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135B1 - 탈모방지용 쿨링 캡 - Google Patents

탈모방지용 쿨링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135B1
KR101192135B1 KR1020100074004A KR20100074004A KR101192135B1 KR 101192135 B1 KR101192135 B1 KR 101192135B1 KR 1020100074004 A KR1020100074004 A KR 1020100074004A KR 20100074004 A KR20100074004 A KR 20100074004A KR 101192135 B1 KR101192135 B1 KR 101192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ap
heat
electrical circuit
hair lo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419A (ko
Inventor
최성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074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135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13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2Means for mounting 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4Ventilating arrangements for hea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 형상으로 이루어진 모자의 내측에 설치되며, 레이져 다이오드에서 방사되는 레이져 빛을 두피에 조사하여 탈모를 방지시키는 다수 개의 레이져 다이오드와 전자부품이 실장되며, 열전도체로 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전기회로기판(PCB)과; 상기 전기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전기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발열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열반도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쿨링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전기회로기판에 열전도체로 된 메탈 전기회로기판(PCB)이 이중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두피에 레이져 빛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다수 개의 레이져 다이오드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두피 자극의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레이져 다이오드에서 발생하는 열과 두상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열 및 방열시킴으로써, 두피에 레이져 빛을 조사할 때 머리부분이 항상 시원하고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탈모방지용 쿨링 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탈모방지용 쿨링 캡{Cooling cap for Stopping the hair from falling out}
본 발명은 캡 형상으로 이루어진 모자의 내측에 설치되며, 레이져 다이오드에서 방사되는 레이져 빛을 두피에 조사하여 탈모를 방지시키도록 된 탈모방지용 쿨링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피 또는 모발관리를 위하여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여 레이져 다이오드가 빛을 발산하게 할 경우, 레이져 다이오드에서 열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모자 내부는 온도가 상승하며, 이러한 모자 내부의 온도 상승은 오히려 두피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고, 쾌적한 사용을 못이루게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두피에 레이져 빛을 조사할 때 머리부분이 항상 시원하고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탈모방지용 쿨링 캡에 관한 것이다.
모발(毛髮) 또는 머리털은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라는 3단계의 모주기를 거쳐 성장하여 탈모되는데, 성인은 약 10만개의 모발을 가지고 있으며 하루에 80개 정도의 모발이 빠지는 것이 정상이고 그 이상 진행될 때 탈모증(脫毛症)이라고 한다.
탈모증은 정상적으로 자라던 머리털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빠지는 병을 말하는데, 그 것은 모유두와 모낭의 기능이 저하되고 혈관이 손상되어 탈모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요소, 호르몬 분비의 불균형(예컨대 안드로겐의 과다 분비), 정신적 스트레스, 환경오염, 두피의 혈액순환 장애, 영양부족, 질병(예컨대, 갑상선 질환), 자가면역 이상, 항암제 및 항갑상선제의 복용, 경구 피임약의 투여, 머리를 감는 습관 등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탈모현상은 당자자에게는 심각한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대외적인 교유 및 비지니스에서도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이를 치료하기 위한 대안이 많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현재 시판되고 있는 발모제 또는 양모제는 피부의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모근에 영양을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이것은 모두 의약품이 아니고 화장품과 같은 의약부외품으로 효과가 증명되지 않은 것들이다.
또한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같이 공공기관에서 정식으로 인정한 약물치료제로는 미녹시딜(Minoxidil)과 프로페시아(Propecia) 2가지뿐이며 이러한 치료제도 아직까지는 탈모증환자가 만족할만한 수준의 치료방법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레이저를 이용한 탈모증 치료 연구가 오래 전부터 진행되어 왔는데, 저출력 레이저 조사에 의한 생체자극효과는 1970년대 초반에 헝가리 부다페스트 대학의 메스트(Mester) 교수의 선구적인 연구 이후 많은 관심을 유발하였으며, 지금까지도 저출력 레이저의 의학적 이용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 의하여 저출력 레이저가 상처치유 및 통증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저출력 레이저가 조사부위의 혈류량을 증가시킨다는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러한 저출력 레이저의 생체 효과를 모발 성장에 적용한 문헌으로는「단국대학교 의학레이저 연구센터, '890nm 저출력레이저와 680nm LED의 발모 촉진 효과에 대한 연구 보고서' 2003년」이 있고, 2002. 11. 18. 공개된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2-86548호 '디자인과 기능이 향상된 레이저 빗'과 2002. 12. 27. 공개된 국제특허공개 제WO02/102,228호 'Zigzag beam splitter for apparatus and method for stimulating hair growth'을 참조할 수있다.
