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432B1 - 배변 보조구 - Google Patents

배변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432B1
KR101197432B1 KR1020100100922A KR20100100922A KR101197432B1 KR 101197432 B1 KR101197432 B1 KR 101197432B1 KR 1020100100922 A KR1020100100922 A KR 1020100100922A KR 20100100922 A KR20100100922 A KR 20100100922A KR 101197432 B1 KR101197432 B1 KR 101197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insertion tube
main wall
anal inser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9290A (ko
Inventor
강상윤
Original Assignee
강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윤 filed Critical 강상윤
Priority to KR1020100100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43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5Valves or valv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luid inlet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6Valves closing automatically on disconnecting the line and opening on reconnec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변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심부에 주흡입부(101)를 형성한 항문삽입관(1)의 주벽에 보조흡입부(102)를 형성하여 상기 보조흡입부(102)의 입구(102a)는 항문삽입관(1) 주벽의 하부 측면에 형성하고, 상기 보조흡입부(102)의 출구에는 개폐밸브(4)를 설치하며; 항문삽입관(1)의 주벽에 형성된 보조흡입부(102)의 입구(102a)의 하부에는 주벽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된 풍선확장부(2)를 형성하여 그 풍선확장부(2)와 이어지는 공기통로(201)의 입구를 상기 주벽의 상부에 형성하여 그 입구에 자동개폐밸브(202)를 설치하며; 상기 주벽에 두 개의 세정관(3, 3')을 형성하여 주벽의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각 세정관(3, 3')의 입구에는 개폐밸브(4)를 설치하되, 주벽의 상부에 위치한 세정관(3)의 출구는 주벽의 내면에서 흡입장치를 향하도록 형성하고, 주벽의 하부에 위치한 세정관(3')의 출구는 주벽의 내면에서 항문을 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하여 혼자서는 배변을 해결하지 못하는 이들의 배변을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변으로 인한 환자의 피부 및 의복이나, 주변침구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욕창이나 각종 피부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변 보조구{Apparatus for assisting defecation}
본 발명은 배변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거동이 불편하여 혼자서 배변이 곤란한 와병중인 환자나 노인의 배변을 쉽고 청결하게 수집,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배변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에 누워 생활하는 중환자나, 신체장애인 또는 노인과 같이 혼자서는 거동이 어려운 사람들은 가장 기본적인 음식물 섭취나 배변, 배뇨 등을 수행함에 있어서 타인의 도움이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러한 행위를 도와주는 간병인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런데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은 간병인의 도움으로 비교적 쉽게 해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행위를 도와주는 간병인 역시 큰 어려움이 없으나, 배변, 배뇨와 같은 용변을 처리함에 있어서, 불편한 몸으로 용변을 행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그러한 사람을 도와주는 간병인까지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거동이 불편하여 배변, 배뇨에 있어서 간병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은 배변이나 배뇨 과정에서 요강과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간이 대변기나 간이소변기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간이 대변기나 간이소변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사용하는 사람이 기본적으로 자신의 신체 중 일부분이라도 자신의 의지대로 움직일 수 있는 경우에 가능하지만, 신체를 움직이는 것이 곤란한 중상자나 의식불명자 등과 같은 경우에는 위와 같이 신체를 움직이는 것 자체가 곤란하기 때문에 간병인이 배변이나 배뇨 과정을 전적으로 전담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간병인은 여성인 경우가 많은데 여성 간병인이 신체를 움직이는 것이 곤란한 건장한 남성 환자의 배변과 배뇨를 처리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일뿐만 아니라 특히 배변의 경우에는 간이배변기에 의한 처리 과정에서 변이 간이배변기 밖으로 새어나와 환자의 피부 및 환자복이나 주변 침구를 오염시키는 경우가 매우 빈번히 발생하며, 변의 냄새로 인해서 주위 사람이나 간병인이 불쾌감에 많은 불편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간병인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 있는 중환자의 경우에는 간이배변기나 간이배뇨기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성인용 기저귀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배변이나 배뇨의 양이 많은 경우에 쉽게 기저귀 밖으로 새어나와 환자의 신체나 환자복, 침구 등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오염된 환자의 신체뿐만 아니라 환자복, 침구 등을 처리하는데 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처리가 신속,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욕창이나 피부염과 같은 2차 질병이 발생하는 경우도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침대에 누워서 생활할 수밖에 없는 노인이나 중환자와 같이 자의적인 거동이 불편한 이들의 배변과 배뇨를 보다 쉽고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치가 환자뿐만 아니라 그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간병인에게도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문에 삽입관을 직접 삽입하여 환자의 변을 흡인하여 처리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이들의 배변을 간편하고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배변 보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중심부에 주흡입부(101)를 형성한 항문삽입관(1)의 주벽에 보조흡입부(102)를 형성하여 상기 보조흡입부(102)의 입구(102a)는 항문삽입관(1) 주벽의 하부 측면에 형성하고, 상기 보조흡입부(102)의 출구에는 개폐밸브(4)를 설치하며,
