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241B1 -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241B1
KR101195241B1 KR1020120002650A KR20120002650A KR101195241B1 KR 101195241 B1 KR101195241 B1 KR 101195241B1 KR 1020120002650 A KR1020120002650 A KR 1020120002650A KR 20120002650 A KR20120002650 A KR 20120002650A KR 101195241 B1 KR101195241 B1 KR 101195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piece
lower shielding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to KR1020120002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엔 관한 것으로, 도로용 시설물을 좌우측면에서 가압하여 결착하는 대향된 제1결착부와, 상기 대향된 제1결착부의 하부 양측부에 일체되어 조절대를 삽입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방향으로 경사진 채 대향된 제1결착부의 탄성 벌림 각도를 조절하게 하는 두 조절대와, 상기 두 조절대 구멍으로 삽입된 볼트에서 회동하면서 두 조절대의 탄성 벌림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너트와, 대향된 제1결착부의 상부 양측부에 형성되어 체결체의 네 고정다리를 삽입하여 볼팅 결합을 이루게 되는 네 개의 삽입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스테인리스 스프링강;
상면에서 각각 일체되어 상방향으로 돌출형성한 채 하부차폐부의 받침부를 탈착하는 네 개의 걸착구와, 상기 네 개의 걸착구를 구성한 몸체와 일체된 받침판넬과, 상기 받침판넬의 저면과 일체되어 스테인리스 스프링강의 삽입고정편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네 개의 고정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체결체;
상기 체결체 상면에서 탈걸착되는 방식으로 착설되어 전구와 소켓을 장착한 채 일측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져 상부 덮개부의 함몰부를 밀착하여 결착하는 결착편과, 상기 결착편의 봉을 삽입하는 홀과, 상기 홀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은 홀 내주에 복수개로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리고 타측은 상기 결착편의 봉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린 채 결착편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홀 내주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일측을 걸게 하는 걸림돌기와, 타측에 형성되어 상부덮개부의 끼움편을 끼우는 끼움홈과, 체결체에 탈걸착을 이루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하부차폐부;
상기 하부차폐부와 결합되어 전구 및 소켓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 전구의 발광빛을 발현한 채 일측에 함몰을 형성하여 하부차폐부의 결착편과 결착을 이루는 함몰부와, 타측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하부차폐부의 끼움홈에 삽입되어 결착을 이루는 끼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상부 덮개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착구에는, 하부차폐부의 받침부 탈착을 용이하게 선단부에서 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 저면에는 단턱을 형성하는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를 제공함으로써 차들의 진행방향을 안전하게 유도하고 손궤 및 훼손 또는 파손시에 신속한 교체가 이뤄져 교통체증의 유발을 줄이고 콤펙트한 구조로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The Lighting Apparatus Of Road Facility}
본 발명은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에 설치되는 도로용 시설물에 장착되어 차량을 진행방향을 안전하게 유도하고 도로용 시설물에 탈거 및 걸착이 용이한 콤펙트한 구조를 가진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도로의 시설물에 있어 대부분 콘크리트,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에 의해 제작된다.
이러한 시설물 중 차량 탈선을 방지하기 위한 중앙분리대 및 차량과 보행자 간의 안전을 위한 가드레일 등의 시설물에 형광색으로 도색된 안전유도기구가 설치되어 차량의 안전운행 유도를 제공하여 왔다.
그러나 건조한 날씨 및 황사 등에 기후 영향과 지속적인 차량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먼지 또는 빗물에 의해 안전유도판에 얼룩이 생기면서 도색된 형광색이 퇴색되므로 인하여 쉽게 운전자에게 식별되지 않음으로써 사고의 위험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공개실용신안 20-2010-0013000에서는 오수가 시설물을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시설물을 깨끗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시설물의 주위를 조명하여 차량을 안전하게 유도하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를 안출한 바 있지만, 이 기술은 시설물에 브래킷이 결합되는데 이때 브래킷은 볼트, 나사 또는 못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시설물의 양측벽면에 고정되어 결합을 이루기 때문에 합성수지재로 이뤄진 시설물에서는 결합을 이루는데 어려움이 없지만 콘크리트 및 금속재로 이뤄진 시설물과 결합시에는 결합의 애로점이 발생하게 된다.
