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907B1 - 진동형 화장보조기기 - Google Patents

진동형 화장보조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907B1
KR101193907B1 KR1020120085749A KR20120085749A KR101193907B1 KR 101193907 B1 KR101193907 B1 KR 101193907B1 KR 1020120085749 A KR1020120085749 A KR 1020120085749A KR 20120085749 A KR20120085749 A KR 20120085749A KR 101193907 B1 KR101193907 B1 KR 101193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cosmetic
shaft
vibration moto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환
김경식
Original Assignee
윤석환
(주)에이치앤비이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환, (주)에이치앤비이십일 filed Critical 윤석환
Priority to KR1020120085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roller, a disc or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all, a rolle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형 화장보조기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손에 화장품을 묻히지 않고도 화장품을 얼굴에 고르게 흡수시킬 수 있게 하는 진동형 화장보조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형 화장보조기기은 내부공간이 화장품용기가 삽입되는 제 1 공간, 배터리가 삽입되는 제 2 공간과 진동모터가 설치되는 제 3 공간으로 구획되고, 일측에 퍼프부가 설치된 본체하우징; 본체하우징의 외면에서 제 1 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화장품용기와 연결되고, 화장품토출구가 구비된 펌핑부; 제 3 공간에 구비된 모터안착부에 설치되는 진동모터; 및 진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작동바, 튜브에 의해 화장품토출구와 연결되고 화장품액체가 수용되는 수용부, 내부가 중공되어 수용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퍼프부에 연결된 작동샤프트, 작동샤프트 내부에 설치되어 펌핑부의 미작동시 수용부에 잔존하는 화장품액체의 작동샤프트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누액방지부재, 작동바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기역자형으로 절곡되어 모터안착부의 상부에 고정된 제1고정부와, 수용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니은자형으로 절곡되어 모터안착부의 하부에 고정된 제2고정부가 구비되고, 진동모터의 회전시 퍼프부가 전후운동가능하게 진동모터와 퍼프부에 연결된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진동형 화장보조기기{VIBRATION TYPE COSMETIC AID DEVICE}
본 발명은 진동형 화장보조기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손에 화장품을 묻히지 않고도 화장품을 얼굴에 고르게 흡수시킬 수 있게 하는 진동형 화장보조기기에 관한 것이다.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여성들 및/또는 남성들은 아름다움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는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들을 사용하고 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들이 여성들의 미용에 도움을 주고 있다. 화장품은 스킨, 로션, 에센스와 같은 기초화장품을 비롯하여, 잡티나 기미를 가려 얼굴을 보다 화사하게 표현할 수 있게 보조하는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또는 비비크림과 같은 색조베이스, 눈을 보다 또렷하게 표현하기 위한 아이라이너와 마스카라, 눈을 보다 아름답게 표현하기 위한 아이셔도우와 같은 다양한 제품으로 존재하고 있다.
상기에 나열된 화장품들 중에, 색조베이스 예컨데,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비비크림과 같은 종류의 화장품은 얼굴의 잡티나 기미와 같은 결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양을 덜어 얼굴에 펴 바른다.
