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029B1 -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029B1
KR101199029B1 KR1020100072666A KR20100072666A KR101199029B1 KR 101199029 B1 KR101199029 B1 KR 101199029B1 KR 1020100072666 A KR1020100072666 A KR 1020100072666A KR 20100072666 A KR20100072666 A KR 20100072666A KR 101199029 B1 KR101199029 B1 KR 101199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earner
problem information
score
pr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107A (ko
Inventor
고인철
Original Assignee
(주)퍼펙트에듀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펙트에듀케이션 filed Critical (주)퍼펙트에듀케이션
Priority to KR1020100072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02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시험 문제에 출제되는 언어 영역의 경향을 반영하여 학습자의 독해력 및 이해 능력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학습자의 취약부분을 진단하여 학습자의 취약 부분 점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클리닉 시스템으로서, 상기 진단 클리닉 시스템은, 언어 영역의 문학 감상 능력과 독해력 능력을 진단하는데 필요한 운문 및 산문 형태로 이루어진 문학과 관련한 문제와 비문학과 관련한 문제를 여러 형태의 유형별로 나누어 저장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문제의 각 유형마다 제한 시간을 달리하여 제공하고, 그 결과로, 학습자에 의해 제시된 답안 결과를 제공받아 획득 점수, 종합 점수, 등급 점수 및 유형간 비교 점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계치로 가공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LEARNING INDICATOR OF LANGUAGE AREA}
본 발명은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험 문제에 출제되는 언어 영역의 경향을 반영하여 학습자의 독해력 및 이해 능력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학습자의 취약부분을 진단하여 학습자의 취약 부분 점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교에서 제공하는 교과서 중심의 학습 내용을 배우는데서 탈피하여 학원 수강, 개인과외 및 온라인 강의 등, 다양한 형태로 부족한 과목을 보충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려고 한다.
이런 흐름에 발맞추어,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형태의 학습 컨텐츠를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상으로 제공되는 학습 컨텐츠 중 언어 영역과 관련된 문제는 대부분 문법적이고, 형식화된 틀을 가지고, 묻고 답하는 정도의 수준에 불과하여, 종합적인 사고력을 측정하는데 필요로 하는 문제를 학습 컨텐츠의 형태로 제공하기란 쉽지 않다.
예를 들면, 실제 언어 영역에 출제되는 문제는 긴 지문, 예컨대 문학 및 비문학 형태의 긴 지문을 읽고, 다양한 형태의 질문을 요구하여 답하도록 하는 종합적인 사고와 독해력을 요구하고 있어, 이와 같이 정례화되지 않은 틀을 학습 컨텐츠로 제공하기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언어 영역과 관련한 학습 컨텐츠는 전체 문제를 풀기 위한 제한 시간을 두거나, 학습자가 정한 제한 시간 안에 문제를 푸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실제 시험에서 제한된 시간 안에 모든 문제를 푸는데 적응하기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문학과 비문학과 관련된 언어 영역을 다양한 형태의 유형별로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각 유형별로 나누어진 문제마다 그 특성에 맞게 제한된 시간을 둠으로써, 학습자의 취약 부분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실제 언어 영역의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르면,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클리닉 시스템으로서, 상기 진단 클리닉 시스템은, 언어 영역의 문학 감상 능력과 독해력 능력을 진단하는데 필요한 운문 및 산문 형태로 이루어진 문학과 관련한 문제와 비문학과 관련한 문제를 여러 형태의 유형별로 나누어 저장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문제의 각 유형마다 제한 시간을 달리하여 제공하고, 그 결과로, 학습자에 의해 제시된 답안 결과를 제공받아 획득 점수, 종합 점수, 등급 점수 및 유형간 비교 점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계치로 가공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진단 클리닉 시스템은, 운문 및 산문과 관련한 현대 운문, 현대 산문, 고전 운문 및 고전 