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383B1 - 회전기계용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회전기계용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383B1
KR101192383B1 KR1020100077866A KR20100077866A KR101192383B1 KR 101192383 B1 KR101192383 B1 KR 101192383B1 KR 1020100077866 A KR1020100077866 A KR 1020100077866A KR 20100077866 A KR20100077866 A KR 20100077866A KR 101192383 B1 KR101192383 B1 KR 101192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egment
sealing device
sealing ring
se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618A (ko
Inventor
고우식
김계연
이우광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077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3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6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the sealing action depending on movements; pressure difference, temperature or presence of lea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elastic or plastic packings
    • F16J15/2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elastic or plastic packings with radially or tangentially compressed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40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by means of fl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08Seal for use in rotating and reciprocating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 Sealing Using Fluids, Sealing Without Contact, And Removal Of 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기, 가스터빈, 압축기와 같이 회전기계의 회전축과 케이싱 사이의 밀봉장치에서 가스누출과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일정한 곡률로 만국된 다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원형상의 밀봉링을 적용하고 있는바, 이 세그먼트는 양 단부에 서로 대응할 수 있는 형상의 단차부를 구비하고, 세그먼트의 접촉면에는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점차적으로 깊게 패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회전기계용 밀봉장치 {Sealing device to minimize gas leakage and vibration for rotating equipments}
본 발명은 발전기, 가스터빈, 압축기와 같은 회전기계의 회전축과 케이싱 사이에서 가스누설 및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발전기, 가스터빈 혹은 압축기와 같은 회전기계의 내부에서 가스 등의 유체를 사용할 경우에 있어, 축과 케이싱 사이에서의 누설방지를 위해 통상적으로 밀봉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적용되고 있는 회전기계용 밀봉장치는 대부분 고압의 밀봉유체를 공급하여 기체 누설을 최소화하고 있으나, 종래의 밀봉장치는 밀봉유체에 용융되어 누설되는 양이 많거나 밀봉링 조립체가 견고하게 조립되어 내압에 의한 케이싱 변형될 때에 밀봉링이 회전축에 과도하게 접촉하여 과도한 진동을 야기시키게 되어,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한편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것이다.
예컨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2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원형상의 밀봉링은 각 세그먼트의 접합면을 볼트로 견고하게 조립하여 운전하게 되는데, 이때 내압으로 인하여 밀봉링 브라켓이 변형되는 경우에 간섭이 발생하게 되어 불균일한 밀봉링 간극에서 누설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진동도 발생하게 된다.
이와 달리,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4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원형상의 밀봉링은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져 있듯이 원주방향으로 밀봉링을 4개의 세그먼트로 균등분할한 것으로 각 세그먼트의 접합면이 편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져 인접해 있는 각 세그먼트 접합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틈새를 통해서 누설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전술된 단점과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세그먼트, 바람직하기로는 4개 내지 8개의 세그먼트,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밀봉링으로 이루어지고, 이 밀봉링을 구성하고 있는 각기 세그먼트의 양 단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차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은 원형상의 밀봉링을 구성하는 세그먼트의 일측면, 더욱 구체적으로 회전축과 인접해 있는 세그먼트의 접촉면 상에 하나 이상의 홈, 바람직하게는 2개의 홈(groove)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을 갖춘 밀봉링은 홈 내부로 유량이 유도되어 유체 댐(dam)을 형성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회전축의 회전시 축을 따라 회전하는 유량을 증대시키고 댐 부근의 압력을 향상시켜, 각 세그먼트의 단부 주위에 압력을 높여 가스누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유막이 두꺼워져 회전축과 밀봉링의 접촉을 피하여 진동 유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진동에 대한 감쇠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각 세그먼트의 단부에 단차부를 형성하여 인접해 있는 세그먼트 사이의 틈새로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밀봉링을 구성하는 세그먼트의 홈을 매개로 하여 회전축과 밀봉링 사이에 유체압력과 유막을 증가시켜 가스누설 및 진동을 감소시키도록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과 회전축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봉장치와 회전축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에 구비된 밀봉링을 구성하는 세그먼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세그먼트가 일렬로 배열되어 밀봉링을 조립하고 있는 도면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와 회전축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봉장치와 회전축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2는 회전축과 밀봉링을 더욱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밀봉링 브래킷을 생략한 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밀봉링(10,20)과, 이 밀봉링(10,20)을 수용하는 밀봉링 브래킷(30), 및 밀봉링(10,20)을 위치고정시키는 스프링(40)으로 이루어진다. 밀봉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0) 둘레를 따라 소정의 유격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도록 한다.