상기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2-86548호에는 2개의 이(teeth) 열에 설치된 레이저 다이오드로 632~670nm의 가시적색광 빔을 발생한다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밖에도, 진동력을 두피에 전달하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고 제20-0422798호 '두피 마사지용 초음파 진동기구'가 소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고 제 20-0422798호는 전기에너지를 진동에너지로 변환하여 피부접촉유닛을 초음파 진동시키면서, 두피를 자극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두피에 레이져 빛을 조사하여 두피를 자극하는 종래의 탈모관리기는 그 무게에 따라 오랜 사용시 사용자의 머리와 목에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이져 빛을 발산하는 과정에서 레이져 다이오드는 발열하므로 모자 내부의 온도를 급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동절기 추운 외부에서 사용할 경우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하절기에는 머리를 더욱 뜨겁게 하므로 땀으로 인한 불쾌감과 불쾌지수를 높이고, 이에 따라, 그 사용을 기피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두피의 온도 상승은 탈모관리에서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이져 다이오드가 동작하여 레이져 빛을 조사할 때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흡열시켜 모자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머리가 항상 시원하고 쾌적한 상태에서 레이져 빛이 두피에 자극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캡 형상으로 이루어진 모자의 내측에 설치되며, 레이져 다이오드에서 방사되는 레이져 빛을 두피에 조사하여 탈모를 방지시키도록 된 탈모방지용 쿨링 캡에 있어서, 다수 개의 레이져 다이오드와 전자부품이 실장되며, 열전도체로 된 플렉시블 전기회로기판(PCB)과; 상기 전기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전기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고 외부로 발열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열반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쿨링 캡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회로기판에 열전도체로 된 메탈 전기회로기판(PCB)이 이중으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캡 형상으로 이루어진 모자의 내측에 설치되며, 레이져 다이오드에서 방사되는 레이져 빛을 두피에 조사하여 탈모를 방지시키도록 된 탈모방지용 쿨링 캡에 있어서, 다수 개의 레이져 다이오드와 전자부품이 실장되며, 열전도체로 된 플렉시블 전기회로기판(PCB)과; 상기 전기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전기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고 외부로 발열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열반도체와; 상기 냉열반도체에 연결되어 흡열된 열이 모자의 외부에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방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쿨링 캡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회로기판에 열전도체로 된 메탈 전기회로기판(PCB)이 이중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방출부는 모자의 표면 소정 위치에 부착되게 하며, 상기 방출부는 알루미늄 방열 필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두피에 레이져 빛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다수 개의 레이져 다이오드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두피 자극의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를 해소하여 두피에 레이져 빛을 조사할 때 머리부분이 항상 시원하고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탈모관리의 효과가 극대화되게 하고, 동절기나 하절기에 구애됨이 없이 그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전기회로기판과 레이져 다이오드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자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 두 가지로 제시되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차이점은 방출부(105)에 있으므로, 이하에서 제2실시예를 설명할 때에는 제1실시예의 구성에 추가된 방출부(105)의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실시예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레이져 다이오드(102)가 플렉시블 전기회로기판(101)에 실장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통상적으로 탈모관리기에서는 레이져 다이오드(102)를 사용해오고 있었던 바, 레이져 다이오드(102)의 구동원리와 조절기 및 제어원리 등의 일반적인 기술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전기회로기판(101)의 소정위치에는 냉열반도체(103)가 실장되어 있으며, 이 냉열반도체(103)는 일측면은 흡열하고 타측면은 발열하는 반도체 부품으로서, 정수기의 냉/온수도 상기한 냉열반도체(103)를 사용하는 매우 일반적인 부품이다.
상기한 레이져 다이오드(102)는 플렉시블 전기회로기판(101)에 실장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상에 맞게 그 형상이 변형되며, 본 발명에서는 그 형상의 자유로운 변형기능외에도 열전도율이 매우 우수한 점에 의하여 채택되어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한 플렉시블 전기회로기판(101)에 메탈 전기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을 이중으로 결합시켜 열전도율 기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냉열반도체(103)의 일측면에서 흡열동작을 하게 되면, 플렉시블 전기회로기판(101) 전체에 걸쳐 분포되도록 실장된 레이져 다이오드(102)에서 발생하는 열이 플렉시블 전기회로기판(101)을 통해 냉열반도체(103)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한 냉열반도체(103)는 흡열과 동시에 발열하게 되므로 이 냉열반도체(103)의 일측면에서 흡열된 열기는 냉열반도체(103)의 타측면에서 발열되어 모자(104) 외부로 방출시키게 되므로 모자(104)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구성에서 방출부(105)가 추가된 구성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열반도체(103)의 타측면에 방출부(105)를 연결하여 냉열반도체(103)에서 흡열과 동시에 발열되는 열이 신속하게 모자(104)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방출부(10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104)의 표면 중 뒷 부분이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측면 라운드 부분(A)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본 발명은 이 방출부(105)의 부착 위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아울러, 상기한 방출부(105)는 모자(104)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임이 자유로워야 하므로 비교적 경량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방열 필름(106)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한 알루미늄 방열 필름(106)이 낱개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차곡차곡 겹쳐진 구조, 접힌 구조이어도 모자(104) 내부의 열기를 방출하는데 큰 문제가 없으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알루미늄 방열 필름(106)의 배열구조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레이져 다이오드(102)가 구동하여 레이져 빛을 발산하게 되면, 레이져 다이오드(102)는 발열하게 되며, 이때, 플렉시블 전기회로기판(101)을 통하여 레이져 다이오드(102)에서 발열되는 열을 냉열반도체(103)가 흡열한 후 이어서 냉열반도체(103)에 연결된 방출부(105)를 통하여 냉열반도체(103)에서 발열되는 열이 모자(104)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기한 일련의 동작은 모자(104)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시원하고 쾌적한 상태에서 탈모관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1 : 플렉시블 전기회로기판 102 : 레이져 다이오드
103 : 냉열반도체 104 : 모자
105 : 방출부 106 : 알루미늄 방열 필름

