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969B1 - 제어 신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 신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969B1
KR101194969B1 KR1020107019259A KR20107019259A KR101194969B1 KR 101194969 B1 KR101194969 B1 KR 101194969B1 KR 1020107019259 A KR1020107019259 A KR 1020107019259A KR 20107019259 A KR20107019259 A KR 20107019259A KR 101194969 B1 KR101194969 B1 KR 101194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b
plane data
period
sig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912A (ko
Inventor
위 유
지준 카이
제임스 얼 우맥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14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온-유지기간/오프-유지기간 상태와 무관하게,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제어 신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CONTROL SIGN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이동 전화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핸드헬드 컴퓨터들, 및 유사한 디바이스들과 같은 무선 원격 통신 능력들을 갖고 쉽게 수송가능한 디바이스들을 여기서는 사용자 장치(UE; user equipment)라 부른다. 용어 "사용자 장치"는 디바이스 및,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애플리케이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application,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애플리케이션, 또는 착탈가능 사용자 식별 모듈(R-UIM; 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관련 범용 집적 회로 카드(UICC;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의미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카드가 없는 디바이스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UE는 제2 UE, 원격 통신 네트워크 내의 일부 기타 엘리먼트, 서버 컴퓨터와 같은 자동화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일부 기타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UE와 다른 컴포넌트들 간의 통신 접속은 음성 호, 파일 전송, 또는 일부 기타 유형의 데이터 교환 - 이러한 것 모두 세션 또는 호라 부를 수 있음 - 을 일으킬 수 있다.
원격 통신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이전에는 가능하지 않았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더 발전한 네트워크 액세스 장치가 도입되었다. 이 발전한 네트워크 액세스 장치는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통상적인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의 등가의 장치보다 훨씬 더 많이 발전된 기타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 이외에 인핸스드 노드 B(ENB; enhanced node 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된 또는 차세대 장치를 여기서는 롱텀 이볼루션 (LTE; long-term evolution) 장치라 부를 수 있다.
일부 UE들은 패킷 교환 모드에서 통신하는 능력을 갖는데 이 모드에서 호 또는 세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트림은 고유한 식별자들이 주어지는 패킷들로 분할된다. 그 후, 패킷들은 소스로부터 서로 다른 경로들을 따라 수신지로 전송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시간에 수신지에 도달할 수 있다. 수신지에 도달할 때, 패킷들은 식별자들에 기초하여 자신의 최초의 시퀀스로 리어셈블된다.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은 인터넷을 통한 패킷 회선 기반 음성 통신을 위한 잘 알려진 시스템이다. 용어 "VoIP"는 여기서는 호를 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특정 기술과 무관하게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된 임의의 패킷 교환 음성 호를 의미할 것이다.
무선 VoIP 호에서는, UE와 ENB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신호는 주파수들, 코드들 및 시간 파라미터들의 특정 세트 및 ENB에 의해 특정될 수 있는 다른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의 특정 세트를 갖는 이러한 UE와 ENB 사이의 접속을 자원이라 부를 수 있다. ENB는 통상적으로 ENB가 임의의 특정 시간에 통신중에 있는 각각의 UE에 대해 다른 자원을 설정한다.
UE(10)가 데이터를 적절하게 전송하고 수신하기에 적합하게 온-유지기간과 오프-유지기간을 조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온-유지기간/오프-유지기간 상태와 무관하게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UE(10)가 데이터를 적절하게 전송하고 수신하기에 적합하게 온-유지기간과 오프-유지기간을 조정함으로써, 전력 절감과 성능 사이의 균형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보다 완벽한 이해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및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의 간단한 설명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지며,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에 대한 온-유지기간(on-duration)과 오프-유지기간(off-duration)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제어 신호에 대한 방법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 중 일부에 대해 동작가능한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 중 일부에 대해 동작가능한 사용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 중 일부에 대해 동작가능한 사용자 장치 상에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환경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수개의 실시예들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범용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아래 제공되지만, 본 시스템 및/또는 방법은 현재 알려져 있든 또는 기존의 것이든 간에 임의의 수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된 예시적인 설계 및 구현예들을 포함한 아래 설명된 예시적인 구현예, 도면, 및 기술로 제한되는 방식으로 되어서는 안 되며,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그 전체 등가 범위와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유지기간/오프-유지기간 상태와 무관하게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핸스드 노드 B(ENB)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치(UE)가 제공된다. UE는 UE와 ENB 사이에 자원을 설정하고 제어 신호가 발생되는 시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자원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스케쥴링된 오프-유지기간을 인터럽트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UE)로부터 인핸스드 노드 B(ENB)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UE와 ENB 사이에 자원을 설정하도록 스케쥴링된 오프-유지기간을 인터럽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어 신호가 발생되는 시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자원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ENB(20) 또는 유사한 컴포넌트와 통신가능한 UE(10)를 포함하는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러 유형의 정보의 전송들은 UE(10)와 ENB(2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는 VoIP 데이터 패킷들, 및 웹 브라우징, 이메일링, 및 다른 사용자 애플리케이션들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들과 같은 여러 유형들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데이터 - 이 모든 것을 사용자 평면 데이터라 할 수 있음 - 를 ENB(20)에 전송할 수 있다. UE의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관련된 다른 유형의 정보는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친숙할 것이다.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임의의 신호를 여기서는 데이터 신호(30)라 부를 수 있다. 데이터 신호(30)와 관련된 정보를 여기서는 사용자 평면 데이터라 부를 수 있다.
