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088B1 - 학습 교재,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학습 교재,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4088B1 KR101194088B1 KR1020100089216A KR20100089216A KR101194088B1 KR 101194088 B1 KR101194088 B1 KR 101194088B1 KR 1020100089216 A KR1020100089216 A KR 1020100089216A KR 20100089216 A KR20100089216 A KR 20100089216A KR 101194088 B1 KR101194088 B1 KR 1011940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rning
- learning element
- elements
- sheet
- specific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5
- 239000003607 mod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517 stra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교재(100)는, 특정 학습 테마에 속한 복수개의 학습요소를 하나 이상의 계층으로 계층화하고 각 계층별로 학습요소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한 다음 각 학습요소 그룹별로 인접한 상위 계층의 학습요소 중 어느 하나와 대응시키는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에 의해,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 하위의 모든 계층의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와, 상기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에 바로 인접한 하나의 하위 계층의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학습 교재와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학습 테마와 관련된 학습요소들을 계층화 및 카테고리화한 학습요소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학습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교재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학습교재는 특정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 내용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종래에는 인쇄물 또는 출판물 형태의 물리적인 책자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각종 단말기에 학습 교재 콘텐츠를 네트워크 등을 통해 다운로드받거나 이동식 저장 매체(CD, USB 등)에 저장한 다음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학습 내용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되기도 한다.
학습교재의 성패는 학습 내용의 효과적인 전달에 있는 바, 이를 위해 종래에도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4169호에서는 영어 문장을 기본적인 몇 개의 패턴으로 단순화함으로써 난해한 영어 문장의 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그리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54647호에서는 품사 선택 화면을 통해 제1종류 및 제2 종류의 품사에 해당하는 기본 동사와, 부사 및 전치사를 다양한 조합으로 선택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는 영어 문장 교육이라는 특수한 분야에서만 적용될 수 있을 뿐, 일반적인 학습교재의 학습 내용 전달에는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어학 학습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학습 교재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 교재의 제작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학습 교재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 교재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특정 학습 테마에 속한 학습 내용을 다수개의 학습요소로 세분화하고, 이들을 상위 개념 및 하위 개념의 구분에 따라 복수개의 계층으로 계층화한 다음 이들을 카테고리화함으로써 특정 학습 테마에 속한 학습 내용의 위계 질서 및 구조를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계층화된 학습요소들을 다이어그램 형태로 나타내는 학습요소 시트를 마련함으로써 한눈에 특정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요소 내용에 대한 전체 구조 및 위계 질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학습요소 시트를 2가지 모드, 즉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그 하위에 속한 모든 학습요소를 계층화 및 카테고리화하여 표시한 전체 학습요소 시트와, 특정 학습요소 및 그 바로 1계층 하위 학습요소만을 계층화 및 카테고리화하여 표시한 부분 학습요소 시트로 마련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와,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의 2가지 모드의 학습요소 시트를 제공하는 학습 교재(100)가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교재(100)는, 특정 학습 테마에 속한 복수개의 학습요소를 하나 이상의 계층으로 계층화하고 각 계층별로 학습요소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한 다음 각 학습요소 그룹별로 인접한 상위 계층의 학습요소 중 어느 하나와 대응시키는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에 의해,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 하위의 모든 계층의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와, 상기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에 바로 인접한 하나의 하위 계층의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학습 교재(100)는, 상기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 및 상기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에 속한 학습요소 중 최상위 학습요소를 표시하는 학습요소 시트 식별수단(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학습요소 시트 식별수단(130)은, 상기 최상위 학습요소의 계층을 표시하는 계층 식별요소(131)와,
상기 학습요소 시트가 상기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 또는 상기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 중 어느 하나인지를 표시하는 학습요소 시트 종류 식별요소(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학습 교재(100)는, 동일 계층에 속한 학습요소들 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학습요소 관계 표시 수단(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 또는 상기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에 표시된 학습요소에는 각 학습요소를 식별하기 위한 학습요소 식별자가 각각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학습요소 식별자에는 상기 학습요소가 속한 계층을 식별할 수 있는 계층 식별자도 함께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300)를 통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에 계층화된 학습요소로 구성된 학습 교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300)를 이용한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200)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200)은, 학습 테마별로 복수개의 학습요소를 저장하는 학습요소 DB(240)와, 상기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입력된 학습 테마를 기초로 상기 학습요소 DB(240)로부터 상기 입력된 학습 테마에 속한 복수개의 학습요소를 추출하는 학습요소 추출부(210)와, 상기 추출된 학습요소를 하나 이상의 계층으로 계층화하고 각 계층별로 학습요소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한 다음 각 그룹별로 인접한 상위 계층의 학습요소 중 어느 하나와 대응시키는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부(220) 및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 하위의 모든 계층의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와, 상기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에 바로 인접한 하나의 하위 계층의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를 포함하는 학습 교재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하는 학습 교재 생성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300)를 통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에 계층화된 학습요소로 구성된 학습 교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300)를 이용한 학습 교재 제공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교재 제공 방법은, (A) 상기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상기 네트워크(300)를 통해 학습 테마를 입력받는 단계(S 10)와, (B) 상기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입력된 학습 테마를 기초로 상기 입력된 학습 테마에 속한 복수개의 학습요소를 추출하는 단계(S 20)와, (C) 상기 추출된 학습요소를 하나 이상의 계층으로 계층화하고 각 계층별로 학습요소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한 다음 각 그룹별로 인접한 상위 계층의 학습요소 중 어느 하나와 대응시키는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 단계(S 30)와, (D)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 하위의 모든 계층의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와, 상기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에 바로 인접한 하나의 하위 계층의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를 포함하는 학습 교재를 생성하는 단계(S 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1) 특정 학습 테마에 속한 학습 내용을 다수개로 세분화하여 복수개의 학습요소를 생성하고, 이들을 상하위 개념 구분에 따라 복수개의 계층으로 계층화하고, 각 계층에 속한 학습요소들을 카테고리화하여 인접한 상하위 학습요소와의 관계를 규정하는 소위 '학습요소 계층화 및 카테고리화'를 적용하여 다이어그램화 한 학습요소 시트(110, 120)를 생성함으로써, 학습 내용을 위계질서 없이 단순히 나열식으로 전달하는 것에 비하여 효과적이고 구조화된 학습 내용 전달이 가능해 진다.
