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854B1 - 풍력 발전용 수직 풍차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용 수직 풍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854B1
KR101192854B1 KR20100008527A KR20100008527A KR101192854B1 KR 101192854 B1 KR101192854 B1 KR 101192854B1 KR 20100008527 A KR20100008527 A KR 20100008527A KR 20100008527 A KR20100008527 A KR 20100008527A KR 101192854 B1 KR101192854 B1 KR 101192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generating member
rotation
drag
mai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08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828A (ko
Inventor
서형우
류민웅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서형우
(주)엔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형우, (주)엔티시 filed Critical 서형우
Priority to KR20100008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854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용 수직풍차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회전축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에어포일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와, 회전축에 대향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측면에, 블레이드 외부로 돌출되는 제 1위치와 블레이드 내부로 인입되는 제 2위치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항력발생부재와, 회전축의 저속 회전 시 항력발생부재를 상기 제 1위치로 이동시키고, 회전축의 고속 회전 시 항력발생부재를 제 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회전축의 회전시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기구의 운동을 항력발생부재의 상기 제 1 및 제 2위치 사이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용 수직풍차는 저속에서 구동을 위한 항력을 증가시키고, 고속에서 회전에 양력이 작용하는 블레이드의 공력특성을 향상시켜 저속과 고속에서의 회전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속에서 양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발전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풍력 발전용 수직 풍차{vertical axis wind turbine}
본 발명은 수직 풍차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풍력 발전기의 초기 구동 시 항력을 증가시켜 기동력을 증가시키고, 고속 회전 시 항력을 줄일 수 있는 풍력 발전용 수직 풍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차는 자연바람으로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것을 기어기구 등을 이용하여 속도를 높여 발전기를 돌리게 됨으로써 전기적인 발전으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풍력 발전을 위한 풍차는 네덜란드형 풍차로 대표되는 것으로 바람에 대해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어 있는 수평축형 풍차와, 바람에 대해 회전축이 수직으로 되어 있는 수직축형 풍차가 알려져 있다.
이 중 수직축형 풍차에는 패들형이나 사보니우스형 등과 같이 블레이드에 발생되는 항력으로 풍차를 회전시키는 항력형과, 다리우스형이나 자이로밀형 등과 같이 블레이드에 발생되는 양력으로 풍차를 회전시키는 양력형이 알려져 있다.
즉, 전자는 불어 올리는 측을 향하는 블레이드의 저항을 작게 하여 항력차에 의해 풍차를 회전시키는 데 반해, 후자는 블레이드에 발생되는 양력에 의해 풍차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직축형인 전자(항력형)의 경우, 주속비(블레이드의 에어 포일 단부 속도/풍속)가 1이 되면 풍차를 그 이상으로 회전시키는 모멘트가 발생되지 않아, 풍속이 올라가도 그 이상의 회전수를 얻을 수도 없고 발전 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후자(양력형)의 경우 주속비가 1 이상에서는, 풍차의 공력 특성이 좋아져 풍차를 효율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주속비가 1 이하에서는 풍차의 공력 특성이 나빠져 풍차를 회전시키는 모멘트가 작아진다. 또한, 기동 모멘트가 작아 정지 상태로부터의 기동이 매우 곤란해지는 결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0637297호에는 풍력 발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풍력 발전장치는 수직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 내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각도마다 복수의 블레이드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는 낮은 레이놀즈 수로 높은 양력 계수를 갖는 에어 포일형이며, 상기 에어 포일 하면의 후연부에 절결부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풍력 발전장치는 바람이 부는 방향에 대한 항력이 상대적으로 약하여 낮은 풍속에서 구동을 위한 항력이 낮아 저속의 바람에서 구동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풍력 발전기는 전방에서 작용하는 항력과 후방에서 작용하는 항력의 차이를 주어 저속에서 기동성을 향상시키고 있다.그러나 이 풍력 발전용 풍차는 고속에서 블레이드의 면적 감소로 인하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9-0101513호에는 수직축형 풍차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수직축형 풍차는 수직 회전축과 직교하는 면 내에서, 상기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등각도 간격으로 복수 개의 블레이드(blade)가 설치된 수직축형 풍차로서, 상기 블레이드는 1.0 이상의 양력(揚力) 계수를 가지는 유선형의 날개형이며, 상기 블레이드의 배면에 전단부가 축 지지되고, 후단부는 상기 블레이드에 대하여 개폐되는 개폐 부재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속도와 풍속의 비에 따라 상기 개폐 부재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수직축형 풍차는 개폐부재를 개폐동작시키기 위한 개폐제어수단이 날개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구조가 복잡하다. 