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503B1 - 광학부재 가이드가 적용된 엘이디 면 발광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부재 가이드가 적용된 엘이디 면 발광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503B1
KR101193503B1 KR1020100103255A KR20100103255A KR101193503B1 KR 101193503 B1 KR101193503 B1 KR 101193503B1 KR 1020100103255 A KR1020100103255 A KR 1020100103255A KR 20100103255 A KR20100103255 A KR 20100103255A KR 101193503 B1 KR101193503 B1 KR 101193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nd
optical member
groove
fram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873A (ko
Inventor
이중현
Original Assignee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테크닉스(주) filed Critical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to KR1020100103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50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부재 가이드가 적용된 엘이디 면 발광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면 발광 조명 장치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의 유동을 방지하고, 엘이디에서 발생 되는 열에 의한 도광판 등 광학 부재의 신장에 따른 엘이드에 가해지는 압력을 방지하기 위한 광학 부재 가이드가 적용된 면 발광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각 판상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각 변에서 연장되고, 측부의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의 양 측단에서 연장되되 그 높이가 상기 지지단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지지단보다 내측으로 위치하는 끼움단을 포함하는 측부; 및 인접한 두 측부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의 공기순환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프레임이 제시된다.

Description

광학부재 가이드가 적용된 엘이디 면 발광 조명 장치{LED light emitting apparatus using a guide for optical member}
본 발명은 광학 부재 가이드가 적용된 엘이디 면 발광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면 발광 조명 장치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의 유동을 방지하고, 엘이디에서 발생 되는 열에 의한 도광판 등 광학 부재의 신장에 따른 엘이드에 가해지는 압력을 방지하기 위한 광학 부재 가이드가 적용된 면 발광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 발광 조명 장치는 다양한 광원을 통해 빛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조명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면 발광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모양의 출사면을 통해 빛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면 발광장치에 사용되는 광원은 다양한 종류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냉음극 형광 램프(CCLF)와 같은 선광원이나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점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액정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조명으로 사용되는 방식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에지형(edge type) 방식과 직하형(direct type) 방식의 두 종류로 구분되었으며, 면 발광 장치 역시 광원의 위치에 따라 상술한 두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에지형은 측면 조명 방식(side type)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상기 측면 조명에 사용되는 종래의 면 발광장치는 발광소자, 발광 소자들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도광판, 반사판, 광학 시트 및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소자들은 다양한 파장의 빛을 발생시키는 전기 소자이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발광 소자가 실장되는 기판이다. 상기 도광판은 발광소자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전달하는 광 가이드이며, 상기 반사판은 도광판으로 전달되는 광을 반사시켜 면 발광장치의 전면으로 출사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광학 시트는 빛을 확산시켜 조명효과를 높이는 시트(sheet)이며,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부품들을 지지하는 고정 장치이다. 상기 프로파일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종래의 프로 파일은 프레임의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기판을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기판과 직접적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쉽게 외부로 전달할 수는 있으나, 프로 파일 자체의 열이 상승되어 프로 파일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발광 소자들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전면을 통하여 광이 조사되는 경우에, 프로 파일의 내측부로부터 광이 일부 소실되어 광량이 일정 이하로 줄어들어 광 효율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광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도광판이 신장되어 도광판의 측면에 엘이디 상부면이 접촉됨으로써 신장 압력이 엘이디에 가해져 엘이디의 수명을 단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학 부재의 요동에 따른 충격이 엘이디에 전달되어 엘이디의 수명을 단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의 조사각을 확산시킴과 아울러, 광의 발광으로 인한 열을 사방 측면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공기순환부를 통하여 유동 되는 공기의 흐름에 노출시키어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의 사방 측면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공기순환부에 광학 부재 가이드를 배치함으로써 도광판의 측면이 엘이디 상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하여 엘이디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도광판이 신장 되더라도 그 신장 압력이 엘이디에 전달되지 않게 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학 부재 가이드에 의해 광학 부재들이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요동되어 엘이디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광학 부재 가이드의 색상을 조절하여 코너에 전달된 빛의 반사가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코너 암부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엘이디 모듈의 장착시 그 위치를 용이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일 양태로서, 사각 판상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각 변에서 연장되고, 측부의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의 양 측단에서 연장되되 그 높이가 상기 지지단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지지단보다 내측으로 위치하는 끼움단을 포함하는 측부; 및 인접한 두 측부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의 공기순환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프레임이 제시된다.
