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126B1 -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126B1
KR101198126B1 KR1020100089977A KR20100089977A KR101198126B1 KR 101198126 B1 KR101198126 B1 KR 101198126B1 KR 1020100089977 A KR1020100089977 A KR 1020100089977A KR 20100089977 A KR20100089977 A KR 20100089977A KR 101198126 B1 KR101198126 B1 KR 101198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ogenic fluid
pipe
point
delivered
cryoge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027A (ko
Inventor
한종훈
임영섭
이웅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8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1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80Arrangements of heating or cooling devices for liquids to be transfer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17D1/082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for cold fluids, e.g.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fluid to be liquefied
    • F25J1/0022Hydrocarbons, e.g. natural gas

Abstract

길이가 긴 배관 또는 폭이 좁은 배관에서 발생되는 초저온 유체의 기화를 방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은 제1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점에 저장되어 있는 초저온 유체를 하역하기 위한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제2 지점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냉각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ryogenic Fluids}
본 발명은 유체 전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초저온 유체의 전달에 관한 것이다.
초저온 유체는 액체와 기체의 부피 차이가 매우 크고 기화되는 순간 부피의 증가율이 매우 커서 순간적으로 팽창하는 성질을 가진다. 상압을 기준으로 할 때, 완전히 기화된 초저온 유체의 부피는 액체 상태의 초저온 유체에 비해 약 600배 증가한다. 특히, 기화되는 순간 부피가 급격하게 증가하는데 이러한 급격한 부피 팽창은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초저온 유체 중 하나인 액화 천연 가스(LNG)의 온도에 따른 부피 증가율 및 증기 분획(Vapor Fraction)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초저온 유체를 제1 지점(예컨대, 수송선)으로부터 제2 지점(예컨대, 저장 탱크)로 하역하는 순간에는 제1 지점으로부터 대량의 초저온 유체가 유입되므로 열유입으로 인한 온도 상승이 거의 미미하여 초저온 유체의 기화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그러나 하역이 진행 중이지 않는 경우(Idle Interval), 배관을 비워두게 되면 내부 온도가 상온까지 상승하여 초저온 유체가 유입될 때 급격하게 기화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배관의 온도가 Idle Interval 동안 상온으로 상승하였다가 재냉각이 이루어지면 하역시 지연(Delay)이 발생되어 시간을 낭비하게 되고 잦은 온도 변화로 인한 배관 및 장치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2 지점에 저장된 초저온 유체를 펌프로 배출하여 제2 지점에 연결된 배관을 순환시켜 저온의 냉각 상태를 유지하는 재순환(Recirculation) 기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순환 기법 또한 배관이 길어지는 경우나, 배관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배관에서 발생하는 기화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길이가 긴 배관 또는 폭이 좁은 배관에서 발생되는 초저온 유체의 기화를 방지할 수 있는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은, 제1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점에 저장되어 있는 초저온 유체를 하역하기 위한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제2 지점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냉각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초저온 유체의 온도 이하의 온도를 가지는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냉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냉매는 액화질소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은, 상기 제2 지점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점 내에 저장된 상기 초저온 유체를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방출하는 가압펌프; 및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 펌프에 의해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상기 제1 배관으로 전달하는 제3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점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초저온 유체는 상기 제3 배관, 제1 배관, 및 제1 배관을 통해 재순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초저온 유체의 재순환은 상기 초저온 유체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전달되지 않는 시간 구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초저온 유체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전달되기 이전의 소정 시간 동안 동작되어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제1 배관보다 좁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초저온 유체가 저장되어 있는 오프쇼어 탱크(Offshore Tank)이고,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초저온 유치가 저장될 온쇼어 탱크(Onshore Tank)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초저온 유체는 액화 천연 가스(Liquid Natural Gas: LN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초저온 유체 전달 방법은, 제1 지점에 연결된 제1 배관과 상기 제1 배관에 연결된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제1 지점에 저장되어 있는 초저온 유체를 제2 지점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으로 상기 초저온 유체가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제2 지점에 저장된 상기 초저온 유체를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제1 배관에 연결된 제3 배관,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을 이용하여 재순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으로 상기 초저온 유체가 다시 전달되기 이전의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제2 지점으로 전달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저온 유체의 냉각 단계에서, 액화질소와 같이 상기 초저온 유체의 온도 이하의 온도를 가지는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지 배관에 열교환기를 설치함으로써 길이가 긴 배관 또는 폭이 좁은 배관에서 발생하는 초저온 유체의 기화를 방지하여 규모가 크고 길이가 긴 배관을 가지는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의 전 구간에서 초저온 유체가 절대적인 액체(Absolute Liquid)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의 전 구간에서 초저온 유체가 절대적인 액체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초저온 유체의 기화로 인해 발생하는 리스크를 줄이고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가 긴 배관 또는 폭이 좁은 배관에서 발생하는 초저온 유체의 기화를 방지함으로써 하역시 발생되는 지연 및 배관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액화 천연 가스의 온도에 따른 부피 증가율 및 증기 분획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압력의 변화에 따른 초저온 유체의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의 재순환 과정에서 초저온 유체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에서의 하역 과정에서 초저온 유체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200)은 수송선과 같은 오프쇼어 탱크(Offshore Tank)인 제1 지점(210)에 저장되어 있는 초저온 유체를 저장 탱크와 같은 온쇼어 탱크(Onshore Tank)인 제2 지점(22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초저온 유체는 액화 천연 가스(Liquid Natural Gas: LNG)일 수 있다.
