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660B1 -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660B1
KR101195660B1 KR1020100111872A KR20100111872A KR101195660B1 KR 101195660 B1 KR101195660 B1 KR 101195660B1 KR 1020100111872 A KR1020100111872 A KR 1020100111872A KR 20100111872 A KR20100111872 A KR 20100111872A KR 101195660 B1 KR101195660 B1 KR 101195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utting member
support plate
cutt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563A (ko
Inventor
한승찬
Original Assignee
한승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찬 filed Critical 한승찬
Priority to KR1020100111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6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grafts, harvesting or trans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수술시 자가골이식을 하기 위하여 자가골을 채취하는데 있어서, 입자가 매우 작은 드릴밥을 이용하거나 트레핀버 등에 의해 분리해낸 블록본(block bone)을 이용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드릴밥의 입자보다는 크지만 트레핀버 등에 의해 블록 형태로 분리된 블록본의 크기보다는 작은, 본칩(bone chip)의 형태로 자가골을 채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방식의 단점인 본코어를 분리하여 블록본을 채취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여 용이하게 자가골을 채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뼈에 소정 깊이로 본코어를 형성한 다음에, 본코어의 표면에 회전가능한 절삭부재를 접촉시키고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상태에서 절삭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절삭부재가 회전하면서 본코어의 표면으로부터 뼈를 깎아 내려가면서 본칩을 채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Apparatus for obtaining bone in dental surgery}
본 발명은 각종 치과 수술을 위한 뼈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뼈에 소정 깊이로 외곽선을 파내어 소정 형태의 본코어(bone core)를 형성하고, 이 본코어로부터 본칩(bone chip)을 채취하는,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 수술시에 치조골의 뼈가 부족한 경우에는 인공적인 뼈 이식재를 사용하거나 피시술자 자신의 뼈를 채취하여 사용해야 한다(자가골 이식). 자가골은 치조골 수술이나 임플란트 식립시 드릴링을 할 때에 생기는 드릴밥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이렇게 채취한 뼈는 입자가 매우 작기 때문에 이식재로 사용할 경우에 체내에 흡수되어 소실될 가능성이 크며, 드릴링시에 주변 환경으로부터 오염될 수가 있고 고속 드릴링에 의해서 뼈 속의 세포가 죽거나 뼈의 성질 자체가 변성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치조골에 인접해 있는 턱뼈로부터 자가골을 블록 형태로 채취하기도 한다. 이러한 블록본(block bone)의 채취는 수술 조건, 피수술자의 상태, 의사의 판단이나 능력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종래에, 블록본 채취를 위한 치과용 공구로서 트레핀버(trephine bur) 등의 도구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트레핀버를 이용하여 블록본을 채취하는 종래의 방법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였다. 트레핀버(20)는 속이 빈 원통체의 원주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데, (a)에서와 같이 뼈(10) 속으로 트레핀버(20)가 회전해 들어가면서 원기둥 형상으로 뼈를 파고 들면서 본코어(bone core)((c)의 12)를 형성한다. (b)에서, 트레핀버(20)가 적절한 깊이까지 들어가면 멈추고 트레핀버(20)를 빼낸다. 이 때에 원기둥 형태의 본코어(12)가 트레핀버의 내부 공간에 들어있는 상태로 원래 뼈(10)로부터 분리되어 블록본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b)와 같은 경우가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경우를 쉽게 접할 수 없다. 대부분은 (c)와 같이 본코어(12)가 트레핀버(20)와 함께 분리되지 않고 그대로 원래 뼈(10)에 붙어 있게 된다. 이것을 분리하기 위하여 다른 기구(22)를 본코어(12) 테두리에 삽입하여 흔들거나 해서 빼내야 하는데, 이것이 쉬운 작업은 아니다. 특히 뼈의 피질층(cortical bone)은 매우 단단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쉽게 본코어를 빼내기는 매우 어렵다.
