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377B1 - 엘이디 소자를 보호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엘이디 소자를 보호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377B1
KR101192377B1 KR1020120053073A KR20120053073A KR101192377B1 KR 101192377 B1 KR101192377 B1 KR 101192377B1 KR 1020120053073 A KR1020120053073 A KR 1020120053073A KR 20120053073 A KR20120053073 A KR 20120053073A KR 101192377 B1 KR101192377 B1 KR 101192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led
constant current
arrays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퍼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퍼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퍼스트
Priority to KR102012005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6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disposed in parallel l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8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organised in strings and incorporating parallel shunting device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소자에 열화가 발생되어 LED 어레이들에 전류 편차가 커지면 내부온도 상승 등으로 LED가 쇼트되거나 개방이 되어 LED 전체 조명등에 심각한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LED 소자를 보호하는 LED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정전류 발생장치와; 각각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감지수단과; 상기 전류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전류?전압 신호들을 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로부터 입력되는 전류 신호로부터 상기 각각의 LED 어레이가 열화, 개방, 단락된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라 정전류 발생장치의 정전류의 크기를 제어하거나 중지시키도록 명령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명령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또는 펄스폭변조 신호로 변환하는 펄스폭 변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또는 펄스폭 변조기의 신호에 의해 전류를 발생하던가 전류 발생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LED 소자가 열화되거나 개방된 경우에도 다른 LED 어레이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단락된 경우에는 조명을 차단함으로써, 정전류 발생장치를 보호한다.

Description

엘이디 소자를 보호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Lighting equipment using LED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다수의 어레이로된 LED 소자를 보호하는 LED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ED 소자에 열화가 발생되어 LED 어레이들에 전류 편차가 커지면 내부 온도 상승 등으로 LED가 쇼트되거나 개방되어 LED 전체 조명등에 심각한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LED 소자를 보호하는 LED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조명 장치는 복수의 LED를 직렬로 접속한 LED 어레이 형태로 복수 개 병렬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LED를 직렬로 접속한 LED 어레이가 복수 개 병렬로 접속된 상태에서 구동되면, 작동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LED 어레이의 동작전압(각각의 LED의 순방향 전압(Vf))이 불균일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병렬로 접속된 LED 어레이의 전류가 불균형 상태로 되어버린다.
따라서 각각의 LED 어레이에 정전류회로(constant-current circuit)를 각각 설치하여 정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LED 유닛에 흐르는 전류의 불균형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LED 조명 장치에서 LED는 소비되는 전력에서 약 15%의 전력은 빛으로 변환되고 약 85%의 전력은 열에너지로 변환되며 이때 적외선을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LED에서 발생되는 빛 에너지에 대한 특성은 그 변동이 매우 심해서 기본적으로 LED의 접합온도 40℃를 정격이라고 기준할 때 White LED는 0℃에서 115%, 20℃에서 110%, 40℃에서 100%, 60℃에서 95%, 80℃에서 90%, 100℃에서 80%, 120℃에서 70%이하의 광량이 발생되며, 사용하는 온도의 상승에 따라 그 수명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특성을 갖는다.
LED 내부 온도는 주변온도의 상승과 과도한 자체 열발생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자체 열발생의 원인은 높은 순방향전류와 열저항에 기인한다.
LED 내부 온도의 상승은 LED 칩과 보호막간의 층간 분리를 유발시키게 되는데 특히 백색 LED의 경우에는 형광체 코팅과 실리콘 보호막 사이 또는 칩과 형광체 코팅사이에서 층간 분리를 발생시키고, 이층간 분리는 광출력을 지속적으로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주변의 과도한 온도변화는 실리콘의 수축팽창을 반복하여 LED 패키지 내부의 와이어의 절단현상까지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LED 소자에 한계치 이상으로 순방향전류를 흘리거나 순간적인 피크 과도전류가 인가될 때 LED 내부의 칩 또는 와이어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LED의 열적?전기적 특성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사실들이다.
LED의 전기적 특성에 대해 좀더 상세히 기술하면 LED는 기본적으로 가해지는 전압에 따라 전류가 흐르는 반도체소자이다.
그러나 LED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정전류로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첫째, LED에서 발생되는 광량은 소자에 가해지는 전류에 비례한다. 즉, 광량에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갖는 전류를 기준으로 LED를 구동시켜야 광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조절하기가 용이하다.
둘째, LED는 전류보다는 전압에 더 민감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전류를 고정하여 구동시키는 것이 LED의 전기적 특성을 유지시키기가 더 용이하다.
셋째, LED의 구동 전압은 인가되는 전류와 온도에 따라 변화가 매우 심하다.