이러한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관(230), 제2 배관(240), 가압펌프(250), 제3 배관(260), 및 열교환기(270)를 포함한다.
먼저, 제1 배관(230)은 제1 지점(260)에 저장되어 있는 초저온 유체를 하역하여 제2 배관(240)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이러한 제1 배관(230)은 제1 지점(210)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관(230)은 상기 초저온 유체의 재순환(Recirculation)을 위해 상기 제2 지점(220)으로부터 방출되어 제3 배관(260)으로부터 전달되는 초저온 유체를 제2 배관(240)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제1 배관(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배관(230)은 제1 지점(210)으로부터 제1 배관(230)으로 공급되는 초저온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1 밸브(232)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배관(260)을 통해 전달되는 초저온 유체가 제1 배관(230) 및 제2 배관(230)을 통해 재순환 되도록 하기 위한 제2 밸브(23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배관(240)은 일단이 제1 배관(2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지점(220)에 연결되어, 제1 배관(230)으로부터 전달되는 초저온 유체를 제2 지점(22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제1 배관(230)으로부터 전달되는 초저온 유체는 제1 지점(210)으로부터 하역된 것이거나 재순환을 위해 제2 지점(220)으로부터 방출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배관(240)은 제1 배관(240)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 지점(220)에 초저온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제2 지점(22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배관(2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관(240)을 통해 전달되는 초저온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3 밸브(2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압 펌프(250)는 제2 지점(220)에 저장되어 있는 초저온 유체를 재순환시키기 위해 제2 지점(22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 지점(220)에 저장되어 있는 초저온 유체를 제3 배관(260)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가압 펌프(250)를 이용하여 제2 지점(220)에 저장되어 있는 초저온 유체를 방출하여 재순환 시키는 이유는 제1 지점(210)으로부터 초저온 유체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Idle Interval 구간인 경우), 각 배관들을 비워두게 되면 배관의 내부 온도가 상온까지 상승하여 제1 지점(210)으로부터 초저온 유체가 다시 유입될 때 초저온 유체가 급격하게 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가압 펌프(250)는 제1 지점(210)으로부터 초저온 유체가 유입되지 않을 때에만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배관(260)은 일단이 상기 가압 펌프(25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배관(23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압 펌프(250)에 의해 상기 제2 지점(220)으로부터 방출된 초저온 유체를 제1 배관(230)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제3 배관(260)은 가압 펌프(250)에 의해 상기 제2 지점(220)으로부터 방출되는 초저온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4 밸브(262) 및 제5 밸브(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열교환기(270)는 제2 배관(240) 내에 설치되어, 제2 배관(240)을 통해 제2 지점(220)으로 전달되는 초저온 유체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배관(240)은 제1 배관(230)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배관(230)에 비해 초저온 유체의 유량이 감소될 수 밖에 없고, 열 유입의 증가로 인한 온도 상승이 더욱 클 수 밖에 없다.
또한, 제2 배관(240)은 제2 지점(220)으로 초저온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제2 지점(22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엘레베이션(Elevation) 상승으로 인하여 제2 배관(240) 내의 압력이 제1 배관(230) 내의 압력보다 감소하게 되고, 압력이 감소하게 되면 기체가 발생하는 포점(Bubble Point)이 더 낮아지게 되므로, 제2 배관(240)은 제1 배관(230)에 비해 초저온 유체가 기화되기 쉬운 조건을 가질 수 밖에 없다.