산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세분화된 유형별로 나눠 제1 문제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각각의 제1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작품명 고르기와 관련된 제2 문제 정보로 보다 세분화하여 저장하는 문학 학습수치 테스트 모듈; 문학과 비문학과 관련된 문학 기초 지식, 어휘 학습수치, 비문학 기초지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세분화된 유형별로 나누어 제3 문제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각각의 제3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문학 OX형 답하기, 적절어휘 넣기 및 비문학 OX형 답하기의 제4 문제 정보로 세분화하여 저장하는 기초지식 학습수치 테스트 모듈; 및 운문과 관련된 운문 능력수치와 산문과 관련한 산문 능력수치의 형태로 세분화된 유형별로 나눠 제5 문제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제5 문제 정보를 적절보기 고르기, 시어찾기, 해당작품 고르기, 배열하기 및 지문 읽고 답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세분화된 유형으로 분류하여 제6 문제 정보로 저장하는 문학 능력수치 테스트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클리닉 시스템은, 비문학과 관련하여 서술방식 파악능력, 내용전개 파악능력, 문맥 파악능력, 중심문장 파악능력 및 지문분석 능력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세분화된 유형별로 나눠 제7 문제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제7 문제 정보를 해당지문 고르기, 배열하기, 적절위치 찾기, 중심문장 찾기 및 읽고 답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세분화된 유형으로 분류하여 제8 문제 정보로 저장하는 비문학 능력수치 테스트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클리닉 시스템은, 상기 답안 정보와 함께 상기 문제의 각 유형마다 제한 시간을 달리하여 저장, 제공하고, 상기 제한 시간에 대비하여 문제를 푼 결과의 시간 정보를 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는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 상기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답안 정보와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된 문제 정보를 분석하여 획득 점수, 종합 점수, 등급 점수 및 유형간 비교 점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계치로 가공하는 통계치 가공 모듈; 상기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시간 정보와 제한 시간을 분석하여 해당 학습자의 독해속도를 계산하는 독해속도 계산 모듈; 및 상기 통계치 가공 모듈 및 독해속도 계산 모듈에 의한 정보를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에 따르면,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클리닉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진단 클리닉 제공 방법은, (a) 학습자의 로그인 정보를 제공받아 회원 가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 의해 회원 가입된 해당 학습자를 대상으로, 언어 영역의 문학 감상 능력과 독해력 능력을 진단하는데 필요한 운문 및 산문 형태로 이루어진 문학과 관련된 문제와 비문학과 관련된 문제를 여러 형태의 유형별로 나눠 저장하고,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문제의 각 유형마다 제한 시간을 달리하여 저장하고, 상기 (b) 단계의 각 유형별로 나누어진 문제와 함께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제공 결과로, 학습자에 의해 제시된 답안 결과를 제공받아 획득 점수, 종합 점수, 등급 점수 및 유형간 비교 점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계치로 가공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단 클리닉 제공 방법은, (e) 상기 (c) 단계에서 제공된 제한 시간에 대비하여 문제를 푼 결과의 시간 정보를 학습자의 단말로부터 더 제공받아 저장한 후, 상기 시간 정보와 제한 시간을 분석하여 해당 학습자의 독해속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현대 운문, 현대 산문, 고전 운문 및 고전 산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1 문제 정보 및 상기 각각의 제1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작품명 고르기와 관련된 제2 문제 정보를 포함하여 보다 세분화한 유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문학 기초 지식, 어휘 학습수치, 비문학 기초지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3 문제 정보 및 상기 각각의 제3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문학 OX형 답하기, 적절어휘 넣기 및 비문학 OX형 답하기로 이루어진 제4 문제 정보를 포함하여 보다 세분화한 