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780B1 -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 - Google Patents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780B1
KR101196780B1 KR1020090035037A KR20090035037A KR101196780B1 KR 101196780 B1 KR101196780 B1 KR 101196780B1 KR 1020090035037 A KR1020090035037 A KR 1020090035037A KR 20090035037 A KR20090035037 A KR 20090035037A KR 101196780 B1 KR101196780 B1 KR 10119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ical
support rod
ball joint
protrus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6368A (ko
Inventor
유은희
Original Assignee
유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은희 filed Critical 유은희
Priority to KR1020090035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780B1/ko
Priority to PCT/KR2010/000635 priority patent/WO2010090428A2/ko
Publication of KR20100116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02Longitudinal elements, e.g. rods
    • A61B17/7019Longitudinal elements having flexible parts, or parts connected together, such that after implantation the elements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 A61B17/7023Longitudinal elements having flexible parts, or parts connected together, such that after implantation the elements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with a pivot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49Connectors, not bearing on the vertebrae, for linking longitudinal elements together
    • A61B17/7052Connectors, not bearing on the vertebrae, for linking longitudinal elements together of variable angle or leng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는, 수술적 방법으로 인접한 두 개의 척추뼈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됨으로써 척추 구조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척추 지지 로드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는, 상호 맞닿는 부위가, 구(球)면으로 이루어진 구형 돌설부와, 상기 구형 돌설부의 상기 구면과 일치하는 곡률의 구형 내측면을 구비한 구형 오목 수용부로 구성된, 모든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는 구조의 볼 조인트 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형 돌설부가 형성된 측인 제 1 본체,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가 형성된 측인 제 2 본체로 구분되도록 구성되어, 척추체 간의 거리를 정상 간격으로 유지시키거나, 척추의 구조를 정상 구조로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면서도 절곡 및 복원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안전한 범위 내에서의 척추 관절의 움직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수술 받은 후에도 움직임에 있어 상당한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술 부위가 고정됨으로써 발생하는 주변 척추 관절의 과부하를 분산시켜, 수술 후 후발적인 척추 관련 질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 {ROD FOR SUPPORTING SPINE INCLUDING BALL JOINT PART}
본 발명은 척추 지지 로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의 중간에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함으로써, 일정 각도로 절곡될 수 있는 구조의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척추는 단골(短骨)에 속하는 다수의 척추뼈가 일명 디스크라고도 불리는 허리 척추 원반(lumbar intervertebral disc, 요추간원판이라고도 하며, 이하 약칭하여 척추 디스크라고 함)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구성된 것으로서, 그 위치에 따라 목 부분의 척추를 경추, 경추 이하 가슴 부분에 해당하는 척추를 흉추, 허리 부분의 척추를 요추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척추 디스크는 척추뼈, 보다 구체적으로는 척추뼈의 원기둥형 부분인 척추체 사이에 있는 원반모양의 물렁뼈로, 겉은 비교적 단단한 섬유륜으로 되어 있고, 속은 젤리와 같은 수핵으로 이루어져 있다. 척추뼈 사이에서 쿠션과 같은 역할을 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척추뼈 사이 관절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 로서, 척추는 척추뼈들의 사이에 이러한 척추 디스크를 개재한 구조적 특성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유연한 휘어짐 동작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척추뼈는, 인접한 척추뼈와 척추 디스크를 사이에 두고 직접 연결되는 부분인 원기둥 형태의 척추체와, 상기 척추체로부터 등 방향으로 연장된 각종 돌기들을 구비한 형태를 띄는데, 통상 척추체로부터 등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돌기를 극돌기라 하며, 상기 극돌기를 중심으로 좌, 우에 대칭적인 형태로 위치하며 등쪽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된 두 개의 돌기를 횡돌기라고 한다.
