link.

그리고, 상기 매칭된 도로링크에서 차량의 좌표정보가 위치하는 비율을 연산한다(s115). 여기서, 상기 비율은 상기 도로링크에서 상기 차량의 좌표가 위치하는 곳의 길이 비율을 의미한다. 나아가, 쉬프트링크 상의 자차커서 위치는 상기 도로링크에 상기 차량의 좌표가 위치하는 비율을 적용하여 연산되어 출력된다. In operation S115, the ratio of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the matched road link is calculated. Here, the ratio means a length ratio of the location of the coordinates of the vehicle in the road link. Furthermore, the own vehicle cursor position on the shift link is calculated and output by applying a ratio of the coordinates of the vehicle to the road link.

또한, 상기 매칭된 도로링크에 대응되는 쉬프트링크의 거리 및 방향을 연산하고, 상기 쉬프트링크 상의 자차커서의 위치를 연산하여(s117), 상기 디스플레이부(도 1의 7)를 통해 상기 연산된 위치에 상기 자차커서가 출력된다(s119). In addition, by calculat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shift link corresponding to the matched road link, and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host vehicle cursor on the shift link (s117), the calculated posi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7 in FIG. 1) The host vehicle cursor is output to (S119).

한편, 상기 매칭된 도로링크에 대응되는 쉬프트링크의 거리 및 방향을 연산하고, 상기 쉬프트링크 상의 자차커서의 위치를 연산하기 위한 일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an embodiment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shift link corresponding to the matched road link and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host vehicle cursor on the shift lin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쉬프트링크 및 자차커서 위치의 연산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shift link and a host cursor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쉬프트연산부(도 1의 13)에서 상기 쉬프트링크 및 상기 자차커서의 위치를 연산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도로링크의 이전 및 이후의 도로링크에 대한 버텍스 좌표를 추출한다(s201). 여기서, 상기 버텍스란, 상기 도로링크의 처음과 끝의 정점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상기 버텍스의 좌표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to whic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matched are calculated by the shift operator (13 in FIG. 1) to calculate the positions of the shift link and the host vehicle cursor. Extract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roadlink before and after (s201). Here, the vertex refers to a vertex of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road link, and may extract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rtex from the GPS satellites.

또한, 상기 도로링크의 이전 및 이후의 도로링크에 대한 버텍스 좌표를 추출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운행 중에 상기 도로링크에서 다음 도로링크로 진행할 때 상기 도로링크 간의 각도 차이가 나는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쉬프트링크의 다음 쉬트프링크 상에 위치할 자차커서를 연산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extracting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before and after the road link, the shift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in the angle between the road link when the road link from the road link to the next road link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o compute the order cursor that will be placed on the next sheet link of the link.

그리고, 상기 추출된 각각의 버텍스 좌표의 수직벡터를 산출한다(s203). 상세히, 상기 도로링크 처음의 버텍스 좌표와 관계된 수직벡터 및 상기 도로링크 마지막의 버텍스 좌표와 관계된 수직벡터을 산출한다. In operation S203, a vertical vector of each extracted vertex coordinate is calculated. In detail, a vertical vector related to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first roadlink and a vertical vector related to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last roadlink are calculated.

나아가, 상기 산출된 수직벡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수직벡터의 합벡터를 연산하고(s205), 최종적으로 쉬프트 된 버텍스 좌표를 이용하여 최종 쉬프트링크를 연산한다. Further, the sum vector of each vertical vector is calculated using the calculated vertical vector (s205), and the final shift link is calculated using the finally shifted vertex coordinates.

구체적으로, 상기 최종 쉬프트링크의 쉬프트되는 거리는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와 차선 정보를 기설정된 분할조건에 따라 반영하여 연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s207).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분할조건에 따라 연산하는 것은, 도로 상에 상기 차량이 위치하는 좌표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차선의 수 및 폭을 비교 판단하여 연산함을 말한다. In detail, the shifted distance of the final shift link may be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lan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ivision condition (s207). Here, the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division condition refers to calculating by comparing the number and width of the lane by extract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location of the vehicle on the road.

