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172B1 - System for producting workbook of each user using image data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ducting workbook of each user using image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172B1
KR101195172B1 KR1020110017231A KR20110017231A KR101195172B1 KR 101195172 B1 KR101195172 B1 KR 101195172B1 KR 1020110017231 A KR1020110017231 A KR 1020110017231A KR 20110017231 A KR20110017231 A KR 20110017231A KR 101195172 B1 KR101195172 B1 KR 101195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delete delete
fingerprint
custom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2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97795A (en
Inventor
권승철
김영모
Original Assignee
권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승철 filed Critical 권승철
Priority to KR1020110017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172B1/en
Publication of KR20120097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7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1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함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각 라인별로 분할한 이미지로 저장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할 때, 불필요한 여백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단말기로부터 상기 맞춤형 문제집을 위한 선택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상기 맞춤형 문제집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 구성된 문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호출하기 위한 데이터 호출부; 상기 데이터 호출부에서 상기 문제 데이터를 호출할 때, 호출하는 상기 문제 데이터와 연결된 지문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지문 판단부; 상기 데이터 호출부로부터 호출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 구성된 문제 데이터를 조합하여 문제집을 생성하기 위한 문제집 생성부; 및 상기 통신부, 데이터 호출부, 지문 판단부 및 문제집 생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교육 서버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collection using image data, and more particularly, in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collection, to generate a customized problem collection by storing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s an image divided by each line. Wh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collection using the image data to avoid unnecessary margins.
Th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collection using the image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selection data for the customized problem collection from a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ustomized problem collection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data to the terminal; A data caller for calling problem data composed of one or more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to a database; A fingerpri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fingerprint data associated with the problem data to be called when the problem data is called by the data caller; A problem book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problem book by combining problem data composed of one or more images called from the data call unit; And an education serve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data call unit, fingerprint determination unit, and problem collection generation unit.

Description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는 시스템{System for producting workbook of each user using image data}System for producting workbook of each user using image data}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함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각 라인별로 분할한 이미지로 저장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할 때, 불필요한 여백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reating a customized problem book using image data. More particularly, in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book, when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book by storing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s an image divided by lin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book using image data to avoid unnecessary margins.

학습을 위한 문제풀이는 오프라인으로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오프라인으로 문제풀이를 한 후에 답안을 채점하며, 정답과 오답으로 분류하여 정답은 무심코 넘어가고, 오답은 오답노트를 따로 생성하거나 다시 한번 풀이를 통해 문제를 점검한다.Problem solving for learning is usually done offline. After solving the problem offline, the answer is graded, classified as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and the correct answer is inadvertently crossed, and the incorrect answer is generated by incorrect answer notes or checked again to solve the problem.

이에 오프라인이 아닌 온라인으로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이 가능해졌다.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함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에 문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형식을 텍스트로 할 경우, 텍스트가 깨지거나 텍스트에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으면 데이터를 호출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reate a customized problem book online rather than offline. In creating a customized problem book, when the format of storing problem data in a database is text,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o call the data if the text is broken or if the text contains an imag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문제 데이터를 저장할 때, 이미지로 저장하여 데이터를 호출하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To solve this problem, when storing the problem data in the database,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cost of calling the data by storing it as an image.