이러한 특성에 유의하여 LED를 직렬로 접속한 LED 어레이 형태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직렬로 접속한 LED 어레이에서 하나 이상의 LED가 파손된 경우에 전체 LED 어레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엘이디 구동회로에 관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즉, 하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LED 구동회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DC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와, PWM 신호를 공급하는 PWM 신호 발생부와, 상기 PWM 신호 또는 로우(Low)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 또는 오프(Off)되는 스위칭부와,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LED열들을 포함하고, 상기 DC 전압을 공급받고 아울러, 상기 스위칭부가 스위칭 동작 또는 오프됨에 따라 발광 또는 오프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PWM 신호를 공급받고 아울러, 상기 다수의 LED열들의 전압을 감지하여 차감시킨 감지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에 상기 PWM 신호 또는 로우(Low)신호를 인가하는 보호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회로부는 상기 다수의 LED열들의 전압을 감지하여 차감시킨 감지전압을 인가하는 감지수단과, 기준전압(Vref)을 인가받고 아울러, 상기 감지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감지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하이(High)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에 로우(Low) 신호를 인가하는 비교기와, 상기 PWM 신호를 공급받고 아울러, 상기 하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온(On)되어 상기 PWM 신호를 상기 스위칭부에 인가하고, 상기 로우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오프되어 상기 PWM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로우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하기 특허문헌에 의한 LED 구동회로는 LED 열들에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하여 LED의 수명이 전체적으로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LED 구동회로를 LED 조명 장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LED 소자 한 개만 파손되어도 LED 조명 장치는 오프되어 조명 장치로서의 역할을 전혀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11744호 (2009. 02. 0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LED 소자에 열화가 발생되어 LED 어레이들에 전류 편차가 커져도 내부온도 상승 등으로 LED가 단락되거나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LED 전체 조명등에 심각한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LED 소자를 보호하는 LED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의 LED 어레이가 개방된 경우에 다른 LED 어레이에 과도한 전류가 흘러 다른 LED 어레이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 LED 소자를 보호하는 LED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의 LED 어레이가 단락된 경우에는 조명 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LED 소자를 보호하는 LED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LED 소자를 보호하는 LED 조명 장치는 다수 개의 LED 소자를 직렬로 연결한 LED 어레이가 다수 개 병렬로 접속된 LED 모듈을 포함하는 LED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에 정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 발생장치와; 상기 각각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감지수단과; 상기 전류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전류 신호들과 상기 LED 어레이에 걸리는 전압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에서 입력되는 전류 신호로부터 제 1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가 제 1의 전류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LED 어레이에 열화된 LED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LED 어레이별 정상전류보다 감소된 전류를 계산하여 상기 LED 모듈에 공급하는 정격전류에서 그 감소된 전류치를 감소시킨 전류를 출력하도록 명령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명령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또는 펄스폭변조 신호로 변환하는 펄스폭 변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또는 펄스폭 변조기의 신호에 의해 정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제 1의 LED어레이로부터 상기 다수 개의 LED 어레이까지 제 1의 전류 임계치보다 작은 값을 갖는 LED 어레이들에서의 그 감소된 전류치를 누적하고,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에서 발생하던 정격전류에서 상기 누적한 전류치를 뺀 조정전류를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에서 출력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각각의 LED어레이 회로가 제 2의 전류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해당 LED어레이에 개방된 LED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개방된 LED 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LED 어레이 수만큼의 LED 어레이의 정상전류의 값을 상기 감소된 전류치에 누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각각의 LED어레이 회로별로 제3의 전류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전압 신호가 전압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해당 LED 어레이에 단락된 LED 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의 전류발생을 중지시키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LED모듈에 걸리는 전압과 전압 임계치를 비교하고, 상기 LED모듈에 설치된 방열판의 온도와 온도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LED모듈에 걸리는 전압(VLED)이 전압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방열판의 온도가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정격전류는 상기 방열판의 온도 상승분에 따른 전류제한 값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전류 임계치는 정상상태인 LED 모듈에서 각각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정상전류보다 작고 정상전류의 95%이상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전류 임계치는 정상상태인 LED 모듈에서 각각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가 정상전류의 10 내지 3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장치는 원격지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접속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크기 및 초기 설정값을 제어하고, 각각의 LED 어레이들의 전류상태, 정전류 발생장치의 출력전류, 출력전압 