그런데, 여성이든 남성이든 화장을 자주하지 않거나 화장이 서트른 사람들은 두드리는 힘이 일정하지 못하여 화장이 들뜨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모공조직이 늘어나고 탄력도가 떨어져,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색조베이스를 얼굴에 펴 바를때, 파운데이션과 같은 색조베이스가 얼굴에 고르게 흡수되지 않고 밀림 현상 또는 뭉침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하고, 손으로 두드리는 속도에 한계가 있어 신속하게 화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파운데이션과 같은 색조베이스는 얼굴에 잡티 또는 기미를 가리거나 자신의 피부톤을 화사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피부톤에 따라 밝은 살색, 또는 짙은 살색 등 색조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 후에는 손을 닦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에 균일한 힘으로 피부를 두드려 피부에 색조베이스가 밀리지 않고 고르게 흡수시킬 수 있게 하는 진동형 화장보조기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형 화장보조기기은 내부공간이 화장품용기가 삽입되는 제 1 공간, 배터리가 삽입되는 제 2 공간과 진동모터가 설치되는 제 3 공간으로 구획되고, 일측에 퍼프부가 설치된 본체하우징; 본체하우징의 외면에서 제 1 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화장품용기와 연결되고, 화장품토출구가 구비된 펌핑부; 제 3 공간에 구비된 모터안착부에 설치되는 진동모터; 및 진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작동바, 튜브에 의해 화장품토출구와 연결되고 화장품액체가 수용되는 수용부, 내부가 중공되어 수용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퍼프부에 연결된 작동샤프트, 작동샤프트 내부에 설치되어 펌핑부의 미작동시 수용부에 잔존하는 화장품액체의 작동샤프트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누액방지부재, 작동바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기역자형으로 절곡되어 모터안착부의 상부에 고정된 제1고정부와, 수용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니은자형으로 절곡되어 모터안착부의 하부에 고정된 제2고정부가 구비되고, 진동모터의 회전시 퍼프부가 전후운동가능하게 진동모터와 퍼프부에 연결된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누액방지부재는 작동샤프트의 중공된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의 일 종단에 고정되고 수용부와 작동샤프트가 연통되는 연통개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누액방지볼을 포함하며, 누액방지볼은 펌핑부의 작동시 수용부로 유입된 화장품액체에 가해진 펌핑압력에 의해 연통개구가 개방되도록 퍼프부에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용부 내의 화장품액체가 작동샤프트로 유입되게 하고, 펌핑부의 미작동시 누액방지볼로 제공되던 펌핑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탄성부재에 가해지던 탄성력이 해제되면서 연통개구를 막도록 이동되어 수용부 내의 화장품액체가 작동샤프트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작동바의 하부에는 진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진동모터의 회전력이 직선운동으로 가변되도록 제공된 작동홈이 구비되고, 작동바의 상부에는 고정바가 설치되고,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분산하기 위한 연통홀이 구비되고, 고정바는 본체하우징 내부에 고정되어, 진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작동바의 이동시 작동바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여, 진동모터의 작동시 작동바가 안정적으로 전후 이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부는 후면에 작동샤프트가 삽입되는 퍼프축홈이 구비되고, 전면에 퍼프축홈과 연통되는 토출홈이 형성된 퍼프안착부; 및 퍼프안착부의 전면을 둘러싸게 결합되고, 펌핑부의 작동시 작동부를 경유하여 토출홈을 통해 토출된 화장품액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개구가 형성된 퍼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홈은 하단이 부채꼴 형상으로 절곡된
Figure 112012062683855-pat00001
형상을 가져 퍼프축홈을 통해 제공받은 화장품액체가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하우징은 외면에 제 2 공간에 설치된 배터리에 연결되어, 배터리의 전류가 진동모터로 제공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해 제공된 배터리 스위치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파운데이션과 같은 화장품을 손에 묻히지 않고도 용이하게 피부에 파운데이션을 바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퍼프부재를 일정한 힘으로 두드려 피부에 화장이 잘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화장이 미숙한 사람도 나이가 들어 피부에 탄력이 없어 피부에 화장이 잘 흡수되지 않은 사람도 용이하게 피부톤을 정리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형 화장보조기기의 내부가 보인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펌핑부의 작동시 누액방지부재의 위치상태 및 화장품액체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는 펌핑부의 미작동시 누액방지부재의 위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형 화장보조기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형 화장보조기기(100)는 본체하우징(110), 화장품용기(미도시), 화장품용기(미도시)에 연결된 펌핑부(115), 배터리(120), 진동모터(130), 진동모터(130)에 연결된 작동부(140), 작동부(140)에 연결된 퍼프부(15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10)은 내부공간이 화장품용기(미도시)가 삽입되는 제 1 공간(111), 배터리(120)가 삽입되는 제 2 공간(112)과 진동모터(130)가 삽입되는 제 3 공간(113)으로 구획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공간(111)에 인접한 본체하우징(110)의 외면에는 펌핑부(115)가 설치된다. 여기서, 펌핑부(115)는 화장품토출구(116)가 구비되고, 화장품용기(미도시)와 연결된다.
