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995B1 -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 - Google Patents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995B1
KR101192995B1 KR1020120027061A KR20120027061A KR101192995B1 KR 101192995 B1 KR101192995 B1 KR 101192995B1 KR 1020120027061 A KR1020120027061 A KR 1020120027061A KR 20120027061 A KR20120027061 A KR 20120027061A KR 101192995 B1 KR101192995 B1 KR 101192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namic pressure
disk
blocking head
flui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섭
송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계명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계명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계명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27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05Closing devices introduced radially into the pipe or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018Pivoting clos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는 관 내로 삽입되어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로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에 관한 것으로, 종래 디스크형 차단 헤드 자체로 동압을 시킬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며 관로 내로 삽입되어 유체의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 및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유체 차단장치의 디스크형 차단 헤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를 중심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측과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측이 연결되도록 디스크형 차단 헤드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동압공과 차단 중에는 상기 동압공을 폐쇄하여 유체의 흐름을 막고, 동압 시에는 상기 동압공을 개방하여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동압공밸브와 일단은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이 되고, 타단은 상기 동압공밸브와 기계적으로 연결이 되어 상기 동압공밸브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동압공밸브 조작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자체적으로 동압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별도의 동압용 분기공을 요하지 않아 작업시간과 충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동압용 분기공을 설치하지 않아 동압용 분기공에서 발생하는 누수 등과 같은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여 하자포인트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Disk type block head with matching the pressure function}
본 발명은 원판 형상의 디스크형 차단 헤드를 이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유체 차단장치의 디스크형 차단 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 내로 삽입되어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로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체 차단장치는 상수도관, 지역난방의 열배관, 송유관, 가스관 등 다양한 관로에서 일부 구간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장치로 통상 차단 헤드라 일컫는 소정의 차단 수단을 관로 내로 삽입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차단 헤드는 통상 다수의 전개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개판이 활개되거나 접히는 형태로 동작을 하여 유체를 차단하는 전개판형 차단 헤드와 원판 형상으로 관로를 수직면으로 밀폐시켜 유체를 차단하는 디스크형 차단 헤도로 구분된다.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는 하나의 원판으로 이루어지는 피봇형 및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 접히는 원판이 접히는 폴딩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유체 차단장치가 이용되는 예를 설명하면, 도 1 기존 단수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상수도관과 같은 관로의 교체 방법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체 작업 구간이 일부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제수밸브1과 제수밸브2에 의해서만 교체 작업 구간의 제수가 가능함에 따라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체 작업구간 이외에 전체 구간이 단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제수밸브의 간격이 1㎞ ~ 3㎞이므로 단수지역이 상당히 넓게 발생하여 생활의 불편을 겪는 주민이 많아지는 문제점과 생업에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수밸브1 또는 제수밸브2가 노후로 인해 차수가 불량하거나 작동이 불량할 경우 단수지역이 크게 확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수 공법의 경우 관 내의 물을 퇴수 및 충수를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상당히 소요되고 이는 단수 시간의 증가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부단수 차단공법은 도 2 부단수 차단공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체 작업 구간의 차수를 위해 양측에 임시 제수밸브 역할을 하는 유체 차단장치를 설치하여 작업 구간을 확보한다.
즉, 상기 유체 차단장치는 제수밸브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체 작업 구간만 단수가 되고 타지역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부단수 차단공법은 최소 구간만 단수가 되며, 종래 기 설치된 제수밸브와 무관하게 작업이 가능하여 관로의 교체작업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고, 종래 기존의 단수 공법이 갖고 있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와 같은 부단수 차단공법의 예로 "배관용 유체차단기를 이용한 관로 이설방법"이란 발명의 명칭으로 출원(10-2007-0036571)되어, 배관에 밸브체를 설치하고 구멍을 천공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준비단계에서 배관에 설치된 밸브체에 하부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를 이용하여 배관용 유체차단기를 설치하는 설치단계와 상기 설치단계 후 배관내에 차단장치를 안착시키는 안착단계와 상기 안착단계 후 작동유체를 공급하여 차단장치를 작동시켜 유체를 차단하는 차단단계와 상기 차단단계로 유체가 차단된 상태에서 배관을 이설하거나 보수?보강작업단계와 상기 작업단계 후 배관용 유체차단기를 제거하고 천공된 구멍을 밀봉하는 밀봉단계로 이루어지는 부단수 차단공법이 개시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부단수 차단공법을 이용하여 관로를 교체하는 작업 과정을 설명하면, 도 3 부단수 차단공법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을 목적으로 하는 구간의 관로에 통상 핏팅이라 일컫는 할정자관을 설치한다(S1).