(2) 학습요소간의 계층화 및 카테고리화를 다이어그램식으로 표시한 학습요소 시트(110, 120)를 2가지 모드, 즉 특정 학습요소 및 그 하위에 속한 모든 학습요소들 간의 계층 관계 및 위계 질서를 표시한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와, 특정 학습요소와 그에 인접한 제1 하위 학습요소만을 계층화하여 표시한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를 구분하여 마련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학습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전체 학습 요소 시트(110)를 이용하여 특정 학습 테마의 전체적인 학습요소 구조 및 계층을 습득하여 취약한 학습요소 부분을 파악한 후, 부분 학습 요소 시트(120)에 의해 사용자가 취약한 학습요소 부분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집중 학습할 수 있으며, 학습 도중 수시로 전체 학습 요소 시트(110)를 색인하거나 호출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를 망각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3)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 또는 상기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에 속한 학습요소 중 최상위 학습요소를 표시하는 학습요소 시트 식별수단(130)을 마련함으로써 학습요소 시트(110, 120)에 대한 색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4) 학습요소 시트 식별수단(130)에 계층 식별요소(131)를 포함시킴으로써 학습요소 시트에 속한 최상위 계층 학습요소의 계층을 용이하게 인덱싱 및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요소 시트(110, 120)의 계층간 전환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5) 학습요소 시트 식별수단(130)에 학습요소 시트 종류 식별요소(132)를 마련함으로서, 학습요소 시트의 종류가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인지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인지를 용이하게 인덱싱 및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학습요소(110)와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 사이의 전환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6) 학습요소 시트(110, 120)에 학습요소 관계 표시 수단(140)을 마련함으로써 동일 계층에 속한 학습요소들간의 주종관계, 수식관계 또는 데이터 흐름 등 각종 관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교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학습요소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학습요소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 교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교재를 영어 품사 교육 테마에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교재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9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학습 교재의 실제 적용 사례를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교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학습요소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학습요소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 교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교재를 영어 품사 교육 테마에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교재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9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학습 교재의 실제 적용 사례를 도시한 그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학습요소'는 특정 학습 테마를 구성하는 학습 개념을 세분화한 단위를 의미한다.
'학습요소 시트'는 학습요소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학습 교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학습 교재가 물리적인 책인 경우에는 물리적인 '지면'상에, 전자 책인 경우에는 각종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구현 방식은 특정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 학습 테마에 속하는 학습요소들을 복수개의 계층으로 계층화한다(이를 '학습요소 계층화'라 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학습요소를 제1 계층 학습요소(1), 제2 계층 학습요소(2-1, 2-2), 제3 계층 학습요소(3-1, 3-2, … 3-6) … , 제(n-1) 계층 학습요소((n-1)-1) 및 제n 계층 학습요소(n-1, n-2, n-3)의 n개 계층으로 계층화하였다. 제1 계층 학습요소(1)는 최상위 학습요소를 구성하고, 제n 계층 학습요소(n-1, n-2, n-3)는 최하위 학습요소를 구성한다.
그 다음, 동일 계층에 속한 학습요소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 한 다음 각 그룹을 바로 인접한 상위 계층 학습 요소 중 어느 하나와 매칭시킨다(이를 '학습요소 카테고리화'라 하기로 한다). 예컨대, 제3 계층 학습 요소는 3-1 및 3-2로 구성된 제1 그룹과, 3-3, 3-4, 3-5로 구성된 제2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다음 제1 그룹에 속한 학습요소(3-1, 3-2)는 바로 인접한 상위 학습요소인 제2 계층 학습요소 중 2-1에 매칭되고, 제2 그룹에 속한 학습요소(3-3, 3-4, 3-5)는 바로 인접한 상위 학습요소인 제2 계층 학습요소 중 2-2에 매칭된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나머지 모든 계층의 학습요소들도 그룹화 및 카테고리화 된다.