여기서, 기설정된 분할조건에 따라 연산된 상기 쉬트프링크와 상기 차량이 매칭된 도로링크의 수직벡터를 이용한 합벡터 간의 교점을 산출한다(s209). 그리하여, 상기 교점을 최종 쉬프트링크의 버텍스 좌표로 설정하고 상기 교점을 연결함으로써 최종 쉬프트링크를 연산할 수 있다(s211). Here, the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sheet link calculated based on a predetermined division condition and the sum vector using the vertical vector of the road link to which the vehicle is matched is calculated (S209). Thus, the final shift link may be calculated by setting the intersection point to the vertex coordinate of the final shift link and connecting the intersection point (S211).

그리고, 상기 최종 쉬프트링크 상의 상기 자차커서의 위치는 상기 차량이 매칭된 도로링크 상에 차량이 위치하는 곳의 길이 비율을 적용하여 연산할 수 있다(s213).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host vehicle cursor on the final shift link may be calculated by applying a length ratio of the position of the vehicle on the road link matched with the vehicle (S213).

상세히, 상기 쉬프트링크의 연산 및 자차커서의 위치 연산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shift link and the position operation of the host curs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쉬프트링크 및 자차커서 위치의 연산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hift link and the host cursor posi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41)가 매칭된 도로링크 상(45)의 버텍스 좌표(33, 35)를 추출하고, 차량 진행방향에 따른 상기 도로링크(45)의 이전 및 이후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31, 37)를 추출한다. As shown in FIG. 4, the vertex coordinates 33 and 35 of the road link image 45 to which the coordinate information 41 of the vehicle is matched are extracted, and the road links 45 are moved according to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Thereafter, vertex coordinates 31 and 37 of the road link are extracted.

여기서, 상기 도로링크(45)의 버텍스 좌표(33, 35)로부터 수직벡터(51, 55)를 산출하고, 상기 버텍스 좌표(33, 35)에 대한 이전 및 이후의 도로링크를 기준으로 한 수직벡터(53, 57)를 산출한다. Here, the vertical vectors 51 and 55 are calculated from the vertex coordinates 33 and 35 of the road link 45 and the vertical vectors based on the road links before and after the vertex coordinates 33 and 35. (53, 57) is calculated.

또한, 상기 도로링크(45) 마지막의 버텍스 좌표(35)에 해당하는 수직벡터(55, 57)의 합벡터(63)를 연산하고, 상기 도로링크(45) 처음의 버텍스 좌표(33)에 해당하는 수직벡터(51, 53)의 합벡터(61)를 연산한다. In addition, the sum vector 63 of the vertical vectors 55 and 57 corresponding to the vertex coordinates 35 at the end of the road link 45 is calculated and corresponds to the vertex coordinates 33 at the beginning of the road link 45. The sum vector 61 of the vertical vectors 51 and 53 is calculated.

한편, 상기 쉬프트링크(47)는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41)와 차선의 정보를 기설정된 분할조건에 따라 반영하여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분할조건이란, 도로 상에 상기 차량이 위치하는 좌표정보(41)를 추출하여 상기 차선의 수 및 폭을 비교판단하여 연산함을 말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hift link 47 may be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41 and the lan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ivision condition. Here, the predetermined division condition means that the coordinate information 41 in which the vehicle is located on the road is extracted to compare and determine the number and width of the lanes.

그리고, 상기 쉬프트링크(47)와 연산된 합벡터(61,63) 간의 교점(33a, 35a)을 구하여 상기 교점(33a, 35a)이 연결되어 최종 쉬프트링크(47)의 거리가 연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sections 33a and 35a are obtained by obtaining the intersections 33a and 35a between the shift link 47 and the calculated sum vectors 61 and 63 so that the distance of the final shift link 47 may be calculated. .