특히, 고압으로 운전되던 재순환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저압인 하역 과정으로 전환하는 경우, 압력의 감소로 인해 기체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때 온도가 제일 높고 압력이 제일 낮은 제2 배관(240)의 경우 기화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2 배관(240) 내에 열교환기(270)를 설치하여 제2 배관(240)을 통과하는 초저온 유체의 온도를 추가로 냉각시킴으로써 재순환 과정에서 하역 과정으로 전환시 압력이 감소되더라도 제2 배관(240) 내의 온도가 포점에 도달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열교환기(270)에 의한 온도 변화를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압력의 변화에 따른 초저온 유체의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순환 과정에서는 상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초저온 유체가 순환되므로 제1 배관(230) 내에서는 초저온 유체의 온도가 제1 지점(A)에서 제2 지점(B)까지 상승하더라도 완전한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데 지장이 없다. 그러나, 제2 배관(240)의 경우 제1 배관(230)보다 적은 유량이 흐르므로 짧은 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온도가 상승하며, 엘레베이션 증가로 인한 압력 감소로 인해 초저온 유체의 온도가 포점에 가까운 조건(C)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역을 위하여 제1 및 제2 배관(230, 240)의 압력을 감소시키게 되면, 제1 배관(230)의 초저온 유체는 액체 상태를 유지하더라도(A(D, B(E), 제2 배관(240)의 초저온 유체는 포점을 넘어서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C(F).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열교환기(270)를 이용하여 제2 배관(240)을 통과하는 초저온 유체를 추가로 냉각시키게 되면, 그 온도가 감소하게 되고(C(G), 따라서, 하역을 위해 제2 배관(240)의 압력을 감소시키더라도 제2 배관(240)의 초저온 유체의 온도는 포점에 도달하지 않게 된다(G(H).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열교환기(270)는 초저온 유체의 온도 이하의 온도를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제2 배관(24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물질에는 액화질소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열교환기(270)는 초저온 유체의 재순환 과정이 수행되는 전체시간 구간에 걸쳐 동작할 필요는 없고, 제1 지점(210)으로부터 초저온 유체의 하역이 시작되기 직전의 소정 시간 구간 동안에 한해서만 동작하면 된다. 이때, 열교환기(270)가 동작되어야 하는 시간은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200)의 운영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200)이 초저온 유체를 제1 지점(210)에서 제2 지점(22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1 배관 내지 제3 배관(230, 240, 26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배관(280) 및 밸브들(282, 284)을 더 포함함으로써 다른 외부 장치(미도시)로 초저온 유체를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200)에 의해 초저온 유체가 전달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의 재순환 과정에서 초저온 유체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저온 유체의 재순환 과정이란 제1 지점(210)에서 제2 지점(220)으로 초저온 유체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Idle Interval), 제1 및 제2 배관(230, 240)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되는 과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재순환 과정은 제1 지점(210)에 저장된 초저온 유체의 하역이 완료된 이후 다음 하역이 시작되기 이전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재순환 과정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관(230)에 포함된 제1 밸브(232) 및 제2 밸브(234)는 닫히고, 제2 배관(240)에 포함된 제3 밸브(242), 제3 배관에 포함된 제4 및 제5 밸브(262, 264)는 모두 열리게 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제2 지점(220)에 저장된 초저온 유체는 가압 펌프(250)에 의해 제4 및 제5 밸브(262, 264)를 통해 제3 배관(260)으로 방출된다. 또한, 제3 배관(260)을 통과한 초저온 유체는 제1 배관(230)으로 전달된다. 이때, 제1 배관(230)으로 전달된 초저온 유체는 제2 밸브(234)가 닫혀 있기 때문에 제2 배관(240)으로 전달되고, 제2 배관(240)의 제3 밸브(242)를 통해 제2 지점(220)으로 다시 유입된다.
이때, 열교환기(270)는 가동될 필요가 없으며, 재순환을 위한 최소한의 초저온 유체만을 흘려주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점(210)으로부터 초저온 유체가 공급되지 않더라도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2 지점(220)에 저장된 초저온 유체가 제1 및 제2 배관(230, 240)을 재순환하게 되므로 제1 및 제2 배관(230, 240)의 내부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에서의 하역 과정에서 초저온 유체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하역이 시작되기 이전의 소정 시간 동안 열교환기(270)로 냉매를 흘려 보냄으로써 제2 배관(240)을 통과하는 초저온 유체의 온도를 냉각시킨다. 이때, 냉매로는 초저온 유체의 온도 이하의 온도를 갖는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액화질소와 같은 물질이 냉매로 이용될 수 있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배관(260)에 포함된 제5 밸브(264)를 닫아 제1 배관(230) 내의 압력을 낮춘다.