도 7a에는 학습 테마가 영어 품사인 경우에 대한 학습요소 그룹화 및 카테고리화 사례를 도시하고 있다.
<학습 교재(100)>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학습요소 계층화 및 카테고리화 개념을 적용한 학습교재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교재(100)의 전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의 도시된 실시예는 학습 교재(100)가 출판물 형태의 책자 또는 인쇄물인 경우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교재(100)는 도 2a에 도시된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와, 도 2b에 도시된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로 구분된다.
도 2a에 도시된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는 특정 학습요소와 그 하위에 속한 모든 계층의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시트이다.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는 학습요소의 개수만큼 마련된다.
도 3은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제1 계층(최상위) 학습요소(1)에 대한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계층(최상위) 학습요소(1)에 대한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는 제1 계층(최상위) 학습요소(1) 하위에 속한 모든 학습요소, 즉 제2 계층 내지 제n 계층(최하위)의 모든 학습요소들이 계층화 및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모두 표시된다.
도 3b 및 도 3c는 각각 제2 계층 학습요소(2-1) 및 제n-1 계층 학습요소[(n-1)-1]에 대한 전제 학습요소 시트(110)로서, 각각 제2 계층 학습요소(2-1), 제n-1 계층 학습요소[(n-1)-1] 하위에 속한 모든 학습요소들이 표시된다.
단,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n 계층 학습요소(n-1)에 대한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의 경우에는 제n 계층 학습요소(n-1)가 최하위 계층이어서 그보다 더 하위에 속한 학습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n 계층 학습요소(n-1)만이 단독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n 계층 학습요소(n)에 대한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에는 제n 계층 학습요소(n-1)만이 표시되기 때문에 여분의 공간이 확보되므로, 이 공간에는 학습요소 상세 설명 표시부(150)도 마련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는 특정 학습요소와 그에 바로 인접한 하위 1개 계층에 속한 학습요소만을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시트이다. 부분 학습요소 시트(110) 역시 학습요소의 개수만큼 마련된다.
도 4는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4a는 제1 계층(최상위) 학습요소(1)에 대한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계층(최상위) 학습요소(1)에 대한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는 제1 계층(최상위) 학습요소(1)와, 그에 인접한 하위 1계층, 즉 제2 계층 학습요소(2-1, 2-2)들만이 계층화 및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된다.
도 4b 내지 도 4c는 각각 제2 계층 학습요소(2-1) 및 제n-1 계층 학습요소[(n-1)-1]에 대한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로서, 각각 제2 계층 학습요소(2-1), 제n-1 계층 학습요소[(n-1)-1]와, 그에 인접한 하위 1개 계층의 학습요소만이 표시된다.
단,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n 계층 학습요소(n-1)에 대한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의 경우에는 제n 계층 학습요소(n-1)가 최하위 계층이어서 그보다 더 하위에 속한 학습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n 계층 학습요소(n-1)만이 단독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n 계층 학습요소(n)에 대한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에는 제n 계층 학습요소(n-1)만이 표시되기 때문에 여분의 공간이 확보되므로, 이 공간에는 학습요소 상세 설명 표시부(150)도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 또는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에 표시된 각 학습요소에는 학습요소를 식별할 수 있는 학습요소 식별자(1, 2-1, 2-2… n-1, n-2, n-3, n-4)가 학습요소와 함께 병기될 수 있다.
학습요소 식별자(1, 2-1, 2-2… n-1, n-2, n-3, n-4)에는 각 학습요소가 속한 계층을 식별할 수 있는 계층 식별자도 함께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학습요소 식별자의 첫번째 숫자가 학습요소가 속한 계층을 나타낸다. 즉, 학습요소 식별자 '2-1'에서 '2'는 계층 식별자로서 해당 학습요소가 제2 계층에 속함을 나타낸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학습요소 식별자 'n-1'에서 'n'은 계층 식별자로서 해당 학습요소가 제n(최하위) 계층에 속함을 나타낸다. 다만, 제1 계층(최상위)에 속한 학습요소는 1개뿐이므로, 학습요소 식별자와 계층 식별자가 '1'로서 서로 동일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 또는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에는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 또는 상기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에 속한 학습요소 중 최상위 학습요소를 표시하는 학습요소 시트 식별수단(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 식별수단(130)은 학습요소 시트(110, 120)의 일측 외부로 돌출된 태그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색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학습요소 시트 식별수단(130)에는 각 학습요소 시트에 속한 최상위 학습요소의 계층을 표시하는 계층 식별요소(131)가 마련된다.
예컨대, 도 3a 및 도 4a의 학습시트에 속한 최상위 학습요소(1)는 제1 계층이므로 시트 식별수단(130)의 계층 식별요소(131)인 '1'에는 계층을 식별하기 위한 숫자 '1"이 포함되어 있고, 도 3b 및 도 4b의 학습시트에 속한 최상위 학습요소(2-1)는 제2 계층이므로 시트 식별수단(130)의 계층 식별요소(131)인 '2-1'에는 계층을 식별하기 위한 숫자 '2'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나머지 학습시트의 시트 식별수단(130)에도 그에 속한 최상위 학습요소의 계층을 식별하기 위한 숫자가 포함된다.