상대적으로 구조가 복잡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초기 구동 시 항력을 증가시켜 초기 구동력을 향상시키고, 고속회전 시 항력을 감소시켜 풍력에 의한 구동력을 높일 수 있는 풍력 발전용 수직 풍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의 회전수의 증가로 향상된 원심력에 의해 항력발생깃을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는 풍력 발전용 수직 풍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용 수직풍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에어포일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에 대향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측면에, 상기 블레이드 외부로 돌출되는 제 1위치와 상기 블레이드 내부로 인입되는 제 2위치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항력발생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저속 회전 시 상기 항력발생부재를 상기 제 1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축의 고속 회전 시 상기 항력발생부재를 상기 제 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기구의 운동을 상기 항력발생부재의 상기 제 1 및 제 2위치 사이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메인링크와, 상기 메인링크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메인링크를 회동시키는 웨이트부재와,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링크에 발생된 회전력의 회전방향을 변환할 수 있게 일단부에 상기 메인링크의 타단부가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서브링크와, 상기 서브링크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 1 및 제 2위치 사이의 상기 항력발생부재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게 상기 서브링크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항력발생부재가 설치된 구속로드와, 상기 메인링크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링크를 초기 설치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링크 및 서브링크는 상기 블레이드의 내벽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내벽면에 의해 회동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각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에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제 1 및 제 2위치 사이로 상기 항력발생부재가 이동할 수 있게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항력발생부재를 가이드할 수 있게 상기 관통구의 가장자리에, 상기 블레이드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용 수직풍차는 저속에서 구동을 위한 항력을 증가시키고, 고속에서 회전에 양력이 작용하는 블레이드의 공력특성을 향상시켜 저속과 고속에서의 회전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속에서 양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발전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용 수직풍차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풍력발전용 수직풍차의 구동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풍력발전용 수직풍차의 구동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풍력발전용 수직풍차의 고속 회전시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용 수직풍차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용 수직풍차(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풍력발전용 수직풍차(10)는 첨탑, 건물, 별도의 지주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프레임(20)과, 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30)과, 회전축(3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블레이드(40)와, 블레이드(4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 1위치와 블레이드(40) 내부로 인입되는 제 2위치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항력발생부재(50)와, 항력발생부재(5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60)를 구비한다.
회전축(3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하단이 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블레이드(40)는 회전축(3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설치되며, 단면이 항공기의 날개 단면과 같은 에어포일형으로 형성된다. 즉, 블레이드(40)는 내부에 소정의 설치공간(43)이 마련된 본체부(42)와, 상기 본체부(42)의 전면에 형성되는 엣지부(44) 및 본체부(42)의 후단부에 위치되는 테일부(45)를 구비한다.
블레이드(40)는 회전축(30)에 대해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게 다수의 지지바(41)를 구비한다.
지지바(41)는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환봉형으로 형성된며, 양단이 각각 회전축(30)의 외주면과, 회전축(30)에 대향되는 블레이드(40)의 측면에 고정된다. 지지바들(41)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의 블레이드(40)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블레이드(40)의 회전축(30)에 대향되는 측면에는 항력발생부재(50)가 블레이드(4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 1위치와, 블레이드(40)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 2위치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상하방향으로 관통구(46)가 형성된다.