Claims (6)

  1. 삭제
  2. 캡 형상으로 이루어진 모자의 내측에 설치되며, 레이져 다이오드에서 방사되는 레이져 빛을 두피에 조사하여 탈모를 방지시키는 다수 개의 레이져 다이오드와 전자부품이 실장되며, 열전도체로 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전기회로기판(PCB)과; 상기 전기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전기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발열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열반도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쿨링 캡에 있어서,
    상기 전기회로기판에 열전도체로 된 메탈 전기회로기판(PCB)이 이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쿨링 캡.
  3. 삭제
  4. 캡 형상으로 이루어진 모자의 내측에 설치되며, 레이져 다이오드에서 방사되는 레이져 빛을 두피에 조사하여 탈모를 방지시키는 다수 개의 레이져 다이오드와 전자부품이 실장되며, 열전도체로 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전기회로기판(PCB)과; 상기 전기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전기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발열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열반도체와; 상기 냉열반도체에 연결되어 흡열된 열이 모자의 외부에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방출부를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쿨링 캡에 있어서,
    상기 전기회로기판에 열전도체로 된 메탈 전기회로기판(PCB)이 이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쿨링 캡.
  5. 삭제
  6. 삭제
KR1020100074004A 2010-07-30 2010-07-30 탈모방지용 쿨링 캡 Expired - Fee Related KR101192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004A KR101192135B1 (ko) 2010-07-30 2010-07-30 탈모방지용 쿨링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004A KR101192135B1 (ko) 2010-07-30 2010-07-30 탈모방지용 쿨링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419A KR20120021419A (ko) 2012-03-09
KR101192135B1 true KR101192135B1 (ko) 2012-10-16

Family

ID=4612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004A Expired - Fee Related KR101192135B1 (ko) 2010-07-30 2010-07-30 탈모방지용 쿨링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76147A (zh) * 2015-11-18 2016-04-13 国网山东青州市供电公司 夏季安全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378A1 (ko) * 2017-05-19 2018-11-22 김종천 헬멧타입 두피 관리 장치
CN113975112B (zh) * 2021-09-15 2023-09-26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带有微电流按摩组件的多功能温控护理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853Y1 (ko) * 2004-12-13 2005-03-11 주식회사 에이앤피텔레콤 광중계기용 레이저 다이오드의 냉각장치
KR100851621B1 (ko) * 2008-04-25 2008-08-12 아이닉스 주식회사 레이저 탈모 치료기
US20100005572A1 (en) 2008-07-10 2010-01-14 David Vern Chaplin Thermoelectric crash helmet cooling system with no mechanically moving components or flui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853Y1 (ko) * 2004-12-13 2005-03-11 주식회사 에이앤피텔레콤 광중계기용 레이저 다이오드의 냉각장치
KR100851621B1 (ko) * 2008-04-25 2008-08-12 아이닉스 주식회사 레이저 탈모 치료기
US20100005572A1 (en) 2008-07-10 2010-01-14 David Vern Chaplin Thermoelectric crash helmet cooling system with no mechanically moving components or flui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76147A (zh) * 2015-11-18 2016-04-13 国网山东青州市供电公司 夏季安全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419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3347B8 (en) Light therapy device for treatment of bone disorders and biostimulation of bone and soft tissue
Friedman et al. The use of hybrid radiofrequency device for the treatment of rhytides and lax skin
US201401004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low power optical treatments
US2004014798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low power optical treatments
JP2014087658A (ja) レーザー脱毛症治療器
CN108187236B (zh) 多功能生发仪及系统
KR101598665B1 (ko) 피부개선 및 발모용 광 요법 장치
KR102190554B1 (ko) 저출력 레이저 치료기
KR20080025989A (ko) 적외선 탈모치료기 겸 발모 촉진장치
CN110694174A (zh) 一种多功能光电刺激生发帽
KR101192135B1 (ko) 탈모방지용 쿨링 캡
KR20100116926A (ko) 레이저 탈모 치료기
KR101151015B1 (ko) 탈모 방지용 모자
KR101110871B1 (ko) 두피 마사지기
CN106334272A (zh) 一种基于pwm驱动的led光疗设备
KR200472180Y1 (ko) 목 패드
CN101020101A (zh) 一种毛发防脱再生方法和装置
KR101126556B1 (ko) 탈모관리기
KR101135842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잇몸 칫솔
JP3250616U (ja) 光線療法による発毛装置
AU2013201772A1 (en) Hair regrowth laser cap
KR20160085014A (ko)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된 탈모 치료장치
KR200377035Y1 (ko) 광화학적 치료장치
KR20250076830A (ko) 소닉부스터엔진 활용한 탈모방지 두피 관리기
JP2006289055A (ja) 美容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21