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282B1 - 복층 구조 박형 석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층 구조 박형 석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282B1
KR101192282B1 KR1020100066279A KR20100066279A KR101192282B1 KR 101192282 B1 KR101192282 B1 KR 101192282B1 KR 1020100066279 A KR1020100066279 A KR 1020100066279A KR 20100066279 A KR20100066279 A KR 20100066279A KR 101192282 B1 KR101192282 B1 KR 101192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lab
reinforcing
raw material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691A (ko
Inventor
고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일
Priority to KR1020100066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28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5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natural stone or artificial s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복층 구조 박형 석판은, 동일한 천연 재질의 석재로 이루어진 적어도 2 겹 이상의 석판층들과, 상기 석판층들의 면과 면 사이에 개재되어 인접한 상기 석판층들을 상호 접착시키는 강화 접착제층으로 이루어진 복층 구조 석판으로서, 상기 강화 접착제층을 이루는 강화 접착제는, 접착 대기 상태에서 액상 또는 겔상의 성질을 가지는 접착제 원료와, 상기 접착제 원료에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로 포함되며,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가지는 선상(線狀) 구조로 이루어져 다양한 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강화 접착제를 이용한 석판층의 복층 접합 구조에 의해 각종 강도가 크게 향상되어 총경량화, 초박형화가 가능해지면서도,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Description

복층 구조 박형 석판 및 그 제조 방법 {THIN SLAB HAVING MULTILAYERE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연 재질의 석재로 이루어진 석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석판층이 접합된 복층 구조의 석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 석재는 종류별로 다양한 물성을 가지고 있으며, 고유의 독특한 표면 질감 등을 보유함으로써, 건축 자재, 인테리어용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 재질의 석재는 자연상태로부터 채취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희소성이 높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 응력에 비해 인장 응력이나 전단 응력이 약하고 취성이 높아 판재 형태로 가공되는 경우에는 일정 두께 이하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등에 비해 높은 표면 경도를 가지며, 우수한 외관 미감과 표면 질감으로 인하여 건축 등에 있어 바닥이나 벽면의 고급 마감재로 사랑받아온 대리석의 경우, 순수 대리석 판재의 경우 수 ㎝ 이상(통상 20㎜)의 두께로 가공되어 취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천연 대리석의 희소성으로 인한 자재비 상승 부담을 경감하고 가공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얇은 대리석 판재의 하부면에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진 인조 세라믹 판재가 접합된 구조의 복합 대리석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절단 가공이나 표면 처리에 의한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순수 대리석 판재의 두께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 한계를 넘어 지나치게 얇은 두께로 가공된 대리석 판재에 전술한 작업을 수행할 경우 판재 자체가 부서져 버리게 된다.
대리석 판재에 있어 이러한 가공 작업 가능 두께의 한계는 3㎜로 알려져 있으며, 이하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석재에 따른 가공 작업이 가능한 두께의 한계를 '임계 두께'라는 용어로 정의한다.
앞서 언급한 복합 대리석과 같은 천연 석재와 인공 재료를 접합한 복합 석판의 경우,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두께로 인공 재료를 가공한 후 천연 석재와 접합함으로써 천연 석재의 약한 전단 강도 등을 보강함과 동시에, 순수 천연 석판의 경우에 비해 소요되는 천연 석판층의 양을 경감함으로써 재료비 절감이라는 측면에서도 큰 이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천연 세라믹과 같은 보강용 인공 재료 판재의 경우 천연 석재만으로 판재를 제공할 경우에 비해 강도 확보의 측면에서 오히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져야 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여 판재의 부피 및 중량이 더욱 증가하기도 하며, 접합된 천연 석재와 인공 재료가 이질적인 재료이므로, 습도, 온도 등에 따른 수축, 팽창률의 차이로 인하여 접합부에 이격 현상이 일어나는 등의 문제도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등록번호 제10-945256호에 대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된 바 있다.