또한, 학습 요소 시트 식별 수단(130)에는 학습요소 시트가 상기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 또는 상기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 중 어느 하나인지를 표시하는 학습요소 시트 종류 식별요소(132)도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b 및 도 4에 도시된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에는 학습요소 시트의 종류가 '부분' 학습요소 시트임을 식별하기 위해 시트 종류 식별요소(132)로서 '*'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학습요소 시트(110, 120)에는 동일 계층에 속한 학습요소들 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학습요소 관계 표시 수단(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계 표시 수단(140)은 동일 계층에 속한 학습요소들 간의 주종 관계를 나타낼 수도 있고, 각 학습요소 사이의 우선순위 등을 나타낼 수 있고 그 밖의 각종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학습교재(100)가 출판물과 같이 물리적인 책자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학습교재(100)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각종 단말기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와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는 모두 겹쳐진 상태로 표시되고, 시트 식별수단(130)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수단(스크롤, 버튼 입력 또는 스크린 터치 등)에 의해 선택하면 선택된 학습요소 시트(110)만이 표시되고, 선택된 학습요소 시트(110)의 시트 식별수단(130)에는 활성화표시가 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a와 같이 시트 식별 수단(130) '1'을 선택하면 최상위 학습요소가 '1'인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만이 활성화되어 표시되고, 이 상태에서 시트 식별수단(130) '1*'을 선택하면 도 5b와 같이 최상위 학습요소가 '1'인 부분 학습요소 시트(110)로 화면이 전환 표시되며 이 때 각각 선택된 학습요소 시트(110)에 대한 시트 식별 수단(130)은 활성화 표시가 된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도 5c와 같이 시트 식별 수단(130) '2-1'을 선택하면 최상위 학습요소가 '2-1'인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만이 활성화되어 표시되고, 이 상태에서 시트 식별수단(130) '2-1*'을 선택하면 도 5d와 같이 최상위 학습요소가 '2-1'인 부분 학습요소 시트(110)로 화면이 전환 표시되며 이 때 각각 선택된 학습요소 시트(110)에 대한 시트 식별 수단(130)은 활성화 표시가 된다.
<학습교재 제공 시스템(200)>
다음으로, 도 6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교재 제공 시스템(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교재 제공 시스템(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400)이 접속하여 학습 테마를 입력하게 되면 계층화 및 카테고리화된 학습요소를 포함한 학습교재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학습교재 제공 시스템(200)은 학습요소 추출부(210),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부(220), 학습교재 생성부(230), 학습요소 DB(240) 및 학습교재 DB(250)로 구성된다.
학습요소 추출부(21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입력된 학습 테마를 기초로 학습요소 DB(240)로부터 입력된 학습 테마에 속한 복수개의 학습요소를 추출한다. 예컨대, 도 7a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은 학습 테마가 '영어 품사'인 경우로서 학습요소 추출부(210)는 '영어 품사'에 속한 각종 학습 요소(Key Factor, Modifier, 동사, 명사, …, do, have)를 학습요소 DB(240)에서 추출한다.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부(220)는 추출된 학습요소를 하나 이상의 계층으로 계층화하고 각 계층별로 학습요소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한 다음 각 그룹별로 인접한 상위 계층의 학습요소 중 어느 하나와 대응시킨다.
예컨대, 도 7a와 같이 '영어 품사'에 속한 학습요소들을 제2 계층(Key Factor, Modifier), 제3 계층(동사, 명사, 형용사, 부사, 접속사, 전치사) 등 최하위 계층인 제6 계층(do, have)까지 계층화한다.
또한, 동일 계층, 예컨대 제3 계층의 경우, 학습요소를 동사, 명사의 제1 그룹과, 형용사, 부사, 접속사, 전치사의 제2 그룹으로 카테고리화한 다음 제1 그룹의 학습요소(동사, 명사)는 인접 상위 계층인 제2 계층의 학습요소 중 key Factor(2-1)와 대응시키고, 제2 그룹의 학습요소(형용사, 부사, 전치사, 접속사)는 인접 상위 계층인 제2 계층의 학습요소 중 Modifier(2-2)와 대응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학습요소들에 대한 계층화 및 카테고리화가 완료되면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상위 계층인 제1 계층 학습요소(1) 부터 최하위 계층인 제6 계층 학습요소(6-1, 6-2)까지 계층화 및 연결관계가 확정된다.
학습교재 생성부(230)는 학습요소 계층화 및 카테고리화부(220)에 의한 학습요소 계층화 및 카테고리화 결과를 기초로 각 학습요소별로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 및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로 구성된 학습교재(100)를 생성하여 접속한 사용자 단말(400)에 생성된 학습교재(100)를 제공한다.