또한, 상기 자차커서(43)의 위치는 상기 차량이 매칭된 도로링크(45) 상에 차량의 좌표정보(41)가 위치하는 곳의 길이 비율을 적용하여 연산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상기 도로링크(45) 상에 앞, 뒤 간격으로 (x:y)의 비율로 위치한다면, 상기 자차커서(43)는 상기 도로링크(45) 상에 위치한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41)의 비율을 적용하여 상기 최종 쉬프트링크(47) 상에 앞, 뒤 간격으로 (x:y)의 비율로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host vehicle cursor 43 may be calculated by applying the length ratio of the position where the coordinate information 41 of the vehicle is located on the road link 45 matched with the vehicle. For example, if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located at the ratio of (x: y) at the front and rear intervals on the road link 45, the host vehicle cursor 43 is the vehicle located on the road link 45 By applying the ratio of the coordinate information 41 of the position on the final shift link 47 is preferably located at a ratio of (x: y) at the front and rear intervals.

물론, 상기 쉬프트링크의 연산은 상기 수직벡터의 합벡터를 이용함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수직벡터가 이루는 각도를 2등분 하여 산출된 벡터를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연산 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shift link may be calculated using a sum vector of the vertical vectors. However, the shift link may be calculated using a vector calculated by dividing an angle formed by the vertical vector by two.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산된 위치에 상기 자차커서를 위치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도 1의 7)를 통해 출력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it is preferable that the host vehicle cursor is positioned at the calculated position and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7 of FIG. 1).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차커서가 출력된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개략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isplay unit of the navigation device outputs the host vehicle cur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로링크(45)는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50)의 중앙선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자차커서(43)는 상기 도로(50)의 상행선의 1차선에 출력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road link 45 is located at the center line of the road 50 to whic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matched, and the host car cursor 43 is located at the first lane of the up line of the road 50. Is output.

예컨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도로링크(45)의 정보가 상행선 및 하행선의 도로 폭(d)이 4m인 왕복 4차선 도로(50)로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도로(50)에 차량이 위치하는 좌표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이 상기 도로의 상행선 상에 중앙선을 기준으로 2m 이내로 위치하고 있으면 1차선의 중앙으로 쉬프트링크를 연산하고, 2m에서 4m 사이에 위치한다면 2차선 중앙에 상기 쉬프트링크를 연산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information of the road link 45 is stored in a map database as a round trip four-lane road 50 having an up line and a down road with a road width d of 4 m, the coordinate information at which the vehicle is located on the road 50 is provided. Extract If the vehicle is located within 2m of the center line on the upline of the road, the shift link may be calculated to the center of one lane, and if the vehicle is located between 2m and 4m, the shift link may be calculated at the center of the two lanes.

그리하여, 상기 쉬프트링크에 상기 자차커서(43)를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지도 정보에는 자차커서(43)가 상기 차량이 운행 중인 실제 도로(50)에 맞도록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차선 변경 등의 이동이 있으면 추출된 상기 도로링크의 이후 도로링크에 해당하는 버텍스 좌표를 상기 쉬프트메모리를 통해 버퍼링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에 일치시켜 상기 자차커서를 출력할 수도 있다. Thus, by outputting the host vehicle cursor 43 on the shift link, the host vehicle cursor 43 is output to the map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so as to match the actual road 50 on which the vehicle is running. If there is a movement such as a lane change of the vehicle, the vertex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road links after the extracted road link are buffered through the shift memory to match the lanes in which the vehicle is driven to output the host vehicle cursor. have.