그러나, 각 문제 데이터마다 하나의 이미지로 구성할 경우, 이미지를 삽입함에 있어서, 문제집의 여백과 이미지의 크기가 맞지 않으면 다른 페이지에 이미지를 삽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문제집에 여백이 많이 생기면 그에 대한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다른 문제점도 있다. 또한, 여백이 깔끔하지 못하게 되면 문제집 자체가 깔끔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문제집을 사용함에 있어서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However, if each problem data is composed of one image, when inserting the image, if the margin of the problem book does not match the size of the image, an image may need to be inserted into another page. There are other problems that can be expensive. In addition, when the margin is not neat, the problem book itself is not neat, which causes the user to feel uncomfortable using the problem book.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함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각 라인별로 분할한 이미지로 저장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할 때, 불필요한 여백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book, when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book by storing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s a divided image for each line, so as not to create unnecessary margin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for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collection using the image data.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단말기로부터 상기 맞춤형 문제집을 위한 선택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상기 맞춤형 문제집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 구성된 문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호출하기 위한 데이터 호출부; 상기 데이터 호출부에서 상기 문제 데이터를 호출할 때, 호출하는 상기 문제 데이터와 연결된 지문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지문 판단부; 상기 데이터 호출부로부터 호출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 구성된 문제 데이터를 조합하여 문제집을 생성하기 위한 문제집 생성부; 및 상기 통신부, 데이터 호출부, 지문 판단부 및 문제집 생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교육 서버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election data for the customized problem collection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s the customized problem collection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data to the terminal; A data caller for calling problem data composed of one or more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to a database; A fingerpri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fingerprint data associated with the problem data to be called when the problem data is called by the data caller; A problem book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problem book by combining problem data composed of one or more images called from the data call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data call unit, fingerprint determination unit, and problem collection generation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육 서버는 단말기로부터 선택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문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호출하는 제 1단계; 호출한 상기 문제 데이터와 연결된 지문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는 제 2단계; 연결된 상기 지문 데이터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지문 데이터를 호출하는 제 3단계; 및 호출한 상기 지문 데이터 또는 문제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삽입하여 문제집을 생성하기 위한 제 4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ining server for receiving selection data from a terminal and calling one or more problem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data to a databas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fingerprint data associated with the called problem data; A third step of calling the fingerprint data to the databa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ed fingerprint data exists; And a fourth step for generating a problem collection by inserting any one or more of the called fingerprint data or problem data.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호출부는 상기 지문 판단부에서 문제 데이터와 연결된 지문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지문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ta ca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all the fingerprint dat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ngerprint data connected to the problem data exists in the fingerprint determiner.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호출부는 상기 문제 데이터와 연관된 해설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ata ca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alls up the commentary data associated with the problem data.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데이터, 지문 데이터 또는 해설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각각 이미지로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이미지를 각 라인별로 분할하여 부분 이미지로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 분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y one or more of the problem data, fingerprint data, or commentary data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ored as images, and further includes an image divider for dividing the image into lines and generating a partial image. It is desirable to.

또한, 본 발명의 문제집 생성부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조합하여 문제집을 생성함에 있어서, 문제집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generating the problem book by combining the partial image of the problem book gene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book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문제집 정보는 용지 크기, 다단 여부 또는 인쇄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blem collec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one or more of paper size, multi-stage or printing method.

따라서, 본 발명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각 라인별로 분할한 이미지로 저장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할 때, 불필요한 여백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book using the image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voiding unnecessary margins when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book by storing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s an image divided for each line.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를 분류하는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creating a customized problem book using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educ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book using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mbodiment of classifying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ble format of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100), 교육 서버(200) 및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collection using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terminal 100 includes an education server 200 and a database 300.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기 위한 선택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입력받는 선택 데이터는 오답노트를 만들기 위하여 문제집에서 각각의 문제일 수도 있고, 취약한 특정 단원, 유사한 문제 유형, 과목 등 일수도 있다.The terminal 100 receives selection data for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book from the user. The selection data received may be individual problems in the collection of questions to create incorrect notes, or may be specific units that are vulnerable, similar problem types, and subjects.

단말기(100)로 입력된 선택 데이터는 교육 서버(200)로 전송되며, 교육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선택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별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여 단말기(100)에 제공한다.The selection data input to the terminal 100 is transmitted to the training server 200, and the training server 200 generates a customized problem book for each user based on the selection data input from the terminal 100 and provides the terminal 100 to the terminal 100. do.

또한, 단말기(100)와 교육 서버(200)가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고, 웹 서버(미도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를 이용하지 않고, 웹 서버(미도시)와 연결된 웹 홈페이지를 통해 선택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100 and the education server 200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terminal 100 and the education server 20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directly, or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a web server (not shown). In addition, the selection data may be input through a web homepage connected to a web server (not shown) without using the terminal 100.

