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528B1 - 조립식 사물함 - Google Patents

조립식 사물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528B1
KR101193528B1 KR1020090058221A KR20090058221A KR101193528B1 KR 101193528 B1 KR101193528 B1 KR 101193528B1 KR 1020090058221 A KR1020090058221 A KR 1020090058221A KR 20090058221 A KR20090058221 A KR 20090058221A KR 101193528 B1 KR101193528 B1 KR 101193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locker
coupl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901A (ko
Inventor
김태동
재 욱 한
Original Assignee
(주)엠지플라매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지플라매직 filed Critical (주)엠지플라매직
Priority to KR1020090058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52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85Mutually slotted furnitur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16Node corner connectors, e.g. cub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많은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많은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는 사물함 제공하되, 이 사물함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설치할 현장에서 설치여건을 고려하여 간편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조립식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과 하판, 후판과 측판과 도어로 구성되고, 이들을 조립하도록 된 사물함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하되, 측판과 결합하여 고정하는 측판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측판은, 상면부와 저면부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하되, 상판과 하판 사이에 끼워져 결합 고정되는 장착수단;과, 측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위블록을 구비하여, 이 단위블록을 가감하여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 측판높이조절수단;과, 이 측판의 전면부에 코인락장치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코인락 고정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
측판에 단위블록을 결합하거나 제거하여 전체 측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측판의 상면부와 저면부에 각각 두 개씩의 상판과 하판을 간단하게 조립하여 고정함으로써 완성된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판, 하판, 측판, 단위블록, 코인락

Description

조립식 사물함{Prefabricated locker}
본 발명은 많은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물함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설치할 현장에서 설치여건을 고려하여 다수의 사물함을 종횡으로 연속해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조립식 사물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많은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장소 즉, 지하철역, 대형쇼핑센타, 헬스장, 수영장, 학교 등에 설치되어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무상 또는 유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사물함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독립된 크기의 상자형태로 제작하고, 이 사물함을 설치할 장소의 여건에 따라 다수 준비하여, 이를 설치할 현장으로 운반한 후, 종횡으로 연속해서 적층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함의 경우, 금속이나 목재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많은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함에 따라 파손이 자주발생하였고, 이에 의해 사물함의 유지와 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단점이 노출되었다.
이러한 유지와 보수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를 이용한 사출성형을 통해 사물함을 제작함으로써, 제작원가를 절감하고, 어느 하나의 사물함이 파손되었을 경우, 파손된 사물함만을 간단하게 교체하도록 하여 사물함의 관리와 보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한 사물함은, 각 구성부품을 별도로 사출하여 조립하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는 것이고, 이러한 요구에 의해 사물함을 구성하는 각 구성 부품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술을 가진 조립식 사물함이 제안되어 있다.
선행하는 기술로서 실용신안공고 제1996-672호의 조립식 다용도 사물함과, 실요인안등록 제120-97286호의 조립식 다용도 사물함과, 실용신안등록 제20-129573호의 조립식 사물함, 실용신안등록 제20-357303호의 조립식 사물함의 결합구조와, 특허등록 제10-890344호 조립식 사물함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사물함을 구성하는 상판과 하판 및 측판과 후면판을 각각 별도로 제작하고, 이를 다양한 형태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조립하도록 하는 조립식 사물함의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선행기술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들은 하나의 완성된 사물함을 조립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이다.
첫째, 사물함을 조립하기 위한 부가적인 조립부품을 필요로 한다.
둘째, 각 구성부품을 조립하면 하나의 완성된 사물함만을 조립 완성하는 것 이고, 다수의 사물함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셋째, 조립된 사물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사물함의 크기를 변경하여 확장하거나 축소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금형을 다시 제작하여야 하므로 생산비용의 상승원인 된다.
참고문헌; 실용신안공고 제1996-672호, 실용신안공고 제120-97286호, 실용신안등록 제20-129573호, 실용신안등록 제20-357303호, 특허등록 제10-89034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조립식 사물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사물함을 조립할 때 다른 연결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서로 조립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사물함.