설사, 콘크리트 재질로 이뤄진 시설물과 결합을 이룬다 하더라도 차후에 시설물로부터 철거될 시 시설물에는 결합흔적(구멍, 홀)이 남게 됨으로써 미관상 좋지 못하다.
또한 빗물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및 시설물에 설치된 위치가 조절되도록 한 쌍의 위치조절몸체를 마련한 구조라 끼움 형태로 체결되는 각 구성부(설치공간부, 방열공간부, 측면커브, 하부커버, 커버부재, 상부커브 등)들을 금형으로 제조함에 있어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어느 끼움 형태의 한 부분이 파손 및 하자가 발생할 경우 서로 체결을 이룸에 한계가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3000호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는, 도로용 시설물에 장착되어 차량의 진행방향을 안전하게 유도하고, 도로용 시설물에 탈거 및 걸착의 용이함을 제공하고자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콤펙트한 구조로 인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각 구성부들의 체결을 손쉽게 구현하고자 하는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아울러, 전구 및 소켓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낙수의 스며듦을 방지하고자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는,
도로용 시설물을 좌우측면에서 가압하여 결착하는 대향된 제1결착부와, 상기 대향된 제1결착부의 하부 양측부에 일체되어 조절대를 삽입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방향으로 경사진 채 대향된 제1결착부의 탄성 벌림 각도를 조절하게 하는 두 조절대와, 상기 두 조절대 구멍으로 삽입된 볼트에서 회동하면서 두 조절대의 탄성 벌림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너트와, 대향된 제1결착부의 상부 양측부에 형성되어 체결체의 네 고정다리를 삽입하여 볼팅 결합을 이루게 되는 네 개의 삽입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스테인리스 스프링강;
상면에서 각각 일체되어 상방향으로 돌출형성한 채 하부차폐부의 받침부를 탈착하는 네 개의 걸착구와, 상기 네 개의 걸착구를 구성한 몸체와 일체된 받침판넬과, 상기 받침판넬의 저면과 일체되어 스테인리스 스프링강의 삽입고정편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네 개의 고정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체결체;
상기 체결체 상면에서 탈걸착되는 방식으로 착설되어 전구와 소켓을 장착한 채 일측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져 상부 덮개부의 함몰부를 밀착하여 결착하는 결착편과, 상기 결착편의 봉을 삽입하는 홀과, 상기 홀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은 홀 내주에 복수개로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리고 타측은 상기 결착편의 봉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린 채 결착편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홀 내주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일측을 걸게 하는 걸림돌기와, 타측에 형성되어 상부덮개부의 끼움편을 끼우는 끼움홈과, 체결체에 탈걸착을 이루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하부차폐부;
상기 하부차폐부와 결합되어 전구 및 소켓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 전구의 발광빛을 발현한 채 일측에 함몰을 형성하여 하부차폐부의 결착편과 결착을 이루는 함몰부와, 타측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하부차폐부의 끼움홈에 삽입되어 결착을 이루는 끼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상부 덮개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착구에는, 하부차폐부의 받침부 탈착을 용이하게 선단부에서 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 저면에는 단턱을 형성하는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임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는, 도로 시설물에 장착의 용이함을 제공하여 훼손되거나 파손된 조명기구를 신속히 교체하여 교체작업에 따른 차량의 교통체증 유발을 줄일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차량 진행 방향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 및 콤펙트한 구성으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의 하부차폐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는, 시설물의 상면부에 장착되어 야간 운행 및 평소 운행에서 차들의 진행방향을 안전하게 유도하고 손궤 및 훼손 또는 파손시에 신속한 교체가 이뤄질 수 있게 함으로써 교통체증의 유발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콤펙트한 구조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도로에 사용되는 시설물에는 중앙분리대, 가드레일, 교통신호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나, 중앙분리대는 차량 탈선을 방지하여 맞은편 차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가드레일은 차와 보행자 간의 안전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중앙분리대, 가드레일 등의 시설물에 본 발명의 조명기구가 설치된다.