교육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300)에 데이터를 저장함에 있어서, 데이터를 각각의 이미지로 저장한다. 데이터는 문제 데이터, 지문 데이터, 해설 데이터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문제 데이터는 문제집을 생성하기 위한 각각의 문제들을 뜻하는 것으로, 각 문제 데이터를 하나의 이미지로 저장할 경우, 이미지가 삽입되기 힘든 공간을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문제 데이터를 하나의 이미지가 아닌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 분류한다.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분류하는 것은 라인을 기준으로 분류하며, 분류된 이미지는 식별 개체, 속성 정보 등을 통해 하나의 데이터임을 알 수 있도록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education server 200 stores the data in each image in storing the data in the database 300. Data can be classified into problem data, fingerprint data, commentary data, etc. Problem data refers to each problem for creating a problem collection, and when each problem data is stored as one image, it is difficult to insert an image. Because we can't take advantage of them, we classify the problem data into one or more images rather than one image. Classifying one or more images is classified based on a line, and the classified images may be grouped and stored so as to know that they are one piece of data through identification objects and attribute information.

또한, 지문 데이터는 문제 데이터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 데이터로, 문제를 풀기 위해 필요한 지문에 관한 것이다. 지문 데이터는 선택 데이터에서 선택된 문제 데이터와 연결된 지문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 문제 데이터와 함께 제공되는 것으로, 문제 데이터와 이미지로 저장되어 있으며, 각 라인별로 분류하여 이미지로 저장된다.Fingerprint data is also data that can be provided with the problem data and relates to the fingerprint needed to solve the problem. The fingerprint data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problem data when there is fingerprint data connected to the problem data selected from the selection data. The fingerprint data is stored as the problem data and the image, and is classified as each line and stored as the image.

해설 데이터는 문제 데이터에 관한 해설을 나타낸 것으로, 해설 데이터는 문제집 생성될 때, 문제 데이터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고, 해설 데이터만 별도로 삽입하여 해설집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해설 데이터도 이미지로 저장되어 있으며, 각 라인별로 분류하여 이미지로 저장된다.The narration data indicates narrations related to the problem data. The narration data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the problem data when the problem book is generated, or may be generated by inserting only the commentary data separately. Commentary data is also stored as images, and each line is stored as an image.

즉, 문제 데이터, 지문 데이터, 해설 데이터는 하나의 이미지를 각 라인별로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분류된 이미지마다 식별할 수 있는 개체를 삽입한다.That is, the problem data, the fingerprint data, and the commentary data are classified into one or more images for each line and stored, and insert an object that can be identified for each classified image.

교육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선택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호출하여 전송받아 문제집을 생성한다.When the education server 200 receives the selection data from the terminal 100, the education server 200 calls and transmits the problem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data from the database 300 to generate a collection of problems.

선택 데이터는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문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문제 데이터를 조합하여 문제집을 생성하며, 문제 데이터에 지문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지문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문제 데이터와 관련된 지문 데이터도 함께 호출한다. 또한, 문제 데이터와 연결된 해설 데이터를 함께 호출한다.Since the selection data includes one or more problems selected by the use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problem data are generated to generate a collection of problems. When the problem data includes a fingerprint, the fingerprint data related to the problem data is also determined. Call it together. It also calls commentary data associated with the problem data.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 구성된 문제 데이터와 지문 데이터를 조합하여 문제집 파일을 생성하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A problem book file is generated by combining problem data and fingerprint data composed of one or more images,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데이터베이스(300)는 문제집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이미지로 저장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문제 데이터에 대한 속성 정보가 함께 저장되며, 문제 데이터와 연결된 지문 데이터가 있을 경우, 매칭되어 문제집을 생성할 때, 함께 호출할 수 있도록 하고, 문제 데이터에 대응하는 해설 데이터도 함께 매칭한다.The database 300 stores data for creating a problem book, and the stored data is stored as an image. In addition,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problem data is stored together, and if there is fingerprint data associated with the problem data, the matching data can be called together when generating a problem book, and the descrip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data is also matched together. do.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교육 서버(200)는 통신부(210), 이미지 분할부(220), 데이터 호출부(230), 문제집 생성부(240), 지문 판단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educ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education server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an image division unit 220, a data call unit 230, a problem collection generator 240, a fingerprint determination unit 250, and a control unit 260. Include.