화장품용기(미도시)에는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또는 메이크업 베이스와 같은 액체타입의 색조베이스가 수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또는 메이크업 베이스와 같은 색조베이스를 화장품액체라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공간(112)에 인접한 본체하우징(110)의 외면에는 배터리스위치(119)가 설치된다. 여기서, 배터리스위치(119)는 제 2 공간(112)으로 삽입된 배터리(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터리스위치(119)는 배터리(120)의 전류가 진동모터(130)로 제공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하우징(110)의 제 3 공간(113)에는 모터안착부(135)가 설치된다. 여기서, 모터안착부(135)는 진동모터(130)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동모터(130)의 회전축(131)은 작동부(140)의 작동바(141)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 3 공간(113)에 인접한 본체하우징(110)의 일측에는 퍼프부(150)가 설치된다. 작동부(140)와 퍼프부(15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체하우징(110)의 하부 외면에는 본체지지부재(118)가 설치된다. 이때, 본체지지부재(118)는 본체하우징(110)이 평평한 바닥면에 세워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체하우징(110)의 하부에는 하우징커버가 설치된다.
하우징커버(미도시)는 본체하우징(110) 내부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커버(미도시)는 본체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는 화장품용기(미도시) 또는 배터리(120)를 교체할 때를 제외하고는 본체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작동부(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140)는 진동모터(130)와 퍼프부(15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펌핑부(115)와는 튜브(117)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140)는 작동바(141), 수용부(142), 작동샤프트(144), 이탈방지부재(145), 제1고정부(147), 제2고정부(148) 및 누액방지부재(149)로 이루어진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바(141)는 모터안착부(135)의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작동바(141)의 하단에는 작동홈(14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작동홈(141a)은 진동모터(130)의 회전력을 작동바(141)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작동홈(141a)이 구비된 작동바(141)는 진동모터(1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작동바(141)에 연결된 작동샤프트(144)가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작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동바(141)의 상단에는 연통홀(146)이 구비된다. 연통홀(146)은 진동모터(130)의 작동에 따른 작동바(141)의 이동시, 예컨대 작동바(141)가 퍼프부(150)를 외부를 향해 나아가게 하는 전진운동시, 모터안착부(135)에 고정된 제1고정부(147)가 작동바(141)와 함께 움직여 인장됨에 따라 제1고정부(147)에서 발생한 인장력, 또는, 작동바(141)의 후진운동시 제2고정부(148)가 작동바(141)와 함께 움직여 인장됨에 따라 제2고정부(148)에 발생한 인장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140)는 작동바(141)의 작동시 제1고정부(147) 및/또는 제2고정부(148)에 발생한 인장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분산시키는 동시에 작동바(141)의 이동범위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제한하여, 작동부(14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고정바(146a)가 연통홀(146)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바(146a)는 연통홀(146)에 인접한 위치에서, 본체하우징(110) 내부에 고정된다. 고정바(146a)는 연통홀(146)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봉 형상을 가진다. 고정바(146a)는 일정 위치에서 연통홀(146)을 관통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바(146a)는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고, 상대적으로 작동바(141)의 연통홀(146)이 진동모터(130)의 작동에 따라 위치가 이동되는데, 이때, 고정바(146a)는 연통홀(146)의 내면과 접촉되어 작동바(141)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동바(141)의 일측에는 제1고정부(147)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작동바(141)의 타측에는 수용부(142)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1고정부(147)는 작동바(14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기역자형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진다. 제1고정부(147)의 종단은 모터안착부(135)의 상부에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142)는 작동바(141)의 타측에 위치된다. 수용부(142)는 펌핑부(115)의 작동에 의해 화장품용기(미도시)에서 토출된 화장품액체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수용부(142)의 상부에는 화장품유입구(143)가 구비된다. 