본 발명자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자가골이식을 하기 위하여 자가골을 채취하는데 있어서, 입자가 매우 작은 드릴밥을 이용하거나 트레핀버 등에 의해 분리해 낸 블록본을 이용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드릴밥의 입자보다는 크지만 트레핀버 등에 의해 형성된 본코어의 크기보다는 작은, 본칩(bone chip)의 형태로 자가골을 채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뼈에서 직접 블록본을 채취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여 용이하게 자가골을 채취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뼈에 소정 깊이로 외곽선을 파내어 본코어(bone core)를 형성하고 이로부터 본칩(bone chip)을 채취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뼈 표면으로부터 외곽선을 파내어 소정 형태(가령, 원기둥형태)의 본코어(bone core)를 형성하고, 본코어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부로 진행하면서 본코어의 뼈를 깎아내면서 본칩(bone chip)을 채취한다. 여기서 본코어는 트레핀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코어의 뼈를 깎아 내어 본칩을 채취하기 위하여, 회전가능한 절삭부재를 본코어의 표면에 접촉시키고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상태에서 절삭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절삭부재가 회전하면서 본코어의 표면으로부터 뼈를 깎아 내려가면서 본칩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형태에 따른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속이 비어 있으며 외경과 내경을 갖고, 축방향으로의 일측단인 제1단과 그 반대측단인 제2단을 갖는 원통형 몸체와, 제2단의 최전방 끝단에서부터 소정 거리 만큼 안쪽으로 위치하는 절삭부재 지지판과, 절삭부재 지지판의 제2단측을 향하는 면에 고정 설치되는 절삭부재와, 절삭부재 지지판의 절삭부재 설치 반대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본코어의 표면에 상기 제2단에 위치하는 절삭부재가 접촉되어 위에서 아래로 눌러지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절삭부재가 회전하면서 본코어의 표면으로부터 뼈를 깎아 내려가면서 본칩(bone chip)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삭부재 지지판에는 원통형 몸체의 내부 공간과 통하는 관통공이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원주면의 한 곳 이상의 지점에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절개홈과, 상기 절삭부재 지지판의 원주면의 한 곳 이상의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가 추가로 포함되어, 상기 몸체의 절개홈에 상기 절삭부재 지지판의 돌기가 삽입되어 절삭부재 지지판이 몸체의 제2단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형태에 따른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속이 비어 있으며 외경과 내경을 갖고, 축방향으로의 일측단인 제1단과 그 반대측단인 제2단을 갖는 원통형 몸체와, 제2단의 최전방 끝단에서부터 소정 거리 만큼 안쪽으로 위치하는 절삭부재와, 상기 몸체의 제1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이 부착된 회전축 지지판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코어의 표면에 상기 절삭부재가 접촉되어 위에서 아래로 눌러지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절삭부재가 회전하면서 본코어의 표면으로부터 뼈를 깎아 내려가면서 본칩(bone chip)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삭부재는 원통형 몸체의 제2단의 최전방 끝단에서부터 소정 거리 만큼 안쪽에 결합되는 지지판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제1단의 원주면의 한 곳 이상의 지점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과, 상기 회전축 지지판의 원주면의 한 곳 이상의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가 추가로 포함됨으로써, 상기 몸체의 제1단에 형성된 절개홈에 상기 회전축 지지판의 돌기가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제2단의 원주면의 한 곳 이상의 지점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과, 상기 절삭부재의 양단 중 한 곳 이상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가 추가로 포함됨으로써, 상기 몸체의 제2단에 형성된 절개홈에 상기 절삭부재의 돌기가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3형태에 따른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속이 비어 있으며 외경과 내경을 갖고, 축방향으로의 일측단인 제1단과 그 반대측단인 제2단을 갖는 원통형 몸체와, 제2단의 최전방 끝단에서부터 소정 거리 만큼 안쪽으로 위치하는 절삭부재 지지판과, 절삭부재 지지판의 제2단측을 향하는 면에 고정 설치되는 절삭부재와, 상기 몸체의 원주면의 한 곳 이상의 지점에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절개홈과, 상기 절삭부재 지지판의 원주면의 한 곳 이상의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와, 상기 각 돌기가 몸체의 제1단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회전축 연결봉과, 상기 각 회전축 연결봉의 상기 절삭부재 지지판 반대측이 합쳐지고 이 합쳐진 부분에 형성된 하나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코어의 