통신부(210)는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OTA(Over the air) 서버, 웹 서버 또는 웹서버와 연결된 홈페이지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terminal,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an over the air (OTA) server, a web server, or a homepage connected to the web server.

통신부(210)는 단말기로부터 선택 데이터를 수신받고, 선택 데이터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문제집 파일을 단말기에 송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the selection data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s a problem collection file created using the selection data to the terminal.

이미지 분할부(22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 분할하는 것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각 라인별로 분할하여 각각의 부분 이미지로 저장하며, 각각의 부분 이미지는 식별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개체를 삽입하고, 부분 이미지에 대한 속성 정보도 포함된다.The image dividing unit 220 divide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into one or more images. The image dividing unit 220 divides the image data for each line and stores each of the partial images, and each partial image is a separate object for identification. And insert attribute information about the partial image.

이미지 분할부(220)에서 분할된 이미지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이미지 데이터는 문제 데이터, 해설 데이터, 지문 데이터 등 문제집을 생성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로, 각각 부분 이미지로 분류하여 저장한다.The image data divided by the image dividing unit 220 is stored in a database, and the image data are necessary data for generating a problem collection such as problem data, commentary data, fingerprint data, and the like, and are classified and stored as partial images.

데이터 호출부(230)는 통신부(210)에서 선택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호출한다.When the data caller 230 receives the selection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data caller 230 calls problem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data from the database.

데이터 호출부(230)에서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제 데이터를 호출할 때, 지문 판단부(250)에서는 호출한 문제 데이터와 연결된 지문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지문 판단부(250)에서 문제 데이터와 연결된 지문 데이터가 있다고 판단되면 데이터 호출부(230)에서 지문 데이터를 함께 호출하며, 문제 데이터에 대응하는 해설 데이터도 함께 호출한다.When the data caller 230 calls the problem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data, the fingerprint determination unit 250 checks whether there is fingerprint data connected to the called problem data. When the fingerprint determination unit 250 determines that there is fingerprint data connected to the problem data, the data caller 230 calls the fingerprint data together, and also the narr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data.

데이터 호출부(230)를 통해 호출된 문제 데이터, 지문 데이터 또는 해설 데이터는 하나의 이미지 형식이 아닌 각 라인별로 분할된 부분 이미지의 조합이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 이미지를 문제집을 생성한다.The problem data, fingerprint data, or commentary data called through the data caller 230 is not a single image format but a combination of partial images divided for each line. Thus, this partial image generates a collection of problems.

문제집 생성부(240)는 부분 이미지를 조합함에 있어서, 문제집 정보를 제공한다. 즉 문제집 정보는 문제집의 용지 크기, 다단 여부, 인쇄 방식 등 문제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용지 크기는 A4, B4, B5 등의 용지 크기를 뜻하고, 다단 여부는 2단으로 나누었는지 다단을 사용하지 않았는지 등을 뜻하며, 인쇄 방식은 양면 인쇄인지 아닌지를 뜻한다.The problem book generation unit 240 provides problem book information in combining partial images. That is, the problem collec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roblem collection, such as the paper size of the problem collection, multi-stage status, printing method. Paper size refers to the paper size of A4, B4, B5, etc., multi-stage means whether divided into 2 or multi-stage, and the printing method means whether or not duplex printing.

문제집 생성부(240)는 문제집을 생성할 때, 문제집 정보를 통해 여백이 생기지 않도록 조합할 수 있다. 다만, 부분 이미지 중에 하나의 그림, 표 등 나뉘면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경우에는 다소 여백이 생기더라도 나뉘지 않도록 한다.When generating the problem book, the problem book generation unit 240 may combine the problem book information so that no margin is generated. However, if one picture, table, etc. is divided among the partial images, inconvenient to the user, even if some margin is generated, it should not be divided.