이때, 관통구(46)는 항력발생부재(50)가 테일부(45)에 인접된 위치에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게, 블레이드(40)의 테일부(45)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구(46)에 대응되는 위치의 블레이드(40) 내부에는 블레이드(40)의 내부로 슬라이딩되는 항력발생부재(50)를 가이드할 수 있게 가이드부재(47)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47)는 관통구(46)의 가장자리를 따라 블레이드(40)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항력발생부재(50)의 설치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력발생부재(50)는 관통구(46)를 통하여 초기 구동시와 같이 회전축(30)의 저속 회전시 블레이드(40)의 외부로 인출되고, 회전축(30)의 주 회전 시 즉, 주속비가 1 이상의 회전시에 관통구(46)를 통하여 인입된다.
항력발생부재(50)는 단면이 판형 또는 에어포일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또한, 블레이드(40)의 측면에 대한 항력발생부재(50)의 설치각도는 10도 내지 80도를 유지할 수 있으나, 55도 내지 65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항력발생부재(50)의 인출길이는 블레이드(40)에 대한 항력발생부재(50)의 설치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6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60)는 본체부(42)의 설치공간(43) 내에 설치되어 항력발생부재(50)를 관통구(46)를 통하여 제 1위치로 인출시키거나, 제 2위치로 인입시킬 수 있게 회전축(3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링크의 회전운동을 항력발생부재(50)의 제 1 및 제 2위치 사이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구동부(60)는 본체부(42)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메인링크(61)와, 메인링크(61)의 일단부에 설치된 웨이트부재(62)와, 본체부(42)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메인링크(61)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서브링크(63)와, 서브링크(63)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부에 항력발생부재(50)가 설치된 구속로드(64)와, 메인링크(61)의 회전축(30)에 설치되어 메인링크(61)를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65)를 구비한다.
메인링크(6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바형으로 형성되며, 메인링크(61)의 중심부는 회전축(30)에 대응되는 블레이드(40) 내부의 내벽면에 형성된 메인브라켓(66)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링크(61)의 타단의 상면 및 하면에는 후술되는 서브링크(63)의 일단부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게 각각 제 1결합핀(67)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링크(61)는 원심력에 의해 회동 시, 블레이드(40)의 내벽면에 의해 회동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메인링크(61)의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이트부재(62)는 메인링크(61)의 일단에 고정되며, 회전축(30)의 회전시 웨이트부재(62)의 자중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한다. 이때, 메인링크(61)는 웨이트부재(62)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회동한다.
서브링크(6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브링크(63)의 중심부는 메인브라켓(66)에 대해 테일부(45)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블레이드(40)의 내벽면에 형성된 서브브라켓(6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서브링크(63)의 일단부에는 제 1결합핀(67)이 삽입되어, 메인링크(61)의 타단부가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서브링크(63)의 길이방향으로 제 1슬라이딩홈(6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서브링크(63)의 타단부에는 구속로드(64)가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후술되는 구속로드(64)의 제 2결합핀(69)이 삽입될 수 있게 서브링크(63)의 길이방향으로 제 2슬라이딩홈(63b)이 형성되어 있다.
서브링크(63)는 메인링크(61)에 의해 회동시 블레이드(40) 내벽면에 의해 회동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서브링크(63)의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게 형성된다.