한편, 상기 측부는, 상기 안착부의 단부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단과, 상기 경사단의 단부에서 상기 안착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단과, 상기 연장단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그 높이가 상기 안착부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지지단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지지단의 양단은 상기 연장단의 양단보다 소정 길이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기순환부는 인접한 두 측부에 둘러싸이고 인접한 두 측부의 끼움단 사이는 개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단의 외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연장단의 하면과 밀착되게 배치되는 저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곽프레임과 상기 저면프레임은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지지단을 상부에서 덮은 채로 안착부에 안착되는 광학 부재의 상부를 그립하기 위한 제1 몸체와, 상기 지지단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 몸체의 외면에는 소정 깊이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외곽프레임은, 인접하는 외곽프레임과의 하면 경계부에 위치하는 ㄱ 자 형태의 브라켓에 의해 인접하는 다른 외곽프레임과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인접한 두 측부의 끼움단에 끼워지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될 광학 부재의 모서리를 안착하기 위한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내측 두 면에는 상기 끼움단이 끼워질 끼움홈이 하면측은 개방된 채로 형성되고, 상면과 내측 두 면이 맞닿는 경계부위에 뗀 홈이 형성되고, 상기 뗀 홈의 바닥에 상기 광학 부재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받침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는, 백색이고,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프레임.
한편, 상기 가이드의 두 외면 각각은 외면과 나란한 상기 지지단의 외면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와 상기 공기순환부 사이에는 여유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양태로서, 조명 장치 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어 판상의 광학 부재의 모서리를 안착시키기 위한 가이드로서, 직육면체의 형상이고, 내측 두 면에는 하면측이 개방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면과 내측 두 면이 맞닿는 경계부위에 뗀 홈이 형성되고, 상기 뗀 홈의 바닥에 상기 광학 부재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받침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가 제시된다.
한편, 상기 받침면의 내측에는 연장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는, 백색이고,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양태로서, 광학 부재가 적층되는 사각 판상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각 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측부의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의 양 측단에서 연장되되 그 높이가 상기 지지단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지지단보다 내측으로 위치하는 끼움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단의 내면에 광학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는 발광부가 설치된 측부; 및 인접하는 두 측부의 끼움단에 체결되어 상기 광학 부재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제시된다.
한편, 상기 측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단의 상부를 덮은 채로 상기 광학부재의 상부를 그립하는 제1 몸체와 상기 지지단의 외면과 밀착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외곽 프레임; 및 상기 내부프레임의 하면에 밀착되고, 상기 외곽프레임과 결합 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저면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외곽 프레임은 인접하는 외곽프레임과의 하면 경계부에 위치하는 ㄱ 자 형태의 브라켓에 의해 인접하는 다른 외곽프레임과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 몸체의 외면에는 소정 깊이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내측 두 면에는 상기 끼움단이 끼워질 끼움홈이 하면측은 개방된 채로 형성되고, 상면과 내측 두 면이 맞닿는 경계부위에 뗀 홈이 형성되고, 상기 뗀 홈의 바닥에 상기 광학 부재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받침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에 안착된 광학 부재의 측면과 상기 발광부의 상면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의 조사각을 확산시킴과 아울러, 광의 발광으로 인한 열을 사방 측면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공기순환부를 통하여 유동 되는 공기의 흐름에 노출시키어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의 측면이 엘이디 상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하여 엘이디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도광판이 신장 되더라도 그 신장 압력이 엘이디에 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 가이드에 의해 광학 부재들이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요동되어 엘이디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 가이드의 색상을 조절하여 코너에 전달된 빛의 반사가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코너 암부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엘이디 모듈의 장착시 그 위치를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프레임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철부의 