둘째,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현장에서 사물함의 크기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사물함.
셋째, 사물함을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는 조립식 사물함.
넷째, 수평, 수직으로 연결 조립되는 사물함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조립식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사물함은, 상판과 하판, 후판과 측판 및 도어로 구성되고, 이들을 조립하도록 된 사물함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하되, 양 측단부 상,하에 측판과 결합하여 고정하는 측판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측판은, 상면부와 저면부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하되, 두개의 상판과 두 개의 하판이 밀착된 밀착부에 끼워 고정됨으로써, 하나의 측판에 두 개의 상판과 하판을 동시에 고정하도록 하는 상하판 장착수단;과,
측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위블록을 구비하여, 이 단위블록을 가감하여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 측판높이조절수단;과,
상기 측판의 전면부에 코인락장치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코인락 고정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
측판에 단위블록을 결합하거나 제거하여 전체 측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측판의 상면부와 저면부에 각각 두 개씩의 상판과 하판을 간단하게 조립하여 고정함으로써 완성된 사물함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조립식 사물함은, 종횡으로 연결 설치하기 위해서 별도의 연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측판에 각기 다른 두 개의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여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조립된 사물함이 자동으로 좌우로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설치된 사물함의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됨은 물론, 별도의 연결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를 절감하는 특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단위블록을 이용하여 측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물함의 크기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경제적인 이점도 제공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조립식 사물함을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판과 하판, 후판과 측판, 도어로 구성되고, 이들을 조립하도록 된 사물함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하되, 양 측단부 상하에 측판과 결합하여 고정하는 측판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측판은, 상면부와 저면부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하되, 두 개의 상판과 두개의 하판이 밀착된 밀착부의 측판고정수단이 결합되어 두 개의 상판과 두 개의 하판을 끼워 결합 고정하는 상하판 고정수단;과,
측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위블록을 구비하여, 이 단위블록을 측판에 조립하여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 측판높이조절수단;과,
측판의 전면부에 코인락장치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코인락 고정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조립식 사물함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을 통하여 실시예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 하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측판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며, 도 6a~f는 본 발명의 측판에 상판과 하판을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측판에 상판 두 개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평면도이고, 도 8은 두 개의 상판에 측판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a, 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위블록의 사시도이다.
상판(1)과 하판(2), 후판(40)과 측판(10), 도어(50)로 구성되고, 이들을 조립하여 완성된 사물함을 얻도록 된 통상의 조립식 사물함에 있어서,
상기 상판(1)과 하판(2)은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형성하며,
상기 상판(1)에는, 양 측면부(1a)(1b)에 측판(10)이 끼워져 고정되는 측판고정수단이 구비하며,
상기 측판고정수단은, 상판(1)의 양 측면부(1a)(1b)에 내측으로 요입되는 측판결합부(3)를 각각 형성하며, 이 측판결합부(3)를 구획판(4)으로 구획하여 그 단부모양이 "H"빔의 모양을 이루도록 하여 상부측판결합부(3a)와 하부측판결합부(3b)를 형성하고, 이 상부측판결합부(3a)와 하부측판결합부(3b)의 전방과 후방 소정의 위치에 계단형의 밀착편(5)을 일체로 형성하되, 이 밀착편(5)의 양끝 상부와 하부에 소폭의 간격을 가지도록 걸림편(6)(6a)을 형성하여, 상기 계단형의 밀착편(5) 양 끝과 걸림편(6)(6a) 사이에 끼움부(7)(7a)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측판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측판고정수단의 구성은,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상판(1)과 하판(2)의 사출성형을 원활히 하는데 일조를 하게 된다.
즉,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성형금형으로 사출제작이 가능하게 하는 특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상판(1)의 후면부(1c)에는 구확판(8)에 의해 상,하부 후판결합부(9a)(9b)로 분할되어 그 단면모양이 'H'빔 형으로 되는 후판결합부(9)를 형성한다.