유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운문 능력수치와 산문 능력수치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5 문제 정보 및 상기 제5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적절보기 고르기, 시어찾기, 해당작품 고르기, 배열하기 및 지문 읽고 답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6 문제 정보를 포함하여 보다 세분화한 유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서술방식 파악능력, 내용전개 파악능력, 문맥 파악능력, 중심문장 파악능력 및 지문분석 능력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7 문제 정보 및 상기 제7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지문 고르기, 배열하기, 적절위치 찾기, 중심문장 찾기 및 읽고 답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8 문제 정보를 포함하여 보다 세분화한 유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합적 사고력, 문학 감상 능력 및 독해력을 배양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유형별 문제를 제한 시간을 두어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그 결과로 제공받은 학습자의 답안 정보와 시간 정보 등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취약한 부분을 정확히 진단하여 학습자의 언어 영역 성적을 향상시키는데 일조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책이나, 온라인 학습 컨텐츠에서 취급하지 못한 다양한 유형의 언어 영역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의 유형별로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문학 및 비문학과 관련하여 출제되는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적응력을 단 시간 내에 높일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 클리닉 시스템(100)을 보다 상세하게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진단 클리닉 시스템(100)의 각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유형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학습자 단말로 제공되는 통계치 중 획득 점수 및 등급 점수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학습자 단말로 제공되는 통계치 중 유형간 점수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유형별 실제 제공되는 문제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클리닉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진단 클리닉 시스템(100) 및 학습자 컴퓨터(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진단 클리닉 시스템(100)은 언어 영역의 문학 감상 능력과 독해력 능력을 진단하는데 필요한 운문 및 산문 형태로 이루어진 문학과 관련된 문제와, 비문학과 관련된 문제를 여러 형태의 유형별로 나누어 저장하되, 각 문제의 유형마다 제한 시간을 달리하여 저장하고, 그 저장된 정보를 학습자의 요청 또는 자진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학습자 컴퓨터(2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문학 및 비문학과 관련한 문제를 여러 형태의 유형별로 나누는 예는 이하에서 설명될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진단 클리닉 시스템(100)은 문제를 푼 결과로, 학습자에 의해 제시된 답안 결과를 제공받아 이와 더불어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한 문제 정보 등을 분석하여 다양한 형태의 통계치로 가공한 후, 이 결과를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더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망의 형태에 따라 휴대폰, 컴퓨터, PDA 및 스마트폰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200)은 진단 클리닉 시스템(100)에 회원 가입 후, 로그인하여 자신의 등급에 맞는 문학과 관련한 문제와 비문학과 관련한 문제를 제공받아 기설정된 제한 시간 안에 문제를 풀어 그 답안을 진단 클리닉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답안 정보와 함께 각 문제를 푼 결과로 획득한 시간 정보 등을 진단 클리닉 시스템(100)으로 더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 클리닉 시스템(100)을 보다 상세하게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진단 클리닉 시스템(100)의 각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유형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단 클리닉 시스템(100)은 문학 학습수치 테스트 모듈(110), 기초지식 학습수치 테스트 모듈(120), 문학 능력수치 테스트 모듈(130), 비문학 