UE(10)는 또한 계층 1 스케쥴링 요청, 계층 2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들 및 이동성 측정 메시지 및 기타 제어 메시지들과 같은 여러 유형들의 제어 시그널링 - 이 모든 것을 제어 평면 데이터라 부를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친숙한 것임 - 을 ENB(20)에 전송할 수 있다. UE(10)는 통상적으로 호를 개시 또는 유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이러한 메시지들을 발생시킨다. 임의의 이러한 신호는 여기서는 제어 신호(40)라 부른다. 제어 신호(40)와 관련된 정보를 여기서는 제어 평면 데이터라 부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전용 채널은 UE(10)와 ENB(20) 사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어 평면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거나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라는 요청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이들 목적을 위해 무선 액세스 채널(RACH)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일부 경우에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라는 자원에 대한 요청을 RACH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고, 다른 경우에, 제어 평면 데이터 자체를 RA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UE(10)가 제어 신호(40)를 ENB(20)에 전송할 때, ENB(20)는 자원 신호 또는 다른 제어 신호를 UE(10)에 반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가 이동성 측정 메시지를 ENB(20)에 전송하면, ENB(20)는 확인응답 메시지 또는 일부 다른 핸드오버 관련 제어 메시지를 UE(10)에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ENB(20)가 UE(10)로부터의 제어 신호(40)의 수신시 전송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응답들은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친숙할 것이다. UE(10)에 의해 전송된 제어 신호(40)에 대한 ENB(20)에 의한 이러한 임의의 응답을 여기서는 응답 신호(50)라 부를 것이다.
배터리 전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UE(10)는 높은 전력 모드 및 낮은 전력 모드 간을 주기적으로 교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및 불연속 전송(DTX; discontinuous transmission)으로 잘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여, UE(10)는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비교적 높은 전력을 소모하는 짧은 기간에 주기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기간을 여기서는 온-유지기간이라 부를 것이다. 온-유지기간들 사이에 UE(10)는 전력 소모가 감소되고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지 않는 보다 긴 기간에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기간을 여기서는 오프-유지기간이라 부를 것이다. 전력 절감과 성능 사이의 균형은 UE(10)가 데이터를 적절하게 전송하고 수신하기에 충분히 긴 온-유지기간을 여전히 유지시키면서, 오프-유지기간을 가능한 길게 형성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용어 "DRX"는 불연속 수신 또는 불연속 전송을 총칭하여 언급하는데 종종 이용된다. 혼동을 피하기 위해, 용어 "온-유지기간" 및 "오프-유지기간"은 여기서는 UE(10)에 의해 수신되고 있는지 또는 UE(10)로부터 전송되고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UE의 능력을 의미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도 2는 UE(10)에 대한 온-유지기간 및 오프-유지기간의 이상화된 도면을 나타낸다. 더 높은 전력 사용량을 갖는 온-유지기간(210)은 더 낮은 전력 사용량을 갖는 오프-유지기간(220)과 적절한 시간에 교대한다. 통상적으로, UE(10)는 온-유지기간(210) 동안에만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고 오프-유지기간(220) 동안에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는다. 일례로서, 하나의 온-유지기간(210)과 하나의 오프-유지기간(220)의 전체 사이클이 20 밀리초를 지속해야 하는 것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이 사이클 중, UE(10)가 정보의 현저한 손실 없이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5 밀리초의 온-유지기간(210)이 충분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오프-유지기간(220)이 15밀리초 지속할 것이다.
온-유지기간(210)과 오프-유지기간(220)의 크기의 결정은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들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oIP는 이메일 전송보다 더 높은 품질 레벨(예를 들어, 더 적은 지연)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호가 세트업중일 때, UE(10)와 ENB(20)는 최대 허용가능 지연량, 최대 허용가능 패킷 손실량 및 유사한 고려사항에 기초하여 QoS가 협상되는 서비스 협상 단계에 진입한다. UE(10)의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 레벨이 또한 QoS 협상에서의 팩터가 될 수 있다. 호에 대한 QoS 파라미터가 설정되었을 때, ENB(20)는 그 QoS 레벨에 기초하여 온-유지기간(210) 및 오프-유지기간(220)에 대해 적절한 크기를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UE(10)에 의해 발생된 제어 신호(40)는, 제어 신호(40)가 전송된 때의 온-유지기간(210) 및 오프-유지기간(220)의 상태와 무관하게 제어 신호(40)가 발생된 시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ENB(20)에 전송된다. 즉, 그렇지 않고 제어 신호(40)가 오프 유지기간(220)일 수 있는 동안에 발생되면 UE(10)는 UE(10)와 ENB(20) 사이에 자원이 설정되는 스케쥴링되지 않은 온-유지기간에 일시적으로 진입한다. 스케쥴링되지 않은 온-유지기간은 제어 신호(40)의 전송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긴 유지기간으로 이루어진다. 정기적으로 스케쥴링된 온-유지기간(210) 동안에 발생된 제어 신호(40)는 표준 방식으로 온-유지기간(210) 동안에 전송된다. 데이터 신호(30)는 또한 표준 방식으로 온-유지기간(210) 동안에 전송된다.