한편, 서브링크(63)는 메인링크(6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된 제 1결합핀(67)을 용이하게 구속할 수 있게 메인링크(61)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속로드(64)는 소정 두께를 갖는 바형으로 형성되며, 일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 2슬라이딩홈(63b)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결합핀(69)이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구속로드(64)의 타단부에는 고정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항력발생부재(50)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탄성부재(65)는 메인링크(61)의 회전축(30)에 설치되어 메인링크(61)가 초기위치로 회동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킨다. 탄성부재(65)는 용이하게 메인링크(6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토션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65)의 코일부는 메인링크(61)의 회전축(30)에 감기도록 형성되며, 탄성부재(65)의 일단은 메인링크(61)에 고정되며, 타단은 메인브라켓(66)에 고정되어 있다. 탄성부재(65)는 메인링크(61)의 일단부가 블레이드(40)의 내벽면에 인접하도록 메인링크(61)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한편, 구동부(60)는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원심력을 인용하여 수직풍차(10)의 고속회전 시 예컨대, 주속비가 1이상일 때에 항력발생부재(50)를 관통구(46)를 통하여 본체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6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축(30)의 기동 또는 저속으로 회동시, 메인링크(61)의 일단부는 탄성부재(65)에 의해 블레이드(40)의 내벽면에 인접되게 위치하며, 항력발생부재(50)는 블레이드(4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회전축(30)이 고속으로 회전 시, 웨이트부재(62)에 원심력이 발생하며, 상기 원심력에 의해 메인링크(61)는 일단부가 블레이드(40)의 중심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메인링크(61)의 타단부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서브링크(63)는 서브링크(63)의 일단부가 블레이드(40)의 내벽면 방향으로 회전하며, 서브링크(63)의 타단부에 설치된 구속로드(64)를 블레이드(40)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블레이드(40)의 내부로 이동하는 구속로드(64)에 의해 항력발생부재(50)는 블레이드(40)의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용 수직풍차(10)는 공기력을 발생시키는 블레이드(40)에 작용하는 항력(抗力)과 양력을 이용하여 저속과 고속에서 회전력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풍차는 미풍( 0.5 내지 1.5m/sec)에서 블레이드(40) 후방인 테일부(45)와 인접되는 측에 형성된 관통구(46)를 통하여 항력발생부재(50)를 인출시킴으로써 바람에 의한 테일부(45)에서 항력과 엣지부(44)로부터의 항력과의 차이가 생기는 형상으로 제공함으로써 공기 역학적으로 스보니우스 효과를 얻어 미풍속역에서의 기동을 가능하게 하고, 고속주행 시 항력을 줄이고 양력이 작용하는 블레이드(40) 면을 넓게하여 자이로밀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속비가 1이하에서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40)에 항력발생부재(50)가 돌출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40)의 테일부(45)의 항력이 엣지부(44)의 항력보다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어 미풍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축(30)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스보니우스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즉, 항력발생부재(50)가 돌출됨으로써 테일부(45)측에서의 항력 발생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되므로 미풍에서의 구동력과 회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의 실험에 의하면 미풍(0.5 내지 1 m/sec)에서 항력 발생부재가 관통구(46)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항력을 기존의 블레이드(40) 즉, 항공기 날개 형상의 블레이드(40)에 비하여 4,8배 증가시킬 수 있었다.
한편,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40)에는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메인링크(61) 및 서브링크(63)가 원심력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구속로드(64)가 블레이드(40) 내부로 당겨져 항력발생부재(50)를 블레이드(40) 내부로 인입시킨다. 따라서 고속회전 시 블레이드(40)가 항력에 의해 회전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풍력 발전용 수직풍차(10)는 항력형의 수직축형 풍차와 양력형의 수직축형 풍차의 장점을 겸비하는 것으로, 스보니우스 효과와 자이로밀 효과를 최대한으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풍속(회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하는 데 필요한 풍속)을 종래의 수직축형 풍차보다 더 낮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저풍속역(2~5m/sec)에 있어서의 회전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중고속역(6m/sec 이상)에서의 회전수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즉, 광범위의 풍속역에 있어서, 풍차의 효율(풍력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효율) 을 대폭 향상시켜, 발전 효율 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풍력발전용 수직풍차
20: 프레임
30: 회전축
40: 블레이드
46: 관통구
47: 가이드부재
50: 항력발생부재
60: 구동부
61: 메인링크
62: 웨이트부재
63: 서브링크
64: 구속로드
65: 탄성부재

Claims (4)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에어포일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에 대향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측면에, 상기 블레이드 외부로 돌출되는 제 1위치와 상기 블레이드 내부로 인입되는 제 2위치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항력발생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저속 회전 시 상기 항력발생부재를 상기 제 1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축의 고속 회전 시 상기 항력발생부재를 상기 제 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항력발생부재를 상기 제 1 및 제 2위치 사이에 직선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용 수직풍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메인링크와;
    상기 메인링크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메인링크를 회동시키는 웨이트부재와;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링크에 발생된 회전력의 회전방향을 변환할 수 있게 일단부에 상기 메인링크의 타단부가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서브링크와;
    상기 서브링크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 1 및 제 2위치 사이의 상기 항력발생부재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게 상기 서브링크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항력발생부재가 설치된 구속로드와;
    상기 메인링크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웨이트부재에 의한 상기 메인링크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상기 메인링크에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용 수직풍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링크 및 서브링크는 상기 블레이드의 내벽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내벽면에 의해 회동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각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용 수직풍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에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제 1 및 제 2위치 사이로 상기 항력발생부재가 이동할 수 있게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항력발생부재를 가이드할 수 있게 상기 관통구의 가장자리에, 상기 블레이드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용 수직풍차.