및 방열판 온도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다수 개의 LED 소자를 직렬로 연결한 LED 어레이가 다수 개 병렬로 접속된 LED 모듈과, 상기 LED 모듈에 정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 발생장치와, 상기 각각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감지수단과, 상기 전류 감지수단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에서 상기 LED 모듈로 공급하는 정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LED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들에 흐르는 전류의 밸런스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전류 밸런스가 맞지 않을 경우에 상기 다수의 LED 어레이들이 각각 열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열화여부 판단단계; 상기 열화여부 판단단계에서 각각의 LED 어레이에서의 LED 소자가 열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LED 어레이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개방여부 판단단계; 상기 각각의 LED 어레이에서 LED 소자가 열화되었거나 개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열화 또는 개방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정상전류보다 감소된 전류를 누적하여 계산하는 감소전류 계산단계;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에서 발생하던 정격전류에서 상기 누적된 전류치를 뺀 조정전류를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에서 출력하도록 명령하는 전류감소 명령단계;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는 상기 감소전류 명령에 따른 조정전류를 상기 LED 모듈에 공급하는 정전류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방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 1의 전류임계치보다 작고, 상기 제2의 전류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제 1의 LED 어레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다수 개의 LED 소자를 직렬로 연결한 LED 어레이가 다수 개 병렬로 접속된 LED 모듈과, 상기 LED 모듈에 정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 발생장치와, 상기 각각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감지수단과, 상기 전류 감지수단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에서 상기 LED 모듈로 공급하는 정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LED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LED 어레이들 중에서 제 1의 LED 어레이에서의 LED 소자가 열화되거나 개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LED 어레이에 단락된 LED 소자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락여부 판단단계; 상기 어레이의 단락여부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 1의 LED에서의 단락된 LED 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의 정전류 발생을 정지시키도록 명령하는 전류발생 정지명령단계;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는 상기 전류발생 정지명령에 따라 정전류 발생을 정지하여 조명을 중지하는 조명중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락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제 1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정상전류보다 큰 값을 갖는 제 3의 전류 임계치 이상인 경우로서 그 LED 어레이에 걸리는 정상동작전압의 범위를 전압 임계치로 설정하고, 상기 전압 임계치보다 작으면 그 LED 어레이는 단락된 LED 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ED 소자를 보호하는 LED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LED 소자에 열화가 발생되어 LED 어레이들에 전류 편차가 커지면 즉, 각각의 LED어레이들의 전류밸런스가 맞지 않게 되면 내부온도 상승 등으로 LED가 단락되거나 개방되지 않도록 각각의 LED 어레이별 정상전류와의 차이 분을 누적하여 정전류발생장치의 정격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정상적인 LED어레이는 정상상태를 유지시키고 열화된 LED 어레이는 열화의 진행속도를 늦춰지게 하여 LED 조명등에 전반적으로 심각한 상황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특정의 LED 어레이가 개방된 경우에 다른 LED 어레이에 과도한 전류가 흘러 다른 LED 어레이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특정의 LED 어레이가 단락된 경우에는 조명 장치의 동작을 중지시켜 정전류 발생장치의 고장을 방지하고, 문제가 된 어레이 회로내의 단락되지 않은 정상적인 LED 소자들이 과전류에 의해 더 이상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LED 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의 개념을 나타낸 구동회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의 구동회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개념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부분 흐름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개요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LED를 구동시킬 때 정전류 회로에서 전류를 흘려주도록 구성하는데 다수의 LED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해 1:1로 정전류 회로에서 전류를 흘려주면 회로 구현의 비용이 상승되기 때문에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 개수의 LED 소자를 직렬로 연결한 회로(이하, 본 발명에서는 "LED 어레이"라고 한다)를 병렬로 다수 개 연결한 회로(이하, 본 발명에서는 "LED 모듈"이라고 한다)에 전류를 흘려주도록 구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LED 소자는 온도변화에 따라 내부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LED 모듈에서 병렬회로간에 전류의 밸런스가 깨어지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LED 소자마다 특성이 상이하므로 동일한 환경을 갖는 LED 조명에서 열화의 진행과정이 소자마다 상이하게 나타나게 된다.
즉, LED 소자별로 순방향 동작전압의 변동이 일어나면 LED 어레이들의 각각은 순방향동작전압의 차이가 발생되므로 각각의 LED 어레이들의 전류 밸런스가 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발생되면 정상적인 다른 LED 어레이들에 정상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LED 내부 온도가 증가되고, 그 회로에 연결된 모든 LED의 광학적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LED 소자의 수명이 단축되기까지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은 이와 같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LED 모듈에서 LED 어레이들에 정상보다 큰 전류(과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정전류 발생장치에서 LED 모듈로 공급하는 전류를 제한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보면, 도 2에서 LED 어레이의 개수(n)가 10개라고 할 때, 총 전류가 3.5A인 정전류 출력 회로에 LED들의 구성이 10개의 어레이 회로가 있고 각각의 LED 어레이는 7개의 LED 소자가 직렬연결 되어있는 경우에 LED 소자가 모두 정상적 일 때는 LED 어레이들의 전류(I1 ~ I10)는 밸런스가 유지되어 각각 0.35A가 흐르게 된다. 여기서 0.35A는 LED 어레이들의 정상전류이다.