즉, 상기 특허공보에는, 동일한 종류의 석재로 이루어진 제1석판층과 제2석판층의 사이에, 보강부재 층을 개재하고, 보강부재의 양 면에 각각 접착층을 형성하여, 제1석판층과 제2석판층을 상호 접합하는 천연석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른 천연석판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개시된 내용에 의한 석판의 경우 이질적인 재료를 복층 접합하였을 경우의 문제점이 해소되고, 보강부재 층으로 인해 천연 석재의 전단 응력등 각종 강도가 보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보강부재 층의 보강 역할 덕분에 각각의 석판층의 두께는 종래의 임계 두께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는 여건이 마련 되었음에도, 두 개의 석판층이 결합된 완제품 석판의 총 두께에 있어서는 보강부재 층의 두께가 포함됨으로써 보강부재 층 자체가 슬림화의 효과를 상쇄시키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제1석판과 제2석판의 접합 과정 에 있어서도, 그 단계가 제1석판의 일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에 보강부재를 접착시키는 단계, 상기 보강부재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강부재의 접착층에 제2석판을 접착시키는 단계 등으로 세분화되어 상당한 수의 단계를 거쳐야 하는 등, 작업 단계 및 공수가 많아 작업이 용이하지 못할 뿐 아니라, 완제품 석판당 소요되는 제조시간이 길어져 생산량이 낮으며, 이러한 낮은 생산량이 단가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석판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천연석재만으로 이루어지면서도 각종 강도가 강화되어 가공성, 취급성을 극대화하며, 극적인 슬림화,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슬림화, 경량화에 따라 재료비를 절감하고 설치 가능한 적용 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업 용이성, 대량 생산 가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복층 구조 박형 석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층 구조 박형 석판은, 동일한 천연 재질의 석재로 이루어진 적어도 2 겹 이상의 석판층들과, 상기 석판층들의 면과 면 사이에 개재되어 인접한 상기 석판층들을 상호 접착시키는 강화 접착제층으로 이루어진 복층 구조 석판으로서, 상기 강화 접착제층을 이루는 강화 접착제는, 접착 대기 상태에서 액상 또는 겔상의 성질을 가지는 접착제 원료와, 상기 접착제 원료에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로 포함되며,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가지는 선상(線狀) 구조로 이루어져 다양한 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접착제인 것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호 접합된 상기 각 석판층들의 각각의 두께의 합은, 동일 천연 재질의 단층 구조 석판의 임계 두께 이하가 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착제 원료는, 수성 접착제 원료, 유성 접착제 원료, 고분자 수지 접착제 원료 중 적어도 1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화재는, 천연섬유, 유기합성섬유, 유리섬유, 금속섬유, 탄소섬유 중 적어도 1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층 구조 박형 석판의 제조 방법은, 천연 재질의 석재로 이루어지며, 해당 재질 석재의 임계 두께 이상의 두께를 가진 판재 형태로 석판층들을 준비하는 석판층 준비단계, 상기 석판층 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석판층의 일 면에, 접착 대기 상태에서 액상 또는 겔상의 성질을 가지는 접착제 원료와, 상기 접착제 원료에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로 포함되며,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가지는 선상(線狀) 구조로 이루어져 다양한 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강화 접착제를 고르게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단계, 상기 강화 접착제가 도포된 면이 맞닿도록 하여 상기 석판층들을 상호 접착하는 석판층 접합 단계, 상기 강화 접착제가 완전히 고화될 때까지 상호 접착된 석판층들의 접합 구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접착제 양생 단계, 상기 석판층들의 접착이 완료된 후, 상기 석판층들의 면과 나란하게 두께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석판층들을 슬라이스 절단하여 최종 목표 두께로 가공하는 두께 가공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접착제 도포 단계의 전 단계로서, 유동성 상태의 에폭시 수지를 준비하는 에폭시 수지 준비 단계, 선상 구조의 강화재를 스테이플 형태로 준비하는 강화재 준비 단계, 상기 유동성 상태의 에폭시 수지에 상기 스테이플 형태 강화재를 투입 후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준비하는 강화재 혼합 단계, 상기 강화재가 균일하게 혼합된 1차 혼합물에 경화제를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준비하는 경화제 혼합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강화 접착제 준비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착제 원료는, 수성 접착제 원료, 유성 접착제 원료, 고분자 수지 접착제 원료 중 적어도 1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화재는, 천연섬유, 유기합성섬유, 유리섬유, 금속섬유, 탄소섬유 중 적어도 1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복층 구조 박형 석판 및 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천연 재료로만 이루어지면서도 전단응력, 인장응력 등의 각종 강도가 크게 강화된 천연 석판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각종 강도의 보강에 따라 전체 석판을 이루는 각 석판층의 두께를 임계 두께 이하가 되도록 가공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보강력을 부여하는 접착층의 두께 또한 종래에 비해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면적 대비 초경량, 초박형의 천연 석판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적은 재료만으로 완제품 석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재료 절감의 효과가 크다.