KR20100008527A 2010-01-29 2010-01-29 풍력 발전용 수직 풍차 KR101192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8527A KR101192854B1 (ko) 2010-01-29 2010-01-29 풍력 발전용 수직 풍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8527A KR101192854B1 (ko) 2010-01-29 2010-01-29 풍력 발전용 수직 풍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828A KR20110088828A (ko) 2011-08-04
KR101192854B1 true KR101192854B1 (ko) 2012-10-18

Family

ID=44927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08527A KR101192854B1 (ko) 2010-01-29 2010-01-29 풍력 발전용 수직 풍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684B1 (ko) 2019-08-02 2020-12-04 박준규 수직축 풍력 터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266B1 (ko) * 2011-10-26 2013-11-04 서형우 수직형 풍차의 블레이드
CN110185578B (zh) * 2019-06-11 2024-01-09 大连理工大学 一种用于大型垂直轴风力机的横撑装置
CN113898527B (zh) * 2021-10-13 2023-12-01 南京师范大学中北学院 一种自动调整质心的翼臂伸缩式垂直轴风力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684B1 (ko) 2019-08-02 2020-12-04 박준규 수직축 풍력 터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828A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2448B (zh) 垂直轴型风车
EP2305999B1 (en)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ing a rotor blade extension for use in a wind turbine
WO2014192664A1 (ja) 風切羽開閉翼システムを用いた垂直軸式水風車原動機
EP1857671A1 (en) Blade for vertical shaft windmill and lift type vertical shaft windmill
US4335996A (en) Windmill construction
EP2764238B1 (en) Wind turbine having flow-aligned blades
JP2005248939A (ja) シングルロータ方式の水平−垂直軸統合型風力発電機システム
JP4982733B2 (ja) 空力的調速機構を備える縦軸型直線翼風車
KR101192854B1 (ko) 풍력 발전용 수직 풍차
CN100532832C (zh) 风力发电机变桨调速装置
CN108457795B (zh) 自动变桨和失能保护的风力发电机风轮
US20180017038A1 (en) Turbine for vertical axis wind generator
JP2010121518A (ja) 縦軸式マグナス型風力発電装置
CN104847582A (zh) 垂直式风力发电机
KR100984862B1 (ko) 풍력 발전용 수직 풍차
JP2006037753A (ja) 風力発電用風車
KR20090080416A (ko) 가변익 수직축 풍차
TWI554682B (zh) 小型垂直軸風力發電機被動式葉片傾角調變裝置
CN208416786U (zh) 自动变桨和失能保护的风力发电机风轮
CN101988475A (zh) 一种变桨风力发电机
CN201843726U (zh) 一种垂直轴风力发电机叶片组
KR20140032870A (ko) 무동력 풍향 자동 추종 풍력발전기
KR20120062051A (ko) 바람의 방향에 따라 날개의 각도가 조절되는 수직축형 풍력발전기
KR20110112742A (ko) 과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풍력발전기
KR20110046155A (ko) 수직형 풍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