그러나, 조명의 사용시간이 증가됨에 LED 소자에 열화가 진행되면 열화된 LED 소자가 포함된 LED 어레이는 순방향 동작전압(Vf)이 증가되어 0.35A 보다 적은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정전류 발생원의 설정된 전류(3.5A)가 변동하지 않으므로 열화는 지속되면서 열화된 LED 어레이에서 줄어든 전류는 열화되지 않은 다른 LED 어레이들에 전류가 증가되어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가 정상전류보다 커지면 정상적인 LED 어레이들의 내부온도가 증가되어 과도하게 열이 발생되어 광학적 효율이 떨어지고 LED 조명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본 발명은 정상적인 LED 어레이들의 정상 전류를 유지하도록 열화된 LED 소자가 포함된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정상적인 동작전류에 대해 상한 및 하한의 범위를 정하고, 하한의 범위(제 1의 전류 임계치 : 정상상태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정상전류보다 작고 정상전류의 95%이상인 범위)보다 적은 전류가 흐르게 되면 LED 소자가 열화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의 임계치보다 훨씬 적은 전류, 즉 정상전류의 10~30%(가장 바람직하게는 20%)의 전류를 제 2의 임계치로서 정하고, 제 2의 임계치이하로 흐르게 되면 본 발명에서 그 LED 소자가 포함된 LED 어레이는 개방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가 제 1의 전류 임계치보다 적거나 제 2의 전류 임계치보다 적으면 넓은 의미의 열화로 보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 1의 임계치보다 적고, 제 2의 임계치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를 열화로 정의하고, 더욱 열화가 진행되어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가 더욱 감소되어 제 2의 임계치보다 적게 흐를 때를 상기와 같이 개방된 것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이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가 제 1의 임계치보다 적게 흐르는 경우(제 2의 임계치인 경우 포함)에는 정전류 발생장치(컨버터)의 출력 전류를 제한함으로써, 정상적인 LED 어레이들에 흐르는 전류가 정상동작 전류로 흐르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어느 특정 LED 어레이에 포함된 LED 소자가 단락된 경우에는 그 LED 어레이에는 정상전류보다 훨씬 큰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정상동작전류의 상한(제 3의 전류 임계치 : 정상상태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정상전류보다 크고 정상전류의 120%이하인 범위)의 범위로 정하고, 제 3의 전류 임계치이상인 경우로서 그 LED 어레이에 걸리는 전압이 정상동작전압(전압 임계치)의 범위를 정하고, 전압 임계치보다 작으면 그 LED 어레이는 단락된 LED 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LED 모듈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도록 정전류 장치에서의 전류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정상동작전압의 범위인 전압 임계치의 범위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범위를 갖는다.
{A×(1-1/B)} ~ {A×(1-1/B)+(B-1)×Vf×0.08} ---------- (식 1)
여기서,
A : LED 어레이에 걸리는 정격전압
B : 직렬로 접속한 LED 소자의 수
Vf : LED의 순방향 전압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의 개념을 나타낸 구동회로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도면부호 20은 LED 소자 7개가 직렬로 연결된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LED 모듈이고, 도면부호 30은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에 저항들(Rs1, Rs2, Rs3, Rs4, …, Rsn)이 각각 직렬로 연결된 전류 감지수단이이며, 도면부호 10은 LED 모듈(2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정전류 발생원인 정전류 발생장치이다.
LED 어레이들의 각각에 연결된 저항에는 LED 어레이들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한 전압이 유기되고 이 유기된 전압은 LED 어레이별 전류 감시(45)에서 열화, 개방, 단락의 상태를 판단하여 그 상태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화나 개방인 경우에는 정상동작 전류에 대한 차이를 1차 연산(55)하고 정전류 발생장치(10)에서 이 연산된 전류값 만큼 작은 정전류를 발생하도록 2차 연산(57)를 통하여 제어신호를 정전류 발생장치(10)에 보내게 되고, LED 모듈(20)의 전압(VLED)과 함께 어레이별 전류?전압 감시(45)에서 단락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1차 연산(55)에서 정전류 발생장치(10)가 정전류를 발생하지 않도록 2차 연산(57)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정전류 발생장치(10)에 보내게 된다.
2차 연산(57)은 LED 모듈(20)이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방열판의 온도를 방열판 온도감시(85)에서 감지하여 정전류 발생장치(10)가 그 온도에 반비례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보내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의 구동회로 도면이다.