상기 측판(10)은 상면부(11)와 저면부(11')가 상판(1)과 하판(2)의 측판결합부(3)에 결합 고정되도록 상면부(11)와 저면부(11')에 동일한 형태의 상하판고정수단이 구성된다.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10)의 상면부(11)와 저면부(11')에 구비되는 상판고정수단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제1결합돌부(12)와 제2결합돌부(12a)를 일체로 길게 돌출형성하되, 상기 제1결합돌부(12)와 제2결합돌부(12a)는 각각 상판(1)과 하판(2)에 형성된 측판결합부(3)의 상부측판결합부(3a)와 하부측판결합부(3b)에 각각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측판(10)의 상면부(11)에 구비되는 상기 제1결합돌부(12)와 제2결합돌 부(12a)의 전방측과 후방측에는 각각 "┏"형의 전방체결돌부(13)(13a)와 후방체결돌부(13')(13a')를 형성한다.
상기 전방체결돌부(13)(13a)와 후방체결돌부(13')(13a')는, 후방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전방체결돌부(13)13a)와 후방체결돌부(13')(13a')는 절곡되는 방향으로 소폭의 작동공간부(14)(14a)(14')(14a')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측판(10)의 후면부(11")에는 내측으로 소폭의 간격을 이격하여 후판결합부(16)을 요입형성하되, 중앙 격벽(17)을 기점으로 양측에 각각 다른 후판(40)(40A)의 양 측면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41)가 슬라이드 결합되는 각각의 후판결합요입부(16a)(16b)를 구비한 "H"형의 후반결합부(16)를 구성한다.
상기 측판(10)은 전체적인 높이를 비교적 낮게 형성한 단위블록(20)을 구비하여 측판에 조립함으로써 그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9a,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한 단위블록(20)은, 측판(1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상면부(22)에는 측판(10)의 상면부(11)의 구성과 동일하게 제1결합돌부(23)와 제2결합돌부(23a)와, "┏"형의 전방체결돌부(24)(24a) 및 후방체결돌부(24')(24a')를 형성하여서 된 상판결합수단; 과,
후면부(25)에는 한 쌍의 후판결합요입부(26a)(26b)를 구비한 후판결합부(26)를 구비하고,
저면부(22')는 상판(1)의 양측에 형성된 측판고정수단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한 측판결합수단; 을 구비한다.
즉, 저면부(22')에 형성되는 측판결합수단은, 측판(10)의 상면부(11a)에 형성된 제1결합돌부(12)와 제2결합돌부(12a)가 삽입되어 긴밀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부(27a)와 제2체결부(27b)가 요입형성되고, 이 제1체결부(27a)와 제2체결부(27b)의 전, 후방측에 밀착편(28)(28')과 걸림편(30)(30')을 형성하여 밀착편(28)(28')과 걸림편(30)(30') 사이에 소폭의 끼움부(31)(31')를 각각 형성하여, 측판(10)의 상면부(11)에 형성된 전방체결돌부(13)(13a)와 후방체결돌부(13')(13a')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위블록(20)은, 필요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이고, 이 단위블록(20) 1개 또는 그 이상의 단위블록(20)을 측판(10)의 상면부(11)에 끼워 순차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사물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설명한다.
하나의 측판(10)의 상면부(11)와 저면부(11')에 각기 다른 2개의 상판(1)(1A)과 하판(2)(2A)을 결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측판(10)에 상판(1)과 하판(2)을 고정하는 방식은 동일하다.
측판(10)의 상면부(11)에 상판(1)을 결합하는 과정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면, 상기 측판(10)의 상면부(11) 우측에 형성된 제1결합돌부(12)에, 상판(1)의 측면부(1a)에 형성된 하부측판결합부(3b)를 결합한 후, 후방으로 밀어준다.