능력수치 테스트 모듈(140), 문제 정보 저장모듈(150), 학습자 정보 저장모듈(160), 통계치 가공 모듈(170), 독해속도 계산 모듈(180), 정보 제공 모듈(185), 통신 모듈(190) 및 제어 모듈(19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문학 학습수치 테스트 모듈(110)은 문학 및 비문학과 관련한 문제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하게 되는데, 먼저 운문 및 산문과 관련한 현대 운문, 현대 산문, 고전 운문 및 고전 산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112)를 갖는 유형으로 나누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나누어진 유형을 제1 문제 정보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문학 학습수치 테스트 모듈(110)은 각각의 제1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작품명 고르기(113)와 관련된 제2 문제 정보로 보다 세분화한 유형으로 더 나눌 수 있는데, 현대운문 작품명 고르기, 현대산문 작품명 고르기, 고전운문 작품명 고르기 및 고전산문 작품명 고르기를 포함한 제2 문제 정보(113)로 세분화한 유형으로 나누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상기 제1 문제 정보(112)와 제2 문제 정보(113)는 문학 학습수치 테스트 목록(111)의 서브 디렉토리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지식 학습수치 테스트 모듈(120)은 문학과 비문학과 관련한 문학 기초 지식, 어휘 학습수치, 비문학 기초지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122)를 갖는 유형으로 나누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나누어진 유형을 제3 문제 정보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초지식 학습수치 테스트 모듈(120)은 각각의 제3 문제 정보(122)에 대응하여 문학 OX형 답하기, 적절어휘 넣기 및 비문학 OX형 답하기를 갖는 제4 문제 정보(123)로 더 세분화하여 나누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3 문제 정보(122)와 제4 문제 정보(123)는 기초지식 학습수치 테스트 목록(121)의 서브 디렉토리 형태로 존재하며, 제4 문제 정보(123) 내에 다수의 해당 문제를 수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문학 능력수치 테스트 모듈(130)은 운문과 관련한 운문 능력수치와 산문과 관련한 산문 능력수치의 형태를 갖는 제5 문제 정보(132)로 세분화하여 나누는 역할을 수행하며, 현대운문, 고전운문, 현대산문 및 고전산문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제5 문제 정보(132)를 적절보기 고르기, 시어찾기, 해당작품 고르기, 배열하기 및 지문 읽고 답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를 갖는 제6 문제 정보(133)로 더 세분화하여 유형을 나눌 수 있다. 상기 제5 문제 정보(132)와 제6 문제 정보(133)는 문학 능력수치 테스트 목록(131)의 서브 디렉토리 형태로 존재하며, 제6 문제 정보(133) 내에 다수의 해당 문제를 수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비문학 능력수치 테스트 모듈(140)은 비문학과 관련하여 서술방식 파악능력, 내용전개 파악능력, 문맥 파악능력, 중심문장 파악능력 및 지문분석 능력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를 갖는 제7 문제 정보(142)로 유형을 세분화하여 나누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7 문제 정보(142)를 해당지문 고르기, 배열하기, 적절위치 찾기, 중심문장 찾기 및 읽고 답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를 갖는 제8 문제 정보(143)로 더 세분화하여 유형을 나누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상기 제7 문제 정보(142)와 제8 문제 정보(143)는 비문학 능력수치 테스트 목록(141)의 서브 디렉토리 형태로 존재하며, 제8 문제 정보(143) 내에 다수의 해당 문제를 수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유형 정보 저장모듈(150)은 문학 학습수치 테스트 모듈(110), 기초지식 학습수치 테스트 모듈(120), 문학 능력수치 테스트 모듈(130) 및 비문학 능력수치 테스트 모듈(140)에 의해 수행된 결과로 획득한 각 유형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160)은 문제 정보 저장모듈(150)에 저장된 각 유형별 문제 정보를 학습자 단말(200)로 문제마다 제한 시간을 두어 제공할 경우 상기 문제 정보를 보고 푼 결과의 답안 정보를 제공 받아서 저장하며, 상기 답안 정보와 함께 제한 시간에 대비하여 문제를 푼 결과의 시간 정보를 학습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본 발명의 통계치 가공 모듈(170)은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160)에 저장된 답안 정보와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된 문제 정보를 분석하여 획득 점수, 종합 점수, 등급 점수 및 유형간 비교 점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계치로 