도 7a는 학습테마가 '영어 품사'인 경우에 제1 계층(최상위) 학습요소(1)에 대한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를 도시하고 있고, 도 7b는 제1 계층(최상위) 학습요소(1)에 대한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와, 제2 계층 학습요소(Modifier, 2-2)에 대한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의 일 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각 학습요소 시트(110, 120)에는 각 학습요소 시트에 속한 최상위 학습요소의 계층을 표시하는 계층 식별요소(131)과, 학습요소 시트의 종류(전체/부분)을 식별하기 위한 학습요소 시트 종류 식별요소(132)를 포함한 학습 요소 시트 식별 수단(13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학습요소 시트(110, 120)에는 동일 계층에 속한 학습요소들 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학습요소 관계 표시 수단(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계 표시 수단(140)은 동일 계층에 속한 학습요소들 간의 주종 관계, 수식관계 또는 우선순위, 데이터 흐름 방향 등을 나타낼 수 있고 그 밖의 각종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관계 표시 수단(140)이 화살표인 경우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학습요소 DB(240)에는 학습 테마별로 복수개의 학습요소가 저장되어 있다.
학습교재 DB(250)에는 학습교재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학습교재(100)가 학습 테마별로 저장된다.
<학습교재 제공 방법>
이상 설명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300)를 통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에 계층화된 학습요소로 구성된 학습 교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300)를 이용한 학습 교재 제공 방법을 도 8의 흐름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교재 제공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고, 도 8b 및 도 8c는 도 8a에서 S 30 및 S 40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우선, 도 8a를 참조하면, 학습교재 제공 시스템(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학습 테마를 입력받는다(S 10).
학습 테마를 입력받은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200)은 학습요소 추출부(210)에 의해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입력된 학습 테마를 기초로 입력된 학습 테마에 속한 복수개의 학습요소를 추출한다(S 20).
학습요소들이 추출되면,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200)의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부(220)는 추출된 학습요소를 하나 이상의 계층으로 계층화하고 각 계층별로 학습요소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한 다음 각 그룹별로 인접한 상위 계층의 학습요소 중 어느 하나와 대응시킨다(S 30, 도 1 및 도 7a).
S 30 단계에 대해서는 도 8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분류한다(S 31). 예컨대, 도 7a와 같이 '영어 품사'에 속한 학습요소들을 제2 계층(Key Factor, Modifier), 제3 계층(동사, 명사, 형용사, 부사, 접속사, 전치사) 등 최하위 계층인 제6 계층(do, have)까지 계층화한다.
다음으로, 계층화된 학습요소의 상하 위계 관계를 설정한다(S 32). 일 예로, 도 7a에서 특정 계층 예컨대 제3 계층의 경우, 학습요소를 동사, 명사의 제1 그룹과, 형용사, 부사, 접속사, 전치사의 제2 그룹으로 카테고리화한 다음 제1 그룹의 학습요소(동사, 명사)는 인접 상위 계층인 제2 계층의 학습요소 중 key Factor(2-1)와 대응시키고, 제2 그룹의 학습요소(형용사, 부사, 전치사, 접속사)는 인접 상위 계층인 제2 계층의 학습요소 중 Modifier(2-2)와 대응시키는 것이다.
그 다음, 각 학습요소에 식별부호를 부여한다(S 33). 즉, 도 7a의 경우 각 학습요소들에는 '1', '2-1', '2-2', …, '6-1', '6-2'와 같이 계층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 학습요소에 식별번호가 부여된다.
다시 도 8a를 참조하면, 학습요소 카테고리화 및 계층화 작업(S 30)이 완료된 후,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200)의 학습교재 생성부(230)는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 하위의 모든 계층의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 도 2a, 도 3a 내지 도 3d 및 도 7a)와, 상기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에 바로 인접한 하위 1개 계층의 학습요소만을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 도 2b, 도 4a 내지 도 4d 및 도 7b)를 포함하는 학습 교재(100)를 생성한다(S 40).
학습교재 생성(S 40) 단계는 도 8c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학습교재 생성부(230)는 학습요소를 선택한 후(S 41), 생성할 학습요소 시트가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인지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인지를 판단한다(S 42).
판단결과, 생성할 학습요소 시트의 종류가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인 경우에는 선택된 학습요소와 그 하위에 속한 모든 학습요소들을 계층화 및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도시하고(S 43), 학습요소 식별수단(130) 및 관계 표시 수단(140)을 각각 부여함으로써(S 44, S 45)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 도 2a, 도 3a 내지 도 3d 및 도 7a)를 생성한다(S 46).
한편, 생성할 학습요소 시트의 종류가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인 경우에는 선택된 학습요소와 바로 인접한 제1 계층 하위의 학습요소만을 계층화 및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도시하고(S 47), 학습요소 식별수단(130) 및 관계 표시 수단(140)을 각각 부여함으로써(S 48, S 49)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 도 2b, 도 4a 내지 도 4d 및 도 7b)를 생성한다(S 49-1).
이상과 같은 과정으로 학습교재(100)가 생성되면, 생성된 학습교재(1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에 전달되고, 학습교재 DB(250)에 저장된다(S 50).