제어 신호(40)가 발생된 후 가능한 빨리 제어 신호(40)를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ENB(20)가 UE(10)가 측정을 행하자마자 즉시 UE(10)로부터 이동성 측정 메시지를 수신한다면, ENB(20)가 스케쥴링된 웨이크(wake) 기간(210) 동안에 일정 시간 이후 이동성 측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비하여 핸드오버 동안에 UE의 호가 드롭될 가능성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이 절차는 또한 제어 신호(40)에 대한 프로토콜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에는 메시지가 측정 관련 메시지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메시지의 페이로드를 개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었다. 모든 제어 신호(40)를 여기에 설명된 방식으로 처리함으로서, 메시지가 측정 관련 메시지인지의 여부의 결정이 간략화될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ENB(20)는 UE(10)로부터 제어 신호(40)를 수신한 후 응답 신호 또는 다른 제어 신호(50)를 UE(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신호(40)가 오프-유지기간(220) 동안에 전송되면, 오프 유지기간(220) 동안에 제어 신호(40)의 전송을 허용하도록 자원을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UE(10)는 UE(10)로 하여금 응답 신호 또는 다른 제어 신호(50)를 수신하도록 하기에 충분히 길게 웨이크한다. 응답 타이머(60)는 UE(10)가 제어 신호(40)를 전송하는 시간에 시작할 수 있고 UE(10)는 응답 타이머(60)가 실행하는 시간의 유지기간 동안 웨이크 상태로 유지할 것이다. 응답 타이머의 실행 시간은, UE(10)가 수신할 것으로 보이는 임의의 응답 신호(50)가 응답 타이머의 실행 시간 내에서 수신되도록 하기에 충분히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응답 타이머의 실행 시간은 ENB(20)에 의해 특정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ENB(20)가 이 정보를 응답 타이머(60)에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응답 타이머(60)는 ENB(20)에 의해 특정된 시간 동안 실행할 것이다. 응답 타이머(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0) 내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 외에 어디서나 위치될 수 있다.
이는 도 2에 나타나 있으며, 이 경우 제어 신호(40)는 오프-유지기간(220c) 동안에 발생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UE(10)가 그렇지 않고 오프-유지기간에 있는 경우에도 제어 신호(40)의 전송을 허용하기 위해 UE(10)와 ENB(20) 사이에 자원을 설정한다. 제어 신호(40)가 전송될 때 응답 타이머(60)가 시작하고, UE(10)는 응답 타이머의 종료 시간(230)에 도달할 때까지 웨이크 상태로 유지된다. 응답 신호(50)가 수신되기 전에 경과할 것으로 보이는 시간 길이는 알려질 수 있다. UE(10)가 여전히 웨이크 상태에 있는 동안, 응답 신호(50)가 실행 시간(240) 동안에 수신되어지도록 하기에 충분히 긴 실행 시간(240)을 타이머에 제공하도록 응답 타이머의 종료 시간(230)을 설정할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UE(10)가 ENB(20)에 전송할 수 있는 제어 신호들(40) 중 하나는 스케쥴링 요청(SR; scheduling request) 채널을 통해 전송된 SR이다. SR 채널은 UE(10)와 ENB(20)사이의 전용 채널이며 ENB(20)로부터 자원을 요청하기 위한 채널을 UE(10)에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별하게 설정된 것이다. UE(10)는 SR 채널 상에 표시자를 위치시킴으로써 SR을 전송할 때, ENB(20)는 이것을 자원들에 대한 요청으로서 해석한다. 그 후, ENB(20)는 UE(10)에 업링크 자원을 그랜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R들의 전송은 UE의 온-유지기간(210) 및 오프-유지기간(220)과 독립적이다. 즉, 제어 신호(40)와 마찬가지로, SR들은 UE(10)이 온-유지기간(210)에 있는지 또는 오프-유지기간(220)에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SR들이 발생되는 시간에 대략 전송된다. 이는 도 2에 나타나 있고 여기서 SR(250)은 오프-유지기간(220d) 동안에 전송된다.
UE(10)와 ENB(20) 사이의 동기화가 이들 두 엔티티 사이에 발생하는 통신에 필요할 수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이 동기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ENB(20) 또는 일부 다른 컴포넌트가 타이밍 정렬 신호를 UE(10)에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ENB(20)와 UE(10)를 동기적으로 유지시키는 타이밍 정렬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UE(10)가 확장된 기간 동안에 이러한 타이밍 정렬 신호를 ENB(20)로부터 수신하지 못하면, UE(10)와 ENB(20) 사이의 동기화는 손실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타이밍 정렬 타이머(70)는 ENB(20)로부터 타이밍 정렬 신호를 수신한 이래 경과하였던 시간량의 트랙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타이밍 정렬 타이머(70)가 만료하면, SR 채널은 해제된다. 즉, UE(10)가 타이밍 정렬 타이머의 실행 시간 내에서 타이밍 정렬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UE(10)는 SR 채널을 해제한다. 타이밍 정렬 타이머(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0)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 외의 어디에나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타이밍 정렬과 관련된 타이머가 ENB(2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 ENB-기반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ENB(20)가 UE(10)로부터 제어 평면 데이터, 사용자 평면 데이터 또는 다른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ENB(20)는 동기화가 손실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고 SR 채널을 해제하도록 UE(10)에 명령할 수 있다.