표면에 상기 제2단에 위치하는 절삭부재가 접촉되어 위에서 아래로 눌러지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절삭부재가 회전하면서 본코어의 표면으로부터 뼈를 깎아 내려가면서 본칩(bone chip)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수술시에 자가골이식을 하기 위하여 자가골을 채취하는데 있어서, 트레핀버 등에 의해 뼈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본코어로부터 본칩(bone chip)의 형태로 자가골을 채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채취방법의 단점인 본코어를 분리하여 블록본을 채취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여 용이하게 자가골을 채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블록본 채취장치와 그 작용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뼈 채취장치의 기본적인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절삭부재의 블레이드를 설명하는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2의 장치의 실제 구현을 위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뼈 채취장치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서 설명했던 것과 같이, 뼈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외곽선을 파내어 소정 형태의 본코어(bone core)를 형성한다. 본코어는 종래의 트레핀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드릴 등의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외곽선을 파내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에, 형성된 본코어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부로 진행하면서 본코어의 뼈를 깎아내면서 본칩(bone chip)을 채취한다. 즉, 본코어를 뼈에서 그대로 분리하여 블록 형태로 뼈를 채취하는 것이 아니라, 트레핀버나 드릴 등으로 일단 형성해 놓은 본코어를 표면에서부터 깎아내면서 본칩을 형성하므로써 칩 형태로 뼈를 채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뼈 채취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뼈 채취장치의 개념적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의 (b)는 채취장치 몸체를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도이고, (a)는 (b)의 X-X' 절개부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뼈 채취장치는, 전체적으로 속이 비어 있으며 외경과 내경을 갖고, 제1단(도 2에서는 상부 끝)과 그 축방향 반대측인 제2단(도 2에서는 하부 끝)을 갖는 원통형 몸체(30)와, 제2단의 최전방 끝단(31)에서부터 소정 거리 'd' 만큼 안쪽으로 위치하는 절삭부재 지지판(32)과, 절삭부재 지지판(32)의 제2단측을 향하는 면에 고정 설치되는 절삭부재(33)와, 절삭부재 지지판(32)의 절삭부재 설치 반대면에 결합되는 회전축(34)을 포함한다. 회전축(34)은 회전력 발생수단(도시 안함)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절삭부재 지지판(32)에는 원통형 몸체의 내부 공간과 통하는 관통공(35)이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35)은 절삭부재(33)에 의해 절삭된 본칩이 몸체(30) 안으로 들어가서 모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절삭부재 지지판(32)의 역할은 절삭부재(33)가 부착되도록 하는 지지판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몸체(3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지판의 재질과 두께는 이러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뼈 채취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서 그 구성에 대해서 보충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서 예를 든 트레핀버 또는 기타 다른 공구에 의해 형성된 본코어(12)에 본 실시예에 따른 뼈 채취장치를 적용하여 본칩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원통형 몸체(30)의 외벽(36)과 내벽(37)에 의해 이루어지는 외경과 내경은 뼈에 소정 형태로 형성된 본코어(12)의 외곽선 틈에 몸체의 제2단 끝단(3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소정 형태(가령,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본코어(12)의 외곽선 틈에 몸체(30)의 제2단 끝(31)을 맞추어서 삽입하면 절삭부재(33)가 본코어(12)의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절삭부재(33)가 몸체 끝단에서 소정 거리 'd' 만큼 안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도 2 참조), 몸체(30)를 본코어(12)의 테두리 틈에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고 회전시에 몸체(30)가 빗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몸체(30)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면서 회전축(34)을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절삭부재(33)가 회전하면서 본코어(12)의 표면으로부터 깎아 내려간다. 깎이면서 생성되는 본칩은 절삭부재 지지판(32)의 관통공(35)을 통해서 원통형 몸체(30)의 내부 공간으로 모이게 된다. 본코어(12)가 형성된 소정 깊이까지 본코어를 다 깎으면 몸체(30)를 들어 올려서 몸체 내부 공간에 모여있는 본칩을 회수하면 된다.