그 호칭이 구분되어 불려지는 것에서처럼, 척추를 이루는 경추, 흉추, 요추 등은 전술한 돌기들의 형태, 수 등에서 다소 다른 모습을 가지기도 하나, 척추체의 외측면과, 상기 척추체로부터 등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기들로 둘러싸인 부분에는, 뇌로부터 연장되어 신체 각 부분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중요 기관인 척수가 지나가며 이를 보호하기 위한 공간인 추공이 공통적으로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사람의 척추는 신체를 지탱하기 위한 중심 기둥으로서 역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은 물론, 중요 기관인 척수를 보호하고 있는 기관으로서, 척추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몸 전체의 지탱과 관련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각종 신경학적 증상 역시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척추 관련 질병들 중 많은 부분이 외과적인 수술에 의해 다루어지거나 치료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인접한 척추체들의 간격이 좁아지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척추 디스크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수핵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이 파열되어 척추관 안으로 돌출하거나 탈출하여 척추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질병인 추간판 탈출증의 경우, 증세가 경미한 경우에는 운동 요법이나, 레이저에 의한 돌출 부분의 제거와 같은 간단한 수술에 의해 치료되기도 하나, 심한 불안정성을 동반한 경우에는, 좁아진 척추체 간의 간격을 원위치로 회복시킨 후 이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보형물을 설치하는 수술이 행해지기도 한다.
또한, 척추체에 골절이 발생하였거나, 사고 기타 원인으로 인해 척추뼈의 일부가 탈골된 경우, 척추가 원래의 형태에서 심하게 휜 심각한 척추측만증 등의 경우에도, 잘못된 척추뼈를 교정하거나, 손상된 척추뼈를 보호, 지지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보형물을 설치하는 수술이 행해지기도 한다.
이러한 형태의 종래 수술법에 의한 보형물의 장착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척추의 측면 방향에서 보형물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 척추뼈를 교정하거나 보호한 상태로 지지함으로써 치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술 대상이 되는 인접한 척추뼈에는 각각 척추 스크류(100)가 삽입, 고정되며, 교정되거나 치료된 구조를 견고하 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인접한 상, 하의 척추뼈에 각각 고정된 스크류(100)의 헤드부에는 막대형의 로드(200)를 파지할 수 있는 구조의 로드 파지 수단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척추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종방향으로 둘 이상의 척추뼈에 걸쳐 로드(200)가 단단하게 고정된다.
한편, 보다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반대측 측면에도 동일한 구조로 스크류(100) 및 로드(200)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때 스크류(100)는 척추체로부터 등쪽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두 개의 횡돌기 부근에서 척추체 방향을 향하도록 대칭적인 형태로 고정된다.
또한 도시된 형태는 두 개의 척추체만이 보형물에 관련된 구조이나, 척추 골절, 탈골 등을 치료하기 위해서 손상, 교정 범위가 넓은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 개 이상의 척추뼈를 지지하도록 로드가 설치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넓은 범위에 걸쳐 척추가 휜 척추측만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척추의 거의 모든 범위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보형물이 장착되기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스크류(100) 및 로드(200)를 설치함으로써, 잘못된 척추뼈의 위치를 교정하거나 척추뼈 사이의 간격을 회복시키고, 골절된 척추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킨 상태로 지지해 주는 등의 기능을 부여하여 척추의 이상에서 오는 각종 질병이나 신경학적 증상등을 완화, 치료할 수 있게 되기는 하나, 통상 단단한 합금 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로드가 설치된 해당 부분의 척추 관절은 굽혀질 수 없도록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므로, 본래의 척추 관절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휘어짐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되어 수술 받은 환자의 움직임에 있어 자유도가 크게 제한될 뿐만 아니라, 척추의 자연스러운 휘어짐에서 오는 충격 완화 등의 효과 또한 얻을 수 없어 신체에 커다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단순한 막대 형태의 로드를 대체하여, 중앙 부분에 주름 형태등을 형성시킨 로드가 제공되고 있기는 하나, 이 역시 일체화된 형태로 제공될 뿐이어서 다소간의 굽힘으로 인해 강한 외력 등으로 인한 척추의 휘어짐에 대해 충격을 완화하는 등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는 정도일 뿐이지, 수술 환자가 자의에 의해 허리 등을 굽히려 하는 데에 따른 척추 관절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란 불가능하다.