도 3은 UE로부터 ENB에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3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블록 310에서, UE와 ENB 사이에 자원을 설정하기 위해, 스케쥴링된 오프-유지기간을 인터럽트한다. 블록 320에서, 제어 신호가 발생되는 시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자원을 통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도 4는 UE(10)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UE(10)는 본 발명개시의 구현예를 이행하도록 동작가능하지만, 본 발명개시는 이러한 구현예들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UE(10)는 비록 이동 전화기로서 도시되고 있지만, UE(10)는 무선 핸드세트, 페이저,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휴대형 컴퓨터, 타블릿 컴퓨터, 또는 랩탑 컴퓨터를 포함하는 수 많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수 많은 적절한 장치들은 이러한 기능들 모두 또는 일부를 결합시킨다. 본 발명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UE(10)는 휴대형 랩탑 또는 타블릿 컴퓨터와 같은 범용 컴퓨팅 장치는 아니며, 이보다는 이동 전화기, 무선 핸드세트, 페이저, PDA, 또는 차량내에 설치된 전기통신 장치와 같은 특수목적용 통신 장치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UE(10)는 휴대형, 랩탑 또는 기타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UE(10)는 게임, 인벤토리 제어, 업무 제어, 및/또는 작업 관리 기능 등과 같은 특수한 작동들을 지원해줄 수 있다.
UE(10)는 디스플레이(402)를 포함한다. UE(10)는 또한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위한 부분(404)으로서 일반적으로 칭해지는 터치 민감형 표면, 키보드 또는 기타 입력 키들을 포함한다. 키보드는 QWERTY, Dvorak, AZERTY, 및 순차적 유형과 같은 완전한 알파벳숫자 키보드 또는 축소된 알파벳숫자 키보드일 수 있거나, 또는 전화 키패드와 연계된 알파벳 글자를 갖춘 전통적인 숫자 키패드일 수 있다. 입력 키들은 트랙휠, 출구 또는 탈출 키, 트랙볼, 및 기타의 네비게이션 키들 또는 기능 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키들은 추가적인 입력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다. UE(10)는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옵션,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제어, 및/또는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한 커서 또는 기타 표시자를 제공할 수 있다.
UE(10)는 또한 전화번호 또는 UE(10)의 동작을 구성하는 다양한 파라미터 값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엔트리를 사용자로부터 수락할 수 있다. UE(10)는 또한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들은 UE(10)가 사용자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다양한 맞춤화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UE(10)는 무선적으로 예컨대, 무선 기지국, 무선 액세스 포인트, 또는 피어 UE(10)로부터,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및/또는 구성될 수 있다.
UE(10)에 의해 실행가능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 중에는 웹 브라우저가 있으며, 이것은 디스플레이(402)가 웹 페이지를 보여줄 수 있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웹 페이지는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셀 타워, 피어 UE(10), 또는 임의의 다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400)과 무선 통신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인터넷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408)에 결합된다. 무선 링크 및 유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UE(10)는 서버(410)와 같은, 다양한 서버들상의 정보에 액세스한다. 서버(410)는 디스플레이(402)상에서 표시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UE(10)는 중계 접속 유형 또는 홉 접속 유형으로, 중계자로서 역할을 하는 피어 UE(10)를 통해 네트워크(400)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5는 UE(10)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UE(10)의 다양한 알려진 컴포넌트들이 도시되지만, 실시예에서는 나열된 컴포넌트들 및/또는 나열되지 않은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의 서브세트가 UE(10)내에 포함될 수 있다. UE(10)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502)와 메모리(50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UE(10)는 안테나 및 프론트 엔드 유닛(506), 무선 주파수(RF) 트랜시버(508), 아날로그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510), 마이크로폰(512), 이어폰 스피커(514), 헤드세트 포트(516), 입력/출력 인터페이스(518), 탈착가능 메모리 카드(520),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522), 단거리 무선 통신 서브 시스템(524), 경보장치(526), 키패드(528),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CD)는 터치 민감형 표면(530), LCD 제어기(532), 전하 결합 장치(CCD) 카메라(534), 카메라 제어기(536), 및 글로벌 위치추적 시스템(GPS) 센서(538)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UE(10)는 터치 민감형 스크린을 제공하지 않는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DSP(502)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518)를 통과하지 않고 메모리(504)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DSP(502) 또는 몇몇의 다른 형태의 제어기 또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은 메모리(504)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DSP(502) 자체내에 포함된 메모리내에 저장된 내장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에 따라 UE(1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내장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에 더하여, DSP(502)는 메모리(504)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탈착가능 메모리 카드(520)와 같은 휴대형 데이터 저장 매체와 같은 정보 운송 매체를 통해서 또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서 이용가능하게 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DSP(502)가 희망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시키는 컴파일된 머신 판독가능 명령 세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해석기 또는 컴파일러가 DSP(502)를 간접적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상위 레벨의 소프트웨어 명령일 수 있다.
