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274B1 - 스마트 티비 컨트롤 시스템 및 조작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티비 컨트롤 시스템 및 조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274B1
KR101193274B1 KR1020100109212A KR20100109212A KR101193274B1 KR 101193274 B1 KR101193274 B1 KR 101193274B1 KR 1020100109212 A KR1020100109212 A KR 1020100109212A KR 20100109212 A KR20100109212 A KR 20100109212A KR 101193274 B1 KR101193274 B1 KR 101193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mobile device
signal
scree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7565A (ko
Inventor
김성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9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2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47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 및 조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이용하여 스마트 티비(Smart TV)를 컨트롤 하되 스마트 티비의 선택메뉴와 각종 선택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지속적으로 전송하여,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는 스마트 티비의 선택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간단하게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쌍방향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 및 조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티비 컨트롤 시스템 및 조작 방법{Smart TV contro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 및 조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이용하여 스마트 티비(Smart TV)를 컨트롤 하되 스마트 티비의 선택메뉴와 각종 선택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지속적으로 전송하여,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는 스마트 티비의 선택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간단하게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쌍방향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 및 조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소정의 영상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영상매체인 텔레비젼은 다양한 켄텐츠를 제공하며, 많은 사람들을 이의 사용자로 끌어들이고 있다.
한편, 소정의 영상정보를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방법 이외에도 마그네틱 테이프에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볼 수 있는 VCR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현재, 상기 텔레비젼과 VCR의 장점을 합친 디지털 텔레비젼이 보급되고 있다.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은 마그네틱 테이프에 영상 신호를 담아 두는 VCR과 달리 하드디스크에 기억시키는 신개념의 디지털 레코더. 셋톱박스나 TV본체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를 내장해 VCR 없이도 HDD용량에 따라 일정시간 분량의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는 차세대 녹화기기이다.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은 하드디스크로 정보를 기록하고, PC와 같은 파일재생 방식으로 재생한다.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의 내부에는 재생을 위한 중앙처리장치(CPU)와 함께 운영체제(OS)와 재생소프트웨어 등을 담은 메모리칩(ROM), 대용량의 하드디스크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은 기본적인 기능에서는 방송국에서 내보내는 프로그램을 저장했다가 본다는 점에서는 기존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와는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은 테이프를 쓰지 않고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테이프 관리가 필요 없고 원하는 부분을 찾거나 편집하는게 손쉽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은 전화선과 연결돼 최신 방송스케줄을 수시로 전송받아 예약녹화에 활용할 수 있으며, 예약녹화 절차는 화면상에서 방송목록을 선택하는 것이 전부일 만큼 간단하다.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녹화할 수 있고 생방송을 보다가 순간적으로 정지시키거나 수초~수분 전 장면부터 반복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리플레이(replay) 기능을 기본으로 지원하며, 방송 서비스업체와 연계해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방송청취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디지털 텔레비젼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제어동작을 요구하기 때문에 복잡한 키조작이 많다.
도 1은 종래의 리모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모콘은 숫자버튼과 메뉴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디지털 텔레비젼의 다양한 제어동작에 상응하기 위해서, 상기 메뉴버튼을 여러 번 눌러 기능설정을 해야 한다.
특히, 디지털 텔레비젼은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제어가 요구되기 때문에 복잡한 버튼누름은 사용자가 디지털 텔레비젼 기능을 용이하게 조작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한다.
즉, 최근의 디지털 텔레비젼(스마트 티비, Smart TV)은 텔레비젼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리모컨의 이용으로는 한계가 있어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젼의 경우 정해진 정규 방송만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되는 정보가 제공되므로 추가로 제공되는 정보의 선택도 용이하도록 리모컨이 구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 티비(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제공되는 메뉴(업그레이드 정보 포함)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사용자는 터치패드 또는 커서의 이동방식(모바일 디바이스에 마우스 수단 구비)으로 간단하게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 및 조작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티비(smart TV)와 상기 스마트 티비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입력신호 처리부;와,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티비에서 티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수신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스마트 티비에 수신되는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를 포함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는 티비정보 처리부;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티비정보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티비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티비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이에 따라 스마트 티비를 제어하는 티비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를 구비하는 쌍방향 스마트 티비 컨트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티비(smart TV)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입력신호 처리부;와,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티비에서 티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수신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에 의해 컨트롤되는 스마트 티비(smart TV) 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티비에 수신되는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를 포함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는 티비정보 처리부;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티비정보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티비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티비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이에 따라 스마트 티비를 제어하는 티비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도 제공한다.