시설물(50)의 상면에 탄성을 지닌 스테인리스 스프링강(10)이 설치됨에 있어 대향된 제1결착부(11)가 시설물(50)의 좌우측벽을 가압한 상태로 결착이 이뤄짐으로써 스테인리스 스프링강(10)이 시설물(50)의 상부에 장착이 된다.
상기 대향된 제1결착부(11)는 스테인리스 스프링강(10)과 일체형이다.
체결체(20) 상면에는 네 개의 걸착구(22)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각 걸착구(22)에는 선단부에서 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2a)과 상기 경사면(22a) 형상으로 인한 경사면(22a) 저면에 단턱(22b)을 형성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즉 상기 네 개의 걸착구(22) 각각에 형성된 경사면(22a)은 하부차폐부(30)의 받침부(36)를 용이하게 걸착하기 위함이고, 단턱(22b)은 하부차폐부(30)의 받침부(36) 탈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네 개의 걸착구(22)는 하부차폐부(30)의 받침부(36) 탈착을 위해 소정의 탄성을 가진다.
상기 체결체(20)의 각 걸착구(22) 사이로 진입하여 착설되는 받침부(36)를 형성한 하부차폐부(30)가 마련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측에는 상방향으로 경사진 결착편(31)이 구비되고, 상기 결착편(31) 후면에는 봉(31a)이 일체되며, 상기 봉(31a) 타측 단부에는 걸림턱(31b)을 형성하게 되고, 하부차폐부(30)의 타측 단부에는 끼움홈(35)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일측에 형성된 홀(32) 내부로 결착편(31)의 봉(31a) 및 걸림턱(31b)이 내삽되고, 상기 걸림턱(31b)에 일측이 걸리고 타측은 홀(32) 내주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돌기(34)에 걸린 탄성스프링(33)이 마련됨으로써 결착편(31)을 홀(32) 외부로 당길 경우 탄성스프링(33)에 의해 결착편(31)이 탄성을 갖게 된다.
즉 상기 하부차폐부(30)는, 상부 덮개부(40)를 결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덮개부(40)의 끼움편(40b)은 끼움홈(35)에 끼워진 채 상부 덮개부(40)의 함몰부(40a)가 결착편(31)의 가압으로 상부 덮개부(40)의 결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하부 차폐부(30)의 최상면에는 소켓(41)의 설치가 이뤄지고 상기 소켓(41)에 전구(42)가 끼워져 발광을 이루게 된다.
하부 차폐부(30)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덮개부(40)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전구(42)에서 발광하는 빛 반사를 줄여 운전자의 눈부심을 줄여 안전한 유도 운행을 제공하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부 덮개부(40)의 하부 일측에는 함몰부(40a)를 형성하고, 하부 타측 내면에는 끼움편(40b)을 형성하여 상기 끼움편(40b)은 하부차폐부(30)의 끼움홈(35)에 끼워진 상태로 함몰부(40a)에 결착편(31)이 밀착하여 가압한 상태로 상부 덮개부(40)의 결합이 이뤄지게 된다.
따라서 상부 덮개부(40)는 전구(42)에 발광하는 빛의 반사를 줄여 운전자의 눈부심 문제를 해결하고, 외부로부터 전구(42) 및 소켓(41)을 보호하는 커버 기능과 함께 낙수의 스며듦을 방지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적인 구성부가 추가되는 스테인리스 스프링강(10)과 체결체(20)를 택일가능하도록 한바, 스테인리스 스프링강(10)에는, 제1결착부(11) 외에, 제1결착부(11)의 대향된 외면 하부 양측에 삽입홀(12)을 일체로 하여 형성하고, 상기 각 삽입홀(12)에 삽입되는 일측과 타측이 삽입되는 두 개의 조절대(13)가 상방향으로 경사진 채 구성되며, 상기 두 조절대(13)의 구멍으로 삽입된 볼트(14)가 마련되고, 상기 볼트(14)와 체결되는 조절너트(15)가 마련되어 조절너트(15)의 회동으로 두 조절대(13)의 탄성 벌림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두 조절대(13)의 간섭을 받는 대향된 제1결착부(11)가 탄성을 지닌 채 벌림 각도의 조절이 이뤄지게 된다.