밀봉링(10,20)은 회전축(50) 외주면에서 내측(혹은 가스측)과 외측(혹은 대기측)에 평행하게 배열되되, 전술된 바와 같이 이들 밀봉링(10,20)은 회전축(50)과 접촉되지 않고 소정의 간격으로 유격(裕隔))되게 밀봉링 브래킷(3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덧붙여서, 밀봉링(10,20)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측과 외측을 향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밀봉링 브래킷(30)은 그 내부에 밀봉링(10,2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에 밀봉유체를 공급받고, 이 밀봉유체는 평행하게 배열된 내측 밀봉링(10)과 외측 밀봉링(20)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여 회전축(50)을 향해 안내된다. 밀봉유체의 흐름경로는 도 1에서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밀봉유체의 일부는 내측으로 흘러 일부 가스와 용융되어 흐르는 반면에, 나머지 일부는 외측, 즉 대기측으로 흐름으로써 내부 기체와 대기를 차단하여 기밀유지를 제공하게 된다.
밀봉링 브래킷(3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삽입된 스프링(40)은 회전축(50)을 따라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밀봉링(10,20)을 회전축(50)과 동심원이 되도록 한다.
이들 스프링(40)은 스프링 핀(41)을 수단으로 하여 밀봉링 브래킷(30)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밀봉장치와 회전축에 대한 기본적인 결합관계 및 구성은 이미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여기서는 배제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링(10,20)은 2개 이상의 세그먼트(segment), 특히 4개 내지 8개의 세그먼트,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 도시된 밀봉장치는 4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밀봉링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각각의 세그먼트의 접촉면, 구체적으로 회전축(50)과 인접하게 마주보는 세그먼트의 일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11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술된 홈은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에 구비된 밀봉링을 구성하는 세그먼트의 사시도로, 여기서는 내측 밀봉링(10)을 형성하는 세그먼트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봉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밀봉링은 복수개의 세그먼트(100)로 이루어지는바(참고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4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음), 세그먼트(100)의 일측면, 즉 회전축과 마주보고 있는 접촉면(11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홈(111)을 형성한다. 홈(111)은 세그먼트(100)의 접촉면(110)의 폭을 고려하여 그 갯수를 달리할 수 있으나 2개의 홈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밀봉링은 복수개의 세그먼트(100)들로 이루어지는데, 각 세그먼트(100)들이 맞물려져 원형상을 이루도록 일정한 곡률로 만곡되어 있다. 특히, 각 세그먼트의 양 단부에는 단차부(112a,112b)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그먼트의 양단부에 형성된 단차부(112a,112b)는 서로 연이어 배열될 세그먼트의 단부의 단차부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홈(111)의 깊이는 회전축(50;도 1 및 도 2 참조) 방향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접촉면(110)에서 깊게 패여지는 쐐기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예컨대 회전축의 회전방향이 단차부(112a)에서 단차부(112b)로 회전한다면, 단차부(112a)에 근접한 홈의 깊이와 단차부(112b)에 근접한 홈의 깊이는 다르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단차부(112a)와 근접하게 시작되는 홈의 깊이는 거의 패여 있지 않거나 약간 패여져 있는 반면에 반대쪽 단차부를 향해 홈이 연장될수록 더욱 홈의 깊이를 깊게 하여 단차부(112b)와 근접해 있는 홈 깊이가 최대로 깊게 패여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만의 독특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홈(111)은 그 홈 내부로 회전축의 회전시 유량을 많이 유도하여 유체압력 증가로 가스 누설을 최소화시키고, 유막형성에 도움을 주어 밀봉링과 회전축의 간섭을 최소화시켜 진동 유발을 방지하고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세그먼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도 3에 도시된 세그먼트를 복수개 배열하여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조립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연이어 배치된 세그먼트의 단부에 형성된 단차부를 통한 연결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단차부를 통해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유체가 복수개의 세그먼트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는 기술된 실시예와 첨부도면으로만 국한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주와 범위 내에서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10, 20 ----- 밀봉링,
30 ----- 밀봉링 브래킷,
40 ----- 스프링,
41 ----- 스프링 핀,
50 ----- 회전축,
100 ----- 세그먼트,
111 ----- 홈,
112a,112b ----- 단차부.