여기서, 스마트 티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된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형식이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입력부로 터치패드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스마트 티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된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후 터치패드 방식으로 입력부를 조작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 티비에서 업그레이드된 티비 신호를 수신한 후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사항을 업그레이드해주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듀얼화면 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듀얼화면 선택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티비 정보 및 스마트 티비 메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만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스마트 티비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티비정보 처리부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 티비에 수신되는 티비 정보신호는 업그레이드되고,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는 업그레이드된 티비 정보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스마트 티비(smart TV)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이용 한 스마트 티비 조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자체 메뉴 또는 기능을 선택하여 스마트 티비 컨트롤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가 발생시킨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입력신호 처리부가 처리한 후 신호 송수신부에 의해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상기 스마트 티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된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입력부를 조작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선택하여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인 스마트 티비 컨트롤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스마트 티비의 제어를 위한 메뉴 및 신규 정보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되어 터치패드 또는 커서의 이동방식으로 간단하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복잡하고 개수가 많은 메뉴를 구비하는 스마트 티비의 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선택 메뉴 및 정보가 추가되는 스마트 티비의 정보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해주므로 메뉴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메뉴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리모컨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비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사용을 위한 메인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메인화면에서 찾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메인화면에서 스트림제어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메인화면에서 방송안내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메인화면에서 다시보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스마트 티비(smart TV)와 이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100)와 스마트 티비(Smart TV, 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다시 입력신호 처리부(110), 신호 송수신부(120), 수신신호 처리부(130)를 포함하고, 스마트 티비(200)는 티비정보 처리부(210), 티비신호 송수신부(220), 티비신호 처리부(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는 듀얼화면 선택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노트북(NotePC), 스마트폰(smart phone), 일반 휴대폰, PMP, 인터넷 전화, TV 리모콘(TV remote controller)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시되지 않은 것이더라도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무선송수신부를 구비한 단말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용 TV 리모컨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자체 메뉴 또는 기능을 선택하여 스마트 티비 컨트롤 모드로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해야 한다. 가령, 스마트 폰의 경우는 별도의 티비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이 해당할 수 있으며, 일반 휴대폰, 인터넷 전화, PMP 등은 자체적으로 구비된 기능에 티비 컨트롤 메뉴를 구비하는 방식이다.
또한, 스마트 티비(200)는 최근 각광받는 디지털 텔레비젼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내부 메뉴 등이 디지털 방식으로 저장되어 텔레비젼에 구비된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것이면 활용이 가능하다. 물론, 아날로그 티비라도 별도로 제공되는 디지털 방식의 셋탑 박스와 연결되어 셋탑 박스에서 아날로그 티비로 신호 변환이 가능한 것이라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셋탑 박스와 연동하여 활용하는 방식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스마트 티비(2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성을 상술하도록 한다.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110)는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스마트 티비(200)로 전송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입력부(111)는 터치패드스크린, 버튼 입력방식, 마우스 수단 등 다양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방식이 혼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커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터치패드스크린 방식이나 마우스 수단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스마트 티비의 경우는 티비를 조작하는 메뉴가 매우 많아서 도 1에 도시된 종래 리모컨을 이용한 버튼 방식의 조작으로는 메뉴의 선택이 복잡하고 까다로울 수 있으므로, 복잡한 메뉴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간단한 표 형식(예시임)으로 정리하여 화면의 터치 또는 커서의 이동을 통해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입력부(111)로 터치패드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 티비(20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된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후 터치패드 방식으로 입력부를 조작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 송수신부(120)는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110)로부터 제공받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스마트 티비(200)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티비(200)에서 인출되는 티비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즉, 신호 송수신부(120)는 무선통신수단에 해당하며, 이는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스마트 티비(200)에는 여러 무선통신수단 중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것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동일한 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 수신신호 처리부(130)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장치이다. 