즉 조절너트(15) 및 두 조절대(13)는 시설물(50)의 좌우측벽을 가압하여 결착하는 제1결착부(11)의 벌림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다.
아울러, 대향된 제1결착부(11)의 외면 상부 양측에는 삽입고정편(16)을 마련하여 체결체(20)의 고정다리(25a)를 삽입한 채 볼트로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함이다.
체결체(20)는, 걸착구(22), 경사면(22a), 단턱(22b), 이외에도, 하부에 받침판넬(25)을 일체화하고, 상기 받침판넬(25) 저면에 네 개의 고정다리(25a)를 일체화하여 각 고정다리(25a)로 하여금 스테인리스 스프링강(10)의 제1결착부(11)에 형성된 한쌍 이조의 삽입고정편(16)으로 각각의 고정다리(25a)가 삽입되어 볼트의 체결로 고정이 이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도로용 시설물에 본 발명의 조명기구 설치가 용이하게 이뤄지게 되고 설치 이후의 발생할 수 있는 조명기구의 훼손 및 흠결로 인한 조명기구의 교체 또한 신속히 이뤄져 교체 작업에 따른 교통체증의 유발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안전한 운전의 유도 운행을 이루면서 콤펙트한 구조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테인리스 스프링강
11 : 제1결착부 12 : 삽입홀
13 : 조절대 14 : 볼트
15 : 조절너트 16 : 삽입고정편
20 : 체결체 22 : 걸착구
22a: 경사면 22b: 단턱
25 : 받침판넬 25a : 고정다리
30 : 하부 차폐부
31 : 결착편 31a : 봉
31b: 걸림턱 32 : 홀
33 : 탄성스프링 34 : 걸림돌기
35 : 끼움홈 36 : 받침부
40 : 상부 덮개부
40a : 함몰부 40b: 끼움편
41 : 소켓 42 : 전구
50 : 시설물

Claims (2)

  1. 도로용 시설물(50)을 좌우측면에서 가압하여 결착하는 대향된 제1결착부(11)와, 상기 대향된 제1결착부(11)의 하부 양측부에 일체되어 조절대(13)를 삽입하는 삽입홀(12)과, 상기 삽입홀(12)에 삽입되어 상방향으로 경사진 채 대향된 제1결착부(11)의 탄성 벌림 각도를 조절하게 하는 두 조절대(13)와, 상기 두 조절대(13) 구멍으로 삽입된 볼트(14)에서 회동하면서 두 조절대(13)의 탄성 벌림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너트(15)와, 대향된 제1결착부(11)의 상부 양측부에 형성되어 체결체(20)의 네 고정다리(25a)를 삽입하여 볼팅 결합을 이루게 되는 네 개의 삽입고정편(16)을 포함하여 구성된 스테인리스 스프링강(10);
    상면에서 각각 일체되어 상방향으로 돌출형성한 채 하부차폐부(30)의 받침부(36)를 탈착하는 네 개의 걸착구(22)와, 상기 네 개의 걸착구(22)를 구성한 몸체와 일체된 받침판넬(25)과, 상기 받침판넬(25)의 저면과 일체되어 스테인리스 스프링강(10)의 삽입고정편(1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네 개의 고정다리(25a)를 포함하여 구성된 체결체(20);
    상기 체결체(20) 상면에서 탈걸착되는 방식으로 착설되어 전구(42)와 소켓(41)을 장착한 채 일측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져 상부 덮개부(40)의 함몰부(40a)를 밀착하여 결착하는 결착편(31)과, 상기 결착편(31)의 봉(31a)을 삽입하는 홀(32)과, 상기 홀(32)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은 홀(32) 내주에 복수개로 형성된 걸림돌기(34)에 걸리고 타측은 상기 결착편(31)의 봉(31a)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1b)에 걸린 채 결착편(31)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33)과, 상기 홀(32) 내주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33)의 일측을 걸게 하는 걸림돌기(34)와, 타측에 형성되어 상부덮개부(40)의 끼움편(40b)을 끼우는 끼움홈(35)과, 체결체(20)에 탈걸착을 이루는 받침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된 하부차폐부(30);
    상기 하부차폐부와 결합되어 전구(42) 및 소켓(41)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 전구(42)의 발광빛을 발현한 채 일측에 함몰을 형성하여 하부차폐부(30)의 결착편(31)과 결착을 이루는 함몰부(40a)와, 타측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하부차폐부(30)의 끼움홈(35)에 삽입되어 결착을 이루는 끼움편(40b)을 포함하여 구성된 상부 덮개부(40); 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착구(22)에는, 하부차폐부(30)의 받침부(36) 탈착을 용이하게 선단부에서 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2a)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22a) 저면에는 단턱(22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