안테나 및 프론트 엔드 유닛(506)은 무선 신호와 전기 신호 사이를 변환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UE(10)가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몇몇의 기타 이용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또는 피어 UE(10)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해준다. 실시예에서, 안테나 및 프론트 엔드 유닛(506)은 빔 포밍 및/또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MIMO 동작은 곤란한 채널 상태를 극복하고 및/또는 채널 처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공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할 수 있다. 안테나 및 프론트 엔드 유닛(506)은 안테나 튜닝 및/또는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RF 전력 증폭기, 및/또는 저잡음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RF 트랜시버(508)는 수신된 RF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변환시키고,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RF로 변환시키는 주파수 천이를 제공한다. 몇몇 설명에서, 무선 트랜시버 또는 RF 트랜시버는 변조/복조, 코딩/디코딩, 인터리빙/디인터리빙, 스프레딩/디스프레딩,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고속 푸리에 변환(FFT), 순환 프리픽스 부가/삭제, 및 기타 신호 프로세싱 기능과 같은 기타의 신호 프로세싱 기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명확함을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이 신호 프로세싱의 설명을 RF 및/또는 무선 단계와 구별시키며, 개념적으로 이러한 신호 프로세싱을 아날로그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510) 및/또는 DSP(502) 또는 기타 중앙 프로세싱 유닛에 할당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RF 트랜시버(508), 안테나 및 프론트 엔드 부분(506), 및 아날로그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51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 및/또는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내에서 결합될 수 있다.
아날로그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510)은 입력 및 출력의 다양한 아날로그 프로세싱,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512) 및 헤드세트(516)로부터의 입력의 아날로그 프로세싱과 이어폰(514)과 헤드세트(516)로의 출력의 아날로그 프로세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아날로그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510)은 UE(10)가 셀 폰으로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해주는 내장된 마이크로폰(512)과 이어폰 스피커(514)에 대한 접속을 위한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아날로그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510)은 헤드세트 또는 기타 핸즈프리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 구성에 대한 접속을 위한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510)은 하나의 신호 방향으로의 디지털 대 아날로그 변환과 반대 신호 방향으로의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아날로그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510)의 기능성 중 적어도 몇몇은 디지털 프로세싱 컴포넌트, 예컨대 DSP(502) 또는 기타 중앙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DSP(502)는 변조/복조, 코딩/디코딩, 인터리빙/디인터리빙, 스프레딩/디스프레딩,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고속 푸리에 변환(FFT), 순환 프리픽스 부가/삭제, 및 무선 통신과 연계된 기타 신호 프로세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기술 응용에서, 송신기 기능을 위해 DSP(502)는 변조, 코딩, 인터리빙, 및 스프레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수신기 기능을 위해서 DSP(502)는 디스프레딩, 디인터리빙, 디코딩, 및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액세스(OFDMA) 기술 응용에서, 송신기 기능을 위해 DSP(502)는 변조, 코딩, 인터리빙, 역 고속 푸리에 변환, 및 순환 프리픽스 부가를 수행할 수 있으며, 수신기 기능을 위해 DSP(502)는 순환 프리픽스 삭제, 고속 푸리에 변환, 디인터리빙, 디코딩, 및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무선 기술 응용에서는, 또 다른 신호 프로세싱 기능 및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의 조합이 DSP(5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DSP(502)는 아날로그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510)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통신은 사용자가 인터넷상의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얻고, 이메일 또는 텍스트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넷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518)는 DSP(502) 및 다양한 메모리 및 인터페이스를 상호접속시켜준다. 메모리(504) 및 탈착가능 메모리 카드(520)는 DSP(502)의 동작을 구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들 중에는 USB 인터페이스(522)와 단거리 무선 통신 서브 시스템(524)이 있을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522)는 UE(10)를 충전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또한 UE(10)가 개인 컴퓨터 또는 기타 컴퓨터 시스템과 정보를 교환하는 주변 장치로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단거리 무선 통신 서브 시스템(524)은 UE(10)가 근처의 다른 이동 장치 및/또는 무선 기지국과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는 적외선 포트,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IEEE 802.11형 무선 인터페이스, 또는 기타 임의의 단거리 무선 통신 서브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518)는 또한 DSP(502)를 경보장치(526)에 접속시켜줄 수 있으며, 이 경보장치(526)는 트리거될 때에, 예컨대 울리거나, 멜로디를 재생하거나 또는 진동함으로써 UE(10)로 하여금 사용자에게 통지를 제공하도록 해준다. 경보장치(526)는 무음 진동하거나, 또는 특정 콜 당사자에 대해 특정의 미리지정된 멜로디를 재생시킴으로써, 수신 콜, 신규 텍스트 메세지, 및 약속 리마인더와 같은 다양한 임의의 이벤트들을 사용자에게 경보해주기 위한 메카니즘으로서 역할을 한다.
키패드(528)는 사용자가 선택을 하며, 정보를 입력하며, 그리고 이와 달리 입력을 UE(10)에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메카니즘을 제공하기 위해 인터페이스(518)를 경유하여 DSP(502)에 결합된다. 키보드(528)는 QWERTY, Dvorak, AZERTY, 및 순차적 유형과 같은 완전한 알파벳숫자 키보드 또는 축소된 알파벳숫자 키보드일 수 있거나, 또는 전화 키패드와 연계된 알파벳 글자를 갖춘 전통적인 숫자 키패드일 수 있다. 입력 키들은 트랙휠, 출구 또는 탈출 키, 트랙볼, 및 기타의 네이게이션 키들 또는 기능 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키들은 추가적인 입력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안쪽으로 눌러질 수 있다. 다른 입력 메카니즘은 터치 스크린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텍스트 및/또는 그래픽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는 LCD(530)일 수 있다.