여기서, 화장품유입구(143)는 튜브(117)에 의해 펌핑부(115)의 화장품토출구(116)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142)의 하부에는 제2고정부(148)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2고정부(148)는 수용부(142)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니은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제2고정부(148)의 종단은 모터안착부(135)의 하부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142)의 일측에는 작동샤프트(144)가 위치되며, 이때, 수용부(142)는 작동샤프트(144)와 연통되는 구조로 작동샤프트(144)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샤프트(144)는 퍼프부(150)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동샤프트(144)는 내부가 중공된 통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동샤프트(144)는 펌핑부(115)의 펌핑작동시, 화장품액체가 화장품토출구(116), 튜브(117), 화장품유입구(143)와 수용부(142)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흘러들어와 유동하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진동모터(130)의 작동시 퍼프부(150)를 전후 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형 화장보조기기(100)는 불필요한 화장품액체의 누액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부(140)의 작동샤프트(144)에 누액방지부재(149)가 설치된다. 누액방지부재(149)는 탄성부재(149a)와 누액방지볼(149b)로 이루어진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49a)는 탄성부재(149a)의 일 종단이 수용부(142)와 작동샤프트(144)에 연통된 연통개구(142a)를 향해 위치되고, 탄성부재(149a)의 타 종단이 퍼프부(150)를 향하도록 작동샤프트(144)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탄성부재(149a)의 일 종단에는 누액방지볼(149b)가 고정된다.
누액방지볼(149b)은 수용부(142) 내부로 화장품액체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연결개구(142a)를 개방하고, 수용부(142) 내부로 화장품액체가 유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연결개구(142a)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즉, 누액방지볼(149b)은 펌핑부(115)의 작동시 수용부(142)로 유입된 화장품액체에 가해진 펌핑압력에 의해 연통개구(142a)가 개방되도록 퍼프부(150)에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용부(142) 내의 화장품액체가 작동샤프트(144)로 유입되게 하고, 펌핑부(115)의 미작동시 누액방지볼(149b)로 제공되던 펌핑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탄성부재(149a)에 가해지던 탄성력이 해제되면서 연통개구(142a)를 막도록 이동되어 수용부(142) 내의 화장품액체가 작동샤프트(144)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누액방지볼(149b)은 연결개구(142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동부(140)는 누액방지부재(149)가 작동샤프트(14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샤프트(144)의 종단에 이탈방지부재(145)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부(15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퍼프부(150)는 퍼프안착부(151)와 퍼프부재(155)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퍼프안착부(151)의 후면에는 작동샤프트(144)가 삽입되는 퍼프축홈(152)이 구비되고, 퍼프안착부(151)의 전면에는 퍼프축홈(152)과 연통되는 토출홈(15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토출홈(153)은 하단이 부채꼴 형상으로 절곡된
Figure 112012062683855-pat00002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홈(153)의 하단에는 퍼프축홈(152)과 연통되는 개구(153a)가 형성된다. 이 개구(153a)를 통해 퍼프축홈(152)에서 토출홈(153)으로 유입된 화장품액체는 퍼프부재(155)의 토출개구(156)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퍼프부재(155)는 퍼프안착부(151)의 전면을 둘러싸게 결합되고, 펌핑부(115)의 작동시 작동부(140)를 경유하여 토출홈(153)을 통해 토출된 화장품액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개구(156)가 형성된다. 토출개구(156)는 토출홈(153)에 존재하는 화장품액체가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는 위치라면, 퍼프부재(155)의 어느 부분에서도 형성가능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개구(156)의 위치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퍼프부재(155)로는 라텍스 또는 스폰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형 화장보조기기(100)의 작동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체하우징(110)에 화장품액체가 수용된 화장품용기(미도시)와 배터리(120)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펌핑부(115)를 누르면, 펌핑부(115)에 연결된 화장품용기(미도시)에 수용된 화장품액체가 펌핑부(115)의 화장품토출구(116)를 통해 토출되어, 튜브(117)를 경유하여 작동부(140)의 화장품유입구(143)로 유입된다.