예들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단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단 사이에서 체결되는 도광판 가이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 가이드가 내부 프레임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광판 가이드에 의해 위치 설정되는 도광판의 측면과 엘이드의 상면과의 이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조명 장치 프레임(저면 프레임, 내부 프레임, 외곽 프레임의 총칭임)은 조명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조명 장치를 설명함에 포함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명 장치(1)는, 크게, 저면 프레임(100)과, 상기 저면 프레임(100) 상에 위치하는 내부 프레임(200)과, 상기 내부 프레임(20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발광부(300)와, 상기 내부 프레임(200)의 내부에 적층되는 광학 부재(500)와, 상기 내부 프레임(20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광학 부재(500)의 상부 에지부를 그립하는 외곽 프레임(40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내부 프레임(2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내부 프레임(200)은 광학 부재(5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안착되는 사각 판상의 안착부(210)와, 발광부(300)가 배치되고 상기 안착부(210)의 각 변들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그 단부가 광학부재의 측면과 대향하는 측부(220)와, 상기 측부(2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300)의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공기순환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210)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어 광학 부재(5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데, 상기 광학 부재(500)는 반사 시트(510)와, 도광판(520) 및 광학 시트(53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210)의 상면에는 반사 시트(510)가 적층되고, 상기 반사 시트(510)의 상면에는 상기 도광판(520)이 적층되며, 상기 도광판(520)의 상면에는 상기 광학 시트(530)가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측부(220)는, 경사단(221)과, 경사단(221)과 연결되는 연장단(222)과, 상기 연장단(222)과 연결되는 지지단(223)으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단(221)은 판상의 사각형을 이루는 상기 안착부(210)의 각 변들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면서 일정 각도 하향 경사지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일정 각도는 상기 안착부(210)의 저면과 상기 경사단(221)의 저면의 사이각이 둔각(θ)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둔각(θ)은 90도 이상 180도 이하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연장단(222)은 상기 저면 프레임(100)의 상면에 밀착되는 부위로서, 상기 경사단(221)의 단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안착부(210)와 평행을 이루도록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단(222) 상면에는 발광부들(300)의 하단이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연장단의 하면부터 상기 안착부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h5이다.
상기 지지단(223)은 상기 연장단(222)의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광학부재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단(223)의 내면에는 발광부(300)가 배치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착부(210)의 사방 모서리부에는 상기 경사단(221)의 단부, 연장단(222)의 단부 및 지지단(223)의 단부에 에워싸여 형성되는 공기순환부(2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순환부(230)는 그 상하로 개방되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지단(223) 양측 단부는 상기 연장단(222) 각각의 양단보다 일정 길이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지지단의 양측 단부에는 도광판 가이드가 끼워질 끼움단(224)이 연장되어 있다.
도 1의 우측 하단부 그림은 좌측 하단부의 확대도에서 A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상기 끼움단(224)은 그 높이가 상기 지지단의 높이보다 d1만큼 낮고, 상기 지지단보다 d2만큼 내측으로 전진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단(224)과 지지단(223) 사이에 형성된 턱에 의해 엘이디 모듈의 길이를 양측 턱 간의 길이와 같게 할 경우 양측 턱 사이에 기판 및 엘이디로 구성된 엘이디 모듈이 지지단에 장착될 시 그 장착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순환부(230)에는 상하로 공기 유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발광부(300)는 상기 지지단(223)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3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기판(310)과, 상기 기판(310)에 일정 간격으로 실장되는 다수개의 엘이디들(32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기판(310)의 하단은 상기 연장단(222)의 상면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기판(310)의 외면은 지지단(223)의 내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서로 밀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310)에 실장된 엘이디들(320)의 배치 레벨은 도광판(520)의 설치 레벨에 준하도록 이루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300)의 설치 영역은 상기 경사단(221)보다 외측에 배치되도록 이루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300)의 엘이디들(320)로부터 광이 발광되면, 광은 경사단(221)의 상면에 의하여 전면 측으로 광 조사각이 확산되어 조사될 수 있다.