CCD 카메라(534)는, 장착되는 경우, UE(10)로 하여금 디지털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해준다. DSP(502)는 카메라 제어기(536)를 통해 CCD 카메라(534)와 통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하 결합 장치 카메라 이외의 다른 기술에 따라 동작하는 카메라가 이용될 수 있다. GPS 센서(538)가 글로벌 위치추적 시스템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해 DSP(502)에 결합되며, 이로써 UE(10)로 하여금 자신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기타 다양한 주변장치들이 또한 추가적인 기능들, 예컨대 무선 및 텔레비젼 수신을 제공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DSP(502)에 의해 이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환경(602)을 도시한다. DSP(502)는 나머지 소프트웨어들이 동작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드라이버(604)를 실행시킨다. 오퍼레이팅 시스템 드라이버(604)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액세스가능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갖춘 무선 장치 하드웨어를 위한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 드라이버(604)는 UE(10)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들간의 제어를 전송시키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AMS")(606)를 포함한다. 또한 도 6에서는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608),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610), 및 자바 애플릿(612)이 도시된다.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608)은 UE(10)가 웹 브라우저로서 동작하도록 구성시키도록 하여 이용자가 정보를 서식내에 입력하고 링크를 선택하여 웹 페이지를 검색 및 뷰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610)은 UE(10)가 음성 또는 시청각 미디어를 검색 및 재생하도록 구성시킨다. 자바 애플릿(612)은 UE(10)가 게임, 유틸리티, 및 기타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시킨다. 컴포넌트(614)는 제어 신호 관리와 관련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시스템은 충분한 프로세싱 전력, 메모리 자원, 및 네트워크상에서 발생한 필요한 작업부하를 처리하는 네트워크 처리량 능력을 갖춘 임의의 범용 컴퓨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이행하는데 적합할 수 있는 일반적인, 범용 컴퓨터 시스템(580)을 도시한다. 컴퓨터 시스템(580)은 2차 저장소(584), 판독 전용 메모리(ROM)(586),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588)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입력/출력(I/O) 장치(590), 및 네트워크 접속 장치(592)와 통신하는 프로세서(582)(이것은 중앙 프로세서 유닛 또는 CPU로서 칭해질 수 있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CPU 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2차 저장소(584)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테이프 드라이브로 구성되며, 이것은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소를 목적으로, 만약 RAM(588)이 모든 작업 데이터를 수용할 만큼 충분히 크지 않는 경우에 오버 플로우 데이터 저장 장치로서 이용된다. 2차 저장소(584)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선택될 때에 RAM(588)내로 로딩되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ROM(586)은 프로그램 실행 동안에 판독되는 명령 및 아마도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용된다. ROM(586)은 일반적으로 2차 저장소의 보다 큰 메모리 용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메모리 용량을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이다. RAM(588)은 휘발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아마도 명령을 저장하는데 이용된다. ROM(586)과 RAM(588)으로의 액세스는 일반적으로 2차 저장소(584)로의 액세스보다 빠르다.
I/O 장치(590)는 프린터, 비디오 모니터, 액정 디스플레이(LCD),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키보드, 키패드, 스위치, 다이얼, 마우스, 트랙 볼, 음성 인식기, 카드 리더기, 페이퍼 테입 리더기, 또는 기타 잘 알려진 입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장치(592)는 모뎀, 모뎀 뱅크, 이더넷 카드, 범용 직렬 버스(USB) 인터페이스 카드, 직렬 인터페이스, 토큰 링 카드, 섬유 분배형 데이터 인터페이스(FDDI) 카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카드, 이동 통신을 위한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및/또는 글로벌 시스템(GSM) 무선 트랜시버 카드와 같은 무선 트랜시버 카드, 및 기타 잘 알려진 네트워크 장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들(592)은 프로세서(582)가 인터넷 또는 하나 이상의 인트라넷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으로, 프로세서(582)는 네트워크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상술한 방법 단계들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에게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프로세서(582)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명령 시퀀스로서 종종 표현되는 이와 같은 정보는 예컨대, 반송파내에 실려진 컴퓨터 데이터 신호의 형태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네트워크에 출력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장치(592)는 무선방식으로 또는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신호를 달리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송신기 및 수신기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82)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데이터 또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는 이와 같은 정보는 예컨대, 컴퓨터 데이터 기저대역 신호 또는 반송파내에 실려진 신호의 형태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네트워크에 출력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장치(592)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 또는 반송파내에 실려진 신호는 전기 전도체의 표면내 또는 전기 전도체 표면상에서, 동축 케이블내, 도파관내, 광학 매체(예컨대, 광 섬유내), 또는 무선 또는 자유 공간내에서 전파될 수 있다. 기저대역 신호 또는 반송파내에 실려진 신호내에 포함된 정보는 이러한 정보를 프로세싱하거나 생성하는데에 바람직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데 바람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여러가지 시퀀스들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송신 매체로서 언급되는, 기저대역 신호 또는 반송파내에 실려진 신호, 또는 현재 이용되거나 또는 차후에 개발되는 기타 유형의 신호들은 본 발명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여러가지 방법들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82)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학 디스크(이러한 다양한 디스크 기반 시스템은 모두 2차 저장소(584)로 간주될 수 있다), ROM(586), RAM(588), 또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592)로부터 프로세서가 액세스하는 명령, 코드, 컴퓨터 프로그램, 스크립트를 실행시킨다. 비록 하나의 프로세서(582)만이 도시되지만, 다수의 프로세서들이 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지만, 명령들은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시적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이와 다르게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개시에서는 여러가지 실시예들이 제공되었지만,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본 발명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수 많은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시된 예시들은 제한적 의미로서가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간주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주어진 세부사항으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다양한 엘리먼트들 또는 컴포넌트들이 다른 시스템내에서 결합되거나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어떤 특징들이 생략될 수 있거나,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개별적이거나 또는 분리된 것으로서 설명되고 도시된 기술, 시스템, 서브 시스템 및 방법은 본 발명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시스템, 모듈, 기술, 또는 방법과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집적될 수 있다. 서로 결합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통신하는 것으로서 도시되거나 논의된 기타의 아이템들은 전기적 방식, 기계적 방식, 또는 기타의 방식으로든지 간에, 몇몇의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중간 컴포넌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통신할 수 있다. 변경물, 대체물, 및 수정물의 다른 예시들이 본 발명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획득가능하며, 이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는 것 없이 행해질 수 있다.