항문삽입관(1)의 주벽에 형성된 보조흡입부(102)의 입구(102a)의 하부에는 주벽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된 풍선확장부(2)를 형성하여 그 풍선확장부(2)와 이어지는 공기통로(201)의 입구를 상기 주벽의 상부에 형성하여 그 입구에 자동개폐밸브(202)를 설치하며,
상기 주벽에 두 개의 세정관(3, 3')을 형성하여 주벽의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각 세정관(3, 3')의 입구에는 개폐밸브(4)를 설치하되, 주벽의 상부에 위치한 세정관(3)의 출구는 주벽의 내면에서 흡입장치를 향하도록 형성하고, 주벽의 하부에 위치한 세정관(3')의 출구는 주벽의 내면에서 항문을 향하도록 형성한 구성이다.
삭제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하여 혼자서는 배변을 해결하지 못하는 이들의 배변을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변으로 인한 환자의 피부 및 의복이나, 주변침구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욕창이나 각종 피부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환자의 배변을 보다 쉽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배변 처리로 인한 환자나 간병인의 정신적, 육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환자 스스로도 배변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간병인의 숫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에서 간병인의 상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환자의 항문에 삽입된 흡인관을 이용해 변을 흡인 처리하는 과정에서 세정수를 항문 내부로 공급하여 직장 내부에 남아있는 잔변을 말끔하게 세정한 후 이를 흡인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배변뿐만 아니라, 관장과 같이 진단 또는 치료 목적을 위한 직장 내 세정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항문삽입관(1)을 항문에 삽입하여 환자의 직장 내부에 존재하는 변을 흡입장치를 이용해 직접 흡입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합성수지나 실리콘과 같은 연질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중심부에 주흡입부(101)를 형성한 항문삽입관(1)의 주벽에 보조흡입부(102)를 형성하여 상기 보조흡입부(102)의 출구에 개폐밸브(4)를 설치하고, 그 입구(102a)는 항문삽입관(1) 주벽의 하부 측면에 형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첨부도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항문삽입관(1)의 하단부를 항문 내부에 삽입하되, 상기 항문삽입관(1) 주벽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보조흡입부(102)의 입구(102a)까지 항문 내부로 투입되도록 항문삽입관(1)을 삽입하게 된다.
한편, 항문삽입관(1)을 환자의 항문 내부에 삽입하기에 앞서 항문삽입관(1)의 주흡입부(101)에 흡입장치를 연결관(5)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흡입부(102)의 출구에 형성된 개폐밸브(4)도 연결관(5)을 이용하여 흡입장치에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항문삽입관(1)의 주흡입부(101)에 의해 환자의 직장 내부에 존재하는 변이 흡입장치를 통해 흡입될 뿐만 아니라, 항문 내부로 투입된 항문삽입관(1)의 주흡입부(101) 외벽과 직장 내벽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변은 보조흡입부(102)를 통해 흡입장치로 흡입되기 때문에 항문삽입관(1)과 항문의 틈 사이로 변이 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항문삽입관(1)을 항문 내부에 삽입하여 직장 내부의 변을 흡입장치를 이용해 흡입 처리하는 과정에서 항문 내부에 삽입된 항문삽입관(1)이 항문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항문삽입관(1)의 하부에는 주벽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된 풍선확장부(2)를 형성하여 그 풍선확장부(2)와 이어지는 공기통로(201)의 입구를 상기 주벽의 상부에 형성하여 그 입구에 자동개폐밸브(202)를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개폐밸브(202)에 주사기를 끼워넣으면 주사기를 밀어넣은 압력에 의해 자동개폐밸브(202)가 열리기 때문에 주사기를 이용해 상기 공기통로(201)로 공기를 밀어넣으면 항문삽입관(1)의 주벽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풍선확장부(2)가 첨부도면 도 2와 같이 팽창하면서 항문 내부에서 직장 내벽과 밀착되기 때문에 환자가 변의에 의해 괄약근에 힘을 주더라도 팽창한 풍선확장부(2)가 항문 내측에서 직장 내벽에 밀착되어 걸려있기 때문에 흡입장치를 이용해 환자의 변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항문삽입관(1)이 항문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환자의 변을 위생적이면서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팽창된 풍선확장부(2)를 축소시키기 위해서는 자동개폐밸브(202)에 주사기를 끼운 상태에서 공기를 빼주게 되면 풍선확장부(2)가 축소된다.
한편, 항문삽입관(1)의 주벽에는 두 개의 세정관(3, 3')을 형성하여 주벽의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각 세정관(3, 3')의 입구에는 개폐밸브(4)를 설치하여 이 개폐밸브(4)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관(6)을 연결하되, 주벽의 상부에 위치한 세정관(3)의 출구는 주벽의 내면에서 흡입장치를 향하도록 형성하고, 주벽의 하부에 위치한 세정관(3')의 출구는 주벽의 내면에서 항문을 향하도록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항문삽입관(1)을 환자의 항문에 삽입하여 흡입장치를 이용해 환자의 변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변이 너무 딱딱하게 굳어 있거나, 덩어리져 있어서 항문삽입관(1)의 주흡입부(101)를 통해 쉽게 흡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세정관(3')을 통해 물을 공급하면 그 물이 항문삽입관(1)에 의해 직장 내부로 직접 공급됨으로써 너무 딱딱하게 굳어 있거나, 덩어리진 변을 묽게 만들어 흡입장치로의 흡입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문삽입관(1)의 주흡입부(101)에 대한 세정 작용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흡입장치로 변이 흡입되는 과정에서도 세정관(3)을 이용해 물을 흡입장치 방향으로 공급하게 되면 항문삽입관(1)의 주흡입부(101)를 통해 흡입된 변이 흡입장치와 연결된 연결관(5)을 통해 흡입장치로 흡인되는 과정에서 변을 묽게 만들어줌과 동시에 변과 연결관(5) 내벽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흡입장치로의 흡입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문삽입관(1)의 주흡입부(101)에 대한 세정 작용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항문삽입관 101: 주흡입부
102: 보조흡입부 102a: 입구
2: 풍선확장부 201: 공기통로
202: 자동개폐밸브 3, 3': 세정관
4: 개폐밸브