티비 신호는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스마트 티비에 콘텐츠(contents)를 제공하는 업체에서 프레임(Frame)을 구성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스마트 티비 메뉴와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티비 정보신호(각종 광고, 홈쇼핑 정보, 최근 인기 영화 등 소비자의 클릭을 유도하는 각종 정보를 포함)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티비 신호는 콘텐츠 제공 업체마다 상이한 메뉴 프레임 및 티비 정보신호를 포함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신신호 처리부(130)에는 각 콘텐츠 제공 업체별로 구비된 프레임의 형식을 본 발명인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메뉴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메뉴 프레임을 설정(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비된 기능 선택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변경이 가능함)한 후, 각 콘텐츠 제공 업체에서 제공하는 메뉴 프레임을 본 발명인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메뉴 프레임으로 변환처리하는 장치로 수신신호 처리부(130)를 구비한다. 물론, 수신신호 처리부(130)는 미리 다양한 콘텐츠 제공 업체의 메뉴 프레임 및 티비 정보신호와 관련한 데이터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메뉴 프레임과 관련한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물론, 특정 콘텐츠 업체의 전용 리모컨인 경우에는 해당 업체의 메뉴 프레임만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업체에서 제공되어 상기 스마트 티비(200)에 수신되는 티비 정보신호는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고,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220)는 업그레이드된 티비 정보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업그레이드된 티비 신호를 수신한 후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사항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해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은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듀얼화면 선택부(14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티비 정보 및 스마트 티비 메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만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스마트 티비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게 형성되도록 선택하는 수단이다. 즉, 스마트 티비(200)의 화면에서 특정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조작하게 되면 통상 티비의 화면에도 메뉴 프레임이 나타나고 특정 기능의 선택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특정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는 리모컨의 화면에만 메뉴 프레임이 나오는 것으로 충분히 조작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티비정보 처리부(210)는 콘텐츠 업체에서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 티비에 수신되는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로 구성된 티비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으로, 수신된 티비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기 좋은 형태로 처리하게 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수신신호 처리부(130)는 미리 다양한 콘텐츠 제공 업체의 메뉴 프레임 및 티비 정보신호와 관련한 데이터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메뉴 프레임과 관련한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티비정보 처리부(210)에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수신신호 처리부(130)에 구비된 콘텐츠 제공 업체의 메뉴 프레임 및 티비 정보신호에 상응하게 티비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물론, 별도의 처리 없이 단순히 신호화하여 전송하여 수신신호 처리부(130)에서 한꺼번에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22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인출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티비정보 처리부(210)로부터 제공받는 티비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즉, 티비신호 송수신부(220)는 무선통신수단에 해당하며, 이는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는 여러 무선통신수단 중 스마트 비티(200)에 구비된 것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동일한 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 티비신호 처리부(230)는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티비(20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스마트 티비(200)의 제어는 화면설정, 채널변경 등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적용 가능 기능에는 제한이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비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활용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사용을 위한 메인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메인화면에서 찾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메인화면에서 스트림제어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메인화면에서 방송안내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메인화면에서 다시보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스마트 티비(smart TV)와 이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조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티비의 조작을 위해, 먼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자체 메뉴 또는 기능을 선택하여 스마트 티비 컨트롤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S10). 물론, 전용 티비 리모컨인 경우에는 본 과정은 불필요하나 본 발명에서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도 상정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본 단계를 거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S20). 사용자가 발생시킨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입력신호 처리부가 처리한 후 신호 송수신부에 의해 스마트 티비로 전송되고, 전송된 제어신호를 티비신호 송수신부가 수신한 후 티비신호 처리부에서 신호를 처리한 후 스마트 티비를 제어하게 된다(S30).
이 과정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티비신호 송수신부에 의해 상기 스마트 티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된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입력부를 조작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선택하여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패드스크린인 것이 바람직하며 커서를 이동하여 조작이 가능한 마우스 수단도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활용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도시된 메뉴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보듯이 메뉴 프레임은 전체적으로 기본메뉴, 기본제어, 찾기, 스트림 제어, 방송 안내, VOD재생, 다시보기, 홈쇼핑, 도움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중간 부분에 커서가 위치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커서를 이동하여 찾기 메뉴을 선택한 것으로(선택은 터치패드스크린, 마우스 수단 등 다양한 방식 이용 가능), 찾기 항목(타이틀, 배우, 감독, 전체찾기)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으며, 항목에 검색을 원하는 키워드를 설정하면 콘텐츠 제공업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항목의 검색이 가능하다.
도 6은 커서를 이동하여 스트림 제어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스트림 제어는 현재 디지털 티비에서 재생되는 영화 등의 화면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리플레이, 스탑, 앞으로 감기, 뒤로감기, 녹화 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커서를 이동하여 방송안내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전송될 방송이 시간대별로 정리되어 화면에 표시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각 방송을 선택하여 예약, 녹화 등 기능 사용이 가능하다.