도 3에는 도 2에서 LED 어레이별 전류 감시(45)와 1차 연산(55)과 2차 연산(57)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도면 부호 40은 전류 감지수단(30)에서 들어오는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의 전류 크기와 LED 모듈(20)의 전압(VLED) 크기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이고, 도면 부호 50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의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의 전류와 제 1의 전류 임계치 그리고 제 2의 전류 임계치를 비교하고, LED 어레이들에 걸린 전압과 전압 임계치를 비교하여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의 열화, 개방, 단락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열화와 개방인 경우에는 정전류 발생장치(10)에서 발생되는 정전류를 감소시켜야 하는 전류값을 계산하여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이다.
또한, 도면 부호 60은 정전류 발생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5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이던가 펄스폭 변조(PWM)하는 펄스폭 변조기이다.
미설명 부호 70은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서 처리하는 이벤트들을 도시되지 않은 원격지로 전송하고, 원격지에서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하에서는 정전류 발생장치(1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 마이크로프로세서(50),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0) 또는 펄스폭 변조기(60), 인터페이스(7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정전류 발생장치(10)의 직류(DC) 입력방식은 시리즈 패스(Series pass)방식과, 스위칭 정전류 방식이 있고, 교류(AC) 입력방식은 컨버터 방식이 있으며, 출력방식은 모두 DC 정전류를 출력하고, 외부의 0~5V의 제어신호에 의해 출력되는 정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정전류 발생장치(10)는 PWM 방식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는 각각의 어레이 회로별 전류와 정전류 발생장치(10)의 출력전압,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의 방열판 온도 등의 아나로그 값들은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ADC)의 풀(full) 스케일에 맞춰 일정 크기로 조절하고 순차적으로 변환한다. 각각 디지털로 변환된 포인트들은 정해진 스케일링 값으로 재연산 된다. 참고로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에 직렬로 접속된 전류 크기 감지용 저항들(Rs1~Rsn)은 LED 조명 장치의 조명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저항값을 극히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전원이 인가되면 정전류 발생장치(10)의 설정상태(출력전압, 출력 정전류 등의 정상상태, 최대값, 최소값의 범위)와,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의 수와 어레이별 LED 수(LEDs per string), 그리고 LED 보호 조건에 따른 전류 임계치, 전압 임계치, 온도 임계치 등을 읽어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를 통해 LED 어레이(21, 22, 23, 24, …, 2n)별 전류(I1, I2, I3, I4, …, In)와 정전류 발생장치(10)의 출력 전압(VLED) 그리고 방열판의 온도를 디지털로 입력받는다.
첫째, 어레이 회로별 전류는 전류 밸런스가 맞는지 먼저 확인하고 전류밸런스가 맞지 않을 경우 정전류 발생장치(10)의 출력전압과 같이 비교하여 문제가 있는 LED 어레이의 LED 열화/단락/개방을 분석하고 입력전류에 따라 전류 임계치와 비교하여 조건별 전류조절값의 결과를 취득한다.
둘째, LED 모듈(20)에 걸리는 전압(VLED)과 방열판 온도를 비교하여 방열판 온도가 일정 온도이상이고 출력전압(VLED)이 일정 전압 이하가 되면 LED의 내부온도가 상승한 것으로 판단하고, 온도 임계치와 비교하여 온도 상승분에 따른 전류제한 값을 연산한다.
두 번째의 결과에 따라 정전류 발생장치(10)의 초기 정격전류(IT1)의 상한은 먼저 변동(IdT)된다. 그리고 첫 번째의 결과에 따라 정격전류를 조건별 처리 결과(IADJ)에 따라 조절한다.
상기 두 결과에 의해 다음과 같은 출력이 얻어진다.
정상시 : IT(정상) = IT1
비정상시 : IT(비정상) = (IT1 - IdT) - IADJ
IT1 = 초기 정격전류(정상상태의 조명등에 초기 설정하여 공급하는 전류),
IdT = 온도 변화에 따른 정격전류 제한값,
IADJ = LED 열화에 따라 보호를 위한 전류조절값(감소시킬 전류치의 누적치)
IT(비정상) = 재설정된 출력 전류(조정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0)는 정전류 발생장치(10)의 정전류 제어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서 일반적으로 8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받아 이 디지털 입력신호를 0~5V의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한다.
예를들어, 정전류 발생장치(10)의 정전류를 100%로 출력할 경우 0V, 50%로 출력할 경우 2.5V, 출력하지 않을 경우는 5V의 아날로그 신호를 선형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정전류 발생장치(10)의 정전류 출력을 제어 가능하도록 한다.