가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통계치의 각 형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독해속도 계산 모듈(180)은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160)에 저장된 시간 정보, 제한 시간 및 문제 정보를 분석하여 분당 글자수로 수치화하는 학습자의 독해속도를 계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정보 제공 모듈(185)은 각 구성 모듈에 의한 정보를 해당하는 학습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통신 모듈(190)은 진단 클리닉 시스템(100)과 학습자 단말(200) 간에 통신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제어 모듈(195)은 문학 학습수치 테스트 모듈(110), 기초지식 학습수치 테스트 모듈(120), 문학 능력수치 테스트 모듈(130), 비문학 능력수치 테스트 모듈(140), 문제 정보 저장모듈(150), 학습자 정보 저장모듈(160), 통계치 가공 모듈(170), 독해속도 계산 모듈(180), 정보 제공 모듈(185) 및 통신 모듈(19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통신모듈(190) 및 학습자 단말(200) 간의 송,수신되는 데이터 흐름도 제어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학습자 단말로 제공되는 통계치 중 획득 점수 및 등급 점수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에서는 문학학습수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운문문학, 산문문학, 현대문학 및 고전문학과 관계하는 세부항목에 대하여 각 세부항목에 부여된 배점 점수, 획득 점수 및 등급 점수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주며(300), 상기 획득 점수를 백분율로 환산한 그래프의 형태(310)로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도 5에서는 기초지식 학습수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문학, 어휘, 비문학과 관계하는 세부항목에 대하여 각 세부항목에 부여된 배점 점수, 획득 점수 및 등급 점수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주며(320), 상기 획득 점수를 백분율로 환산한 그래프의 형태(330)로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도 6에서는 비문학 능력수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정보확인, 서술방식 파악, 문맥 파악, 중심문장 파악, 추론과 관계하는 세부항목에 대하여 각 각 세부항목에 부여된 배점 점수, 획득 점수 및 등급 점수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주며(340), 상기 획득 점수를 백분율로 환산한 그래프의 형태(350)로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학습자 단말로 제공되는 통계치 중 유형간 점수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는 학습자의 답안 정보를 이용하여 가공된 유형간 비교 점수의 통계치를 예로서 나타낸 것으로, 예로문학학습수치와 비문학학습수치간 점수를 비교(400)한 결과, 문학능력수치와 비문학능력수치간 점수를 비교(410)한 결과, 문학학습수치와 문학능력수치간 점수를 비교(420)한 결과 및 비문학학습수치와 비문학능력수치간 점수를 비교(430)한 결과를 각각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도 8에서는 도 7과 마찬가지로 유형간 비교 점수의 통계치를 나타낸 다른 예로서, 기초지식수치 유형에서 어휘 학습수치, 문학 기초지식수치 및 비문학 기초지식 수치 유형간 취약 부분의 그래프 비교(440), 학습수치 유형에서 운문문학, 산문문학, 현대문학 및 고전문학 유형간 취약 부분의 그래프 비교(450), 능력수치 유형에서 운문문학, 산문문학, 현대문학 및 고전문학 유형간 취약 부분의 그래프 비교(460), 독해능력수치 유형에서 정보확인, 서술방식파악, 문맥파악, 중심문장파악 및 추론 유형간 취약부분의 그래프 비교(470) 및 비문학 제재별 유형에서 인문제재, 사회제재, 과학제재, 기술제재, 예술제재 및 언어제재 유형간 취약 부분의 그래프 비교(480)를 각각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유형간 비교를 통하여 학습자의 취약 부분과 약점을 정확히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언어 영역에 대한 학습 성취도를 단 시간 내에 높일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유형별 실제 제공되는 문제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9에서는 문학 기초지식 O,X형 답하기 유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O,X로 답해야 할 문장(500)을 제시하고, 제한 시간(510) 내에 O,X로 답해야 함을 나타내고, 도 10에서는 비문학 배열하기 유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다수의 비문학 지문이 제시될 경우 적합한 순서로 배열(520)하고, 제한 시간(530) 내에 답해야함을 나타내며, 도 11에서는 어휘 학습수치 테스트 유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지문이 주어질 경우, 지문 사이의 빈칸(540, 550, 560)에 적절한 어휘를 드래그하여 넣는 법을 나타낸다.