제어부(260)는 통신부(210), 이미지 분할부(220), 데이터 호출부(230), 문제집 생성부(240) 및 지문 판단부(250)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260 controls the communicator 210, the image divider 220, the data caller 230, the problem collection generator 240, and the fingerprint determiner 25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또는 웹 홈페이지는 사용자로부터 문제집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문제를 선택하는 선택 데이터를 입력받고(S310), 교육 서버로 선택 데이터를 전송한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book using image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terminal or the web homepage receives selection data for selecting one or more problems from the user (S310) and transmits the selection data to the education server.

교육 서버는 선택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문제 데이터를 호출한다(S320). 호출한 문제 데이터 중에서 지문 데이터와 연결된 문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며(S330), 연결된 지문 데이터가 있다고 판단되면 하나의 지문 데이터만 연결되어 있는 것인지 하나 이상의 지문 데이터로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즉, 문제 데이터가 하나의 지문 데이터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지만 하나 이상의 지문 데이터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도 있으므로, 연결된 지문 데이터가 하나인지 하나 이상인지 확인한다.When the education server receives the selection data, it calls one or more problem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data (S320). Check whether there is problem data connected to the fingerprint data among the called problem data (S33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connected fingerprint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only one fingerprint data is connected or one or more fingerprint data. That is, the problem data is usually connected to one fingerprint data, but may be connected to one or more fingerprint data. Therefore, check whether one or more fingerprint data is connected.

문제 데이터 중에서 지문 데이터와 연결된 문제 데이터가 있을 경우, 그에 대응하는 지문 데이터를 호출하여(S340), 지문 데이터를 삽입한다(S350).If there is problem data connected to the fingerprint data among the problem data, the corresponding fingerprint data is called (S340) and the fingerprint data is inserted (S350).

지문 데이터를 삽입하고, 그에 대응하는 문제 데이터를 삽입하며(S360), 문제 데이터와 연결된 해설 데이터도 호출하여 해설 데이터만 모아서 별도의 해설집으로 생성할 수도 있고, 문제 데이터와 함께 삽입할 수도 있다(S370).The fingerprint data may be inserted, the corresponding problem data may be inserted (S360), and the commentary data connected to the problem data may also be called to collect only the commentary data to be generated as a separate commentary book, or may be inserted together with the problem data (S370). ).

문제 데이터와 연결된 지문 데이터가 없을 경우, 문제 데이터만 삽입한다.If there is no fingerprint data associated with the problem data, insert only the problem data.

지문 데이터, 문제 데이터, 해설 데이터 등 문제집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들은 이미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라인별로 분류되어 부분 이미지화되어 있다. 따라서 부분 이미지를 문제집 정보에 대응되도록 조합하며, 이미지를 조합할 때, 깨져서는 안 되는 그림, 표 등은 여백에 관계없이 하나의 이미지로 조합한다.The data for generating a collection of problems, such as fingerprint data, problem data, and commentary data, are composed of images, and are classified by lines and partially imaged. Therefore, the partial images are combined to correspond to the problem book information, and when combining the images, pictures, tables, etc., which should not be broken, are combined into one image regardless of the margin.

삽입된 문제 데이터, 지문 데이터, 해설 데이터 등을 통해 문제집을 생성한다(S380).A problem book is generated using the inserted problem data, fingerprint data, commentary data, etc. (S38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를 분류하는 실시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0은 하나의 이미지로 구성된 데이터이다. 이때, 데이터는 문제 데이터, 지문 데이터, 해설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4 is an embodiment of classifying image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400 is data composed of one image. In this case, the data includes problem data, fingerprint data, commentary data, and the like.

하나의 이미지로 구성되면 여백이 조금 모자랄 경우, 다음 페이지에 삽입해야되고, 그럴 경우 문제집의 페이지 수가 많아지고 많은 비용이 든다.If it consists of one image, if the margin is a little shorter, it should be inserted into the next page.

하나의 이미지로 구성된 데이터를 각 라인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즉, 제 1라인(410), 제 2라인(420), 제 3라인(430)처럼 순차적으로 제 n라인(480)까지 분류한다. 또한, 분류된 각 라인별 이미지는 그에 대응하는 식별개체가 포함된다.Data consisting of one image is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line. That is, the first line 410, the second line 420, and the third line 430 are sequentially classified to the n-th line 480. In addition, each classified image for each line includes an identifier corresponding thereto.