넷째, 초박형, 초경량화의 결과로 설치의 적용 범위가 종래에 비해 극대화된 천연 석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강화 접착제를 이용한 석판층의 복층 접합 구조에 의해 각종 강도가 크게 향상되면서도,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 복층 구조 천연 석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 구조 박형 석판의 각 석판층이 접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3는 도 1의 과정을 거쳐 본 발명에 따른 박형 석판이 제조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동일 재질 종래 천연 석판의 두께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층 구조 박형 석판의 두께를 대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복층 구조 박형 석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 구조 박형 석판의 구조를 보다 명확히 나타내고, 복층 구조 박형 석판의 제조 방법 단계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층 구조 박형 석판은, 동일한 천연 재질의 석판층(20)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강화 접착제(10)를 고르게 도포한 후 상기 석판층(20)들을 상호 접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강화 접착제(10)는 접착되는 두 물체 사이에 접착력만을 부여하는 통상의 접착제와는 달리, 본 발명만의 특징적인 구성에 따라 접합 물체의 각종 강도 강화 기능을 함께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요소로서, 크게 접착 대기 상태에서 액상 또는 겔상의 성질을 가지는 접착제 원료(1)와, 상기 접착제 원료에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로 포함되며,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가지는 선상(線狀) 구조로 이루어져 다양한 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재(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강화 접착제(10)를 구성하는, 접착 물체 사이에서 접착력을 부여하는 접착제 원료(1)의 경우, 통상의 접착제 성분이 본 발명에 따른 강화 접착제를 구성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데, 종래 접착제의 경우, 액상(혹은 겔상) 상태에서 고화되는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액상의 용매에 고분자를 녹인 용액 상태로 구성되어, 용매가 증발되며 고화되어 접착력을 발휘하게 되는 용액성 접착제로서, 이는 다시 용매의 성질에 따라 물에 녹인 녹말풀과 같은 수성 접착제, 유기 용매에 녹인 폴리 아세트산 비닐계와 같은 유성 접착제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가솔린에 녹인 고무풀과 같은 고무 접착제도 이러한 유성 접착제로 분류할 수 있다.
둘째, 액상 성분이 경화제의 혼합에 의해 비로소 고화되어 접착력을 발휘하는 고분자 수지 접착제로서, 용매의 기화에 의한 고화가 아니라는 점에서 상기 용액성 접착제와는 차이가 있으며, 액상의 에폭시 수지에 경화제를 첨가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접착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에폭시 접착제 등이 고분자 수지 접착제의 범주에 포함된다.
셋째, 저분자 물질이 고분자화되며 접착력을 발휘하는 중합 반응 접착제로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비스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이 처음에는 액상의 저분자 상태이던 물질이 공기에 노출된 후, 공기 중 수분의 산소 원자 내에 있는 비공유 전자쌍에 의해 에틸렌기가 공격 당하여 중합반응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고분자화가 진행됨으로써 접착력을 발휘하는 접착제다. 액상의 접착제가 공기 중 노출과 함께 순간적으로 접착력을 발휘하는 기능 때문에 순간 접착제라고 통칭된다.