상판(1)이 후방으로 밀리면, 측판(10)의 상면부(11) 전방측과 후방측에 형성된 "┏"형의 전방체결돌부(13)와 후방체결돌부(13')가 상판(1)에 형성된 끼움 부(7a)에 각각 진입하여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측판(10)의 전방체결돌부(13)와 후방체결돌부(13')가 끼움부(7a)에 각각 끼워지면서 상판(1)과 측판(10)이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이어서, 다른 상판(1A)을 측판(10)의 상면부(11) 좌측에 형성된 제2결합돌부(12a)에 결합하여 상기한 방법과 동일한 수단으로 고정함으로써, 하나의 측판(10)에 동시에 두개의 상판(1)(1A)을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단으로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의 측단부에 형성된 하부측판결합부(3b)에 다른 상판(1A)을 밀착하고, 하나의 측판(10)으로 두 개의 상판(1)(1A)을 고정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사물함의 측판(10)과 상판(1)을 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수단으로 측판(10)에 상판(1)과 하판(2)을 조립하고, 후판(40)을 측판(10)의 후면부(1c)에 형성된 "H"형의 후판결합부(16)를 구성하는 후판결합요입부(16a)에, 상기 후판(40)의 측면부에 형성된 측면결합돌기(41)를 끼워 결합하고, 상판(1)의 후면부(1c)에 형성된 후판결합부(9)에 후판(40)의 저면부에 형성된 저면결합돌기(43)를 끼워 조립한 후, 도어(50)를 상판(1)과 하판(2) 사이에 결합하여 완성된 사물함을 조립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측판(10)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두 개의 상판(1)(1A)과 하판(2)(2A)을 연결 조립함으로써 조립된 사물함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측판(10)은 상면부(11)에 단위블록(20)을 조립하여 그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물함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측판(10)의 상면부(11)에 형성된 제1결합돌부(12)와 제2결합돌부(12a)에 단위블록(20)의 저면부(22')에 형성된 제1체결부(27a)와 제2체결부(27b)로 구성된 측판체결부(27)를 조립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측판(10)의 상면부(11)에 형성된 제1결합돌부(12)와 제2결합돌부(12a)에. 단위블록(20)의 본체(21) 저면부(22')에 형성된 제1체결부(27a)와 제2체결부(22b)를 결합한 후, 단위블록(20)을 후방으로 밀어주면, 제1체결부(27a)와 제2체결부(27b)에 형성된 밀착편(28)과 걸림편(30) 사이에 형성된 끼움부(31)(31')에 상기 측판(10)의 전방체결돌부(13)(13a)와 후방체결돌부(13')(13a')가 진입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이후 단위블록(20)의 상면부(22)에 형성된 결합돌부(33)를 상판(1)에 결합하여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한 단위블록(20)을 이용하여 측판(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 이에 대하여 후판(40)에 결합되는 후판블럭(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후판(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크기별로 제작된 후판(40)을 이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실시예 2]
첨부 도면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70)에는 코인락(72)을 수용하는 코인락수용부(73)를 일체로 구성한다.
측판(70)의 전면부(71)에 동전의 투입에 의해 개폐작동을 하도록 구성된 코인락(72)을 장착할 수 있는 코인락수용부(73)를 형성하고, 이 코인락수용부(73)의 저면부(74)에는 투입된 동전이 이송되는 동전진입구(75)와 동전이송로(76)를 구비한다.
상기 코인락수용부(73)는, 측판(70)의 전면부(71)에 일체로 형성하는바,
상기 코인락수용부(73)에 동전의 투입으로 개폐작동하게 되는 코인락(72)을 삽입하고, 이 코인락(72)을 코인락수용부(73)의 외측면에서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동전이송로(76)는, 별도로 사출 성형되는 이송커버(77)에 의해 형성되며, 동전이송로(76)는 측판(7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다른 측판에 형성되는 동전이송로와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측판(70)의 상면부(71a)와 저면부(71b)에는 동전유입구(78)와 동전배출구(79)를 형성하여 동전이송로(76)와 연결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코인락(72)에 동전을 투입하여 도어(50)을 열거나 잠그게 되는데, 투입된 동전은 코인락수용부(73)의 저면부(74)에 형성된 동전진입구(75)를 통해 동전이송로(76)로 이송되고, 최종적으로는 조립된 사물함의 최하단부 하판에 구비된 동전회수통(80)에 회수되는 것이다.