또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광의 조사각을 확산하도록 광이 반사될 수 있는 경사 단(221)의 상면에 전면측으로 광을 확산시켜 줄 수 있는 엠보싱 또는 프리즘 형상의 돌기물들(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단(222)과 경사단(221)이 연결되는 경계는 일정의 곡률(R)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이디들(320)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조사각을 전면을 향하여 일정 범위 이상으로 확산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곡률(R)은 안착부(210)와 경사단(221) 사이의 연결 부분, 경사단(221)과 연장단(222)의 연결 부분, 연장단(222)과 지지단(223)의 연결 부분 각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한편, 상기와 같이 경사단(221)에 의하여 광 조사각이 확산되는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들(300)은 구동시 일정의 열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열은 기판(310)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과 엘이디들(320)로부터 발생되는 열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엘이디들(3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대류 또는 전도에 의하여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열은 내부 프레임(200) 및 조명 장치(1) 내부 공간에서의 열을 상승시키는데, 이 열은 내부 프레임(200)의 사방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공기순환부(230)에 의하여 공랭식으로 방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순환부(230)는, 공기 유동 경로에 의해 서로 다른 공간으로의 공기 유동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엘이디들(3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용이하게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310)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은 지지단(223) 사이의 공간에서 일차적으로 공랭식으로 방열된 후 지지단(223)으로 전달되거나 직접 지지단(223)으로 전달되며, 이 전달된 열은 지지단(223)의 외부로 방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단(223)의 외면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외곽 프레임(400)의 제2 몸체(420)의 내면과 물리적으로 밀착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지지 단(223)으로부터 전달된 열은 상기 외곽 프레임(400)의 내면을 통하여 외곽 프레임(400)으로 전달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열은 상기 외곽 프레임(400)을 통하여 외부로 방열되어 냉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몸체(420)의 외면은 횡으로 길게 소정 깊이를 갖는 절개홈(43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외곽 프레임의 중량의 감소화와 방열 표면의 증가에 따른 방열 효과의 상승에 이바지한다. 이러한 절개홈은 실시예에 따라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고, 상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몸체(420)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4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중공(432)의 형성에 의해 중량 감소, 비용 절감, 공랭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공(432)의 외곽 경계부는 도 3과 같이 네 개의 외곽 프레임이 결합될 때 다른 인접한 외곽 프레임의 외곽 경계부와 맞닿게 결합되어 사각 모양의 순환 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외곽 프레임(400)의 제1 몸체(410)는 상기 광학부재의 상부 에지를 그립하는 몸체이다.