넷째, 고체 상태의 고분자 물질에 열을 가하여 순간적으로 녹인 후 접착제로서 사용하는 핫멜트 접착제로서, 스틱, 필름, 입상 등이 존재하며,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의 도구가 사용된다. 책 제본, 박스 제조, 제함, 신발 제조 등에 널리 쓰이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도구로서는 이른바 글루건이라 통칭되는 제품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원료(1)의 경우, 후술할 강화재(2)의 용이한 혼입, 균일한 분산 등을 위하여 특정 조건하에서 액상이나 겔상을 띌 수 있어야 하며, 따라서, 전술한 종래의 접착제들 중에서 접착제 양생 이전에는 대체적으로 액상 상태인 수성 접착제나 유성 접착제와 같은 용액성 접착제, 고분자 수지 접착제 등이 적용되기에 용이하다.
반면, 이른바 순간 접착제로 통칭되는 중합 반응 접착제나 핫멜트 접착제의 경우에는, 접착제 원료 내에 본 발명에 따른 강화재를 섞는 자체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나, 제조 공정, 사용 편이성 등과 관련하여 앞서 언급한 용액성 접착제나 고분자 수지 접착제에 비해 불리한 점이 있다.
더욱이, 에폭시계, 폴리올레핀계,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와 같은 고분자 수지 접착제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원료로서 더욱 적합한 특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는, 분자 내에 에폭시기 2개 이상을 갖는 수지상 물질 및 에폭시기의 중합에 의해서 생긴 열경화성 수지로서, 굽힘강도, 굳기 등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수분, 열기 및 화학 약품 등에 강하며 경화 시에 휘발성 물질의 발생 및 부피의 수축이 없고, 경화할 때는 재료면에서 큰 접착력을 가지는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는, m-페닐렌다이아민 등 아민, 프탈산무수물 등의 경화제 첨가에 의한 경화 과정을 거쳐 단단하게 굳어 접착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직물, 종이, 피혁 등 유연한 재질에는 적당치 않은 반면, 석판과 같은 재료를 접합하기에는 상당히 유리한 접착제 원료이다.
한편, 최근에는 폴리올레핀계열 고분자 수지 접착제 또한 높은 접착력으로 인하여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접착제 원료(1) 내에 혼합되는 강화재(2)는, 각종 섬유와 같이 선상(線狀) 구조로 이루어 길이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장력을 가지는 물질인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연섬유, 유기합성섬유, 유리섬유, 금속섬유, 탄소섬유 등이 본 발명에 따른 강화재(2)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강화재(2)는, 접착제 원료 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접착제 원료와 함께 고화되어 접착층 내에서 전 방향에 걸쳐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접착부를 중심으로 접착 물체 전체에 인장 강도 및 전단 강도를 크게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다양한 방향으로의 배열 가능성, 각 강화재(2) 가닥들의 얽힘에 의한 상호 협력 강화, 접착제 도포의 용이성, 다양한 면적을 가진 접착면에의 적응성 등을 고려할 때, 상기 강화재(2)는 장사나 중장사 구조보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단사 섬유 형태의 스테이플(staple) 구조를 가지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강화 접착제(1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양생이 완료되어 완전히 고화된 상태에서는, 건설 구조물에 있어 인장력이 약한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해 철근을 포함시켜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발휘하게 되어, 석판층(20)들이 접착되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복층 구조 석판의 각종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부언하면, 통상의 접착제만을 사용하여 각 석판층(20)들을 접착한 복층 구조 석판을 제조할 경우에는, 석판층(20)들의 접착에 의한 인장응력, 전단응력 등의 강화 효과가 미미하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강화재(2)가 포함된 강화 접착제(10)를 적용함으로써, 천연 석판 자체가 가지고 있는 인장응력, 전단응력 등의 각종 강도를 극단적으로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석판의 경우, 강화 접착제(10)로 석판층(20)들을 접착하여 양생 완료됨으로써 비로소 강한 내구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므로, 도 1이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석판층(20)들의 접합 단계나, 접합 직후의 각 석판층(20)들의 두께는 해당 재질 석판의 임계 두께 이상이 되도록 유지하여야 한다.