화장품유입구(143)를 경유하여 수용부(142)로 유입된 화장품액체의 펌핑압력에 의해, 누액방지부재(149)는 누액방지볼(149b)이 퍼프부(150)에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149a)를 가압하면서 연결개구(142a)를 개방하도록 작동된다. 이때, 수용부(142) 내의 화장품액체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개구(142a)를 통해 작동샤프트(144)로 유입된 후, 작동샤프트(144)와 퍼프안착부(151)의 토출홈(153)을 경유한 후 퍼프부재(155)의 토출개구(156)를 통해 퍼프부재(155)의 표면으로 토출된다. 사용자는 퍼프부재(155)의 표면으로 나온 화장품액체를 화장하고자 하는 부분에 표면에 바른다.
한편,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부(115)의 미작동시, 즉 화장품액체가 더 이상 수용부(142)로 유입되지 않은 경우에, 누액방지부재(149)는 화장품액체에 의해 누액방지볼(149b)로 제공되던 펌핑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탄성부재(149a)에 가해지던 탄성력이 해제되면서 누액방지볼(149b)이 연통개구(142a)를 막도록 이동되어 수용부(142) 내의 화장품액체가 작동샤프트(144)로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스위치(119)가 작동되면, 배터리(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진동모터(130)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진동모터(130)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진동모터(130)의 회전축(131)에 연결된 작동바(141)가 전후로 이동되며, 작동바(141)와 일체로 형성된 작동샤프트(144)가 퍼프부(150)와 전후로 이동되면서 피부를 두드리면서 화장품액체가 피부에 흡수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진동형 화장보조기기 110: 본체하우징
111: 제 1 공간 112: 제 2 공간
113: 제 3 공간 115: 펌핑부
116: 화장품토출구 117: 튜브
118: 본체지지부재 119: 배터리스위치
120: 배터리 130: 진동모터
131: 회전축 135: 모터안착부
140: 작동부 141: 작동바
142: 수용부 143: 화장품유입구
144: 작동샤프트 145: 이탈방지부재
147: 제1고정부 148: 제2고정부
149: 누액방지부재 149a: 탄성부재
149b: 누액방지볼 150: 퍼프부
151: 퍼프안착부 153: 토출홈
155: 퍼프부재

Claims (6)

  1. 내부공간이 화장품용기가 삽입되는 제 1 공간, 배터리가 삽입되는 제 2 공간과 진동모터가 설치되는 제 3 공간으로 구획되고, 일측에 퍼프부가 설치된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의 외면에서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화장품용기와 연결되고, 화장품토출구가 구비된 펌핑부;
    상기 제 3 공간에 구비된 모터안착부에 설치되는 상기 진동모터; 및
    상기 진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작동바, 튜브에 의해 상기 화장품토출구와 연결되고 화장품액체가 수용되는 수용부, 내부가 중공되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퍼프부에 연결된 작동샤프트, 상기 작동샤프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펌핑부의 미작동시 상기 수용부에 잔존하는 화장품액체의 상기 작동샤프트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누액방지부재, 상기 작동바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기역자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모터안착부의 상부에 고정된 제1고정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니은자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모터안착부의 하부에 고정된 제2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진동모터의 회전시 상기 퍼프부가 전후운동가능하게 상기 진동모터와 상기 퍼프부에 연결된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화장보조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방지부재는
    상기 작동샤프트의 중공된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 종단에 고정되고 상기 수용부와 상기 작동샤프트가 연통되는 연통개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누액방지볼을 포함하며,
    상기 누액방지볼은
    상기 펌핑부의 작동시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화장품액체에 가해진 펌핑압력에 의해 상기 연통개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퍼프부에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용부 내의 화장품액체가 상기 작동샤프트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펌핑부의 미작동시 상기 누액방지볼로 제공되던 펌핑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에 가해지던 탄성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연통개구를 막도록 이동되어 상기 수용부 내의 화장품액체가 상기 작동샤프트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화장보조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의 하부에는 상기 진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진동모터의 회전력이 직선운동으로 가변되도록 제공된 작동홈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바의 상부에는 고정바가 설치되고,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분산하기 위한 연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는 상기 본체하우징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진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상기 작동바의 이동시 상기 작동바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진동모터의 작동시 상기 작동바가 안정적으로 전후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화장보조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부는
    후면에 상기 작동샤프트가 삽입되는 퍼프축홈이 구비되고, 전면에 상기 퍼프축홈과 연통되는 토출홈이 형성된 퍼프안착부; 및
    상기 퍼프안착부의 전면을 둘러싸게 결합되고, 상기 펌핑부의 작동시 상기 작동부를 경유하여 상기 토출홈을 통해 토출된 상기 화장품액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개구가 형성된 퍼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화장보조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홈은 하단이 부채꼴 형상으로 절곡된
    Figure 112012062683855-pat00003
    형상을 가져 상기 퍼프축홈을 통해 제공받은 상기 화장품액체가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화장보조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은 외면에 상기 제 2 공간에 설치된 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류가 상기 진동모터로 제공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해 제공된 배터리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화장보조기기.