여기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단(223)의 외면과 상기 외곽 프레임(400)의 제 2몸체(420)의 내면에는 서로 밀착 결합되는 요철부(9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는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요철부(900)일 수도 있고,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구 형상의 요철부(900’)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 단(223)와 상기 외곽 프레임(400)은 서로 접촉 면적이 증가됨을 형성하여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부(900,900’)는 상기 접촉 면적의 증가 이외에 상기 지지 단(223)와 외곽 프레임(400)과의 결합 수단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 단(223)와 외곽 프레임(400)과의 결합을 위한 위치 결정은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요철부(900,900’)는 상기와 같이 일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단(223)의 하단에는 일정 간격을 이루어 절개된 공간부(8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공간부(800)를 제외한 지지 몸들(223)의 외면은 외곽 프레임(400)의 제 2몸체(420)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공간부(800)는 상기 외곽 프레임(400)의 제 2몸체(420) 내면을 면 발광 장치(1)의 내부 공간에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곽 프레임(400)의 제2 몸체의 내면에 밀착된 지지단(223)의 제1 영역(①)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발광부(300)로부터 발생되어 지지 단(223)로 전달된 열을 외곽 프레임(400)을 통하여 외부로 방열시키고, 제2 영역(②)에서의 상기 공간부(800)는 상기 지지단(223)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공랭식으로 일차 방열하고 외곽 프레임(400)을 통하여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안착부(210)의 중앙부에는 일정 내경을 갖고 상하로 관통되는 리모콘 센서 홀(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 센서 홀(211)의 주변 영역에는 전선 걸림 부재들(212)이 마련된다. 또한, 안착부(210)의 외곽 테두리부에는 전선 관통홀(2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 단(223)의 내면에 고정되는 기판(310)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들(10)은 상기 전선 관통홀(213)을 통하여 안착부(210)의 저면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10)의 저면으로 안내된 전선들(10)은 전선 걸림 부재(212)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전선들(10)의 타단은 저면 플레임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외부의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선 걸림 부재(212)는 안착부(210)의 다수 위치에 형성되는 절단홀(212a)과, 상기 절단홀(212a)의 내측에서 절개되어 밴딩되어 형성되고 전선(10)을 그립할 수 있도록 접힐 수 있는 걸림편(21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외곽 프레임 간의 연결관계와 외곽 프레임과 저면 프레임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4개의 직선형 외곽 프레임(400-1, 400-2, 400-3, 400-4)을 각각 연결하여 사각 형태의 외곽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고, 두 개의 외곽 프레임이 이어지는 부분에 배치되는 ㄱ자 모양의 브라켓(450)에 의해 이어지는 두 개의 외곽 프레임은 서로 연결된다.
상기 브라켓(450)에는 결합홀(45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홀을 통한 체결 나사(454)에 의해 브라켓(450)과 상기 외곽 프레임이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은 외곽 프레임의 뒤틀림과 벌어짐을 동시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면 프레임(100)의 둘레 부에는 상기 외곽 프레임(40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110)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의 제2 몸체의 하면 중 상기 결합홀(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결합홀(44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110)과 상기 제2 결합홀(440)에 체결된 체결 나사(112)에 의해 상기 저면 프레임과 상기 외곽 프레임이 결합된다.
도 7은 지지단 사이에서 체결되는 도광판 가이드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a)는 상측 사시도이고, (b)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광판 가이드(700)는 6면체 형상으로서, 그 높이(h1)는 상기 지지 단(223)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고(같거나 약간 낮은 정도), 상면(710)과 내측 두 면(722, 724)의 경계 부위에 뗀 홈(730)이 형성되고 뗀 홈(730) 하부에는 상기 광학 부재의 모서리를 받치기 위한 받침면(7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면(740)의 내측으로 뗀 홈의 연장홈(732)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내측 두 면(722, 724)의 각각에는 상기 지지단의 끼움단(224)이 끼워질 끼움홈(750)이 하면(760)측으로 개방된 채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홈의 높이(h2)는 상기 끼움단(224)의 높이와 같고, 외측 면과의 이격 거리(x)는 상기 끼움단의 내측으로의 전진 거리(d2)보다 같거나 작다. 또한 상기 받침면의 높이(h3)는 상기 내부 프레임의 안착부의 높이(h5)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광판 가이드의 밑면적은 상기 공기순환부(230)의 직각 투영 면적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 가이드는 상기 공기순환부(230) 내에 여유 공간이 존재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도광판 가이드의 색채는 백색이 바람직하고, 그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PC)가 적당하다.