펄스폭 변조기(60)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로부터 받은 신호를 펄스폭 변조(PWM)에 의한 펄스폭 변동으로 변환하여 일정 주파수 범위 내에서 펄스의 듀티율을 조절하여 출력함으로써, 정전류 발생장치(10)의 출력 정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정전류 발생장치(10)의 정전류를 100%로 출력할 경우 0%의 듀티율, 50%로 출력할 경우 50%의 듀티율, 출력하지 않을 경우는 100%의 듀티율을 선형적으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정전류 발생장치(10)의 출력 정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70)는 시리얼 통신포트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의 각 LED 어레이들의 전류상태(I1~In), 정전류 발생장치(10)의 총 출력전류(IT), 출력전압(VLED), 방열판 온도 등의 상태를 원격감시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원격지에서 LED 어레이(21, 22, 23, 24, …, 2n)의 전류 제어와 환경 설정값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개념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도 4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개념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도시되지 않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동작조건인 환경설정값을 입력하여 LED 조명 장치를 초기화한다(S100). 동작조건인 환경설정값은 각 LED 어레이들의 직렬 접속된 LED 소자 수,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의 수, 제 1의 전류 임계치, 제 2의 전류 임계치, 제 3의 전류 임계치, 전압 임계치와 방열판의 온도 임계치(필요한 경우) 등을 입력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값들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의 풀(full) 스케일에 맞춰 일정크기로 조절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정전류 발생장치(10)에서 발생된 정전류(IT)가 LED 모듈(20)에 공급되면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에는 전류(I1, I2, I3, I4, …, In)가 흐르게 되고, 이 전류들(I1, I2, I3, I4, …, In)에 의해 전류 감지수단(30)의 저항(RS1, RS2, RS3, RS4, …, RSn)에 걸리는 전압은 아날로그 상태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50)로 입력된다(S200).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에서 입력된 신호와 마이크로프로세서(5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제 1의 전류 임계치 및 제 2의 전류 임계치와 비교하여 제 1의 전류 임계치와 제 2의 전류 임계치의 범위내인지(열화여부 판단), 제 2의 전류 임계치보다 작은지(개방여부 판단)를 판단(S300)한다.
그리고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정전류의 크기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정전류 발생장치(10)에서 감소시켜 출력할 크기 즉, 정전류 조정값을 연산한다(S500).
이와 같이 연산된 조정값은 통신인터페이스(70)를 통해 원격감시제어반으로부터 제어하여 설정되는 내용에 따라 전류조절이 필요한지를 판단(S600)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펄스폭 변조기(60)로 정전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S700),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시스템 초기화(S100)의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펄스폭 변조기(60)에 입력된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 또는 PWM 신호로 변환되어 정전류 발생장치(10)로 입력되어 정전류 발생장치(10)에서 출력되는 정전류(IT)의 출력값을 변경시키고(S800), 시스템 초기화(S100)의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전류 밸런스 판단(S300)에서 제 3의 전류 임계치이상으로 판단되고, LED 모듈(20)에 걸리는 전압(VLED)을 측정(S400)하여 전압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그 LED 어레이는 단락된 것이므로 정전류 조정값 연산(S500)으로 진행하여 정전류 발생장치(10)에서 정전류를 발생하지 않도록 감소시켜 출력할 크기를 연산(즉, 정전류 발생 정지 명령)하여 S600 단계로 진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부분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른 본 발명의 부분 흐름도는 도 4에서 점선 블록(BL) 부분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의 열화, 개방, 단락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정전류 발생장치(10)로 보낼 신호의 크기를 연산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어레이(21)의 전류값과 제 1의 전류 임계치를 비교(S310)하여 LED 어레이(21)의 전류값이 제 1의 전류 임계치이상이면 S200 단계로 진행하고, 작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LED 어레이(21)의 전류값과 제 2의 전류 임계치를 비교(S320)하여 LED 어레이(21)의 전류값이 제 2의 전류 임계치 이상이면 열화된 것으로 판단하고 열화된 정도에 따른 정전류 조정값을 누적(S510)한다. 여기서 LED 어레이(21)만을 설명하였지만, LED 어레이(21)로부터 LED 어레이(2n)까지 계속 판단하여 열화된 LED 어레이들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열화된 정도에 따른 정전류 조정값을 누적(S510)한다. 여기서 누적된 정전류 조정값(S550), 즉, 정전류 감소분은
Figure 112012039897610-pat00001
이다.
I(x) :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에 흐르는 전류(I1, I2, I3, I4, …, In)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정상적인 LED 어레이들에 정상 전류를 유지하기 위해 정전류 감소분에 해당하는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펄스폭 변조기(60)로 출력한다(S550).