도 4에 절삭부재(33)의 횡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볼 때, 위에서 아래로 일정 압력으로 누르고 있는 중에 회전방향으로 블레이드(38)가 회전하면서 뼈의 표면을 파고 들면서 뼈를 깎아서 본칩을 만들게 된다. 뼈의 표면에 접촉하여 표면에서부터 깎아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절삭부재(33)가 본코어(12)에 접촉하여 절삭하기 위한 블레이드(38)의 각도(θ)는 90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계 절삭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선택에 의해서 이 절삭부재(33) 및 블레이드(38)의 최적 설계가 가능해질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2에서는 절삭부재(33)가 원통형 몸체(30)의 내경 지름에 전체적으로 걸쳐서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형태로 절삭부재(33)를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뼈 채취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몸체(30)의 원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절개홈(39)이 형성되어 있는데, 가장 아래부분(제2단)에는 절개홈이 없이 몸체의 양편이 연결되어서 전체적으로 원통 형체를 이루고 있다. 한편, 절삭부재 지지판(32)의 원주면에는 몸체(30)의 절개홈(39)에 삽입되는 돌기(40)가 각각 대응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몸체(30)의 절개홈(39)에 위에서부터(제1단에서부터) 절삭부재 지지판(32)의 돌기(40)가 삽입되어 제2단(도 5에서의 아래 쪽)까지 밀면 도 5의 (b)와 같이 절삭부재 지지판(32)이 몸체(30)에 안착된다. (b)는 (a)의 Y-Y' 절단 단면도이다.
절개홈(39)에 돌기(40)가 삽입되어 걸리게 되므로 회전축(34)이 외부 회전력 발생수단에 의해 회전할 때 원통형 몸체(30)가 회전하게 된다. 절개홈(39)과 돌기(40)의 확실한 결합을 위하여 몸체(30)의 축방향 절개홈(39)의 하단부에는 'L'자로 멈치(41)를 형성하였다. 즉, 절삭부재 지지판(32)을 위에서부터 삽입한 다음에 살짝 돌려서 이 멈치(41)에 걸리도록 고정하면 더욱 더 결합력이 커지게 되고 축방향으로 지지판(32)이 몸체(30)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작용은 도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몸체(30) 내부에 모인 본칩을 회수할 때에 지지판(32)을 위로 들어올리면 그 공간 내에 모여 있던 본칩이 위로 올라오기 때문에 보다 더 손쉽게 본칩을 회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에서, 축방향 절개홈(39) 및 그에 대응하는 돌기(40)가 각각 두 개씩 형성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1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으로 절개홈(39)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본 장치의 재질이나 구성, 설계방식 등에 따라서 당업자가 임의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도 6, 도 7, 도 8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임.)
도 3의 실시예나 도 5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몸체(30) 내부 공간에 회전축(34)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회전축(34)의 부피에 의해서 본칩이 모이는 내부 공간이 좁아지는 단점이 있다. 그렇다고 하여 몸체(30)의 축방향 길이를 더 늘리는 것은 구강 내에서 사용해야 하는 치과용 도구의 특성상 곤란하다. 따라서 이 회전축(34)이 몸체 내부에 있지 않도록 하는 실시예를 개발하게 되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다. 회전축(34)이 원통형 몸체(30) 내부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데, 대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의 구조와 유사하다. 다만, 회전축(34)이 회전축 지지판(32')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지 않고, 지지판(32')의 원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40)가 위로 연장되어 회전축 연결봉(40')을 이루고 있다. 양측에서 연장된 회전축 연결봉(40')은 맨 위에서 합쳐져서 회전축(34)에 연결되어 하나의 회전축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몸체(30) 내부의 공간에 회전축이 들어가지 않으므로 해서 절삭된 본칩이 모여지는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앞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몸체의 절개홈(39)에는 멈치(41)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돌기(40)의 측면에는 이 멈치(41)에 걸려서 결합되는 멈치결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뼈 채취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축(34)이 부착된 절삭부재 지지판(32')이 원통형 몸체의 제1단(즉 도 6에서의 윗부분)에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축(34)이 몸체(30') 내부의 공간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본코어에서 절삭된 본칩들이 모이는 공간이 넓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몸체(30')의 제1단(상부)으로 회전축 지지판(42)이 삽입되도록 몸체(30')에는 절개홈(39')이 형성되고, 회전축 지지판(42)에는 돌기(40")가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절개홈(39')에 돌기(40")가 삽입, 결합되므로써 회전축(34)의 회전에 의해서 전체 몸체(3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절개홈(39')과 돌기(40")의 결합을 보다 공고히 하기 위하여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멈치(41)를 형성할 수 있다(도면에는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부재(33')는 양 끝단에 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몸체의 위치에는 절개홈(44)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삭부재(33')가 몸체(30')의 제2단(하부)으로부터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도 7의 (b)는 절삭부재(33')와 회전축 지지판(42)이 결합된 상태의 Z-Z'축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내부 공간에 회전축(34)이 없기 때문에 한층 넓어진 공간에 본칩이 모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념상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절삭부재(33')를 별도의 지지판 없이 막대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 구성은 당업자에 의해서 여러가지 방식으로 설계 가능하다. 가령, 도 2에서 나타낸 절삭부재 지지판(32)에 절삭부재(33')가 부착된 상태로 몸체의 제2단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몸체(30') 내부 공간에 모인 본칩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될 것이다. 또한 절삭부재(33')는 도 7에서와 같이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지만, 원통형 몸체(30')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일체 형성할 수도 있다. 상부에서 회전축 지지판(42)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한, 하부의 절삭부재(33')가 몸체(30')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의 작용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빼 채취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7에 나타낸 실시예를 변형한 것이다.