<실시예>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한 학습요소 시트의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23의 사례들에 나타나는 학습요소 시트들은 공통적으로 특정 학습 테마에 대해 그에 속한 학습 요소들이 계층화되어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되고, 학습요소들간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관계 표시 수단이 각종 도형(화살표, 원형, 사각형) 형태로 다이어그램에 표시됨으로써 학습자가 직관적이고 시각적인 연상 작용에 의해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숙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에는 'What's English?'라는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 요소 시트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하단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살표의 형태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상위 학습요소인 'Key Factor'에 속한 하위 학습요소가 '명사' 및 '동사'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에는 '핵심요소(Key Factor)와 수식어(Modifier)'라는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 요소 시트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는 원형의 형태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상위 학습요소인 'Key Factor'와 'Modifier'를 각각 원형 내외부에 배치하고, 'Key Factor'에 속하는 하위 학습요소(Verb, Noun)와 'Modifier'에 속하는 하위 학습요소(형용사, 부사, 접속사, 전치사)를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하고 있다.
도 11에는 '핵심요소(Key Factor)와 수식어(Modifier)'라는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 요소 시트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는 사각형과 선의 형태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상위 학습요소가 'Key Factor'와 'Modifier'이고, 'Key Factor'에 속하는 하위 학습요소가 동사 및 명사이며 'Modifier'에 속하는 하위 학습요소가 형용사 및 부사임을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화살표의 형태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하위 학습요소(동사, 명사, 형용사, 부사)들간의 수식관계를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하고 있다.
도 12에는 '12 시제'라는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 요소 시트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는 사각형 및 숫자(3)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상위 학습요소인 '12 시제'를 하위 학습요소인 '동사' 및 '시제'로 분류하고, '동사(완료, 진행, 완료진행)' 및 '시제(현재, 과거, 미래)'를 기준으로 하위 학습요소인 12가지 시제가 존재함을 다이어그램 형태로 도시되고 있다. 특히, 숫자(3)를 이용한 관계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동사(완료, 진행, 완료진행)' 종류별로 각각 '시제(현재, 과거, 미래)'별로 3개씩의 시제가 존재함을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해 주고 있다.
도 13에는 'Be + 형용사 = 동사'라는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 요소 시트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는 사각형 및 화살표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하위 학습요소인 'be'와 '형용사'가 합쳐져서 상위 학습요소인 '동사'를 형성한다는 내용을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한다.
도 14에는 'Be 동사'라는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 요소 시트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는 사각형 및 화살표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상위 학습 요소가 '가주어', 'be' 및 '진주어'로 구성되고, 상위 학습 요소 '가주어' 에 속하는 하위 학습 요소(It, There)와 상위 학습 요소 '진주어'에 속하는 하위 학습 요소(to 부정사, That 절, 명사)가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된다.
도 15에는 '조동사 역할'이라는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 요소 시트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에는 사각형 및 화살표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상위 학습 요소인 동사(V)가 하위 학습 요소인 '조동사' 및 '본동사'로 구성됨이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되고 있다.
도 16에는 '조동사 1, 2의 차이'라는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 요소 시트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에는 사각형, 선 및 오엑스 도형(O, X)으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상위 학습 요소인 '조동사'가 하위 학습 요소인 '조동사 1(의미적)' 및 '조동사 2(기능적)'로 구성되며, 상위학습요소 '인칭'에 따른 변화를 하위학습요소인 도형(O, X)를 이용해 다이아그램 형태로 표시되고 있다.
도 17에는 '조동사 & 일반동사'라는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 요소 시트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에는 원형, 화살표 및 덧셈 기호(+)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학습 요소인 '일반동사' 및 '조동사'의 관계가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되고 있다.
도 18에는 '분사'라는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 요소 시트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에는 원형 및 화살표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학습 요소인 '분사'가 하위 학습 요소인 '능동 분사(-ing)' 및 '수동 분사(-p.p)'로 구성되고, 학습 요소 '분사'와 다른 학습 요소인 '명사'와의 관계가 화살표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되고 있다.
도 19에는 '관계대명사 역할'이라는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 요소 시트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에는 원형 및 화살표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학습 요소인 '관계 대명사'가 다른 학습 요소인 '문장 A' 및 '문장 B'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위 학습요소인 '문장 AB'를 형성한다는 것을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하고 있다.
도 20에는 '목적어 종류'라는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 요소 시트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에는 원형 및 선으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학습 요소인 '목적어'가 다른 학습 요소인 '타동사'와 '전치사' 뒤에 위치함을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하고 있다.
도 21에는 '5형식 동사'라는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 요소 시트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에는 사각형 및 선으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학습 요소인 '5형식 동사'가 4가지 유형의 하위 학습 요소인 '5기 동사', '사역동사', '추세동사' 및 '지각동사'로 구성됨을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하고 있다.
도 22에는 'to 부정사 구조'라는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 요소 시트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에는 사각형 및 선으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학습 요소인 'to 부정사'가 다른 학습 요소인 'be 동사'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다양한 하위 학습 요소(주어, 보어, 부사, 명사, 형용사)로 분류될 수 있음을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하고 있다.