단계 320에서 LED 어레이(21)의 전류값이 제 2의 전류 임계치보다 작으면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정전류 조정값을 누적(S520)한다. 여기서 LED 어레이(21)만을 설명하였지만, LED 어레이(21)로부터 LED 어레이(2n)까지 계속 판단하여 개방된 LED 어레이들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개방된 수에 따른 정전류 조정값을 누적(S510)한다.
여기서 개방회로수 누적에 따른 정전류 조정값(S550), 즉 정전류 감소분은
정전류 감소분 = 정격전류 * (개방 회로수 / 총 어레이 회로 수)
이다.
역시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정상적인 LED 어레이들에 정상 전류를 유지하기 위해 개방된 LED 어레이로 인한 정전류 감소분에 해당하는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펄스폭 변조기(60)로 출력한다(S550).
그리고,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의 전류값과 제 3의 전류 임계치를 비교(S330)하여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의 전류값이 제 3의 전류 임계치보다 작으면 S200 단계로 진행하고,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의 전류값이 제 3의 전류 임계치 이상이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에 걸리는 전압(VLED)과 전압 임계치를 비교(S410)하여 전압(VLED)이 전압 임계치 이상이면 S400 단계로 진행하고, 작으면 다음단계로 진행한다.
S330 단계와 S410 단계에서 신호가 모두 입력되는 경우에는 LED 어레이들(21, 22, 23, 24, …, 2n)중 측정중인 LED 어레이는 단락된 것으로 판단(S420)하고 단락된 LED 어레이의 정상적인 LED 소자의 보호를 위해 정전류 발생장치(10)에서 정전류 발생을 정지하도록 정지명령 신호[여기서 정지명령 신호는 정전류 발생장치(10)에서 정전류를 발생하지 않도록 감소시켜 출력할 크기를 의미한다]를 발생한다(S530)(S550).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6)

  1. 다수 개의 LED 소자를 직렬로 연결한 LED 어레이가 다수 개 병렬로 접속된 LED 모듈을 포함하는 LED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에 정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 발생장치와;
    상기 각각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감지수단과;
    상기 전류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전류 신호들과 상기 LED 어레이에 걸리는 전압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와;
    상기 LED 어레이들에 흐르는 전류의 밸런스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전류 밸런스가 맞지 않을 경우에 제 1의 LED어레이로부터 상기 다수 개의 LED 어레이까지 제 1의 전류 임계치보다 작은 값을 갖는 LED 어레이들에서의 그 감소된 전류치를 누적하고,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에서 발생하던 정격전류에서 상기 누적한 전류치를 뺀 조정전류를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에서 출력하도록 명령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명령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또는 펄스폭변조 신호로 변환하는 펄스폭 변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또는 펄스폭 변조기의 신호에 의해 정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장치.
  2. 다수 개의 LED 소자를 직렬로 연결한 LED 어레이가 다수 개 병렬로 접속된 LED 모듈과, 상기 LED 모듈에 정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 발생장치와, 상기 각각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감지수단과, 상기 전류 감지수단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에서 상기 LED 모듈로 공급하는 정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LED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들에 흐르는 전류의 밸런스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전류 밸런스가 맞지 않을 경우에 상기 다수의 LED 어레이들이 각각 열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열화여부 판단단계;
    상기 열화여부 판단단계에서 각각의 LED 어레이에서의 LED 소자가 열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LED 어레이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개방여부 판단단계;
    상기 각각의 LED 어레이에서 LED 소자가 열화되었거나 개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열화 또는 개방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정상전류보다 감소된 전류를 누적하여 계산하는 감소전류 계산단계;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에서 발생하던 정격전류에서 상기 누적된 전류치를 뺀 조정전류를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에서 출력하도록 명령하는 전류감소 명령단계;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는 상기 감소전류 명령에 따른 조정전류를 상기 LED 모듈에 공급하는 정전류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로부터 입력되는 전류 신호로부터 상기 각각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가 제 2의 전류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개방으로 판단하여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의 전류 크기를 정격 발생전류에 대해 동작되는 LED 어레이의 수(n)분의 상기 개방으로 판단된 LED 어레이의 수만큼 감소되도록 더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로부터 입력되는 전류 신호로부터 상기 각각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가 제 3의 전류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전압 신호가 전압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LED 어레이에 단락된 LED 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판단하여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의 전류발생을 중지시키도록 더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전류 임계치는 정상상태인 LED 모듈에서 각각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정상전류보다 작고 정상전류의 95% 이상의 범위이고, 상기 제 2의 전류 임계치는 정상상태인 LED 모듈에서 각각의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전류가 정상전류의 10 내지 30% 범위이며, 제 3의 전류 임계치는 LED 어레이에 흐르는 정상전류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장치.