도 7의 실시예와 달리, 회전축(34)이 원통형 몸체(30')의 제1단(즉 도 7에서의 윗부분)에 직접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의 회전축 지지판(도 6의 42)을 몸체에 결합할 필요가 없다. 절삭부재(33')는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게 결합된다. 즉, 절삭부재(33')를 도 2에서와 같은 절삭부재 지지판(32)에 부착된 상태로 몸체에 결합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몸체(30')의 상부(제1단)가 막혀있기 때문에, 절삭부재(33')는 몸체(30')의 하부(제2단)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야 내부에 모인 본칩을 회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도 2, 3, 5-8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본칩 채취장치의 몸체(30)(30')가 종래의 트레핀버 작용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령, 몸체(30)(30')의 하부 끝단에 뼈를 절삭하면서 본코어를 형성할 수 있는 절삭 톱니를 단일체로서 형성하여, 별도로 본코어를 형성하지 않고 본 장치로 본코어의 형성 및 본칩의 채취 두 가지를 모두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코어의 형성 및 본칩의 채취는 시간 차이를 두고 실시할 수도 있지만, 동시에 실시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본칩 형성 장치에 대해서 몇 가지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지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본 명세서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다.
뼈(10) 본코어(12) 트레핀버(20) 본코어 분리기구(22) 원통형 몸체(30) 제2단의 최전방 끝단(31) 절삭부재 지지판(32) 절삭부재(33) 회전축(34) 관통공(35) 몸체 외벽(36) 몸체 내벽(37) 블레이드(38) 절개홈(39) 돌기(40) 멈치(41) 회전축 지지판(42) 돌기(43) 절개홈(44) 몸체(30') 회전축 지지판(32') 절삭부재(33') 절개홈(39') 회전축 연결봉(40') 멈치 결합부(41') 돌기(40")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외경과 내경을 갖는 원통형으로서, 축방향으로의 일측단인 제1단과 그 반대측단인 제2단을 갖는 몸체와,
    제2단의 최전방 끝단에서부터 소정 거리 만큼 안쪽으로 위치하는 절삭부재 지지판과,
    절삭부재 지지판의 제2단측을 향하는 면에 고정 설치되는 절삭부재와,
    상기 몸체의 원주면의 한 곳 이상의 지점에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절개홈과,
    상기 절삭부재 지지판의 원주면의 한 곳 이상의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와,
    상기 각 돌기가 몸체의 제1단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회전축 연결봉과,
    상기 각 회전축 연결봉의 상기 절삭부재 지지판 반대측이 합쳐지고 이 합쳐진 부분에 형성된 하나의 회전축을 포함하여,
    뼈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본코어의 표면에 상기 제2단에 위치하는 절삭부재가 접촉되어 위에서 아래로 눌러지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절삭부재가 회전하면서 본코어의 표면으로부터 뼈를 깎아 내려가면서 본칩(bone chip)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원주면의 한 곳 이상의 지점에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절개홈과, 상기 절삭부재 지지판의 원주면의 한 곳 이상의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가 추가로 포함되어,
    상기 몸체의 절개홈에 상기 절삭부재 지지판의 돌기가 삽입되어 절삭부재 지지판이 몸체의 제2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재 지지판에는 원통형 몸체의 내부 공간과 통하는 관통공이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코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제2단 끝단에 절삭 톱니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9. 외경과 내경을 갖는 원통형으로서, 축방향으로의 일측단인 제1단과 그 반대측단인 제2단을 갖는 몸체와,
    제2단의 최전방 끝단에서부터 소정 거리 만큼 안쪽으로 위치하는 절삭부재와,
    상기 몸체의 제1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이 부착된 회전축 지지판을 포함하며,
    뼈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본코어의 표면에 상기 절삭부재가 접촉되어 위에서 아래로 눌러지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절삭부재가 회전하면서 본코어의 표면으로부터 뼈를 깎아 내려가면서 본칩(bone chip)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재는 몸체의 제2단의 최전방 끝단에서부터 소정 거리 만큼 안쪽에 결합되는 지지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1단의 원주면의 한 곳 이상의 지점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과, 상기 회전축 지지판의 원주면의 한 곳 이상의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가 추가로 포함되어,