10: UE
20: ENB
30: 데이터 신호
40: 제어 신호
50: 응답 신호
60: 응답 타이머
70 타이밍 정렬 타이머
210: 온-유지기간
220: 오프-유지기간

Claims (15)

  1. 사용자 장치(UE; user equipment)에 있어서,
    스케쥴링되지 않은 온 유지기간(on-duration) 동안에 제어 평면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UE는 상기 제어 평면 데이터가 전송된 후, 일정 기간 동안에 웨이크(awake)하도록 구성된 것이고, 상기 일정 기간은 개선된 노드 B(ENB)에 의해 특정(specify)되는 것인 사용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온 유지기간 동안에만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인 사용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면 데이터는 VoIP 데이터 패킷, 및 웹 브라우징, 이메일링, 및 다른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평면 데이터는 계층 1 스케쥴링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평면 데이터는 계층 2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의 제어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평면 데이터는 이동성 측정 메시지의 제어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의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어 평면 데이터가 전송된 후 상기 UE가 상기 ENB로부터 응답 신호 또는 다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에 충분히 긴 일정 기간 동안에 상기 UE를 웨이크(awake)하게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사용자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을 측정하고 타이밍 정렬 타이머의 만료시 채널 자원들의 해제를 진행하도록 구성된 타이밍 정렬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ENB로부터 타이밍 정렬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때 상기 UE가 채널 자원을 해제하는 것인 사용자 장치.
  10. 사용자 장치(UE; user equipment)로부터 개선된 노드 B(ENB)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케쥴링되지 않은 온 유지기간(on duration) 동안에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 평면 데이터가 전송된 후, 일정 기간 동안에 웨이크(awake)하게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일정 기간은 상기 ENB에 의해 특정(specify)되는 것인 제어 신호의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ENB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에 충분히 긴 일정 기간 동안에 상기 UE를 웨이크(awake)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제어 신호의 전송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은 응답 타이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인 제어 신호의 전송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평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스케쥴링된 온 유지기간과 무관하게, 상기 ENB에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제어 신호의 전송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에 상기 ENB로부터 타이밍 정렬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때, 상기 UE가 스케쥴링 요청 채널을 해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제어 신호의 전송 방법.
  15. 삭제
KR1020107019259A 2008-02-01 2009-01-14 제어 신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94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024,873 2008-02-01
US12/024,873 US8908570B2 (en) 2008-02-01 2008-02-01 Control sign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PCT/US2009/030963 WO2009099729A2 (en) 2008-02-01 2009-01-14 Control sign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912A KR20100114912A (ko) 2010-10-26
KR101194969B1 true KR101194969B1 (ko) 2012-10-25

Family

ID=3968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259A KR101194969B1 (ko) 2008-02-01 2009-01-14 제어 신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8908570B2 (ko)
EP (3) EP2086281B1 (ko)
JP (1) JP5192054B2 (ko)
KR (1) KR101194969B1 (ko)
CN (1) CN101982006A (ko)
AU (1) AU2009210637B2 (ko)
BR (1) BRPI0907360B1 (ko)
ES (3) ES2629209T3 (ko)
HK (1) HK1199159A1 (ko)
MX (1) MX2010008476A (ko)
SG (1) SG188087A1 (ko)
WO (1) WO20090997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13365C2 (ru) 2005-10-21 2011-02-27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Методика выполнения процедуры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по радиоинтерфейсу
US8908570B2 (en) * 2008-02-01 2014-12-09 BlackBerrry Limited Control sign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0925333B1 (ko) * 2008-03-14 200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상향링크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
KR101468742B1 (ko) * 2008-05-06 201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240090B1 (ko) * 2008-06-02 2013-03-0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타이밍 조정 방법, 이동국, 기지국 및 이동 통신 시스템
GB2461159B (en) 2008-06-18 2012-01-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Mac PDUs
GB2461780B (en) 2008-06-18 2011-0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cting failures of random access procedures
KR100949972B1 (ko) 2009-01-02 2010-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임의접속 수행 기법
KR101122095B1 (ko) * 2009-01-05 2012-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불필요한 재전송 방지를 위한 임의접속 기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N102625377B (zh) * 2011-01-31 2014-06-1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无线承载的建立方法、接入点设备、用户设备及系统
PT2697768T (pt) * 2011-04-12 2020-05-18 Applied Science Inc Método para gestão de doações de sangue
KR20140116173A (ko) * 2012-01-29 2014-10-01 알까뗄 루슨트 업 링크 시간을 벗어난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무선 자원 제어 접속 해제
US20140036794A1 (en) * 2012-08-03 2014-02-06 Ali T. Koc User equipment assistance information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SI3148438T1 (sl) 2014-05-30 2019-11-29 Applied Science Inc Metode za ravnanje z darovano krvjo