상기 동전이송로(76)는 상하로 연결된 각 사물함의 측판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어서, 상단에 위치한 사물함의 코인락(72)에 투입된 동전도 최하단의 동전회수통(80)으로 수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에 의해 다양한 설계변경을 통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 하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측판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 6a~f는 본 발명의 측판에 상판과 하판을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측판에 상판 두 개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평면도
도 8은 두 개의 상판에 측판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a, 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위블록의 사시도
도 10,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판의 사시도와 일부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판 2 : 하판
3 : 측판결합부 3a : 상부측판결합부
3b : 하부측판결합부 4 : 구획판
5, 5' : 밀착편 6, 6': 걸림편
7, 7', 7a, 7a': 끼움부 8 : 구획판
10 : 측판 11a: 상면부
11b : 저면부 11c : 전면부
11d : 후면부 12 : 제1결합돌부
12a : 제2결합돌부 13, 13a : 전방체결돌부
13', 13a': 후방체결돌부 14,14a,14',14a': 작동공간부
20 : 단위블록 21 : 본체
22 : 상면부 22': 저면부
22": 후면부 23 : 제1결합돌부
23a: 제2결합돌부 24,24a : 전방체결돌부
24',24a': 후방체결돌부 28 : 밀착편

Claims (7)

  1. 상판(1)과 하판(2), 후판(40)과 측판(10), 도어(50)로 구성되고, 이들을 조립하도록 된 사물함에 있어서,
    상기 상판(1)과 하판(2)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하되, 측판(10)과 결합하여 고정하는 측판고정수단을 양 측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측판(10)은, 상면부(11a)와 저면부(11b)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하되, 두 개의 상판(1)(1A)과 두 개의 하판(2)(2A)이 밀착된 측면부에 형성되는 측판고정수단에 끼워져, 각기 다른 상판(1)(1A) 두 개와 하판(2)(2A) 두 개를 동시에 결합 고정하도록 하는 상하판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측판(10)의 상면부(11)와 저면부(11')에 구비되는 상하판 고정수단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제1결합돌부(12)와 제2결합돌부(12a)를 일체로 길게 돌출형성하되, 상기 제1결합돌부(12)와 제2결합돌부(12a)는 각각 상판(1)과 하판(2)에 형성된 측판결합부(3)의 상부측판결합부(3a)와 하부측판결합부(3b)에 각각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측판(10)의 상면부(11)에 구비되는 상기 제1결합돌부(12)와 제2결합돌부(12a)의 전방측과 후방측에는 각각 "┏"형의 전방체결돌부(13)(13a)와 후방체결돌부(13')(13a')를 형성하며,
    상기 전방체결돌부(13)(13a)와 후방체결돌부(13')(13a')는, 후방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전방체결돌부(13)13a)와 후방체결돌부(13')(13a')는 절곡되는 방향으로 소폭의 작동공간부(14)(14a)(14')(14a')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측판(10)의 후면부(11")에는 내측으로 소폭의 간격을 이격하여 후판결합부(16)을 요입형성하되, 중앙 격벽(17)을 기점으로 양측에 각각 다른 후판(40)(40A)의 양 측면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41)가 슬라이드 결합되는 각각의 후판결합요입부(16a)(16b)를 구비한 "H"형의 후반결합부(16)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사물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0)의 상면부(11a)에 형성된 장착수단에 결합되어 측판(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단위블록(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사물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0)의 전면부(71) 중앙에는 코인락(72)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코인락수용부(73)를 일체로 구성하고, 측판(10)의 일측면에는 동전이송로(7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사물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고정수단은, 상판(1)의 양 측면부(1a)(1b)에 내측으로 요입되는 측판결합부(3)를 각각 형성하되, 이 측판결합부(3)를 구획판(4)으로 구획하여 그 단부모양이 "H"빔의 모양을 이루도록 하여 상부측판결합부(3a)와 하부측판결합부(3b)를 형성하고, 이 상부측판결합부(3a)와 하부측판결합부(3b)의 전방과 후방부에 계단형의 밀착편(5)을 일체로 형성하되, 이 밀착편(5)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 소폭의 간격을 가지도록 걸림편(6)(6a)을 형성하여, 상기 계단형의 밀착편(5) 양끝과 걸림편(6)(6a) 사이에 소폭의 끼움부(7)(7a)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사물함.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20)은, 본체(21)의 상면부(22)에는, 측판(10)의 상면부(11a)에 구성된 상하판 고정수단과 동일한 구조의 상판결합수단이 구비되고,
    본체(21)의 저면부(22')에는 상판(1)의 양 측면부(1a)(1b)에 형성된 측판고정수단과 동일한 구조의 측판결합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사물함.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이송로(76)는 별도로 사출 성형되는 이송커버(77)를 결합하여 동전이송로(76)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사물함.