도 12에서는 현대운문 긍정부정 시어찾기 유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적절한 시어를 찾기(570)와 제한 시간(580)을 나타내고, 도 13에서는 현대산문 해당 작품 고르기 유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물음에 응답할 수 있는 다수의 현대산문 지문(585)이 제시될 경우 물음에 적합한 지문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 14에서는 현대운문 적절보기 유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적절한 어휘(590)를 제한 시간(595) 안에 선택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클리닉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단 클리닉 제공 방법(S600)은 (a) 회원가입을 판단하는 단계(S610), (b) 문학 및 비문학의 문제를 유형별로 나누어 저장, 제공하는 단계(S620), (c) 각 유형마다 제한 시간을 설정하여 제공하는 단계(S630), (d) 답안 정보를 제공받아 통계치로 가공하여 제공하는 단계(S640), (e) 독해속도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단계(S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S610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로그인 정보를 학습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아 회원 가입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S620 단계에서는 상기 (S610) 단계에 의해 회원 가입된 해당 학습자를 대상으로, 언어 영역의 문학 감상 능력과 독해력 능력을 진단하는데 필요한 운문 및 산문 형태로 이루어진 문학과 관련된 문제와 비문학과 관련된 문제를 다수의 유형별로 나누어 저장하고,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다수의 유형에 대한 예를 살펴보면, S620 단계에서는 현대 운문, 현대 산문, 고전 운문 및 고전 산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1 문제 정보 및 상기 각각의 제1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작품명 고르기와 관련된 제2 문제 정보를 포함하여 보다 세분화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문학 기초 지식, 어휘 학습수치, 비문학 기초지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3 문제 정보 및 상기 각각의 제3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문학 OX형 답하기, 적절어휘 넣기 및 비문학 OX형 답하기로 이루어진 제4 문제 정보를 포함하여 보다 세분화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S620 단계에서는 운문 능력수치와 산문 능력수치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5 문제 정보 및 상기 제5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적절보기 고르기, 시어찾기, 해당작품 고르기, 배열하기 및 지문 읽고 답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6 문제 정보를 포함하여 보다 세분화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서술방식 파악능력, 내용전개 파악능력, 문맥 파악능력, 중심문장 파악능력 및 지문분석 능력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7 문제 정보 및 상기 제7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지문 고르기, 배열하기, 적절위치 찾기, 중심문장 찾기 및 읽고 답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8 문제 정보를 포함하여 보다 세분화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언어 영역 중 문학, 비문학과 관련한 문제 유형을 다양하게 나눌 수 있어 실전에 적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종합적 사고력, 문학 감상 능력 및 독해력 능력을 단시간내에 배양할 수 있게 된다.
이후, S630 단계에서는 S620 단계에서 다양하게 세분화된 문제에 대하여 각 문제의 유형마다 제한 시간을 달리하여 저장하고, 각 유형별로 나누어진 문제와 함께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S640 단계에서는 S630 단계의 제공 결과로, 학습자에 의해 제시된 답안 결과와 학습자에게 제공된 문제 정보 등을 분석하여 획득 점수, 종합 점수, 등급 점수 및 유형간 비교 점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계치로 가공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일례는 앞서 도 4 내지 도 8에서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후, S650 단계에서는 S630 단계에서 제공된 제한 시간에 대비하여 문제를 푼 결과의 시간 정보를 학습자의 단말(200)로부터 더 제공받아 저장한 후, 시간 정보와 제한 시간, 학습자에게 제공된 문제 정보 등을 분석하여 분당 글자수로 수치화한 학습자의 독해속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순서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100 : 진단 클리닉 시스템
110 : 문학 학습수치 테스트 모듈
120 : 기초지식 학습수치 테스트 모듈
130 : 문학 능력수치 테스트 모듈
140 : 비문학 능력수치 테스트 모듈
150 : 문제 정보 저장모듈
160 : 학습자 정보 저장모듈
170 : 통계치 가공 모듈
180 : 독해속도 계산 모듈
185 : 정보 제공 모듈
190 : 통신 모듈
195 : 제어 모듈
200 : 학습자 단말

Claims (10)

  1.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클리닉 시스템으로서,
    상기 진단 클리닉 시스템은,
    언어 영역의 문학 감상 능력과 독해력 능력을 진단하는데 필요한 운문 및 산문 형태로 이루어진 문학과 관련한 문제와 비문학과 관련한 문제를 여러 형태의 유형별로 나누어 저장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문제의 각 유형마다 제한 시간을 달리하여 제공하고,
    그 결과로, 학습자에 의해 제시된 답안 결과를 제공받아 획득 점수, 종합 점수, 등급 점수 및 유형간 비교 점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계치로 가공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도록,