상기 할정자관은 주철관인 경우에 사용이 되며, 강관인 경우는 할정자관의 플랜지 부분을 관에 직접 용접하여 결합을 시킨다.
이후, 상기 할정자관의 상측부의 분기부에 샌드위치밸브를 설치한다(S2). 상기 샌드위치밸브는 통상의 게이트밸브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하는 것으로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할정자관의 개방부위를 개폐한다.
이후, 천공장치를 상기 샌드위치밸브에 결합하여 관로에 구멍을 뚫는다(S3). 이와 같은 작업은 유체 차단장치의 차단 헤드를 관로 내로 삽입시키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 차단장치의 차단 헤드의 크기에 따라 필요한 만큼 천공을 한다.
이후, 천공이 완료되면, 샌드위치밸브에 결합된 천공장치를 제거하고, 유체 차단장치를 설치한다(S4).
이후, 상기 관로용 유체 차단장치를 작동시켜 유체를 차단한다(S5).
유체가 차단되어 작업구간이 확보되면, 상기 작업구간 내에서 소정의 관로 작업 예를 들면, 관로 교체, 밸브 교체 및 밸브 신규 설치 및 관로 연결 작업 등과 같은 관로 작업을 시행한다(S6).
이후, 유체 차단장치의 제거를 위해 수압이 작용하는 쪽과 상기 유체 차단장치에 의해 차단되어 수압이 없는 쪽의 압력을 일치시키는 동압 작업을 수행한다(S7).
이후, 동압이 이루어지면 유체 차단장치를 제거하고, 플러깅 작업을 수행한다(S8).
이후, 샌드위치밸브를 제거하고, 상기 플러깅 작업이 이루어진 할정자관에 블라인드커버를 결합하여 마감을 한다(S9)
이와 같은 부단수 차단공법의 경우, 도 4 유체 차단장치의 제거를 위한 동압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차단장치(1) 사이에서 확보된 작업구간의 관로를 비어있는 상태이므로 유체 차단장치의 차단 헤드(2)는 수압을 받게 된다. 따라서, 도 4(a)와 같이 작업구간의 관로가 비어있는 상태 즉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차단 헤드(2)를 동작시킬 수 없기 때문에 차단 헤드(2)를 중심으로 양쪽의 수압을 일치시키기 위한 동압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동압 작업은 비어 있는 상태의 작업 구간 관로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동압용 분기공(3)을 설치하고, 상기 동압용 분기공(3)을 통해 물을 공급하여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구간 관로가 동일한 압력이 되도록 물을 채운다.
상기 도 4(b)와 같이 동압이 이루어지면,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 헤드(2)를 작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차단 헤드(2)를 들어올리고 이후 유체 차단장치(1)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 차단장치(1)의 제거를 위해 차단 헤드(30)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차단 헤드(30)를 기준으로 수압이 작용하는 쪽과 차단 헤드(30)에 의해 차단되어 수압이 없는 쪽의 압력을 일치시키는 동압 작업(S7)을 반드시 수행해야만 하고, 이와 같은 동압 작업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압용 분기공(3)을 수압이 없는 쪽의 관로(작업 구간)에 설치를 하여 수압이 작용하는 쪽의 관로에 연결시켜 물을 공급받거나,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차단장치(1)의 토출구(4)와 연결시켜 물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상기 동압용 분기공(3)은 향후 누수 등 문제를 야기하는 하자포인트가 될 수 있고, 상기 동압용 분기공(3) 설치 및 배관작업을 해야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고, 작업 구간이 거리가 길 경우에는 충수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는 상기와 같은 종래 유체 차단장치의 차단 헤드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별도의 동압용 분기공을 요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동압을 시킬 수 있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충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자포인트인 동압용 분기공이 필요없어 하자포인트를 줄일 수 있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디스크형 차단 헤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는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며 관로 내로 삽입되어 유체의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 및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유체 차단장치의 디스크형 차단 헤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를 중심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측과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측이 연결되도록 디스크형 차단 헤드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동압공; 차단 중에는 상기 동압공을 폐쇄하여 유체의 흐름을 막고, 동압 시에는 상기 동압공을 개방하여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동압공밸브; 및 일단은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이 되고, 타단은 상기 동압공밸브와 기계적으로 연결이 되어 상기 동압공밸브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동압공밸브 조작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는 중심에 위치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양측에 위치하여 회전을 하는 두개의 회전판으로 이루어져 차단시 원판을 이루는 폴딩형으로 상기 동압공은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는 일체된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진 피봇형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압공밸브는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동압공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유입공; 및 상기 유입공을 가로질러 동압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압공밸브 조작수단과 상기 동압공밸브의 