다만, 강화 접착제(10)의 양생이 완료되어 완전히 고화된 강화 접착제층이 생성된 이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 구조 박형 석판의 두께를 얇게 가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도 2의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석판층(20)들의 면과 나란하게 두께에 수직한 방향으로 석판층(20)들을 슬라이스 절단함으로써, 생산하고자 하는 석판의 최종 목표 두께로 가공하는 두께 가공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발명자의 경우, 유동성 상태의 에폭시 수지를 접착제 원료(1)로 사용하고, 상기 접착제 원료(1)에 밧줄의 재료 등으로도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모노 필라멘트를 스테이플 구조로 짧게 끊어 준비한 강화재(2)를 균일하게 혼합한 강화 접착제(10)를 사용하여 실험해본 결과, 접착 상태에서, 사용된 천연 석재의 임계 두께의 절반까지 각 석판층(20)들을 슬라이스 절단 가공하는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화 접착제(10)를 사용하여 동일한 천연 재질의 석판층(20)을 상호 접착하여 완제품 석판을 제공함에 있어, 강화 접착제(10)의 각종 강도 보강 효과로 인해 각 석판층(20)들을 얇게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물론, 별도의 두꺼운 보강재료 층이 개재되는 것을 배제한 채 강화 접착제층만으로 접합 구조를 완성시킴으로써, 전체 석판의 두께에 강화 접착제층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기존 복층 구조 석판에 비해서도 보다 얇은 석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가능한 두께의 단층 석판의 두께와 비교하여 볼 경우에도 더욱 슬림화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층 구조 박형 석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 상기 강화 접착제(10)를 완제품 형태로 미리 준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보다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접착 단계의 수행을 위하여, 에폭시 수지를 접착제 원료로서 사용하도록 특화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에폭시 수지는 전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가짐으로써 석판의 접착에 유리한 측면이 있는데, 특히, 경화제를 첨가하지 않는 한, 유동성의 에폭시 수지 상태에서 고화되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에폭시 수지 준비 단계 후 강화재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작업이, 시간이나 그 밖의 제약 없이 비교적 수월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강화 접착제는, 유동성 상태의 에폭시 수지를 준비하는 에폭시 수지 준비 단계, 선상 구조의 강화재를 스테이플 형태로 준비하는 강화재 준비 단계, 상기 유동성 상태의 에폭시 수지에 상기 스테이플 형태 강화재를 투입 후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준비하는 강화재 혼합 단계, 상기 강화재가 균일하게 혼합된 1차 혼합물에 경화제를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준비하는 경화제 혼합 단계를 거쳐 준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천연 재료로만 이루어지면서도 전단응력, 인장응력 등의 각종 강도가 크게 강화된 석판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각 석판층의 두께를 임계 두께 이하가 되도록 가공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보강력을 부여하는 층의 두께 또한 종래에 비해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동일 면적대비 초경량, 초박형의 천연 석판을 제공할 수 있어 가공 및 취급이 용이하고 재료 절감에 따른 제조 단가의 경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치 가능한 적용 범위 역시 종래에 비해 극대화된 천연 석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강화 접착제를 이용한 석판층의 복층 접합 구조에 의해 각종 강도가 크게 향상된 효과를 얻으면서도, 해당 구조를 완성하기 위한 제조 공정이 단순하게 구성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이를 도시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접착제 원료 2: 강화재
10: 강화 접착제 20: 석판층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천연 재질의 석재로 이루어지며, 해당 재질 석재의 임계 두께 이상의 두께를 가진 판재 형태로 석판층(20)들을 준비하는 석판층 준비단계;
    상기 석판층 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석판층(20)의 일 면에, 접착 대기 상태에서 액상 또는 겔상의 성질을 가지는 접착제 원료(1)와, 상기 접착제 원료(1)에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로 포함되며,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가지는 선상(線狀) 구조로 이루어져 다양한 방향으로 배열된 강화재(2)를 포함하여 구성된 강화 접착제(10)를 고르게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단계;
    상기 강화 접착제(10)가 도포된 면이 맞닿도록 하여 상기 석판층(20)들을 상호 접착하는 석판층 접합 단계;
    상기 강화 접착제(10)가 완전히 고화될 때까지 상호 접착된 석판층(20)들의 접합 구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접착제 양생 단계;