이후, 제1 배관(230) 내의 압력이 충분하게 낮아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관(230)에 포함된 제1 밸브(232) 및 제2 밸브(234)를 열어 제1 지점(210)에 저장된 초저온 유체를 제2 지점(220)으로 전달하는 하역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210: 제1 지점
220: 제2 지점 230: 제1 배관
240: 제2 배관 250: 가압 펌프
260: 제3 배관 270: 열교환기

Claims (14)

  1. 제1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점에 저장되어 있는 초저온 유체를 하역하기 위한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제2 지점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 배관;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상기 제1 배관으로 전달하는 제3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냉각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점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초저온 유체는 상기 제3 배관, 제1 배관, 및 제2 배관을 통해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초저온 유체의 온도 이하의 온도를 가지는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액화질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점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점 내에 저장된 상기 초저온 유체를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방출하는 가압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저온 유체의 재순환은 상기 초저온 유체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전달되지 않는 시간 구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초저온 유체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전달되기 이전의 소정 시간 동안 동작되어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제1 배관보다 좁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초저온 유체가 저장되어 있는 오프쇼어 탱크(Offshore Tank)이고,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초저온 유치가 저장될 온쇼어 탱크(Onshore Tan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저온 유체는 액화 천연 가스(Liquid Natural Gas: L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10. 제1 지점에 연결된 제1 배관과 상기 제1 배관에 연결된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제1 지점에 저장되어 있는 초저온 유체를 제2 지점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으로 상기 초저온 유체가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제2 지점에 저장된 상기 초저온 유체를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제1 배관에 연결된 제3 배관,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을 이용하여 재순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으로 상기 초저온 유체가 다시 전달되기 이전의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제2 지점으로 전달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유체 전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저온 유체의 냉각 단계에서,
    상기 초저온 유체의 온도 이하의 온도를 가지는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유체 전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저온 유체의 냉각 단계에서,
    액화질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초저온 유체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유체 전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초저온 유체가 저장되어 있는 오프쇼어 탱크이고,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초저온 유치가 저장될 온쇼어 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유체 전달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저온 유체는 액화 천연 가스(L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유체 전달 방법.
KR1020100089977A 2010-09-14 2010-09-14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1198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977A KR101198126B1 (ko) 2010-09-14 2010-09-14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977A KR101198126B1 (ko) 2010-09-14 2010-09-14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027A KR20120028027A (ko) 2012-03-22
KR101198126B1 true KR101198126B1 (ko) 2012-11-12

Family

ID=4613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977A KR101198126B1 (ko) 2010-09-14 2010-09-14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1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3757A (ja) 1995-10-05 2000-10-17 ビーエイチピー ペトロリウム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液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3757A (ja) 1995-10-05 2000-10-17 ビーエイチピー ペトロリウム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液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027A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235B1 (ko) 해수 가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KR102053387B1 (ko) 냉각 회로 내의 과냉 액체를 이용한 소비자 냉각 장치
JP6438938B2 (ja) フライ上での液体天然ガス冷却
FR3022233B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fourniture de fluide
JP5746202B2 (ja) Lngの再気化用プラント
JP6994464B2 (ja) 液化ガス貯蔵タンクの運転方法およびlngとボイルオフガスを受容するための液化ガス貯蔵タンク
JP2010266068A (ja)
US20140013777A1 (en) Storage tank having heat exchanger and natural gas fuel supply system having same storage tank
JP6407054B2 (ja) 液化ガス出荷設備向け熱量調整システム
KR101151094B1 (ko) 주변 공기 증발기
KR101941314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408357B1 (ko) Lng를 이용한 액화가스 재액화장치 및 이를 가지는 액화가스운반선
KR101996286B1 (ko)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lng를 이용한 다중 냉동창고의 냉매순환 시스템
KR101788744B1 (ko) 저온 가스 액화물 운반선의 기화식 하역장치 및 방법
KR20120123783A (ko) 선박 엔진용 엘엔지 연료 공급시스템
KR101198126B1 (ko) 초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42645A1 (en) Method for turndown of a liquefied natural gas (lng) plant
US7484540B2 (en) Liquid hydrogen storage tank with reduced tanking losses
JP7228983B2 (ja) Bog再凝縮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lng供給システム。
KR102061827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KR20190041859A (ko) Lng연료를 이용한 액화가스 재액화장치 및 이를 가지는 액화가스운반선
KR101903760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JP2015102229A (ja) 車載貯蔵容器への水素ガス充填方法
KR100896927B1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증발가스 억제장치 및 억제방법, 그리고상기 억제장치를 구비한 액화가스 운반선
KR101875089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의 이상압력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