  2. 삭제
KR1020120002650A 2012-01-09 2012-01-09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 KR101195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650A KR101195241B1 (ko) 2012-01-09 2012-01-09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650A KR101195241B1 (ko) 2012-01-09 2012-01-09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241B1 true KR101195241B1 (ko) 2012-10-29

Family

ID=4728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650A KR101195241B1 (ko) 2012-01-09 2012-01-09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2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661B1 (ko) 2008-10-22 2009-09-22 박행배 Uv led 전등장치를 구비한 난간
KR100995337B1 (ko) 2009-04-20 2010-11-19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KR101016803B1 (ko) 2008-08-21 2011-02-25 김창율 엘이디를 이용한 다목적 조명장치
KR101021918B1 (ko) 2008-10-09 2011-03-18 (주)대림엘이디라이팅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803B1 (ko) 2008-08-21 2011-02-25 김창율 엘이디를 이용한 다목적 조명장치
KR101021918B1 (ko) 2008-10-09 2011-03-18 (주)대림엘이디라이팅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KR100918661B1 (ko) 2008-10-22 2009-09-22 박행배 Uv led 전등장치를 구비한 난간
KR100995337B1 (ko) 2009-04-20 2010-11-19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95713C (en) End cap for light fixture
US8002426B2 (en) Rail light
KR101984757B1 (ko) 낙하 및 탈락 방지를 위한 터널 등기구용 잠금장치
KR101608824B1 (ko) 원터치 led모듈 탈장착장치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KR101565745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led 집중 조명 기구
ATE468039T1 (de) Vorrichtung zum entfernbaren befestigen einer beleuchtungslampe und ein schutzhelm mit einer derartigenvorrichtung
KR101195241B1 (ko) 도로 시설물용 조명기구
KR100621839B1 (ko) 도로의 볼라드 구조
KR102443185B1 (ko) 태양광 조명기구를 장착한 볼라드
KR200457941Y1 (ko) 터널 광고용 점멸기
KR102112224B1 (ko) 조명등
RU2624395C2 (ru) Передний бампер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установленной на нем отделочной планкой
KR10184013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led 터널등기구
CN109724017B (zh) 吸顶灯组件
KR200452801Y1 (ko) 분수 노즐 보호구
KR20090001128A (ko) 가드레일에서 분리 조립이 가능한 커버판
KR20160108851A (ko)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101707469B1 (ko) 원터치 led모듈 탈장착장치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KR200441277Y1 (ko) 가로등의 단자함 커버 설치구조
KR101156549B1 (ko) 터널용 등기구
KR100944483B1 (ko) 난간용 조명장치
CN205690129U (zh) 一种双管支架灯
JPH0529204Y2 (ko)
KR101078499B1 (ko) 보안등
KR20100013000U (ko)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