즉, 척추체에 골절이 일어나거나 하여 해당 부분의 척추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단단히 고정하여야 하는 경우는 별론으로 하더라도, 척추체의 간격을 넓힌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추간판 탈출증에 대한 수술이나, 어긋난 뼈의 교정을 위한 수술 등에 있어서는, 수술 후 각 척추뼈들이 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면서도 무리가 되지 않을 정도의 굽힘을 허용할 수 있는 지지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전술한 척추측만증에 대한 교정 수술에서와 같이 척추 대부분의 범위가 단단하게 고정되는 수술을 받은 환자가 겪게 되는 고통 등을 감안할때, 수술 후에도 척추 관절의 휘어짐을 허용할 수 있는 지지수단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강하게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척추 보형물 수술을 받은 경우에도, 척추의 휘어짐에 따른 움직임의 자유도를 확보하고, 충격을 완화하여 수술 부위 주변의 척추 관절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길이의 중앙부에 사방으로 절곡 가능한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는, 수술적 방법으로 인접한 두 개의 척추뼈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됨으로써 척추 구조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척추 지지 로드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는, 상호 맞닿는 부위가, 구(球)면으로 이루어진 구형 돌설부와, 상기 구형 돌설부의 상기 구면과 일치하는 곡률의 구형 내측면을 구비한 구형 오목 수용부로 구성된, 모든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는 구조의 볼 조인트 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형 돌설부가 형성된 측인 제 1 본체,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가 형성된 측인 제 2 본체로 구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볼 조인트 연결부에 있어,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에 형태 합치적으로 수용된 상기 구형 돌설부가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하여,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의 내측면과 인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최장 직경보다 큰 직경의 면적으로 이루어진 헤드와 상기 헤드 면의 중심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축을 구비한 결합구의 상기 결합축이 상기 관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구형 돌설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형 돌설부는, 형태 합치적으로 수용된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본체와는 기본적으로 분리된 구조로 제공되어 로드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본체에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에 대하여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기 구형 돌설부 상호간의 위치가 기본 위치로부터 이동된 경우 이들을 기본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원위치 복원용 탄성 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구형 돌설부는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와 맞닿는 부분인 구면부의 반대 방향 측면에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돌설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본체는,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의 일단부를 수용하여 상기 구형 돌설부의 직선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편, 개구부를 통해 상기 구형 돌설부의 구면부는 노출시키면서도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림으로 써 상기 구형 돌설부가 상기 제 1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이탈 차단벽이 형성된, 체임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임버 내에는, 상기 구형 돌설부가 일정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기본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원위치 복원용 탄성 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에는 상호 대향하는 면을 구비한 지지턱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본체의 지지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지지턱의 대향면 사이에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볼 조인트 연결부가 꺾여진 상태를 직선 형태로 복원시키는, 굴절 회복용 탄성 수단이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굴절 회복용 탄성 수단은, 고탄성의 고분자 수지 소재이거나,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진 환형 단면의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는, 종래의 척추 지지 로드가 수술 부위의 척추 관절을 고정시키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데에 비해, 척추체 간의 거리를 정상 간격으로 유지시키거나, 척추의 구조를 정상 구조로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면서도 절곡 및 복원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안전한 범위 내에서의 척추 관절의 움직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수술 받은 후에도 움직임에 있어 상당한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술 부위가 고정됨으로써 발생하는 주변 척추 관절의 과부하를 분산시켜, 수술 후 후발적인 척추 관련 질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제 1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로드의 경우, 도 7에서 설명된 종래의 막대기형 로드와 거의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기존 수술방식에서 대체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제 1 실시예의 구조는, 척추 지지 로드의 양 단부가 인접한 두 개의 척추뼈에 각각 고정된 스크류(100)를 경유하여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이나, 본 발명 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지지로드의 적어도 일 단부 이상이 그 밖의 방법으로 척추뼈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의 변경 역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된 예는 스크류(100)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로드의 일면이 평평하게 면취된 상태를 도시하는데, 이와 같이 면취된 부분에 대향하여 스크류(100)의 나사 조임이 행해질 경우, 접촉면이 좁은 곡선 면에 비해 스크류(100)의 체결 상태가 해제될 위험이 크게 감소된다.
한편, 전술한 종래의 막대형 척추 지지 로드와의 가장 큰 외관상 차이로서,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로드의 중앙 부위에 절곡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볼 조인트 연결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다.