도 8은 도광판 가이드가 내부 프레임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내부 프레임(200)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는 두 개의 연장단(224)이 상기 도광판 가이드의 끼움홈에 각각 끼워져 상기 도광판 가이드가 내부 프레임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도광판 가이드의 외면(S1, S2) 각각은 나란한 상기 지지단의 외면(S3, S4)보다 더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단의 외면과 외곽 프레임의 제2 몸체의 내면과의 밀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내부 프레임에 체결된 4개의 도광판 가이드의 각 뗀 홈(730)에는 광학부재의 모서리가 꽉 끼도록 안착 되어 광학부재의 수평방향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도 9는 도광판 가이드에 의해 위치 설정되는 도광판의 측면과 엘이드의 상면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광판(520)의 측면과 엘이디들(320)의 상면과는 일정 거리 d9만큼 이격 되어 있기 때문에 엘이디의 발광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도광판이 수평 방향으로 신장하여 엘이디의 상면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실시예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내용에도 미칠 수 있으며, 그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한다.
본 발명은 면 발광 장치 및 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 제작과 관련된 금형 산업 및 면 발광 장치와 관련된 조명 기기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0 : 저면 프레임 200 : 내부 프레임
210 : 안착부 220 : 측부
221 : 경사단 222 : 연장단
223 : 지지단 224 : 끼움단
230 : 공기순환부
300 : 발광부 400 : 외곽 프레임
500 : 광학부재 700 : 도광판 가이드
710 : 상면 722, 724 : 내측 면
730 : 뗀 홈 732 : 연장홈
740 : 받침면 750 : 끼움홈
760 : 하면

Claims (9)

  1. 삭제
  2. 사각 판상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각 변에서 연장되고, 측부의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의 양 측단에서 연장되되 그 높이가 상기 지지단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지지단보다 내측으로 위치하는 끼움단을 포함하는 측부; 및
    인접한 두 측부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의 공기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는,
    상기 안착부의 단부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단과,
    상기 경사단의 단부에서 상기 안착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단과,
    상기 연장단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그 높이가 상기 안착부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지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프레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의 양단은 상기 연장단의 양단보다 소정 길이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기순환부는 인접한 두 측부에 둘러싸이고 인접한 두 측부의 끼움단 사이는 개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프레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의 외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연장단의 하면과 밀착되게 배치되는 저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곽프레임과 상기 저면프레임은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지지단을 상부에서 덮은 채로 안착부에 안착되는 광학 부재의 상부를 그립하기 위한 제1 몸체와, 상기 지지단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의 외면에는 소정 깊이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프레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인접한 두 측부의 끼움단에 끼워지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될 광학 부재의 모서리를 안착하기 위한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내측 두 면에는 상기 끼움단이 끼워질 끼움홈이 하면측은 개방된 채로 형성되고, 상면과 내측 두 면이 맞닿는 경계부위에 뗀 홈이 형성되고, 상기 뗀 홈의 바닥에 상기 광학 부재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받침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프레임.
  6. 조명 장치 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어 판상의 광학 부재의 모서리를 안착시키기 위한 가이드로서,
    직육면체의 형상이고, 내측 두 면에는 하면측이 개방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면과 내측 두 면이 맞닿는 경계부위에 뗀 홈이 형성되고, 상기 뗀 홈의 바닥에 상기 광학 부재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받침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는, 백색이고,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7. 삭제
  8. 광학 부재가 적층되는 사각 판상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각 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측부의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의 양 측단에서 연장되되 그 높이가 상기 지지단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지지단보다 내측으로 위치하는 끼움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단의 내면에 광학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는 발광부가 설치된 측부; 및
    인접하는 두 측부의 끼움단에 체결되어 상기 광학 부재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단의 상부를 덮은 채로 상기 광학부재의 상부를 그립하는 제1 몸체와 상기 지지단의 외면과 밀착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외곽 프레임; 및