도 23에는 '비교급 Map'이라는 학습 테마에 대한 학습 요소 시트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에는 원형, 선 및 화살표로 구현된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학습 요소인 '형용사/부사'에 대해 하위 학습 요소인 '비교급'과 '최상급'이 존재함을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원형, 곡선 및 화살표 등의 관계 표시 수단에 의해 하위 학습 요소인 '비교급'과 '최상급'의 형태 및 기능이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학습 교재 110: 전체 학습요소 시트
120: 부분 학습요소 시트 130: 학습요소 시트 식별수단
131: 계층 식별요소 132: 학습요소 시트 종류 식별요소
140: 관계 표시수단 150: 학습요소 상세 설명 표시부
200: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 210: 학습요소 추출부
220: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부 230: 학습 교재 생성부
240: 학습요소 DB 250: 학습 교재 DB
300: 네트워크 400: 사용자 단말
1: 제1 계층 학습요소(최상위 학습요소)
2-1, 2-2 …: 제2 계층 학습요소
3-1, 3-2 …: 제3 계층 학습요소
(n-1)-1 …: 제n-1 계층 학습요소
n-1, n-2, n-3 …: 제n 계층 학습요소(최하위 학습요소)
120: 부분 학습요소 시트 130: 학습요소 시트 식별수단
131: 계층 식별요소 132: 학습요소 시트 종류 식별요소
140: 관계 표시수단 150: 학습요소 상세 설명 표시부
200: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 210: 학습요소 추출부
220: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부 230: 학습 교재 생성부
240: 학습요소 DB 250: 학습 교재 DB
300: 네트워크 400: 사용자 단말
1: 제1 계층 학습요소(최상위 학습요소)
2-1, 2-2 …: 제2 계층 학습요소
3-1, 3-2 …: 제3 계층 학습요소
(n-1)-1 …: 제n-1 계층 학습요소
n-1, n-2, n-3 …: 제n 계층 학습요소(최하위 학습요소)
Claims (21)
- 특정 학습 테마에 속한 복수개의 학습요소를 하나 이상의 계층으로 계층화하고 각 계층별로 학습요소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한 다음 각 학습요소 그룹별로 인접한 상위 계층의 학습요소 중 어느 하나와 대응시키는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에 의해,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 하위에 속한 하나 이상 계층의 학습요소를 구조화된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하는 학습요소 시트(110, 120); 및
상기 학습요소 시트(110, 120) 내에서 동일 계층 또는 상이한 계층에 속한 학습요소들 간의 관계를 화살표 형태로 표시하는 학습요소 관계 표시수단(140)
을 포함하는 학습 교재(100).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요소 시트(110, 120)는
상기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 하위의 모든 계층의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와,
상기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에 바로 인접한 하나의 하위 계층의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를 포함하는 학습 교재(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교재(100)는,
상기 학습 요소 시트(110, 120)에 속한 학습요소 중 최상위 학습요소를 표시하는 학습요소 시트 식별수단(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교재(100).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요소 시트 식별수단(130)은,
상기 최상위 학습요소의 계층을 표시하는 계층 식별요소(131)와,
상기 학습요소 시트가 상기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 또는 상기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 중 어느 하나인지를 표시하는 학습요소 시트 종류 식별요소(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교재(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요소 시트(110, 120)에 표시된 학습요소에는 각 학습요소를 식별하기 위한 학습요소 식별자가 각각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교재(10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요소 식별자에는 상기 학습요소가 속한 계층을 식별할 수 있는 계층 식별자도 함께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교재(100).
- 네트워크(300)를 통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에 계층화된 학습요소로 구성된 학습 교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300)를 이용한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200)으로서,
학습 테마별로 복수개의 학습요소를 저장하는 학습요소 DB(240);
상기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입력된 학습 테마를 기초로 상기 학습요소 DB(240)로부터 상기 입력된 학습 테마에 속한 복수개의 학습요소를 추출하는 학습요소 추출부(210);
상기 추출된 학습요소를 하나 이상의 계층으로 계층화하고 각 계층별로 학습요소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한 다음 각 그룹별로 인접한 상위 계층의 학습요소 중 어느 하나와 대응시키는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부(220); 및
상기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부(220)의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 결과를 기초로,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 하위에 속한 하나 이상 계층의 학습요소를 구조화된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하는 학습요소 시트(110, 120) 및 상기 학습요소 시트(110, 120) 내의 동일 계층 또는 상이한 계층에 속한 학습요소들 간의 관계를 화살표 형태로 표시하는 학습요소 관계 표시수단(140)을 포함하는 학습 교재(100)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하는 학습 교재 생성부(230)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300)를 이용한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200).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요소 시트(110, 120)는 상기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 하위의 모든 계층의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 및 상기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에 바로 인접한 하나의 하위 계층의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 교재(100)는 상기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 및 상기 부분 학습요쇼 시트(120)에 속한 학습요소 중 최상위 학습요소를 표시하는 학습요소 시트 식별수단(130)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300)를 이용한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200).