개폐수단은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동압공밸브 조작수단에 의해 상기 개폐수단 전진과 후퇴를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통해 자체적으로 동압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동압용 분기공을 요하지 않아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충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압용 분기공을 설치하지 않아 동압용 분기공에서 발생하는 누수 등과 같은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여 하자포인트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 단수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부단수 차단공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부단수 차단공법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유체 차단장치의 제거를 위한 동압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의 동작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의 동압공밸브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5는 본 발명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의 동작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의 동압공밸브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차단장치(1)는 기본적으로 외관을 이루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에 위치하며 관로 내로 삽입되어 유체의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30) 및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원통형상으로 할정자관과 볼트결합을 하기 위한 플랜지를 갖고, 밸브가 결합된 토출구 내지 바이패스를 위한 바이패스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10)는 통상 유체 차단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본체이며 어느 특정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체(10)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부(20)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3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축을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 또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어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20)는 통상 유체 차단장치에서 디스크형 차단 헤드(30)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구동부가 될 수 있으며 어느 특정된 형상과 구조를 갖는 구동부(20)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30)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상기 구동부(20)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관내로 삽입이 되어 유체를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형 차단 헤드(30)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압공(32), 동압공밸브(34) 및 동압공밸브 조작수단(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30)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에 위치하는 고정판(30-1)과 상기 고정판(30-1)의 양측에 위치하여 회전을 하는 두개의 회전판(30-2)으로 이루어져 차단시 원판을 이루는 폴딩형으로 상기 동압공(32)은 상기 고정판(30-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30)는 일체된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진 피봇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폴딩형과 달리 항상 원판형상을 유지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디스크형 차단 헤드(30)는 상기 실시 예로 보인 폴딩형과 피봇형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모든 디스크형 차단 헤드에 적용이 가능하여 상기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동압공(32)은 디스크형 차단 헤드(30)를 중심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측과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측이 연결되도록 디스크형 차단 헤드(3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한다.
즉, 동압공(32)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이 작용하는 측의 유체가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측의 빈공간으로 디스크형 차단 헤드(30)를 통해 유입이 될 수 있도록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동압공밸브(34)는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 중에는 상기 동압공(32)을 폐쇄하여 유체의 흐름을 막고, 동압 시에는 상기 동압공(32)을 개방하여 유체가 흐르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압공밸브(34)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형 차단 헤드(30)에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본체(341)와 상기 밸브본체(341)에 형성되어 상기 동압공(32)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유입공(342) 및 상기 유입공(342)을 가로질러 동압공(32)을 개폐하는 개폐수단(3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개폐수단(343)은 봉형상으로 상기 동압공(32)과 결합하는 일단은 고무패킹과 같은 패킹수단을 부가하고, 타단은 상기 동압공밸브 조작수단(36)과 링크로 연결되어 작동한다.