    상기 내부프레임의 하면에 밀착되고, 상기 외곽프레임과 결합 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저면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의 외면에는 소정 깊이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9. 광학 부재가 적층되는 사각 판상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각 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측부의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의 양 측단에서 연장되되 그 높이가 상기 지지단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지지단보다 내측으로 위치하는 끼움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단의 내면에 광학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는 발광부가 설치된 측부; 및
    인접하는 두 측부의 끼움단에 체결되어 상기 광학 부재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내측 두 면에는 상기 끼움단이 끼워질 끼움홈이 하면측은 개방된 채로 형성되고, 상면과 내측 두 면이 맞닿는 경계부위에 뗀 홈이 형성되고, 상기 뗀 홈의 바닥에 상기 광학 부재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받침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에 안착된 광학 부재의 측면과 상기 발광부의 상면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KR1020100103255A 2010-10-22 2010-10-22 광학부재 가이드가 적용된 엘이디 면 발광 조명 장치 KR101193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255A KR101193503B1 (ko) 2010-10-22 2010-10-22 광학부재 가이드가 적용된 엘이디 면 발광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255A KR101193503B1 (ko) 2010-10-22 2010-10-22 광학부재 가이드가 적용된 엘이디 면 발광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873A KR20120041873A (ko) 2012-05-03
KR101193503B1 true KR101193503B1 (ko) 2012-10-22

Family

ID=46262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255A KR101193503B1 (ko) 2010-10-22 2010-10-22 광학부재 가이드가 적용된 엘이디 면 발광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5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731A (ko) 2018-12-21 2019-10-02 주식회사 린피니티 반사 타입 면 발광 조명
KR20220111596A (ko)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린피니티 형압 성형으로 성형된 종이 반사시트를 갖는 무도광판 면 발광 조명
KR20220111594A (ko)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린피니티 집광 장치를 활용한 무도광판 면 발광 장치
KR20220111595A (ko)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린피니티 굴절 반사 구조를 활용한 무도광판 면 발광 장치
KR20230023497A (ko) 2021-08-10 2023-02-17 주식회사 린피니티 집광 장치를 활용한 무도광판 면 발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406B1 (ko) * 2018-12-20 2019-07-15 (주)쓰리씨라이팅인더스 엣지타입 엘이디 조명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772B1 (ko) * 2007-09-06 2009-01-21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면 발광장치
JP2009129707A (ja) 2007-11-22 2009-06-11 Sony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772B1 (ko) * 2007-09-06 2009-01-21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면 발광장치
JP2009129707A (ja) 2007-11-22 2009-06-11 Sony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731A (ko) 2018-12-21 2019-10-02 주식회사 린피니티 반사 타입 면 발광 조명
KR20220111596A (ko)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린피니티 형압 성형으로 성형된 종이 반사시트를 갖는 무도광판 면 발광 조명
KR20220111594A (ko)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린피니티 집광 장치를 활용한 무도광판 면 발광 장치
KR20220111595A (ko)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린피니티 굴절 반사 구조를 활용한 무도광판 면 발광 장치
KR20230023497A (ko) 2021-08-10 2023-02-17 주식회사 린피니티 집광 장치를 활용한 무도광판 면 발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873A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9248B2 (ja) 照明装置
JP6276495B2 (ja) 照明装置
KR101193503B1 (ko) 광학부재 가이드가 적용된 엘이디 면 발광 조명 장치
TWI417605B (zh) 液晶顯示裝置
JP4492472B2 (ja) 照明器具
JP2008218238A (ja) 照明器具
JP6055607B2 (ja) 照明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6062180B2 (ja) 照明装置
TW201426129A (zh) 液晶顯示裝置
JP6585695B2 (ja) 照明装置
KR101182799B1 (ko) 광 확산 가이드 프레임 및 이를 갖는 엘이디 면 발광 조명장치
KR101848801B1 (ko) 조명 장치
KR101652783B1 (ko) 조명 장치
JP6315757B2 (ja) 照明器具
KR100971706B1 (ko)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면 조명장치
KR101047441B1 (ko) 조명 장치
US20190301719A1 (en) Lighting device
KR101652816B1 (ko) 조명 장치
KR101054839B1 (ko) 조명 장치
KR101652813B1 (ko) 조명 장치
JP6687716B2 (ja) 照明装置
JP6942216B2 (ja) 照明装置
KR101812320B1 (ko) 조명 장치
KR101824150B1 (ko) 조명 장치
KR20130095051A (ko) 광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