WO2016064142A1 (ko) * 2014-10-23 2016-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wi-fi 링크를 통해 설정된 pdn 연결에 대한 가상 베어러 설정 방법 및 장치
WO2016182228A1 (ko) * 2015-05-10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용량의 산발적 패킷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122500B2 (en) * 2015-08-26 2018-11-06 Apple Inc. Efficient sparse network resource usage and connection release
KR102344657B1 (ko) * 2016-06-30 2021-12-30 소니그룹주식회사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CN106546999A (zh) * 2016-10-20 2017-03-2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Gps模块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终端
US20190350038A1 (en) * 2017-01-05 2019-11-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discontinuous receptio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1542A (en) 1991-08-23 1993-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ttery efficient operation of scheduled access protocol
JP3119800B2 (ja) 1995-09-30 2000-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移動体通信装置
US5910944A (en) 1997-02-28 1999-06-08 Motorola, Inc. Radio telepho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radiotelephone in slotted paging mode
US6016312A (en) * 1997-02-28 2000-01-18 Motorola, Inc. Radiotelephone and method for clock calibration for slotted paging mode in a CDMA radiotelephone system
JPH1169406A (ja) 1997-08-13 1999-03-09 Fujitsu Ltd 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429540B1 (ko) 1998-08-26 2004-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패킷데이터통신장치및방법
US7085246B1 (en) * 1999-05-19 2006-08-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sition of a spread-spectrum signal
JP3886795B2 (ja) 2001-12-10 2007-02-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移動端末及び通信基地局
KR100498340B1 (ko) * 2003-02-04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방법
KR20050023822A (ko) 2003-09-03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저전력모드 수행 방법
JP2007535868A (ja) 2004-04-30 2007-12-06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冗長な、向上したアップリンク割当て要求を最小化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654540B1 (ko) 2004-12-14 2006-12-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지 상태에서 호 연결없이 수행 가능한 핸드오프 방법
US20060280141A1 (en) 2005-06-08 2006-12-14 Mcbeath Sean M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 unique identifier among a plurality of receivers
KR20070008895A (ko) 2005-07-12 200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 다중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단말의 슬롯 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US7620367B2 (en) * 2005-10-31 2009-11-17 Ipwireless, Inc. Frequency domain unscheduled transmission in a TD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S2376284T3 (es) 2005-12-22 2012-03-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rocedimiento para operación de transmisión/recepción discontinua para reducir el consumo de energ�?a en un sistema celular.
KR101203841B1 (ko) * 2006-01-05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메시지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1211807B1 (ko) * 2006-01-05 201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단말의 동기상태 관리방법
AU2007245383B2 (en) * 2006-05-01 2011-05-19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uplink synchronization through use of dedicated uplink resource assignment
US20100165927A1 (en) * 2006-06-21 2010-07-01 Jung-Im Kim Method for paging terminal of rrc connected state in lte system
GB2445779B (en) * 2007-01-11 2009-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188247A1 (en) * 2007-02-02 2008-08-07 Ipwireless, Inc.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paging groups
KR20080086416A (ko) * 2007-03-21 2008-09-25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핸들링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US8908570B2 (en) * 2008-02-01 2014-12-09 BlackBerrry Limited Control sign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10637B2 (en) 2013-10-17
WO2009099729A2 (en) 2009-08-13
HK1199159A1 (en) 2015-06-19
WO2009099729A3 (en) 2009-10-29
US8908570B2 (en) 2014-12-09
EP2398295B1 (en) 2017-04-05
US20090196208A1 (en) 2009-08-06
JP2011514714A (ja) 2011-05-06
EP2757838B1 (en) 2017-09-20
KR20100114912A (ko) 2010-10-26
BRPI0907360B1 (pt) 2020-09-15
EP2086281B1 (en) 2012-06-06
BRPI0907360A2 (pt) 2015-07-28
SG188087A1 (en) 2013-03-28
ES2653290T3 (es) 2018-02-06
AU2009210637A1 (en) 2009-08-13
EP2398295A3 (en) 2012-01-18
US20150055535A1 (en) 2015-02-26
ES2388577T3 (es) 2012-10-16
CN101982006A (zh) 2011-02-23
MX2010008476A (es) 2010-09-30
JP5192054B2 (ja) 2013-05-08
EP2398295A2 (en) 2011-12-21
ES2629209T3 (es) 2017-08-07
EP2086281A1 (en) 2009-08-05
US9014061B2 (en) 2015-04-21
EP2757838A1 (en)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969B1 (ko) 제어 신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22430B1 (ko) 불연속 수신을 갖는 채널 품질 표시자 전송 타이밍
US9433002B2 (en) Rank indicator transmission during discontinuous reception
KR101229123B1 (ko) 불연속 수신에 의한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덱스 피드백 상호작용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299776B1 (ko) 롱 텀 이볼루션에서 데이터 전송의 종료를 표시함으로써 배터리에 대해 효율적인 상태 또는 구성으로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