이로써, 상기 자차커서의 위치가 상기 차량의 실제 도로에 맞게 출력됨으로써 GPS 좌표의 오차에 의해 도로 상의 자차커서가 자연스럽게 출력되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으며, 중앙선 및 중앙벽을 침범하지 않으므로 현실성에 가까우며 시인성이 좋고 3D 네비게이션 장치에 알맞은 지도 출력을 한다. 더욱이,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 정보의 오차를 줄여 운전자의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own vehicle cursor is output according to the actual road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the problem that the own vehicle cursor on the road is not naturally output by the error of GPS coordinates. It is easy to see and produces map output suitable for 3D navigation devic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avigation device capable of significantly improving driver safety by reducing errors in road information on which the vehicle is runn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GPS 수신부 3: 키입력부
5: 음성출력부 7: 디스플레이부
9: 제어부 11: 지도 데이터베이스
13: 쉬프트연산부 15: 쉬프트메모리
31, 33, 35, 37: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
33a, 35a: 쉬프트링크의 버텍스 좌표
41: 차량의 위치좌표 43: 자차커서
45: 도로링크 47: 쉬프트링크
50: 도로 51, 53, 55, 57: 수직벡터
61, 63: 합벡터 d: 도로 폭
1: GPS receiver 3: Key input
5: audio output unit 7: display unit
9: control unit 11: map database
13: shift operator 15: shift memory
31, 33, 35, 37: vertex coordinates of road links
33a, 35a: vertex coordinates of shift link
41: Position coordinate of the vehicle 43: Own car cursor
45: road link 47: shift link
50: Road 51, 53, 55, 57: Vertical Vector
61, 63: Sum Vector d: Road Width

Claims (8)

GPS를 통한 차량의 좌표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링크의 좌표에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가 상행선 및 하행선을 모두 포함한 양방향링크인지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가 양방향링크인 경우에, 상기 매칭된 도로링크의 정보를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제3단계;
상기 도로링크가 양방향링크의 속성을 나타내도록,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도로링크에 대응되는 쉬프트링크를 연산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쉬프트링크 상에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에 대응되는 자차커서의 위치를 연산하고, 연산된 위치에 상기 자차커서를 출력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
Detect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GP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ed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tches coordinates of a road link stored in a map database;
Determining whether the road link matched wit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a bidirectional link including both an uplink and a downline;
A third step of extracting information of the matched road link from a map database when the road link to whic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matched is a bidirectional link;
Calculating a shift link corresponding to the road link based on vertex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to whic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matched such that the road link indicates an attribute of a bidirectional link; And
And calculating a position of the own vehicle cursor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n the shift link, and outputting the own vehicle cursor to the calculated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매칭된 당해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당해 도로링크의 이전 및 이후 도로링크에 해당하는 버텍스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당해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로부터 산출된 수선과 상기 버텍스 좌표에 대한 이전 및 이후 도로링크를 기준으로 한 수선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연산조건으로 상기 쉬프트링크의 버텍스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ourth step,
Extracting vertex coordinates of the matched road link;
Extracting vertex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road links before and after the road links;
Calculating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shift link using a predetermined calculation condition by using the waterline calculated from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roadlink and the waterline based on the road links before and after the vertex coordinates. Vehicle positioning method considering the lane of the navig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링크는,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와 상기 당해 도로링크의 차선정보를 기설정된 분할조건에 따라 반영하여 거리가 연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shift link,
And a distance is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ane information of the road link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ivision condi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링크의 버텍스 좌표를 산출하는 기설정된 연산조건은,
상기 당해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로부터 산출된 수직벡터와 상기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에 대한 이전 및 이후 도로링크를 기준으로 한 수직벡터의 합벡터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determined operation condition for calculating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shift link is
Vehicle position considering the lane of the navig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culated as the sum of the vertical vector calculated from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and the vertical vector based on the road links before and after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How to decide.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링크의 최종 위치는,
상기 기설정된 분할조건에 따라 연산된 상기 쉬프트링크와 상기 기설정된 연산조건에 따라 연산된 합벡터의 교점을 상기 쉬프트링크의 버텍스 좌표로 설정하여 연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final position of the shift link is,
Determine the vehicle position by considering the lane of the navig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section of the shift link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partitioning condition and the sum vector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calculation condition is set as vertex coordinates of the shift link. 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쉬프트링크 상에 위치하는 자차커서는, 상기 매칭된 도로링크 상의 차량 위치좌표의 비율과 대응되는 곳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ifth step,
The own vehicle cursor located on the shift link is locat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tio of the vehicle position coordinates on the matched road li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링크의 좌표에 기설정된 범위조건으로 포함되어 매칭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가 양방향링크가 아닌 경우, 상기 자차커서를 지도상의 상기 매칭된 도로링크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차선을 고려한 차량위치 결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irst and second steps,
When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included in the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stored in the map database as a preset range condition and does not match, and the road link to whic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matched is not a bidirectional link, maps the host vehicle cursor And a lane of the navigation device, the output being output to the matched road link on the vehicle.
GPS 위성으로부터 차량의 좌표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를 지도상에 출력하기 위한 도로링크 및 차선의 정보가 저장된 지도 데이터베이스;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 및 차선의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의 버텍스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링크가 쉬프트되는 거리와 쉬프트링크 상의 자차커서를 상기 도로링크에 상기 차량이 위치하는 비율에 대응하는 위치로 연산하는 쉬프트연산부;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가 매칭된 도로링크 및 상기 도로링크의 이전 및 이후의 도로링크에 해당하는 버텍스 좌표 정보가 추출되어 저장되는 쉬프트메모리; 및
상기 쉬프트된 도로링크 상의 자차커서를 차량이 실제 도로상에서 주행하는 차선에 일치시켜 지도상에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비게이션 장치.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a GPS satellite;
A map database storing road links and lane information for outputt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n a map;
According to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ane information, the distance of the road link is shifted by using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road link matched wit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cursor on the shift link is located in the road link A shift calculation unit operable to calculat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ratio;
A shift memory for extracting and storing vertex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road links match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road links before and after the road links; And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match the host vehicle cursor on the shifted road link with a lane on which the vehicle actually travels on a road and output the same on a map.
KR1020100084546A 2010-08-31 2010-08-31 method for displaying position of vehicle considering lane in navigation apparatus KR1011993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546A KR101199330B1 (en) 2010-08-31 2010-08-31 method for displaying position of vehicle considering lane in navig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546A KR101199330B1 (en) 2010-08-31 2010-08-31 method for displaying position of vehicle considering lane in navig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734A KR20120020734A (en) 2012-03-08
KR101199330B1 true KR101199330B1 (en) 2012-11-09