    운문 및 산문과 관련한 현대 운문, 현대 산문, 고전 운문 및 고전 산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를 갖는 유형으로 나누어 제1 문제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각각의 제1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작품명 고르기와 관련한 제2 문제 정보로 더 세분화하여 저장하는 문학 학습수치 테스트 모듈;
    문학과 비문학과 관련한 문학 기초 지식, 어휘 학습수치, 비문학 기초지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를 갖는 유형으로 나누어 제3 문제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각각의 제3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문학 OX형 답하기, 적절어휘 넣기 및 비문학 OX형 답하기를 갖는 유형으로 더 세분화하여 나누어 제4 문제 정보로 저장하는 기초지식 학습수치 테스트 모듈; 및
    운문과 관련한 운문 능력수치와 산문과 관련한 산문 능력수치의 형태를 갖는 유형으로 나누어 제5 문제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제5 문제 정보를 적절보기 고르기, 시어찾기, 해당작품 고르기, 배열하기 및 지문 읽고 답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를 갖는 유형으로 더 세분화하여 제6 문제 정보로 저장하는 문학 능력수치 테스트 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클리닉 시스템은,
    비문학과 관련하여 서술방식 파악능력, 내용전개 파악능력, 문맥 파악능력, 중심문장 파악능력 및 지문분석 능력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를 갖는 유형으로 나누어 제7 문제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제7 문제 정보를 해당지문 고르기, 배열하기, 적절위치 찾기, 중심문장 찾기 및 읽고 답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를 갖는 유형으로 더 세분화하여 제8 문제 정보로 저장하는 비문학 능력수치 테스트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클리닉 시스템은,
    상기 답안 정보와 함께 상기 제한 시간에 대비하여 문제를 푼 결과의 시간 정보를 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는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
    상기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답안 정보와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된 문제를 분석하여 획득 점수, 종합 점수, 등급 점수 및 유형간 비교 점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계치로 가공하는 통계치 가공 모듈;
    상기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시간 정보, 제한 시간 및 문제 정보를 분석하여 분당 글자수를 수치화하는 학습자의 독해속도를 계산하는 독해속도 계산 모듈; 및
    상기 통계치 가공 모듈 및 독해속도 계산 모듈에 의한 정보를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5.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클리닉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진단 클리닉 제공 방법은,
    (a) 학습자의 로그인 정보를 제공받아 회원 가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 의해 회원 가입된 해당 학습자를 대상으로, 언어 영역의 문학 감상 능력과 독해력 능력을 진단하는데 필요한 운문 및 산문 형태로 이루어진 문학과 관련된 문제와 비문학과 관련된 문제를 여러 형태의 유형별로 나누어 저장하고,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문제의 각 유형마다 제한 시간을 달리하여 저장하고, 상기 (b) 단계의 각 유형별로 나누어진 문제와 함께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제공 결과로, 학습자에 의해 제시된 답안 결과를 제공받아 획득 점수, 종합 점수, 등급 점수 및 유형간 비교 점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계치로 가공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c) 단계에서 제공된 제한 시간에 대비하여 문제를 푼 결과의 시간 정보를 학습자의 단말로부터 더 제공받아 저장한 후, 상기 시간 정보와 제한 시간을 분석하여 해당 학습자의 독해속도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현대 운문, 현대 산문, 고전 운문 및 고전 산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1 문제 정보 및 상기 각각의 제1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작품명 고르기와 관련된 제2 문제 정보를 포함하여 보다 세분화한 유형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문학 기초 지식, 어휘 학습수치, 비문학 기초지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3 문제 정보 및 상기 각각의 제3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문학 OX형 답하기, 적절어휘 넣기 및 비문학 OX형 답하기로 이루어진 제4 문제 정보를 포함하여 보다 세분화한 유형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운문 능력수치와 산문 능력수치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5 문제 정보 및 상기 제5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적절보기 고르기, 시어찾기, 해당작품 고르기, 배열하기 및 지문 읽고 답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6 문제 정보를 포함하여 보다 세분화한 유형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서술방식 파악능력, 내용전개 파악능력, 문맥 파악능력, 중심문장 파악능력 및 지문분석 능력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7 문제 정보 및 상기 제7 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지문 고르기, 배열하기, 적절위치 찾기, 중심문장 찾기 및 읽고 답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8 문제 정보를 포함하여 보다 세분화한 유형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100072666A 2010-07-28 2010-07-28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199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666A KR101199029B1 (ko) 2010-07-28 2010-07-28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666A KR101199029B1 (ko) 2010-07-28 2010-07-28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107A KR20120011107A (ko) 2012-02-07