길이의 중앙에 볼 조인트 연결부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지지 로드는 연결부를 기준으로 제 1 본체(201)와 제 2 본체(202)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임의적으로 볼 조인트 연결부 중 구형 돌설부(16)를 구비한 부분을 제 1 본체(201), 상기 구형 돌설부(16)에 대응되는 내측면을 구비한 구형 오목 수용부(17)를 구비한 부분을 제 2 본체(202)로 명명한다.
볼 조인트 연결부의 구체적인 구조 및 그 밖의 결합 구조를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척추 지지 로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연결부는, 구형 돌설부(16)의 구(球)면 일부와, 구형 오목 수용부(17)의, 상기 구형 돌설부(16)의 구면과 일치하는 곡률의 구형 내측면이 상호 맞닿는 구조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형 돌설부(16)가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17)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17)의 내측면과 인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7)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7)의 최장 직경보다 큰 직경의 면적으로 이루어진 헤드와 상기 헤드 면의 중심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축을 구비한 결합구(30)의 상기 결합축이 상기 관통공(27)을 경유하여 상기 구형 돌설부(16)에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형 돌설부(16)가 구형 오목 수용부(17)로 부터 이탈함으로써, 볼 조인트 연결부가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결합구(30)를 이용하는 도 2에 도시된 구조 이 외에도,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거의 완전 구체형태를 띄는 구형 돌설부 전체를 외곽에서 감싸는 구조로 오목 수용부(17)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볼 조인트 구성 방식의 적용 역시 가능하나, 조립 용이성, 구조 안정성, 절곡 각도 설정 및 제한의 용이성 등을 감안할 때 도 2에 도시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한편, 다양한 방향으로의 휘어짐이 가능한 척추 관절의 특성을 감안할 때, 더 높은 수준의 자유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지지 로드는 전술한 다양한 방향으로의 절곡이 가능한 구조 외에도 길이 방향으로의 신축 가능 구조를 더욱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와 관련하여, 구형 돌설부(16)가 제 1 본체(20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2에는, 구형 오목 수용부(17)와 맞닿는 부분인 구면부의 반대 방향 측면에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돌설된 걸림턱(56)이 형성된 구형 돌설부(16)와 함께, 개구부(60)의 테두리에 형성된 이탈 차단벽(66)으로 인해 상기 걸림턱(56)이 걸림으로써, 구형 오목 수용부(16)의 일단부를 수용하여 직선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면서도, 상기 구형 돌설부(16)가 상기 제 1 본체(20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구성된 체임버(70)가 도시된다.
이와 같은 체임버(70)의 이점은, 체임버(70) 내의 공간을 이용하여 구형 돌설부(16)의 직선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고 제한하는 것이 수월하고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상기 구형 돌설부(16)의 기본 위치로의 복원을 위한 원위치 복원용 탄성 수단(71)의 추가가 용이한 구조라는 데에도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체임버(70) 내에 구형 돌설부(15)의 일부 뿐 아니라, 원위치 복원용 탄성 수단(71)을 함께 장착함으로써, 구형 돌설부(15)가 어느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척추 지지 로드의 길이의 신축이 발생된 경우, 구형 돌설부(15)를 기본 위치로 되돌림으로써, 일정한 길이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걸림턱(56)이 형성된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16)의 일단부를 수용하여 상기 구형 돌설부(16)의 직선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편, 개구부(60)를 통해 상기 구형 돌설부(16)의 구면부는 노출시키면서도 상기 개구부(60)의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턱(56)이 걸림으로써 상기 구형 돌설부(16)가 상기 제 1 본체(20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차단벽(66)이 형성된, 체임버(70)의 구조가 도시된다.
더욱이, 척추 관절의 휘어짐에 의해 볼 조인트 연결부가 절곡 상태가 되었다라도, 이러한 절곡 상태를 강제하는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척추 지지 로드 원래의 직선 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본체(201)와 상기 제 2 본체(202) 각각에는 상호 대향하는 면을 구비한 지지턱(85)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본체의 지지턱(85)과 상기 제 2 본체의 지지턱(85)의 대향면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상태를 회복시키기 위해, 탄성 복원력을 구비한 굴절 회복용 탄성 수단(81)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형태의 제 1 실시예의 경우, 체임버(70) 등의 구성을 위해 지지턱(85)이 자연스럽게 형성된 구조이나, 이후 후술할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절곡된 상태를 회복시키기 위해 굴절 회복용 탄성 수단(81)을 개재시키기 위한 지지 턱(85)의 구성을 별도로 추가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 들의 명확한 구조가 이들을 각각 분리된 형태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인 도 3에 도시된다.