Claims (3)

  1. 만곡되어 있는 다수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이루어진 원형상의 밀봉링(10,20)과, 이 밀봉링(10,20)을 수용하는 밀봉링 브래킷(30), 상기 밀봉링(10,20)을 밀봉링 브래킷(30)에 밀착시키는 스프링(40)을 구비하여, 회전축(5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양 단부에 서로 겹쳐질 수 있게 대응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차부(112a,112b)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50)과 마주보는 세그먼트의 접촉면에는 상기 회전축(5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점차적으로 깊게 패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11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계용 밀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의 접촉면에 2개의 홈(1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KR1020100077866A 2010-08-12 2010-08-12 회전기계용 밀봉장치 KR101192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866A KR101192383B1 (ko) 2010-08-12 2010-08-12 회전기계용 밀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866A KR101192383B1 (ko) 2010-08-12 2010-08-12 회전기계용 밀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618A KR20120015618A (ko) 2012-02-22
KR101192383B1 true KR101192383B1 (ko) 2012-10-17

Family

ID=4583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866A KR101192383B1 (ko) 2010-08-12 2010-08-12 회전기계용 밀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3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3984A (ja) 2006-12-27 2008-07-17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メカニカルシール、軸封装置、及びそれら用のシールリン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3984A (ja) 2006-12-27 2008-07-17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メカニカルシール、軸封装置、及びそれら用のシールリ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618A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47999A (ja) 回転機械のシール装置
JP2008008490A (ja) セグメント間の「l」字形突合せギャップシールを備えるシール組立体及び回転機械
RU2629105C2 (ru) Турбин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вращения бандажного уплотнения
RU2326245C2 (ru) Уплотнение между вращающимся компонентом и неподвижным компонентом и паровой сальниковый затвор в турбине, использующий указанное уплотнение
KR930006305A (ko) 브러쉬 시일
CN101054909B (zh) 蒸汽涡轮机可变间隙填塞件
US20120025472A1 (en) Labyrinth seal
EP2886803B1 (en) Seal for gas turbine engines
US6261063B1 (en) Seal structure between gas turbine discs
JP5732246B2 (ja) ブラシシール
KR920002900A (ko) 이중흐름식 저압 증기터빈
JP2013530333A (ja) ブラシリングシール
JP6941479B2 (ja) シール構造及びメカニカルシール
KR101192383B1 (ko) 회전기계용 밀봉장치
KR101741332B1 (ko) 터빈의 실링 조립체
JP2008002576A (ja) シール装置
JPWO2020031625A1 (ja) 回転機械及びシール部材
US10060534B2 (en) Sealing structure for turbine
JP5725896B2 (ja) ブラシシール
KR101615209B1 (ko) 패킹장치를 구비한 터빈 및 그 조립방법과 실링조립체
US2228841A (en) Packing arrangement
US200701203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am turbine variable clearance packing
JP7246830B2 (ja) 回り止め機構
EP3220019B1 (en) Shaft sealing mechanism
RU2578939C1 (ru) Радиально-торцевое уплотнение ротора турбомаш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