KR101199029B1 true KR101199029B1 (ko) 2012-11-08

Family

ID=45835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666A KR101199029B1 (ko) 2010-07-28 2010-07-28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0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599B1 (ko) 2020-01-07 2021-03-25 오영석 객관식 시험으로부터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평가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평가방법
KR102250854B1 (ko) 2021-03-19 2021-05-10 오영석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평가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평가하는 방법
KR20230010290A (ko) 2021-07-12 2023-01-19 오영석 학습자 컴퓨터와 시험 평가 서버를 이용한 지식 수준 테스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1893A (ja) 2001-01-25 2002-08-09 Takeshi Hashimoto 学習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1893A (ja) 2001-01-25 2002-08-09 Takeshi Hashimoto 学習支援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599B1 (ko) 2020-01-07 2021-03-25 오영석 객관식 시험으로부터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평가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평가방법
KR102250854B1 (ko) 2021-03-19 2021-05-10 오영석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평가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평가하는 방법
KR20230010290A (ko) 2021-07-12 2023-01-19 오영석 학습자 컴퓨터와 시험 평가 서버를 이용한 지식 수준 테스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107A (ko) 201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iu et al.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future research recommend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Mao et al. Validation of automated scoring for a formative assessment that employs scientific argumentation
Klenowski et al. The impact of high stakes testing: The Australian story
Allchin et al. Finding the place of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Epistemics and Whole Science
Sun et al. Teachers’ grading practices: Meaning and values assigned
Im et al. Critical review of validation models and practices in language testing: their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validation research
Wind et al. The influence of rater effects in training sets on the psychometric quality of automated scoring for writing assessments
Jeffries et al. Comparing vignette instruction and assessment tasks to classroom observations and reflections
Gardner et al. Engaging and empowering teachers in innovative assessment practice
Tisi et al. A review of literature on marking reliability research
CN108763588A (zh) 一种知识点量化分析方法及装置
Stephens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research on the knowledge and skills of Australian preservice teachers
Sizmur et al. Achievement of 15-year-olds in England: PISA 2018 results
Kudrna et al. Considering the role of “need for cognition” in students’ acceptance of climate change & evolution
CN106875770A (zh) 一种少年学生创新能力测验评定装置
Jones et al. Cognitive maps and the structure of observed learning outcome assessment of physiotherapy students’ ethical reasoning knowledge
CN117010709A (zh) 一种学生弱项的评估方法及系统
Tardi Case study: Defining and differentiating among types of case studies
Van der Walt The validation of language tests
Allan et al. Strengths and satisfaction in first year undergraduate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KR101199029B1 (ko) 언어 영역의 학습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ulcher et al. Dealing with the demands of language testing and assessment
Muir Principles of practice and teacher actions: Influences on effective teaching of numeracy
Karaman et al. Teachers’ use of open-ended questions: A mixed-methods study
US20140120514A1 (en) Cloud Learning System Capable of Enhancing Learner's Capability Based on Then-Current Contour or Profile of Levels or Capabilities of the Lear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