    상기 몸체의 제1단에 형성된 절개홈에 상기 회전축 지지판의 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2단의 원주면의 한 곳 이상의 지점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과, 상기 절삭부재의 양단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가 추가로 포함되어,
    상기 몸체의 제2단에 형성된 절개홈에 상기 절삭부재의 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코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제2단 끝단에 절삭 톱니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KR1020100111872A 2010-11-11 2010-11-11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KR101195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872A KR101195660B1 (ko) 2010-11-11 2010-11-11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872A KR101195660B1 (ko) 2010-11-11 2010-11-11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563A KR20120050563A (ko) 2012-05-21
KR101195660B1 true KR101195660B1 (ko) 2012-10-30

Family

ID=4626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872A KR101195660B1 (ko) 2010-11-11 2010-11-11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6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142B1 (ko) 2015-05-29 2016-11-16 배준규 반도체 테스트용 러버 소켓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685023B1 (ko) 2015-06-24 2016-12-09 배준규 반도체 테스트용 러버 소켓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기록매체
CN108703813A (zh) * 2018-06-14 2018-10-26 重庆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人工牙种植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694Y1 (ko) 2005-10-27 2006-01-24 황화수 자가골분 채취장치
KR100813434B1 (ko) 2007-01-11 2008-03-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골 채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694Y1 (ko) 2005-10-27 2006-01-24 황화수 자가골분 채취장치
KR100813434B1 (ko) 2007-01-11 2008-03-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골 채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563A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0872B2 (ja) 骨回復用冠状鋸を備えたドリル装置
KR100587201B1 (ko) 디바이스 제거 키트 및 그 방법
US67558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bone
KR101192662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20100021954A (ko) 의료용 절삭구 및 그 가이드 부재 및 절제골 채취구
KR100946269B1 (ko) 임플란트용 천공 드릴
KR101195660B1 (ko) 치과 수술용 뼈 채취 장치
RU2573105C2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сверления костной ткани, особенно подходящий для выполнения синус-лифтинга согласно методике summers, или для установки очень коротких имплантантов
KR101192219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JP5134379B2 (ja) 医療用切削具
EP2708193A1 (en) Bone preparation instrument
KR101711613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0936292B1 (ko)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KR101250032B1 (ko) 골 채취기
KR101430935B1 (ko) 임플란트용 잇몸 제거장치
JP6104634B2 (ja) 歯科用ドリル
KR100813434B1 (ko) 골 채취기
KR100946344B1 (ko) 임플란트 드릴
KR20150003639U (ko) 인공 치아 이식술용 자가본 채취기
KR100929258B1 (ko) 의료용 탭핑기구
KR101585505B1 (ko) 골 채집력이 향상된 골 채집기
KR100881224B1 (ko) 치과용 템플릿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이식 방법
KR101068399B1 (ko) 천공 깊이 제한유닛 및 그를 구비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181923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KR102205986B1 (ko) 임플란트용 트레파인 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