KR1020120085749A 2012-08-06 2012-08-06 진동형 화장보조기기 KR101193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749A KR101193907B1 (ko) 2012-08-06 2012-08-06 진동형 화장보조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749A KR101193907B1 (ko) 2012-08-06 2012-08-06 진동형 화장보조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907B1 true KR101193907B1 (ko) 2012-10-29

Family

ID=47288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749A KR101193907B1 (ko) 2012-08-06 2012-08-06 진동형 화장보조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9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567B1 (ko) 2011-07-29 2011-11-01 최병강 세안장치
KR101142078B1 (ko) 2011-10-31 2012-05-14 주식회사하이첸 화장용 퍼프 장치
KR101158314B1 (ko) 2012-01-16 2012-07-03 심윤석 진동자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61267Y1 (ko) 2012-02-27 2012-07-04 주식회사 웰컴엠에스 마사지판을 구비한 진동파운데이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567B1 (ko) 2011-07-29 2011-11-01 최병강 세안장치
KR101142078B1 (ko) 2011-10-31 2012-05-14 주식회사하이첸 화장용 퍼프 장치
KR101158314B1 (ko) 2012-01-16 2012-07-03 심윤석 진동자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61267Y1 (ko) 2012-02-27 2012-07-04 주식회사 웰컴엠에스 마사지판을 구비한 진동파운데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25897B (zh) 美容装置以及美容装置的头部
US7699795B2 (en) Massager device with liquid applicator
US9421146B2 (en) Cosmetic device
ES2551750T3 (es) Método de aplicación de maquillaje mediante un aplicador vibratorio
KR101106788B1 (ko) 퍼프부재의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진동퍼프장치
US20080146977A1 (en) Serum Dispensing and Massage Device
US6158442A (en) Liquid reservoir hairbrush with absorbent filler and roller ball liquid distribution mechanism
KR20020010771A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KR20090065146A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385928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387520B1 (ko) 진동 화장기구를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식 화장품용기
KR20140000942U (ko) 진동을 이용한 화장용구
JP2018523540A (ja) 少なくとも1つの化粧品、皮膚科学的及び/又は薬剤学的な組成物を備えるマッサージ装置
KR101193907B1 (ko) 진동형 화장보조기기
KR20090011481U (ko) 마사지 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120002020U (ko) 마사지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US6276367B1 (en) Liquid-reservoir hairbrush
KR20100060730A (ko) 화장품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전동 퍼프
KR101010154B1 (ko) 스포이드
KR200461938Y1 (ko) 펌핑 화장용기
KR20140004912U (ko)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클렌징용 액상 화장용기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US20210353042A1 (en) Skin treatment head with integrated release system
KR200471503Y1 (ko) 마사지볼 캡 장착형의 회전 펌핑식 용기
US6530378B1 (en) Liquid-reservoir hairbrush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