도 4는 도 2와 같은 시각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로드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구형 돌설부(16)를 수용하기 위해 제 1 본체(201)에 형성되었던 체임버(70)가, 제 2 실시예서는 구형 돌설부(16) 내에 형성되며, 따라서, 제 1 본체(201)의 로드 부분이 상기 구형 돌설부(16)의 체임버(70)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대체되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이점은, 구형 돌설부(16)를 수용하기 위한 체임버(70)를 구비하여야 하는 제 1 실시예에 비하여 보다 사이즈의 컴팩트화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반면, 제 1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조에서는, 굴절 회복용 탄성 수단(81)을 개재하기 위해서는, 구형 돌설부(16)를 포함한 제 1 본체에 지지턱(85)의 구성을 별도로 돌설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굴절 회복용 탄성 수단(81)과 관련하여, 도 2 내지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형 판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 잘 알려진 탄성 수단을 상기 굴절 회복용 탄성 수단(81)으로 적용할 수 있겠으나, 일반적으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등은 재질 자체의 특성 등으로 인해 변형률이 극히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으므로, 외력에 의한 변형의 범위를 최대화하면서도 높은 복원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굴절 회복용 탄성 수단(81)으로서 폼(foam) 가공된 고탄성의 고분자 수지 소재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형 단면의 원기둥 형태로 고탄성의 고분자 수지를 성형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등에서 도시된 구조에 굴절 회복용 탄성 수단(81)으로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굴절 회복용 탄성 수단(81)을 고탄성의 고분자 수지 소재로 적용할 경우, 실제 높은 탄성으로서 탄성 수단으로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폴리 우레탄, 또는 폼 가공된 폴리 우레탄 폼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척추 지지 로드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 3 실시예에 의한 척추 지지 로드는 볼 조인트 연결부 등의 기본 구조가 도 1 내지 도 3 등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조와 유사하나, 구형 돌설부(16)를 수용하는 체임버(70) 외측면으로부터 척추체(1)에 직접 고정될 수 있는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척추뼈 사이의 간격이 좁아 앞선 실시예 등에 도시된 구 조의 로드를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 등을 위한 것으로서, 지지 로드의 적어도 일 단부 이상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척추체(1)에 직접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이를 도시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로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척추 지지 로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척추 지지 로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제 2 실시예에 따른 척추 지지 로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지지 로드에 적용될 수 있는 굴절 회복용 탄성 수단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제 3 실시예에 다른 척추 지지 로드의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지지로드를 적용하여 수술된 보형물 장착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볼 조인트 연결부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1: 척추체 2: 극돌기
3: 횡돌기 16: 구형 돌설부
17: 구형 오목 수용부 27: 관통공
30: 결합구 56: 걸림턱
60: 개구부 66: 이탈 차단벽
70: 체임버 71: 원위치 복원용 탄성 수단
81: 굴절 회복용 탄성 수단 85: 지지턱
100: 스크류 200: 척추 지지 로드
201: 제 1 본체 202: 제 2 본체

Claims (9)

  1. 수술적 방법으로 인접한 두 개의 척추뼈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됨으로써 척추 구조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척추 지지 로드에 있어서,
    상기 척추 지지 로드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는, 상호 맞닿는 부위가, 구(球)면으로 이루어진 구형 돌설부(16)와, 상기 구형 돌설부(16)의 상기 구면과 일치하는 곡률의 구형 내측면을 구비한 구형 오목 수용부(17)로 구성된, 모든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는 구조의 볼 조인트 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형 돌설부(16)가 형성된 측인 제 1 본체(201),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17)가 형성된 측인 제 2 본체(202)로 구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볼 조인트 연결부에 있어,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17)에 형태 합치적으로 수용된 상기 구형 돌설부(16)가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17)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17)의 내측면과 인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7)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7)의 최장 직경보다 큰 직경의 면적으로 이루어진 헤드와 상기 헤드 면의 중심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축을 구비한 결합구(30)의 상기 결합축이 상기 관통공(27)을 경유하여 상기 구형 돌설부(16)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돌설부(16)는, 형태 합치적으로 수용된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17)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본체(201)와는 기본적으로 분리된 구조로 제공되어 로드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본체(201)에 