KR1020090058221A 2009-06-29 2009-06-29 조립식 사물함 KR101193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221A KR101193528B1 (ko) 2009-06-29 2009-06-29 조립식 사물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221A KR101193528B1 (ko) 2009-06-29 2009-06-29 조립식 사물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01A KR20110000901A (ko) 2011-01-06
KR101193528B1 true KR101193528B1 (ko) 2012-10-22

Family

ID=4360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221A KR101193528B1 (ko) 2009-06-29 2009-06-29 조립식 사물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5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3147A (zh) * 2017-04-24 2017-07-21 厦门富桂通科技有限公司 一种门柜的上下连接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7782A (ja) * 2002-10-29 2004-05-27 Itoki Crebio Corp 組立式収納家具
KR200438682Y1 (ko) * 2007-02-01 2008-02-29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단일 코인박스 물품보관함
KR100890344B1 (ko) * 2008-06-24 2009-03-25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조립식 사물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7782A (ja) * 2002-10-29 2004-05-27 Itoki Crebio Corp 組立式収納家具
KR200438682Y1 (ko) * 2007-02-01 2008-02-29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단일 코인박스 물품보관함
KR100890344B1 (ko) * 2008-06-24 2009-03-25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조립식 사물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01A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3162B2 (en) Building set for toy houses
ATE279851T1 (de) Leicht montierbares gehäuse für eine datenkarte
CA2836537A1 (en) Building block with insulating core
MXPA06009835A (es) Cobertizo de utilidad expansible de plastico.
KR101409772B1 (ko) 조립식 수납함
KR101193528B1 (ko) 조립식 사물함
KR101731382B1 (ko) 철근 삽입이 용이한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성형장치
KR100683494B1 (ko) 넉다운 가구
KR100576951B1 (ko) 나사에 의해 연결된 프로파일 부재로 이루어진 조합 강철프레임
KR200468887Y1 (ko) 조립식 진열장
CN210247888U (zh) 一种组合式宠物窝
CN102562732B (zh) 一种用于组装家具/宠物屋/活动房的标准化组件
EP1369543A2 (en) Barrier for enclosures and signage
KR20140111432A (ko) 거푸집 없이 시공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KR101340144B1 (ko) 사물함 조립구조
KR20200139334A (ko) 고정 키를 이용하여 조립이 용이한 모듈형 캣타워
CN202520715U (zh) 一种用于组装家具/宠物屋/活动房的标准化组件
WO2001077456A1 (en) A building system
KR100929009B1 (ko) 높이 및 폭 조절이 자유로운 블록형 파티션
KR20170001493U (ko) 도어용 글라스 장식테의 조립구조
KR20090004873U (ko) 조립식 서랍
KR0129573Y1 (ko) 조립식 사물함
CN109273902B (zh) 一种内胆组件、多面插座及便携收纳盒
CN216948079U (zh) 一种防洪板
CN219572243U (zh) 面框组件和具有其的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