  6.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장치는 원격지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접속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정전류 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크기 및 초기 설정값을 제어하고, 각각의 LED 어레이들의 전류상태, 정전류 발생장치의 출력전류, 출력전압 및 방열판 온도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장치.
KR1020120053073A 2012-05-18 2012-05-18 엘이디 소자를 보호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192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073A KR101192377B1 (ko) 2012-05-18 2012-05-18 엘이디 소자를 보호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073A KR101192377B1 (ko) 2012-05-18 2012-05-18 엘이디 소자를 보호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740A Division KR101453053B1 (ko) 2011-04-20 2011-04-20 엘이디 소자를 보호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2377B1 true KR101192377B1 (ko) 2012-10-17

Family

ID=4728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073A KR101192377B1 (ko) 2012-05-18 2012-05-18 엘이디 소자를 보호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3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670B1 (ko) * 2013-01-24 2014-09-26 (주)유양디앤유 Led 조명장치
KR101603251B1 (ko) 2015-06-22 2016-03-15 주식회사 인터파워 정전류 출력 방식의 led 조명용 컨버터 및 이를 적용한 led 조명 장치
CN108449839A (zh) * 2018-04-20 2018-08-24 深圳市芯飞凌半导体有限公司 一种可调亮度无频闪led控制电路、led照明设备
US10440786B1 (en) 2018-05-09 2019-10-08 Infineon Technologies Ag Control circuit and techniques for controlling a LED arr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199B1 (ko) 2010-09-02 2010-12-31 (주)상지기술 엘이디 조명기구의 엘이디 부하 비정상상태 발생시 엘이디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199B1 (ko) 2010-09-02 2010-12-31 (주)상지기술 엘이디 조명기구의 엘이디 부하 비정상상태 발생시 엘이디 보호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670B1 (ko) * 2013-01-24 2014-09-26 (주)유양디앤유 Led 조명장치
KR101603251B1 (ko) 2015-06-22 2016-03-15 주식회사 인터파워 정전류 출력 방식의 led 조명용 컨버터 및 이를 적용한 led 조명 장치
CN108449839A (zh) * 2018-04-20 2018-08-24 深圳市芯飞凌半导体有限公司 一种可调亮度无频闪led控制电路、led照明设备
US10440786B1 (en) 2018-05-09 2019-10-08 Infineon Technologies Ag Control circuit and techniques for controlling a LED arr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053B1 (ko) 엘이디 소자를 보호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005199B1 (ko) 엘이디 조명기구의 엘이디 부하 비정상상태 발생시 엘이디 보호장치
TWI522011B (zh) 適應性切換模式發光二極體驅動器
KR100767385B1 (ko) 조명 구동장치 및 그 회로
KR101192377B1 (ko) 엘이디 소자를 보호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80106234A (ko) 전압 제어 엘이디 라이트 드라이버
US9277608B2 (en) Circuit for operating parallel light emitting diode strings
EP3808156B1 (en) Monitor device for a lighting arrangement, a driver using the monitoring arrangement, and a driving method
KR101493844B1 (ko) Led소자의 사용수명을 보호하는 led조명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92580B1 (ko) 전원공급장치(SMPS) 및 디밍(Dimming)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LED 모듈을 제어하는 LED 조명 디밍제어시스템
KR20110057359A (ko) 발광 다이오드의 정전류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JP6389460B2 (ja) 電源装置
KR102006966B1 (ko) Led 발광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1193343B1 (ko) 역률 개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EP3649831B1 (en) A lighting driver, lighting circuit and drive method
EP3219173A1 (en) Driver circuit and method
KR20160076055A (ko) 발광 소자 구동 장치
KR20220145075A (ko) Led 소자를 보호하는 led조명장치
KR101184098B1 (ko) Led전원제어방법, 상기 led전원제어방법을 사용하는 led 전원제어장치 및 led 구동시스템
KR20120026706A (ko) 적응형 전원 공급기, 고효율 스마트 엘이디 모듈 및 엘이디 램프
KR101091277B1 (ko) 부하 감응 전압원 전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전원 병렬 제어 시스템
KR101487927B1 (ko) Led채널의 단락 감지오류를 방지하는 led 드라이버
KR101153404B1 (ko) Led램프 점등 상태에 따라 출력 전류를 제한하는 컨버터 및 이를 구비한 지능형 led가로등
US20220159807A1 (en) Current supply system, related integrated circuit,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current supply system
KR101572121B1 (ko) 저전압 직류전원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조명제어 시스템 및 발광 다이오드 조명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