도 8은 커서를 이동하여 다시보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으로 공중파와 케이블로 상위 항목이 분할되어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물론, 공중파, 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하위 메뉴를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모바일 디바이스
110 : 입력신호 처리부
111 : 입력부
120 : 신호 송수신부
130 : 수신신호 처리부
200 : 스마트 티비
210 : 티비정보 처리부
220 : 티비신호 송수신부
230 : 티비신호 처리부

Claims (9)

  1. 스마트 티비(smart TV)와 상기 스마트 티비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포함하는 쌍방향 스마트 티비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입력신호 처리부;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티비에서 티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수신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스마트 티비에 수신되는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를 포함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는 티비정보 처리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티비정보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티비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티비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이에 따라 스마트 티비를 제어하는 티비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를 구비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듀얼화면 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듀얼화면 선택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티비 정보 및 스마트 티비 메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만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스마트 티비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쌍방향 스마트 티비 컨트롤 시스템.
  2. 스마트 티비(smart TV)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입력신호 처리부;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티비에서 티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수신신호 처리부; 및
    선택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티비 정보 및 스마트 티비 메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만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스마트 티비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듀얼화면 선택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에 의해 컨트롤되는 스마트 티비(smart TV) 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티비에 수신되는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를 포함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는 티비정보 처리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티비정보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티비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티비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이에 따라 스마트 티비를 제어하는 티비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듀얼화면 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듀얼화면 선택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티비 정보 및 스마트 티비 메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만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스마트 티비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스마트 티비.
  4. 스마트 티비(smart TV)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입력신호 처리부;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티비에서 티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수신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티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된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형식이며,
    선택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티비 정보 및 스마트 티비 메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스마트 티비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듀얼화면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입력부로 터치패드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스마트 티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된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후 터치패드 방식으로 입력부를 조작 가능하게 형성된 모바일 디바이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 티비에서 업그레이드된 티비 신호를 수신한 후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사항을 업그레이드해주는 방식인 모바일 디바이스.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티비정보 처리부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 티비에 수신되는 티비 정보신호는 업그레이드되고,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는 업그레이드된 티비 정보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스마트 티비.
  9. 스마트 티비(smart TV)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이용한 스마트 티비 컨트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자체 메뉴 또는 기능을 선택하여 스마트 티비 컨트롤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가 발생시킨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입력신호 처리부가 처리한 후 신호 송수신부에 의해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상기 스마트 티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된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입력부를 조작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선택하여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듀얼화면 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듀얼화면 선택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티비 정보 및 스마트 티비 메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만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스마트 티비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스마트 티비 컨트롤 방법.
KR1020100109212A 2010-11-04 2010-11-04 스마트 티비 컨트롤 시스템 및 조작 방법 KR101193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212A KR101193274B1 (ko) 2010-11-04 2010-11-04 스마트 티비 컨트롤 시스템 및 조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212A KR101193274B1 (ko) 2010-11-04 2010-11-04 스마트 티비 컨트롤 시스템 및 조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565A KR20120047565A (ko) 2012-05-14
KR101193274B1 true KR101193274B1 (ko) 2012-10-19

Family

ID=4626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212A KR101193274B1 (ko) 2010-11-04 2010-11-04 스마트 티비 컨트롤 시스템 및 조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2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565A (ko) 201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9837B2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connected devices
US92322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ustomized program lineup
KR102023609B1 (ko) 컨텐트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US8429696B2 (en) Multimedia presentation resumption within an environment of multiple presentation systems
US10341711B2 (en) Remote controller device with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and video display
US8554884B2 (en) Setting and modifying method of user operating interface for use in digital audio/video playback system
US11516529B2 (en) Control system for playing a data stream on a receiving device
US20100023599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performing content display control, control method, and video display system
CN101690211A (zh) 个人化交互媒体指南应用程序的系统和方法
US20120194741A1 (en) Display apparatus connected with at least one device via integrated wire interfa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7497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80020259A1 (en) Display device
KR20130081182A (ko)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KR20120023420A (ko) 컨텐츠 전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A2769468C (en) Multi-user recording allocation
KR1021473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8561111B2 (en) Video processor, television display device, and video processing method
KR101990866B1 (ko)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193274B1 (ko) 스마트 티비 컨트롤 시스템 및 조작 방법
US20090013355A1 (en) Broadcast scheduling method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2494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196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436088Y1 (ko) 맞춤형 멀티미디어 데이터 동기화 기능을 구비하는셋탑박스
KR20100009352A (ko) 아이피 방송 수신기에서의 광고 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
KR102141046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