상기 동압공밸브 조작수단(36)은 상기 도 5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동압공밸브(34)를 조작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단은 상기 본체(10) 외부로 노출이 되고, 타단은 상기 동압공밸브(34)와 기계적으로 연결이 되어 상기 동압공밸브(34)의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동압공밸브 조작수단(36)과 상기 동압공밸브(34)의 개폐수단(343)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동압공밸브 조작수단(36)에 의해 상기 개폐수단(343) 상기 동압공(32)을 향하여 전진과 후퇴를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7을 통해 본 발명 본 발명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의 동압을 위한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도 6의 차단 시와 같이 동압공밸브(34)가 닫힌 상태에서 동압을 위해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압공밸브 조작수단(36)에 의해 개폐수단(343)이 후퇴를 하게 되면, 유체는 유입공(342)을 통해 유입되어 동압공(32)을 통해 압력이 없는 반대쪽 빈 공간으로 유입이 되고, 상기 빈 공간에 유체가 완전히 유입이 되면, 디스크형 차단 헤드(30)를 기준으로 양쪽의 압력이 동일하게 되어 동압이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유체 차단장치
3 : 동압용 분기공
4 : 토출구
10 : 본체
20 : 구동부
30 : 디스크형 차단 헤드
32 : 동압공
34 : 동압공밸브
36 : 동압공밸브 조작부
341 : 밸브본체
342 : 유입공
343 : 개폐수단

Claims (5)

  1.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며 관로 내로 삽입되어 유체의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 및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유체 차단장치의 디스크형 차단 헤드로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를 중심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측과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측이 연결되도록 디스크형 차단 헤드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동압공; 차단 중에는 상기 동압공을 폐쇄하여 유체의 흐름을 막고, 동압 시에는 상기 동압공을 개방하여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동압공밸브; 및 일단은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이 되고, 타단은 상기 동압공밸브와 기계적으로 연결이 되어 상기 동압공밸브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동압공밸브 조작수단;을 더 포함하는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에 있어서,
    상기 동압공밸브는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동압공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유입공; 및 상기 유입공을 가로질러 동압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는
    중심에 위치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양측에 위치하여 회전을 하는 두개의 회전판으로 이루어져 차단시 원판을 이루는 폴딩형으로 상기 동압공은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차단 헤드는
    일체된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진 피봇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압공밸브 조작수단과 상기 동압공밸브의 개폐수단은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동압공밸브 조작수단에 의해 상기 개폐수단 전진과 후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
KR1020120027061A 2012-03-16 2012-03-16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 KR101192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061A KR101192995B1 (ko) 2012-03-16 2012-03-16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061A KR101192995B1 (ko) 2012-03-16 2012-03-16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2995B1 true KR101192995B1 (ko) 2012-10-18

Family

ID=4728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061A KR101192995B1 (ko) 2012-03-16 2012-03-16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9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495B1 (ko) * 2013-07-09 2014-03-06 진원개발 주식회사 배관 라인 스토핑 장치
KR102136142B1 (ko) * 2020-03-13 2020-07-21 최상호 관통형 배수펌프 및 이를 이용한 유체배관 내의 유체 배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729B1 (ko) * 2010-03-12 2011-08-3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차단용 이중 플러깅 헤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729B1 (ko) * 2010-03-12 2011-08-3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차단용 이중 플러깅 헤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495B1 (ko) * 2013-07-09 2014-03-06 진원개발 주식회사 배관 라인 스토핑 장치
KR102136142B1 (ko) * 2020-03-13 2020-07-21 최상호 관통형 배수펌프 및 이를 이용한 유체배관 내의 유체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12758B (zh) 一种不停输膨胀式管道封堵装置
CN107178373B (zh) 一种基于盾构机铰接密封结构损坏的漏浆修复方法
CN108166993B (zh) 一种适用于壁后注浆的便捷式注浆套管装置及使用方法
KR200399091Y1 (ko) 배관 차단용 핏팅
KR101192995B1 (ko) 동압 기능을 갖는 디스크형 차단 헤드
KR101436528B1 (ko) 유체 차단 장치를 이용한 부단수 분기 공법
KR101026625B1 (ko) 부단수차단식 바이패스수단에 의한 관개량공사 시공공법
JP4938479B2 (ja) ガス配管のガス遮断方法
CN107588280A (zh) 天然气管道膨胀筒式不停输带压封堵方法
CN206867815U (zh) 一种双通道y型过滤器结构
US10557252B2 (en) Fire hydrant val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ater flow in a fire hydrant conduit
KR101219189B1 (ko) 배관차단용 핏팅 플러그의 설치구조
CN207332828U (zh) 一种用于页岩气井水力喷射泵排采的井口装置
CN212296278U (zh) 流体固相捕捉及流体节流装置
CN109578741A (zh) 一种基于运行管道的漏水处理方法
KR100922845B1 (ko) 다회 반전을 위한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지중 매설상하수도관의 비굴착장치
KR100964629B1 (ko) 유체관 라인 스토핑 장치
KR20170101348A (ko) 부단수 차단 디스크형 헤드
US20170182524A1 (en) Apparatus for removing chips from interior of pipe using pressure difference
KR20190010351A (ko)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쇄기형 부단수 차단 시스템
KR101399523B1 (ko) 유체 차단 장치를 이용한 부단수 분기 공법용 장치 설치구
CN210098441U (zh) 一种泵管清洗结构
CN103115191B (zh) 非注胶式高压泄漏点带压堵漏装置
KR101199002B1 (ko) 부단수 모듈 장치
CN207485421U (zh) 双段式顶底板围岩破坏范围观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