문제집에 삽입될 때, 데이터가 삽입될 수 있는 문제집의 여백이 제 7라인(470)까지 삽입될 수 있는 경우, 제 7라인(470)까지 삽입되도 사용자가 문제집을 받아서 풀 때, 영향이 없다고 판단되면 제 7라인(470)까지 삽입한다. 또한, 제 7라인(470)까지 삽입될 수 있다고 해도 제 7라인(470)을 기준으로 이미지를 분류하여 조합할 경우, 문제를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면 다른 라인을 기준으로 분류하거나 다른 페이지에 제 n라인(480)까지 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조합할 수 있다.When inserted into the problem book, if the margin of the problem book where data can be inserted can be inserted up to the seventh line 470, even when inserted up to the seventh line 470,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effect when the user receives the problem book and solves it. If the seventh line 470 is inserted. In addition, even if it is possible to insert up to the seventh line 470, when classifying and combining images based on the seventh line 470,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problem, the image may be classified based on another line or may be placed on another page. Up to n-th line 480 may be combined into one image.

각 라인을 조합할 때, 문제를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은 분류된 이미지(각 라인)에 별도의 개체를 삽입하여 개체가 삽입된 이미지는 분류하지 않도록 하며, 별도의 개체가 아닌 식별할 수 있는 포인트나 이미지를 조합할 때, 교육 서버에서 제어할 수 있는 것도 포함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When combining each line, judging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problem is to insert a separate object in the classified image (each line) so that the image into which the object is inserted is not classified and can be identified rather than a separate object. When combining a point or an image, it can also be controlled by the training serv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가 저장될 때,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형식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ble format of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when data is stored in a database, a table format of the database is stored.

각 라인별로 분류된 문제 데이터는 도 5와 같은 속성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문항테이블(510), 문항속성테이블(520), 문항지문 매핑테이블(530), 문제해설테이블(540), 지문테이블(550)로 구성된다.The problem data classified for each line stores the attribute information as shown in FIG. 5, and includes an item table 510, an item attribute table 520, an item fingerprint mapping table 530, a problem explanation table 540, and a fingerprint table. 550).

테이블마다 그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가 있으며, 테이블과 테이블을 연결시키는 식별 개체가 존재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Each table has a corresponding detailed information and consists of a table and an identifying entity linking the tables.

도 5와 같이 문제 데이터는 지문 데이터와 해설 데이터가 연결되어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in the problem data, fingerprint data and commentary data are connected.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100 : 단말기 200 : 교육 서버
210 : 통신부 220 : 이미지 분할부
230 : 데이터 호출부 240 : 문제집 생성부
250 : 지문 판단부 260 : 제어부
300 : 데이터베이스
100: terminal 200: training server
210: communication unit 220: image segmentation unit
230: data call unit 240: problem book generation unit
250: fingerprint determination unit 260: control unit
300: database

Claims (16)