    상기 석판층(20)들의 접착이 완료된 후, 상기 석판층(20)들의 면과 나란하게 두께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석판층(20)들을 슬라이스 절단하여 최종 목표 두께로 가공하는 두께 가공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접착제 도포 단계의 전 단계로서,
    유동성 상태의 에폭시 수지를 준비하는 에폭시 수지 준비 단계,
    선상 구조의 강화재(2)를 스테이플 형태로 준비하는 강화재 준비 단계,
    상기 유동성 상태의 에폭시 수지에 상기 스테이플 형태 강화재(2)를 투입 후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준비하는 강화재 혼합 단계,
    상기 강화재(2)가 균일하게 혼합된 1차 혼합물에 경화제를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준비하는 경화제 혼합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강화 접착제 준비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구조 박형 석판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원료(1)는, 수성 접착제 원료, 유성 접착제 원료, 고분자 수지 접착제 원료 중 적어도 1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구조 박형 석판의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2)는, 천연섬유, 유기합성섬유, 유리섬유, 금속섬유, 탄소섬유 중 적어도 1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구조 박형 석판의 제조 방법.
KR1020100066279A 2010-07-09 2010-07-09 복층 구조 박형 석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92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279A KR101192282B1 (ko) 2010-07-09 2010-07-09 복층 구조 박형 석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279A KR101192282B1 (ko) 2010-07-09 2010-07-09 복층 구조 박형 석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91A KR20120005691A (ko) 2012-01-17
KR101192282B1 true KR101192282B1 (ko) 2012-10-17

Family

ID=4561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279A KR101192282B1 (ko) 2010-07-09 2010-07-09 복층 구조 박형 석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2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99B1 (ko) * 2007-11-23 2008-05-27 박종영 강도 보강용 패널
KR100945256B1 (ko) * 2009-08-24 2010-03-03 이숙 초박형 천연석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초박형 천연석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99B1 (ko) * 2007-11-23 2008-05-27 박종영 강도 보강용 패널
KR100945256B1 (ko) * 2009-08-24 2010-03-03 이숙 초박형 천연석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초박형 천연석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91A (ko) 201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678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glue-laminated wood structural member with synthetic fiber reinforcement
KR20020041407A (ko) 천연 석재 가시 면을 갖는 복합 타일 및 제조 방법
JP2016534247A (ja) コンクリートの補強のための複合繊維
US6099947A (en) Hybrid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92282B1 (ko) 복층 구조 박형 석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2683849A (zh) 玻璃钢天线罩及其制备方法
TWI832842B (zh) 構造物之補強用積層材料、補強方法及補強構造體
KR100668619B1 (ko) 섬유 보강재 및 그 제조 방법
JP7466468B2 (ja) 超薄型プリプレグシート及びその複合材料
KR101227987B1 (ko) 이종 석재 복합 석판의 제조 방법 및 동 제조 방법에 의한 석판
KR100877365B1 (ko) 이형소재와 단섬유를 결합한 판재의 제조방법과 그 판재
US20200217011A1 (en) Reinforced polymer concret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940380B1 (ko)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JPS6218349B2 (ko)
ITUB20154899A1 (it) Materiale composito e metodo di fabbricazione
JP2872282B2 (ja) 炭素繊維製補強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水硬性複合材料
Bos et al. 3D concrete printing for structural applications
CN109732711A (zh) 一种重组复合结构竹的制造方法
EP0069539A1 (en) Structural components
KR20120005687A (ko) 인장 강도 및 전단 강도 강화 접착제 및 상기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방법
KR20050018497A (ko)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
JPH0747509A (ja) 積層合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291629A (ja) 強化プラスチツク材
JPH07195621A (ja) 鉱物質繊維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0161816B1 (ko) 무기물입자를 주재료로하는 산업용 고강도 복합자재의 원료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