Claims (1)

  1. 중심부에 주흡입부(101)를 형성한 항문삽입관(1)의 주벽에 보조흡입부(102)를 형성하여 상기 보조흡입부(102)의 입구(102a)는 항문삽입관(1) 주벽의 하부 측면에 형성하고, 상기 보조흡입부(102)의 출구에는 개폐밸브(4)를 설치하며,
    항문삽입관(1)의 주벽에 형성된 보조흡입부(102)의 입구(102a)의 하부에는 주벽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된 풍선확장부(2)를 형성하여 그 풍선확장부(2)와 이어지는 공기통로(201)의 입구를 상기 주벽의 상부에 형성하여 그 입구에 자동개폐밸브(202)를 설치하며,
    상기 주벽에 두 개의 세정관(3, 3')을 형성하여 주벽의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각 세정관(3, 3')의 입구에는 개폐밸브(4)를 설치하되, 주벽의 상부에 위치한 세정관(3)의 출구는 주벽의 내면에서 흡입장치를 향하도록 형성하고, 주벽의 하부에 위치한 세정관(3')의 출구는 주벽의 내면에서 항문을 향하도록 형성한 구성으로 된 배변 보조구.
KR1020100100922A 2010-10-15 2010-10-15 배변 보조구 KR101197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922A KR101197432B1 (ko) 2010-10-15 2010-10-15 배변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922A KR101197432B1 (ko) 2010-10-15 2010-10-15 배변 보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290A KR20120039290A (ko) 2012-04-25
KR101197432B1 true KR101197432B1 (ko) 2012-11-06

Family

ID=46139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922A KR101197432B1 (ko) 2010-10-15 2010-10-15 배변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369B1 (ko) * 2019-02-21 2021-04-08 한정민 배변(排便) 유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4996A1 (en) 2003-09-09 2005-03-10 Gregory Christopher C. Fecal management applian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4996A1 (en) 2003-09-09 2005-03-10 Gregory Christopher C. Fecal management applian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290A (ko)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57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tient care and cleaning
KR101680982B1 (ko) 대변 배출기
JP5679493B2 (ja) スマートな介護用排泄物処理装置
JP2016523170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US20080183157A1 (en) D. A. W. (Non-Invasive) Catheters
JP4039641B2 (ja) 女性用尿レシーバー
TWI812950B (zh) 穿戴式沖洗裝置
WO2019239433A1 (en) Fecal collection device
TWM581463U (zh) Catheter structure
JP3233744U (ja) 男性尿路用の装着式集尿装置
KR101197432B1 (ko) 배변 보조구
CN202776688U (zh) 可多次使用的紧身大便器
KR200453814Y1 (ko) 자동배변처리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CN102715975B (zh) 可多次使用的紧身大便器及其使用方法
KR102070191B1 (ko) 환자용 오물처리기
KR100967218B1 (ko) 관장 기저귀
KR101292812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2300943B1 (ko) 남성 환자용 프리 소변기
CN203763339U (zh) 大便失禁引流装置
KR102110052B1 (ko) 와상 환자용 자동 배변장치
TW202116279A (zh) 排泄物清理裝置
CN116133631A (zh) 用于收集无法走动患者的身体废物的系统
TWM576862U (zh) Urine guiding collector and urine collecting assembly with the same
KR200461172Y1 (ko) 남자 환자의 소변을 받아 내는 장치
KR100836783B1 (ko) 환자의 배설물 처리용 팬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