사용자로부터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기 위한 선택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와 직접 연결되거나, 웹 서버를 통해 연결되어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선택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별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교육 서버; 상기 교육서버와 연결되어 교육서버의 입력신호에 따라 문제 데이터, 지문 데이터 또는 해설 데이터를 각각의 이미지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교육서버는 단말기로부터 상기 맞춤형 문제집을 위한 선택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상기 맞춤형 문제집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 구성된 문제 데이터와 연관된 해설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호출하기 위한 데이터 호출부, 상기 데이터 호출부에서 상기 문제 데이터를 호출할 때, 호출하는 상기 문제 데이터와 연결된 지문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지문 판단부, 상기 데이터 호출부로부터 호출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 구성된 문제 데이터를 조합하여 문제집을 생성하기 위한 문제집 생성부, 상기 통신부, 데이터 호출부, 지문 판단부 및 문제집 생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육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데이터, 지문 데이터 또는 해설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각 라인별로 분할하여 식별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개체를 삽입하고 속성정보를 포함하여 각각의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분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문제집을 생성하기 위한 각각의 문제 데이터를 하나의 이미지로 저장할 경우, 이미지가 삽입되기 힘든 공간을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문제 데이터를 하나의 이미지가 아닌 라인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 분류하여, 분류된 이미지는 식별 개체, 속성 정보 등을 통해 하나의 데이터임을 알 수 있도록 그룹화하여 저장하고, 문제 데이터와 함께 제공되어 문제를 풀기 위해 필요한 지문 데이터를 상기 문제 데이터와 이미지로 저장되고, 각 라인별로 분류하여 이미지로 저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문제집을 생성하는 시스템
A terminal for receiving selection data for generating a customized problem book from a user; An education server directly connected to the terminal or connected through a web server to generate a customized problem book for each user based on selection data input from the terminal and provide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The database is connected to the education server and stores the problem data, fingerprint data or commentary data as respective images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education server, wherein the education server receives selection data for the customized problem book from the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ustomized problem collection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data to the terminal, a data call for calling commentary data associated with the problem data composed of one or more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to a database; When the data caller calls the problem data, a fingerpri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fingerprint data associated with the calling problem data is combined, and the problem data including one or more images called from the data caller is combined. Problem collection A system for creating a customized exercise books and exercise books using the generator, the image data consisting of the communication unit, data call unit, determining unit, and exercise books fingerprint generation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portion which,
The education server
Image segmentation that separates one or more image data of problem data, fingerprint data or commentary data stored in the database for each line and inserts a separate object for identification and generates each partial image including attribute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n installment,
The database
If you store each problem data to create a problem collection as one image, you can not take advantage of the space where the image is difficult to insert, so the problem data is classified into one or more images based on lines rather than one image. Are grouped and stored so as to know that they are one piece of data through identification objects, property information, etc., and the fingerprint data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provided with the problem data is stored as the problem data and the image, and the image is classified by each line. A system for creating a customized problem book using image data,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tored a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17231A 2011-02-25 2011-02-25 System for producting workbook of each user using image data KR1011951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231A KR101195172B1 (en) 2011-02-25 2011-02-25 System for producting workbook of each user using image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231A KR101195172B1 (en) 2011-02-25 2011-02-25 System for producting workbook of each user using image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795A KR20120097795A (en) 2012-09-05
KR101195172B1 true KR101195172B1 (en) 2012-11-01

Family

ID=47108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231A KR101195172B1 (en) 2011-02-25 2011-02-25 System for producting workbook of each user using image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1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585B1 (en) * 2014-05-14 2014-11-27 최진열 Learning support server, system and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998B1 (en) * 2002-09-03 2003-09-02 Daolsoft Inc Method for automatically typesetting customized learning material of each lev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998B1 (en) * 2002-09-03 2003-09-02 Daolsoft Inc Method for automatically typesetting customized learning material of each le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795A (en)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837B1 (en) Method of providing personalized education contents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US10971025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5160023A (en) Cloud server based graphic data query processing method
US20160117301A1 (en) Annotation sharing system and method
KR1022927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KR20170021101A (en) A smart studying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an user with scoring and studying information
CN110008858A (en) Paper methods of exhibiting and device,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CN107728892A (en) picture display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160139786A (en) System and method for solving learnig problems using augmented reality
KR101879273B1 (en) Electronic pen for electronic data stream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data streaming output using the electronic pen
KR101670157B1 (en) Support Method And Server Of 3-Dimension Printer
JP6454962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editing document
KR101195172B1 (en) System for producting workbook of each user using image data
US996742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016820B1 (en) Method, apparatus for generating wrong answer notes
CN106202539B (en) Syndication search method and device
US8970871B2 (en) Document processing system that embeds unique information in document
CN111079489B (en) Content identif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US10445416B2 (en) Digital note manipulation
WO2015178014A1 (en) Learning support system, learning support server, learning support method, and learning support program
KR20120026287A (en) System and method of incorrect answer management
US20180068030A1 (en) Information link system, information link program, and method for operating information link system
CN111144343B (en) Answer sheet content identification system
KR201200059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udy information
JP2002046314A (en) Book printing operation system and book made there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