Family

ID=4612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546A KR101199330B1 (en) 2010-08-31 2010-08-31 method for displaying position of vehicle considering lane in navig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3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3280B2 (en) * 2018-04-06 2022-01-13 株式会社アイシン Map data processing system and map data processing progra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6928A (en) 2005-03-24 2006-10-05 Xanavi Informatics Corp Map display device
JP2010054754A (en) 2008-08-28 2010-03-11 Zenrin Co Ltd Data structure of map dat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6928A (en) 2005-03-24 2006-10-05 Xanavi Informatics Corp Map display device
JP2010054754A (en) 2008-08-28 2010-03-11 Zenrin Co Ltd Data structure of map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734A (en)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3495B1 (en) Navigation apparatus with three-dimensional route guidance
US8040343B2 (en) Map display device and map display method
EP1873494B1 (en) Navigation apparatus
CN102192752B (en) Navigation apparatus and navigation method
JP5382007B2 (en) Moving track display device
US8862392B2 (en) Digital map landmarking system
US20080243380A1 (en) Hidden point detection and war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CN101936740A (en) Navigation method of three-dimensional electronic map and device thereof
JP2011052960A (en) Navigation device
JP4835413B2 (en) Vehicle navigation device
JP2008014754A (en) Navigation apparatus
JP2009036651A (en) Navigation apparatus,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program
KR101304672B1 (en) Method for guiding lane of navigation system
KR2013003548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ceiving heading change in mobile terminal
JP7428187B2 (en) Position measuring device, position measuring method, and program
KR101131871B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output method of highway rest area reaching guide information thereof
KR101199330B1 (en) method for displaying position of vehicle considering lane in navigation apparatus
KR101195896B1 (en) operating method of navigation apparatus using optical sensor
KR101273258B1 (en) display method for map using route information of navigation apparatus
KR101073455B1 (en) Route guidance method of navigation system
KR20140102491A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crossroad thereof
US20160305793A1 (en) Map display system, method, and program
WO2009118911A1 (en) Map display, navigation device, generating method, map image generat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5420432B2 (en) Vehicle navigation device
KR101304783B1 (en) Method for guiding lane of navig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