- 네트워크(300)를 통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에 계층화된 학습요소로 구성된 학습 교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300)를 이용한 학습 교재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상기 네트워크(300)를 통해 학습 테마를 입력받는 단계(S 10);
(B) 상기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입력된 학습 테마를 기초로 상기 입력된 학습 테마에 속한 복수개의 학습요소를 추출하는 단계(S 20);
(C) 상기 추출된 학습요소를 하나 이상의 계층으로 계층화하고 각 계층별로 학습요소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한 다음 각 그룹별로 인접한 상위 계층의 학습요소 중 어느 하나와 대응시키는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 단계(S 30); 및
(D) 특정 학습 테마에 속한 복수개의 학습요소를 하나 이상의 계층으로 계층화하고 각 계층별로 학습요소들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한 다음 각 학습요소 그룹별로 인접한 상위 계층의 학습요소 중 어느 하나와 대응시키는 학습요소 카테고리 및 계층화에 의해,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 하위에 속한 하나 이상 계층의 학습요소를 구조화된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하는 학습요소 시트(110, 120) 및 상기 학습요소 시트(110, 120) 내의 동일 계층 또는 상이한 계층에 속한 학습요소들 간의 관계를 화살표 형태로 표시하는 학습요소 관계 표시수단(140)을 포함하는 학습 교재(100)를 생성하는 단계(S 40)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300)를 이용한 학습 교재 제공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요소 시트(110, 120)는 상기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 하위의 모든 계층의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 및 상기 특정 학습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학습요소와 그에 바로 인접한 하나의 하위 계층의 학습요소를 계층별로 카테고리화된 상태로 표시하는 부분 학습요소 시트(120)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 교재(100)는 상기 전체 학습요소 시트(110) 및 상기 부분 학습요쇼 시트(120)에 속한 학습요소 중 최상위 학습요소를 표시하는 학습요소 시트 식별수단(130)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300)를 이용한 학습 교재 제공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9216A KR101194088B1 (ko) | 2010-09-13 | 2010-09-13 | 학습 교재,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9216A KR101194088B1 (ko) | 2010-09-13 | 2010-09-13 | 학습 교재,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7573A KR20120027573A (ko) | 2012-03-22 |
KR101194088B1 true KR101194088B1 (ko) | 2012-10-25 |
Family
ID=4613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9216A KR101194088B1 (ko) | 2010-09-13 | 2010-09-13 | 학습 교재,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408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82337A1 (ko) * | 2018-03-19 | 2019-09-26 | 최파비아 | 카테고리 셀로 구성된 영어 문장구조 맵과 이를 이용한 영어 교육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82202A (en) | 1994-11-22 | 1999-03-16 | Softrade International | Method and system for aiding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
-
2010
- 2010-09-13 KR KR1020100089216A patent/KR1011940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82202A (en) | 1994-11-22 | 1999-03-16 | Softrade International | Method and system for aiding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82337A1 (ko) * | 2018-03-19 | 2019-09-26 | 최파비아 | 카테고리 셀로 구성된 영어 문장구조 맵과 이를 이용한 영어 교육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7573A (ko) | 2012-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oody | The “physics” of notations: toward a scientific basis for constructing visual notations in software engineering | |
US9239824B2 (en)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a multifunctional interactive dictionary database for referencing polysemous symbol sequences | |
Branscomb et al. | Ease of use: A system design challenge | |
Helander | Handbook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 |
US5452468A (en) | Computer system with parallel processing for information organization | |
Tennis | Epistemology, theory, and methodology in knowledge organization: Toward a classification, metatheory, and research framework | |
US7143074B2 (en) |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and evaluating user thinking about an arbitrary problem | |
Andersen | Computer semiotics | |
Seffah | The evolution of design patterns in HCI: from pattern languages to pattern-oriented design | |
Piasecki et al. | WordNetLoom: a WordNet development system integrating form-based and graph-based perspectives | |
Lehto et al. |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hypertext and text | |
Waterworth et al. | A manifesto for hypermedia usability research | |
Benyon et al. | Critical Issues in User Interface Systems Engineering | |
KR101194088B1 (ko) | 학습 교재,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교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Cristea et al. | Designer adaptation in adaptive hypermedia authoring | |
Gillan et al. | Designers' models of the human-computer interface | |
Chang | A study of hypertext document structure and individual differences: Effects on learning performance | |
Connolly et al. | User-System Interface Design: an Organisational Semiotic Perspective | |
TWI822701B (zh) | 分形系統 | |
Olesen et al. | Reconfigured medication: Writing medicine in a sociotechnical practice | |
Skon | Copyright Protection of Computer User Interfaces: Creative Ferment in the Courts | |
Grammenos et al. | Dual educational electronic textbooks: the starlight platform | |
Carter | Arguments in hypertext: Order and structure in nonsequential essays | |
Joiron et al. | An Ontology for Designing a Collaborative Platform Involving a Multi-touch and Multi-user Interactive Table | |
Riehemann et al. | The HPSG formalis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