연결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201)와, 상기 제 1 본체(201)에 대하여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기 구형 돌설부(16) 상호간의 위치가 기본 위치로부터 이동된 경우 이들을 기본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원위치 복원용 탄성 수단(71)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돌설부(16)는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17)와 맞닿는 부분인 구면부의 반대 방향 측면에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돌설된 걸림턱(56)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본체(201)는, 상기 걸림턱(56)이 형성된 상기 구형 오목 수용부(17)의 일단부를 수용하여 상기 구형 돌설부(16)의 직선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편, 개구부(60)를 통해 상기 구형 돌설부(16)의 구면부는 노출시키면서도 상기 개구부(60)의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턱(56)이 걸림으로써 상기 구형 돌설부(16)가 상기 제 1 본체(20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차단벽(66)이 형성된, 체임버(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임버(70) 내에는, 상기 구형 돌설부(16)가 일정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기본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원위치 복원용 탄성 수단(71)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35037A 2009-02-03 2009-04-22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 KR10119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037A KR101196780B1 (ko) 2009-04-22 2009-04-22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
PCT/KR2010/000635 WO2010090428A2 (ko) 2009-02-03 2010-02-02 인공 척추 지지체 및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037A KR101196780B1 (ko) 2009-04-22 2009-04-22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368A KR20100116368A (ko) 2010-11-01
KR101196780B1 true KR101196780B1 (ko) 2012-11-05

Family

ID=4340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037A KR101196780B1 (ko) 2009-02-03 2009-04-22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517A (ko) 2018-12-04 2020-06-12 주식회사 바이원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2648A (en) 1993-03-15 1997-09-02 Orthofix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xternal setting of fractures
KR200440871Y1 (ko) 2007-03-27 2008-07-04 정연문 운동성이 보존되는 척추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2648A (en) 1993-03-15 1997-09-02 Orthofix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xternal setting of fractures
KR200440871Y1 (ko) 2007-03-27 2008-07-04 정연문 운동성이 보존되는 척추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517A (ko) 2018-12-04 2020-06-12 주식회사 바이원 척추 유합술용 가요성 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368A (ko) 201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20643A1 (en) Devices to prevent spinal extension
US20060212033A1 (en) Vertebral stabilization using flexible rods
US20080154312A1 (en) Active settling plate with elastomeric members and method of use
AU2009281979B2 (en) Apparatus for stabilizing vertebral bodies
US9017385B1 (en) Dynamic spinal stabilization system
JP5435943B2 (ja) 動的固定器具
US7666211B2 (en) Vertebral disc annular fibrosis tensioning and lengthening device
JP4559848B2 (ja) 動的固定装置及びその使用法
CA2520741C (en) Dynamic fix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EP2197374B1 (en) Interspinous spacer
US20080015577A1 (en) Spinal Correction Device
US20130138153A1 (en) Dynamic stabilization assembly having pre-compressed spacers with differential displacements
US20090326584A1 (en) Spinal Dynamic Stabilization Rods Having Interior Bumpers
JP2008514361A (ja) 後部動的安定化装置
WO2007037801A2 (en) Posterior dynamic stabiliz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9502213A (ja) 可動脊椎安定化デバイス
EP2182871A1 (en) Segmental orthopedic device for spinal elongation and for treatment of scoliosis
EP1993485A2 (en) Spinal stabilization device
WO2010045449A1 (en) Pedicle-based posterior stabilization members
US9603633B2 (en) Interspinous spacer devices for dynamic stabilization of degraded spinal segments
US20070162004A1 (en) Device for the lateral stabilization of the spine
WO2010090428A2 (ko) 인공 척추 지지체 및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
US20110004249A1 (en) Flexible spinal fixation device and rod thereof
KR101196780B1 (ko) 볼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 척추 지지 로드
WO2009060426A1 (en) Posterior-medial facet suppor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